KR20140023995A - 조립식 텐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995A
KR20140023995A KR1020137030400A KR20137030400A KR20140023995A KR 20140023995 A KR20140023995 A KR 20140023995A KR 1020137030400 A KR1020137030400 A KR 1020137030400A KR 20137030400 A KR20137030400 A KR 20137030400A KR 20140023995 A KR20140023995 A KR 20140023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eam
pin
tent
connection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쿠히로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뉴텍 재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뉴텍 재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뉴텍 재팬
Publication of KR2014002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사용 후에는 분해하여 콤팩트하게 수용 가능한 조립식 텐트(1)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텐트는, 인접하는 2개의 지주(2)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 부재를 연결 부재의 양단에서 연결하여 조립하는 텐트로서,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이,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에 다른쪽 부재를 축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이며, 또한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은,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의 둘레측 벽에 핀 삽입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로크 핀을 외주측 벽으로부터 핀 삽입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내주측 벽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압박하는 로크 기구를 외주측 벽에 배치하며, 다른쪽 부재의 외주측 벽에 핀 결합 오목부를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한쪽 부재에 다른쪽 부재를 삽입하면, 압박된 로크 핀이 핀 결합 오목부에 결합하여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이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텐트{KNOCKDOWN TENT}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사용 후에는 분해하여 콤팩트하게 수용 가능한 조립식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인접하는 2개의 지주 사이를 신축 가능한 트러스 프레임으로 연결하고, 지주를 좌우로 밀어 벌어지게 하면 크로스빔 구조체가 전개되어 텐트를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절첩식 텐트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트러스 프레임은 막대 형상의 프레임을 연결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 부착한 X자형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며, 이것을 크로스빔 구조체로 한 절첩식 텐트는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응력에 대한 강성이 반드시 충분하지 않았다.
한편, 종래의 조립식 텐트에는, 인접하는 2개의 텐트의 지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 부재를 연결 부재의 양단에서 동축 상에 연결하여 조립하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2). 그리고, 이러한 텐트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4)의 양단에 마련된 소켓(18)에 크로스빔 부재(3)의 선단을 삽입하고,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응력에 대한 강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소켓에 삽입되는 크로스빔 부재의 길이는 짧기 때문에 크로스빔 부재는 소켓으로부터 빠지기 쉽고, 또한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은, 덜걱거림이나 휨이 발생하기 쉬운 것이었다. 그리고, 크로스빔 부재나 연결 부재가 길어지면, 덜걱거림이나 휨의 발생이 현저해지기 때문에, 대책으로서 연결 부재(4)에 지주(2)를 부착하고, 지주로 연결 부재를 지지하는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지주를 연결 부재에 마련한다고 하면, 텐트의 조립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 분해하여 절첩했을 때에 수용하는 용적이 커지고, 중량도 증가하기 때문에 운반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조립이 용이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사용 후에는 분해하여 콤팩트하게 수용 가능한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 구조를 갖는 조립식 텐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5708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03800호 공보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사용 후에는 분해하여 콤팩트하게 수용 가능한 조립식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가 검토를 행한 결과, 인접하는 2개의 지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 부재를 연결 부재의 양단에서,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에 다른쪽 부재를 축방향으로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용이하고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힘에 대하여 강도가 높은 텐트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인접하는 2개의 지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 부재를 연결 부재의 양단에서 연결하여 조립하는 텐트로서,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이,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에 다른쪽 부재를 축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이,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의 둘레측 벽에 핀 삽입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로크 핀을 외주측 벽으로부터 핀 삽입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내주측 벽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압박하는 로크 기구를 외주측 벽에 배치하며, 다른쪽 부재의 외주측 벽에 핀 결합 오목부를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한쪽 부재에 다른쪽 부재를 삽입하면, 압박된 로크 핀이 핀 결합 오목부에 결합하여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이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로크 기구는,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의 외주측 벽에 부착 가능한 베이스에 지지축을 설치하고, 이 지지축에 로크 핀을 고정한 요동 아암을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며, 로크 핀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 부재를 요동 부재에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로크 기구를 부착한 한쪽 부재에 다른쪽 부재를 삽입하면, 압박된 로크 핀이 핀 결합 오목부에 결합하여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이 로크되며, 압박 부재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여 반(反)압박 방향으로 요동 아암을 회동하면, 로크 핀이 핀 결합 오목부로부터 이탈하여 로크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가 모두 원통 형상이며,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에 삽입하는 다른쪽 부재의 핀 결합 오목부가 외주측 벽의 원주에 배치한 핀 결합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에 삽입하는 다른쪽 부재가, 파이프의 선단에 핀 결합 오목부를 마련한 핀 결합 부재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핀 결합 부재는 합성 수지를 일체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의 선단에 다른쪽 부재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테이퍼를 갖는 삽입 유도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지주로부터 회동 전개한 크로스빔 부재를 연결 부재의 양단에서 연결하고, 지붕 구조체의 하단을 지주에 연결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이다.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에 다른쪽 부재를 축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를 덜걱거림이나 휨을 발생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분의 덜걱거림 등을 해소하기 위한 지주 등의 보조 부재를 연결 부재에 부착할 필요가 없고, 경량으로 수용성이 우수한 조립식 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에 다른쪽 부재를 축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로크 기구가 작동하여 연결을 로크하기 때문에, 텐트의 안전성이 높고, 또한 텐트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를 원통 형상으로 하고, 삽입하는 부재의 외주측 벽 원주에 로크 핀과 결합하기 위한 핀 결합 홈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방향성을 배려하지 않고 부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연결을 로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부재의 방향을 맞추면서 삽입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져, 야외에서의 텐트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텐트는 연결 부재, 크로스빔 부재를 구비한 지주, 및 지붕 구조 부재의 3종의 파트로 분할하여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고, 조립할 때는, 지주로부터 회동하여 전개한 크로스빔 부재를 연결 부재의 양단에 연결하고, 전개한 지붕 구조체의 하단을 지주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텐트의 골조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조립식 텐트의 골조의 전체도.
도 2는 지주와 크로스빔 부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고정 브래킷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a) 정면도, (b) 평면도, (c) 좌측면도, (d) 저면도, (e) 우측면도].
도 4는 슬라이드 브래킷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a) 정면도, (b) 평면도, (c) 좌측면도, (d) 저면도, (e) 우측면도].
도 5는 보조 부재 연결 브래킷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a) 정면도, (b) 평면도, (c) 좌측면도, (d) 저면도].
도 6은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로크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a) 정면도, (b) 평면도, (c) 좌측면도, (d)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핀 결합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a) 핀 결합 부재의 정면도, (b) 핀 결합 부재와 파이프를 접합한 상태도, (c) 접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텐트의 골조를 분해한 상태도[(a) 연결 부재, (b) 크로스빔 부재를 구비한 지주, (c) 지붕 구조체].
도 10은 탑 조인트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a) 정면도, (b) 평면도, (c) 저면도, (d)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폴 조인트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a) 정면 일부 단면도, (b) 평면도, (c) 좌측면도, (d) 저면도].
도 12는 조립 텐트의 전체도[(a)의 저면도, (b)의 정면도].
도 13은 종래의 조립식 텐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텐트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조립식 텐트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지주(2)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 부재(3)를 연결 부재(4)의 양단에서 연결하고, 탑 조인트(12)에 연결하는 복수의 폴(13a)을 전개하며, 각각의 폴(13a)에 연장 폴(13b)을 폴 조인트(15)로 연결하여 형성한 지붕 구조체(14)의 하단부[연결부(14a)]를 지주(2)의 상단의 고정 브래킷(5)에 접합하고 지주(2)와 연결하여 골조를 형성한다.
크로스빔 부재(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주(2)의 상단에 고정한 고정 브래킷(5)에 크로스빔 부재(3)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지주의 도중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슬라이드 브래킷(6)으로 지주와 보조 부재(7)의 기단을 상호 연결한다. 또한, 보조 부재(7)의 선단은, 보조 부재 연결 브래킷(8)에 의해 크로스빔 부재(8)의 도중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브래킷(6)을 지주를 따라 위쪽으로 슬라이드하면, 보조 부재(7)가 크로스빔 부재(3)를 밀어 올리고, 크로스빔 부재(3)가 회동하여 수평으로 전개된다.
고정 브래킷(5)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주 삽입 구멍(5a)을 갖고, 이 지주 삽입 구멍에 지주의 위쪽 선단이 삽입되어, 지주(2)의 상단에 고착된다. 또한, 고정 브래킷(5)은 크로스빔 부재 피봇 지지 구멍(5b)을 갖고, 대향하는 2개의 크로스빔 부재 피봇 지지 구멍(5b)에 금속핀을 통과시키며, 이러한 금속핀으로 크로스빔 부재(3)를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고 있다(도 2). 또한, 고정 브래킷(5)의 상면에는 지붕 구조체 연결 구멍(5c)이 마련되어 있고, 지붕 구조체(14)를 구성하는 연장 폴(13)의 하단부[연결부(14a)]가 삽입되어, 지붕 구조체(14)가 지주(2)에 고정된다. 또한, 도 2는 고정 브래킷이, 지주의 상단에 고착되는 상태를 도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지주의 상부에 고정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면 좋고, 예컨대 지주의 상단이 약간 고정 브래킷의 위쪽으로 연장되어 나온 상태로 고정되어도 좋다.
슬라이드 브래킷(6)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주(2)를 통과시키기 위한 지주 삽입 관통 구멍(6a)을 가지며, 이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된 지주(2)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도 2). 또한, 슬라이드 브래킷(6)의 측면에는, 보조 부재 피봇 지지 구멍(6b)이 형성되고, 대향하는 2개의 보조 부재 피봇 지지 구멍(6b)에 금속핀을 통과시키며, 이러한 금속핀으로 보조 부재(7)의 기단을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고 있다(도 2). 또한, 로크 버튼(6c)은, 크로스빔 부재(3)가 수평이 되는 위치에서 슬라이드 브래킷(6)을 지주(2)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 부재 연결 브래킷(8)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빔 부재(3)를 통과시키기 위한 크로스빔 부재 삽입 관통 구멍(8a)을 가지며, 이 삽입 관통 구멍에 크로스빔 부재(3)를 삽입한다. 보조 부재 연결 브래킷(8)의 측면에는 크로스빔 부재 고정 구멍(8c)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나사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나사의 선단을 크로스빔 부재(3)에 압접시키며, 보조 부재 연결 브래킷(8)과 크로스빔 부재(3)를 접합한다.
또한, 보조 부재 연결 브래킷(8)은 보조 부재 피봇 지지 구멍(8b)을 갖고, 대향하는 2개의 보조 부재 피봇 지지 구멍(8b)에 금속핀을 통과시키며, 이러한 금속핀으로 보조 부재(7)의 선단을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한다(도 2).
크로스빔 부재(3)와 연결 부재(4)의 연결은,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에 다른쪽 부재를 축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에 의하면 부재를 삽입하는 거리(L)를 길게 할 수 있고(도 6),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는, 덜걱거림이나 휨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강고히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텐트의 조립이 용이하고, 연결 부재에는 지주 등의 받침이 필요 없기 때문에, 사용 후의 수용 용적을 작게 할 수 있어, 휴대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은, 연결 부재에 크로스빔 부재를 삽입하여도, 반대로 크로스빔 부재에 연결 부재를 삽입하여도 좋지만, 이하에서는, 참조하는 도면에 따라 연결 부재에 크로스빔 부재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6은, 연결 부재(4)에 크로스빔 부재(3)를 축방향으로 삽입하여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연결 부재(4)의 둘레측 벽에는 로크 핀(9d)을 관통시키기 위한 핀 삽입 관통 구멍(4a)을 형성하고, 로크 핀(9d)을 외주측 벽(4b)으로부터 핀 삽입 관통 구멍(4a)을 관통하여 내주측 벽(4c)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압박하는 로크 기구(9)를 외주측 벽(4b)에 설치한다. 한편, 크로스빔 부재(3)의 선단에는, 로크 핀(9d)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오목부(10)를 마련한 핀 결합 부재(11)를 설치하고 있다(도 8).
연결 부재(4)에 크로스빔 부재(3)를 삽입하면, 핀 결합 부재(10)의 선단의 테이퍼부(11a)로 로크 핀(9d)을 밀어 올리면서 연결 부재 내에 진입하고, 핀 결합 오목부(10)가 로크 핀(9d)의 위치에까지 진행하면 압박된 로크 핀(9d)이 핀 결합 오목부(10)에 감입(嵌入)되며, 로크 핀(9d)과 핀 결합 오목부(10)가 결합하여 연결 부재(4)와 크로스빔 부재(3)의 연결이 로크된다.
연결 부재(4)는, 그 내부에 크로스빔 부재(3)를 삽입하기 위한 중공부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형상 등을 한정해야 하는 것이 아니지만, 예컨대 둥근 파이프나 각진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삽입하는 크로스빔 부재(3)는, 중공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 부재에 삽입 가능하고, 삽입했을 때에 그다지 덜걱거림을 발생시키지 않는 굵기와 형상의 막대 형상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휴대성을 감안하여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해, 예컨대 둥근 파이프나 각진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 부재(4)의 선단에는, 크로스빔 부재(3)를 삽입하기 쉽도록 내측면에 테이퍼(16a)를 형성한 삽입 유도 부재(16)를 마련할 수 있다(도 6).
연결 부재에 삽입하는 크로스빔 부재의 길이(L)는, 텐트의 크기나, 연결 부재와 크로스빔 부재에 사용하는 막대 형상 부재의 형상, 재질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해야 하지만, 10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6). 10 ㎝보다 짧으면 연결 부분이 휘기 쉽고, 텐트의 강도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으며, 한편 50 ㎝보다 길면 텐트의 강도에는 문제가 없지만, 필요 이상으로 연결 부재와 크로스빔 부재가 길어져, 사용 후에 분해했을 때, 수용하는 용적이 커지고, 중량도 증가하여 운반이 곤란해진다.
도 6에서는, 크로스빔 부재(3)의 선단에, 로크 핀(9d)과 결합하기 위한 핀 결합 오목부(10)를 형성한 핀 결합 부재(11)를 설치한 예를 도시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핀 결합 부재(11)를 사용하지 않고, 크로스빔 부재(3)의 외주측 벽(3a)에 로크 핀에 결합하기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여, 이것을 핀 결합 오목부로 하여도 좋다.
로크 기구(9)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4)의 외주측 벽(4b)에 부착 가능한 베이스(9a)에 지지축(9c)을 설치하고, 이 지지축에 로크 핀(9d)을 고정한 요동 아암(9b)을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며, 요동 아암(9b)에 로크 핀(9d)을 압박하기 위한 스프링(9e)을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로크 기구(9)를 부착한 연결 부재(4)에 크로스빔 부재(3)를 삽입하면, 압박된 로크 핀(9d)이 핀 결합 오목부(10)에 결합하여 크로스빔 부재(3)와 연결 부재(4)의 연결이 로크된다. 또한, 스프링(9e)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여 반(反)압박 방향으로 요동 아암(9b)을 회동하면, 로크 핀(9d)이 핀 결합 오목부(10)로부터 이탈하여 로크가 해제될 수 있다. 로크 기구(9)는 연결 부재(4)의 외주측 벽(4b)에 설치되고, 고정 볼트(9f)에 의해 고정된다.
도 8에 크로스빔 부재(3)의 선단에 배치하는 로크 핀과 결합하기 위한 핀 결합 부재(11)를 도시한다. 핀 결합 부재(11)는,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부(11a), 평탄부(11b) 및 핀 결합 오목부(10)를 갖고, 크로스빔 부재(3)가 연결 부재(4)에 삽입할 때에 테이퍼부(11a)로 로크 핀(9d)을 밀어 올리면서 진입한다. 그리고, 핀 결합 오목부(10)가 로크 핀(9d)의 위치에까지 진입하면 압박된 로크 핀(9d)이 오목부(10)에 감입되며, 로크 핀(9d)과 핀 결합 오목부(10)가 결합한다. 평탄부(11b)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평탄부를 없애고 테이퍼부로부터 바로 핀 결합 오목부로 하면, 테이퍼부의 후단이 예각이 되어, 반복 사용이나 다른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마모나 변형이 생기기 쉽다. 평탄부는 외측면에서의 예각 부분을 없애, 이러한 폐해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연결 부재(4)와 크로스빔 부재(3)를 둥근 파이프와 같은 원통 형상으로 하고, 크로스빔 부재(3)의 외주측 벽(3a)의 원주에 로크 핀(9d)과 결합하기 위한 핀 결합 홈(10)을 마련하여도 좋다. 도 8은, 외주에 핀 결합 홈을 갖는 핀 결합 부재(11)를 둥근 파이프의 선단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크로스빔 부재를 형성한 예를 도시한다. 핀 결합 부재는, 둥근 파이프의 외경과 대략 같은 직경의 외경을 가지며, 외주측 벽의 원주에 핀 결합 홈(10)이 마련되어 있다. 연결 부재(4)와 크로스빔 부재(3)를 이러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방향성을 배려하지 않고 연결 부재에 크로스빔 부재를 삽입하여, 연결을 로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지주가 연결된 상태에서 크로스빔 부재를 비틀면서, 방향을 맞추며 연결 부재에 삽입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져, 야외에서의 텐트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핀 결합 부재(11)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제로 하는 것에 의해 탄력성을 가지며, 감입부(11c)를 파이프의 선단에 감입하여 고정하기 쉬워지고, 일체 성형되는 것에 의해 강도가 우수하며 생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파이프에 감입한 후, 핀 결합 부재(11)의 선단으로부터 고정 볼트(11d)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감입부(11c)의 외경을 확대하여 파이프 내주측면에 밀착시키고, 파이프와의 접합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텐트를 조립하기 전 또는 사용 후에 분할한 3종류의 파트를 도시하는 것이다. 지주를 4개 갖는 정방형상의 텐트이면, (a) 연결 부재(4)를 4개, (b) 크로스빔 부재(3)를 구비한 지주(2)를 4개, (c) 지붕 구조체(14)를 1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조립할 수 있다.
지붕 구조체(14)는, 탑 조인트(12)를 통해 상호 연결된 4개의 폴(13a)을 전개하고, 각 폴(13a)의 하단에 연장 폴(13b)의 선단을 연결하여 조립한다. 탑 조인트(12)는 8개의 폴 피봇 지지 구멍(12a)을 갖고(도 10), 대향하는 2개의 폴 피봇 지지 구멍(12a)에 금속핀을 통과시키며, 이러한 금속핀으로 폴(13a)을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여, 4개의 폴(13a)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폴(13a)의 하단에는 연장 폴(13b)을 연결하기 위한 폴 조인트(15)가 접합되어 있다. 폴 조인트(15)에는, 삽입 구멍(15a)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연장 폴(13b)의 선단의 삽입부(13c)를 삽입하여, 폴(13a)과 연장 폴(13b)을 연결한다. 또한, 연결 코드(13d)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한 끈형 부재이며, 그 일단을 연장 폴(13b)의 파이프 내측면에 접합하고, 타단을 폴 조인트(15)의 내측면에 접합하는 것에 의해, 연장 폴의 분실을 방지하는 것이며, 조립할 때에는, 탄성 수축하여 연장 폴(13b)의 파이프 내부에 수용된다.
텐트의 조립 방법은, 우선 지주(2)의 슬라이드 브래킷(6)을 지주를 따라 위쪽으로 슬라이드하고, 슬라이드 브래킷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 부재(7)로 크로스빔 부재(3)를 밀어 올려, 크로스빔 부재(3)를 수평으로 전개한다. 그리고 크로스빔 부재(3)의 선단을 연결 부재(4)에 삽입하고,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를 연결하여 텐트 측면의 골조를 구축한다. 여기서 연결 부재(4)와 크로스빔 부재(3)를 둥근 파이프로 하고, 연결 부재(4)에 로크 기구(9)를 부착하며, 크로스빔 부재(3)의 선단에 핀 결합 부재(11)를 부착하고, 외주측 벽의 원주에 핀 결합 홈(10)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크로스빔 부재(3)는 방향성에 관계없이 연결 부재(4)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로크하는 것이 가능해져, 텐트의 크로스빔부를 신속히 조립할 수 있다. 다음에 조립한 지붕 구조체(14)의 연결부(14a)[연장 폴(13b)의 하단부에 상당]를 고정 브래킷(5)의 지붕 구조체 연결 구멍(5c)에 감입하여 텐트의 골조를 완성한다(도 1). 지주(2)는, 연장하기 위한 내측 파이프를 파이프의 내부에 수용하고 있고[연장 기구부(2a)], 각 내측 파이프의 선단에 있는 연장 조인트부(2b)를 잡고 인출하는 것에 의해 지주(2)를 연장할 수 있다. 텐트의 골조에 천막(17)을 부착한 후, 지주(2)를 연장하여 텐트를 완성한다(도 12).
1: 조립식 텐트 2: 지주
3: 크로스빔 부재 3a: 외주측 벽
4: 연결 부재 4a: 핀 삽입 관통 구멍
4b: 외주측 벽 4c: 내주측 벽
5: 고정 브래킷 5a: 지주 삽입 구멍
5b: 크로스빔 부재 피봇 지지 구멍 5c: 지붕 구조체 연결 구멍
6: 슬라이드 브래킷 6a: 지주 삽입 관통 구멍
6b: 보조 부재 피봇 지지 구멍 6c: 로크 버튼
7: 보조 부재 8: 보조 부재 연결 브래킷
8a: 크로스빔 부재 삽입 관통 구멍 8b: 보조 부재 피봇 지지 구멍
8c: 크로스빔 부재 고정 구멍 9: 로크 기구
9a: 베이스 9b: 요동 아암
9c: 지지축 9d: 로크 핀
9e: 스프링(압박 부재) 9f: 고정 볼트
10: 핀 결합 오목부(핀 결합 홈) 11: 핀 결합 부재
11a: 테이퍼부 11b: 평탄부
11c: 감입부 11d: 고정 볼트
12: 탑 조인트 12a: 폴 피봇 지지 구멍
13: 폴 13a: 폴
13b: 연장 폴 13c: 삽입부
13d: 연결 코드 14: 지붕 구조체
14a: 연결부 15: 폴 조인트
15a: 삽입 구멍 16: 삽입 유도 부재
16a: 테이퍼 17: 천막
18: 소켓

Claims (8)

  1. 인접하는 2개의 지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빔 부재를 연결 부재의 양단에서 연결하여 조립하는 텐트로서,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이,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에 다른쪽 부재를 축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은,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의 둘레측 벽에 핀 삽입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로크 핀을 외주측 벽으로부터 핀 삽입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내주측 벽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압박하는 로크 기구를 외주측 벽에 배치하며, 다른쪽 부재의 외주측 벽에 핀 결합 오목부를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한쪽 부재에 다른쪽 부재를 삽입하면, 압박된 로크 핀이 핀 결합 오목부에 결합하여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이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로크 기구는,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의 외주측 벽에 부착 가능한 베이스에 지지축을 마련하고, 상기 지지축에 로크 핀을 고정한 요동 아암을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며, 로크 핀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 부재를 요동 부재에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로크 기구를 부착한 한쪽 부재에 다른쪽 부재를 삽입하면, 압박된 로크 핀이 핀 결합 오목부에 결합하여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의 연결이 로크되고, 압박 부재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여 반(反)압박 방향으로 요동 아암을 회동하면, 로크 핀이 핀 결합 오목부로부터 이탈하여 로크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가 모두 원통 형상이며,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에 삽입하는 다른쪽 부재의 핀 결합 오목부가 외주측 벽의 원주에 배치한 핀 결합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에 삽입하는 다른쪽 부재가, 파이프의 선단에 핀 결합 오목부를 마련한 핀 결합 부재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핀 결합 부재는 합성 수지를 일체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로스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의 선단에 다른쪽 부재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한 테이퍼를 갖는 삽입 유도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지주로부터 회동 전개한 크로스빔 부재를 연결 부재의 양단에서 연결하고, 지붕 구조체의 하단을 지주에 연결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텐트.
KR1020137030400A 2011-05-19 2012-04-09 조립식 텐트 KR201400239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2090 2011-05-19
JP2011112090A JP5894744B2 (ja) 2011-05-19 2011-05-19 組み立て式テント
PCT/JP2012/059663 WO2012157372A1 (ja) 2011-05-19 2012-04-09 組み立て式テン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995A true KR20140023995A (ko) 2014-02-27

Family

ID=4717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400A KR20140023995A (ko) 2011-05-19 2012-04-09 조립식 텐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69664B2 (ko)
JP (1) JP5894744B2 (ko)
KR (1) KR20140023995A (ko)
DE (1) DE112012002152T5 (ko)
WO (1) WO2012157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06067T3 (es) * 2006-11-30 2014-10-13 Mark C. Carter Cúpula artesanal
EA201692170A1 (ru) * 2014-04-28 2017-03-31 Коугар Кан Компани Пти Лтд. Телескопическая нагнетаемая стойка в сборе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сопротивления нагрузкам потолка
JP6535212B2 (ja) * 2015-05-15 2019-06-26 株式会社北信帆布 カーテンを用いた簡易間仕切り
CN204850677U (zh) 2015-06-23 2015-12-09 浙江泰普森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帐篷及充气管道框架
DE202016104291U1 (de) 2016-08-04 2016-08-12 Westfield Outdoors Gmbh Schutzvorrichtung, insbesondere Zelt oder Markise, sowie Verbindungsvorrichtung hierfür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4747A (en) * 1937-07-16 1939-01-24 John Q Adams Collapsible tent
US2530765A (en) * 1948-03-05 1950-11-21 Sanford Saari H Tent
US2714387A (en) * 1953-06-16 1955-08-02 Clarence B Meldrum Portable canopy
US3282274A (en) * 1964-01-15 1966-11-01 Victor L Scott Tents
GB1166489A (en) * 1965-11-04 1969-10-08 Yoshimi Yazaki Building Constructions Capable of being Readily Fabricated or Dismantled
US3446523A (en) * 1966-10-19 1969-05-27 Coleman Co Self-locking adjustable tent pole
US3457930A (en) * 1966-12-30 1969-07-29 Coleman C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aising a tent
US4066089A (en) * 1976-05-17 1978-01-03 Rainwater Orman M Collapsible shelter structure
JPS5733783Y2 (ko) * 1978-08-15 1982-07-26
US4329078A (en) * 1980-03-03 1982-05-11 Jameson Corporation Splice joint lock
JPS5733783A (en) 1980-08-06 1982-02-23 Kurosaki Refractories Co Repair of metallurgical vessel
US4558713A (en) * 1982-10-29 1985-12-17 American Canvas Company Frame system and connectors for portable shelters
JPS6078667U (ja) * 1983-11-04 1985-06-01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手押車のハンドル高さ調整機構
JPS6335893A (ja) 1986-07-28 1988-02-16 日本化薬株式会社 反応型螢光染料によるセルロ−ス系繊維の染色法
US5127762A (en) * 1989-03-03 1992-07-07 Republic Tool & Mfg. Corp. Connector assembly
US4971474A (en) * 1990-03-30 1990-11-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US5224507A (en) * 1990-07-10 1993-07-06 Gale Group, Inc. Portable protective structure which avoids roof sag and pocketing
US5144780A (en) * 1991-03-25 1992-09-08 Gieling Thomas G Portable structure
JPH09125522A (ja) * 1995-11-06 1997-05-13 Yukie Nomura 括弧型フレームを用いた組立式構造体
JP3195741B2 (ja) * 1996-07-16 2001-08-06 太陽工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機構
US5816633A (en) * 1997-04-03 1998-10-06 Odom; Anthony K. Handy dandy
US6089247A (en) * 1998-08-12 2000-07-18 Price; Walter L. Collapsible frame
US6139214A (en) * 1998-12-14 2000-10-31 Endius Incorporated Quick disconnect coupling for surgical instrument
US6216717B1 (en) * 1999-09-28 2001-04-17 Sing Sing Fibers Industry Co., Ltd. Collapsible tent frame
JP3537037B2 (ja) * 2000-01-18 2004-06-14 株式会社ニューテックジャパン 折り畳み式キャノピー構造体
US6672792B1 (en) * 2002-06-28 2004-01-06 Interlock Structures Internatioal Inc. Tube fastener apparatus
US6892503B1 (en) * 2002-12-09 2005-05-17 Ho Sang Kang Long span canopy frame connectors
US7293934B1 (en) * 2005-03-15 2007-11-13 Ho Cheng Garden Tools Co., Ltd. Telescopically adjustable pipe
US7625033B2 (en) * 2006-01-30 2009-12-01 Radio Flyer, Inc. Accessory latching assembly
US8485488B2 (en) * 2008-02-18 2013-07-16 Liberty Hardware Mfg. Corp. Latch assembly for adjustable legs
US7703469B2 (en) * 2008-06-13 2010-04-27 Paxdanz, Llc Portable adjustable shade structure
US8776813B2 (en) * 2010-06-14 2014-07-15 Easton Technical Products, Inc. Tent pol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2152T5 (de) 2014-02-13
WO2012157372A1 (ja) 2012-11-22
US9169664B2 (en) 2015-10-27
JP5894744B2 (ja) 2016-03-30
JP2012241408A (ja) 2012-12-10
US20140224290A1 (en)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737B2 (en) Tent skeleton and tent
KR20140023995A (ko) 조립식 텐트
US8448656B2 (en) Roof connecting mechanism of foldable tent
US6374843B1 (en) Support structure for collapsible shelter
US9366054B2 (en) Foldable tent
KR100932039B1 (ko) 텐트 폴 커넥터
US20150167343A1 (en) Tent Hub Assembly
US20090032079A1 (en) Framework of Frame Tent
WO2008049031A3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US20110308174A1 (en) Erectable and retractable rod device
KR102031034B1 (ko) 접이식 폴대
US20090255166A1 (en) Hand net
KR200484217Y1 (ko) 다단 접이식 폴대
KR101533294B1 (ko) 조립식 파고라 기둥 구조체
CN108756333B (zh) 一种搭建模块构件
CN108590247B (zh) 搭建模块构件
WO2017188207A1 (ja) ユニットハウス用柱フレーム構造
CN108775076B (zh) 一种具有横梁搭建模块的搭建系统
US20130145719A1 (en) Gazebo
AU2010100531A4 (en) Pivot knuckle joint and tent using the same
CN209630628U (zh) 便携可折叠空竹桌
JP3667309B2 (ja) 折り畳み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テーブル
CN205259499U (zh) 一种栏杆扶手
CN102871309A (zh) 一种骨架及其所应用的伞和篷
CN213509889U (zh) 一种可折叠框架主体及帐篷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