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654A -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654A
KR20140023654A KR1020120089844A KR20120089844A KR20140023654A KR 20140023654 A KR20140023654 A KR 20140023654A KR 1020120089844 A KR1020120089844 A KR 1020120089844A KR 20120089844 A KR20120089844 A KR 20120089844A KR 20140023654 A KR20140023654 A KR 20140023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assembly
construction machine
cover
hole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327B1 (ko
Inventor
김미연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3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부에 복수의 램프들이 배치되고, 일단면이 개방되며 타단면은 일부에 장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단면을 덮는 제1덮개와,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타단면과 결합되고, 타측은 연결 부재를 통해 차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지지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브래킷의 일측면에 상기 장공과 대응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가 상기 장공의 형상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Lamp Assembly of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램프 조립체의 구조를 변경하여 램프 조립체의 안정성을 높이고, 건설 기계의 운용을 위한 규정을 만족시켜 건설 기계의 작동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기능을 가진 휠 로더나 휠 굴삭기의 경우 건설 기계의 외측면에 램프 조립체가 설치된다. 램프 조립체는 건설 기계의 정지, 후진 및 방향전환을 나타내는 적색, 백색 및 황색 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램프 조립체는 건설 기계의 운용상태를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예컨대, 건설 기계의 도로 주행 시 램프 조립체의 적색과 황색 램프는 건설 기계의 최외곽에서 400mm 이내에 근접할 수 있도록 위치시켜 타 운전자의 시야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휠 로더나 휠 굴삭기 등의 카운터웨이트 외측면의 일부에 적색, 백색 및 황색의 램프를 횡방향 일렬로 배치하여 램프 조립체가 건설 기계의 최외곽에 근접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램프 조립체를 횡방향 일렬로 배치시킬 경우, 램프 조립체가 건설 기계의 최외곽선을 초과하여 건설 기계의 회전 시 차체의 회전 반경을 초과함으로써 건설 기계의 안전 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설 기계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규정을 만족시키고 램프 조립체가 차체의 회전 반경을 초과하지 않도록 램프 조립체를 종방향 일렬로 설치하였다. 그러나, 종방향으로 설치된 램프 조립체는 건설 기계의 도로 주행 시 진동 및 외부 요인에 의해 충격을 전달받아 램프 조립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2-0041954호(공개일 2012. 5. 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램프 조립체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백색과 황색 램프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램프 조립체를 형성하여 램프 조립체가 건설 기계의 외측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건설 기계의 회전 반경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램프 조립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램프 조립체의 설계 변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는, 내부에 복수의 램프들이 배치되고, 일단면이 개방되며 타단면은 일부에 장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단면을 덮는 제1덮개; 일측이 상기 몸체부의 타단면과 결합되고, 타측은 연결 부재를 통해 차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지지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브래킷의 일측면에 상기 장공과 대응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가 상기 장공의 형상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덮개는 제1홀과 제2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홀 또는 상기 제2홀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2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지지 브래킷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90도 이내의 회전 반경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덮개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몸체부의 회전시 상기 제2 덮개의 중심축 기준에서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는, 건설 기계의 최외곽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건설 기계의 회전 반경을 방해하지 않아 램프 조립체로 인해 발생하는 건설 기계의 안전 사고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램프 조립체는 사용 형태 및 구조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램프 조립체의 설계 변경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건설 기계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가 장착된 건설기계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A영역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1)는 몸체부(10), 제1덮개(20) 및 지지 브래킷(30)을 포함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부(10)는 일단면이 개방되고 타단면은 일부에 장공(12)이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램프들이 배치된다. 또한, 몸체부(10)의 개방된 일단면을 덮도록 제1덮개(20)가 위치된다.
여기서, 제1덮개(20)에 제1홀(22)과 제2홀(24)을 형성하여 몸체부(10)의 내부에 위치된 복수의 램프들을 타 운전자에게 잘 보이도록 한다. 복수의 램프들은 적색(red), 백색(white) 및 황색(amber)을 포함하며, 각각의 램프들은 건설 기계의 정지, 후진 및 방향전환 상태를 나타낸다.
3가지 색상의 램프 중 적색 램프와 황색 램프를 각각 제1홀(22), 제2홀(24)과 대응되는 몸체부(10)에 배치시킨다. 이때, 램프 조립체(1)의 구조가 변경되어 백색 램프를 별도로 위치시킬 공간이 부족하므로, 제2홀(24)을 덮는 제2덮개(26)가 형성된다.
또한, 제2덮개(26)의 일면과 접촉되어 위치되는 황색 램프를 외부로 노출 시키기 위하여 제2덮개(26)는 개방부(27)를 포함하고, 개방부(27)는 몸체부(10)의 회전 시 제2덮개(2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즉, 몸체부(10)의 내부에 위치된 램프가 90도로 회전시, 제2덮개(2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단면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덮개(26)는 백색의 불투명한 재질로서, 플라스틱, 아크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덮개(26)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램프 조립체(1)가 정지, 방향전환 및 후진의 운용 상태를 모두 나타낼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램프 조립체(1)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것을 물론 램프 조립체(1)가 건설 기계의 외측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어 램프 조립체(1)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브래킷(30)의 일측은 제1덮개(20), 제2덮개(26)가 동시에 결합된 몸체부(10)의 타단면과 결합되고, 타측은 볼트(42)와 너트(44) 등을 포함하는 연결 부재(40)를 통하여 건설 기계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브래킷(30)을 자체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연결 부재(40)는 볼트(42)와 너트(44)를 사용한 체결 방법으로 나타내었지만,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체결 방법을 통하여 지지 브래킷(30)을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건설 기계의 운용을 위한 규정에 따르면 건설 기계의 도로 주행 시 램프 조립체(10)의 적색과 황색 램프는 건설 기계의 최외곽에서 내측방향으로 400mm 이내에 근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 브래킷(30)의 일측면에 몸체부(10)에 형성된 장공(12)과 대응되도록 돌출부(36)를 형성하고, 장공(12)에 돌출부(36)를 삽입하게 되면 몸체부(10)가 장공(12)의 형상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돌출부(36)의 크기는 장공(12)의 형상에 따라 돌출부(36)가 장공(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하고, 돌출부(36)의 크기 및 형상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통상의 기술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돌출부(36)의 모서리면은 곡면 가공되어 돌출부(36)가 장공(12)의 형상을 따라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장공(12)의 일측 최상단의 높이와 타측 최상단의 높이가 지지축(13)의 높이와 동일하게 위치되어,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부(10)가 지지축(13)을 중심으로 90도 이내의 회전 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램프 조립체(1)의 적색과 황색 램프의 일측 최외곽선이 건설 기계의 최외곽에서 내측 방향으로 400mm 이내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몸체부(10)를 회전시키는 방법은 운전자의 손으로 수동 조작하는 방법과, 회로나 스위치 등을 구성하여 전기적 신호를 통해 조작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조작방법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몸체부(10)의 모서리면을 곡면으로 가공함으로써 휠 로더나 휠 굴삭기 등의 건설 기계가 코너를 돌거나 회전 할 때, 건설 기계의 회전 반경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타 장치나 외부 물체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1)는, 건설 기계의 최외곽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건설 기계의 회전 반경을 방해하지 않아 램프 조립체(1)로 인해 발생하는 건설 기계의 안전 사고를 감소시킨다.
또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램프 조립체(1)는 사용 형태 및 구조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램프 조립체(1)의 설계 변경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건설 기계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는 주행이 가능한 휠 로더, 휠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 기계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타 운전자에게 건설 기계의 주행 포지션을 알려주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 램프 조립체
10: 몸체부 12: 장공
13: 지지축
20: 제1덮개 22: 제1홀
24: 제2홀 26: 제2덮개
27: 개방부
30: 지지 브래킷 36: 돌출부
40: 연결부재

Claims (4)

  1. 내부에 복수의 램프들이 배치되고, 일단면이 개방되며 타단면은 일부에 장공(12)이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개방된 일단면을 덮는 제1덮개(20);
    일측이 상기 몸체부(10)의 타단면과 결합되고, 타측은 연결 부재(40)를 통해 차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지지 브래킷(30); 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브래킷(30)의 일측면에 상기 장공(12)과 대응되도록 돌출부(36)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6)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장공(12)의 형상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20)는,
    제1홀(22)과 제2홀(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홀(22) 또는 상기 제2홀(24)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2덮개(2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지지 브래킷(30)의 지지축(13)을 중심으로 90도 이내의 회전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26)는 개방부(27)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27)는 상기 몸체부(10)의 회전시 상기 제2덮개(2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
KR1020120089844A 2012-08-17 2012-08-17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 KR101683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44A KR101683327B1 (ko) 2012-08-17 2012-08-17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44A KR101683327B1 (ko) 2012-08-17 2012-08-17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54A true KR20140023654A (ko) 2014-02-27
KR101683327B1 KR101683327B1 (ko) 2016-12-06

Family

ID=5026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844A KR101683327B1 (ko) 2012-08-17 2012-08-17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3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111U (ko) * 2008-10-10 2010-04-20 김영환 조명램프 지지장치
KR20100004444U (ko) * 2008-10-22 2010-04-30 주식회사 우강테크 차량용 조명기구 고정구조
KR20120041954A (ko) 2010-10-22 2012-05-0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111U (ko) * 2008-10-10 2010-04-20 김영환 조명램프 지지장치
KR20100004444U (ko) * 2008-10-22 2010-04-30 주식회사 우강테크 차량용 조명기구 고정구조
KR20120041954A (ko) 2010-10-22 2012-05-0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327B1 (ko)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2607C2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машина, прежде всего ручная машина
US10071678B2 (en) Aerial lif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AU2015367391B2 (en) Aerial lif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EP3199437B1 (en) Straddled vehicle
JPWO2017158796A1 (ja) 無人走行作業車
KR20140023654A (ko) 건설 기계용 램프 조립체
CN107107814B (zh) 拖拉机
US20050231970A1 (en) External mirror having indicator light
KR101381052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커버
JP6385913B2 (ja) グロメット
JP7371524B2 (ja) 車両におけるセンサ取付構造
JP2014094611A (ja) 車両用方向指示装置
KR20140004684U (ko) 차량용 도어 가드
KR200401228Y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JP2017100583A (ja) シフト操作部
KR101220517B1 (ko) 차량용 경광등 높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견인 차량
CN107199949B (zh) 外后视镜、外后视镜壳体、外后视镜下壳体及车辆
JP2007302164A (ja) 車両用カバー部材の開閉構造
JP7398542B1 (ja) 移動体
CN209131704U (zh) 一种电动机旋转变压器防护罩
KR200351228Y1 (ko) 도로안전표시장치
KR101511062B1 (ko) 비상 유도등
KR20120091782A (ko) 차량 유도용 교통신호를 발생하는 회전교차로
JP2010095173A (ja) 有人無人運転切替可能な車両
KR20050054179A (ko) 도로안전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