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173A -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173A
KR20140023173A KR1020120090294A KR20120090294A KR20140023173A KR 20140023173 A KR20140023173 A KR 20140023173A KR 1020120090294 A KR1020120090294 A KR 1020120090294A KR 20120090294 A KR20120090294 A KR 20120090294A KR 20140023173 A KR20140023173 A KR 20140023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unit
mobile device
wireless charging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익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0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3173A/ko
Publication of KR20140023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02J3/32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the battery being on-board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e.g.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power aggregation, use of the battery for network load balancing, coordinated or cooperative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5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pressure on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에 구비된 온열 시트의 시트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시트 상에 탑재되는 휴대기기를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열선 시트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중량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휴대기기의 탑재 상태에 대응하는 일정 중량이 감지되면 휴대기기의 무선 충전 모드를 실행 제어하는 중앙 제어 유니트, 상기 중앙 제어 유니트의 무선 충전 모드에 따른 제어에 의해, 상기 열선 시트의 열선부를 가열하기 위해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열선 시트에 구비된 열선부에 대응하는 시트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출력 제어부로부터의 무선 충전 모드에 따른 전원을 인가받아 휴대기기의 무선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전원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기기를 충전하는 방식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부에에 구비된 시거 잭(Cigar Jack) 단자에 휴대기기의 충전 전용 플러그를 통전 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휴대폰 충전 전용 플러그의 충전 단자를 휴대기기의 전원단자에 꽂아서 충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에 따라, 차량이 주행하면서 내부 발전기를 가동함에 따라 생성되는 전력이 시거 잭 단자에 삽입된 충전 전용 플러그를 통해서 휴대기기의 배터리에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관련 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 제2010-0130268호(차량용 멀티 휴대폰 충전장치)(2010.12.13)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에서의 종래와 같은 시거 잭을 통한 휴대기기의 충전 방식은, 휴대기기의 충전 전용 플러그 부품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시거 잭을 다른 용도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휴대기기의 충전 전용 플러그를 탈거하여 별도로 보관해야 함은 물론, 그 시간동안에는 휴대기기의 충전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의 좌석에 구비된 온열 시트의 시트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시트 상에 탑재되는 휴대기기를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는, 차량의 열선 시트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중량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휴대기기의 탑재 상태에 대응하는 일정 중량이 감지되면 휴대기기의 무선 충전 모드를 실행 제어하는 중앙 제어 유니트, 상기 중앙 제어 유니트의 무선 충전 모드에 따른 제어에 의해, 상기 열선 시트의 열선부를 가열하기 위해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열선 시트에 구비된 열선부에 대응하는 시트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출력 제어부로부터의 무선 충전 모드에 따른 전원을 인가받아 휴대기기의 무선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전원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열선 시트의 전체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열선부에 대응하는 상부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압력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원 발생 모듈은 상기 열선 시트의 전체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열선부에 대응하는 하부 위치에 각각 다수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유니트는 상기 다수의 압력 센서 모듈 중에서 휴대기기의 중량 감지가 가능한 설정 영역에 대응하는 특정의 압력 센서 모듈만이 제한적으로 중량을 감지하면, 무선 충전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휴대기기가 탑재된 위치를 특정의 압력 센서 모듈이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 출력 제어부가 상기 휴대기기가 탑재된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 무선전원 발생 모듈에만 제한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측에 구비된 온열 시트에 휴대기기가 탑재되어 있는 상태가 감지되면, 온열 시트를 충전 모드로 전환하여 무선전원 발생 모듈을 통해 시트 열선의 구동을 위한 전원 이 충전 전원으로서 휴대기기에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휴대기기의 충전을 위한 별도의 충전 전용 플러그 부품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차량 내에서 휴대기기의 충전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는, 열선 시트(10)와, 버튼 입력부(20), 감지 센서부(30), 중앙 제어 유니트(40), 전원 출력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열선 시트(10)에는 그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열선부(10a ∼ 10d)가 구비되어 있고, 그 하부면에 상기 다수의 열선부(10a ∼ 10d)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무선전원 발생 모듈(12a ∼ 12d)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열선 시트(10)에 구비된 다수의 열선부(10a ∼ 10d)는 열선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전원 출력 제어부(5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열선 시트(10)에 구비된 다수의 무선전원 발생 모듈(12a ∼ 12d)은 무선 충전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전원 출력 제어부(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켜서 해당 열선 시트(10) 상에 탑재된 휴대기기에 무선 충전 전원이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무선전원 발생 모듈(12a ∼ 12d)은 현재 기술이 공개되어 있거나, 실질적으로 적용되어 있는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입력부(20)는 상기 열선 시트(10)가 발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열선 모드 또는 휴대기기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모드가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모드 활성화를 위해 버튼 조작되는 모드 설정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감지 센서부(30)는 상기 열선 시트(10)의 상부에 고정 배치되어 있되, 상기 다수의 열선부(10a ∼ 10d)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압력 센서 모듈(30a ∼ 30d)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중앙 제어 유니트(40)는 상기 버튼 입력부(20)의 모드 설정 버튼 입력 여부와, 상기 감지 센서부(30)의 각 압력 센서 모듈(30a ∼ 30d)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열선 시트(10)에 가해지는 중량 상태에 따라 열선 모드 또는 무선 충전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 출력 제어부(50)에서 상기 열선 시트(10)에 열선 전원 또는 무선충전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 제어 유니트(40)는 상기 감지 센서부(30)를 통한 휴대기기의 탑재 중량을 감지하게 되면, 해당 휴대기기가 탑재된 위치를 압력 센서 모듈(30a ∼ 30d)의 압력 감지 위치에 따라 구분하여 상기 전원 출력 제어부(50)에 무선 충전 모드에 따라 무선 충전 전원을 인가할 무선전원 발생 모듈의 위치를 지정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전원 출력 제어부(50)는 상기 중앙 제어 유니트(40)의 열선 모드 또는 무선 충전 모드의 선택적 모드 설정에 따른 제어를 받아서, 열선 모드에 따라 상기 열선 시트(10)의 각 열선부(10a ∼ 10d)에 발열을 위한 열선 전원을 인가하거나, 무선 충전 모드에 따라 각 무선전원 발생 모듈(12a ∼ 12d) 중에서 특정 위치(즉, 휴대기기가 탑재되어 있는 위치)의 무선전원 발생 모듈에만 무선 충전용 전원을 인가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에 대한 동작을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차량의 시동이 온 되어 엔진이 가동함에 따라 차량 발전기가 동작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있는 상태에서(S10), 중앙 제어 유니트(40)는 버튼 입력부(20)가 열선 모드 또는 무선 충전 모드의 선택적 모드 설정을 위한 모드 활성화를 위해 모드 설정 버튼이 버튼 조작되는 지를 판단한다(S11).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버튼 입력부(20)의 모드 설정 버튼이 버튼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 제어 유니트(40)는 상기 감지 센서부(30)에서 상기 열선 시트(10)에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가해짐에 따른 중량을 감지하는지를 판단한다(S1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중앙 제어 유니트(40)는 상기 감지 센서부(30)에서 중량을 감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감지 센서부(30)에 구비된 다수의 압력 센서 모듈(30a ∼ 30d) 중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 이하에 해당되는 특정 위치의 압력 센서 모듈만이 중량을 감지하는 지를 판단한다(S1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 센서부(30)에 구비된 다수의 압력 센서 모듈(30a ∼ 30d) 중에서 특정 위치의 압력 센서 모듈만이 중량을 감지하지 않고, 각 압력 센서 모듈(30a ∼ 30d)이 전체적으로 중량을 감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열선 시트(10)에 사람이 착석한 것으로 검지하여 열선 모드로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열선 모드에 따라 전원 출력 제어부(50)가 상기 열선 시트(10)의 각 열선부(10a ∼ 10d)에 발열을 위한 열선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S14).
하지만, 상기 S13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중앙 제어 유니트(40)는 상기 감지 센서부(30)에 구비된 다수의 압력 센서 모듈(30a ∼ 30d) 중에서 특정 위치의 압력 센서 모듈만이 제한적인 영역에서 중량을 감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열선 시트(10)의 특정 위치에 휴대기기가 탑재된 것으로 검지하여 무선 충전 모드로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중량이 감지된 제한적 영역의 특정 압력 센서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전원 출력 제어부(50)에 제공함에 따라, 상기 전원 출력 제어부(50)가 다수의 무선전원 발생 모듈(12a ∼ 12d) 중에서 휴대기기가 탑재된 위치에 설치된 무선전원 발생 모듈에만 무선 충전 전원을 인가하도록 한다(S15).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열선 시트 10a ∼ 10d:열선부
12a ∼ 12d:무선전원 발생 모듈 20:버튼 입력부
30:감지 센서부 30a ∼ 30d:압력 센서 모듈
40:중앙 제어 유니트 50:전원 출력 제어부

Claims (5)

  1. 차량의 열선 시트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중량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휴대기기의 탑재 상태에 대응하는 일정 중량이 감지되면 휴대기기의 무선 충전 모드를 실행 제어하는 중앙 제어 유니트;
    상기 중앙 제어 유니트의 무선 충전 모드에 따른 제어에 의해, 상기 열선 시트의 열선부를 가열하기 위해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열선 시트에 구비된 열선부에 대응하는 시트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출력 제어부로부터의 무선 충전 모드에 따른 전원을 인가받아 휴대기기의 무선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전원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열선 시트의 전체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열선부에 대응하는 상부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압력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원 발생 모듈은 상기 열선 시트의 전체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다수의 열선부에 대응하는 하부 위치에 각각 다수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유니트는 상기 다수의 압력 센서 모듈 중에서 휴대기기의 중량 감지가 가능한 설정 영역에 대응하는 특정의 압력 센서 모듈만이 제한적으로 중량을 감지하면, 무선 충전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유니트는 상기 휴대기기가 탑재된 위치를 특정의 압력 센서 모듈이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 출력 제어부가 상기 휴대기기가 탑재된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 무선전원 발생 모듈에만 제한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

KR1020120090294A 2012-08-17 2012-08-17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 KR20140023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94A KR20140023173A (ko) 2012-08-17 2012-08-17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94A KR20140023173A (ko) 2012-08-17 2012-08-17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173A true KR20140023173A (ko) 2014-02-26

Family

ID=5026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294A KR20140023173A (ko) 2012-08-17 2012-08-17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31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7048A1 (de) 2020-06-05 2021-12-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r induktiven Ladestation in einer von einem Fondsitz externen Funktionseinheit des Fondbereichs
DE102015213222B4 (de) 2015-07-15 2023-10-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für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3222B4 (de) 2015-07-15 2023-10-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für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DE102020207048A1 (de) 2020-06-05 2021-12-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r induktiven Ladestation in einer von einem Fondsitz externen Funktionseinheit des Fondbereich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3420B1 (en) Charge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A2711788A1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of hybrid vehicle
KR101742515B1 (ko) 3상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JP5736057B2 (ja) 自動車装置
JP2012518987A5 (ko)
CN206852029U (zh) 电池装置和电子烟
JP2012080762A5 (ko)
EP2777890A1 (en) Electric power tool
EP3244284A1 (en) Computer power supply device having fan control circuit for cooling standby power source unit in state in which computer is turned off, and operating method
KR20140023173A (ko) 차량의 휴대기기 충전 장치
EP2402204B1 (e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TW200742225A (en) Automatic motor-generator charger
JP2007148026A5 (ko)
JP2010009538A5 (ko)
JP2010273472A (ja) 充電装置
US2015021548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panel
CN205022392U (zh) 一种汽车座椅调节装置及汽车
JP5646782B2 (ja) 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KR20120112310A (ko) 급전장치
KR20130134309A (ko) 차량난방장치
KR101253704B1 (ko) 골프카트의 개인휴대단말기 전원충전장치
JP2007193311A5 (ko)
KR101922897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2774A (ko) 열선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선 제어 방법
JP5853783B2 (ja) 電力制御方法、車両、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