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815A -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815A
KR20140021815A KR1020120086790A KR20120086790A KR20140021815A KR 20140021815 A KR20140021815 A KR 20140021815A KR 1020120086790 A KR1020120086790 A KR 1020120086790A KR 20120086790 A KR20120086790 A KR 20120086790A KR 20140021815 A KR20140021815 A KR 20140021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ignal
driving
sensing
sens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8568B1 (ko
Inventor
박재현
서정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568B1/ko
Priority to CN201210568734.0A priority patent/CN103577008B/zh
Priority to US13/727,810 priority patent/US9619086B2/en
Publication of KR2014002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터치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동작하는 터치스크린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 중 한 쌍의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1 스위치들; 및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 중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2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감지가 가능한 표시장치 및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laptop)형 컴퓨터, 타블렛(tablet)형 컴퓨터, 퍼스널 디지털 컴퓨터) 및 통신 장치(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무선 핸드 헬드(handheld) 통신 장치)를 비롯한, 다양하고 다른 전자 시스템에 다양하고 다른 형식의 입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다양하고 다른 형식의 입력 장치 중 핑거(finger) 등의 근접 대상물의 위치를 결정하여 근접 대상물이 존재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판단함으로써 터치된 위치를 결정하는 입력 장치를 일반적으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이라고 한다.
또한, 스타일러스(stylus) 또는 다른 펜 형상의 묘화 장치로서 실현되는 위치 지시기를 사용하여 터치된 위치를 결정하는 입력 장치를 일반적으로 디지타이저 또는 타블렛 PC하고 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타이저는 일반적인 터치 센서와 비교하여, 위치 검출 정밀도 및 분해능(分解能)이 뛰어지만 입력 전용의 위치 지시기(스타일러스 또는 다른 펜)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터치 센서의 속성(예를 들어 편리성)을 디지타이저의 개량 정밀도 및 분해능과 조합하는 것이 지금까지 소망되어 왔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핑거 및 펜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표시장치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패널부(P)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패널부(P)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0), 액정 패널(30) 및 전자기 방식의 터치 패널(4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커버(10)는 접촉물체가 접촉되는 면으로, 강화처리를 하여 표시장치의 윈도우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는 유리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0)은 터치 전후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터치 유무 및 터치된 영역의 좌표를 판단하는 기능을 하며, 터치 입력 시 터치 센싱을 위한 센싱 전극 및 구동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액정 패널(30)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며, 액정 패널(30)의 상부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0)이 형성되어 있고, 액정 패널(30)의 하부에는 전자기 방식의 터치 패널(40)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자기 방식의 터치 패널(40)은 스타일러스(stylus) 또는 다른 펜 등의 묘화장치를 사용하여 전자기 방식의 터치 패널에 유도전류를 흐르게 하여 터치 유무 및 터치된 영역의 좌표를 판단하는 기능을 하며, 터치 센싱을 위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폐루프로 구성되어 있는 센싱 전극 및 폐루프로 구성되어 있는 구동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 및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이 모두 가능한 터치스크린의 경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20) 및 전자기 방식의 터치 패널(40)이 액정 패널(30)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품 두께 및 제조 비용의 증가, 양산 수율이 감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을 할 때, 전자기 방식으로 터치 센싱을 하게 되면, 스타일러스 또는 다른 펜 등의 묘화장치로 인해 생긴 노이즈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쪽으로 유입되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에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전자기 방식의 터치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부가 동시에 구동될 수도 있으므로, 소비전력이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 및 전자기 방식의 터치 패널을 공용화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된 터치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동작하는 터치스크린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 중 한 쌍의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1 스위치들; 및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 중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2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동 방법에 따른,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 및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을 포함하며, 입력된 터치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동작하는 터치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터치 신호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 중 한 쌍의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 중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및 전자기 방식의 터치 패널의 구동 전극과 센싱 전극을 입력된 터치 방식에 따라 공용화하여, 제품 두께 및 제조 비용을 줄이고, 양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을 할 때,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으로 인행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가 정전용량 방식의 패널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 시 오동작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전자기 방식의 터치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하나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의 패널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패널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패널부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패널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패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패널부(P)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0), 터치 패널(200) 및 액정 패널(300)를 포함한다.
먼저, 커버(100)는 접촉물체가 접촉되는 면으로, 강화처리를 하여 터치 패널(200)의 윈도우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100)는 유리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아크릴 판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유리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커버(100)는 강화유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된 강화유리는 압축한 냉각 공기에 의해 급랭시켜 유리 표면을 압축 변형시키고 내부를 인장 변형시켜 강화한 유리 또는 이온 치환에 의하여 화학적으로 강화한 유리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터치 패널(200)은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필름(220),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은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과 교차하는 다른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과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은 필름 또는 유리 재질의 기판을 사이에 두고 절연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 하부에는 필름 또는 유리 재질의 기판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필름 또는 유리 재질의 기판의 한쪽 면에만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이 절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200)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 및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이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 및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을 교번(alternation)적으로 수행하여, 입력된 터치 정보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정보인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정보인지 확인하고, 입력된 터치 신호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동작하거나 전자기 방식의 터치 패널로 동작한다.
다시 말해, 터치 패널(200) 내의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의 단락 여부를 스위치부가 제어하여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전극으로 동작하거나 전자기 방식의 터치 전극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터치 신호가 핑거(finger) 또는 팜(palm) 등의 사람인 신체 일부분에 의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터치 패널(200) 내의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은 스위치부의 제어를 통해 단일 전극열로 변환되어 핑거 또는 팜 사이에 생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위치를 판별하고, 입력된 터치 신호가 스타일러스(stylus) 또는 다른 펜 형상의 묘화 장치로 인한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터치 패널(200) 내의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은 스위치부의 제어를 통해 폐루프 형태의 전극열로 변환되어 스타일러스 또는 펜 형태의 입력수단 사이에 생성되는 전자기 값의 변화에 따라 터치 위치를 판별한다.
다음으로, 액정 패널(300)은 컬러 필터 기판(310) 및 TFT 기판(3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패널(300)은 컬러필터 기판(310) 및 TFT 기판(320)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어 있고, TFT 기판(320)에는 복수의 데이터라인들 및 데이터라인들과 교차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들에 형성되는 다수의 TFT들(Thin Film Transistor), 및 액정셀들에 데이터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화소 전극, 및 화소 전극에 접속되어 액정셀의 전압을 유지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등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액정셀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액정 패널(300)의 컬러 필터 기판(310)에는 블랙 매트릭스, 컬러필터, 공통전극 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통전극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 전계 구동방식에서 컬러 필터 기판(310)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 전계 구동방식에 서 화소 전극과 함께 TFT 기판(320) 상에 형성된다.
또한, 액정 패널(300)의 컬러필터 기판(310) 및 TFT 기판(320) 사이에는 액정셀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컬럼 스페이서(Column Spacer)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터치 패널(200) 및 액정 패널(300)은 접착수단(250)을 통해 접착되어 있으며, 접착수단은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스크린의 구성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패널부(P), 스위칭 제어부(400), 복수의 제1 스위치(410), 복수의 제2 스위치(420), 멀티플렉서 제어부(500), 복수의 멀티플렉서(510), 구동 신호 인가부(600), 터치 신호 센싱부(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패널부(P)는 앞선 도 2에서 설명한대로 커버(100), 터치 패널(200) 및 액정 패널(300)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P)의 터치 패널(200) 내에는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은 패널부(P)의 터치 패널(200) 내의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은 패널부(P)의 터치 패널(200) 내의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은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과 대응되게 형성된 메탈 와이어(wir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탈 와이어는 은(a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극열에 시인성이 적고 저항이 낮은 금속을 중첩하여 형성함으로써,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에서 전자기장 방사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은 일직선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을 형성하고 있는 각각의 전극들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원 등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은 일직선에 외에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스위칭 제어부(400)는 패널부(P)에 입력된 터치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1 스위치(410) 및 복수의 제2 스위치(420)를 온/오프 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패널부(P)에 입력된 터치 신호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복수의 제1 스위치(410)가 한 쌍의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의 연결을 끊고, 복수의 제2 스위치(420)가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의 연결을 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만약, 패널부(P)에 입력된 터치 신호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복수의 제1 스위치(410)가 한 쌍의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 연결시키고, 복수의 제2 스위치(420)가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 연결을 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다음으로, 복수의 제1 스위치(410)는 패널부(P)에 입력된 터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 중 한 쌍의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패널부(P)에 입력된 터치 신호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스위칭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1 스위치(410)는 한 쌍의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의 연결을 끊어 단일 전극열 형태를 유지하며, 패널부(P)에 입력된 터치 신호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스위칭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1 스위치(410)는 한 쌍의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 연결시켜 한 쌍의 터치 센싱 전극열을 폐루프 형태로 변형시킨다.
다음으로, 복수의 제2 스위치(420)는 패널부(P)에 입력된 터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 중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패널부(P)에 입력된 터치 신호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스위칭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2 스위치(420)는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의 연결을 끊어 단일 전극열 형태를 유지하며, 패널부(P)에 입력된 터치 신호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스위칭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제2 스위치(420)는 한 쌍의 상기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 연결시켜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을 폐루프 형태로 변형시킨다. 상기 폐루프 형태의 터치 센싱 전극열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폐루프 내에 전자기장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멀티플렉서 제어부(500)는 터치 신호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복수의 멀티플렉서(510)와 연결된 터치 센싱 전극열 및 복수의 멀티플렉서(510)와 연결된 터치 구동 전극열을 구동 신호 인가부(600) 및 터치 신호 센싱부(700)와 연결시키는 신호를 복수의 멀티플렉서(510)에 인가한다.
만약, 터치 신호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복수의 멀티플렉서(510)가 연결된 터치 센싱 전극열 및 복수의 멀티플렉서(510)가 연결된 터치 구동 전극열을 접지단과 연결시키는 신호를 복수의 멀티플렉서(510)에 인가한다.
다음으로, 복수의 멀티플렉서(510)는, 구동 신호 인가부(600)와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230) 중 선택된 터치 구동 전극열과 연결되어 있으며, 터치 신호 센싱부(700)와 한 쌍의 터치 센싱 전극열 중 선택된 터치 센싱 전극열과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멀티플렉서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이면, 복수의 멀티플렉서(510)와 연결된 터치 센싱 전극열(210)을 터치 신호 센싱부(700)와 연결시키고 복수의 멀티플렉서(510)와 연결된 터치 구동 전극열(230)을 구동 신호 인가부(600)와 연결시킨다,
만약, 멀티플렉서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이면, 복수의 멀티플렉서(510)와 연결된 터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멀티플렉서(510)와 연결된 터치 구동 전극열(230)을 접지단과 연결시킨다. 이때, 제1 스위치를 통해 폐루프 형태로 변형된 터치 센싱 전극열은 터치 센싱 신호부(700)로부터 센싱 신호를 인가받아 접지단으로 흘려보내는 과정을 통해 터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제2 스위치를 통해 폐루프 형태로 변형된 터치 구동 전극열은 구동 신호 인가부(600)로부터 구동 신호를 인가 받아 접지단으로 흘려보내는 과정을 통해 터치 구동 전극열로 이루어진 폐루프 내에 전자기장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구동 신호 인가부(600)는 입력된 터치 신호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230)에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터치 신호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230)에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터치 구동 신호는 구동 전류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터치 신호 센싱부(700)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입력된 터치 신호와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230)에서 발생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10)을 통해 감지하여 터치 위치를 센싱하고,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입력된 터치 신호와 폐루프 형태의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에서 발생한 유도 전류의 변화를 루프 형태의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을 통해 감지하여 터치 위치를 센싱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800)는 입력된 터치 신호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 방식 및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 방식을 구분하고, 구분된 터치 센싱 방식에 따른 구동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동 신호 인가부(6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터치 센싱 방식에 따라 터치 위치를 감지하도록 터치 신호 센싱부(700)를 제어하며, 스위칭 제어부(400) 및 멀티플렉서 제어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전자기 방식의 터치 원리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원리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패널에서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 및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을 교번(alternation)적으로 수행하여, 입력된 터치 정보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정보인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정보인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구동 모드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구동 모드이면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을 한 쌍씩 제1 스위치(410)를 통해 연결하여 상기 폐루프로 형성된 센싱 전극열을 형성하고,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을 한 쌍씩 제2 스위치(420)를 통해 연결하여 상기 폐루프로 형성된 구동 전극열을 형성한다. 그 후, 폐루프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 전극열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 신호는 구동 전류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루프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 전극열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공진회로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stylus) 또는 다른 펜 등의 묘화장치를 이용하여 터치하면, 폐루프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 전극열에 발생되어 있는 전자기장이 스타일러스 또는 다른 펜 등의 묘화장치에 반사되어 증폭된 형태로 터치 패널에 재입사된다.
다음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 내에서 스타일러스 등에 의해 반사되어 증폭된 전자기장으로 인해, 폐루프로 형성되어 있는 센싱 전극열에 센싱 신호가 인가되게 되고, 센싱 신호를 통해 초기 전자기장에 비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일어난 부분을 찾아 터치 위치로 인식한다. 상기 센싱 신호는 센싱 전류를 포함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패널에서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 및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을 교번(alternation)적으로 수행하여, 입력된 터치 정보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정보인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정보인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구동 모드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구동 모드이면 복수의 구동 전극열에 구동 신호을 인가하여,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과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사이에 정전용량을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이 발생되어 있는 터치 패널을 핑거(finger) 또는 팜(palm) 등의 사람인 신체 일부분을 이용하여 터치하면, 터치 패널의 터치된 부분에 정전용량의 변화가 일어난다. 예를 들어, 초기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과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초기 정전용량이 신체 일부분에 의해 감소되는 변화가 일어난다.
다음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에 의해 전체적인 터치 패널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초기 정전용량에 비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일어난 부분을 찾아 터치 위치로 인식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패널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패널부(P)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패널부(P)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0), 터치 패널(200) 및 액정 패널(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100) 및 액정 패널(300)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패널부(P)에 포함되어 있는 터치 패널(200)은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과 교차하는 다른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과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은 절연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액정 패널(300)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과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은 접착수단(250)을 통해 커버(100)에 접착되어 있으며, 접착수단은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패널부(P)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패널부(P)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0), 액정 패널(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액정 패널(300)은 내부에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을 포함하고 있으며, 터치 패널(200)은 액정 패널(300)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과 교차하는 다른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열(210)과 복수의 구동 전극열(230)은 액정 패널(300)의 컬러필터 기판(310) 및 TFT 기판(320) 사이에 절연되어 형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300)은 접착수단(250)을 통해 커버(100)에 접착되어 있으며, 접착수단은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서, 터치스크린은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230)을 포함하며,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 및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을 교번(alternation)적으로 수행하여, 입력된 터치 정보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정보인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정보인지 확인한다.
그 후, 입력된 터치 신호에 따라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10) 중 한 쌍의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하고,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230) 중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터치 신호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10) 중 한 쌍의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의 연결을 끊고,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30) 중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의 연결을 끊는다.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터치스크린에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멀티플렉서(510)는 멀티플렉서(510)와 연결되어 있는 터치 센싱 전극열을 터치 신호 센싱부(700)와 연결시키고, 멀티플렉서(510)와 연결되어 있는 터치 구동 전극열을 구동 신호 인가부(600)와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복수의 제1 스위치들(410)은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10)끼리의 연결을 끊어, 터치 센싱 전극열들이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10)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도 연결되지 않은 단일 터치 센싱 전극열을 형성되게 한다. 또한, 복수의 제2 스위치들(420)은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210)끼리의 연결을 끊어, 터치 구동 전극열들이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210) 중 어느 하나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도 연결되지 않은 단일 터치 구동 전극열을 형성되게 한다.
다음으로, 구동 신호 인가부(600)는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23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해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10) 및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230) 사이에 초기 정전용량이 형성되게 한다.
다음으로, 터치 신호 센싱부(700)는 터치 패널(200)에 인가된 터치 입력에 의해 변화된 초기 정전용량이 변화를 감지하여 정전용량 방식에 따른 터치 위치를 센싱한다.
만약, 입력된 터치 신호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10) 중 한 쌍의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 연결시키고,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30) 중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 연결시킨다.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터치스크린에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멀티플렉서(510)는 멀티플렉서(510)와 연결되어 있는 터치 센싱 전극열을 접지단과 연결시키고, 멀티플렉서(510)와 연결되어 있는 터치 구동 전극열을 접지단과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복수의 제1 스위치들(410)은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210)끼리 한 쌍씩 연결시켜 터치 센싱 전극열(210)이 폐루프로 형성되게 한다. 또한, 복수의 제2 스위치들(420)은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210)끼리 한 쌍씩 연결시켜 터치 구동 전극열(210)이 폐루프로 형성되게 한다.
다음으로, 구동 신호 인가부(600)는 폐루프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23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해 터치 패널(200) 내에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구동 신호 인가부(600)에 의해 인가된 구동 신호는 구동 신호 인가부(600) 및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는 폐루프를 통해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터치신호 센싱부(700)는 터치 패널 내에서 스타일러스 등에 의해 반사되어 증폭된 전자기장으로 인해 전자기장의 변화가 일어난 부분을 찾아 터치 위치로 인식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커버 200 : 터치 패널
210 : 센싱 전극열 230 : 구동 전극열
300 : 액정 패널 310 : 컬러 필터 기판
320 : TFT 기판 400 : 스위칭 제어부
410 : 제1 스위치 420 : 제2 스위치
500 : 멀티플렉서 제어부 510 : 멀티플레서
600 : 구동 신호 인가부 700 : 터치 신호 센싱부
800 : 제어부 P : 패널부

Claims (18)

  1. 입력된 터치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동작하는 터치스크린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 중 한 쌍의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1 스위치들; 및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 중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2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들은 한 쌍의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의 연결을 끊고,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들은 한 쌍의 상기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의 연결을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들은 한 쌍의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 연결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들은 한 쌍의 상기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상기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에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터치 신호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상기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에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신호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되면, 상기 입력된 터치 신호와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에서 발생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입력된 터치 신호와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에서 발생한 유도 전류를 통해 전자기 방식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신호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터치 구동 전극열 중 선택된 터치 구동 전극열과 상기 구동 신호 인가부는 멀티플렉서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한 쌍의 터치 센싱 전극열 중 선택된 터치 센싱 전극열과 상기 터치 신호 센싱부는 멀티플렉서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들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상기 멀티플렉서와 연결된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과 상기 터치 신호 센싱부를 연결시키는 신호를 멀티플렉서에 인가하며, 상기 멀티플렉서와 연결된 터치 구동 전극열을 상기 구동 신호 인가부와 연결시키는 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에 인가하고,
    상기 터치 신호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상기 멀티플렉서와 연결된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 및 상기 멀티플렉서와 연결된 상기 터치 구동 전극열을 접지단과 연결시키는 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에 인가하는 멀티플렉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 및 상기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과 대응되게 형성된 메탈 와이어(wire)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와이어는 은(A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 및 상기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은 투명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 방식 및 상기 전자기 방식의 터치 센싱 방식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터치 센싱 방식에 따른 구동 신호를 인가하도록 상기 구동 신호 인가부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터치 신호 센싱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 센싱 방식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제어부 및 상기 멀티플렉서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 및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을 포함하며, 입력된 터치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동작하는 터치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터치 신호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 중 한 쌍의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 중 한 쌍의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의 단락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한 쌍의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의 연결을 끊고, 한 쌍의 상기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의 연결을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가 전자기 방식의 터치 신호이면, 한 쌍의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끼리 연결시키고, 한 쌍의 상기 터치 구동 전극열끼리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열 및 상기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열과 대응되게 형성된 메탈 와이어(wire)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와이어는 은(A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전극열 및 터치 구동 전극열은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20086790A 2012-08-08 2012-08-08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2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790A KR101428568B1 (ko) 2012-08-08 2012-08-08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201210568734.0A CN103577008B (zh) 2012-08-08 2012-12-24 具有触摸屏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3/727,810 US9619086B2 (en) 2012-08-08 2012-12-27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790A KR101428568B1 (ko) 2012-08-08 2012-08-08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815A true KR20140021815A (ko) 2014-02-21
KR101428568B1 KR101428568B1 (ko) 2014-08-12

Family

ID=5004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790A KR101428568B1 (ko) 2012-08-08 2012-08-08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19086B2 (ko)
KR (1) KR101428568B1 (ko)
CN (1) CN10357700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217A (ko) * 2014-07-01 2016-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입력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가속기, 터치 입력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터치 입력 프로세싱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00042112A (ko) *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지2터치 최소의 터치 센서 제어 신호를 갖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의 터치 스캔 방법
KR20220112520A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4676A1 (en) 2008-01-04 2009-07-09 Apple Inc. Motion component dominance factors for motion locking of touch sensor data
KR101749366B1 (ko) 2009-12-18 2017-06-20 시냅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오믹 심을 갖는 트랜스커패시티브 센서 디바이스
US9336723B2 (en) 2013-02-13 2016-05-10 Apple Inc. In-cell touch for LED
CN103376971A (zh) * 2013-06-28 2013-10-30 敦泰科技有限公司 基于电容式触摸屏的近距离感应方法和装置以及通信终端
US9569055B2 (en) * 2013-08-13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Interaction sensing
US10042446B2 (en) 2013-08-13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Interaction modes for object-device interactions
KR20150027596A (ko) * 2013-09-04 2015-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기 공진 방식의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5088629A1 (en) 2013-12-13 2015-06-18 Pylemta Management Llc Integrated touch and display architectures for self-capacitive touch sensors
KR102238813B1 (ko) * 2014-01-28 2021-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US10936120B2 (en) 2014-05-22 2021-03-02 Apple Inc. Panel bootstraping architectures for in-cell self-capacitance
CN104156128B (zh) * 2014-06-24 2018-03-2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摸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触摸显示装置
CN104123041B (zh) * 2014-07-23 2017-06-1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4090680B (zh) * 2014-07-23 2017-07-2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驱动方法和电子设备
EP2998842A4 (en) * 2014-07-25 2017-05-03 Newcom Techno Inc. Position detection unit
CN104199586B (zh) * 2014-09-16 2018-04-13 重庆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内嵌式触摸屏和触控显示装置
CN104216592B (zh) * 2014-09-17 2017-12-2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屏及其驱动方法
WO2016048269A1 (en) 2014-09-22 2016-03-31 Onamp Research Llc Ungrounded user signal compensation for pixelated self-capacitance touch sensor panel
CN104281349B (zh) * 2014-09-25 2016-1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双面触控基板、双面触控装置和双面触控显示装置
WO2016053901A1 (en) 2014-09-30 2016-04-07 Apple Inc Configurable force-sensitive input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CN112379792A (zh) 2014-10-27 2021-02-19 苹果公司 像素化自电容水排斥
CN104375732B (zh) * 2014-11-28 2018-09-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内嵌式触控模组、驱动方法、触控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4461198B (zh) * 2014-12-03 2017-07-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基板及终端
EP3239815A4 (en) * 2014-12-24 2018-07-18 Xiroku, Inc. Coordinate detection device
CN107209602B (zh) 2015-02-02 2020-05-26 苹果公司 柔性自电容和互电容触摸感测系统架构
CN104731438B (zh) * 2015-03-25 2018-11-2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电感触控模块、电感触控式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4699313B (zh) * 2015-04-01 2018-05-0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显示装置
JP6502178B2 (ja) * 2015-05-29 2019-04-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4966061B (zh) * 2015-06-16 2018-07-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掌纹识别方法及装置、智能安全门
KR20170019170A (ko) * 2015-08-11 2017-02-21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을 센싱하는 방법
CN105183222A (zh) * 2015-08-27 2015-12-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显示屏及其驱动方法
US10409412B1 (en) 2015-09-30 2019-09-10 Apple Inc. Multi-input element for electronic device
TWI628569B (zh) 2015-09-30 2018-07-01 蘋果公司 具有適應性輸入列之鍵盤
US9887847B2 (en) 2016-02-03 2018-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crypto module including conductor on glass security layer
CN105630248B (zh) * 2016-02-23 2018-03-30 深圳市华鼎星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阵列双功能触控感应器、控制检测系统、触控模组和触控显示装置
US10180755B2 (en) 2016-02-29 2019-01-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dynamic thresholding for force detection
JP7011141B2 (ja) * 2016-06-24 2022-02-10 天馬微電子有限公司 触覚提示用パネル、触覚提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8023089A1 (en) 2016-07-29 2018-02-01 Apple Inc. Touch sensor panel with multi-power domain chip configuration
US10318065B2 (en) 2016-08-03 2019-06-11 Apple Inc. Input device having a dimensionally configurable input area
JP6662738B2 (ja) * 2016-08-19 2020-03-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検出装置および電子装置
US10871860B1 (en) 2016-09-19 2020-12-22 Apple Inc. Flexibl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user inputs
KR102662681B1 (ko) * 2016-12-26 2024-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JP6792506B2 (ja) * 2017-04-18 2020-11-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7291309B (zh) * 2017-06-08 2020-04-07 深圳信炜科技有限公司 检测单元、电容式传感装置及电子设备
US10732743B2 (en) 2017-07-18 2020-08-04 Apple Inc. Concealable input region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microperforations
US10732676B2 (en) 2017-09-06 2020-08-04 Apple Inc. Illuminated device enclosure with dynamic trackpad
KR102552355B1 (ko) * 2017-12-12 2023-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762540A (zh) * 2018-03-23 2018-11-06 江苏迪佳电子有限公司 一种触摸输入装置
CN111090344B (zh) * 2018-10-24 2023-08-18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充电功能的触控装置及其充电控制方法
CN109164941A (zh) * 2018-10-25 2019-01-08 深圳市谷粒科技有限公司 触摸屏触发装置
CN109521910A (zh) * 2019-01-16 2019-03-26 北京汉王鹏泰科技股份有限公司 双模式触控显示装置及其实现方法
US11157109B1 (en) 2019-09-06 2021-10-26 Apple Inc. Touch sensing with water rejection
TWI710939B (zh) * 2019-09-19 2020-11-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及其製作方法
CN112987959B (zh) * 2019-12-18 2024-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WO2021195984A1 (zh) * 2020-03-31 2021-10-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装置、触控系统及其控制方法
US11662867B1 (en) 2020-05-30 2023-05-30 Apple Inc. Hover detection on a touch sensor panel
JP7438854B2 (ja) * 2020-06-05 2024-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CN113050831B (zh) * 2021-03-17 2023-07-0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装置
KR20230016732A (ko) * 2021-07-26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0110B2 (en) * 2004-04-29 2008-12-02 Smart Technologies Ulc Dual mode touch system
CN101667085A (zh) 2008-09-04 2010-03-10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双模式输入装置
CN101930133A (zh) * 2009-06-19 2010-12-29 台均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面板和液晶显示器
WO2011025294A2 (ko) * 2009-08-28 2011-03-03 이미지랩(주) 멀티 터치 패널
KR101309862B1 (ko) * 2009-12-10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TW201227454A (en) * 2010-12-31 2012-07-01 Hong-Da Liu An active array having the touchable sensing matrix unit and a display having the active array
TWI576746B (zh) * 2010-12-31 2017-04-01 劉鴻達 雙模式觸控感應的顯示器
KR101771082B1 (ko) * 2011-01-17 2017-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467453B (zh) * 2012-01-18 2015-0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雙模式觸控感應裝置
US20130265276A1 (en) * 2012-04-09 2013-10-10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ple touch sensing modes
KR101209514B1 (ko) * 2012-07-25 2012-12-07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자기장의 변화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217A (ko) * 2014-07-01 2016-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입력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가속기, 터치 입력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터치 입력 프로세싱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00042112A (ko) *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지2터치 최소의 터치 센서 제어 신호를 갖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의 터치 스캔 방법
KR20220112520A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2169138A1 (ko) *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568B1 (ko) 2014-08-12
CN103577008A (zh) 2014-02-12
US20140043284A1 (en) 2014-02-13
CN103577008B (zh) 2017-05-17
US9619086B2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568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4020904B (zh) 一种电容式内嵌触摸屏及显示装置
EP2762955B1 (en) Touc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71845B1 (ko) 입력 시스템을 구비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35386B1 (ko) 터치 센서가 내장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그 제조 방법
EP3151100B1 (en) Embedded touchscreen and display device
US10234977B2 (en) Pressure sensing touch device
US10664106B2 (en) Electromagnetic capacitive touch screen including a capacitive module and an electromagnetic module located on a same layer
CN106527820B (zh) 内嵌触摸结构的阵列基板以及显示面板
US20170308240A1 (en) Pressure sensing touch display device
CN104281328A (zh) 一种触摸屏和显示面板
US10579176B2 (en) Self-capacitive touch panel structure, in-cell touch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80063175A (ko) 인-셀 터치 액정 패널 및 그 어레이 기판
US10379686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3513842A (zh) 触摸屏面板
JP2016518651A (ja) 容量内蔵型タッチパネルと表示装置
CN106855764B (zh) 触摸显示装置
US9250492B2 (en) In-cell touch panel structure of narrow border
CN204087159U (zh) 一种触摸屏和显示面板
CN103472966A (zh) 一种电容式内嵌触摸屏及显示装置
CN104750338A (zh) 触摸屏装置、触摸屏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4635976A (zh) 触摸屏面板和显示装置
US20170168618A1 (en) In-cell touch display, drive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919508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touch panel structure
KR20100074820A (ko) 진동 터치 스크린 패널과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