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853A - 체온 조절 팩 및 해당 체온 조절 팩을 부착하는 팩 홀더 - Google Patents

체온 조절 팩 및 해당 체온 조절 팩을 부착하는 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853A
KR20140020853A KR1020137019569A KR20137019569A KR20140020853A KR 20140020853 A KR20140020853 A KR 20140020853A KR 1020137019569 A KR1020137019569 A KR 1020137019569A KR 20137019569 A KR20137019569 A KR 20137019569A KR 20140020853 A KR20140020853 A KR 20140020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temperature control
bag
body temperature
chang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에이칸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칸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칸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having pockets for heated or cool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1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and the heat-exchanging means being enclosed in on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6Refrigerating devices for cooling wearing apparel, e.g. garments, hats, shoes or gl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04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 F28D2020/0021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the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loose or stacke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Abstract

착용자의 체온 상승 혹은 체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고액상 변화 재료를 이용하는 체온 조절 팩에 대해, 의복의 아래에 입은 팩 홀더의 내측에 체온 조절 팩을 배치한 경우, 고체 상태에서도 몸의 형태를 따라 구부릴 수 있고, 고액상 변화 재료가 액상이라도 체온 조절 팩의 위아래에 관계없이 외형이 변형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대략 판형상으로 되고, 열 흡수력 또는 방열력이 높은 체온 조절 팩을 제공한다. 내부에 고액상 변화 재료가 충전되는 체온 조절 팩(1)에 있어서, 체온 조절 팩(1)은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자루체 T를 구비하고, 복수의 자루체 T의 내부에는 상기 고액상 변화 재료가 빈틈없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온 조절 팩 및 해당 체온 조절 팩을 부착하는 팩 홀더{BODY TEMPERATURE REGULATION PACK AND PACK HOLDER FOR ATTACHING BODY TEMPERATURE REGULATION PACK}
본 발명은 고온 환경하에서의 히트 스트레스 방지를 위해, 또는 한랭 환경하에서의 신체의 보온을 위해 장착하는 체온 조절 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액상(固液相) 변화 재료를 이용하는 체온 조절 팩과, 이 체온 조절 팩을 부착할 수 있는 팩 홀더 등에 관한 것이다.
고온 환경하(여름철 등의 더위를 느끼는 환경하 등)에서의 작업이나 방호복을 착용할 때에는 체온의 상승에 의해서 히트 스트레스(대사 열이 인체에 축적하는 것에 의한 열중증)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열섬(heat island) 현상이 현저한 현재는 이 위험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히트 스트레스의 문제를 감안해서, 종래부터 의복의 내측에 장착해서 체온의 상승을 막기 위한 냉각재가 들어간 냉각 팩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예를 들면, 도 36∼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각 판형상의 냉각 팩(101)으로서 옷의 내측 포켓(103,104,105)에 취출 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는 것이 있다. 냉각 팩(101)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의 몸에서 방출되는 열이 냉각 팩(101)내의 냉각재에 흡수되어, 체온의 상승을 방지한다. 냉각재로서는 열을 흡수하여 고체에서 액체로 물리 상(相)이 변화하는 고액상 변화 재료(Phase Change Materials)가 이용된다. 이 고액상 변화 재료는 상온에서 고화되는 것이다.
또, 도 40과 같이, 장방형상의 대략 평판형상의 보냉체(201)로서, 차게 해도 고화되지 않고 항상 유연성 있는 겔형상의 보냉재(207)가 충전된 것도 제안되어 있다. 이 보냉체(201)는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복(202)의 내측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 전에 냉장고에서 냉각하고 나서 사용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328213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255152호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평탄한 판형상의 냉각 팩(101)을 이용하는 경우, 상온에서 고체형상으로 굳어져 있기 때문에, 몸을 따라 유연하게 구부릴 수 없고, 결과적으로 몸과 냉각 팩(101) 사이에 간극이 생겨 버린다. 그 때문에, 냉각 팩(101)과 몸의 밀착성이 낮아지고, 몸에서 방출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없어, 냉각 효율이 저하한다.
또, 예를 들면, 냉각재가 액화된 상태에서 냉각 팩(101)이 포켓(103,104,105)에 수납된 의복(102)을 옷걸이에 걸어 둔 채로 하면, 도 41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형상의 냉각재가 자중에 의한 팩(101)의 하부에 과잉으로 고여 부푼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변형된 상태인 그대로 냉각재가 차게 되어 고화된 경우, 냉각 팩(101)내에서 냉각재가 두꺼운 개소와 얇은 개소가 생기기 때문에, 재차 사용할 때에 냉각 효율에 편차가 나타나 버린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재를 차게 해서 고체형상으로 되돌릴 때에는 일일이 냉각 팩(101)을 의복(102)의 포켓(103,104,105)에서 꺼내 횡으로 배치하지 않으면 안 되고,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 의복(102)에 넣은 채 보관하고자 하면, 변형 방지를 위해 의복(102)마다 횡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고, 보관 장소에 넓은 스페이스를 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냉각 팩(101)을 장착할 때에는 열의 방출량이 많은 가슴, 등 등에는 냉각재를 조금 많이 배치할 필요가 있고, 복부 등 열이 그다지 방출되지 않는 부위에는 냉각재는 불필요하거나 소량이어도 좋다. 그러나, 판형상의 냉각 팩(101)의 경우, 양을 많게 하고자 하면,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열 패드(106)의 내측에 복수개 겹쳐 사용하면 열 전도 효율이 나빠지고, 늘어난 양에 비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한편, 냉각 팩(101)의 1개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냉각재가 액상일 때의 변형이 더욱 크게 되어 버린다.
한편, 특허문헌 2와 같은 보냉체(201)는 장방형상의 대략 평판형상의 팩(208)내에 겔형상의 보냉제(207)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하여 몸에 밀착되기 쉽지만, 특허문헌 1의 냉각 팩과 마찬가지로 보냉제(207)가 자중에 의해서 팩(208)의 하부에 고이기 쉽고, 역시 도 41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을 한다. 그 때문에, 보냉제(207)의 양을 늘리고자 해도, 보냉체(201)를 두껍게 할 수 없다. 또, 보냉제(207)는 상 변화를 일으키는 축열재(비열 35cal/g)가 40%이고, 나머지 60%가 물(비열 1cal/g)이라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100%가 축열재로 구성되어 있는 고액상 변화 재료에 비해, 열 흡수력이 낮으며, 장시간의 저온 지속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또, 상기와는 반대로 고액상 변화 재료를 한랭 환경하(겨울 등의 추위를 느끼는 환경하 등)에 있어서의 신체의 보온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고액상 변화 재료가 액상의 상태에서 보온 팩을 몸에 밀착시키고, 방열해서 보온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고상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액상의 상태에서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온 팩이 변형되면 보온 효과에 불균일이 나와 버린다. 또, 도 37 또는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판형상의 보온 팩의 경우, 고액상 변화 재료가 액상일 때에 다리부 등의 주위에 빙 두른 상태에서 고액상 변화 재료가 고상으로 되면, 분리가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착용자의 체온 상승 혹은 체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고액상 변화 재료를 이용하는 체온 조절 팩에 대해, 의복의 아래에 입는 팩 홀더의 내측에 체온 조절 팩을 배치한 경우, 고체 상태에서도 몸의 형태를 따라 구부릴 수 있고, 냉각재 또는 보온재로서 사용되는 고액상 변화 재료가 액상이라도 체온 조절 팩의 위아래에 관계없이 외형이 변형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대략 판형상으로 되고, 열 흡수력 또는 방열력이 높은 체온 조절 팩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체온 조절 팩은 내부에 고액상 변화 재료가 충전되는 체온 조절 팩에 있어서, 해당 체온 조절 팩은 복수의 자루(bag)체로 구성되고, 해당 복수의 자루체의 내부에는 상기 고액상 변화 재료가 빈틈없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루체의 각각은 가늘고 긴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체온 조절 팩은 2개의 이너 시트의 주위의 가장자리부를 맞붙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의 각각은 2개의 상기 이너 시트를 평행하게 복수 개소 용착하는 것에 의해 분할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체온 조절 팩의 한쪽 면은 단열재로 덮여도 좋다.
본 발명의 체온 조절 팩에 이용되는 고액상 변화 재료는 초산나트륨을 함유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것이라도 좋으며, 또는 노멀 파라핀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별도의 국면에 의하면, 체온 조절 팩을 신체측에 부착하는 동체 팩 홀더로서, 해당 체온 조절 팩을 임의의 장소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체 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체 팩 홀더는 착용자의 가슴부를 덮는 전면부와, 착용자의 등을 덮는 후면부를 갖고, 해당 전면부와 해당 후면부는 각각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도 좋다. 또, 해당 전면부와 해당 후면부는 각각 신축 가능한 끈형상체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체온 조절 팩을 목 주위나 다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부 팩 홀더나 다리부 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체온 조절 팩은 신체의 냉각을 목적으로 해서 사용하는 경우, 열 흡수력이 높은 고액상 변화 재료를 사용해서, 고상으로 되어도 몸의 형태를 따라 구부리기 때문에, 몸에의 밀착성이 높고, 냉각 효율이 좋다. 또한, 단위 면적당 고액상 변화 재료의 양을 늘려도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고액상 변화 재료의 양을 몸의 부위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히트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또, 냉각재로서 고액상 변화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액상 변화 재료가 액상이 되어 냉각 기능을 잃은 경우에도, 차게 하는 것에 의해 재차 고상으로 되돌리고, 반복해서 몇 번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의 냉각재에 비해 경제적이다.
또한, 체온 조절 팩을 팩 홀더에 임의의 장소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에 의해, 필요한 장소의 열을 흡수하는 동시에 열이 배출되는 곳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본 발명의 체온 조절 팩을 신체의 보온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액상의 상태에서도 체온 조절 팩 자체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균일하게 신체의 필요한 개소를 보온할 수 있다. 또한, 고액상 변화 재료가 고상으로 되어도,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늘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몸의 형태를 따라 구부러져 있던 것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겨울철의 옥외 작업 혹은 난방 기구가 없는 작업장에 있어서, 착용자의 상반신의 보온 뿐만 아니라 의복의 외측으로부터 종아리 등에 감아 발목을 보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온 조절 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제 1 실시형태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1쌍의 이너 시트를 겹쳐, 이너 팩을 성형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너 팩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에 고액상 변화 재료를 주입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주입한 고액상 변화 재료가 고상이 된 후에 진공 팩을 실시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고액상 변화 재료를 재차 액상으로 한 후, 상부의 가장자리부를 절곡(접어 구부림)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주위의 가장자리부를 모두 절곡해서, 이너 팩에 고상 변화 재료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로 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너 팩에 단열재를 부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단열재를 부착한 이너 팩을 아우터 팩으로 피복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너 팩을 아우터 팩으로 피복한 후에, 진공 팩을 실시해서 체온 조절 팩을 완성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내는 완성 후의 체온 조절 팩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을 복수 겹쳐서 보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가늘고 긴 자루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한쪽의 단부를 용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가늘고 긴 자루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내부에 고액상 변화 재료를 충전한 후에, 주입구로 되어 있던 단부를 용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가늘고 긴 자루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양단의 용착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5에 나타내는 가늘고 긴 자루체를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부재의 위에 평행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실시형태 2에 의해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6에 나타내는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6에 나타내는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체에 단열재를 부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단열재를 부착한 1군의 가늘고 긴 자루체를 아우터 팩으로 피복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도 1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1군의 가늘고 긴 자루체를 아우터 팩으로 피복한 후에, 진공 팩을 실시해서 체온 조절 팩을 완성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도 1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6에 나타내는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체에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와 별도의 실시형태의 단열재를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체온 조절 팩에 충전하는 고액상 변화 재료의 양을 적절히 변화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폭을 20㎝로 해서, 위로부터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의 직경을 2㎝, 2.5㎝, 3㎝, 4㎝, 4.5㎝ 및 5㎝로 설정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도 1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을 냉각재로서 사용하는 경우로서, 이 체온 조절 팩을 냉장고내에서 냉각할 때에 사용하는 냉각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도 1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을 도 23에 나타내는 냉각대를 사용해서 냉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목 주위에 부착하는 체온 조절 팩의 개략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을 삽입하는 메시제의 메시 자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내는 메시제의 메시 자루의 표면과 이면을 나타내는 평면 도이다.
도 28은 본원의 실시예의 체온 조절 팩을 부착하기 위한 전용의 메시제의 팩 홀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내는 팩 홀더의 배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내는 팩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에 나타내는 팩 홀더의 전면부의 표면과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28에 나타내는 팩 홀더의 후면부의 표면과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1에 나타내는 전면부와 도 32에 나타내는 후면부를 끈형상체로 접속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28에 나타내는 팩 홀더의 하부의 표면과 이면 및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다리부 팩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종래의 냉각 팩 부착용 조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나타내는 종래의 냉각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6에 나타내는 종래의 냉각 팩을 겹쳐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이다.
도 39는 종래의 냉각 팩 부착용 조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나타내는 종래의 냉각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종래의 냉각 팩과 그 변형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체온 조절 팩]
(실시형태 1)
우선, 후술하는 팩 홀더(2)(도 28 참조)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체온 조절 팩(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온 조절 팩(1) 전체는 대략 판형상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자루체 T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서는 체온 조절 팩(1)의 내부는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로 나누어져 있고, 체온 조절 팩(1)은 각각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사이의 후술하는 용착부(23)를 마디로 해서 유연하게 구부릴 수 있다. 또한, 체온 조절 팩(1)의 형상은 본원 실시형태에 관한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라도 좋다.
체온 조절 팩(1)은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충전된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와,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로 이루어지는 이너 팩(20)과, 이너 팩(20)의 한쪽 면을 덮는 단열재(30)와, 단열재(30)가 부착된 이너 팩(20)의 전체를 피복하는 아우터 팩(40)을 갖고 있다. 그리고, 체온 조절 팩(1)의 표면은 아우터 팩(40) 내부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형태를 따른 요철형상을 갖고 있다.
이너 팩(20)은 1쌍의 이너 시트(21a, 21b)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형상 및 동일 소재인 2개의 이너 시트(21a, 21b)를 이용하고 있지만, 1개의 시트를 반으로 접어 1쌍으로 해도 좋다. 이 2개의 이너 시트(21a, 21b)를 서로 겹치고, 주위의 가장자리부(25)를 용착 등에 의해서 맞붙임으로써 이너 팩(20)이 형성된다. 또, 맞붙여진 한쌍의 2변의 가장자리부(25)의 사이에 평행하게 복수의 세로로 긴 용착부(23)를 마련함으로써, 용착부(23)끼리의 사이에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너 시트(21a, 21b)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용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용착의 간격을 적절히 바꿈으로써 하나하나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크기를 바꿀 수 있다.
이너 시트(21a, 21b)는 시트형상의 폴리에틸렌과 알루미늄박과 층형상의 나일론(등록상표)을 맞붙인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이들 3층은 이너 시트(21a, 21b)를 이너 팩(20)에 이용했을 때에, 이너 팩(20)의 내측부터 이너 팩(20)의 외측으로 차례로, 폴리에틸렌과 알루미늄박과 나일론(등록상표)이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이 구조에 의해서, 이너 시트(21a, 21b)는 유연성이 있고, 또한 높은 강도를 가지며,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또, 이너 시트(21a, 21b)에 알루미늄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증기 배리어성이 향상되고, 이너 팩(20)의 내부로부터의 수분의 증산이 방지되며,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기능의 손실을 방지한다. 또한, 알루미늄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열 전도성이 향상하여 냉각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이너 시트(21a, 21b)의 외부 표면에 나일론(등록상표)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너 시트(21a, 21b)는 유연하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내부에 밀봉된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누출되지 않는 것이면, 본 실시예의 재료에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내부에는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의 내용량 가득 빈틈없이 충전되어 있고, 가늘고 긴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액상의 상태에서 체온 조절 팩(1)을 종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도,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에 휨이 생길 여유가 없기 때문에,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는 변형되는 일이 없다. 또, 평행 방향으로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가, 유연성이 있는 용착부(23)을 통해 병렬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제(10)가 고상이 된 경우에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착부(23)를 마디로 해서 체온 조절 팩(1)을 몸의 형태를 따라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체온 조절 팩(1)의 인체에의 밀착성이 더 높아진다. 또한, 원기둥형상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를 횡방향으로 병렬한 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표면에 요철형상을 갖는 대략 편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체온 조절 팩(1)을 보관할 때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정하게 겹쳐서 보관할 수 있으며, 쓸데없는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는다. 또한, 여기서도 도 37 및 도 40과 같은 종래의 평탄한 판형상의 체온 조절 팩을 액상에서도 변형시키지 않기 위해, 냉각재를 빈틈없이 충전한 경우에는 팩 전체가 옆에서 보면 럭비공형상으로 중앙 부분이 부풀어 오른 형상으로 되어 버려, 안정하게 겹쳐서 보관할 수 없고, 고상일 때에는 몸에의 밀착성이 매우 나빠진다.
체온 조절 팩(1)은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양을 늘려도 변형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는 적절히 직경을 바꾸는 것에 의해, 몸의 부위나 필요한 냉각 기능 유지 시간 또는 보온 기능 유지 시간에 따라,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냉각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의 방출량이 많은 가슴, 등 등에는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약간 많이 배치하고(원통형상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직경을 크게 하고/도 22의 하측), 열이 그다지 방출되지 않는 부위에는 고액상 변화 재료를 소량으로 하는(원통형상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직경을 작게 하는/도 22의 상측) 바와 같은 조정을 한다. 또,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원형 단면 각각의 일부가 신체에 접촉해 있으면, 몸 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며, 체온의 이상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반대로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보온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을 방출해서 신체에 전열하고, 효율적으로 따뜻하게 할 수 있다.
고액상 변화 재료(phase change materials)(10)는 우선, 냉각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고액상 변화 재료는 고상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바뀔 때, 잠열이라 불리는 물질의 결합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온도를 변화시키는 일 없이 흡수되는 열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즉, 고액상 변화 재료(10)는 착용자의 몸에서 방출되는 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화하는 동안,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온도는 융점이라 불리는 일정 온도로 고정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체온이 너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융점은 일반적으로 말해지고 있는 안정(安靜)시에 있어서의 인체의 체표면 온도(32℃)보다 낮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기재로서 황산나트륨 10수화물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황산나트륨 10수화물에는 수화물로서 안정적인 가역성을 유지하기 위해 과냉각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넣은 것을 사용하고 있다. 황산나트륨 10수화물 그 자체의 융점은 32℃강이지만, 과냉각을 위해, 고액상 변화 재료(10)는 32℃보다 낮은 25℃∼28℃의 범위에서, 일부씩 고액 전환을 일으키면서 상변화한다. 그 때문에, 종래의 고액상 변화 재료를 이용한 냉각재의 융점이 0℃ 부근의 온도인데 비해, 몸을 너무 차갑게 하는 것에 의한 동상의 우려나, 신체 기능이 저하할 우려가 없다. 또, 상변화 온도가 25℃∼28℃의 범위이면, 안정시(열 흡착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에는 속옷·작업복의 위로부터 체온 조절 팩(1)을 대어도 착용자는 거의 차갑다고는 느끼지 않고, 고액상 변화 재료(10)는 상변화를 일으키지 않지만, 신체에 부하가 걸려 체표면 온도가 상승하면, 갑자기 차가움을 느끼게 되고,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상변화가 시작된다. 한편, 0℃ 부근에서 상변화하는 종래의 고액상 변화 재료를 이용한 냉각재에서는 평상 체온시에 고액상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체온의 이상 상승 방지가 필요하게 되는 시점에서는 이미 액화되어 냉각 기능을 잃어 버린다. 이 점이 0℃ 부근에서 상변화를 일으키는 종래의 냉각재와의 큰 차이이다.
또한, 고온 환경하에서 체온 조절 팩(1)을 사용해서 열을 흡수한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액상으로 된 경우에도 비교적 단시간에 고체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체온 조절 팩(1)을 얼음물에 수분간 담가 냉각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열하고, 냉장고나 보냉고 등의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고체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가 40mm 초과의 직경인 경우, 10℃ 전후의 온도에서, 하룻밤에 고체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완전히 액상으로 되어 냉각 기능을 잃은 경우에도, 차게 방열시킴으로써 재차 고상으로 되돌리고, 반복해서 몇 번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냉각재에 비해 경제적이다. 또한,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기재는 본 실시예의 황산나트륨 10수화물에 한정되지 않고, 100%의 고액상 변화를 하는 것이며, 상변화 온도가 실온의 범위(15℃ 정도 내지 35℃ 정도)인 재료이면 좋고, 다른 무기염 수화물계의 물질(인산나트륨 12수화물 등)과 노멀 파라핀(n-헵타데칸, n-옥타데칸, n- 노나데칸 등)을 사용해도 좋다.
본원발명의 냉각재(10)는 고액상 변화 재료로 100%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40에 나타내는 보냉체(201)의 냉각재(207)는 상변화 재료가 40%이고, 나머지는 비열 1이하의 물을 주체로 한 내용물이기 때문에, 차갑게 해도 고상으로 되는 일 없이 항상 유연성을 갖는다. 그러나, 단순 계산에 의해 1팩 100g으로 열 흡수력을 계산하면, 25∼30℃에서 상변화를 일으키는 축열제의 상변화시의 열 흡수 35cal/g으로 해서, 25℃에서 30℃로 온도 상승시킨 경우, 고액상 변화 재료 40%, 비열 1의 물이 60%로 구성되어 있는 도 40의 보냉체(201)의 열 흡수량은
40g×35cal+60g×1cal×5℃=1700cal
에 대해, 고액상 변화 재료 100%로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체온 조절 팩(1)의 열 흡수량은
100g×35cal=3500cal
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온 조절 팩(1)과 도 40에 나타내는 종래의 보냉체에서는 열 흡수력에 2배 정도의 차가 있고, 후술하는 조끼형상의 팩 홀더(2)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것으로서는 저온 지속 효과에 결정적인 차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체온 조절 팩(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몸의 형태를 따라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기 때문에, 냉각재(10)의 고액상 변화 재료를 100%로 하는 것에 의한 높은 열 흡수 능력과, 인체에의 추종성을 양립하고 있다.
고액상 변화 재료(10)는 고상으로 결정화되어 있고, 이 결정이 완전히 다 녹으면 액상으로 되돌리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00℃의 열탕에서 체온 조절 팩(1)을 가열하면 수분 동안에 결정은 완전히 없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온하(22℃ 정도)에 방치하고 고액상 변화를 대기하면, 긴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고상으로 되돌아가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에는 일단 10℃ 정도로 식히고 내부에 조금이라도 결정이 생기면, 그 후에는 상온하에서 고상으로 되돌릴 수 있다. 즉, 환언하면, 체온 조절 팩(1)내에 소량이라도 결정을 남기는 것에 의해서 액상에서 고상으로의 상변화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체온 조절 팩(1)을 신체에 조절할 때에는 필요로 하는 크기보다 조금 구경을 크게 해서, 완전한 결정 용해를 방지하는 고안을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경이 큰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를 갖는 체온 조절 팩(1)은 직경이 작은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를 갖는 체온 조절 팩(1)보다도 액상에서 고상으로 변화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작업 효율을 올리기 위해, 직경이 큰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를 갖는 체온 조절 팩(1)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회복시키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에는 상온에서 방열시키기보다도 냉장고에 넣어 냉각하는 방법이 권장된다. 이 때, 복수의 체온 조절 팩(1)을 냉장고내에서 냉각하는 경우에는 도 23 및 도 24에서 나타내는 냉각대(11)를 사용한다.
냉각대(11)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에서 보면 대략 장방형상을 하고 있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짧은 변에 상승부(12)를 갖는다. 또,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부(12)의 상단을 따라, 냉각대(11)의 내측방향으로 상승부(12)와는 직각이 되도록 걸림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상승부(12)의 높이 H는 체온 조절 팩(1)의 두께 h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냉각대(11)는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냉기가 통과하여 순환하기 쉬운 형상이면, 냉각대(11)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마주 보는 2개의 긴 변에 상승부(12)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냉각대(11)의 소재도 알루미늄판에 한정되지 않으며, 높은 열 전도성을 갖는 소재이면 좋다.
냉각대(1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온 조절 팩(1)을 1개마다 1개의 냉각대(11)에 탑재한다. 그 때, 단열재(30)가 있는 측을 위로 한다. 단열재(3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을 아래로 해서 식은 알루미늄판에 밀착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체온 조절 팩(1)을 냉각할 수 있다. 다음에, 체온 조절 팩(1)을 탑재한 냉각대(11)를 랙과 같이 쌓아 올린다. 쌓아 올리는 냉각대(11)의 저면(14)은 아래의 냉각대(11)의 걸림부(13)에 걸어 맞추어, 안정하게 쌓아 올릴 수 있다. 또한, 냉각대(11)에 탑재하는 체온 조절 팩은 1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체온 조절 팩(1)이 서로 겹쳐지지 않고, 모두 알루미늄판에 밀착할 수 있으면, 1개의 냉각대(11)에 복수개 탑재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대(11)를 사용해서 체온 조절 팩(1)을 쌓아 올리고, 냉장고내에서 냉각하면, 여분의 스페이스를 차지하는 일이 없다. 또, 상승부(12)의 높이 H가 체온 조절 팩(1)의 두께 h보다 높은 것에 의해, 체온 조절 팩(1)과 위쪽에 겹쳐 쌓은 냉각대(11) 사이에 간격이 생겨, 차가운 공기가 통과하여 효율적으로 체온 조절 팩(1)을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냉각대(11)가 열 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판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더욱 효율적으로 체온 조절 팩(1)을 냉각할 수 있다.
또,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보온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응고점 온도가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액상 변화 재료(10)(예를 들면, 초산나트륨 3수화물)를 이용하면, 액상에서 고상으로 상 변화할 때의 방열에 의해서 신체를 보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기재는 본 실시예의 초산나트륨 3수화물에 한정되지 않으며, 100%에 가까운 고액상 변화를 하는 것이고, 상변화 온도 범위가 주위의 한랭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여 쾌적함을 느끼는 범위(15℃ 정도 내지 50℃ 정도)인 재료이면 좋고, 다른 무기염 수화물계의 물질(황산나트륨 10수화물, 인산나트륨 12수화물 등)과 노멀 파라핀(n-헵타데칸, n-옥타데칸, n- 노나데칸 등)을 사용해도 좋다.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보온재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한랭기에 있어서의 옥외 작업 또는 난방 기구가 없는 작업장에 있어서, 작업자의 냉기를 해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작업자에게 있어서 상반신의 보온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발밑으로부터의 냉기에 대한 보온은 소홀히 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의 체온 조절 팩(1)은 액상의 상태에서도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균일하게 신체의 필요한 개소(다리부 등)를 보온할 수 있다. 또한, 고액상 변화 재료가 고상으로 되어도,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몸의 형태를 따라 구부러져 있던 것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바지 등의 의복의 위로부터 종아리 등의 주위에 빙 두르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발밑의 냉기를 해소할 수 있다.
단열재(30)는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형상의 발포 폴리에틸렌이다. 단열재(3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팩(20)의 한쪽 면 및 측부를 덮도록 부착된다(도 8∼도 10 참조), 여기서 말하는 「한쪽 면」은 체온 조절 팩(1)이 착용자의 몸에 접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이다. 또, 「측부」는 이너 팩(20)의 한쪽 면으로부터 반대측의 면으로 돌아 들어가는 측면 부분이다. 열 부하 시험을 실시하면, 이너 팩(20)의 양단에 위치하는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외측부터 먼저 액화되기 때문에, 이 측부까지 단열재(30)를 감아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30)는 이너 팩(20)내의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충전된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 전체를 덮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대략 평면판형상을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냉각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몸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고액상 변화 재료(10)에 의해서 흡수되면서, 단열재(30)에 의해서 외부의 열이 고액상 변화 재료(10)에 전달되기 어려워지고,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냉각 기능이 외부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고온 환경하에서도 체온 조절 팩(1)의 냉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동시에, 냉각 효과가 장시간 유지된다. 또,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보온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열재(30)에 덮여 있는 것에 의해, 고액상 변화 재료(10)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외부로 달아나지 않고, 효율적으로 착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어 보온할 수 있다. 여기서, 체온 조절 팩(1)내에 단열재(3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팩 홀더(2)에는 단열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백 홀더(2)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30)의 재료는 이너 팩(20)을 아우터 팩(40)에 밀봉해서 진공 팩을 실시했을 때에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의 단단함을 갖는 것이면, 본 실시예의 발포 폴리에틸렌에 한정되지 않고, 충분한 단열 기능을 갖는 다른 물질을 사용해도 좋다. 또, 직사광선을 포함하는 열선을 가능한 한 반사하는 열 반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열재(30)가 충격 흡수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팩 홀더(2)는 충격을 흡수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팩 홀더(2) 자체가 충격 흡수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아우터 팩(40)은 한쌍의 아우터 시트(43a, 43b)를 맞붙여 자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중공의 자루형상인 외측 자루형상부(41)와, 외측 자루형상부(41)의 주위에 형성된 귀형상부(42)를 갖는다. 외측 자루형상부(41)의 내부에는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충전된 이너 팩(20) 및 이너 팩(20)의 한쪽 면 및 측부를 덮는 단열재(30)가 진공 밀봉된다. 아우터 팩(40)이 이너 팩(20) 및 단열재(30)를 피복하는 것에 의해서, 이너 팩(20)을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접속부인 용착부(23)에 먼지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아우터 팩(40)이 이너 팩(20) 및 단열재(30)를 피복할 때에 진공 팩을 실시하기 때문에, 통상은 아우터 팩(40)과 이너 팩(20)은 밀착 상태에 있지만, 만일, 외부로부터 핀홀이 열린 경우에는 아우터 팩(40)과 이너 팩(20)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 아우터 팩(40)의 진공 팩으로서의 긴장이 풀려 늘어짐이 생긴다. 그 때문에, 이러한 아우터 팩(40)의 상태로부터, 핀홀이 열린 사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 이너 팩(20)에 마찬가지의 핀홀이 열려 있을 가능성도 추측할 수 있는 센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아우터 시트(43a, 43b)는 시트형상의 폴리에틸렌과 알루미늄박과 시트형상의 나일론(등록상표)을 맞붙인 3층 구조를 갖고 있다. 이들 3층은 아우터 시트(43a, 43b)를 아우터 팩(40)에 이용했을 때에, 아우터 팩(40)의 내측에서 아우터 팩(40)의 외측으로 차례로, 폴리에틸렌과 알루미늄박과 나일론(등록상표)이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이 구조에 의해서, 아우터 시트(43a, 43b)는 유연성이 있고, 또한 높은 강도를 가지며,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또, 아우터 시트(43a, 43b)에 알루미늄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이너 팩(20) 뿐만 아니라, 아우터 팩(40)도 수증기 배리어성을 갖고, 만일 이너 팩(20)의 수증기 배리어가 깨졌다고 해도, 이 아우터 팩(40)의 존재에 의해, 전체적으로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 및 나일론(등록상표)은 일반적으로 투명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과 나일론(등록상표)을 맞붙인 것만으로는 밖에서 이너 팩 및 단열재가 보여 외관이 좋지 않게 되기 때문에, 알루미늄박을 이용함으로써 아우터 팩(40) 내부를 보이지 않게 하는 블라인드의 역할도 한다. 또한, 알루미늄박에 의해서 열 전도성이 향상하여 냉각 효율 또는 보온 효율이 높아진다. 또, 아우터 시트(43a, 43b)의 외측 표면에 나일론(등록상표)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또한, 아우터 시트(43a, 43b)는 유연하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갖고,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본 실시예의 재료에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체온 조절 팩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3∼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시트(21a, 21b)를 겹쳐,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26)로 되는 1변(위 가장자리부(25b))을 남기고, 다른 3변(양측 가장자리부(25a) 및 아래 가장자리부(25c))을 용착하고, 이너 팩(20)을 형성한다.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시트(21a, 21b)를 맞붙이고 있지만, 1개의 시트를 중앙에서 반으로 접어 주위의 가장자리부를 맞붙여도 좋다.
다음에, 서로 마주 보고 있는 1쌍의 양측 가장자리부(25a)의 사이를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분할하도록, 2개의 시트(21a, 21b)의 필요 개소를 용착하고,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를 형성한다. 또한, 용착부(23)의 간격은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등간격으로 하고 있지만, 적절히 간격을 다르게 함으로써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각각의 크기를 조정해도 좋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착되어 있지 않은 위 가장자리부(25b)를 개구부(26)로 하여, 액상의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각각에, 용착부(23)의 상단을 넘지 않는 높이까지 주입한다. 이 때, 위에서 본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단면 형상은 진원보다 약간 방추형상의 원형으로 된다.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 전체로서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되고, 용착한 가장자리부(25a, 25b, 25c) 및 용착부(23)를 따라,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표면에 주름이 생기다.
다음에,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에 충전한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냉각해서 고상이 된 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팩(20)의 내부를 진공 밀봉한 후에, 개구부(26)로 되어 있던 위 가장자리부(25b)를 용착하고, 밀폐한다. 이 때, 위 가장자리부(25b)를 따른 용착부(24)는 용착부(23)보다 약간 위쪽으로 떨어져 마련된다. 그 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 가장자리부(25b)를 되꺾어, 각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내에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빈틈없이 충전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에, 이너 팩(20)에 밀봉된 고액상 변화 재료(10)에 열을 부가하여, 재차 액상으로 되돌린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위의 가장자리부(25)를 모두 1측(후술하는 단열재(30)를 배치하는 측)에 접어 넣어,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내부에 액상의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빈틈없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로 한다. 가장자리부를 접어 넣는 측은 체온 조절 팩(1)이 몸과 접촉하는 측과는 반대측이다. 되꺾음이 신체측에 오면 냉각 작용 효과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빈틈없이 충전하는」은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의 용적의 100% 가까이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액상의 상태에서 체온 조절 팩(1)을 종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도,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는 변형되지 않게 된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팩(20)의 한쪽 면(체온 조절 팩(1)이 몸과 접촉하는 면과 반대의 면)에 있어서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충전되어 있는 부분 전체를 덮도록, 단열재(30)를 부착한다.
다음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아우터 시트(43a 및 43b)로 형성되는 아우터 팩(40)의 외측 자루형상부(41)의 내부에, 단열재(30)을 부착한 이너 팩(20)을 넣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 밀봉하여, 완성한다. 또한, 아우터 시트(43a 및 43b)의 사이에 이너 팩(20)을 배치한 후에, 아우터 시트(43a, 43b)의 주위를 맞붙여 아우터 팩(40)을 형성하고 나서, 진공 밀봉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형상 및 동일 소재인 2개의 시트(43a, 43b)를 이용하고 있지만, 1개의 시트를 반으로 접어 1쌍으로 해서, 이너 팩(20)을 사이에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체온 조절 팩(1)은 평행 방향으로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가, 유연성이 있는 용착부(23)를 통해 병렬되어 있기 때문에,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고상이 된 경우에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착부(23)를 마디로 해서 체온 조절 팩(1)을 몸의 형태를 따라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체온 조절 팩(1)의 인체의 밀착성이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냉각재 또는 보온재의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100%로 하는 것에 의한 높은 열 흡수 능력 또는 방열 능력과, 인체에의 추종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원기둥형상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를 종방향으로 병렬한 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표면에 요철형상을 갖는 대략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체온 조절 팩(1)을 보관할 때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정하게 겹쳐서 보관할 수 있으며, 쓸데없는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는다.
(실시형태 2)
다음에, 후술하는 팩 홀더(2)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체온 조절 팩(100)에 대해, 도 13∼도 2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체온 조절 팩(100)은 외형으로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체온 조절 팩(1)과 동일한 형태이고, 전체는 대략 판형상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자루체 T를 구비하고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온 조절 팩(100)은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충전된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로 구성되고, 가늘고 긴 자루체(322)끼리를 병렬로 배치시키는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와, 평행 방향으로 병렬하는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한쪽 측의 면을 덮는 단열재(30)와, 가늘고 긴 자루체(322),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 및 단열재(30)를 전체적으로 피복하는 아우터 팩(40)을 갖고 있다. 또, 체온 조절 팩(100)의 표면은 아우터 팩(40) 내부의 가늘고 긴 자루체의 형상을 따른 요철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체온 조절 팩(1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대략 판형상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라도 좋다.
도 13∼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각각은 필름으로 형성되고, 가늘고 긴 원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양단은 용착되어 있다. 필름은 실시예 1의 이너 시트(21)와 마찬가지로 유연성과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시트형상의 폴리에틸렌과 알루미늄박과 시트형상의 나일론(등록 상표)을 맞붙인 3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필름은 유연하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갖고, 내부에 밀봉된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누출되지 않는 것이면, 본 실시예의 재료에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길이 및 두께는 용도와 부착하는 부위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독립된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실시예 1과 같이 1쌍의 이너 시트(21a 및 21b)로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을 형성했을 때보다, 각각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필름에의 스트레스가 작아지고, 내구 성능이 늘어난다. 즉, 도 11과 같이 체온 조절 팩(100)이 만곡되었을 때에, 실시예 1에서는 이너 시트(21)가 만곡과 함께 인장력을 받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가늘고 긴 자루체(322)가 각각 독립되어 있으면, 신체 부위에 맞추어 만곡시킨 경우에도 여분의 부하는 부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름이 손상되고 체온 조절 팩(100)의 기능이 상실될 위험성은 최소한으로 된다. 즉, 필름의 수증기 배리어성을 담보해야 할 알루미늄층 손상의 위험성이 최소한으로 된다. 또, 만일, 외부로부터 침형상의 것이 찌른 경우에도, 핀홀이 뚫려 파손된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1개가 기능을 상실할 뿐, 다른 가늘고 긴 자루체(322)에 영향을 주지 않고, 체온 조절 팩(100) 전체로서의 기능은 잃지 않는다. 즉, 체온 조절 팩(100)이 복수의 독립된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갖는 것에 의해, 기능 상실의 리스크가 최소화된다. 또, 부서진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체온 조절 팩(100)의 기능을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리가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다. 또한, 길이와 굵기가 다른 복수 종류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사전에 제조해 두면, 체온 조절 팩(100)의 제조시에 적절히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더욱 적정한 체온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내부에는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내용량 가득 빈틈없이 충전되어 있고, 가늘고 긴 자루체(322)는 가늘고 긴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액상의 상태에서 체온 조절 팩(100)을 종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도, 가늘고 긴 자루체(322)에 휨이 생길 여유가 없기 때문에, 가늘고 긴 자루체(322)는 변형되는 일이 없다. 또, 평행 방향으로 각각 독립된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가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고상이 된 경우에도, 체온 조절 팩(100)을 몸의 형태를 따라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체온 조절 팩(100)의 인체에의 밀착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원기둥형상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횡방향으로 병렬한 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표면에 요철형상을 갖는 대략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체온 조절 팩(100)를 보관할 때에는 안정하게 겹쳐서 보관할 수 있고, 쓸데없는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는다. 또한, 여기서 「빈틈없이 충전하는」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용적의 100% 가까이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액상의 상태에서 체온 조절 팩(100)을 종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도 가늘고 긴 자루체(322)는 변형되지 않는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체온 조절 팩(100)은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양을 늘려도 변형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자루체(322)는 적절히 직경을 바꾸는 것에 의해, 몸의 부위나 필요한 냉각 기능 유지 시간 또는 보온 기능 유지 시간에 따라,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탑재하고 정렬시키기 위한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에서 보면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치는 장방형상을 하고 있다, 또, 옆에서 보면,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각각이 탑재되는 움푹 패임부(28)와, 인접하는 가늘고 긴 자루체(322)끼리의 사이에 잠식되고, 각각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위치를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돌출부(29)를 갖는다. 또한,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는 볼지 등의 유연한 소재로 되어 있고, 신체 부위를 따라 자유롭게 만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세편(細片)형상의 것을 가로로 배치해서 1개 또는 복수개 사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에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서, 가늘고 긴 자루체(322)끼리의 위치가 등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그 결과, 서로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가 부딪쳐 손상될 리스크가 없어진다. 또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는 유연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온 조절 팩(100)이 신체 부위에의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만곡할 수 있다.
고액상 변화 재료(10), 단열재(30) 및 아우터 팩(40)의 특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체온 조절 팩(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13∼도 2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으로 원통형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형성한다. 한쪽의 단부는 고액상 변화 재료의 주입구(326)로서 개구되고, 반대의 단부는 용착한다.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직경/길이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하에서 주입구(326)로부터 가늘고 긴 자루체(322) 내부에 액상의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충전한 후, 주입구(326)를 용착해서 밀봉하고, 가늘고 긴 자루체(322) 내부에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빈틈없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해서 진공 밀봉하면, 액상의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충전한 후에, 냉각해서 고상으로 한 상태에서 진공 밀봉하고 나서, 재차 액상으로 되돌릴 필요가 없는 만큼, 제조 공정이 단축화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진공 밀봉 작업에는 기지의 자동 진공 포장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해당 포장기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의 용착부(325a, 325b)를 가늘고 긴 자루체의 일측(후술하는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 및 단열재(30)를 배치하는 측)으로 절곡한다. 용착부(325a, 325b)를 끼워 넣은 측은 체온 조절 팩(100)이 몸과 접촉하는 측과는 반대측이다. 되꺾음 부분이 신체측에 오면 냉각 작용 효과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각각을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의 위에 평행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병렬시키고(도 16 참조) 탑재한다.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를 부착하는 측은 용착부(325a, 325b)를 끼워 넣고 있는 측, 즉 체온 조절 팩(100)이 몸과 접촉하는 측과 반대의 측이다. 외부의 열이 체온 조절 팩(100)에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다음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온 조절 팩(100)이 몸과 접촉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마다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 전체를 덮도록 해서, 단열재(30)를 부착한다. 이 때,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의 부착측이 단열재(30)로 덮이도록 한다. 단열재(30)가 없는 측, 즉 신체에 접촉하는 측에는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가 있으면 냉각 효율 또는 보온 효율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또, 단열재에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면이 개방된 상형의 단열재(30')를 사용해도 좋다. 이 단열재(30')를 사용하는 경우, 단열재(30')의 내측에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를 넣고, 그 위에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탑재해서 정렬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더욱 간단하게 가늘고 긴 자루체(322)에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와 단열재(30')를 부착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단열재(30')를 부착한 결과,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는 전체적으로 신체에 접하지 않는 일측과 측부의 4면을 단열재(30')로 덮을 수 있으며, 단열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단열재(30')는 양측에 상승부를 갖는 장방형상의 2개의 단열판(30'a, 30'b)을 상자형으로 짜서 형성한다. 그 결과, 바닥면의 단열재가 이중으로 되어 더욱 높은 단열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단, 상자형의 단열재(30')의 형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의 단열판을 가공해서 형성해도 좋다. 또, 이 단열판(30'a, 30'b)은 기존의 기포 완충재의 양면에 알루미늄박의 시트를 점착한 판형상의 단열재로 되어 있지만, 소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아우터 시트(43a 및 43b)로 형성되는 아우터 팩(40)의 외측 자루형상부(41)의 내부에, 가늘고 긴 자루체 정렬 부재(27) 및 단열재(30)((30'))를 부착한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넣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 밀봉하여, 완성한다. 또한, 아우터 시트(43a 및 43b)의 사이에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배치한 후에, 아우터 시트(43a, 43b)의 주위를 맞붙여 아우터 팩(40)을 형성하고 나서, 진공 밀봉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형상 및 동일 소체인 2개의 시트(43a, 43b)를 이용하고 있지만, 1개의 시트를 반으로 접어 1쌍으로 해서,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사이에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체온 조절 팩(100)은 내부에 각각 독립된 복수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가 평행 방향으로 병렬되어 있기 때문에, 고액상 변화 재료(10)가 고상이 된 경우에도, 체온 조절 팩(100)을 몸의 형태를 따라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체온 조절 팩(100)의 인체에의 밀착성이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냉각재 또는 보온재의 고액상 변화 재료를 100%로 하는 것에 의한 높은 열 흡수 능력 또는 방열 능력과, 인체에의 추종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원기둥형상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횡방향으로 병렬한 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표면에 요철형상을 갖는 대략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체온 조절 팩(100)을 보관할 때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정하게 겹쳐서 보관할 수 있으며, 쓸데없는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체온 조절 팩(100)을 구성하는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개수는 7개로 되어 있지만, 체온 조절이 필요하게 되는 신체 부위를 피복할 수 있는 것이면,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가늘고 긴 자루체(322)의 굵기와 길이는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메시 자루]
다음에, 전술한 체온 조절 팩(1 또는 100)을 삽입해서 후술하는 동체 팩 홀더(80)(도 28 참조)에 부착하기 위한 전용의 메시제의 메시 자루(51)에 대해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해서 설명하겠지만, 체온 조절 팩(1 및 100)은 외부의 형태가 동일하기 때문에, 편의상, 체온 조절 팩(1)에 대해 설명을 한다. 또한, 체온 조절 팩(1)의 아우터 팩(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제이기 때문에, 표면의 나일론(등록상표)에 직접 면 패스너를 부착할 수 없다. 또, 나일론(등록상표)에 직접, 면패스너(97b)를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착제를 이용할 수 밖에 없고, 가장 효율이 높은 것은 용제에 의한 용착이지만, 그만큼 아우터 팩(40)의 필름 강도가 저하한다. 따라서, 이상의 점을 감안해서, 메시제(51)에, 도 26과 같이 체온 조절 팩(1)을 삽입해서, 체온 조절 팩(1)을 동체 팩 홀더(8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흉부에 배치되는 메시제(51)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동체 팩 홀더(80)의 면 패스너(97a)(도 31 참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 동체 팩 홀더(80)에 부착하는 측의 면에 면 패스너(97b)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시제(51)의 형상은 직사각형이지만, 장착하는 몸의 부위나 삽입하는 체온 조절 팩(1)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 예를 들면 타원형 등으로 해도 좋다.
체온 조절 팩(1)이 동체 팩 홀더(8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온 조절 팩(1)을 메시 자루(51)에 삽입하고, 면 패스너 등의 기지의 수단에 의해 삽입구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다. 체온 조절 팩(1)은 메시 자루(51)로부터 취출 가능하므로, 용도 등에 따라 체온 조절 팩(1)의 종류(고액상 변화 재료의 밀봉량이 다른 것 등)를 교환할 수 있다. 또, 메시 자루(51)가 더러워져도, 체온 조절 팩(1)만 꺼내어 세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시 자루(51)내에는 체온 조절 팩(1)이 1개만 밀봉되어 있지만, 메시 자루(51)의 용량이나 체온 조절 팩(1)의 크기에 따라 2개 이상 밀봉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구는 개폐 가능하게 했지만, 꿰매 붙이는 등의 수단으로 철해 버려도 좋다.
면 패스너(97b)는 도 2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메시 자루(51)의 한 쌍의 단부에 평행하게 마련된다. 또한, 면 패스너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체온 조절 팩(1)을 동체 팩 홀더(80)에 유지할 수 있는 한,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 배열해도 좋으며, 또한 메시 자루의 일측의 면을 전체적으로 면 패스너로 하는 것이나, 메시 자루의 소재 자체를 면 패스너로 할 수도 있다. 또, 후술하는 동체 팩 홀더(80)측의 면 패스너(97a)는 다른 의복에 부착하지 않도록, 루프형상의 면 패스너로 하고 있으므로, 메시 자루(51)의 면 패스너는 후크형상으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시 자루(51)의 면 패스너(97b)를 루프형상, 동체 팩 홀더(80)측의 면 패스너(97a)를 후크형상으로 해도 좋다.
메시 자루(51)의 소재는 메시형상 직물이다. 이것에 의해서, 신체에서 방출된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냉각용의 체온 조절 팩(1)을 얼음물에 담가 고상으로 되돌릴 때에는 메시 자루(51)가 메시 소재이면, 일일이 체온 조절 팩(1)을 꺼내지 않고 메시 자루(51)마다 얼음물에 담가 냉각할 수 있다.
이상, 흉부에 배치되는 메시 자루(51)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등에 배치되는 메시 자루(61) 및 옆구리에 배치되는 메시 자루(66)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도 30 참조).
[팩 홀더]
전술한 체온 조절 팩(1)을 신체에 장착하기 위한 팩 홀더(2)에 대해 도 28∼도 35를 참조해서 설명하다. 팩 홀더(2)는 체온 조절 팩(1)을 동체에 장착하기 위한 동체 팩 홀더(80), 체온 조절 팩(1)을 목 주위에 장착하기 위한 칼라부 팩 홀더(70)로 구성된다. 또, 체온 조절 팩(1)을 다리부에 장착하기 위한 다리부 팩 홀더(90)도 갖는다.
<동체 팩 홀더>
우선, 체온 조절 팩(1)을 주로 동체에 장착하기 위한 전용의 동체 팩 홀더(80)에 대해 도 28∼3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8∼도 30은 각각 본 발명의 동체 팩 홀더(80)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도 28∼도 30에는 동체에 부착하는 동체 팩 홀더(80) 이외에, 목 둘레에 부착하는 후술하는 칼라부 팩 홀더(70)(도 34 참조)의 착용 상태도 나타내고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동체 팩 홀더(80)를 각 부분으로 분해한 것으로서, 각각 전면부 및 후면부의 표면측 및 이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서 표면은 동체 팩 홀더(80)를 착용했을 때에 신체에 접촉하는 측과 반대측의 면을 말하고, 이면은 신체에 접촉하는 측의 면을 말한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처음에, 동체 팩 홀더(80)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체 팩 홀더(80)는 흉부를 피복하는 전면부(50)와, 어깨에서 등까지를 피복하는 후면부(60)로 구성되어 있다. 후면부(60)의 표면 하부에는 옆구리를 피복하는 띠부(65)가 봉합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후면부(60)는 양 어깨부분에 숄더부(64)를 갖고 있으며, 전면부(50)는 숄더부(64)를 통해 후면부(60)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전면부(50)와 후면부(6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각 부로 분리되어 있는 것에 의해, 착용자의 체격이나 체온 조절 팩(1)의 배치 수에 따라, 동체 팩 홀더(80)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체 팩 홀더(80)는 흉부와 등의 상반부만을 피복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부나 등의 하반부도 피복할 수 있도록 길이를 바꾸어도 좋다.
동체 팩 홀더(80)의 주된 소재는 전면부(50) 및 후면부(60) 모두 메시형상 직물이다. 소재를 메시형상 직물로 하는 것에 의해, 동체 팩 홀더(80) 전체를 경량화하고, 착용자의 신체에서 방출된 열이 동체 팩 홀더(80)내에 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냉각용의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이용하는 경우, 동체 팩 홀더(80)가 물에 젖어도 마르기 쉬운 메시형상 소재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동체 팩 홀더(80)마다 얼음물에 담가 냉각할 수 있고, 단시간에 용이하게 액상이 된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고상으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메시형상 직물을 투과하여, 동체 팩 홀더(80) 전체에 물이나 공기가 대류하기 쉬운 상태로 되므로, 동체 팩 홀더(80)마다 물에 담가 식히거나, 냉장고에서 냉각할 때에는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기능 회복이 더욱 빨라진다.
전면부(50)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흉부룰 덮는 체온 조절 팩 유지부(52)로 이루어지고, 체온 조절 팩 유지부(52)의 이면에는 메시 자루(51)가 장착된다. 체온 조절 팩 유지부(52)의 표면은 도 3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어깨 부분에, 후술하는 후면부(60)의 면 패스너(95b)에 걸어 맞춰지는 면 패스너(95a)가 마련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서 전면부(50)는 후면부(60)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통체 팩 홀더(80)를 형성한다. 또한, 면 패스너(95b)와의 걸어맞춤 위치를 적절히 어긋나게 해서 맞붙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신체에 대한 전면부(50)의 위치나 신체에의 밀착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띠부(65)에 의해서, 전면부(50)가 가슴 하부 또는 복부에서 고정된다(도 28∼도 30 참조). 또한, 전면부(50)와 후면부(60)의 걸어맞춤 수단은 면 패스너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 조절 가능한 벨트를 양 어깨 부분에 부착하고, 해당 벨트의 단에 부착된 텅그(tongue)와 버클의 조합에 의해 걸어 맞추는 등, 착탈 가능하게 동체 팩 홀더(80)의 신체에의 밀착성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좋다.
체온 조절 팩 유지부(52)의 이면에는 도 3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방향에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복수의 가늘고 긴 면 패스너(97a)가 좌단에서 우단까지 균일하게, 본 실시예에서는 6개 마련되어 있다. 또, 체온 조절 팩 유지부(52)의 이면의 상하에는 한쌍의 가늘고 긴 부재인 보강 테이프(59)가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전면부(50)는 메시형상 직물이 주된 소재로 단단함이 약하기 때문에, 보강 테이프(59)에 의해서 전면부(50)가 보강된다. 또, 보강 테이프(59)는 종방향으로 봉착된 면 패스너(97a)의 말단 처리의 역할도 겸한다. 메시 자루(51)는 이면의 면 패스너(97b)(도 27의 (b) 참조)가 체온 조절 팩 유지부(52)의 면패스너(97a)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부착되므로, 체온 조절 팩 유지부(52)의 면 패스너(97a)를 따라, 메시 자루(51)의 면 패스너(97b)의 점착 위치를 상하 좌우(주로 상하 방향)로 적절히 변경할 수 있고, 메시 자루(51)를 필요한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면 패스너(97a)가 좌단에서 우단까지 균일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메시 자루(51)를 1개뿐 아니라 좌우에 2개, 혹은 좌우 상하에 복수개 배치할 수 있고, 체온 조절 팩(1)의 배치의 자유성을 확대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소화 활동의 현장 등에서는 산소 농도의 확보를 보증할 수 없기 때문에, 공기 호흡기를 배낭처럼 짊어질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가슴 벨트의 장착도 필요하기 때문에, 가슴 중앙부에 체온 조절 팩(1)은 1개밖에 장착할 수 없다. 한편, 산소 농도가 확보되어 있는 원자력 발전소의 관리구역에 있어서의 작업 등의 경우에는 공기 호흡기 장착은 필요 없으며, 방독/방진 마스크만의 부착이 일반적이다. 그 때에는 가슴 벨트에서 짊어지는 공기 호흡기의 필요가 없는 대신에 3시간에나 미치는 장시간의 계속 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체온 조절 팩(1)의 배치 스페이스에 제한은 없고, 열 흡수성이 높은 체온 조절 팩(1)을 좌우에 2개 이상 장착함으로써, 더욱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 면 패스너는 후크형상의 면 패스너와 루프형상의 면 패스너가 한 쌍으로 되어 걸어맞춤 작용을 발휘하지만, 체온 조절 팩 유지부(52)의 면 패스너(97a)는 루프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체에 접촉하는 면이 후크형상이면, 동체 팩 홀더(80)의 아래에 걸쳐 입은 의복 등에 마구 접착할 가능성도 있으며, 감촉도 나쁘기 때문이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체온 조절 팩 유지부(52)의 면 패스너(97a)가 후크형상이고, 메시 자루(51)의 면 패스너(97b)가 루프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면 패스너(97a)는 횡방향으로 배열해서 배치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메시 자루(51)의 면 패스너(97b)를 종방향으로 배치하면 좋다. 또, 면 패스너(97a)는 본 실시예에서는 6개 이용했지만, 메시 자루(51)를 적절히 유지 부착할 수 있으면 몇 개라도 좋으며, 또한 복수의 가늘고 긴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체온 조절 팩 유지부(52)의 이면 전체를 면 패스너로 해도 좋다.
후면부(60)는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시 자루(61)가 장착되는 체온 조절 팩 유지부(62)와, 동체 팩 홀더(80)를 양 어깨로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숄더부(64)를 갖는다. 체온 조절 팩 유지부(62)의 이면에는 도 3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방향에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복수의 가늘고 긴 면 패스너(94a)가 좌단에서 우단까지 균일하게, 본 실시예에서는 6개 마련되어 있다. 또, 체온 조절 팩 유지부(62)의 이면의 상하에는 한 쌍의 가늘고 긴 부재인 보강 테이프(69)가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후면부(60)는 메시형상 직물이 주된 소재로서 단단하지 않기 때문에, 보강 테이프(69)에 의해서 후면부(60)가 보강된다. 또, 보강 테이프(69)는 종방향으로 봉착된 면 패스너(94a)의 말단 처리의 역할도 겸한다. 메시 자루(61)는 이면의 면 패스너(94b)(도 27의 (b) 참조)가 체온 조절 팩 유지부(62)의 면 패스너(94a)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부착된다. 이 때문에, 체온 조절 팩 유지부(62)의 면 패스너(94a)를 따라, 메시 자루(61)의 면 패스너(94b)의 점착 위치를 상하 좌우(주로 상하 방향)로 적절히 변경할 수 있고, 메시 자루(61)를 필요한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면 패스너(94a)가 좌단에서 우단까지 균일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메시 자루(61)를 1개 뿐만 아니라 좌우에 2개, 혹은 좌우 상하에 복수개 배치할 수 있고, 체온 조절 팩(1)의 배치의 자유성을 확대할 수 있다. 또, 면 패스너는 전면부(50)와 마찬가지로, 체온 조절 팩 유지부(62)의 면 패스너(94a)는 루프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체온 조절 팩 유지부(62)의 면 패스너(94a)가 후크형상이고, 메시 자루(61)의 면 패스너(94b)가 루프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면 패스너(94a)는 횡방향으로 배열해서 배치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메시 자루(61)의 면 패스너(94b)를 종방향으로 배치하면 좋다. 또, 면 패스너(94a)는 본 실시예에서는 6개 이용했지만, 메시 자루(61)를 적절히 유지 부착할 수 있으면 몇 개라도 좋고, 또 복수의 가늘고 긴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체온 조절 팩 유지부(62)의 이면 전체를 면 패스너로 해도 좋다.
한 쌍의 숄더부(64)는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온 조절 팩 유지부(62)의 양 어깨에 대응하는 부위의 위쪽으로 연신해서 마련되어 있다. 숄더부(64)의 이면에는 전면부(50)의 면 패스너(95a)와 걸어 맞추는 방형의 면 패스너(95b)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전면부(50)와 후면부(60)가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면 패스너(95b)는 숄더부의 길이 방향의 이면 전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면 패스너(95a)와 면 패스너(95b)의 점착 위치를 적절히 어긋나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체형이나 설치하는 체온 조절 팩(1)의 수량, 두께 등에 따라, 동체 팩 홀더(80)의 신체에의 밀착성을 조정하거나, 동체 팩 홀더(80)가 피복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착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독립된 전면부(50)와 후면부(60)를 전면부(50)의 양 어깨에 상당하는 부분과 후면부(60)의 양 어깨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신축 자유로운 2개의 평편한 끈형상체(55)(고무줄 등)로 접속해도 좋다. 끈형상체(55)의 양단은 각각 전면부(50)의 양 어깨에 상당하는 부분 및 후면부(60)의 양 어깨에 상당하는 부분에 봉착되어 있다. 또한, 전면부(50) 및 후면부(60)의 양 어깨 부분에 구멍을 마련하여, 이 구멍에 끈형상체(55)를 통과시켜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 착용자는 2개의 끈형상체(55) 사이에 목을 통과시켜 착용하고, 그 위에서, 숄더부(64)에 의해, 체격 등에 맞게 전면부(50)와 후면부(60)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장척형상의 띠부(65)는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부(60)의 체온 조절 팩 유지부(62)의 표면측 하부에, 띠부(65)의 중앙 부분을 중첩시키도록 봉합되어 있다. 띠부(65)의 표면은 후술하는 칼라부 팩 홀더(70)의 칼라 벨트(73)를 부착하기 위한 후크형상의 면 패스너(91)를 걸어 맞출 수 있도록, 표면 전체가 루프형상의 패스너 포면으로 되어 있다. 또, 띠부(65)의 이면도 표면과 마찬가지로, 전면이 루프형상의 패스너 직물면으로 되어 있고, 옆구리에 배치하는 메시 자루(66)를 임의의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띠부(65)의 표면 및 이면의 면 패스너 직물면이 루프형상인 것은 띠부(65)에는 사람의 팔이나 재킷 등이 빈번히 닿기 때문에, 닿는 느낌이 좋고, 다른 의복 등이 닿아도 무턱대고 접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띠부(65)의 면 패스너 포면은 후크형상이어도 좋고, 또 이면 전체는 면 패스너 직물면으로 하지 않고, 가늘고 긴 부재의 면 패스너를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개 배열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띠부(65)의 형상은 1개의 장척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체온 조절 팩 유지부(62)의 양측 하부에, 2개로 분리한 한 쌍의 띠부(65)를 각각 봉착해도 좋다.
띠부(65)의 이면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후크형상의 면 패스너(92)가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서, 띠부(65)가 착용자의 가슴 아래 부분 또는 배 부분을 덮었을 때에 몸의 앞부에 있어서, 한쪽의 단부의 후크형상의 면 패스너(92)를, 띠부(65)의 타단측의 표면의 루프형상의 패스너 직물면에 걸어 맞추고, 전면부(50)를 가슴 아래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도 28 참조). 띠부(65)의 양단부에 면 패스너(92)가 봉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어느 쪽의 단부를 바로 앞으로 해도, 타단측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면 패스너(92)를 점착하는 위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체격에 따라 띠부(65)의 밀착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띠부(65)는 그 긴쪽방향에 탄성이 있는 신축 가능한 직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격 등에 맞게 가일층의 조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흉부, 등, 옆구리에 배치하는 메시 자루(51, 61, 66)는 체온 조절 팩 유지부(52, 62) 및 띠부(65)의 이면에 있어서 어느 정도 자유롭게 배치 장소를 선정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는 배치 장소 뿐만 아니라, 체온 조절 팩(1)의 배치 수량이나 팩 크기도 자신이 필요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방호복이나 작업복의 아래에 동체 팩 홀더(80)를 착용하는 경우, 작업용의 장비를 장착하는 장소를 피해 메시 자루(51, 61 또는 66)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체온 조절 팩(1)이 이들 장비에 간섭해서 안전성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체 팩 홀더(80)는 등산용의 하네스(harness)와 같이 착용자가 신체에 맞게 조정하므로, 체격을 불문하고, 밀착성을 조절할 수 있다.
<칼라부 팩 홀더>
다음에, 체온 조절 팩(1)을 목 주위에 장착하기 위한 전용의 칼라부 팩 홀더(70)에 대해 도 25, 도 28∼30 및 도 3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칼라부 팩 홀더(70)는 직사각형이며,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 둘레 전용의 메시 자루(71)와, 메시 자루(71)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접속되는 칼라 벨트(73)를 갖는다.
목 주위 전용의 메시 자루(71)의 내부에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긴 체온 조절 팩(1'a)이 목 바로 뒤에 해당하는 위치(메시 자루(7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고, 체온 조절 팩(1'a)보다 길이가 짧은 한 쌍의 체온 조절 팩(1'b)이 체온 조절 팩(1'a)의 양측의 목 측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온 조절 팩(1'a)에는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가 가로로 5개 연결된 높이 70mm의 체온 조절 팩을 이용하고, 체온 조절 팩(1'b)에는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가 가로로 3개 연결된 높이 50mm의 체온 조절 팩을 이용하고 있다. 복수의 체온 조절 팩(1')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체온 조절 팩(1'a)과 체온 조절 팩(1'b)의 경계에서 메시 자루(71)가 구부러지므로, 체온 조절 팩(1')을 목 주위의 형태에 맞게 부착하기 쉬워진다. 또, 목 양측의 체온 조절 팩(1'b)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의 목의 움직임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다. 또한, 체온 조절 팩(1')의 형상이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의 직사각형의 체온 조절 팩(1')을 메시 자루(71)에 밀봉해도 좋다. 또, 도 3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 동일한 두께의 제 2 실시형태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복수개 배열해서 메시 자루(71)에 밀봉해도 좋다. 또, 이 가늘고 긴 자루체(322)는 각각 크기, 길이를 바꾸어 배열할 수도 있다.
메시 자루(71)의 소재는 메시형상 직물이다. 따라서, 체온 조절 팩(1')을 냉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체에서 방출된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 체온 조절 팩(1')을 얼음물에 담가 고상으로 되돌릴 때에는 메시 자루(71)가 메시 소재이면, 일일이 체온 조절 팩(1')을 꺼내지 않고 칼라부 팩 홀더(70)마다 얼음물에 담가 냉각할 수 있다. 한편, 체온 조절 팩(1')을 보온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체온 조절 팩(1')에서 방출된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신체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쌍의 칼라 벨트(73)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시 자루(71)의 양단부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또, 메시 자루(71)와 접속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72)에는 띠부(65)의 루프형상의 면 패스너 직물면과 걸어 맞추기 위한 후크형상의 면 패스너(91)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칼라 벨트(73)는 착용자의 흉부 부근에서 비스듬히 교차하여 각각의 단부(72)가 띠부(65)의 표면에 달하여, 면 패스너(91)를 통해 접속되도록 적당한 길이로 되어 있다. 또, 칼라 벨트(73)는 그 긴쪽 방향에 탄성이 있는 신축 가능한 직물로 띠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칼라 벨트(73)의 단부(72)를 띠부(65)의 표면의 어느 위치에서나 착탈 가능하게 접착할 수 있는 것 및 칼라 벨트(73)가 신축 가능한 것에 의해, 착용자의 체격이나 필요로 되는 밀착도에 따라, 목 주위의 칼라부 팩 홀더(70)의 밀착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칼라 벨트(73)를 숄더부(64)에 붙박아 움직이지 않게 해도 좋다. 또, 목의 움직임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 목 주위에 빙 돌려 고정시켜도 좋다.
<다리부 팩 홀더>
다음에, 체온 조절 팩(1)을 다리부에 장착하기 위한 전용의 다리부 팩 홀더(90)에 대해, 도 3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다리부 팩 홀더(90)는 직사각형이며,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주위 전용의 메시 자루(84)와, 메시 자루(84)의 한쪽에만 일체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다리 벨트(83)를 갖는다.
다리 주위 전용의 메시 봉투(84)의 내부에는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22)가 가로로 5개분 연결된 체온 조절 팩(1)이 밀봉되어 있다. 단, 체온 조절 팩(1)의 형상이나 수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가늘고 긴 자루체(322)를 각각 크기, 길이를 바꾸어 배열해도 좋다.
메시 자루(84)의 소재는 메시형상 직물이다. 따라서, 체온 조절 팩(1)을 신체의 보온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체온 조절 팩(1)에서 방출된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신체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체온 조절 팩(1)을 신체의 냉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체에서 방출된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 체온 조절 팩(1)을 얼음물에 담가 고상으로 되돌릴 때에는 메시 자루(84)가 메시 소재이면, 일일이 체온 조절 팩(1)을 꺼내지 않고 다리부 팩 홀더(90)마다 얼음물에 담가 냉각할 수 있다.
다리 벨트(83)는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시 자루(84)의 한쪽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또, 다리 벨트(83)의 메시 자루(84)와 접속하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82)에는 후크형상의 면 패스너(81)가 마련되어 있다. 또, 다리부 팩 홀더(90)의 신체와 접하지 않는 측의 면은 루프형상의 면 패스너로 되어 있다. 착용자는 도 36과 같이 다리부 팩 홀더(80)를 다리부에 둘러 감고, 다리 벨트(83)의 면 패스너(81)를 다리부 팩 홀더(90)의 면 패스너에 걸어 맞추어, 자유로운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붙박아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다리 벨트(83)는 그 긴쪽 방향으로 탄성이 있는 신축 가능한 옷감으로 띠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띠 벨트(83)의 단부(82)를 다리부 팩 홀더(90)의 표면의 어느 위치에서나 착탈 가능하게 접착할 수 있는 것 및 띠 벨트(83)가 신축 가능한 것에 의해, 착용자의 체격이나 필요로 되는 밀착도에 따라, 다리 주위의 다리부 팩 홀더(90)의 밀착성을 조절할 수 있다.
단, 다리 벨트(83)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시 자루(84)의 일단에 1개의 다리 벨트(83)가 접속되고, 메시 자루(84) 자체가 면 패스너로 되어 있으며, 다리 벨트(83)의 면 패스너(81)와 메시 자루(84) 자체가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 다리 벨트(83)의 면 패스너(81)가 루프형상이고, 다리부 팩 홀더(90)의 면 패스너가 후크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한랭기에 있어서의 옥외 작업 또는 난방 기구가 없는 작업장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작업자에 있어서 상반신의 보온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다리부의 효율적인 보온이 생각대로 되지 않고, 발밑으로부터의 냉기를 혹독하게 느낀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다리부 팩 홀더(90)는 주로 보온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체온 조절 팩(1)은 액상의 상태에서도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균일하게 다리부를 보온할 수 있고, 또한 고액상 변화 재료가 고상으로 되어도,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몸의 형태를 따라 구부러져 있던 것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단, 다리부 팩 홀더(90)에는 상기와 같이 신체의 냉각 목적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이하, 상술한 팩 홀더(2) 전체의 이점을 설명한다.
우선, 냉각 목적으로 사용하는 체온 조절 팩(1)에 대해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체온 조절 팩(1)에는 고액상 변화 재료(10)와 함께 단열재(30)도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팩 홀더(2)에 단열 기능을 갖게 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체온 조절 팩(1)내의 고액상 변화 재료(10)를 액상에서 고상으로 되돌릴 때의 방법은 시간적으로 짧은 쪽부터 적으면
(1) 많은 양의 얼음물에 담근다.
(2) 강 등의 흐르는 물에 담근다.
(3) 냉장고에 넣는다.
(4) 22℃ 이하의 실온에서 방치한다.
로 된다. 종래의 단열 기능을 가진 팩 홀더의 경우에는 체온 조절 팩을 팩 홀더에 넣은 채 냉각하고자 해도,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1) 및 (2)의 방법에서는 물에 담그기 어렵고, 팩 홀더 자체가 수분을 포함하여 무거워진다. 또, (3)의 방법에서는 팩 홀더가 부피가 늘어나는 분만큼, 냉장고의 스페이스를 불필요하게 차지해 버린다. 또한, (4)의 방법에서는 냉각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1) 등의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방호복 등의 아래에 팩 홀더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호흡 보호구 그 밖의 신체 보호구를 추가하기 때문에, 의복 전체가 무거워지는 경향에 있다. 따라서, 팩 홀더 자체에는 여분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고, 가능한 한 부피를 크게 하지 않고 경량의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호흡 기구 등의 장비에는 필요한 하네스가 필요하게 되지만, 하네스에는 원래 패드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팩 홀더 자체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것은 불필요한 중복이다.
이들 문제점을 감안해서, 본 발명의 팩 홀더(2) 자체에는 단열 기능을 갖게 하지 않고, 체온 조절 팩(1)에 단열재를 밀봉함으로써, 팩 홀더(2)를 경량화하고, 부피를 크게 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팩 홀더(2)가 물에 젖어도 마르기 쉬운 메시형상 소재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팩 홀더(2)마다 얼음물에 담가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메시형상 직물을 통해, 팩 홀더(2) 전체에 물이나 공기가 대류하기 쉬운 스켈튼(skeleton) 상태로 되므로, 고액상 변화 재료(10)의 기능 회복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팩 홀더(2) 자체의 경량화, 슬림화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온 조절 팩(1)의 배치 장소, 배치 수, 팩 사이즈의 선정이 자유롭기 때문에, 호흡 보호구 등의 필요 설비에 간섭해서 안전성을 저해할 위험이 적다. 또, 통상 일정 시간의 작업을 하고 있는 착용자가 특별히 긴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시 자루를, 사이즈가 큰 체온 조절 팩(1)이 밀봉된 것으로 교환함으로써 용이하게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고액상 변화 재료로 이루어지는 냉각재를 장착하고, 하복부를 제외한 상반신에 밀착시켜, 그 위에 열이 달아날 개소가 없는 의복(주로, 방호복 등에 상당하는 것)을 착용하는 내구 테스트를 실행한 결과, 체감으로서 「1개소라도 좋으니까 찬 개소를 원한다. 1개소보다는 가슴과 등에 2개소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2개소보다는 목이나 옆구리에도 차가운 개소를 원한다. 또, 각 부위를 가능한 한 넓게 차갑게 하고 싶지만, 금방 녹기보다는 열 흡수 면적이 좁아도 장시간, 열 흡수 효과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팩 홀더(2)는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임의의 부위에 임의의 사이즈의 체온 조절 팩(1)을 배비할 수 있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 체온 조절 팩 2; 팩 홀더
10; 고액상 변화 재료 20; 이너 팩
22;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 30; 단열재
40; 아우터 팩 50; 전면부
60; 후면부 65; 띠부
70; 칼라부 팩 홀더 80; 동체 팩 홀더
90; 다리부 팩 홀더 100; 체온 조절 팩
322; 가늘고 긴 자루체

Claims (11)

  1. 내부에 고액상 변화 재료가 충전되는 체온 조절 팩에 있어서,
    상기 체온 조절 팩은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자루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자루체의 내부에는 상기 고액상 변화 재료가 빈틈없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조절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체의 각각은 가늘고 긴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조절 팩.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루체는 각각 독립된 가늘고 긴 자루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조절 팩.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루체는 한 쌍의 이너 시트의 주위의 가장자리부를 맞붙이는 동시에, 평행하게 복수 개소 용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가늘고 긴 자루형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조절 팩.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조절 팩의 한쪽 면은 단열재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조절 팩.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상 변화 재료는 황산나트륨, 초산나트륨 혹은 노멀 파라핀 중의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조절 팩.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온 조절 팩을 신체측에 부착하는 동체 팩 홀더로서,
    상기 체온 조절 팩은 임의의 장소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체 팩 홀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팩 홀더는 착용자의 흉부룰 덮는 전면부와, 착용자의 등을 덮는 후면부를 갖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는 각각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체 팩 홀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는 각각 신축 가능한 끈형상체에 의해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체 팩 홀더.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체온 조절 팩을 목 주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부 팩 홀더.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체온 조절 팩을 다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부 팩 홀더.

KR1020137019569A 2010-12-24 2011-12-21 체온 조절 팩 및 해당 체온 조절 팩을 부착하는 팩 홀더 KR201400208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8725 2010-12-24
JP2010288725 2010-12-24
JPJP-P-2011-132056 2011-06-14
JP2011132056A JP2012143533A (ja) 2010-12-24 2011-06-14 体温調節パック及び該体温調節パックを取り付けるパックホルダー
PCT/JP2011/079611 WO2012086676A1 (ja) 2010-12-24 2011-12-21 体温調節パック及び該体温調節パックを取り付けるパックホルダ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853A true KR20140020853A (ko) 2014-02-19

Family

ID=4631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569A KR20140020853A (ko) 2010-12-24 2011-12-21 체온 조절 팩 및 해당 체온 조절 팩을 부착하는 팩 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89680A1 (ko)
EP (1) EP2657629A1 (ko)
JP (1) JP2012143533A (ko)
KR (1) KR20140020853A (ko)
CA (1) CA2822046A1 (ko)
WO (1) WO20120866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033Y1 (ko) * 2020-08-26 2021-07-20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냉온팩 및 이를 이용한 냉온조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4510B2 (en) 2006-04-20 2023-06-27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Noninvasive, regional brain thermal stimuli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US9211212B2 (en) 2006-04-20 2015-12-15 Cerêv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ting sleep
US8425583B2 (en) 2006-04-20 2013-04-23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reating insomnia by inducing frontal cerebral hypothermia
US20150238725A1 (en) * 2008-10-20 2015-08-27 Cereve, Inc. Non-invasive brain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for enhancing sleep
JP2013145780A (ja) * 2012-01-13 2013-07-25 Panasonic Corp 発電デバイス
JP3179185U (ja) * 2012-08-07 2012-10-18 株式会社ベガコーポレーション 冷却マット
ES2868181T3 (es) 2013-01-02 2021-10-21 Ebb Therapeutics Inc Sistemas para mejorar el sueño
MX2015008309A (es) * 2013-01-04 2015-11-11 Evonik Oil Additives Gmbh Preparacion de polimeros de baja viscocidad.
US20140379058A1 (en) * 2013-06-24 2014-12-25 Ampac Enterpris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Head Injury
FR3012588A1 (fr) * 2013-10-25 2015-05-01 Daniel Cholet Plaque de compression pour pile thermique a usage de bloc accumulateur de froid
CN103637409A (zh) * 2013-11-20 2014-03-19 苏州工业园区友顺制衣厂 一种自动发热功能的上衣
KR102236776B1 (ko) * 2014-09-05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이용하는 냉장 장치 및 상기 냉장 장치의 제어 방법
CN107708985B (zh) * 2015-08-04 2019-08-3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隔热片材、使用该隔热片材的带靠背座椅以及防寒衣物
US20170042259A1 (en) * 2015-08-10 2017-02-16 Cheryl Ann Ball Wearable Cooling Apparatus
US11964795B2 (en) * 2015-10-06 2024-04-23 Cold Chain Technologies, Llc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temperature-control members and kit for use in making the device
US10583978B2 (en) 2015-10-06 2020-03-10 Cold Chain Technologies, Llc Pallet cover compromising one or more temperature-control members and kit for use in making the pallet cover
CA3001048C (en) 2015-10-06 2020-11-24 Cold Chain Technologies, Inc. Pallet cover comprising one or more temperature-control members and kit for use in making the pallet cover
US11591133B2 (en) 2015-10-06 2023-02-28 Cold Chain Technologies, Llc Pallet cover comprising one or more temperature-control members and kit for use in making the pallet cover
USD773681S1 (en) * 2015-11-04 2016-12-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fant warming pad
US10687632B1 (en) 2016-04-03 2020-06-23 Soothsoft Innovations Worldwide, Inc. PCM containing liquid saturated foam device
US20170296381A1 (en) * 2016-04-14 2017-10-19 Paul Fox Sportswear cooling system
DE102016108829A1 (de) * 2016-05-12 2017-11-16 Laurens G. J. Wolters Wärmespeicheranordnung
PL3249335T3 (pl) * 2016-05-27 2021-11-08 Axiotherm GmbH Element magazynowania utajonego, kapsułkowanie dla materiału magazynowania utajonego i magazyn utajony
EP3634881B1 (en) * 2017-05-15 2024-04-03 Cold Chain Technologies, LLC Pallet cover comprising temperature-control members
JP6976079B2 (ja) * 2017-05-19 2021-12-01 株式会社鎌倉製作所 衣服
US10660791B2 (en) * 2017-09-11 2020-05-26 Hillel Zakai Personal cool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907613B1 (ko) 2017-09-20 2018-10-12 임재록 엉덩이 보호대
US11999559B2 (en) 2018-08-10 2024-06-04 Cold Chain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vely covering temperature sensitive products
US20200300551A1 (en) * 2019-03-21 2020-09-2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Heat exchanger temperature change rate control
US11058573B2 (en) * 2019-05-31 2021-07-13 Jim E. Fulbrook Heating / cooling body treatment therapy pad system
US20210069045A1 (en) * 2019-09-11 2021-03-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ifferential-melting point PCM as safety indicator for warming devices
JP2021059804A (ja) * 2019-10-04 2021-04-15 Next Innovation合同会社 常温相転移系熱平衡型保冷手段
CN113456339B (zh) * 2021-05-24 2023-12-05 丰都县疾病预防控制中心(丰都县健康教育中心) 一种医用人体降温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0789A (en) * 1975-07-22 1976-04-20 Kansas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Dry ice cooling jacket
US4033354A (en) * 1975-12-05 1977-07-05 Rosa Maria I De Cooling garment
JPS5787276U (ko) * 1980-11-19 1982-05-29
US4384369A (en) * 1981-05-11 1983-05-24 Lyndonn Prince Exercise suit
JPS59180182U (ja) * 1983-05-19 1984-12-0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断熱カバ−付き保冷具
US4576169A (en) * 1984-07-26 1986-03-18 Williams Annie J Comfort collar
US4856294B1 (en) * 1988-02-04 1997-05-13 Mainstream Engineering Corp Micro-climate control vest
US5072455A (en) * 1989-02-27 1991-12-17 St Ours Thomas A Heat-intercepting garment or blanket
US5074285A (en) * 1989-11-20 1991-12-24 Wright Linear Pump, Inc. Thermal applicator method
US5146625A (en) * 1991-03-27 1992-09-15 Steele And Associates, Inc. Cooling vest
US5088549A (en) * 1991-06-13 1992-02-18 Warren Locke Franz Tying neckband heat transfer device
US5265669A (en) * 1991-06-13 1993-11-30 Schneider Mark R Tying neckband heat transfer device
JPH0522514U (ja) * 1991-07-24 1993-03-23 日本自動車整備商工組合連合会 サロペツト・ズボン
US5305471A (en) * 1992-02-20 1994-04-26 Steele And Associates, Inc. Insulated cooling vest
US6004662A (en) * 1992-07-14 1999-12-21 Buckley; Theresa M. Flexible composite material with phase change thermal storage
US5295949A (en) * 1992-09-18 1994-03-22 Charles Hathaway Modular neck apparatus
US5484448A (en) * 1993-05-07 1996-01-16 Steele And Associates, Inc. Garment and method for cooling body temperature
IT230352Y1 (it) * 1993-07-15 1999-06-02 Roberto Ragonesi Dispositivo per il raffreddamento localizzato di parti del corpo umano
US5415222A (en) * 1993-11-19 1995-05-16 Triangle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Micro-climate cooling garment
JPH08199408A (ja) * 1995-01-18 1996-08-06 Ashimori Ind Co Ltd 冷却服
US5692238A (en) * 1996-06-19 1997-12-02 Watson, Jr.; Jerry O. Body comforter
US6125645A (en) * 1997-06-12 2000-10-03 Horn; Stephen T. Moisture removal phase shift personal cooling Garment
US6185744B1 (en) * 1998-01-26 2001-02-13 Mike Poholski Thermal vest
US6185742B1 (en) * 1998-10-23 2001-02-13 Brian Doherty Cool garment
US6189149B1 (en) * 1999-12-16 2001-02-20 Jeffrey B. Allen Temperature change vest
JP3655835B2 (ja) * 2001-04-10 2005-06-02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冷却機能を有する作業用の衣服
US6755852B2 (en) * 2001-12-08 2004-06-29 Charles A. Lachenbruch Cooling body wrap with phase change material
JP2003328213A (ja) 2002-05-10 2003-11-19 Aichi Corp 冷却機能を有する衣服、冷却材及びその使用方法
US6918236B2 (en) * 2002-08-14 2005-07-19 Ortho-Care, Inc. Breathable equine leg wrap
US7065983B2 (en) * 2003-06-06 2006-06-27 Albert Long Trinh Adhesive ice bag device
US7096687B2 (en) * 2003-06-06 2006-08-29 Albert Long Trinh Non-constrictive ice bag device
AU2003903746A0 (en) * 2003-07-18 2003-07-31 Rmit University Cooling garment
US6931875B1 (en) * 2004-04-19 2005-08-23 Jeffrey Allen Cooling vest system
US20060064147A1 (en) * 2004-07-02 2006-03-23 Almqvist Hans O Cooling garment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in its extremity portions
US8499367B2 (en) * 2004-07-02 2013-08-06 Createc Consulting, Llc Cooling garment having phase change material in its extremity portions
JP2007169858A (ja) * 2005-12-26 2007-07-05 Aitosu Kk 作業用衣服
US8449588B2 (en) * 2006-09-25 2013-05-28 Stephen T. Horn and Phyllis Horn Joint Tenure IP Common Duration and comfort in cooling vest
US7762096B2 (en) * 2006-12-15 2010-07-27 Fuchs Mark D Temperature control vest having visible ice sheets composed of refrigerant cubes
US20080208299A1 (en) * 2007-02-28 2008-08-28 Sylvain Martineau Thermo-therapeutic cushion
US8585746B2 (en) * 2007-08-29 2013-11-19 Nike, Inc. Article of apparel for temperature moderation
WO2009054081A1 (ja) * 2007-10-21 2009-04-30 Shin Kiyokawa 蓄熱式発汗装置
JP2009127147A (ja) * 2007-11-26 2009-06-11 Agri Soken:Kk 保冷服
US20090216305A1 (en) * 2008-02-22 2009-08-27 Larry Herman Bonner Thermal, outer layer leg wrap device
AP2010005487A0 (en) * 2008-05-12 2010-12-31 Embrace A system and method to regulate temperature.
JP2010255152A (ja) 2009-04-28 2010-11-11 Alpha Giken:Kk 保冷体及び衣服
US9265654B2 (en) * 2009-05-11 2016-02-23 Steven H. Gallaher Cooling article of clothing and method of use for same
US8950207B2 (en) * 2010-03-30 2015-02-10 Hyper Wear, Inc. Device for stimulating adaptive thermogenesis in brown adipose tissue
US20110239346A1 (en) * 2010-04-05 2011-10-06 Brian Doherty Microclimate System for Protective Body Armor
US20120167288A1 (en) * 2011-01-04 2012-07-05 Yishuo Chen Thermal Vest
US20120285191A1 (en) * 2011-05-09 2012-11-15 Gallaher Steven H Cooling Cloth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033Y1 (ko) * 2020-08-26 2021-07-20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냉온팩 및 이를 이용한 냉온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7629A1 (en) 2013-10-30
JP2012143533A (ja) 2012-08-02
WO2012086676A1 (ja) 2012-06-28
US20130289680A1 (en) 2013-10-31
CA2822046A1 (en)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0853A (ko) 체온 조절 팩 및 해당 체온 조절 팩을 부착하는 팩 홀더
CA2593685C (en) Thermotherapeutic pad
US7243509B2 (en) Thermal therapeutic method
US6855410B2 (en) Phase change material thermal capacitor clothing
CA2532560A1 (en) Cooling garment
US8292937B2 (en) Therapeutic pack
CA2593678C (en) Combination tension wrap
US20110029051A1 (en) Upper body thermal relief apparatus and method
US2015029739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osable cold pack and related disposable cold pack containing phosphate ammonium nitrate
KR20140141161A (ko)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아이스 목 밴드
US20100319382A1 (en) Blanket That Keeps A Person&#39;s Body Cool In The Hot Sun Complete With Matching Bag
US10179075B1 (en) Shoulder thermal therapy wrap
US20190142629A1 (en) Cooling pack and therapeutic tool used in cooling therapy
US20180071139A1 (en) Body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KR20100093230A (ko) 나노 쿨러 목 밴드
KR200455235Y1 (ko) 환자용 보냉팩
JP4361413B2 (ja) ペット用腹巻
JP2011038214A (ja) 子供用首まき式保冷具
US20220354088A1 (en) Cooling structure or assembly using phase change material
JP2010255152A (ja) 保冷体及び衣服
CN215286110U (zh) 一种寒冷情况下自发热保暖套装
JP3147806U (ja) 子供用巻き付け式保冷具
CN219166860U (zh) 一种便于更换的冰袋外层保护装置
JP3207680U (ja) スカーフ
JP3146616U (ja) 作業用冷却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