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218A -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218A
KR20140019218A KR1020130079085A KR20130079085A KR20140019218A KR 20140019218 A KR20140019218 A KR 20140019218A KR 1020130079085 A KR1020130079085 A KR 1020130079085A KR 20130079085 A KR20130079085 A KR 20130079085A KR 20140019218 A KR20140019218 A KR 20140019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image post
image
conten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123B1 (ko
Inventor
함철희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0631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21566A1/en
Priority to EP13177031.5A priority patent/EP2693426A1/en
Priority to CN201310328629.4A priority patent/CN103581745B/zh
Priority to US13/957,845 priority patent/US9361860B2/en
Publication of KR20140019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4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 G09G5/28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for enhancement of character form, e.g. smo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기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들을 렌더링하여 생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영상 후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Display apparatus, image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ost-processing of content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마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웹 서버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의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렌더링하고, 이에 따라 생성된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GIF(GraphicsInterchange Format) 이미지, 그래픽 렌더링, 텍스트,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 요소들 중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와 같은 구성 요소는 데이터 용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압축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압축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영상 복원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 같은 영상 복원 과정에서 블러킹 아티펙트(Blocking Artifact) 혹은 링잉 아티펙트(Ringing?Artifact)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렌더링를 수행한 후, 랜더링을 통해 생성된 컨텐츠에 일괄적으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종래의 영상 후처리 방식을 적용할 경, 동영상이나 JPEG 이미지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아티팩트가 감소되지만, 텍스트와 같은 구성 요소의 경우, 텍스트의 가독성(Readability) 및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영상 후처리 적용이 가능한 기술 개발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영상 후처리를 적용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기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들을 렌더링하여 생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후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 후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1 및 제2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제1 그룹은,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그룹은, 그래픽 렌더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그룹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그룹으로 분류된 구성 요소 중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및 JPEG 이미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후처리 방식은, 세부 개선(Detail Enhancement), 컬러 개선(Color Enhancement), 잡음 제거(Noise reduction), 블러킹 아티펙트 제거(Blocking Artifact Reduction), 물결현상 제거(Ringing Artifact Reduction), 선명도 향상, 비디오 디인터레이싱(Video Deinterlacing)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Frame Rate Conversion)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웹 서버이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된 웹페이지 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후처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을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분류부,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후처리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 후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 분류부는,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1 및 제2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해서만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 후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서버에서 수신한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들을 렌더링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 정보는,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1 및 제2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제1 그룹은,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그룹은, 그래픽 렌더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기저장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그룹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장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그룹으로 분류된 구성 요소 중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및 JPEG 이미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후처리 방식은, 세부 개선(Detail Enhancement), 컬러 개선(Color Enhancement), 잡음 제거(Noise reduction), 블러킹 아티펙트 제거(Blocking Artifact Reduction), 물결현상 제거(Ringing Artifact Reduction), 선명도 향상, 비디오 디인터레이싱(Video Deinterlacing)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Frame Rate Conversion)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웹 서버이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된 웹페이지 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후처리 장치에서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을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기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나머지 구성요소를 제1 및 제2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해서만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영상 후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웹페이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후처리 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후처리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후처리 장치에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보다?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영상 처리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디스플레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및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시 모듈이 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와이파이(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20)는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와 같은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 장치인 외부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는 웹페이지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버가 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영상 후처리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그래픽 렌더링, 텍스트,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기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형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영상 후처리부(130)를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부(140)는 영상 후처리부(130)를 통해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들을 렌더링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영상 후처리 방식이란,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JPEG, MPEG 등의 영상과 같이 압축이 적용된 구성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코딩시 발생하는 아티펙트를 제거하거나 화질 개선을 위해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영상 후처리 방식은 세부 개선(Detail Enhancement), 컬러 개선(Color Enhancement), 잡음 제거(Noise reduction), 블러킹 아티펙트 제거(Blocking Artifact Reduction), 물결현상 제거(Ringing Artifact Reduction), 선명도 향상, 비디오 디인터레이싱(Video Deinterlacing)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Frame Rate Conversion)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영상 후처리 방식은 공지된 기술이기에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는 실시예에 따라, 웹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는 웹페이지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웹페이지 컨텐츠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그래픽 렌더링, 텍스트,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한 소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한 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수신한 컨텐츠의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컨텐츠에 대한 구성 요소들이 파악되면, 전술한 영상 후처리 방식들로부터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수신한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이후, 제어부(140)는 분류된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영상 후처리부(13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수신한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저장부(140)에 기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1 및 제2 그룹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제1 그룹은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를 포함하며, 제2 그룹은 그래픽 렌더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처리부(130)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에 대해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그룹에 속하는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한편,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조건 정보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는 GIF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동영상 이미지, 그래픽 렌더링 및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중 GIF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그래픽 렌더링, 텍스트,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 요소들 중,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는 데이터 전송량을 적게하기 위해서 압축 기법을 통해 압축되어 전송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버로부터 압축되어 전송된 동영상 이미지, JEPG 이미지 등의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복원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 같은 영상 복원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할 경우, 해당 동영상 이미지나 JEPG 이미지에 블러킹이나 물결 아티펙트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같은 블러킹이나 물결 아티펙트를 제거하기 위해서, 블러킹 아티펙트 제거 및 물결 현상 제거와 같은 영상 후처리 방식이 적용된다.
한편,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의 구성 요소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생성되는 구성 요소이다. 즉,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와 같은 구성 요소는 별도의 압축 변환을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동영상 이미지, JEPG 이미지와 같이 영상 복원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와 같은 구성 요소는 동영상 이미지, JEPG 이미지와 같은 구성 요소에서 발생하는 요소들을 제거하기 위한 영상 후처리 방식이 불필요할 수 있다.
이 같은 이유에 따라,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 방식이 필요한 구성 요소와 영상 후처리 방식이 불필요한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수신된 컨텐츠의 소스 정보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파악되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나머지 구성 요소를 구분한다. 여기서, 나머지 구성 요소는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로부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가 구분되면, 제어부(140)는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구성 요소가 제1 및 제2 그룹으로 분류되면, 영상 후처리부(130)는 제1 및 제2 그룹 중 제1 그룹 내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50)는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며, 영상 후처리부(130)는 그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상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예와 같이, 동영상 이미지나 JEPG 이미지에 블러킹이나 물결 아티펙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블러킹 아티펙트 현상이란, JPEG와 같은 블록 기반의 영상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각 불록 경계 부분에서 밝기의 불연속성인 블록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물결 아티펙트 현상이란,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을 재생할 시, 영상에 포함된 에지 주변에 하얀 그림자와 같은 진동성 무늬가 발행하는 현상 즉, 영상의 어긋남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플래쉬 애니메이션 혹은 동영상 이미지의 경우, 블러킹 아티펙트 제거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이 매칭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GIF 이미지 혹은 JEPG 이미지의 경우, 블러킹 아티펙트 제거 및 물결 현상 제거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이 매칭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150)에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적합한 영상 후처리 방식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후처리부(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상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후처리부(13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50)에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이 저장되어 있어, 제어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수신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후처리부(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제1 및 제2 그룹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후처리부(130)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가 수행되면, 제어부(140)는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들을 렌더링(Rendering)하여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구성 요소들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된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를 통해 포털 사이트와 같은 웹페이지 컨텐츠를 수신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와 같이, 포털 사이트에 대한 웹페이지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한 후, 영상 후처리된 웹페이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웹페이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서버와 같이 웹페이지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웹페이지 컨텐츠가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수신한 웹페이지 컨텐츠의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웹페이지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웹페이지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는 GIF 이미지(210), 그래픽 렌더링(220), 텍스트(230), JPEG 이미지(240), 플래쉬 애니메이션(250) 및 동영상 이미지(26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웹페이지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이 확인되면, 제어부(140)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웹페이지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GIF 이미지(210), JPEG 이미지(240), 플래쉬 애니메이션(250) 및 동영상 이미지(260)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래픽 렌더링(220) 및 텍스트(230)를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그룹으로 분류되면, 영상 후처리부(130)는 분류된 제1 및 제2 그룹 중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만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50)는 서버에서 생성된 구성 요소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후처리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제1 그룹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의 영상 후처리를 상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부(130)는 GIF 이미지(210), JPEG 이미지(240)에 대해서 세부 개선(Detail Enhancement), 컬러 개선(Color Enhancement), 잡음 제거(Noise reduction)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적용하여 영상 후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130)는 플래쉬 애니메이션(250) 및 동영상 이미지(260)에 대해서 세부 개선(Detail Enhancement), 컬러 개선(Color Enhancement), 잡음 제거(Noise reduction)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과 함께, 비디오 디인터레이싱(Video Deinterlacing)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Frame Rate Conversion)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적용하여 영상 후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영상 후처리부(130)를 통해 제1 그룹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가 수행되면, 제어부(140)는 영상 후처리된 제1 그룹의 구성 요소와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제2 그룹의 구성 요소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여 서버로부터 수신한 웹페이지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와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웹페이지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5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후처리부(130)는 제어부(140)를 통해 웹페이지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이 확인되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구성 요소별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웹페이지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후처리부(130)를 통해 웹페이지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가 수행되면, 제어부(140)는 영상 후처리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여 웹페이지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웹페이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을 통해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한 후,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들을 렌더링하여 생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후처리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후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후처리 장치는 그룹 분류부(310), 영상 후처리부(320), 제어부(330) 및 저장부(340)를 포함한다.
그룹 분류부(310)는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저장부(340)에 기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을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며, 영상 후처리부(320)는 분류된 두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저장부(340)에 저장되는 조건 정보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그래픽 렌더링, 텍스트,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 요소들 중,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는 데이터 전송량을 적게하기 위해서 압축 기법을 통해 압축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이 같은 압축 기법을 통해 압축되어 전송된 영상 이미지를 복원하게 되면, 복원된 영상 이미지에 블러킹 아티펙스 혹은 물결 아티펙스와 같은 왜곡이 발생한다.
따라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왜곡 발생에 따라 영상 후처리 방식이 필요한 구성 요소와 영상 후처리 방식이 불필요한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저장부(34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분류부(310)는 수신된 컨텐츠의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결정되면, 저장부(340)에 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1 및 제2 그룹으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그룹으로 분류되면, 제어부(330)는 저장부(340)에 기저장된 각 구성 요소별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영상 후처리부(3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영상 후처리부(320)는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별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34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조건 정보와 함께,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별로 적용할 영상 후처리 방식을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후처리 방식은 세부 개선(Detail Enhancement), 컬러 개선(Color Enhancement), 잡음 제거(Noise reduction), 블러킹 아티펙트 제거(Blocking Artifact Reduction), 물결현상 제거(Ringing Artifact Reduction), 선명도 향상, 비디오 디인터레이싱(Video Deinterlacing)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Frame Rate Conversion)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각각의 영상 후처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후처리 방식과 해당 영상 후처리 방식을 적용할 구성 요소가 매칭되어 저장부(34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30)는 저장부(340)에 기저장된 각 구성 요소별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이 결정되면, 영상 후처리부(320)는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별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스마트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후처리 장치를 통해 상이하게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여 해당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후처리 장치의 각 구성을 통해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후처리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영상 후처리 장치에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후처리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버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한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한다(S410).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이 결정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한다(S42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들을 렌더링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430,S44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의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확인한다.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그래픽 렌더링, 텍스트,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는 웹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는 웹페이지 컨텐츠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텐츠는 기록 매체 장치 혹은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전술한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의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확인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여기서, 조건 정보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에 대한 구성 요소는 데이터 전송량을 적게하기 위해서 압축 기법을 통해 압축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이 같은 압축 기법을 통해 압축되어 전송된 영상 이미지를 복원하게 되면, 복원된 영상 이미지에 블러킹 아티펙스 혹은 물결 아티펙스와 같은 왜곡이 발생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왜곡 발생에 따라 영상 후처리 방식이 필요한 구성 요소와 영상 후처리 방식이 불필요한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 같은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그래픽 렌더링, 텍스트,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그룹으로 분류되는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제2 그룹으로 분류되는 구성 요소는 그래픽 렌더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그룹이 분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만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후처 방식이란,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JPEG, MPEG 등의 영상과 같이 압축이 적용된 구성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코딩시 발생하는 아티펙트를 제거하거나 화질 개선을 위해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영상 후처리 방식은 세부 개선(Detail Enhancement), 컬러 개선(Color Enhancement), 잡음 제거(Noise reduction), 블러킹 아티펙트 제거(Blocking Artifact Reduction), 물결현상 제거(Ringing Artifact Reduction), 선명도 향상, 비디오 디인터레이싱(Video Deinterlacing)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Frame Rate Conversion)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영상 후처리 방식은 공지된 기술이기에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그룹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즉,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에 대한 구성 요소들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기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저장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구성 요소들의 영상 후처리를 상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후처리된 제1 그룹의 구성 요소와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제2 그룹의 구성 요소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와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기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의 영상 소스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이 확인되면, 기저장된 구성 요소들 별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후처리된 모든 구성 요소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후처리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후처리된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다른 영상 후처리 장치에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후처리 장치에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후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을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한다(S510).
이후, 영상 후처리 장치는 분류된 두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한다(S520). 이후, 영상 후처리 장치는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해당 그룹 내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한다(S530).
구체적으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그래픽 렌더링, 텍스트,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 요소들 중,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는 데이터 전송량을 적게하기 위해서 압축 기법을 통해 압축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이 같은 압축 기법을 통해 압축되어 전송된 영상 이미지를 복원하게 되면, 복원된 영상 이미지에 블러킹 아티펙스 혹은 물결 아티펙스와 같은 왜곡이 발생한다. 따라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왜곡 발생에 따라 영상 후처리 방식이 필요한 구성 요소와 영상 후처리 방식이 불필요한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후처리 장치는 수신한 컨텐츠의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가 확인되면,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1 및 제2 그룹으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
즉, 영상 후처리 장치는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에 대한 구성 요소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래픽 렌더링, 텍스트에 대한 구성 요소를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분류되면, 영상 후처리 장치는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별로 기설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한다.
여기서, 영상 후처리 방식은 세부 개선(Detail Enhancement), 컬러 개선(Color Enhancement), 잡음 제거(Noise reduction), 블러킹 아티펙트 제거(Blocking Artifact Reduction), 물결현상 제거(Ringing Artifact Reduction), 선명도 향상, 비디오 디인터레이싱(Video Deinterlacing)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Frame Rate Conversion)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각각의 영상 후처리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후처리 방식은 제1 그룹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와 매칭되어 영상 후처리 장치에 기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후처리 장치는 기저장된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영상 후처리 장치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기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후처리 장치는 기저장된 각 구성 요소별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스마트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후처리 장치를 통해 상이하게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여 해당 컨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통신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320 : 영상 후처리부 140,330 : 제어부
150,340 : 저장부 310 : 그룹 분류부

Claims (20)

  1.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기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들을 렌더링하여 생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후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 후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1 및 제2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제1 그룹은,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그룹은,
    그래픽 렌더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그룹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그룹으로 분류된 구성 요소 중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및 JPEG 이미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상이하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후처리 방식은,
    세부 개선(Detail Enhancement), 컬러 개선(Color Enhancement), 잡음 제거(Noise reduction), 블러킹 아티펙트 제거(Blocking Artifact Reduction), 물결현상 제거(Ringing Artifact Reduction), 선명도 향상, 비디오 디인터레이싱(Video Deinterlacing)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Frame Rate Conversion)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웹 서버이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된 웹페이지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을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분류부;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후처리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 후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영상 후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분류부는,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1 및 제2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해서만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 후처리부를 제어하는 영상 후처리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서 수신한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영상 후처리된 구성 요소들을 렌더링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 정보는,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기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나머지 구성 요소를 제1 및 제2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제1 그룹은,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그룹은,
    그래픽 렌더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이미지 관련 구성 요소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JPEG 이미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 13 항 에 있어서,
    상기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기저장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그룹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응되는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장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그룹으로 분류된 구성 요소 중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미지 및 JPEG 이미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와 플래쉬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상이하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후처리 방식은,
    세부 개선(Detail Enhancement), 컬러 개선(Color Enhancement), 잡음 제거(Noise reduction), 블러킹 아티펙트 제거(Blocking Artifact Reduction), 물결현상 제거(Ringing Artifact Reduction), 선명도 향상, 비디오 디인터레이싱(Video Deinterlacing)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Frame Rate Conversion)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웹 서버이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된 웹페이지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영상 후처리 장치에서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을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영상 후처리 방식에 따라 상기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후처리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소스 정보 및 상기 기저장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영상 후처리를 수행할 구성 요소와 나머지 구성요소를 제1 및 제2 그룹으로 분류하며,
    상기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해서만 영상 후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후처리 방법.
KR1020130079085A 2012-08-02 2013-07-05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60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6310 WO2014021566A1 (en) 2012-08-02 2013-07-15 Display apparatus, image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ost-processing of contents
EP13177031.5A EP2693426A1 (en) 2012-08-02 2013-07-18 Display apparatus, image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ost-processing of contents
CN201310328629.4A CN103581745B (zh) 2012-08-02 2013-07-31 显示装置、图像后处理装置及内容的图像后处理方法
US13/957,845 US9361860B2 (en) 2012-08-02 2013-08-02 Display apparatus, image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ost-processing of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4857 2012-08-02
KR1020120084857 2012-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218A true KR20140019218A (ko) 2014-02-14
KR102160123B1 KR102160123B1 (ko) 2020-09-25

Family

ID=5026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085A KR102160123B1 (ko) 2012-08-02 2013-07-05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61860B2 (ko)
KR (1) KR102160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1012B2 (en) * 2016-12-02 2020-04-21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etection and visual enhancement of video encoding artifac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5211A (ja) * 2006-07-20 2009-12-17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符号器によって補助された後処理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20054616A1 (en) * 2010-08-31 2012-03-01 Millind Mittal Web browser proxy-client video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7629A (en) * 1992-12-18 1994-11-22 Sharevision Technology, Inc. Digital video compression system utilizing vector adaptive transform
US6211856B1 (en) * 1998-04-17 2001-04-03 Sung M. Choi Graphical user interface touch screen with an auto zoom feature
JPH11327520A (ja) 1998-05-13 1999-11-26 Sony Corp 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US6970602B1 (en) * 1998-10-06 2005-1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oding multimedia using content analysis
US6708217B1 (en) * 2000-01-05 2004-03-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nd demultiplexing multi-modal document content
EP2894856A1 (en) 2002-01-31 2015-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block artifacts or ringing noise
US7031552B2 (en) 2002-04-05 2006-04-18 Seiko Epson Corporation Adaptive post-filtering for reducing noise in highly compressed image/video coding
US7451457B2 (en) 2002-04-15 2008-11-11 Microsoft Corporation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video renderers and graphics device drivers
US20040100489A1 (en) * 2002-11-26 2004-05-27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3-D web content generation
TWI245557B (en) 2003-09-11 2005-12-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compens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US7868890B2 (en) * 2004-02-24 2011-01-11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 processor for a wireless device
JP2009060205A (ja) 2007-08-30 2009-03-19 Sharp Corp 表示画質制御方法およびテレビ放送受信機
US20130275899A1 (en) * 2010-01-18 2013-10-17 Apple Inc. Application Gateway for Providing Different User Interfaces for Limited Distraction and Non-Limited Distraction Contexts
US8621045B2 (en) * 2008-09-12 2013-12-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ortable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ccessing media content
KR101761307B1 (ko) 2009-04-21 2017-07-25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인터넷 비디오 콘텐츠의 추정된 품질을 기반으로 한 비디오 후처리기에 대한 자동 조정들
CA2684678A1 (en) * 2009-11-03 2011-05-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ost-processing on a mobile device
JP5036844B2 (ja) 2010-04-15 2012-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圧縮装置、画像出力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圧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1254287A (ja) * 2010-06-02 2011-12-15 Sony Corp 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コンテンツ出力方法、プログラム、端末装置および出力装置
US8842741B2 (en) 2010-12-22 2014-09-2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noise reduction of scaled compressed video pictures
JP6034551B2 (ja) * 2011-03-16 2016-11-30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1900319B1 (ko) * 2012-02-07 2018-09-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5211A (ja) * 2006-07-20 2009-12-17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符号器によって補助された後処理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20054616A1 (en) * 2010-08-31 2012-03-01 Millind Mittal Web browser proxy-client video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92068A1 (en) 2014-07-10
KR102160123B1 (ko) 2020-09-25
US9361860B2 (en)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5112B2 (en) Method, system, player and mobile terminal for online video playback
US11531458B2 (en) Video enhancement control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4244024B (zh) 一种视频封面生成方法、装置及终端
AU20103416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aware screen capture and compression
WO2020107989A1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20210281718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627369B2 (en) Video enhancement control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528877B1 (ko) 비디오 디코딩 제어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CN104768063A (zh) 一种视频编码方法及装置
KR102558385B1 (ko) 비디오 증강 제어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WO2017202175A1 (zh) 一种视频压缩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0038127A1 (zh) 解码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11562772B2 (en) Video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5589667B (zh) 对显示设备的显示图像进行截屏的方法及装置
US20190087933A1 (en) Display devic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WO2020108010A1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10290110B2 (en) Video overlay modification for enhanced readability
WO2021008345A1 (zh) 图像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3451280A1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increasing the picture resolution
CN110187858B (zh) 图像显示方法及系统
EP2693426A1 (en) Display apparatus, image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ost-processing of contents
WO2020038071A1 (zh) 视频增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160123B1 (ko)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941413B (zh) 显示画面的生成方法及相关装置
CN108933945B (zh) 一种gif图片的压缩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