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319B1 -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319B1
KR101900319B1 KR1020120012085A KR20120012085A KR101900319B1 KR 101900319 B1 KR101900319 B1 KR 101900319B1 KR 1020120012085 A KR1020120012085 A KR 1020120012085A KR 20120012085 A KR20120012085 A KR 20120012085A KR 101900319 B1 KR101900319 B1 KR 10190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terworking
data
portable terminal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947A (ko
Inventor
서준규
강경아
곽지연
김현진
이주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319B1/ko
Priority to US13/748,229 priority patent/US10142194B2/en
Priority to PCT/KR2013/000573 priority patent/WO2013118988A1/en
Priority to CN201380008392.XA priority patent/CN104106290A/zh
Priority to EP13747187.6A priority patent/EP2813109B1/en
Publication of KR20130090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319B1/ko
Priority to US16/181,901 priority patent/US11032165B2/en
Priority to US17/339,165 priority patent/US1143158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의 서비스를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함께 수행하기 위해 외부 기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기기 중에서 서비스의 특성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고, 휴대 단말이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장 적합한 외부 기기를 추천하고 연동함으로써, 사용자가 높은 질의 서비스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Description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Method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변 기기들과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변 기기들 중에서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기기를 추천하여 추천된 기기와 함께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에는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처리 장치 등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의 휴대성을 위하여,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여러 장치들의 크기 및 무게가 제한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 휴대 단말에서 서비스 제공 시, 휴대 단말의 하드웨어적 부족함으로 인한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 외부 기기들을 채용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은 주변에 통신 가능한 장치들 중에서 더 큰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더 높은 음질과 큰 출력을 지원하는 외부 스피커, 더 큰 크기의 입력부를 가지는 터치 패널, 무선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채용한다.
한편 서비스에 따라서, 소정의 외부 기기들로는 서비스를 조작하기 불편할 수 있으며, 어떠한 외부 기기는 서비스 수행 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기기들을 차용하여 휴대 단말과 함께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초래되는 불편함을 억제할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여, 휴대 단말과 연동될 기기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 서비스의 특성에 적합한 기기를 추천하여 추천된 기기와 휴대 단말이 함께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의 서비스를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함께 수행하기 위해 상기 외부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 중에서 상기 서비스의 특성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은 상기 서비스를 개시하는 과정과, 외부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상기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추천하는 과정과, 상기 추천된 외부 기기 중에서 서비스 연동 기기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서비스 연동 기기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역할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의 역할에 따라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명령어를 수신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휴대 단말과 통신 가능하고, 상기 휴대 단말 주변에 위치한 외부 기기와, 서비스를 함께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기기 중에서 상기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고, 상기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기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은 휴대 단말의 서비스 특성에 따라,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적합한 기기들을 추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천된 기기 중에서 서비스에 알맞은 기기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낯선 환경에서 휴대 단말 주변에 어떠한 기기들이 가용한지 모르는 경우에도, 서비스 특성에 알맞은 기기를 추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낯선 환경에서도 휴대 단말과 타 기기가 편리하게 연동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를 용이하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동 수행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동 수행 절차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의 서비스 연동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는 도 4의 470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연동 절차 진행 시 출력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주변 외부 기기들과 연동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 기기들 중에서 서비스 연동 기기를 판단하여 추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동 수행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서비스'라는 용어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루틴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는 영화 재생, 사진 보기, 음악 듣기, 게임 실행, 인터넷 브라우징, 메시징, 문서 작성 등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자에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외부 기기'라는 용어는 휴대 단말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여, 휴대 단말과 통신 가능한 기기를 일컫는다. 외부 기기는 휴대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는 휴대 단말, 태블릿 PC, 텔레비전, 데스크 톱 컴퓨터, 컴퓨터 모니터, 키보드/마우스, 조이스틱, 스피커, 홈 씨어터 시스템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연동 기기'라는 용어는 외부 기기 중에서 휴대 단말과 연동되어 함께 서비스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기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더욱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대한 개관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연동 수행 시스템은 휴대 단말과 주변의 외부 기기들로 구성된다. 휴대 단말은 '영화 보기(Movie)', '음악 듣기(Music)', '문서 작성(Document)', '메시징(Message)', 및 '이미지 편집(Edit)'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각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휴대 단말은 텔레비전, 스피커, 홈 씨어터 시스템, 태블릿 PC, 및 데스크 톱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들을 추천한다. 그런 다음 휴대 단말은 추천된 기기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은 휴대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파일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 게임 단말기, 태블릿 PC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이동 가능한 소형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타 기기와 연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영화 보기(Movie)' 서비스의 경우, 휴대 단말은 영화를 볼 때 사용자가 생생한 비주얼 효과를 즐기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 외부 기기들 중에서 비교적 큰 사이즈의 스크린을 가지는 텔레비전을 추천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은 미리 설정된 사용자 기호 정보나, 저장된 서비스 히스토리로부터 선호되는 서비스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은 추천된 대형 스크린의 텔레비전과 연동하여 '영화 보기'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높은 질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을 대략 살펴보면,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되는 서비스 연동 수행 절차를 통해 휴대 단말과 외부 기기가 함께 서비스를 수행한다. 도 2는 서비스 연동 수행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10 과정은 휴대 단말에서 서비스를 개시한다. 그리고 220 과정은 휴대 단말 주변에 위치한 외부 기기를 검색한다. 그런 다음 230 과정은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한다. 이어서 240 과정은 휴대 단말과 서비스 연동 기기가 함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 연동 수행 절차는 실제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동 수행 절차의 개념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의 서비스는 '영화 보기(Movie)'에서 '사진 보기(Photo)', '음악 듣기(Music)', 'SNS', '게임(Game)', '웹 브라우징(Web Browser)', '메시징(Message)', '문서 작성(Word)', 및 '유 튜브(YouTube)', '지도 찾기(Map)', '일정 관리(Calendar)'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종류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선택 및 개시됨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서비스의 특성을 식별한다. 여기서 서비스 특성은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기 위한 것으로, 서비스의 종류, 서비스 출력 방식 및 제어 입력 방식을 포함한다.
서비스 특성을 파악한 다음, 본 발명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들 중에서 적합한 기기를 서비스 특성에 따라 추천한다. 외부 기기들은 기기 특성에 따라 추천되는데, 일례로 입출력 기기 종류를 토대로 추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종류는 '영화 보기(Movie)', '사진 보기(Photo)', 및 '음악 듣기(Music)'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출력 방식은 '디스플레이' 및 '음향'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입력 방식은 '문자(Text)', '방향(Direction)', '기능(Function Key)', 및 '움직임(Movement)' 등이 될 수 있다. '웹 브라우징(Web Browser)' 서비스의 경우, 본 발명은 컴퓨터 모니터나, 태블릿 PC를 출력 기기로 추천하고, 휴대 단말, 키보드/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제어 입력 기기로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Game)' 서비스의 경우, 본 발명은 출력 기기로 휴대 단말을, 제어 입력 기기로는 다른 휴대 단말과 키보드/마우스를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비스 연동 기기로 추천된 기기와 휴대 단말이 연동되어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가 '영화 보기'인 경우 출력 기기로는 텔레비전이 제어 입력 기기로는 휴대 단말과 리모콘과 조이스틱 중 하나가 휴대 단말과 연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영화 보기' 서비스의 경우, 제어 입력 기기로 휴대 단말 이외의 기기가 연동되는 경우, 서비스 수행을 위하여 텔레비전이 비주얼 출력을 담당하고, 특정 제어 입력 기기가 제어키의 입력을 담당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대략적인 개념을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휴대 단말에서 구현되는 것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되는 휴대 단말에서 서비스 연동 절차에 따라 구현된다. 도 4는 휴대 단말에서의 서비스 연동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은 410 과정에서 서비스를 개시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은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루틴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420 과정에서 서비스 연동 모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서비스 연동 모드는 서비스 수행을 위하여 주변 기기와 연동하기 위한 모드이다. 서비스 연동 모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로 구성되거나, 휴대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기능키를 통해 서비스 연동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420 과정에서 서비스 연동 모드에 대한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면, 430 과정으로 분기한다. 한편 서비스 연동 모드로의 진입이 요청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 단말은 425 과정에서 해당 요청에 따른 기능을 실행한다.
한편 휴대 단말은 430 과정에서 주변의 외부 기기들을 검색한다. 외부 기기들이 검색되면, 휴대 단말은 440 과정에서 검색된 외부 기기들 중에서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한다. 440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5a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서비스 연동 기기는 휴대 단말과 함께 서비스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 단말은 450 과정에서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 중에서 기기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 단말은 460 과정으로 분기한다. 한편 기기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휴대 단말은 440 과정으로 리턴하여 지속적으로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한다.
휴대 단말은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 중에서 함께 서비스를 수행할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은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의 개수에 따라 서비스 연동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가 한 개인 경우, 휴대 단말은 자동적으로 440 과정에서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와 자동 연동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가 다수 개인 경우, 휴대 단말은 450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서비스 연동 기기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연동 기기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 단말은 460 과정에서 선택된 서비스 연동 기기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서비스 연동 과정은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리고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에, 휴대 단말은 470 과정에서 서비스 연동 모드의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혹은 미리 설정된 시간제한에 의해 서비스 연동 모드가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은 종료가 요청된 것으로 판단하면, 서비스 연동 절차를 종료한다. 서비스 연동 절차 종료 시, 휴대 단말은 서비스 연동 기기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어서 휴대 단말은 서비스 수행을 중단하거나, 휴대 단말의 기능부들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의 서비스 연동 절차 중 서비스 연동 기기 추천 과정, 즉 440 과정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은 510 과정에서 주변에 검색된 외부 기기의 프로파일을 획득한다. 프로파일은 해당 기기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 단말은 프로파일을 획득하기 위해 검색된 외부 기기 또는 외부 기기들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프로파일 서버에게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은 먼저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특성을 검색된 외부 기기들(또는 프로파일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기기 중에서 자신이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기로부터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은 프로파일을 전송한 외부 기기를 서비스 연동 기기로 자동 추천할 수 있다. 외부 기기가 자신의 서비스 수행에 대한 타당성을 판단하는 구성은 이하에서 휴대 단말이 추천할 서비스 연동 기기를 판단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프로파일을 획득한 후, 휴대 단말은 520 과정에서 서비스 특성과 외부 기기의 특성을 비교한다.
서비스 특성은 서비스의 종류, 서비스 출력 방식 및 제어 입력 방식을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 기기의 특성은 기기 종류, 제공 기능 및 상기 제공 기능에 따른 성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기 종류는 제어 입력 기기 및 출력 기기로 분류될 수 있다. 특정 외부 기기, 일례로 태블릿 PC는 제어 입력 기기 및 출력 기기 모두에 해당할 수 있다. 서비스 특성과 외부 기기의 특성은 표 1 내지 표 2에 열거된다. 표 1은 서비스 특성을 서비스 종류, 출력 방식, 및 제어 입력 방식으로 나누고, 각 항목별 예를 포함한다. 표 2는 외부 기기 특성을 기기 종류, 기능, 및 성능으로 분류하여, 각 항목별 예를 기재한다. 휴대 단말은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외부 기기 특성을 파악한다.
Figure 112012009738127-pat00001
Figure 112012009738127-pat00002
휴대 단말은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비스 특성 및 외부 기기 특성 각각을 파악한 다음, 상기 서비스의 특성 별로 미리 설정된 서비스 연동 기기 선호 기준과 상기 외부 기기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서비스 연동 기기 선호 기준은 미리 설정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이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거나, 높은 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표 3은 서비스 연동 기기 선호 기준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09738127-pat00003
예를 들어 서비스 종류가 '영화 보기(Movie)'인 경우, 휴대 단말은 표 1을 참조하여 서비스 특성이 서비스 종류가 '영화 보기(Movie)'이고, 출력 방식은 '디스플레이'이며, 제어 입력 방식은 '기능'인 것으로 파악한다. 그런 다음, 휴대 단말은 획득된 프로파일로부터 외부 기기의 특성을 파악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은 표 2를 참조하여 각 외부 기기들의 기기 종류, 기능 및 성능을 파악한다. 그런 다음, 휴대 단말은 표 3을 참조하여, '영화 보기(Movie)'의 서비스 연동 기기 선호 기준을 확인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은 서비스 연동 기기 선호 기준을 토대로 '영화 보기(Movie)' 서비스 특성과 외부 기기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하여 수행 시, 대형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출력 기기와 출력 기기의 전용 컨트롤러가 서비스 연동 기기로 선호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휴대 단말은 530 과정으로 분기하여 서비스 연동 기기를 판단한다. 0한편 휴대 단말은 하나의 이상의 외부 기기를 서비스 연동 기기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 태블릿 PC, 및 텔레비전이 휴대 단말로 프로파일을 전송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휴대 단말은 '영화 보기(Movie)' 서비스를 위하여, 스피커, 태블릿 PC, 및 텔레비전 중에서 디스플레이 출력 기기이고, 대형 화면을 가지는 텔레비전을 서비스 연동 기기로 판단하여 추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서비스 연동 기기 선호 기준을 참조하여 우선 순위를 정하여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연동 기기 선호 기준 대형 디스플레이 출력 기기인 경우, 휴대 단말은 일정 크기 이상의 출력부를 가지는 외부 기기들을 서비스 연동 기기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휴대 단말은 판단된 서비스 연동 기기들의 화면 크기에 따라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은 다수의 서비스 연동 기기들이 추천된 경우, 사용자가 연동될 기기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서비스 연동 기기 추천 과정은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특성과 주변 외부 기기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휴대 단말과 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외부 기기가 함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더하여 휴대 단말은 서비스 연동 절차에서 도 5b와 같은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연동 상태를 확인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5b는 서비스 연동 절차 진행 시 출력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좌측의 화면은 도 4의 440 과정에서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기 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좌측 화면은 서비스 종류, 출력 방식, 및 제어 입력 방식 등의 서비스 특성을 나열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화면은 외부 기기들 중에서 서비스 연동 기기로 출력된 것들을 제어 입력 기기와 출력 기기로, 그 기기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좌측 화면은 열거된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b의 우측 화면은 도 4의 450 과정에서 휴대 단말과 함께 동작할 서비스 연동 기기가 선택되면 출력되는 화면이다. 상기 우측 화면은 서비스 수행을 위하여 선택된 서비스 연동 기기 각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 화면은 서비스 수행 시 각 기기들의 역할을 간단한 도면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연동 기기들은 각각 제어 입력 기기와 출력 기기로 동작하며, 휴대 단말은 이들 사이의 중간 매개자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우측 화면은 'A 기기'가 '휴대 단말(My Phone)'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휴대 단말(My Phone)'이 'X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그림을 포함한다. 서비스 연동 기기와 휴대 단말의 역할을 결정하는 구성은 이하에서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추가로, 상기 우측 화면은 '구성 변경(Change Configuration)' 버튼을 제공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좌측 화면으로 리턴하여 서비스 연동 기기를 재선택하게끔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우측 화면은 '연동 종료(Finish Interoperation)' 버튼을 제공하여, 휴대 단말이 곧바로 470 과정으로 분기하여 서비스 연동 절차가 종료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들과 통신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이 주변 외부 기기들(310, 320, 330)과 연동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 기기들(310, 320, 330) 중에서 서비스 연동 기기를 판단하여 추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605 과정에서 서비스를 개시한다.
휴대 단말(100)은 610 과정에서 주변 외부 기기들(310, 320, 330)에게 기기 검색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응하여 외부 기기들(310, 320, 330)은 620 과정에서 휴대 단말(100)에게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휴대 단말(100)은 625 과정에서 외부 기기들(310, 320, 330) 중에서, 예컨대 외부 기기 1(310)과 외부 기기 2(320)를 서비스 연동 기기로 추천한다. 625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휴대 단말(100)은 635 과정에서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 중에서 선택된 기기와 연동한다. 휴대 단말(100)은 외부 기기 1(310), 외부 기기 2(320) 그리고 자신(100)의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수행을 위한 역할의 종류로는, 제어 입력 기기, 출력 기기, 및 중간 매개자 등이 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역할 결정 시, 625 과정에서 서비스 연동 기기 추천 시 획득되는 프로파일을 참조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프로파일로부터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의 기기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은 이전에 연동된 서비스 연동 기기의 기기 특성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100)은 별도로 프로파일을 수신하지 않아도,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의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기기 종류를 파악한 다음, 휴대 단말(100)은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를 입력 기기와 출력 기기로 분류하여 역할을 결정한다. 만약 특정 기기 종류에 다수 개의 연동 기기가 추천되는 경우, 휴대 단말(100)은 우선 순위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에서 출력 기기 하나와 제어 입력 기기 하나가 존재하면, 휴대 단말(100)은 출력 기기와 제어 입력 기기 사이의 중간 매개자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가 출력 기기 하나만 있을 경우, 휴대 단말(100)은 입력 기기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가 입력 기기 하나만 있을 경우, 휴대 단말(100)은 출력 기기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역할이 결정된 다음, 외부 기기 1(310), 외부 기기 2(320), 및 휴대 단말(100)은 640 과정 내지 683 과정에서와 같이, 결정된 역할에 따라 서로에게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명령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만약 휴대 단말(100)의 역할이 중간 매개자인 경우, 휴대 단말(100)은 입력 기기 역할을 가지는 서비스 연동 기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한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수신된 명령어에 따라 서비스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를 출력 기기 역할을 가지는 서비스 연동 기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도 6a의 휴대 단말(100)은 중간 매개자, 외부 기기 1(310)은 출력 기기, 그리고 외부 기기 2(320)는 입력 기기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100)은 640 과정에서 출력될 데이터를 외부 기기 1(31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나, 음향 출력을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그러면, 외부 기기 1(310)은 645 과정에서 데이터를 출력한다. 만약 외부 기기 2(320)가 647 과정에서와 같이 명령어를 수신하면, 외부 기기 2(320)는 650 과정에서 명령어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 2(320)는 외부 기기 1(310)을 경유하여 휴대 단말(100)로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응하여 휴대 단말(100)은 670 과정에서 외부 기기 2(320)에서 수신한 명령어를 휴대 단말(100)이 해석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변환된 명령어를 하여 서비스에 따라 처리한다. 휴대 단말(100)은 명령어가 처리됨에 따라 발생하는 서비스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 1(310)에서 지원하는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680 과정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외부 기기 2(320)에게 전송한다. 외부 기기 1(310)은 683 과정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기기 1(310) 및 외부 기기 2(320)는 서비스를 함께 수행하는 동안 640 과정 내지 683 과정을 반복한다.
휴대 단말(100)은 서비스 연동 수행 중에, 685 과정에서 연동 종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690 과정에서 외부 기기 1(310)과 외부 기기 2(320)와의 연동을 해제한다.
한편, 만약 휴대 단말(100)의 역할이 입력 기기로 결정된 경우,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처리한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출력 기기 역할을 가지는 서비스 연동 기기에게 서비스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의 역할이 출력 기기인 경우, 휴대 단말(100)은 입력 기기 역할을 가지는 서비스 연동 기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휴대 단말(100)은 명령어에 따라 서비스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한편 휴대 단말(100)은 서비스 연동 기기의 역할에 따라, 입력용 GUI 및 출력용 GUI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해당 역할을 가지는 서비스 연동 기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는 625 과정에 대하여 도 6b를 참조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휴대 단말(100)은 주변에 외부 기기들(310, 320, 330)이 존재하는 것을 인지한 상태에서 710 과정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100) 710 과정에서 외부 기기들(310, 320, 330)에게 프로파일을 요청한다. 그리고 외부 기기들(310, 320, 330)은 730 과정에서 프로파일을 휴대 단말(100)로 전송한다. 한편 외부 기기(310, 320, 330) 자신이 프로파일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 외부 기기(310, 320, 330)는 프로파일 서버에게 휴대 단말(100)로의 프로파일 전송을 의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은 710 과정 대신, 720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720 과정에서 서비스 특성을 외부 기기들(310, 320, 3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기기들(310, 320, 330)은 725 과정에서 자신이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기기들(310, 320, 330) 각각은 자신의 기기 종류, 기능 및 특성과 서비스 종류, 출력 방식, 제어 입력 방식을 비교하여 적합성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외부 기기들(310, 320, 330)은 730 과정에서 휴대 단말(100)에게 프로파일을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외부 기기들(310, 320, 330)은 자신이 서비스 특성을 지원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프로파일을 휴대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외부 기기들(310, 320, 330)에게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휴대 단말(100)은 프로파일 서버에게 외부 기기(310, 320, 330) 프로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이 텔레비전 및 텔레비전 리모콘과 함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동 수행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텔레비전과 텔레비전 리모콘은 도 6a 및 도 6b에서의 외부 기기 1(310)과 외부 기기 2(320)에 대응한다. 일례로, '영화 보기(Movie)' 서비스가 수행될 때, 휴대 단말(100)은 텔레비전 리모콘(320)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한다. 상기 명령어는 텔레비전(310)을 경유하여 휴대 단말(100)에게 전달되거나, 곧바로 휴대 단말(1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영화 보기(Movie)' 서비스와 관련된 '일시 정지', '재생', '되감기' 등의 명령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어, 예컨대 '일시 정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명령어를 처리하여, 명령어에 따른 데이터를 텔레비전(31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텔레비전(310)이 '일시 정지' 명령에 따라 정지된 영화 화면과 변경된 기능 메뉴를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은 클라우드 서버 기반으로 처리되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 서버에 설치된 경우, 휴대 단말(100)은 클라우드 서버로 서비스를 위한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명령어에 따라 처리된 서비스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서비스가 클라우드 서버에서 처리될 수 있다. 즉,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 서버에 설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게임 제어 입력을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100)의 역할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서비스 연동 기기로부터 수신된 명령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 시, 휴대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명령어를 클라우드 서버를 위해 변환한 다음,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응하여, 클라우드 서버는 게임 제어 입력을 자체적으로 처리하여, 게임 서비스의 출력 데이터, 예컨대 게임 화면을 휴대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게임 서비스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100)의 역할에 따라 게임 서비스의 출력 데이터를 서비스 연동 기기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함께 서비스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1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부들로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기능부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화상이나 음향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이하, 데이터 통신 채널) 등을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서비스 연동 수행 모드에서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주변의 외부 기기들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부(110)는 서비스 연동을 위한 기기를 검색하는 검색 신호를 전송하고, 검색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외부 기기나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특성을 외부 기기와 형성한 통신 채널을 통해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함께 연동되어 서비스를 수행하기로 정해진 서비스 연동 기기와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부(110)는 입력 기기로 설정된 서비스 연동 기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는 반면, 출력 기기로 설정된 서비스 연동 기기에게는 명령어에 따라 처리된 서비스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클라우드 서버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다양한 문자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모바일 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입력부(120)는 휴대 단말(1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 일반적인 키배열의 키패드 및 쿼티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볼륨키 및 핫키 등의 기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서비스 연동 모드 진입을 위한 개시 요청 신호와 서비스 연동 모드의 종료를 요청하는 종료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추천되는 서비스 연동 기기들 중에서 특정 기기의 선택을 수신하여, 상기 특정 기기와의 연동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연동되는 기기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변경 요청 신호에 응하여, 제어부(170) 사용자에게 다시 서비스 연동 기기들을 추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등을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신호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30)는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들을 발화하거나, 연동 시작 또는 종료 시 이를 알리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30)는 서비스 연동 프로그램 실행 시, 해당 서비스 수행에 대한 가이드 정보, 예컨대 서비스 이름 또는 디폴트 기능의 이름 등을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집하여 제어부(170)가 수집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여 서비스 연동 기기를 선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휴대 단말(100)의 이용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다양한 화면으로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40)는 검색된 외부 기기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서비스 연동 모드에서 출력되는 도 5b에 도시된 화면들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140)는 서비스 특성,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 기기 역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6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사진과 동영상 촬영 및 디지털 이미지와 비디오 생성을 위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기능 지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음악 파일 재생을 위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게임 어플리케이션,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한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서비스 연동 프로그램(161)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연동 프로그램(161)은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고, 서비스 연동 기기와 휴대 단말(100)의 역할을 분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연동 프로그램(161)은 외부 기기 검색 루틴, 서비스 연동 기기 추천 루틴, 및 서비스 연동 기기와의 서비스 수행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루틴은 외부 기기로부터 프로파일을 획득하여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외부 기기를 서비스 연동 기기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수행 루틴은 서비스 연동 기기와 휴대 단말(100)의 역할에 따라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에는 서비스 특성, 프로파일, 및 서비스 연동 기기 선호 기준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데이터 영역에 접근하여, 서비스 특성에 알맞은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서비스 연동 기기로부터 수신한 명령어를 휴대 단말(100)이 해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하기 위한 명령어 호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덧붙여 데이터 영역은 서비스 연동 기기로 전송될 서비스의 데이터를 해당 서비스 연동 기기에서 지원하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서비스 데이터 호환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데이터 영역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텔레비전 리모콘에서 수신한 제어 명령어를 휴대 단말(100)에서 지원되는 영화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명령어로 변환하고, 텔레비전의 규격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70)는 주변 외부 기기들 중에서 서비스를 함께 수행할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고,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서비스 수행 시 제어부(170)는 서비스 연동 기기와 휴대 단말(100)의 역할을 지정하여, 정해진 역할에 따라 서비스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가장 적합한 외부 기기를 추천하고 연동함으로써, 사용자가 높은 질의 서비스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제어부(170)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통신 데이터 수집부(171), 데이터 변환부(173), 및 기능 수행부(175)를 구비한다.
통신 데이터 수집부(171)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데이터 수집부(171)는 통신부(11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능 실행부(175)나 데이터 변환부(173)로 전달한다. 만약 프로파일, 주변 외부기기로부터의 검색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통신 데이터 수집부(171)는 수신된 데이터를 기능 실행부(175)로 전달한다. 그리고 명령어를 수신하면, 통신 데이터 수집부(171)는 명령어를 데이터 변환부(173)로 전달한다.
데이터 변환부(173)는 다양한 데이터를 특정 방식에 따라 변환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부(173)는 통신 데이터 수집부(171)에서 수신한 명령어를 기능 실행부(175)에서 처리 가능한 명령어로 명령어 호환 정보를 참조하여 변환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173)는 변환된 명령어를 기능 실행부(175)로 전달한다.
한편 데이터 변환부(173)는 기능 실행부(175)의 요청에 의하여, 서비스의 데이터를 출력 기기 역할을 담당하는 서비스 연동 기기에서 지원하는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데이터 변환부(173)는 서비스 데이터 호환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173)는 변환된 데이터를 기능 수행부(175)로 전달할 수 있다.
기능 수행부(175)는 휴대 단말(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수행부(175)는 통신 데이터 수집부(171)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에 따라 서비스 연동 수행 절차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검색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기능 수행부(175)는 검색 응답 신호로부터 주변에 위치한 외부 기기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파일을 수신하면, 기능 수행부(175)는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수행부(175)는 데이터 변환부(173)에서 전달되는 데이터에 따라 서비스 연동 수행 절차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변환된 명령어를 수신하면, 기능 수행부(175)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명령어를 처리한다. 그리고 기능 수행부(175)는 명령어 처리에 따른 데이터를 생성한다. 기능 수행부(175)는 생성된 데이터가 출력 기기의 역할을 담당하는 서비스 연동 기기에서 지원하는 형식으로 변환되도록, 데이터 변환부(173)에게 데이터 변환을 요청한다. 그런 다음 기능 수행부(175)는 변환된 데이터를 해당 서비스 연동 기기에게 송신한다. 이때 기능 실행부(175)는 통신 데이터 수집부(171)를 통해 변환된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변환된 데이터는 데이터 변환부(173)에서 곧바로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은 휴대 단말의 서비스 특성에 따라, 서비스 수행을 위해 적합한 기기들을 추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천된 기기 중에서 서비스에 알맞은 기기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낯선 환경에서 휴대 단말 주변에 어떠한 기기들이 가용한지 모르는 경우에도, 서비스 특성에 알맞은 기기를 추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낯선 환경에서도 휴대 단말과 타 기기가 편리하게 연동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를 용이하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처리부
140 : 표시부 160 : 저장부
161 : 서비스 연동 프로그램 170 : 제어부

Claims (34)

  1. 휴대 단말에서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서비스를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함께 수행하기 위해 상기 외부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 중에서 상기 서비스의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 연동 기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의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없는 경우, 프로파일들을 저장한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과정과,
    다수의 서비스 연동 기기가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우선 순위가 설정된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는 과정과,
    상기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를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제어 입력 장치 중 하나로 분류하는 과정과,
    상기 분류된 서비스 연동 기기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기능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은,
    상기 획득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를 상기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 연동 기기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과정은,
    상기 서비스 특성을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 중 상기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파일을 전송한 외부 기기를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로 추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과정은,
    상기 프로파일로부터 해당 외부 기기의 특성을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기기 특성과 상기 서비스 특성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특성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를 서비스 연동 기기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특성은,
    기기 종류, 제공 기능 및 상기 제공 기능에 따른 성능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 종류는,
    제어 입력 기기 및 출력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과정은,
    상기 서비스의 특성 별로 미리 설정된 서비스 연동 기기 선호 기준과 상기 외부 기기의 특성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수행 과정은,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와 상기 휴대 단말의 역할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와 함께 상기 결정된 역할에 따라 서로에게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명령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의 역할이 중간 매개자인 경우, 입력 기기 역할을 가지는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어에 따라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 기기 역할을 가지는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역할이 입력 기기인 경우, 출력 기기 역할을 가지는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에게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역할이 출력 기기인 경우, 입력 기기 역할을 가지는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에서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명령어에 따라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수행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입력용 GUI 및 출력용 GUI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해당 역할을 가지는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과정은,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에서 수신한 명령어를 상기 휴대 단말이 해석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하여 처리하고,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에서 지원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상기 휴대 단말 기반으로 처리되는 서비스 및 클라우드 서버 기반으로 처리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수행 과정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상기 서비스를 위한 명령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따라 처리된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수행 과정은,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연동 기기가 한 개인 경우,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와 자동 연동하여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연동 기기가 다수 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서비스 연동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특성은,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비스의 종류, 상기 서비스의 출력 방식 및 제어 입력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서비스 연동 기기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 단말에 있어서,
    외부 장치들 각각에 프로파일 요청을 전송하여 외부 장치들을 검색하는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서비스를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함께 수행하기 위해 상기 외부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 중에서 상기 서비스의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 연동 기기를 확인하며,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의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없는 경우, 프로파일들을 저장한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파일을 획득하며,
    다수의 서비스 연동 기기가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 순위가 설정된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고,
    상기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를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제어 입력 장치 중 하나로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서비스 연동 기기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기능을 판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추천된 서비스 연동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할 때, 상기 프로파일로부터 파악된 상기 외부 기기의 기기 특성과 상기 서비스 특성을 비교하고, 서비스 연동 기기 선호 기준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를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특성은,
    기기 종류, 제공 기능 및 상기 제공 기능에 따른 성능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 종류는,
    제어 입력 기기 및 출력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2.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에서 수신한 명령어를 상기 휴대 단말이 해석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하여 처리하고,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에서 지원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3. 제 32항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명령어에 따라 처리된 상기 서비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4.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특성은,
    상기 서비스 연동 기기를 추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비스의 종류, 상기 서비스의 출력 방식 및 제어 입력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120012085A 2012-02-07 2012-02-07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90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85A KR101900319B1 (ko) 2012-02-07 2012-02-07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US13/748,229 US10142194B2 (en) 2012-02-07 2013-01-23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s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PCT/KR2013/000573 WO2013118988A1 (en) 2012-02-07 2013-01-24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s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CN201380008392.XA CN104106290A (zh) 2012-02-07 2013-01-24 互操作地执行服务的方法和装置以及支持该方法和装置的系统
EP13747187.6A EP2813109B1 (en) 2012-02-07 2013-01-24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s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US16/181,901 US11032165B2 (en) 2012-02-07 2018-11-06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s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US17/339,165 US11431588B2 (en) 2012-02-07 2021-06-04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s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85A KR101900319B1 (ko) 2012-02-07 2012-02-07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947A KR20130090947A (ko) 2013-08-16
KR101900319B1 true KR101900319B1 (ko) 2018-09-19

Family

ID=4890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085A KR101900319B1 (ko) 2012-02-07 2012-02-07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142194B2 (ko)
EP (1) EP2813109B1 (ko)
KR (1) KR101900319B1 (ko)
CN (1) CN104106290A (ko)
WO (1) WO2013118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10255566B2 (en) 2011-06-03 2019-04-09 Apple Inc. Generating and processing task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10417037B2 (en) 2012-05-15 2019-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KR102160123B1 (ko) * 2012-08-02 2020-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에 대한 영상 후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후처리 장치 및 방법
BR112015018905B1 (pt) 2013-02-07 2022-02-22 Apple Inc Método de operação de recurso de ativação por voz, mídia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e dispositivo eletrônico
US10652394B2 (en) 2013-03-14 2020-05-1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US10748529B1 (en) 2013-03-15 2020-08-18 Apple Inc. Voice activated device for use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CN103634683A (zh) * 2013-11-29 2014-03-12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对智能电视进行截屏的方法及装置
CN103780709B (zh) * 2014-02-26 2017-04-05 北京华夏翰科科技有限公司 一种对微信或易信信息进行快捷编辑和发布的方法及系统
JP6311411B2 (ja) * 2014-04-02 2018-04-18 ソニー株式会社 接続制御装置および接続制御方法
CN106471570B (zh) 2014-05-30 2019-10-01 苹果公司 多命令单一话语输入方法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10635296B2 (en) * 2014-09-24 2020-04-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titioned application presentation across devices
US10448111B2 (en) 2014-09-24 2019-10-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 projection
US9769227B2 (en) 2014-09-24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ation of computing environment on multiple devices
US10025684B2 (en) 2014-09-24 2018-07-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ending target device resources to host device computing environment
WO2016056687A1 (ko) * 2014-10-08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E102014017141A1 (de) * 2014-11-20 2016-05-25 Audi Ag Steuern eines Online-Dienstes mittels einer Kraftfahrzeug-Bedieneinrichtung
CN104506907B (zh) * 2014-11-25 2018-03-13 上海众应信息科技有限公司 控制端与多个远程被控终端之间的交互操作方法及系统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9721566B2 (en) 2015-03-08 2017-08-01 Apple Inc.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US10460227B2 (en) 2015-05-15 2019-10-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200824B2 (en) 2015-05-27 2019-02-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20160378747A1 (en) 2015-06-29 2016-12-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US10740384B2 (en) 2015-09-08 2020-08-11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search and playback
US10331312B2 (en) 2015-09-08 2019-06-25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379808B1 (en) * 2015-09-29 2019-08-13 Amazon Technologies, Inc. Audio associating of computing devices
US11587559B2 (en) * 2015-09-30 2023-02-21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identification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956666B2 (en) 2015-11-09 2021-03-23 Apple Inc. Unconventional virtual assistant interactions
KR102121535B1 (ko) 2015-11-30 202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보조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0749969B2 (en) * 2015-12-29 2020-08-18 Oath Inc. Content presentation using a device set
CN105879391B (zh) * 2016-04-08 2019-04-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游戏中角色的移动控制方法和服务器以及客户端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US11204787B2 (en) 2017-01-09 2021-12-21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201770383A1 (en) 2017-05-09 2018-12-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ORRECTING RECOGNITION ERRORS
DK180048B1 (en) 2017-05-11 2020-02-04 Apple Inc. MAINTAINING THE DATA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S10726832B2 (en) 2017-05-11 2020-07-28 Apple Inc.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DK201770427A1 (en) 2017-05-12 2018-12-20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US20180336892A1 (en) 2017-05-16 2018-11-22 Apple Inc. Detecting a trigger of a digital assistant
US20180336275A1 (en) 2017-05-16 2018-11-2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US10818288B2 (en) 2018-03-26 2020-10-27 Apple Inc.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US10616061B2 (en) * 2018-05-09 2020-04-07 Dish Network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configurations of media presentation devices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DK179822B1 (da) 2018-06-01 2019-07-12 Apple Inc.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US10892996B2 (en) 2018-06-01 2021-01-12 Apple Inc.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US11475898B2 (en) 2018-10-26 2022-10-18 Apple Inc. Low-latency multi-speaker speech recognition
US11348573B2 (en) 2019-03-18 2022-05-31 Apple Inc.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307752B2 (en) 2019-05-06 2022-04-19 Apple Inc.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US11475884B2 (en) 2019-05-06 2022-10-18 Apple Inc. Reducing digital assistant latency when a language is incorrectly determined
DK201970509A1 (en) 2019-05-06 2021-01-15 Apple Inc Spoken notifications
US11423908B2 (en) 2019-05-06 2022-08-23 Apple Inc. Interpreting spoken requests
US11140099B2 (en) 2019-05-21 2021-10-05 Apple Inc.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US11496600B2 (en) 2019-05-31 2022-11-08 Apple Inc. Remote execution of machine-learned models
US11289073B2 (en) 2019-05-31 2022-03-29 Apple Inc. Device text to speech
DK180129B1 (en) 2019-05-31 2020-06-02 Apple Inc. USER ACTIVITY SHORTCUT SUGGESTIONS
DK201970511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Voice identification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360641B2 (en) 2019-06-01 2022-06-14 Apple Inc. Increasing the relevance of new available information
US11227599B2 (en) 2019-06-01 2022-01-18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11488406B2 (en) 2019-09-25 2022-11-01 Apple Inc. Text detection using global geometry estimators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038934B1 (en) 2020-05-11 2021-06-15 Apple Inc.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US11755276B2 (en) 2020-05-12 2023-09-12 Apple Inc. Reducing description length based on confidence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CN111918132B (zh) * 2020-07-27 2022-09-23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多接口设备判断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1520A1 (en) * 2009-12-02 2011-06-02 Osama Al-Shaykh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media content from a mobile device to a home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7259A (en) * 1996-03-29 1998-07-28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interconnects of a PC with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CA2392640A1 (en) 2002-07-05 2004-01-05 Voiceage Corporation A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 in-based dim-and-burst signaling and half-rate max operation in variable bit-rate wideband speech coding for cdma wireless systems
KR100584373B1 (ko) * 2004-01-17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와 유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유무선 근거리 통신을 위한 데이터 포맷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
CA2569714A1 (en) 2004-06-08 2005-12-22 Dartdevices Corporation Architecture, apparatus and method for device team recruitment and content renditioning for universal device interoperability platform
US7830826B2 (en) * 2004-07-01 2010-11-09 Nokia Corporation Multicast relay for mobile devices
JP2009123032A (ja) 2007-11-15 2009-06-04 Sharp Corp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US20100169791A1 (en) 2008-12-31 2010-07-01 Trevor Pering Remote display remote control
KR101263217B1 (ko) * 2009-10-15 2013-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바일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
US8819116B1 (en) * 2010-03-08 2014-08-26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services using a device capabilities service
JP5005058B2 (ja) 2010-03-18 2012-08-2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通信システム、移動体通信端末、制御方法、および情報管理サーバ
CN102255933B (zh) * 2010-05-20 2016-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云服务中介、云计算方法及云系统
US20120036494A1 (en) * 2010-08-06 2012-02-09 Genwi, Inc. Web-based cross-platform wireless device application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8937534B2 (en) * 2010-12-08 2015-01-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via mobile device
KR101850302B1 (ko) * 2011-10-14 2018-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렌더링 장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1520A1 (en) * 2009-12-02 2011-06-02 Osama Al-Shaykh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media content from a mobile device to a home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8988A1 (en) 2013-08-15
KR20130090947A (ko) 2013-08-16
US11431588B2 (en) 2022-08-30
CN104106290A (zh) 2014-10-15
US20210297329A1 (en) 2021-09-23
US20130204967A1 (en) 2013-08-08
US10142194B2 (en) 2018-11-27
EP2813109B1 (en) 2020-09-02
US20190075034A1 (en) 2019-03-07
EP2813109A1 (en) 2014-12-17
US11032165B2 (en) 2021-06-08
EP2813109A4 (en)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319B1 (ko)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664754B1 (ko) 정보 취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626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장치 탐색 방법
KR102013338B1 (ko)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06741B1 (ko)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공유 방법 및 시스템
EP2784666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rvice pages for executing applications
KR102071579B1 (ko)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1402982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EP318849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music player functions of intelligent device, and bluetooth headset
JP2014149830A (ja) デバイスが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ディスプレイする方法及びそのデバイス
KR20140051850A (ko)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콘텐츠의 플레이 제어
KR20160048018A (ko)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39662B1 (ko)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8476339B (zh) 一种遥控方法和终端
JP2018174000A (ja) デバイスが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ディスプレイする方法及びそのデバイス
CN103648051A (zh) 搜索智能电视播放的视频文件的方法及装置
KR101336622B1 (ko)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3784186B (zh) 终端设备、服务器和通信控制方法
KR20160033579A (ko)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5464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to present content and storage medium
US104694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user interface
EP3528506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15437533A (zh) 一种显示设备、喜爱频道添加方法、装置和介质
JP5146510B2 (ja) 録画予約装置および方法
JP2008178113A (ja) ビデオ端末、録画予約方法および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