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036A -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036A
KR20140019036A KR1020147001827A KR20147001827A KR20140019036A KR 20140019036 A KR20140019036 A KR 20140019036A KR 1020147001827 A KR1020147001827 A KR 1020147001827A KR 20147001827 A KR20147001827 A KR 20147001827A KR 20140019036 A KR20140019036 A KR 20140019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air
skin
alkyl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키 이노우에
야스히로 도이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9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0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우수한 거품 발생성과 세정시부터 건조 후까지의 양호한 사용감을 갖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일반식 (1) R1O-(AO)n-R2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n 은 알킬렌옥시기의 수로서 평균 0.5 ∼ 3.5 의 수를 나타내며,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0.2 ∼ 20 중량%, (B) (A) 성분 이외의 계면 활성제 5 ∼ 60 중량%, 그리고 (C) 실리콘류 및 탄소수 15 ∼ 28 의 1 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0.1 ∼ 10 중량% 를 함유하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Description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SKIN OR HAIR CLEANS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샴푸, 보디 샴푸 등의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정제 조성물에는 오일 등의 오염 성분의 유화력이나 가용화력 또는 세정력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피부 또는 모발 용도의 세정제는 공업용 세정제와 달리, 세정시에 거품이 잘 발생하는지 또는 거품의 감촉, 헹굼시, 건조 후의 감촉, 또한 모발의 경우에는 손가락 통과성이나 머리카락의 부드러움, 피부의 경우에는 헹굼 용이성이나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과 같은 사용감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여러 가지 다양한 실리콘류 및 유제 (油劑) 가 배합되고 있는데,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거품 발생력, 거품질 등의 거품 성능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세정제 조성물의 거품 발생성을 향상시키거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증포ㆍ증점제가 개발되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나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이 범용의 증포ㆍ증점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질소 함유 화합물은 배합 조건에 따라서는 색상 등이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일으킨다. 또,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는 불순물인 니트로소 화합물에 발암성이 의심된다. 이런 이유들로, 질소를 함유하지 않은 증점ㆍ증포제가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에는 질소를 함유하지 않은 증점ㆍ증포제로서 탄소수 8 ∼ 12 의 1 가 알코올을 출발 원료로 하고, 에틸렌옥사이드를 1 ∼ 3 몰 부가시킨 (폴리)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또는 양쪽성 계면 활성제의 조합에 의해 거품 발생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 3 에도 단사슬의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도입한 고급 지방족 알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이 기재되어, 거품 발생성 향상이나 저온 안정성 향상의 예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 기재된 조성물은 거품 발생성이 우수하지만, 만족할 만한 사용감이 얻어지지 않고, 또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에 요구되는 충분한 사용감이 얻어지지 않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어느 선행 문헌에서도 우수한 거품 발생성과 사용감을 양립시킬 수 있었던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우수한 거품 발생성과 세정시부터 건조 후까지의 양호한 사용감이 양립가능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이 요망되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77685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2594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53991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B) 및 (C) :
(A) 일반식 (1)
R1O-(AO)n-R2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n 은 알킬렌옥시기의 수로서 평균 0.5 ∼ 3.5 의 수를 나타내며,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0.2 ∼ 20 중량%,
(B) (A) 성분 이외의 계면 활성제 5 ∼ 60 중량%,
(C) 실리콘류 및 탄소수 15 ∼ 28 의 1 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0.1 ∼ 10 중량%
를 함유하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그 세정제 조성물을 피부 또는 모발에 적용하는 피부 또는 모발의 세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세정제 조성물의 피부 또는 모발의 세정에 사용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거품 발생성과, 세정시부터 건조 후까지 양호한 사용감을 갖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성분 (A), (B) 및 (C) 를 함유하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이 우수한 거품 발생성과 사용감을 부여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은 우수한 거품 발생성과 세정시부터 건조 후까지의 양호한 사용감을 갖는다.
성분 (A) 의 일반식 (1) 에 있어서, R1 은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는데, 저취화의 관점에서 직사슬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또, 거품 발생성의 관점에서 R1 은 탄소수 8 인 것이 바람직하고, 혼합 알킬의 경우, 탄소수 8 인 것이 5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98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일반식 (1) 에 있어서,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이고, 이 중 프로필렌옥시기 (이하, PO 라고 한다) 및/또는 에틸렌옥시기 (이하, EO 라고 한다) 가 바람직하다. PO 와 EO 는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되지만, 블록이 바람직하고, 저취화의 관점에서 PO, EO 의 순으로 블록 형상으로 배열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PO 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일반식 (1) 의 화합물에 있어서, n 은 평균 0.5 ∼ 3.5 의 수를 나타내는데, 거품 발생성 및 저취화의 관점에서 1 ∼ 3 이 바람직하고, 2 ∼ 3 이 더욱 바람직하며, 2 ∼ 2.7 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일반식 (1) 중의 R2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는데,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성분 (A) 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중에 0.2 ∼ 20 중량% 배합하면 사용감이나 컨디셔닝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며, 보다 충분한 거품 발생력이 얻어진다. 더욱 바람직한 배합량은 0.3 ∼ 15 중량% 이며, 더욱 더 바람직한 배합량은 0.5 ∼ 10 중량% 이다.
성분 (B) 의 계면 활성제는 (A) 성분 이외의 계면 활성제, 즉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A) 성분 이외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황산계, 술폰산계, 카르복실산계, 인산계 및 아미노산계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케닐에테르황산염, 술포숙신산알킬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술포숙신산알킬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염, 알칸술폰산염, 아실이세티오네이트, 아실메틸타우레이트, 고급 지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염, 아실글루타민산염, 알라닌 유도체, 글리신 유도체, 아르기닌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황산염, 알킬황산염, 고급 지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염이 바람직하고, 또한 다음의 일반식 (2) 또는 (3) 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R3-O(CH2CH2O)pSO3M (2)
R4-OSO3M (3)
〔식 중, R3 은 탄소수 10 ∼ 18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4 는 탄소수 10 ∼ 1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 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암모늄, 알칸올아민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을 나타내며, p 는 에틸렌옥시기의 수로서, 평균 1 ∼ 5 의 수를 나타낸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류, (A) 성분 이외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경화)피마자유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글리세린알킬에테르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알킬글리코시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A) 성분 이외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 알킬글리코시드류, 폴리옥시알킬렌 C8-C20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알칸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A) 성분 이외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로는 폴리옥시에틸렌(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5 ∼ 26)알킬(탄소수 12 ∼ 20)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프로필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5 ∼ 26)알킬(탄소수 12 ∼ 20)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에틸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5 ∼ 26)ㆍ폴리옥시프로필렌(프로필렌옥사이드 평균 부가 몰수 5 ∼ 26)알킬(탄소수 12 ∼ 20)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알킬글리코시드류로는 알킬기의 탄소수 8 ∼ 14 이고, 당(글루코오스)의 축합도 1 ∼ 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로는 탄소수 8 ∼ 18, 나아가 탄소수 10 ∼ 16 의 아실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모노알칸올아미드, 디알칸올아미드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탄소수 2 ∼ 3 의 히드록시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알칸올아미드의 구체예로는 올레산디에탄올아미드, 팜 핵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 라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팜 핵유 지방산 메틸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메틸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및 아민옥사이드형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이미다졸린계 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및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의 아민옥사이드형 계면 활성제가 보다 바람직하고, 알킬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및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및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은 탄소수 8 ∼ 18, 나아가 탄소수 10 ∼ 16 의 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라우르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팜 핵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및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는 탄소수 8 ∼ 18, 나아가 탄소수 10 ∼ 16 의 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및 미리스틸디메틸아민옥사이드가 더욱 더 바람직하다.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의 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78146호에 기재된 하기 일반식 (4) :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식 중, R5, R6, R7 및 R8 중 적어도 1 개는 총 탄소수 12 ∼ 28 의 알콕시기, 바람직하게는 16 ∼ 28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콕시기, 알케닐옥시기, 알카노일아미노기, 알케노일아미노기, 알카노일기 또는 알카노일옥시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벤질기, 탄소수 1 ∼ 5 의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합계 부가 몰수 10 이하의 폴리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내고, Z- 는 할로겐 이온 또는 유기 아니온,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글리콜레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술포네이트, 술페이트 및 알킬술페이트기에서 선택된 것을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제 4 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 (4) 의 바람직한 예로서, R5, R6, R7 및 R8 중 적어도 1 개가 총 탄소수 8 ∼ 22 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이고, 나머지는 메틸기, 에틸기, 벤질기를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이나 염화옥타데실옥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과 같은 염화 모노 장사슬 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이나 염화 분기 디알킬디메틸암모늄과 같은 염화 디 장사슬 알킬디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B) 의 계면 활성제는 거품 발생성의 관점에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거품 발생성, 경제성의 관점에서 성분 (B) 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중에 5 ∼ 60 중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 ∼ 40 중량% 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 ∼ 30 중량% 배합하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또, 성분 (A) 와 (B) 의 비율은 거품 발생성과 경제성의 관점에서 중량비로 (A)/(B) = 0.005 ∼ 1 이 바람직하고, 0.01 ∼ 1 이 더욱 바람직하며, 0.03 ∼ 0.5 가 더욱 더 바람직하다.
성분 (C) 의 실리콘류로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1)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디메틸폴리실록산 :
(Me)3Si-[(Me)2SiO]d-Si(Me)3
(식 중, Me 는 메틸기, d 는 3 ∼ 20000 의 수를 나타낸다)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97150호 중에 기재되어 있는 분기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
즉, 하기 구조식 (Ⅰ), (Ⅱ), (Ⅲ), (Ⅳ) 또는 (Ⅴ)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로 나타내는 글리세롤기 또는 글리시돌기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게 평균 4 개 이상 결합하고, 또한 구조식 (Ⅰ) 또는 (Ⅴ) 로 나타내는 기를 적어도 1 개 이상 함유하는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이 실리콘의 규소 원자에 연결기를 통하여 적어도 1 개 결합된 분기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
시판품으로는 소프케어 GS-G (카오 (주) 제조) 를 들 수 있다.
(3) 그 밖에,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지방산 변성 실리콘, 고리형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C) 의 탄소수 15 ∼ 28 의 1 가 알코올로는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을 들 수 있으며, 사용감의 관점에서 직사슬의 탄소수 16 ∼ 22 의 1 가 알코올이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 (C) 는 1 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중의 성분 (C) 의 함유량은 거품질, 감촉 및 컨디셔닝 효과의 관점에서, 전체 조성 중에 0.1 ∼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5 중량% 이다.
성분 (A) 와 성분 (C) 의 비율은 거품 발생성과 감촉의 관점에서 중량비로 (A)/(C) = 0.05 ∼ 50 이 바람직하고, 0.1 ∼ 30 이 더욱 바람직하며, 0.2 ∼ 20 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 (C) 와 성분 (B) 의 비율은 거품 발생성과 감촉의 관점에서 중량비로 (C)/(B) = 0.005 ∼ 1 이 바람직하고, 0.01 ∼ 0.5 가 보다 바람직하며, 0.02 ∼ 0.25 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은 추가로 글리세린, 보습제, 카티온성 폴리머, 다당류, 폴리펩타이드, 펄화제, 용제, 액정 형성 기제, 색소, 향료, 분사제, 에데테이트나 시트르산염 등의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방부제, 항비듬제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카티온 폴리머로는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71435호에 기재된 카티온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으며, 항비듬제로는 징크피리티온, 피로크톤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액체상, 기포상, 페이스트상, 크림상, 고형상, 분말상 등 임의의 제형으로 할 수 있는데, 액체상, 페이스트상 또는 크림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액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액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액체 매체로서 물,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의 배합량은 전체 조성 중에 10 ∼ 80 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의 pH 는 20 배 희석액으로 한 경우, 25℃ 에서 4 ∼ 10, 나아가 5 ∼ 9 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발 세정료, 전신 세정료, 세안료, 손 세정제 등의 신체용 세정제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 10 과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표 3 에 나타내는 헤어 샴푸를 조제하고, 하기의 방법으로 거품 발생성, 거품의 감촉, 헹굼시의 손가락 통과성, 건조 후의 빗 통과성 및 머리카락의 부드러움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평가 방법>
블리치 처리한 일본인 여성의 모발 20g (20㎝) 에 샴푸 1g 을 도포하고, 30 초간 거품을 낸 시점의 거품 발생성, 거품의 감촉, 헹굼시의 손가락 통과성, 및 드라이어로 건조시킨 후의 빗 통과성과 머리카락의 부드러움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1) 거품 발생성
4 : 거품 발생성이 매우 양호하다.
3 : 거품 발생성이 양호하다.
2 : 거품 발생성이 보통.
1 : 거품 발생성이 나쁘다.
2) 거품의 감촉
4 : 크림같은 거품질로 감촉이 매우 좋다.
3 : 보통의 거품질로 감촉이 좋다.
2 : 보통의 거품질로 감촉이 약간 나쁘다.
1 : 거친 거품질로 감촉이 나쁘다.
3) 헹굼시의 손가락 통과성
4 : 뻑뻑함은 전혀 없어, 손가락 통과성이 매우 양호하다.
3 : 뻑뻑함이 약하여, 손가락 통과성이 양호하다.
2 : 뻑뻑함이 약간 강하여, 손가락이 통과하기 어렵다.
1 : 뻑뻑함이 강하여, 손가락 통과성이 나쁘다.
4) 건조 후의 빗 통과성
4 : 빗 통과성이 양호하여 매우 매끄럽다.
3 : 빗을 통과시키는 데에 다소 빗에 걸리지만, 대체로 매끄럽다.
2 : 빗을 통과시키는 데에 빗에 걸리는 것이 눈에 띈다.
1 : 빗 통과성이 나빠 빗에 매우 많이 걸린다.
5) 건조 후의 머리카락의 부드러움
4 : 매우 부드럽고, 보들보들하다.
3 : 부드럽다.
2 : 부드러움이 약간 부족하다.
1 : 뻣뻣하다.
모두 5 명 평가의 평균점을 구하여, 3.5 이상을 ◎, 2.5 ∼ 3.5 미만을 ○, 1.5 ∼ 2.5 미만을 △, 1.5 미만을 × 로 하였다.
R1O-(AO)n-R2 R1 R2 (AO)n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n-옥틸 H (PO)2.3
알킬렌글리콜에테르 2 n-옥틸 H (EO)2
알킬렌글리콜에테르 3 2-에틸헥실 H (EO)2.5
알킬렌글리콜에테르 4 n-옥틸/n-데실 H (PO)1.8
(몰비 : 1/1)
알킬렌글리콜에테르 5 2-에틸헥실 H (EO)1
알킬렌글리콜에테르 6 n-옥틸 H (PO)2.7
알킬렌글리콜에테르 7 n-옥틸 H (EO)3
R1O-(AO)n-R2 R1 R2 (AO)n
알킬렌글리콜에테르 8 n-도데실 H (EO)2(PO)2(EO)3
알킬렌글리콜에테르 9 n-데실 H (PO)1(EO)6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0 n-프로필 H (PO)2
Figure pat00003
표 3 의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비교품 1 에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첨가한 비교품 2 는 거품 발생성이 약하고, 감촉은 약간 향상된 정도 (공지 레벨) 이다. 한편, 본원 발명의 성분 (A) 인 특정 증포제를 함유하는 비교품 3 은 거품 발생성은 양호하지만 감촉에 결점이 있고, 이것에 (C) 성분을 첨가하면 (본 발명품 2), 감촉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 7 과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표 4 에 나타내는 보디 샴푸를 조제하고, 하기의 방법으로 거품 발생성, 거품의 감촉, 헹굼 용이성 및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평가 방법>
보디 샴푸 1g 을 손에 취하여 손, 팔을 세정했을 때의 거품 발생성, 거품의 감촉, 헹굼 용이성 및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1) 거품 발생성
4 : 거품 발생성이 매우 양호하다.
3 : 거품 발생성이 양호하다.
2 : 거품 발생성이 보통.
1 : 거품 발생성이 나쁘다.
2) 거품의 감촉
4 : 크림같은 거품질로 감촉이 매우 좋다.
3 : 보통의 거품질로 감촉이 좋다.
2 : 보통의 거품질로 감촉이 약간 나쁘다.
1 : 거친 거품질로 감촉이 나쁘다.
3) 헹굼 용이성
4 : 헹굼성이 매우 양호하다.
3 : 헹굼성이 양호하다.
2 : 약간 헹굼성이 나빠, 미끈거림이 남는다.
1 : 헹굼성이 나빠, 미끈거림이 강하다.
5) 건조 후의 촉촉한 느낌
4 : 매우 촉촉하여, 물기가 있음을 느낀다.
3 : 촉촉하다.
2 : 촉촉함이 부족하다.
1 : 꺼칠거린다.
모두 5 명 평가의 평균점을 구하여, 3.5 이상을 ◎, 2.5 ∼ 3.5 미만을 ○, 1.5 ∼ 2.5 미만을 △, 1.5 미만을 × 로 하였다.
Figure pat00004
표 4 의 결과로부터, 표 3 의 헤어 샴푸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품은 특정 증포제와 실리콘류 및 유제의 병용 효과가 현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표 1 에 나타낸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등을 사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하기 조성의 헤어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0.7
폴리옥시에틸렌 (1) 라우릴에테르황산암모늄* 12.0
라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0.8
실리콘 에멀션** 2.0
카티온성 폴리머*** 0.2
향료, 메틸파라벤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 : 에말 125A〔카오 (주) 제조〕
** : BY22-060〔토레 다우코닝 (주) 제조〕
*** : 포이즈 C-150L〔카오 (주) 제조〕
이 헤어 샴푸는 거품 발생성이 양호하고, 세정시부터 건조 후까지 손가락 통과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4
표 1 에 나타낸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등을 사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하기 조성의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0.5
폴리옥시에틸렌 (3)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15.0
폴리글리세롤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0.5
베헤닐 알코올 0.5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2.0
글리세린 3.0
향료, 메틸파라벤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 : 에말 327〔카오 (주) 제조〕
** : 소프케어 GS-G〔카오 (주) 제조〕
*** : 안히톨 20HD〔카오 (주) 제조〕
이 헤어 샴푸는 거품 발생성이 양호하고, 세정시부터 건조 후까지 손가락 통과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5
표 1 에 나타낸 알킬렌글리콜에테르 2 등을 사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하기 조성의 보디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알킬렌글리콜에테르 2 2.0
라우릴인산염* 30.0
폴리글리세롤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0.5
아미드프로필베타인*** 2.0
글리세린 3.0
향료, 메틸파라벤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 : 플라이올 B-650D〔카오 (주) 제조〕
** : 소프케어 GS-G〔카오 (주) 제조〕
*** : 안히톨 20AB〔카오 (주) 제조〕
이 보디 샴푸는 거품 발생성이 양호하고, 세정시의 거품질이 양호하여 건조 후에도 촉촉한, 우수한 사용감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6
표 1 에 나타낸 알킬렌글리콜에테르 2 등을 사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다음 조성의 세안료를 조제하였다.
(성분) (중량%)
라우릴인산염* 45.0
폴리옥시에틸렌 (2)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5.0
알킬렌글리콜에테르 2 5.4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5.0
글리세린 1.0
소르비톨 2.0
폴리글리세롤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0.6
향료, 메틸파라벤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 : 플라이올 B-650D〔카오 (주) 제조〕
** : 에말 227〔카오 (주) 제조〕
*** : 안히톨 20HD〔카오 (주) 제조〕
**** : 소프케어 GS-G〔카오 (주) 제조〕

Claims (1)

  1.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모든 발명.
KR1020147001827A 2006-09-08 2007-09-07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KR201400190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4655A JP5063060B2 (ja) 2006-09-08 2006-09-08 皮膚又は毛髪用洗浄剤組成物
JPJP-P-2006-244655 2006-09-08
PCT/JP2007/000973 WO2008029516A1 (en) 2006-09-08 2007-09-07 Skin or hair cleanser composi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565A Division KR101388271B1 (ko) 2006-09-08 2007-09-07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036A true KR20140019036A (ko) 2014-02-13

Family

ID=391569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827A KR20140019036A (ko) 2006-09-08 2007-09-07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KR1020097004565A KR101388271B1 (ko) 2006-09-08 2007-09-07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565A KR101388271B1 (ko) 2006-09-08 2007-09-07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39425B2 (ko)
EP (1) EP2062567B1 (ko)
JP (1) JP5063060B2 (ko)
KR (2) KR20140019036A (ko)
CN (1) CN101511330B (ko)
AU (1) AU2007292797B2 (ko)
ES (1) ES2553161T3 (ko)
WO (1) WO2008029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5568B2 (ja) * 2008-04-04 2013-10-23 花王株式会社 毛髪用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US8932568B2 (en) 2008-04-04 2015-01-13 Kao Corporatio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JP5548380B2 (ja) * 2008-04-04 2014-07-16 花王株式会社 毛髪用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5426213B2 (ja) * 2009-03-31 2014-02-26 花王株式会社 水性毛髪洗浄剤
JP5426212B2 (ja) * 2009-03-31 2014-02-26 花王株式会社 水性毛髪洗浄剤
WO2010113447A1 (ja) * 2009-03-31 2010-10-07 花王株式会社 水性毛髪洗浄剤
JP5502408B2 (ja) * 2009-09-17 2014-05-28 ライオン株式会社 シャンプー組成物
JP5658952B2 (ja) * 2009-09-29 2015-01-28 花王株式会社 毛髪処理剤組成物
JP5658953B2 (ja) * 2009-10-01 2015-01-28 花王株式会社 毛髪用化粧料の製造方法
JP5693892B2 (ja) * 2010-08-19 2015-04-01 花王株式会社 着香剤組成物
JP6054287B2 (ja) * 2011-03-03 2016-12-27 ライオン株式会社 毛髪洗浄剤組成物及び皮膚洗浄剤組成物
JP2015003930A (ja) * 2014-10-08 2015-01-08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組成物
WO2016102505A1 (en) * 2014-12-24 2016-06-30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non-ionic and at least one anionic surfactant, at least one cationic and at least one amphoteric polymer and at least one silicone
US11260784B2 (en) 2019-03-29 2022-03-01 Honda Motor Co., Ltd. Active vehicle footres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1608A (en) * 1980-10-08 1982-01-19 Maurice Joe G All purpose cleaner
JPH0753991A (ja) 1993-08-09 1995-02-28 New Japan Chem Co Ltd 液体洗浄剤組成物
JP3221851B2 (ja) 1997-06-11 2001-10-22 花王株式会社 カチオン性基含有共重合体及び増粘剤
JP3730752B2 (ja) 1997-06-20 2006-01-05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US6187058B1 (en) * 1998-05-20 2001-02-13 Combe, Inc., Low water no volatile organic compound hair lightener and dyeing composition
JP2000178146A (ja) 1998-12-21 2000-06-27 Kao Corp 毛髪化粧料
JP5105668B2 (ja) * 2001-04-04 2012-12-26 株式会社日本触媒 アルコールアルコキシレート化合物およびその組成物
US6486109B1 (en) * 2001-06-18 2002-11-26 Colgate-Palmolive Company Cleaning system including a liquid cleaning composition disposed in a water soluble container
US6642194B2 (en) * 2001-11-07 2003-11-04 Chemsil Silicones, Inc. Clear conditioning deter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FR2833835B1 (fr) * 2001-12-21 2004-01-30 Oreal Composition pour la teinture d'oxyd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acide ether carboxylique oxyalkylene, un tensioactif mono-ou poly-glycerole et un tensioactif non ionique oxyalkylene
JP2004203801A (ja) * 2002-12-26 2004-07-22 Sunstar Inc 洗浄剤組成物
JP2004277685A (ja) * 2003-03-13 2004-10-07 Matsumoto Yushi Seiyaku Co Ltd 増粘増泡剤および液体洗浄剤組成物
JP3946679B2 (ja) 2003-09-24 2007-07-18 花王株式会社 毛髪洗浄剤組成物
CN100506205C (zh) 2004-05-14 2009-07-01 花王株式会社 水性毛发清洁剂
JP4522809B2 (ja) * 2004-10-01 2010-08-11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および毛髪化粧料組成物
ES2383086T3 (es) * 2005-10-31 2012-06-18 Kao Corporation Agente potenciador de espesamiento/espuma
JP3961554B1 (ja) * 2005-10-31 2007-08-22 花王株式会社 増粘増泡剤
JP2007277685A (ja) * 2006-04-11 2007-10-25 Kobo Guriimu:Kk 宝飾用k5低カラット白色金合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53161T3 (es) 2015-12-04
US20100069276A1 (en) 2010-03-18
EP2062567A1 (en) 2009-05-27
CN101511330B (zh) 2011-08-17
KR20090047512A (ko) 2009-05-12
WO2008029516A1 (en) 2008-03-13
KR101388271B1 (ko) 2014-04-22
JP2008063294A (ja) 2008-03-21
US8039425B2 (en) 2011-10-18
AU2007292797B2 (en) 2012-02-23
AU2007292797A1 (en) 2008-03-13
JP5063060B2 (ja) 2012-10-31
EP2062567B1 (en) 2015-08-19
CN101511330A (zh) 2009-08-19
EP2062567A4 (en)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271B1 (ko)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US7951762B2 (en) Skin or hair washing composition
JP4886505B2 (ja) 洗浄剤用組成物
JP3929780B2 (ja) 毛髪洗浄剤
EP1956065B1 (en) Thickening/foam boosting agent
JPH0768115B2 (ja) 洗浄剤組成物
JP4348312B2 (ja) 洗浄剤組成物
EP1577373B1 (en) Detergent composition
JPH09118606A (ja) 毛髪処理剤
JP3886738B2 (ja) 洗浄剤組成物
KR20180003263A (ko) 모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JP2006045183A (ja) 毛髪化粧料
EP0777466A1 (en) Detergent compositions
JP2002348219A (ja) 洗浄剤組成物
KR20180025863A (ko) 헤어 샴푸 조성물
JP2010037484A (ja) 洗浄剤組成物
JP5466828B2 (ja) 皮膚又は毛髪用の洗浄剤組成物
JPH0665032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JP3423809B2 (ja) 洗浄剤組成物
KR100476002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JP2006028217A (ja) 洗浄剤組成物
JPH07291839A (ja) 洗浄剤組成物
JPH07224296A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