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884A - 의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884A
KR20140018884A KR1020137022145A KR20137022145A KR20140018884A KR 20140018884 A KR20140018884 A KR 20140018884A KR 1020137022145 A KR1020137022145 A KR 1020137022145A KR 20137022145 A KR20137022145 A KR 20137022145A KR 20140018884 A KR20140018884 A KR 20140018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abutment
stop
insertion stem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볼레터
Original Assignee
덴탈포인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탈포인트 아게 filed Critical 덴탈포인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18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7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shape following the gingival surface or the bon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 뼈에 골유착시키기 위한 임플란트 (1) 를 포함하고, 임플란트 (1) 의 수용 개구 (4) 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 스템 (6) 을 구비한 지대치 (2) 를 포함하는 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숄더 (9) 가 삽입 스템 (6) 에 형성되고, 상기 숄더는 삽입 스템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상으로 뻗어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톱 (5) 은 수용 개구 (4) 의 내주면에 제공되고, 상기 스톱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상으로 뻗어있다. 삽입 스템 (6) 과 임플란트 (1) 사이의 제 1 회전 위치에서, 지대치 (2) 는 축선방향으로 임플란트 (1) 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제 1 회전 위치에 대한 각만큼 삽입 스템 (6) 이 임플란트 (1) 에 대해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 회전 위치에서, 반대 축선방향으로 임플란트 (1) 와 지대치 (2) 사이의 운동을 막도록 적어도 하나의 숄더 (9) 가 스톱 (5) 뒤에 축선방향으로 맞물린다.

Description

의치 시스템 {DENTURE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턱 뼈에 골유착 (osseointegration) 시키기 위한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또한 이 임플란트에 삽입될 지대치 (abutment) 를 포함하는 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 또는 덴탈 임플란트의 용어로 알려진 매우 다양한 의치 시스템이 수년 동안 시장에서 이용할 수 있었고, 이들 중 일부는 크게 성공적으로 사용되어왔다. 치아 임플란트 또는 덴탈 임플란트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의치 그 자체를 나타내고 치근 대체물로서, 임플란트로 정확하게 지정되는 실제 임플란트 보디와 혼동되지 않아야 한다. 하기 내용에서, 치아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보디 또는 임플란트라는 용어는, 치아 임플란트가 턱 뼈에 고정시키기 위한 임플란트 보디를 포함하는 의치를 나타냄으로서 명확하게 구별된다. 2-부 및 3-부 치아 임플란트가 시장에서 주로 이용가능하며, 이 중 개별 치아의 대체를 위한 3-부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골내 임플란트 (endosteal implant) 또는 임플란트 보디, 지대치 (또한 연결부 또는 임플란트 포스트라고 불림), 및 크라운 (crown), 브리지 (bridge) 또는 다른 보철물 (prosthetic) 로 이루어진다.
지대치는, 덴탈 아치에서 크라운의 정확한 위치가 임플란트 보디의 위치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치과 의사가 임플란트에 대하여 크라운을 배향시킬 수 있게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임플란트를 턱에 고정시킨 후, 지대치는 미리 정의된 배향에 따라 임플란트에 위치결정되어야 한다.
관례적인 임플란트 형상은 블레이드, 니들 (needle), 나사, 원통 및 원뿔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상이한 징후에 사용된다. 원칙적으로, 골막하 (subperiosteal) 및 골내 임플란트를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골내 임플란트는 실질적으로는 원통형이고 턱 뼈의 드릴링된 (drilled) 구멍 안으로 또는 턱 뼈 안에 직접적으로 나사결합되거나 망치질된다. 치관 단부에서, 임플란트는 지대치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 블라인드 보어 (blind bore) 를 구비한다. 최근 몇 십년간, 주로 사용된 재료는 티타늄인데, 그것은 턱 뼈와 유사한 탄성 계수를 갖고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갖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세라믹, 예컨대 지르코니아 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치아 임플란트에서, 대부분 종래의 덴탈 세라믹 및/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크라운은 지대치 또는 1-부 임플란트/지대치 구조물에 접착제로 결합되거나 시멘팅되고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EP 0 879 024 B1 은, 고체 원뿔형 지대치가 임플란트에 나사결합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임플란트의 수용 개구는 또한 원뿔형 형상으로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 종류의 원뿔형 형상은 치과 의사들이 선호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이식 (implantation), 특히 또한 인상 (impressions) 채득 및 마스터 모델의 제조를 간단하게 하기 때문이다. 원뿔형 임플란트-지대치 연결부는, 그것이 형상 결합 (form-fit) 연결부 및 또한 가압 결합 연결부 모두와 관련되므로, 구성요소의 정확한 결합에 대한 요구가 높다. 덴탈 임플란트는 저작 (chewing) 중 상당한 교번 하중을 받아야 하므로, 나사결합된 구성요소들 간 매우 작은 이동성도 마멸 (abrasion) 과 마모를 유발한다. 또한, 지대치 및 임플란트를 함께 나사결합하는 것은, 나사산을 우선 서로 맞물리게한 후 일반적으로 여러 번 회전시킴으로써 지대치를 임플란트에 축선방향으로 도입하는 복잡한 절차이다.
WO 2006/084346 A1 은, 비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지대치를 갖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개시하는데, 이 시스템은 임플란트 및 보철 지지물을 포함하고, 보철 지지물은 차례로 지대치와 칼라 (collar) 요소를 포함한다. 임플란트 시스템의 중요한 특징은 임플란트 시스템의 부품들이 서로 선형적으로 밀려 서로 접착 결합된다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원통형 기저 포스트와 헤드부 사이에서, 지대치는 다각형으로 설계되고 임플란트의 숄더의 대응 리세스에 지대치를 방사상으로 위치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낮은 돌기를 갖는 원통형 목부를 갖는다. 기저 포스트를 수용하기 위한 임플란트의 중심 보어에는 내부 나사산이 제공되며, 이 나사산은 유착 (incorporation) 프로세스 동안 나사 캡 또는 스페이서 (spacer) 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유착 이후에, 칼라 요소를 지대치의 목 영역에 걸쳐 밀고, 기저 포스트는 임플란트의 나사산이 있는 보어 안에 접착 결합된다. 접착제가 흘러나가게 하기 위해 중심의 연속적인 축선 채널이 지대치에 제공된다. 이 시스템의 단점은, 지대치의 중심 축선 채널을 만드는데 상당한 기술적 노력과 지대치가 노출되는 기계적 하중 및 응력에 있다.
EP 1 728 486 A1 은 임플란트와 지대치를 갖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개시하는데, 지대치는 임플란트에서 지대치의 회전을 막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임플란트의 수용 개구는, 지대치의 기저부가 실질적으로 형상 결합에 의해 수용 개구 안으로 원하는 각도 위치로 삽입될 수 있고 임플란트 상의 별도의 나사에 의해 이 위치에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지대치를 임플란트로 밀어주는 공지된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접착제 재료에 의해 일체형 결합이 형성되는 동안 힘을 인가함으로써 지대치는 제자리에 유지되어야 한다. 누르는 힘 때문에, 접착제는 겹쳐진 면들을 따라 분포되고, 부분적으로 간극 밖으로 팽창할 수 있고, 경화시키는 동안, 예컨대 임플란트에서 지대치를 들어올려줌으로써 (펌프 효과) 지대치와 임플란트 사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뼈 레벨 임플란트의 경우 어려움을 야기한다. 지대치를 삽입할 때, 치료를 제공하는 사람은 종종 시간의 압박을 받는데, 왜냐하면 접착제 재료는 종종 빠르게 경화되기 때문이다. 치료를 제공하는 사람은 임플란트에 대한 지대치의 정확한 위치를 점검할 시간을 거의 갖지 못하고, 부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위험이 있다. 환자에 대해서는, 지대치가 고정되도록 기다리는 시간이 불편한데, 왜냐하면 턱 뼈에 인가되는 일정한 압력을 견뎌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감소시킨 의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원의 목적은 또한 양호한 기계적 안정성을 가지고, 균열 또는 부정확한 위치결정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간단하고 정확하게 제자리에 결합될 수 있으며, 환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비용 효율적 설계를 가지는 의치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 에서 주장된 바와 같은 의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설계와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형태는 종속항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치 시스템은, 턱 뼈에 골유착시키기 위한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의 수용 개구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 스템 (insertion stem) 을 갖는 지대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숄더가 삽입 스템에 형성되고, 상기 숄더는 삽입 스템 또는 수용 개구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방사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숄더는 로킹 숄더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톱이 수용 개구의 내주면에 제공되고, 상기 스톱은 방사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삽입 스템과 임플란트 사이의 제 1 회전 위치에서, 즉 삽입 회전 위치에서, 지대치는 축선방향으로 임플란트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오직 축선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숄더 및 스톱은 원주 방향으로 오프셋되게 배열되고 축선방향으로 서로를 지나서 가이드될 수 있다. 지대치는 수용 개구에 삽입되고, 삽입 회전 위치에서는, 스톱 뒤에서, 축선 삽입 방향으로, 숄더가 배열된 시작 위치에 지대치가 위치할 때까지 수용 개구 안으로 축선방향으로 도입된다. 시작 위치로부터, 지대치는 제 2 회전 위치, 즉 맞물린 회전 위치 또는 로킹 회전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지대치가 임플란트에서 축선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숄더가 스톱 뒤에서 축선방향으로 맞물릴 때까지 삽입 스템은 제 1 회전 위치에 대한 각만큼 임플란트에 대해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것은, 임플란트와 지대치 사이에서 삽입 방향과 역방향인 반대 축선방향으로의 운동을 막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수용 개구에서 스톱은, 맞물린 회전 위치에서 삽입 스템의 숄더가 접하는 블로킹 스톱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고, 그 결과 지대치가 임플란트 밖으로 당겨지거나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 2 회전 위치에서는, 임플란트의 적어도 하나의 스톱이, 지대치의 적어도 하나의 숄더와 함께, 임플란트와 지대치 사이에 형상 결합 축선 로크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치 시스템에서, 그것은 로킹 회전 위치로 회전된 후 지대치가 임플란트에 대해 원하는 세팅을 취하도록 숄더와 스톱이 위치결정된다. 임플란트에 지대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공지된 방식으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축선 로크를 써서, 압력을 지대치에 축선방향으로 가하지 않으면서, 지대치가 임플란트에서 원하는 축선방향 세팅으로 유지된다. 접착제에 의해 유발되거나 접착제를 횡방향으로 눌러 펴 줌으로써 유발되는 저항에도 불구하고, 지대치는 힘의 인가 없이 축선방향으로 고정 유지되고 접착제의 경화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삽입 스템의 숄더는 삽입 스템 둘레에서 실질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임플란트의 스톱이 맞물리는, 숄더의 맞물림 면은 바람직하게 삽입 스템의 종방향 축선에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된다. 하지만, 맞물림 면은 또한 이 평면에 대해, 또는 원주 라인에 대해 약간 기울어질 수 있고, 즉 예를 들어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나선 라인을 따를 수 있다. 원주 방향으로, 숄더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 (interruption) 또는 리세스를 갖는다. 차단부는 적어도 너무 커서 임플란트의 스톱이 축선방향으로 관통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여러 개의 숄더가 삽입 스템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삽입 스템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상이한 방향들로 돌출된다. 차단부는 각각의 개별 숄더 사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지대치의 숄더와 동수의 스톱이 수용 개구에 제공된다. 복수의 숄더는 임플란트에서 지대치의 확실한 로킹 및 위치결정을 허용한다. 더욱이, 숄더와 스톱 사이의 접촉력은 여러 접촉면들에 걸쳐서 분포될 수 있다.
여러 개의 숄더가 종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원주를 중심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 또는 4 개의 숄더가 거울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3 개 또는 5 개의 숄더인 경우에, 이것은 점대칭으로 배향될 수 있다. 물론, 또한 5 개 초과의 숄더를 제공할 수 있다. 지대치의 숄더는 예를 들어 삽입 스템에서 N-에지의 숄더로서 설계될 수 있고, 여기에서 N 은 숄더의 개수이다. 개별 숄더는, 예를 들어, 사이에 차단부가 연장되는, 축선방향 에지를 구비한 리브의 형태로 돌출한다. 임플란트의 스톱은 숄더의 위치 또는 숄더 사이의 차단부의 위치에 따라 배열된다. 이런 식으로, 지대치가 정의된 회전 위치에서만 스톱을 지나 가이드되고 시작 위치로 이동하는, 일종의 열쇠-자물쇠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여러 개의 숄더가 삽입 스템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즉 종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하나의 평면에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종방향 축선을 따라 상이한 평면들에, 즉 다른 축선방향 위치에 숄더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숄더 및 수용 개구 내부의 스톱은 지대치를 따라 다른 축선방향 위치에서 로킹 작용을 허용할 수 있다. 숄더는 바람직하게 삽입 스템의 근위 단부 (proximal end) 에 제공되고, 지대치는 따라서 임플란트에서 가장 깊은 지점에 로킹될 수 있다. 하지만, 숄더는, 예를 들어, 또한 삽입 스템에서 중심에 배열될 수 있다.
임플란트의 수용 개구 내 인서트 스톱 및 삽입 스템의 메이팅 인서트 스톱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인서트 스톱과 메이팅 인서트 스톱은 지대치를 임플란트에 도입할 때, 지대치의 축선방향 삽입 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인서트 스톱과 메이팅 인서트 스톱 사이의 접촉은 회전 운동을 위한 축선방향 시작 위치를 정의할 수 있고, 이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지대치는 삽입 회전 위치에서 맞물린 회전 위치로 이동된다. 이 축선방향 시작 위치에서, 삽입 스템이 임플란트에 완전히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도, 인서트 스톱 및 메이팅 인서트 스톱은, 지대치가 맞물린 위치로 회전한 후에도, 서로 지탱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지대치는 양쪽 축선방향으로 고정되고 이 위치에서 고정 유지된다. 지대치를 시작 위치로 도입하였을 때, 삽입 스템은 바람직하게 수용 개구의 바닥면에서 기저면으로 지탱된다. 따라서, 기저면은 인서트 스톱을 형성하고, 바닥면은 메이팅 인서트 스톱을 형성한다.
회전 로크를 위한 회전 한계는 또한 임플란트와 지대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수용 개구 내 회전 스톱과 삽입 스템 상의 메이팅 회전 스톱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 회전 스톱과 메이팅 회전 스톱은 임플란트에 대한 지대치의 회전 운동을 제한한다. 회전 스톱은, 예를 들어, 임플란트와 지대치의 원주면 상에 리브 또는 에지로서 제공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축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대치가 축선방향으로 시작 위치로 도입되자마자, 메이팅 회전 스톱이 회전 스톱에서 지탱되어 추가 회전을 막을 때까지 회전 운동이 일어난다. 120°, 바람직하게 60°, 특히 45°의 회전 후에 회전 운동을 이미 막도록 회전 스톱을 위치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1/2 선회 또는 거의 완전한 선회를 제공할 수 있다.
삽입 스템 상의 숄더와 임플란트의 수용 개구 내 스톱의 형태인 축선 스톱, 및 회전 스톱과 메이팅 회전 스톱의 형태인 회전 스톱은 함께 임플란트에서 지대치의 축선 회전 형상 결합 로크를 만든다. 로킹 위치는 임플란트에 대해 지대치의 미리 정의된 배향을 결정하여서, 지대치에 장착될 상부구조 (superstructure) 가 또한 미리 정의된 배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대치와 임플란트가 일종의 베이오넷 (bayonet)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삽입 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숄더와 수용 개구 내 적어도 하나의 스톱이 구성된다.
전술한 대로, 숄더의 맞물림 면이 종방향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약간 경사지게 설계된다면, 지대치와 임플란트 사이에 가압 결합 연결부를 또한 얻을 수 있다. 회전하는 동안, 숄더는 그 후 경사 맞물림 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일종의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삽입 스템 상의 숄더는 재킷 면의 함몰부에 의해 또는 재킷 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한 돌기, 예를 들어 리브에 의해, 또는 양자의 조합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스템은, 임플란트의 수용 개구의 대응하는 비원형인 내주 형상으로 결합하는 비원형 원주 형상을 갖는 재킷 면을 가질 수 있고, 회전 방향으로 지대치와 임플란트 사이에 약간의 유극 (play) 이 남아있다. 원칙적으로, 삽입 스템은 또한 숄더의 단지 원주 영역에서만 비원형 원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재킷 면과 내주 형상은 예를 들어 다각형일 수 있어서, 지대치가 임플란트에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회전 위치가 있다. 그러면, 더 작은 반경을 갖는 원주면의 영역은 지대치와 임플란트 사이에서 회전 스톱으로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지대치와 임플란트는 단지 더 큰 반경의 원주 섹터 내에서 상기 유극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숄더는 예를 들어 재킷 면의 만입부 또는 오목부의 형태인 함몰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어서, 숄더는 실질적으로 재킷 면 너머 방사상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스톱은 내주 형상의 수용 개구에서 돌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 돌기는 원주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해 있다. 지대치의 재킷 면과 임플란트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은 과잉 접착제를 제거하기 위한 지대치와 임플란트 사이의 배수 채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더욱이, 수용 개구의 내주연에서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면 또는 가이드 그루브가 제공될 수 있고 그 사이에서 지대치 또는 숄더는 임플란트에 삽입하는 동안 축선방향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삽입 중 회전 운동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가이드 면은, 예를 들어,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돌출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대로, 가이드 면은 수용 개구의 비원형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다. 지대치 숄더를 위한 가이드 면은 바람직하게 수용 개구의 스톱에서 끝나서, 스톱을 통과하자마자 삽입 스템은 회전될 수 있다. 축선 가이드 면 또는 그루브는, 원주 방향으로 배향되고 수용 개구의 스톱으로 이어지는 추가 가이드 면 또는 그루브로 합쳐질 수 있다. 스톱은 또한 이러한 원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지대치를 임플란트에 삽입하는 동안, 지대치를 회전시킬 수 있는 축선방향 시작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삽입 스템은 임플란트에서 가이드 면을 따라 형상 결합으로 축선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지대치는 가이드 면을 따라 강제적으로 가이드되고 임플란트에 대해 미리 정의된 배향으로 가이드된다.
삽입 스템과 수용 개구는 단순히 원통형 형상으로 설계된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삽입 스템과 수용 개구는 또한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임플란트와 지대치 사이의 나사 연결부 또는 축선 방향으로 눌러지는 지대치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의치 시스템은 연속 선형 삽입 운동을 허용한다. 짧은 회전 운동으로, 영구적으로 힘을 인가하지 않으면서 유지될 수 있는 바람직한 미리 정의된 위치로 지대치가 이동될 수 있다. 반복된 회전 운동 없이 신속하고 간단한 취급은 임플란트에 지대치의 용이한 삽입 및 위치결정을 허용한다.
도시된 의치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크라운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지대치가 설명되었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임플란트는 또한 치은 성형기, 인상편 또는 임시 보철물 (temporary restoration) 의 형태로 지대치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단지 설명 목적으로만 역할을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는 도면을 참조로 이하 기술된다. 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각각 조합하여 본 발명의 개시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임플란트와 지대치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의치 시스템의 입체도를 나타낸다.
도 2a 는 지대치가 임플란트에 대해 제 1 회전 위치에 있는 의치 시스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2b 는 도 2a 의 의치 시스템의 삽입 스템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2c 는 지대치가 제 2 회전 위치에 있는 의치 시스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3 은 의치 시스템의 임플란트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지대치가 임플란트에 삽입된 의치 시스템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 는 지대치가 임플란트에 대해 제 1 회전 위치에 있는 의치 시스템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b 는 지대치가 제 2 회전 위치에 있는 의치 시스템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임플란트 (1) 및 지대치 (2) 를 구비한 의치 시스템이 도 1 에 나타나 있다. 임플란트 (1) 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근위 영역에서 약간 원뿔형으로 뻗어있다. 임플란트 (1) 의 외주연에, 외부 나사산 (3) 이 나타나 있는데 이 외부 나사산으로 임플란트가 턱 뼈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은, 턱에 체결하는 다른 방법들을 원칙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원위 단부 (distal end) 에서, 도 3 에 볼 수 있는 것처럼, 임플란트 (1) 는 수용 개구 (4) 를 가진다. 수용 개구 (4) 는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임플란트 (1) 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동심으로 연장된다. 3 개의 방사상으로 내향 돌출 스톱 (5) 을 형성하도록, 수용 개구 (4) 의 내주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한 숄더는 일부 영역에서 원주 방향으로 차단되고, 단면도로 나타냈기 때문에 상기 내향 돌출 스톱 중 단지 하나만 도 3 의 좌측에서 볼 수 있다. 스톱 (5) 은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되게 분포된다. 임플란트 (1) 내부에서, 수용 개구 (4) 는 바닥면 (16) 으로 끝나는데, 이 바닥면은 그 중심에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스톱 (5) 을 구비한 숄더와 바닥면 (16) 사이에, 스톱 (5) 을 구비한 영역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는 확장 영역 (18) 이 형성된다.
지대치 (2) 는 삽입 스템 (6) 및 크라운 등을 위한 지지부 (7) 를 갖는다. 삽입 스템 (6) 및 지지부 (7) 는 공통 종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지만, 그것은 또한 서로 각을 이루며 배열될 수 있다. 지지부 (7) 는 대략적으로 원통형 구성을 가지고 일측이 평평하게 되고, 평탄부 (8) 는 지지부 (7) 에 크라운을 배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삽입 스템 (6) 은 꽤 큰 직경의 두꺼운 원위 영역 및 작은 직경의 얇은 근위 영역을 포함하고, 그 단부에 3 개의 숄더 (9) 가 배열된다. 숄더 (9) 는 원위 영역 너머로 튀어나오지지 않으면서 근위 영역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그 숄더는 삽입 스템 (6) 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공통 평면에 놓여있다. 숄더 (9) 는 삼각형 형태로 삽입 스템의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점대칭되게 배향된다. 숄더 (9) 사이에, 차단부 또는 리세스 (10) 가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삽입 스템의 반경은 숄더에서보다 작다. 숄더는, 더 큰 반경의 숄더 영역과 더 작은 반경의 리세스 영역과 함께, 삽입 스템의 단부에 일종의 삼각형 단부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숄더는 삽입 스템 상에 3-에지 숄더로 형성된다. 단부면은 임플란트 (1) 에 놓일 수 있는 기저면 (17) 을 형성한다. 원위 영역은, 외주연에, 나선형 그루브 (11) 를 가질 수 있고, 이 그루브는 지지부 (7) 의 방향으로 근위 영역으로부터 뻗어있는 채널을 형성한다. 지지부 (7) 와 삽입 스템 (6) 사이에, 삽입 스템 (6) 의 원위 영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스커트 (12) 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커트는 삽입 스템 (6) 너머로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임플란트 (1) 의 원위 에지 (13) 에 접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삽입 스템 (6) 은 3 개의 숄더 (9) 를 갖는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더 적거나 더 많은 수의 숄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b 에 나타난 것과 같은 삽입 스템 (6) 의 상세도에서 볼 수 있듯이, 삽입 스템의 근위 영역의 원주 재킷 면은 또한 원형이 아니고, 그 대신에 그것은 마찬가지로 삼각형 형태를 갖는다. 여기에서, 평평한 섹션 (14) 은 각진 섹션 (15) 과 교대로 놓인다. 평평한 섹션 (14) 은 각 경우에 숄더 (9) 로 합쳐지고, 각진 섹션 (15) 은 각 경우에 리세스 (10) 로 합쳐진다. 각진 섹션 (15) 은 리세스 (10) 의 중심을 향해 오프셋된다. 수용 개구 (4) 의 내주연 상에서 스톱 (5) 은 마찬가지로 삼각형 배향을 갖는다. 숄더 (9) 가 스톱들 (5) 사이를 통하여 가이드되고 지대치 (2) 가 축선방향으로 임플란트 (1) 에 삽입될 때 각진 섹션 (15) 이 스톱들 (5) 사이에 놓여지도록 각진 섹션 (15), 숄더 (9) 및 스톱 (5) 의 반경 또는 직경은 서로 부합된다.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되는 것처럼, 지대치 (2) 가 임플란트 (1) 에 도입될 때 각진 섹션 (15) 과 스톱 (5) 사이에 약간의 회전 유극이 남아있도록 각진 섹션 (15), 숄더 (9) 및 스톱 (5) 이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다.
도 2a 및 도 2c 는 상이한 회전 위치에서 지대치 (2) 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2a 에서, 삽입 스템 (6) 은 도면의 우측에서 볼 수 있는 숄더 (9) 와 나타나 있고, 원위 영역의 각진 섹션 (15) 은 거의 중심에 놓인다. 도 2c 에서, 지대치 (2) 는 약 30°로 선회되어서, 각진 섹션 (15) 은 좌측에 놓이게 되고 숄더가 거의 중심에 놓인다.
도 4 에서, 지대치 (2) 는 축선방향으로, 삽입 회전 위치에서, 임플란트 (1) 에 삽입되고 회전되기 전 시작 위치로 나타나 있다. 시작 위치에서, 삽입 스템 (6) 의 기저면 (17) 이 임플란트 (1) 의 바닥면 (16) 에 접할 때까지 지대치 (2) 를 임플란트 (1) 안으로 축선방향으로 밀어준다. 더욱이, 스커트 (12) 는 상부 에지 (13) 에서 지탱된다. 바닥면 (16) 과 에지 (13) 는 인서트 스톱을 형성하고, 기저면 (17) 과 스커트 (12) 는 메이팅 인서트 스톱을 형성하는데, 이 스톱들은 삽입된 위치에서 삽입 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지대치 (2) 를 임플란트 (1) 에 삽입하는 축선 방향으로 더 이상 밀 수 없다. 지대치를 삽입하기 위해서, 리세스 (10) 가 스톱 (5) 에 대향하게 놓이고 숄더 (9) 가 스톱 사이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삽입 스템 (6) 은 제 1 회전 위치에서 수용 개구 (4) 에 대해 배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런 종류의 3 가지 다른 회전 위치들이 가능하다.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임플란트 (1) 와 지대치 (2) 의 외부 영역에 마킹 또는 인덱싱이 제공될 수 있어서, 부품들은 서로에 대해 배향될 수 있다.
도 5a 에서는, 임플란트 (1) 와 지대치 (2) 가 삽입 회전 위치에서 횡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숄더 (9) 가 스톱들 (5) 사이에 놓여, 지대치가 임플란트 내부에서 축선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을 알 것이다.
임플란트 (1) 에 지대치 (2) 를 삽입하는 동안, 숄더 (9) 의 에지는 스톱들 (5) 사이에서 미끄러지고 그렇게 하여 스톱의 축선방향 연장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약간 돌출한 축선방향 면은 지대치 (2) 를 삽입하는 동안 가이드 면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시작 위치에서는, 숄더 (9) 가 수용 개구 (4) 의 확장 영역 (18) 에서 스톱 (5) 뒤에 축선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평평한 섹션 (14) 과 각진 섹션 (15) 을 갖는 삽입 스템 (6) 의 근위 영역은 스톱 (5) 의 영역 및 이 사이에 놓이게 된다.
시작 위치로부터, 도 2a 및 도 2c 에 대해 설명한 대로, 지대치 (2) 는 삽입 스템 (6) 의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임플란트 (1) 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확장 영역 (18) 내부의 숄더 (9) 는 수용 개구 (4) 안으로 돌출한 스톱 (5) 아래 또는 축선방향으로 뒤쪽 위치로 회전하여서, 도 5b 에서 알 수 있듯이, 지대치 (2) 는 임플란트 (1) 내부에서 축선방향으로 로킹된다. 이 로킹 회전 위치에서, 숄더 (9) 와 기저면 (17) 을 구비한 지대치 (2) 는 스톱 (5) 과 바닥면 (16) 사이에서 형상 결합으로 수용된다.
각진 면 (15) 은, 회전 운동 중, 회전 방향으로 스톱의 가이드 면에 접하여 이를 제한할 정도로 스톱들 (5)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할 수 있다. 각진 면 (15) 의 방사상 돌출부는 너무 좁아서, 스톱 (5) 과 각진 면 (15) 사이에 회전 유극이 남아있고 이 회전 유극에 의해 수용 개구 (4) 내부에서 삽입 스템 (6) 이 회전 각도를 통하여 로킹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스톱 (5) 과 각진 면 (15) 사이에 자유롭게 남아있는 공간 (19) 은 접착제를 위한 배수 채널로서 제공된다. 배수 채널로부터, 접착제는 삽입 스템 (6) 의 원위 영역에서 나선형 채널 (11) 을 통하여 추가로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삽입 스템 (6) 의 원위 영역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마찬가지로 원통형 수용 개구에 정확한 결합으로 맞추어져서, (예를 들어 저작 중) 지대치에 도입되는 힘의 대부분은 임플란트로의 원통형 밀착 결합으로부터 도입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밀착 결합이 손상되지 않도록, 즉 그것이 원통형 재킷 면 너머 방사상으로 외향 돌출하지 않도록 나선형 채널 (11) 은 삽입 스템의 원통형 영역으로 가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대치 (2) 를 임플란트 (1) 에 삽입할 때, 필요한 모든 것은 지대치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고 그것을 로킹하도록 축선방향 삽입 운동과 짧은 회전 각도에 대한 적은 회전 운동이다. 삽입하는 동안, 지대치와 임플란트 사이에 위치한 접착제가 변위되고 지대치의 삽입 운동과 역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지대치가 로킹 위치로 회전된 후, 이 역방향 힘은 임플란트 상의 스톱 (5) 에 의해 수용될 수 있고, 과잉 접착제는 배수 배열체를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밖으로 지대치를 누르도록 시도하는 결과적 압력은 축선 형상 결합 로크에 의해 수용된다. 그리하여, 지대치는 환자에게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간단한 방식으로 임플란트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1 임플란트
2 지대치
3 외부 나사산
4 수용 개구
5 스톱
6 삽입 스템
7 지지부
8 평탄부
9 숄더
10 리세스
11 나선형 그루브
12 스커트
13 에지
14 평평한 섹션
15 각진 섹션
16 바닥면
17 기저면
18 확장 영역
19 공간

Claims (16)

  1. 의치 시스템으로서,
    턱 뼈에 골유착 (osseointegration) 시키기 위한 임플란트 (1), 및 상기 임플란트 (1) 의 수용 개구 (4) 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 스템 (6; insertion stem) 을 구비한 지대치 (2; abutment) 를 포함하고,
    - 적어도 하나의 숄더 (9) 가 상기 삽입 스템 (6) 에 형성되고, 상기 숄더 (9) 는 상기 삽입 스템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 적어도 하나의 스톱 (5) 이 상기 수용 개구 (4) 의 내주면에 제공되고, 상기 스톱 (5)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 상기 삽입 스템 (6) 과 상기 임플란트 (1) 사이의 제 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지대치 (2) 는 축선방향으로 상기 임플란트 (1) 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삽입 스템 (6) 이 상기 제 1 회전 위치에 대한 각만큼 상기 임플란트 (1) 에 대해 상기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 제 2 회전 위치에서, 상기 지대치 (2) 가 상기 임플란트 (1) 에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숄더 (9) 가 상기 스톱 (5) 뒤에서 축선방향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9) 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 영역에 차단부 (10; interruption)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숄더들 (9) 이 상기 삽입 스템 (6) 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이한 방향들에서 상기 삽입 스템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숄더들 (9) 이 일 평면에서 상기 삽입 스템 (6) 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숄더들 (9) 이 상기 삽입 스템 (6) 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숄더 (9) 및 적어도 하나의 스톱 (5) 이 함께 상기 삽입 스템 (6) 과 상기 임플란트 (1) 사이에 형상 결합 (form-fit) 축선 로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숄더들 (9) 이 상기 삽입 스템 (6) 에 N-에지 숄더로서 형성되고, N 은 숄더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들 (9) 은 상기 삽입 스템의 근위 단부 (proximal end) 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 (4) 내 또는 상기 수용 개구 상의 인서트 스톱 (13; 16) 및 상기 삽입 스템 상의 메이팅 인서트 스톱 (12; 17) 이 제공되고, 상기 인서트 스톱 (13; 16) 및 상기 메이팅 인서트 스톱 (12; 17) 은, 상기 임플란트에 상기 지대치를 삽입할 때, 상기 지대치의 축선방향 삽입 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 (2) 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 스템 (6) 은 상기 수용 개구 (4) 내 바닥면 (16) 상의 기저면 (17) 으로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 (4) 내 적어도 하나의 회전 스톱과 상기 삽입 스템 상의 적어도 하나의 메이팅 회전 스톱 (15) 이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스톱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이팅 회전 스톱 (15) 은 상기 임플란트 (1) 에 대한 상기 지대치 (2) 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들 (9) 은, 상기 지대치 (2) 의 재킷 면 내 함몰부들에 의해 그리고/또는 상기 재킷 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한 리브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 (4) 의 내주연에서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면들 또는 가이드 그루브들이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면들 또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들 사이에서 상기 숄더들 (9) 이 축선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템은,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수용 개구의 대응하는 비원형 내주 형상으로 결합하는 비원형 원주 형상을 갖는 재킷 면 (14, 15) 을 갖고, 상기 지대치 (2) 와 상기 임플란트 (1) 사이에 회전 방향으로 유극 (play) 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숄더 (9) 는 상기 수용 개구 (4) 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톱 (5) 과 베이오넷 (bayonet)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 (2) 는 치은 성형기, 인상편 (impression piece) 또는 임시 보철물 (temporary restoration) 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시스템.
KR1020137022145A 2011-01-25 2012-01-24 의치 시스템 KR201400188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118/11A CH704382A1 (de) 2011-01-25 2011-01-25 Zahnersatz-System.
CHCH0118/11 2011-01-25
PCT/EP2012/051069 WO2012101135A1 (de) 2011-01-25 2012-01-24 Zahnersatz-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884A true KR20140018884A (ko) 2014-02-13

Family

ID=4657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145A KR20140018884A (ko) 2011-01-25 2012-01-24 의치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92221B2 (ko)
EP (1) EP2667820B1 (ko)
JP (1) JP5846613B2 (ko)
KR (1) KR20140018884A (ko)
CH (1) CH704382A1 (ko)
ES (1) ES2526601T3 (ko)
WO (1) WO20121011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058A (ko) * 2017-04-19 2017-07-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20170086885A (ko) * 2016-01-19 2017-07-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4136B2 (ja) * 2011-05-16 2015-12-16 バイオメット・3アイ・エルエルシー 仮の補綴物アセンブリ
ITPD20110355A1 (it) * 2011-11-14 2013-05-15 Antonio Gallicchio Impianto perfezionato per denti artificiali
CH707689A1 (de) * 2013-03-08 2014-09-15 Dentalpoint Ag Zahnimplatat.
US20140272788A1 (en) * 2013-03-14 2014-09-18 Biomet 3I, Llc Twist lock interface for abutment and implant assembly
USD765861S1 (en) * 2013-08-20 2016-09-06 Medical Corporation It Abutment
FR3012319B1 (fr) * 2013-10-25 2016-09-02 Anthogyr Sa Dispositif de liaison entre un implant dentaire et une prothese dentaire trans-fixee
BR102014031426B1 (pt) 2014-12-15 2018-07-24 Jjgc Ind E Comercio De Materiais Dentarios S/A implante
CL2015001657S1 (es) 2014-12-15 2016-09-02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 A Configuracion aplicada a implante oseo.
CH711169A1 (en) * 2015-06-08 2016-12-15 Dentalpoint Ag Dentures system.
BR112018014341A2 (pt) * 2016-01-14 2018-12-11 Nobel Biocare Services Ag encaixe dentário acoplável a um componente dentário e a uma montagem dentária que engloba o encaixe dentário
US20170303981A1 (en) * 2016-04-21 2017-10-26 Symmetry Medical Manufacturing, Inc. Self-retaining screwdriver tip and mating drive feature
BR102016010184B1 (pt) 2016-05-05 2020-10-27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conjunto protético e processo para produção do mesmo
IT201700070869A1 (it) * 2017-06-26 2018-12-26 Antonio Gallicchio Dispositivo protesico dentale
US11284971B2 (en) 2020-02-27 2022-03-29 New Way Denture & Retention Systems, LLC Denture reten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220378555A1 (en) * 2021-06-01 2022-12-01 Yao-Tsung Wu All-Zirconium One-piece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5340A (en) * 1985-02-04 1986-03-11 Lustig Leopold P Precision dental restorative system
US4657510A (en) * 1985-03-06 1987-04-14 Implant Systems, Inc. Hybrid dental implant system
US5092771A (en) * 1990-11-21 1992-03-03 Tatum Iii O Hilt Rotary dental implant post
US5197881A (en) * 1991-12-30 1993-03-30 Wellesley Research Associates, Inc. Dental implant system and apparatus
AT400804B (de) * 1994-10-10 1996-03-25 Mke Metall Kunststoffwaren Implantat
DE19509762A1 (de) * 1995-03-17 1996-09-26 Imz Fertigung Vertrieb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mit Distanzhülse
DE19534979C1 (de) * 1995-09-20 1997-01-09 Imz Fertigung Vertrieb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mit Verdrehsicherung
CA2230615C (en) 1996-02-08 2000-05-30 Institut Straumann Ag Impression system for an implant end protruding from the human tissue structure
DE19633570C1 (de) * 1996-08-21 1998-01-02 Imz Fertigung Vertrieb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mit Verdrehsicherung und Stanzwerkzeug sowie Positionierhilfe zur Fertigstellung eines solchen Einzelzahnimplantats
US5782918A (en) * 1996-12-12 1998-07-21 Folsom Metal Products Implant abutment system
US6540514B1 (en) * 1998-02-26 2003-04-01 Theodore S. Falk Method for isolating a dental implant
AU4255799A (en) * 1998-04-08 1999-11-01 Imz Fertigungs- Und Vertriebsgesellschaft Fur Dentale Technologie Mbh Intraosseous single-tooth implant
DE19903482A1 (de) * 1999-01-29 2000-08-03 Unger Heinz Dieter Aufbau einer prothetischen Suprakonstruktion
IT1311004B1 (it) * 1999-03-16 2002-02-27 Antonio Gallicchio Impianto per denti artificiali.
WO2001012054A2 (en) * 1999-08-17 2001-02-22 Pioneer Laboratories Bone connector system
US6733291B1 (en) * 1999-09-27 2004-05-11 Nobel Biocare Usa, Inc. Implant with internal multi-lobed interlock
US6382977B1 (en) * 2000-03-02 2002-05-07 Nobel Biocare Usa, Inc. Snap-in impression coping
USD441448S1 (en) * 2000-05-08 2001-05-01 Nobel Biocare Usa, Inc Snap-in impression coping
IL190642A (en) * 2002-11-13 2011-06-30 Biomet 3I Llc Dental implant system
WO2006084346A1 (en) 2005-02-11 2006-08-17 Medin Tech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and kit comprising the same
EP1728486A1 (en) 2005-06-03 2006-12-06 Straumann Holding AG Coupling for a multi-part dental implant system
DE602005023979D1 (de) * 2005-08-03 2010-11-18 Straumann Holding Ag Halteelement für ein Zahnimplantat
ES2351231T3 (es) * 2007-05-12 2011-02-01 Gerd Axel Dr. Walther Implante dental, en particular de un material cerámico.
DE102008028132A1 (de) * 2007-07-18 2009-01-22 Achilles Iatropoulos Mehrteiliges Zahnimplantatsystem
US8033826B2 (en) * 2007-11-15 2011-10-11 Biomet 3I, Llc Two-piece dental abutment system
EP2143398B1 (de) * 2008-07-12 2012-12-05 Gerd Axel Dr. Walther Zahnimplantat mit elastischem Zwischenelement
CH701860A1 (de) * 2009-09-24 2011-03-31 Dentalpoint Ag Zahnersatzanordn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885A (ko) * 2016-01-19 2017-07-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20170087058A (ko) * 2017-04-19 2017-07-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7820A1 (de) 2013-12-04
JP2014508575A (ja) 2014-04-10
US20130309630A1 (en) 2013-11-21
WO2012101135A1 (de) 2012-08-02
US8992221B2 (en) 2015-03-31
EP2667820B1 (de) 2014-11-12
CH704382A1 (de) 2012-07-31
ES2526601T3 (es) 2015-01-13
JP5846613B2 (ja)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8884A (ko) 의치 시스템
US7014464B2 (en) Multi-part abutment and transfer cap for use with an endosseous dental implant with non-circular, beveled implant/abutment interface
JP5667570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
JP6719458B2 (ja) 骨内単一歯インプラント
US8920170B2 (en) Abutment and abutment systems for use with implants
KR10196650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치 및 이들의 조합, 그리고 임플란트 시술 세트
US9072566B2 (en) Dental implant
RU2657848C2 (ru) Зубная протез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имплантата
JP2004000780A (ja) 義歯を保持および/または形成するための支持具
US9993318B2 (en) Retention insert and connection device for dental applications
KR20150098666A (ko) 지대주 및 치과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부착하는 방법
KR20140067028A (ko) 치과용 부품 및 치과용 임플란트
EP3668444A1 (en) Dental component with an interface
US20110229850A1 (en) Dental coping and assembly with aligning anti-rotation feature
EP3721830B1 (en) Dental implant abutment copings
US20100167239A1 (en) Impression device with impression-taking cap for dental prosthesis
JP6432911B2 (ja) 1つまたは複数の外側環状体を備えたマウントエレメントを有する単一部分または複数部分から成る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KR102080241B1 (ko) 임플란트용 실린더장치
JP2019202124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EP4291131A1 (en) Abutment arrangement
US20190239989A1 (en) Cap for fastening on an anchoring element
KR102205330B1 (ko) 치아 임플란트
CN114599312A (zh) 用于牙种植体的牙龈愈合基台
KR200329978Y1 (ko) 치과 임프란트용 캡
US20210068930A1 (en) Impression Post for a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