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940A -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모듈러 인테리어 파티션 - Google Patents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모듈러 인테리어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940A
KR20140016940A KR1020137027075A KR20137027075A KR20140016940A KR 20140016940 A KR20140016940 A KR 20140016940A KR 1020137027075 A KR1020137027075 A KR 1020137027075A KR 20137027075 A KR20137027075 A KR 20137027075A KR 20140016940 A KR20140016940 A KR 20140016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assembly
modular partition
modular
receiver structu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3262B1 (ko
Inventor
지크문트 루벨
Original Assignee
아디타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디타즈, 인크. filed Critical 아디타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16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04B2/7411Details for fire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wallboards attached to the outer faces of the posts, parallel to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6T-connections
    • E04B2/767Connections between wall studs and upper or lower locating rails
    • E04B2/768Connections between wall studs and upper or lower locating rails allowing vertical movement of upper rail with respect to the stud, e.g. by using slots in the rail or stu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4Connections between open and closed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7Beam to beam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구조적 골조식 빌딩은, 상기 구조적 골조식 빌딩 내에 점유가능한 공간의 천장 높이를 형성하는 천장 라인을 가진다.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은, 제1 또는 상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및 제2 또는 하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수용기 구조는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를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에 연결하게끔 구성된다.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전장 높이를 초과하는 수직 치수를 가진다.

Description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모듈러 인테리어 파티션{MODULAR INTERIOR PARTITION FOR A STRUCTURAL FRAME BUILDING}
-관련 출원 교차 참조-
본 출원은,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 "빌딩을 위한 모듈러 인테리어 파티션" 이라는 명칭으로 2011년 3월 14일 출원된 미국특허 가출원 일련 번호 61/452,605 호를 우선권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구조적 골조식 빌딩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들을 위한 모듈러 구성요소(modular components)들에 관한 것이다.
구조적으로 골조식 빌딩들(structurally framed buildings)은 일반적으로 강철(steel) 또는 기둥들(columns), 거더들(girders) 및 콘크리트 데크들(decks)을 지지하는 빔들(beams)의 콘크리트 프레임을 포함한다. 한번 설치되면, 콘크리트 데크는 빌딩의 여러 층의 기초를 형성한다. 벽들(walls), 시설 구성요소들(예컨대, 전기, 배관, 난방, 환기 및 공기조절(HVAC) 구성요소들), 및 설비와 같은 빌딩 시스템들이 콘크리트 상판에 부착되어 빌딩이 마무리된다. 구조적 골조 빌딩들의 건설에 있어서, 각각의 상판상에 별개의 객실들 또는 격실들(compartments)을 만들게끔 상판들을 배치한 후에 파티션들(partitions)이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객실들은 위치, 크기 또는 객실들에서 사용되는 파티션들의 다른 특성에 따라 특정 용도에 맞게 맞출 수 있다.
빌딩 내부에 있는 비내력 파티션들(non-load bearing partitions)은, 필연적 건물 구조에 대한 지지(support)를 제공하지 않고 빌딩 내의 공간들 사이의 분리를 제공한다. 파티션은 화재, 연기 및/또는 빌딩의 다양한 요구 조건과 용도에 따라 음향 투과율(sound transmittance)에도 저항력이 필요할 수 있다. 파티션은 하나의 건물 데크의 바닥(floor)으로부터 화재, 연기 및/또는 음향 등급들(sound ratings)을 충족하게끔 장벽을 만드는 연속적인 방식으로 구조 데크 위의 밑면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적 골조식 빌딩 내부의 공간 사이를 분리하며, 화재, 연기 및 음향 투과율에도 저항력이 있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모듈러 인테리어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구조적 골조식 빌딩의 하부 데크 구조(lower deck structure) 및 상부 데크 구조(upper deck structure) 사이에 설치하기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구조적 골조식 빌딩은, 구조적 골조식 빌딩 내에서 점유할 수 있는 공간의 천장 높이를 규정하는 천장 라인을 가진다.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은,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데크 구조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또는 하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데크 구조에 연결하기 위한 제2 또는 상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은,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하도록 형성된 수용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천장 높이를 초과하는 수직 치수(vertical dimension)를 가지므로, 구조적 골조식 빌딩에 있어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및 수용기 구조를 설치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 제2 모듈러 파타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 및 수용기 구조는 천정 라인의 위쪽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상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원리의 실례를 예시한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모듈러 인테리어 파티션은, 빌딩 내부 공간을 분리할 수 있으며, 화재, 연기 및 음향 투과율에도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골조식 빌딩의 구조 프레임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골조식 빌딩의 데크 구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의 A 내지 C는 도 1의 골조식 빌딩에서 데크들 사이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의 A 내지 C는 도 3의 A 내지 C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파티션 헤드의 실시예의 단면도(end view)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골조식 빌딩의 데크들 사이의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을 연결하는 수용기 구조들의 실시예의 사시도, 횡단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G는 하부 수용기 구조의 실시예의 측면도, 사시도, 횡단면도, 전개된 평면도, 및 비전개된 평면도(undeveloped plan views)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상부 수용기 구조의 실시예의 횡단면도, 전개된 평면도, 및 비전개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의 A 및 B는 도 6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의 프레이밍 부재들(framing members)의 실시예의 단부 횡단면도(end cross-section views)를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6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에 대한 수용기 조인트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6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2의 하부 데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의 A 및 B는 하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에서 수용기 구조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의 골조식 빌딩의 데크들 사이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여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 및 다양한 다른 구성들로 설계되고 배치될 수 있게 예시된 첨부 도면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면으로 나타난 것과 같은 하기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 내용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대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양한 양상이 도면들에 제시되어 있지만 명확하게 명시하지 않는 한 일정한 축척으로 그려질 필요는 없다.
상세하게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측면에서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적으로 고려되어선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상세한 설명 보다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명시된다. 청구항의 동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 해당하는 모든 변경은 해당 범위 내에서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특징, 장점, 또는 유사한 언어에 대한 인용은 본 발명으로 실현될 수 있는 모든 특징 및 장점이 어떤 하나의 실시예 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징 및 장점을 언급하는 언어는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특정한 특성, 장점 또는 특징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함을 이해한다. 따라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특징 및 장점의 논의와 유사한 언어는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된 특징, 장점 및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식에 결합될 수 있다. 관련 기술의 당 업자는, 여기의 설명의 견지에서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정한 특징 또는 장점이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추가 특징 및 장점은 일부 실시예에서 인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일 실시예", "한 실시예" 또는 유사한 언어에 대한 인용(reference)은, 보여지는 실시예에 관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일 실시예에서", " 한 실시예에서" 및 유사한 언어의 어구(phrases)는 필수적이진 않지만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많은 실시예들이 여기에 설명되어 있는 반면에, 설명된 실시예 중 적어도 일부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에 있어서 점유 가능한 공간(occupiable space)을 건설(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은 구조적 골조식 빌딩의 데크 상에서 점유 가능한 공간을 만들기 위한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modular partition assemblies)을 사용하는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interior partition system)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 점유 가능한 공간은 사람들 및/또는 물건들에 의해 점유(cccupied)된다. 파티션 어셈블리는 천장 높이를 초과하며 천장 높이 위의 수용기 구조(receptor structure)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을 포함한다.
여러가지 변수 또는 사안들(issues)은 구조적 골조식 빌딩의 건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컨대, 구조적 골조식 빌딩의 내부에서 천장 까지 닿는 벽의 상부 부분은 "벽 상태의 헤드"(head of wall condition)로 언급된다. 벽 상태의 헤드는, 콘크리트 데크의 설계 및 건설에 있어 변형 때문에 화재, 연기 및/또는 음향 등급 벽들에 존재하며, 벽 상태의 헤드는 적용 가능한 화재, 연기 및/또는 음향 등급들(sound ratings)이 충족되는지를 보장하도록 각 강철 골조식 빌딩에서 개별적으로 평가될 필요가 있다. 음향 특성들(acoustical properties)은 소리 전달 계수(sound transmission coefficient)를 이용해 측정될 수 있으며, 음향이 파티션을 통해 전달됨으로서 소음의 데시벨 감소(decibel reduction)와 연관성이 있다. 화재 및 연기 저항성 등급들은, 일반적으로 파티션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화재 또는 연기가 전달되는 것에 파티션들이 저항하는 45 분 및 4시간 사이의 시간 속성(properties of time)일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데크에 대한 내부 벽들, 시설 구성요소들 및 설비와 같은 빌딩 시스템들의 부착(anchoring)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개별 구조적 골조식 건물에 대해 수요자 요구에 맞게 제작된다. 게다가, 부착 시스템들의 현장 주문 제작은 일반적으로 강철 구조식 빌딩의 어떠한 미래의 요구 및/또는 효용을 고려하지 않는다.
일부 종래의 구조적 골조식 빌딩들에 있어서, 파티션은 "스틱" 제작(stick built) 또는 현장 밖의 제작 공장에서 패널들을 사전 제작하여 현장으로 가져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많은 구성요소들의 조합에 있어서 필요조건들을 보장하도록 파티션 어셈블리들, 내부 유틸리티 라우팅들(internal utility routings) 및, 앵커링/브레이싱(anchoring/bracing)의 설계를 조정하는 것은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많은 상이한 구성요소들의 어셈블리는, 때때로 유사한 실수로 앞으로의 계획에서 종종 잃을 수 있고 반복될 수 있는 각각의 설계 및 건설 계획에서 소비되는 소중한 자원 프로세스 시간(resource process time)이 필요 할 수 있다.
도 1은 골조식 빌딩의 구조 프레임(1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구조적 프레임(100,structural frame)은 기둥들(102,columns)- 일반적으로 빌딩이 놓여있는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있음- 및 일반적으로 빌딩이 놓여있는 표면에 대해 수평인, 거더들(104,girders) 및 다른 지지 빔들(106,beams)을 포함 할 수 있다. 구조적 프레임들(100) 및 골조식 빌딩들은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조적 프레임들(100)은 강철 프레임들(steel frames)이다. 일 실시예에서, 기둥들(102)은 "I" 형상의 강철 빔인데, "I-빔들" 로써 언급된다. 일반적으로, I-빔들은 X-스팬 디멘션(X-span dimension) 및 Y-스팬 디멘션을 포함하는 거더 구조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X 및 Y 스팬들은 10-70 피트의 범위 내에 있는데, 다른 디멘션들도 가능하지만, X 및 Y 스팬들은 20-40 피트 범위내에 있는 게 일반적이다. 구조적 프레임(100)은 골조식 빌딩을 구성하기(framing) 위한 어떠한 타입, 형상 및 재료들 일 수 있다. 골조식 빌딩의 재료는 하나 이상의 재료의 혼성물이 포함될 수 있다.
거더들(104)의 간격은 기둥들(102)의 간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빔들(106)의 간격은 거더들(104)의 간격보다 더 융통성이 있다. 빔들(106)은 한쌍의의 기둥들(102)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빔들(106)은 기둥(102)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골조식 빌딩의 데크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골조식 빌딩의 구조적 프레임(100) 조립된 이후, 골조식 빌딩을 위한 데크 구조가- 또한 여기에서 "데크들" 로 언급됨-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들은 기둥들(102), 거더들(104), 및 빔들(106)의 배치와 일치하여 배치되는 콘크리트 데크 어셈블리 모듈들(concrete deck assembly modules)을 포함하므로 데크들은 구조적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조적 프레임(100)은 점유 가능한 빌딩의 차지하는 공간(footprint)을 형성하는 프레임이다. 구조적 프레임(100)은 프레임의 차지하는 공간 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데크 구조(200) 및 프레임의 차지하는 공간 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데크 구조(202)를 포함하며 빌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은 점유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게끔 하부 데크 구조(200) 및 상부 데크 구조(202) 사이에 설치된다. 파티션 어셈블리들은 빌딩에서 점유 가능한 공간을 만들게끔 상부 및 하부 데크(202,20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interior partition system)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골조식 빌딩의 내부 공간 내에 포함되는 파티션 어셈블리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데크들은 사전 제작(pre-fabricated)될 수 있어서 구조적 프레임(100)이 있는 현장에서 조립될 수 있거나 현장에서 구성될 수 있다. 데크들의 형상은, 구조적 프레임(100)의 데크들의 위치 뿐만 아니라 구조적 프레임(100)의 기둥들(102), 거더들(104) 및 빔들(106)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데크들 사이의 간격은 유틸리티 라우팅(utility routings), 앵커(anchors), 브레이스(braces) 또는 빌딩의 운용 또는 구조에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들 뿐만 아니라 거주 공간을 위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의 정확한 사이즈 및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하기의 패러미터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배된다; 구조적 프레임(100)의 구조 성능 요건; 구조적 프레임(100)의 기하학 구성; 공공 도로에서 운송되는 데크들에 있어 관할 구역의 운송 요건; 및 운송을 위한 운송 차량 유용성.
도 3의 A 내지 C는, 도 1의 골조식 빌딩에서 데크들 사이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의 A 및 B는 종래의 인테리어 파티션닝 시스템을 도시하는데, 단일 파티션 어셈블리(single partition assembly)를 포함한다. 도 3의 C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따른 모듈러 파티셔닝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의 A의 인테리어 파티셔닝 시스템은, 하부 데크(200) 및 상부 데크(202) 사이의 천장 라인(302,ceiling line)과 거의 동일하거나 동일한 수직 치수(vertical dimension)를 가진다. 천장 라인(302)은, 파티션 어셈블리들에 의해 형성되는 거주 공간 내에서 눈에 보이는 구조적 천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천장 라인(302)은, 구조적 골조식 빌딩 내에 점유 가능한 공간의 천장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천장 라인(302)은 하부 데크(200)로부터 8-10 피트 범위 내에 있다. 예컨대, 8 피트의 천장 라인(302)이 일반적이다. 천장 라인(302) 위쪽 및 상부 데크(202) 아래쪽 공간은 거주 공간 내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유틸리티들, 덕트들, 전기 라인들,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B의 인테리어 파티셔닝 시스템은 천장 라인(302)을 넘어서는 수직 치수를 가진다.
도 3의 C의 인테리어 파티셔닝 시스템은 두개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을 포함한다.-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는 상부 데크(202)에 부착되며,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는 하부 데크(200)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데크(200) 및 상부 데크(202) 사이의 수직 거리는 11-25 피트 범위 내에 있고, 천장 라인(302)은 7-11 피트 범위 내에 있으며, 하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수직 치수는 8-12 피트 범위 내에 있고, 상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수직 치수는 3-12 피트 범위 내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은 비내력(non-load bearing)이어서 비내력 벽들을 형성한다. 비내력 파티션들 및/또는 벽들은, 골조식 빌딩의 기초 구조에 실행되는 중량에 대해 골조식 빌딩의 구조적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없는 골조식 빌딩 구조들이지만, 비내력 벽들이 구조적 프레임(100) 내에 약간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C는, 도 3의 A 내지 C 각각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의 파티션 헤드의 실시예의 단면도(end view)를 도시한다. 도 4의 A의 파티션 헤드는 거의 천장 라인(302)의 수직 치수를 지닌 종래의 파티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파티션 어셈블리는, 파티션 헤드의 상부 가장자리에 수용기 구조(604,receptor structure) 또는 다른 패스너(fastener)를 사용하여 천장에 부착될 수 있다. 파티션 어셈블리는 유사한 패스너를 사용하여 하부 데크(200) 상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의 B의 파티션 헤드는 천장 라인(302)을 넘어서는 수직 치수를 지닌 종래의 파티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파티션 어셈블리는 천장 위쪽에서 상부 데크(202)의 바닥면(406,bottom surface)에 고정될 수 있거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의 패널들 보다 더 무거운 게이지(heavier gauge)를 지닌 브레이스(400,brace)과 같은, 어떤 고정 방법을 사용하여 천장의 일부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도 4의 A 및 B의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은, 파티션 헤드 및 상부 데크(202)의 바닥면(406) 사이에 공간이 남는다. 이런 공간은 적용 가능한 화재, 연기 또는 소음 등급들을 충족시킬 수 없는데, 화재, 연기 또는 소음이 파티션 어셈블리들의 위쪽 공간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의 C의 파티션 헤드는 상부 및 하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적어도 일부분은 천장 라인(302) 위로 연장되며,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는 천장 라인(302)의 위에 전부 포함될 수 있다.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는, 수평 트랙(402,horizontal track) 또는 다른 패스너를 사용하여 상부 데크(202)의 바닥면(406)에 부착될 수 있다.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를 상부 데크(202)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패스너는 화재, 연기 또는 소음이 파티션 어셈블리들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게 도와주도록 화재/음향 등급(fire/sound rated)일 수 있다.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는, 유사한 수평 트랙(402) 또는 패스너를 사용하여 하부 데크(200)의 상부면 또는 바닥에 부착될 수 있다.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는 하부 데크(200)에서 상부 데크(202)로 완전히 연장되는 단일 모듈러 파티션 또는 패널을 형성하게끔 수용기 조인트에서 수용기 구조(604)에 의해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와 연결된다.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는 천장 높이를 초과하는 수직 치수를 가진다.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는,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상부 가장자리(upper edge)에 있는 하부 수용기 구조에 부착되는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의 하부 가장자리(lower edge)에 있는 상부 수용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상부 가장자리,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의 하부 가장자리, 및 수용기 구조들(604)은 천장 라인(302)의 위쪽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은, 상부 데크(202)의 바닥면(406)에 부착되어 하부 수용기 구조 및 상부 수용기 구조를 따라 또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스(400) 또는 메탈 스트랩(404,metal strap)을 포함한다. 브레이스(400)는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에 대한 추가적인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C의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은 상부 데크(202)의 바닥면(406)으로 완전히 연장되는 헤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은 벽의 헤드 상태에 대해 화재, 연기, 또는 소음 등급들에 대한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 다른 기준들 및 등급들이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에 부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골조식 빌딩의 데크들 사이의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은 하부 데크(200) 및 상부 데크(202) 사이에 거주 공간을 형성하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들은 거주 공간의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있는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거주 공간은 어떤 내력 벽들, 외부 벽들, 비내력 벽들의 조합, 및 여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인테리어 파티션 어셈블리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벽들을 가질 수있다.
인테리어 파티션 어셈블리들을 사용하여 형성된 모듈들은 파티션 어셈블리들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주문 제작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모듈들은 파티션 어셈블리들에 의해 형성된 벽들을 공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파티션 어셈블리들은 단일 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모듈들의 사이즈 및 형상은 주문 제작(customization)할 수 있다.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은, 상부 또는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 어느 쪽이든 문들, 창문들, 환기구들 또는 다른 유틸리티들 및 구성요소들을 위한 개구들(500,openings)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이 상부 데크(202) 및 하부 데크(200)에 부착되고 다른 모듈러 파티션들(300)에 부착된 후에, 드라이 월, 플라스터 및/또는 다른 마무리 공사들이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 골조식 빌딩이 완료될 수 있다. 파티션 어셈블리들을 커버하는데 사용되는 피복(외장)재료의 타입은 구조적 요건의 특정한 요건들 및/또는 파티션 시스템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의 이용에 좌우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 어셈블리들은, 일부 실시예에서 판금 받침판(502,sheet metal backing plates)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부분의 벽 내부 유틸리티들(in-wall utilities)은,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6)에 위치되며, 배관(piping), 전기 및 저압 서비스 체제들 및 다른 유틸리티들을 포함한다. 유틸리티들은 수평으로, 수직으로 또는 수평 및 수직 양자로 라우팅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라우팅 방향이 이용될 수 있다. 더 큰 유틸리티 개구들(500) 및 관통구들은 천장 라인(302) 위쪽의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들에 포함될 수 있다.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은, 특히 천장 라인(302)의 아래의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6) 상에 벽 걸이식 장비(wall-hung equipment) 및 엑세서리들(accessories)을 위한 부착 영역(anchorage area)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은, 브레이싱(bracing) 및 다른 이차적 구조 부재들에 대한 예측할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머리 위쪽(overhead)의 기계, 전기 및 배관 조정을 간소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6은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은 수용기 구조(604)를 지닌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은 현장 밖에서 만들어져 설치를 위한 공사 현장으로 수송된다.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 각각은 여러가지 구성 부재들(framing members)을 사용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각각의 구성 부재들은 일련의 평행한 수직 스터드들(600,vertical studs) 및 수평 트랙들(402,tracks)을 포함한다.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는 하부 수평 트랙(402)에 놓이는 수직 스터드들(60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스터드들(600)은 공사 현장으로 파티션 어셈블리들을 수송하기 전에 하부 수평 트랙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은, 현장 건설 기술들의 편차를 수용할 뿐 만 아니라 한 층의 하중 및/또는 움직임이 다른 층과 다를 경우 층간 수직 편향 운동(inter-story vertical deflection movement)을 수용하는 세미 미드-스팬 수용기 조인트(semi mid-span receptor joint)에서 결합된다. 또한 수용기 조인트는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구성요소들의 탄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벽의 헤드로부터 미드-스팬까지 전체 높이의 파티션들의 편향운동(deflection movement)을 전환시키는(shifting) 것을 포함할 수 있어서, 벽의 헤드에서 움직임을 제공하고 연결을 하는 것 보다 단순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 현장 적응가능하고, 단단하며, 움직임이 없는(non-moving) 연결을 할 수 있다. 수용기 조인트는 바닥위에 기준 높이(datum height)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기준 높이는 설치되는 하부 및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4)에 대한 참조점(a point of reference)을 제공한다. 수용기 구조(604)는 전통적으로 이중 트랙 편향(ouble track deflection) 또는 슬롯트 트랙 편향(slotted track deflection)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에 대한 수용 트랙은 규칙적이지 않은 층 대 층 높이(floor-to-floor height)를 허용할 수 있다.
인테리어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의 위치 및 구조는 자동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을 사용하여 각 패널은 다른 패널들과 교체할 수 있다. 파티션 어셈블리들의 설계 및 및 건축 변경은 종래의 시스템 보다 통합하는 것이 더 쉽게 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패널들은 특정한 설치의 교유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규칙화된 중심 치수 시스템(예컨대, 2", 3", 4" 또는 5")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스터드들(600)의 수평 간격은 파티션이 드라이 월(dry wall)의 굴곡 운동(flexural movement)을 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뿐 만 아니라 파티션의 직교 편향(orthogonal deflection)을 저지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수평 간격은 중심에서 불과 24인치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터드들(600)은 패널들의 개구(500)에 근접하여 직접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추가 지지(additional support)를 더하도록 함께 고정될 수 있다.
프레이밍 부재들(framing members)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의 구조적 요건에 기반하여 개별 부품을 나사 고정, 핀칭, 펀칭 또는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파티션 어셈블리들을 빌딩 구조에 부착하는 것은 현장의 특정 요구들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6인치의 최소 폭 및 25 피트의 최대 폭을 지닌다. 일부 실시예에서, 25피트 보다 더 넓은 폭을 지니는 파티션 어셈블리들은 적절한 설치에 대한 조절 조인트(control joint)가 필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 각각은 10-20피트의 최대 높이를 지닌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수용기 구조들(604)의 실시예의 사시도, 횡단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 사이의 미드-스팬 수용기 조인트(mid-span receptor joint)에서 수용기 구조들(60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는,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의 하부 가장자리의 상부 수용기 구조(700)를 포함한다.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은,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상부 가장자리의 하부 수용기 구조(70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수용기 구조(700) 및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각각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에 조정가능하게 연결되며, 한편으로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는 상부 수용기 구조(70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부 수용기 구조(700)에 놓여 있다. 또한, 상부 수용기 구조(700) 및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에 대해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를 고정시키거나 부분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서로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수용기 구조들(700,702)은, 상부 및 하부 수용기 구조들(700,702)의 서로 인접한 면(adjoining surfaces)에 있는 홀들(704,holes) 또는 슬롯들을 통해서 서로 함께 고정될 수 있다.
도 7B는, 상부 및 하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을 연결하는 수용기 구조(604)의 일 실시예의 단부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동일한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갭(706)은, 수용기 구조들(604)들이 각각의 파티션 어셈블리들에서 맨 처음 위치되는 경우에 존재할 수 있다. 일부 경우, 상기 갭(706)은, 다양한 공사 변수나 결함으로 인한 의해 하부 데크(200) 및 상부 데크(202) 사이의 거리의 변동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의 수직 슬롯들(708)은, 수직 슬롯들(708) 중 하나 내에서 패스너(710)로 하부 수용기 구조(702)를 수직 스터드(600)에 고정시키기 전에 하부 수용기 구조(702)가 올려지거나 낮춰지게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고정 위치에 대해 하부 수용기 구조(702)의 조정가능한 수직 위치에 따라 수직 스터드(600)에 고정된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가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에 조정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하부 수용기 구조(702)의 수직 위치(714)는 하부 수용기 구조(702)가 하부 수용기 구조(702)와 인접하게 허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이후에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 및 상부 수용기 구조(700)에 고정된다.
도 8A 내지 도 8G는 하부 수용기 구조(702)의 실시예의 사시도, 횡단면도, 전개된 평면도, 및 비전개된 평면도(undeveloped plan views)를 도시한다. 상기 하부 수용기 구조(702)가 어떠한 파티셔닝 시스템들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지만,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여기서 설명된 것과 같이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상기 하부 수용기 구조(702)의 각 측면에 다수의 슬롯들을 포함한다. 상기 슬롯들은, 구조 골조식 빌딩의 설치 이후에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 및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 사이의 거리에 따라 하부 수용기 구조(702)가 낮춰지거나 올려지도록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패스너(710)는, 하부 수용기 구조(702)가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에 대해 원하는 수직 위치(714,vertical position))로 조정된 후에 수직 스터드(600)의 홀과 정렬된 슬롯(708)에 삽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홀은 하부 수용기 구조(702)가 원하는 수직 위치(714)로 조정된 후에 수직 스터드(600)에 만들어지거나 천공될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상기 하부 수용기 구조(702) 상의 각 측면에 태브(800,tab)를 포함한다. 도 8F 및 도 8G의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태브들(800)은,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 옆에 위치되는 드라이 월(drywall)과 같은 벽 피복재료(808,wall sheathing)의 섹션들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수(일치할 수)있는 피복재료 멈춤부(sheating stops)로 구성된다. 피복재료(808)와 함께 태브들(800)의 배치는 특정한 화재, 연기, 또는 소음 등급 요건을 충족시키는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태브들(800)은 하부 수용기 구조(702)의 나머지 부분 보다 더 가벼운 게이지(gauge)일 수 있다. 탄성이며, 내화성 실란트와 같은 실란트(810,sealant)는, 파티션 어셈블리들에 대해 화재 또는 다른 등급들에 추가적인 향상을 제공하도록 태브들(800)의 위쪽 및 아래쪽 피복재료(808)의 섹션들 사이에 적용될 수 있다. 석고 벽용 보드 장식 부분(gypsum wall board trim piece)과 같은 메탈 앵글(806,metal angle)은, 특정한 화재/음향 등급들(fire/sound ratings)을 충족시키는 화재/음향 경계 시스템을 완료하도록 실란트(810)가 놓이는 구역을 제공하게끔 태브들(8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용기 조인트는, 피복재료(808) 섹션들 사이의 공간을 충진하는데 필요한 실란트(810)의 볼륨량을 감소시키도록 지지막대(812,backer rod)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파티셔닝 시스템의 공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태브들(800)의 다른 실시예들은 하부 수용기 구조(70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8C는 하부 수용기 구조(702)의 전개된 평면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측정치수(measurements) 범위 내에서 설계된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에 대한 다양한 측정치수는, 다른 측정치수들 이외에도,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치수들 A,B,C,D,E 및 F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아래에 설명되는 것과 같은 치수들을 가진다.
치수A는 1인치의 최소 공칭 높이 및 6인치의 최대 공칭 높이(minimum nominal height)를 가진다. 치수 B는 2인치의 최소 공칭 폭 및 10인치의 최대 공칭 폭(maximum nominal width)을 가진다. 치수F는 1/4인치의 최소 공칭 폭 및 3인치의 최대 공칭 폭을 가진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25피트의 최대 길이를 포함한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20의 최소 게이지(minimum gauge) 및 14의 최대 게이지를 가진다. 상기 게이지는 하부 수용기 구조(702)에 사용되는 재료의 두께를 표시할 수 있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의 각각의 슬롯은 1/16 인치의 최소 폭(802) 및 3/16인치의 최대 폭(802)을 가진다. 슬롯들 사이의 최소 간격(804)은 중심에서 1인치이며 최대 간격(804)은 중심에서 6인치이다. 치수C는 1/4인치의 최소 폭을 가지며, 또한 치수E는 1/4인치의 최소 폭을 가진다. 슬롯의 길이인 치수D는, 치수C 및 E를 빼고 난 후 치수A의 나머지 폭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하부 수용기 구조(702)를 상부 수용기 구조(700)에 부착시키는 패스너(710)를 수용하는 홀들(704)을 포함한다. 상기 홀들(704)은, 상부 수용기 구조(700)에 있는 홀들(704)의 간격 및 사용되는 패스너의 타입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현장 조건의 공사 허용오차(tolerances)의 변동을 수용한다. 각 데크 및 데크 밑면의 층들의 구조는 10피드 내에서 1인치 만큼의 높이로 될 수 있는 허용오차 범위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3인치 만큼의 변동 범위를 흡수할 수 있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천장 라인(302) 위로 올라가는 어떤 파티션 어셈블리도 수용하게끔 일반적 수직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상부 수용기 구조(700)의 실시예의 횡단면도, 전개된 평면도, 및 비전개된 평면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수용기 구조(700)는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는 상부 수용기 구조(700)에 고정되지 않지만, 상부 수용기 구조(700)에 의해 형성된 수평 트랙에 위치한다. 상부 수용기 구조(700)는, 상기 상부 수용기 구조(700)를 하부 수용기 구조(702)에 고정시키기 위한 패스너를 수용하게끔 구성된 길게 연장된 홀(7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게 연장된 홀(704)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의 인라인 허용 신축률(inline movement capability)을 허용한다.
또한 상부 수용기 구조(700)는, 더 무거운 게이지 지지 엘리먼트들에 대한 각 측면의 개구들(90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엘리먼트(support element)는, 도 4의 B에 도시된 것 같은 브레이스(400) 또는 도 4의 C에 도시된 메탈 스트랩(404)일 수 있다. 상기 브레이스(400)는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에 대한 횡방향 지지(lateral support)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스(400)는 상부 수용기 구조(700)에 있는 어떤 개구들(9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스(400)는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에 대해 영구적인 브레이스(40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수용기 구조(700)는, 2인치의 최소 공차 폭 및 10인치의 최대 공차 폭을 포함하며, 1-5/8인치의 최소 공차 길이 및 8인치의 최대 공차 길이를 포함한다.
도 10의 A 및 B는 도 6의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의 프레이밍 부재들의 실시예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이밍 부재들(framing members)은, 도 1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직 스터드(600), 및 도 1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평 트랙(40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이밍 부재들은, 26의 최소 게이지를 및 12의 최대 게이지를 가지는 강철 판금 소재(steel sheet stock metal)로 만들어진다. 강철 판금 소재는 원하는 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다. 수직 스터드들(600)은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6)의 수평 트랙(402) 내에 놓여져서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4)의 수평 트랙(402)에 의해 수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이밍 부재들은 3-5/8인치의 최소 공차 폭(1002) 및 10인치의 최대 공차 폭(1002)을 포함한다. 최소 공차 길이(1000)는 1-5/8인치 이고 최대 공차 길이(1000)는 8인치이다. 다른 실시예들은 여기에서 설명된 이외의 상이한 사이즈를 지닌 프레이밍 부재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평 트랙(402)은 상부 수용기 구조(700)에 대해 유사한 측정치수들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6의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에 대한 수용기 조인트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 및 상부 수용기 구조(700)를 포함하는 천장 라인(302)의 위쪽에 수용기 조인트가 설치된 경우, 수용기 조인트는 개별 파티션 어셈블리들의 성능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측면방향으로 떠받쳐질 수 있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 및/또는 상부 수용기 구조(700)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중심에서 6인치 및 중심에서 24인치 사이에 사전 천공되고 스레드된 부착 지점들(pre-drilled and threaded attachment points)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기 구조(604,receptor structure)는,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 브레이싱(horizontal bracing)을 위한 선택적 메탈 스트랩(40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브레이싱 파티션 어셈블리들을 설치하는 동안 임시적인 브레이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용기 구조(604)는, 스트랩 메탈 및 파티션 어셈블리들 보다 더 무거운 게이지를 지닌 보다 실질적인 측면 브레이스(400)을 포함한다. 브레이스(400)는, 상부 수용기 구조(700)의 측면에 있는 개구들(900)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 데크(202)의 바닥면(406)에 고정될 수 있다.
수용기 조인트는 인테리어 파티션 어셈블리 및 하부 데크(200) 사이의 수직 편향(편차)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편향은 다른 층의 움직임 결여 또는 움직임에 의해 차별화된 하나의 레벨의 이동을 포함한다. 예컨대, 하나의 데크는, 유사한 적재하중을 가지는 않는 다른 데크와 비교해 전체 데크를 처지게끔 야기하는 적재하중을 가질 수 있다. 하중에 있어서의 차이는, 데크들 중 하나가 움직이게끔 야기할 수 있으며 파티션 어셈블리들에 있어 편향/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다.
수용기 조인트는 빌딩의 수명주기 요건의 예측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수용기 조인트가 모든 파티션 어셈블리들에 대한 일반적인 높이를 제공하고 파티션 어셈블리들을 프레임에 구조적으로 부착하기 때문이다.
도 12는, 도 6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가 먼저 설치되고, 그 다음 하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가 상부 데크(202)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 다음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가 이동되어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 아래에 배치되어 하부 데크(200)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은, 도 10의 B에 도시된 수평 트랙들(402)을 사용하여, 상부 및 하부 데크들(202,20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수용기 구조들(700,702)은, 파티션 어셈블리들이 설치되기 전이나 설치된 후에, 대응하는 파티션 어셈블리들에 배치(그러나 고정될 필요는 없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수용기 구조들(700,702)은, 파티션 어셈블리들이 대응하는 데크들에 고정된 후에, 대응하는 파티션 어셈블리들 위로 미끄러지듯 들어가고, 그 다음 상부 및 하부 수용기 구조들(700,702)은 서로 고정되어 파티션 어셈블리들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는 구조 프레임(100)의 데크들에 배치되기 이전에 각각의 데크들에 고정된다.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의 배치는 데크들이 구조 프레임(100)에 배치되는 경우일 수 있어서,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는 서로 간에 충분히 가깝게 배치되어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가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는 데크들에서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 중 어느 한쪽을 풀지 않고도 수용기 구조(604)를 통해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골조식 빌딩 일부가 현장 또는 현장 외의 위치에서 사전-조립되게 허용할 수 있다.
도 13은 도 2의 하부 데크(2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데크(200)는, 상기 하부 데크(200)의 상부 면에서 데크 내에 부착되는 데크 부착 엘리먼트들(deck attachment elements)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데크(202)는, 상기 상부 데크(202)의 바닥면(406,bottom surface)에서 데크 내에 부착되는 데크 부착 엘리먼트들(1300)을 포함할 수 있다. 데크 부착 엘리먼트들(1300)은, 격자 패턴의 각각의 데크들의 표면 내에 분포될 수 있으므로, 데크 부착 엘리먼트들(1300)은, 데크가 구조 프레임(100)에 설치되기 전에 미리 정의된 구성에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격자 패턴의 간격은 골조식 빌딩의 특정 설계 요건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데크(202)에 대한 격자 패턴(grid pattern)은 하부 데크(200)에 대한 격자 패턴과 상이할 수 있다. 데크 부착 엘리먼트들(1300)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 또는 데크에 대한 다른 빌딩 엘리먼트들의 위치 배열에 있어서 빠르고 용이한 부착을 제공한다. 부착 엘리먼트들(1300)은, 새롭게 구성(건축)되는 골조식 빌딩의 구성요소들을 조립하게끔 독립적인 설계 요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부착 엘리먼트들(1300)은, 빌딩들의 수명주기 동안 변화에 대해 빌딩이 적응되게끔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착 엘리먼트들(1300)은, 데크들의 개구들 또는 구멍들(cavities)에 배치되는 단단하게 테이퍼지고 내부적으로 스레드된 원기둥들 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착 엘리먼트들(1300)은, 데크들 내에 놓여지고,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캡으로 커버되는 채널 트랙들(channel tracks)을 포함한다. 채널 트랙의 위치는, 골조식 빌딩의 설계 기준(design criteria)의 특정 설계 요건에 대응할 수 있다. 부착 엘리먼트(1300)들의 다른 실시예들은 상부 및/또는 하부 데크(202,2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4)은 상부 데크(202)의 바닥면(406)의 부착 엘리먼트들(1300)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6)은 하부 데크(200)의 상부면의 부착 엘리먼트들(130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빌딩 구성요소들은 상부 데크(202) 또는 하부 데크(200) 어느 한 쪽의 부착 엘리먼트들(13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4의 A 및 B는 하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에서 수용기 구조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하부 수용기 구조(702)는, 상기 하부 수용기 구조(702)의 각각의 측면에 있는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들은, 도 14의 A에 도시된 것 처럼, 낮춰진 위치에 있는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설치 후에 즉시 또는 설치하는 동안에 하부 수용기 구조(702)가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에 배치되게 허용한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가 낮춰진 위치에 있을 때, 갭(706)은 하부 수용기 구조(702) 및 상부 수용기 구조(700)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갭(706)을 좁아지게하고 상부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을 서로간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수용기 구조(702)의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수용기 구조(702)가 조정되는 동안에 하부 수용기 구조(702)에 있는 슬롯들(708) 중 하나를 통과하여 하부 수용기 구조(702)를 하부 파티션 에셈블리(206)의 수직 스터드(600)에 단단히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패스너(702)가 느슨하게 풀어질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된 것 처럼, 하부 수용기 구조(702)의 수직 위치(714)는 하부 수용기 구조(702) 및 상부 수용기 구조(700) 사이의 갭(706)이 좁아지게끔 조정될 수 있다. 하부 수용기 구조(702)가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패스너(710)는 하부 수용기 구조(702)의 수직 위치(714)가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에 대해 고정되도록 조여질 수 있다.
도 15는, 도1의 골조식 빌딩의 데크들 사이의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들(300)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것 처럼, 파티션 어셈블리들의 벽 상태의 헤드는 빌딩 구조들이 다양한 화재, 연기 및/또는 소음 등급들을 충족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하부 데크(200) 및 상부 데크(202)사이의 전체 거리에 걸쳐진 종래의 파티션 어셈블리는, 조인트 타입에 기인하거나 하부 데크(200) 및 상부 데크(202) 사이의 거리의 변동 때문에 파티션 어셈블리의 헤드에서 간격(1500)을 남길 수 있다. 연기(1502)는 파티션 어셈블리의 헤드의 간격을 통과할 수 있어서, 파티션 어셈블리가 특정 화재 또는 연기 등급들을 충족시키는 것을 잠재적으로 방해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인테리어 파티셔닝 시스템은 파티션 어셈블리들 상에 더 낮은 수직 위치를 지닌 수용기 조인트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승하여 천장에 축적되는 연기(1502)가 파티션 어셈블리를 통해서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가 바닥(floor)보다 오히려 상부 데크(202)에 고정되기 때문에, 하부 데크(200) 및 상부 데크(202) 사이의 거리의 변동은, 상부 데크(202)에 대해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의 상부 가장자리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않는다. 이것은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가 상부 데크(202)와 같은 높이 또는 거의 같은 높이로 설치되는끔 허용하며, 이로인해 상부 데크(202) 및 파티션 어셈블리들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조적 골조식 빌딩에 대한 비내력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되었다.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은, 구조적 골조식 빌딩 내에서 하부 데크(200) 및 상부 데크(202)를 가지며, 점유 가능한 공간의 천장 높이를 규정하는 천장 라인(302)을 갖는 구조 프레임(100)의 점유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하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를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데크(200)에 고정, 및 상부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를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데크(202)에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들(204,206)을 설치 한 후에, 상기 방법은 수용기 구조(604)를 통해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상부 가장자리를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의 하부 가장자리와에 연결시킨다.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상부 가장자리,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의 하부 가장자리, 및 수용기 구조(604)는 점유가능한 공간의 천장 라인(302)의 위쪽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기 구조(604)를 통해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를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에 연결하는 것은,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상부 가장자리 및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의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갭(706)을 채우(메우)게끔 수용기 구조(604)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용체 구조(604)를 조정하는 것은,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상부 가장자리에 대한 수용기 구조(604)의 수직 치수(vertical dimension) 또는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상부 가장자리를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하는 것은, 수용기 구조(604)를 상부 파티션 어셈블리(204)의 하부 가장자리 및/또는 수용기 구조(604)를 하부 파티션 어셈블리(206)의 상부 가장자리에 단단히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위의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세부 사항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은 이러한 모든 특정한 사항들 모두에 모자라게 실시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특정 방법들, 절차들, 구성요소들, 구조들 및/또는 기능들은 간결성과 명확성을 위해서 본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게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비록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고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되고 예시된것과 같이, 특정 형태 또는 부품들의 배치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범주는 여기에 첨부된 청구항 및 그에 동등한것들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27)

  1.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에서, 구조적 골조식 빌딩은, 상기 구조적 골조식 빌딩 내에 점유 가능한 공간의 천장 높이를 규정하는 천장 라인을 가지며,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은,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및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를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에 연결하게끔 구성되는 수용기 구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천장 높이를 초과하는 수직 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 및 수용기 구조는 천장 라인 위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및 수용기 구조는 비내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4. 구조적 골조식 빌딩의 하부 데크 구조 및 상부 데크 구조 사이에 설치하기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에서, 구조적 골조식 빌딩은, 상기 구조적 골조식 빌딩 내에 점유 가능한 공간의 천장 높이를 규정하는 천장 라인을 가지며,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은,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데크 구조에 연결하기 위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데크 구조에 연결하기 위한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하게끔 구성되는 수용기 구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천장 높이를 초과하는 수직 치수를 가지므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 및 수용기 구조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의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및 수용기 구조의 설치시에 천장 라인 위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수용기 구조는 하부 데크 구조 및 상부 데크 구조 사이의 수직 편향을 수용하게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수용기 구조는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부 수용기 구조 및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부 수용기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수용기 구조 및 상부 수용기 구조는 함께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하부 수용기 구조는, 상기 하부 수용기 구조의 각 측면의 다수의 수직 슬롯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수직 슬롯들은,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고정 위치에 대해 하부 수용기 구조의 조정가능한 수직 위치에 따라 하부 수용기 구조를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에 고정시키는 패스너를 수용하게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8. 제4 항에 있어서,
    수용기는 상기 수용기 측면의 태브를 포함하는데, 상기 태브는 벽 피복재료를 지지하게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일련의 평행한 수직 스터드들을 포함하며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일련의 평행한 수직 스터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10. 제4 항에 있어서,
    하부 데크 구조 및 상부 데크 구조 사이의 수직 거리는 11-25 피트 범위 내에 있고, 천장 라인은 7-11 피트 범위 내에 있으며,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수직 치수는 8-12 피트 범위 내에 있고,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수직 치수는 3-12 피트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11. 제4 항에 있어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및 수용기 구조는 비내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12. 제4 항에 있어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및 수용기 구조는 화재 등급(fire rated) 인테리어 파티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13. 제4 항에 있어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우선 미리 정의된 격자 패턴의 하부 데크 구조의 상부면 내에 분포되는 데크 부착 엘리먼트들을 통해서 하부 데크 구조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다음으로 미리 정의된 격자 패턴의 상부 데크 구조의 바닥면 내에 분포되는 데크 부착 엘리먼트들을 통해서 상부 데크 구조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14. 점유가능한 빌딩은,
    점유가능한 빌딩의 차지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적 프레임;
    구조적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구조적 프레임의 차지하는 공간 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데크 구조;
    구조적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구조적 프레임의 차지하는 공간 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데크 구조; 를 포함하며,
    천장을 가지는 점유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끔 하부 데크 구조 및 상부 데크 구조 사이에 설치되는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에서, 상기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은,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하부 데크 구조에 고정되는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부 데크 구조에 고정되는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및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하는 수용기 구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 및 수용기 구조는 점유 가능한 공간의 천장 위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수용기는 하부 데크 구조 및 상부 데크 구조 사이의 수직 편향을 수용하게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16. 제14 항에 있어서,
    수용기는, 상기 수용기 구조의 각 측면의 다수의 수직 슬롯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수직 슬롯들은,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고정 위치에 대해 수용기 구조의 조정가능한 수직 위치에 따라 수용기 구조를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에 고정시키는 패스너를 수용하게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17. 제14 항에 있어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일련의 평행한 수직 스터드들을 포함하며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일련의 평행한 수직 스터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18. 제14 항에 있어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및 수용기 구조는 비내력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19. 제14 항에 있어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 및 수용기 구조는 화재 등급 인테리어 파티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인테리어 파티션 시스템.
  20. 구조적 골조식 빌딩의 점유 가능한 공간을 건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구조적 골조식 빌딩은 하부 데크 구조 및 상부 데크 구조를 가지며 점유 가능한 공간은 구조적 골조식 빌딩 내에 점유 할 수 있는 공간의 전장 높이를 형성하는 천장 라인을 가지는데, 상기 방법은,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데크 구조에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를 고정;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데크 구조에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를 고정; 및
    수용기 구조를 통해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 및 수용기 구조는 점유 가능한 공간의 천장 라인 위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수용기 구조를 통해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하는 것은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 및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갭이 채워지게끔 수용기 구조의 높이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수용기 구조를 통해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하는 것은 수용기 구조를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에 단단히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0 항에 있어서,
    수용기 구조를 통해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하는 것은 수용기 구조를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에 단단히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0 항에 있어서,
    수용기 구조를 통해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를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하는 것은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상부 가장자리 및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갭이 채워지게끔 수용기 구조의 조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0 항에 있어서,
    하부 데크 구조 및 상부 데크 구조 사이의 수직 거리는 11-25 피트 범위 내에 있고, 천장 라인은 7-11 피트 범위 내에 있으며,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수직 치수는 8-12 피트 범위 내에 있고,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의 수직 치수는 3-12 피트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0 항에 있어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하부 데크 구조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상부 데크 구조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0 항에 있어서,
    제1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우선 미리 정의된 격자 패턴의 하부 데크 구조의 상부면 내에 분포되는 데크 부착 엘리먼트들을 통해서 하부 데크 구조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제2 모듈러 파티션 어셈블리는, 다음으로 미리 정의된 격자 패턴의 상부 데크 구조의 바닥면 내에 분포되는 데크 부착 엘리먼트들을 통해서 상부 데크 구조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7027075A 2011-03-14 2012-03-14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모듈러 인테리어 파티션 KR101733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52605P 2011-03-14 2011-03-14
US61/452,605 2011-03-14
PCT/US2012/029119 WO2012125760A2 (en) 2011-03-14 2012-03-14 Modular interior partition for a structural frame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940A true KR20140016940A (ko) 2014-02-10
KR101733262B1 KR101733262B1 (ko) 2017-05-08

Family

ID=4683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075A KR101733262B1 (ko) 2011-03-14 2012-03-14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모듈러 인테리어 파티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86498B1 (ko)
JP (1) JP5972294B2 (ko)
KR (1) KR101733262B1 (ko)
CN (1) CN103890291B (ko)
BR (1) BR112013023455A2 (ko)
WO (1) WO201212576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6091B2 (en) 2017-03-31 2023-06-27 Glen Haydn Pring Fasteners and wall assemblies
US10876649B2 (en) 2017-07-25 2020-12-29 Dresser, Llc Manufacture of remote control stations for use to operate actuators on a valve assembly
AU2019337485A1 (en) * 2018-09-10 2021-04-15 T & R Interior Systems Limited A bracket
CN113863540B (zh) * 2021-09-30 2023-03-07 国住人居工程顾问有限公司 一种模块化集成隔墙及负压病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6855A (en) * 1951-05-24 1956-10-16 Steel Partitions Inc Demountable metal partition
FR77413E (fr) * 1960-03-25 1962-03-02 Ferodo Sa Perfectionnements apportés à la construction des bâtiments comportant des parois démontables telles que faux-plafonds, cloisons et autres
AU589995B2 (en) * 1985-09-13 1989-10-26 Permasteelisa Pacific Holdings Ltd Partitioning
JPH01102160A (ja) * 1987-10-14 1989-04-19 Takenaka Komuten Co Ltd 床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
US5127760A (en) * 1990-07-26 1992-07-07 Brady Todd A Vertically slotted header
US5755066A (en) * 1993-12-02 1998-05-26 Becker; Duane William Slip track assembly
CN1213030A (zh) * 1997-09-30 1999-04-07 下原武茂 建筑板块及其连接方法
US6295781B1 (en) * 1998-04-11 2001-10-02 Thomas C. Thompson Stud, top plate, and rafter tie down
CN2344463Y (zh) * 1998-08-17 1999-10-20 格满林(南京)实业有限公司 组合式墙体
US6122871A (en) * 1998-11-19 2000-09-26 Steelcase Development Inc. Wall-to-ceiling structure including framework and cover panel
JP2000355999A (ja) * 1999-06-16 2000-12-26 Taisei Corp 間仕切構造
CA2308254C (en) * 2000-05-05 2002-10-01 Thomas R. Herren Seismic and fire-resistant head-of-wall structure
JP2004124480A (ja) * 2002-10-01 2004-04-22 Itoki Crebio Corp 組立て式間仕切装置
NL1024937C2 (nl) 2003-12-03 2005-06-06 Unispace A G Geluidswerende scheidingswand en werkwijze voor het monteren van een dergelijke scheidingswand.
JP2010070907A (ja) * 2008-09-16 2010-04-02 Takenaka Komuten Co Ltd 乾式の地下外壁二重壁構造
JP2010261234A (ja) * 2009-05-08 2010-11-18 Misawa Homes Co Ltd 間仕切り壁用の枠材および間仕切り壁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6498B1 (en) 2017-03-01
CN103890291A (zh) 2014-06-25
BR112013023455A2 (pt) 2016-12-13
WO2012125760A3 (en) 2014-05-01
JP5972294B2 (ja) 2016-08-17
JP2014518963A (ja) 2014-08-07
EP2686498A2 (en) 2014-01-22
KR101733262B1 (ko) 2017-05-08
CN103890291B (zh) 2017-05-31
EP2686498A4 (en) 2015-04-29
WO2012125760A2 (en)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226B2 (en) Modular interior partition for a structural frame building
US10323428B2 (en) Sequence for constructing a building from prefabricated components
CA2801052C (en) A structural infill wall panel module
RU2518580C2 (ru) Сооружение, имеющее множество уровней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AU2017229463B2 (en) Floor and ceiling panel for slab-free floor system of a building
US8850770B2 (en)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US20100300037A1 (en) Insulating Structure
KR20170119752A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구조적 시스템
US8245469B2 (en) Deck assembly module for a steel framed building
US20190234063A1 (en) Horizontal self-supporting formwork building system
US9273464B2 (en)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KR20140016940A (ko)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모듈러 인테리어 파티션
EP2430252B1 (en)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US9637910B2 (en) Modular interior partition for a structural frame building
WO2017100835A1 (en) A building system
JP5749630B2 (ja) 進入口の施工方法および進入口
US20200123760A1 (en) Vertical self-supporting formwork building system
IE20110261A1 (en) A structural infill wall panel module
AU2015201721A1 (en) Module building frame and module buil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