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325A -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이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그와 공동으로 유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이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그와 공동으로 유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325A
KR20140016325A KR1020137026708A KR20137026708A KR20140016325A KR 20140016325 A KR20140016325 A KR 20140016325A KR 1020137026708 A KR1020137026708 A KR 1020137026708A KR 20137026708 A KR20137026708 A KR 20137026708A KR 20140016325 A KR20140016325 A KR 20140016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station functionality
repeater
function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코브 쇼샨
아디 슈와르츠
길 코이프만
Original Assignee
엘타 시스템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타 시스템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엘타 시스템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1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5Selecting relay station antenna mode, e.g. selecting omnidirectional -, directional beams, selecting polariz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6Inter-base st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 H04L1/0018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based on latency requi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17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port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5Mobility data transfer involving hierarchical organized mobility servers, e.g. hierarchical mobile IP [HM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12/00Encapsulation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05Moving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 및 중계기 자원 관리자를, 모두 병설하여,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으로서,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그 사이에 제1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도록 동작하고,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그 병설된 중계기 자원 관리자로의 커넥션을 갖고,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하나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고, 각각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중계기 자원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 및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이동 중계기에 포함된 중계기 자원 관리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이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그와 공동으로 유용한 방법{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upgraded moving relays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동시-계류 중인 출원에 대한 참조
다음으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미국 특허 출원 제61/451,166호(출원일: 2011년 3월 10일, 발명의 명칭: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upgraded moving relays"); 및
이스라엘 특허 출원 제218046호(출원일: 2012년 2월 12일, 발명의 명칭: "A multi-directional relay architecture and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본 발명의 분야
본 출원은 계층적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아키텍처 및 데이터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층 계층적 동적 셀룰러 네트워크는 트래픽 흐름 및 관리에 어려움을 제기한다.
고전적 셀룰러 네트워크는 코어 세그먼트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로 이루어지거나 포함하고 있다.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는 기지국(base station: BS) 및 이동국(mobile station: MS)으로 이루어진다. 이동국의 각각은 기지국(도 2) 중 하나에 접속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계층적 셀룰러 네트워크(도 1a)는 고전적 셀룰러 네트워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세그먼트는 하나의 기지국이 다른 기지국의 트래픽을 코어 세그먼트 또는 코어 세그먼트에 접속되어 있는 상위 계층 내 다른 기지국에 중계할 수 있도록 기지국 사이의 직접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다층 계층적 동적 셀룰러 네트워크는 트래픽 흐름 및 관리(예컨대, 멀티 프로토콜-계층 취급)에 어려움을 제기한다. 이들 어려움은 베이스 LTE, 프로토콜 및 코어 엘리먼트가 이러한 유형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모든 간행물 및 특허 문서, 및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간행물 및 특허 문서의 개시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에 의해 여기에 편입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소정 실시예는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이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목적이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는 다수의 이동국 기능성을 백홀링 디바이스(backhauling device)로 사용함으로써 백홀링 대역폭 용량을 확대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는 다수의 이동국 기능성을 백홀링 디바이스로 사용함으로써 백홀링 베어러(backhauling bearer)의 수를 확대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는 다수의 이동국 기능성을 백홀링 디바이스로 사용하여 다중 경로로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다이버시티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는 수개의 UE를 백홀링 디바이스로 사용함으로써 핸드오버(handover)를 초기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는 모바일 백홀링 링크로 역할하는 수개의 모바일 핸드셋 및 표준 기지국을 포함하는 중계국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태양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및/또는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및 라디오 관리자를, 모두 병설하여,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그 사이에 제1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도록 동작하고,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그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로의 커넥션을 갖고,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고, 각각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라디오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 및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이동 중계기에 포함된 라디오 관리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위치한,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통신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네트워크는 베어러를 이용하여 이동국으로부터 통신 루트를 통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코어로 통신을 운반하도록 제공하고,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는,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이용하는 동안,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 및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을 갖는 이동 중계기에 비해 더 많은 수의 베어러를 지원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은 기지국인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은 이동 중계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은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네트워크는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 및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2개는 실질적으로 똑같은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2개는 실질적으로 똑같은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제공하고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사용자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제공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 내 이동국 기능성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다른 이동국 기능성에 대한 백업으로서 역할하고, 라디오 관리자는 이동국 핸드오버 기준을 만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이동국 기능성으로부터 백업 이동국 기능성으로 통신을 스위칭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 내 기지국 기능성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다른 기지국 기능성에 대한 백업으로서 역할하고, 라디오 관리자는 기지국 핸드오버 기준을 만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백업 기지국 기능성으로 통신을 심리스(seamless) 스위칭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주제는 상대 방법 및 대응 실시예를, 준용하여, 더 고찰한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는 모바일 백홀링 링크로 역할하는 수개의 모바일 핸드셋 및 표준 기지국을 포함하는 중계국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용어는 종래 기술서에 나타나는 어떠한 정의에 따르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 따르거나 어느 것으로든 해석될 수 있거나, 또는 다음과 같다:
액세스 링크: 중계 노드(RN) 기지국 기능성과 그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이동국(MS) 사이 또는 기지국과 그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이동국 사이의 양방향 링크. 전형적으로 그것은 업링크 부분 및 다운링크 부분을 갖고, 둘 다 단방향성이다.
백홀 데이터: 적어도 하나의 백홀링 링크를 통해 전형적으로 양방향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백홀링 링크: 액세스 링크 이외의 양방향 링크, 예컨대, 인접 레벨에 있는 중계기 사이의 링크 또는 중계기와 정적 기지국 사이의 링크 또는 중계기와 중계기 프록시 사이의 링크 또는 기지국 기능성 또는 정적 기지국 또는 중계기 프록시와 코어 사이의 링크. 더 일반적으로는, 백홀링 링크는 양방향으로 분산 사이트를 서로 링크하거나 액세스 포인트 예컨대 기지국과 더 중앙집중 포인트 예컨대 코어를 링크한다. 전형적으로, 백홀링 링크는 업링크 부분 및 다운링크 부분을 갖고, 둘 다 단방향성이다.
기지국: 서비스 제공받는 구역을 통해 충분히 빽빽하게 분포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 복수의 고정식 또는 이동식 노드 중 하나로서,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거의 모든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그들 노드를 통해 서로 또는 지상 네트워크와 거의 항상 통신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전형적으로, 그러한 디바이스의 사용자로 하여금,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 기지국의 각자 쌍 사이에 정의된 통신 경로를 통해, 그들 사이에 또는 지상 네트워크와 디지털 정보를 교환 및/또는 대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지국 기능성: 중계기 상에 거주하여,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 기지국의 각자 쌍 사이에 정의된 통신 경로를 통해, 예컨대, 그들 사이에 또는 지상 네트워크와 디지털 정보를 교환 및/또는 대화하게 하도록 중계기가 기지국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도록 안테나, 송신기 및 수신기와 통신하고 전형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기능성.
양방향 링크: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둘 다 포함하는 계층적 통신 네트워크의 레벨 사이의 링크. 셀: 기지국.
코어: (1) 동일 코어에 부속되는 MS 사이를 접속하고; 및/또는 (2) 하나의 코어에 부속되는 MS과 다른 코어에 부속되는 MS 사이를 접속하고; 및/또는 (3) 코어에 부속된 MS을 인터넷 서버, 지상 통신 네트워크 서버, 비디오 서버, 게이밍 서버(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다른 서버에 접속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내 서버.
코어 네트워크: "코어"의 동의어 또는 코어 더하기 그에 링크된 네트워크.
Ctrl: 예컨대, LTE 프로토콜에 따름.
도너: 서비스 제공 관계, 예컨대 중계 노드에 서비스 제공하는 예컨대 기지국.
다운링크(downlink: DL): 링크의 단방향 부분, 예컨대, 중계기의 기지국 기능성 또는 정적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 기능성 또는 이동국으로의 백홀링 또는 액세스 링크.
DL UE 또는 다운링크(DL) UE: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의 시퀀스를 통해 사용자 엔티티로의 다운링크.
다운-스트림(down-stream; DS): (코어에 더 가까운) 토폴로지에서의 상위 포인트로부터 (코어로부터 더 먼) 토폴로지에서의 하위 포인트로의 데이터 흐름.
eNB: LTE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예컨대 중계기 내 기지국 기능성, 또는 기지국. "LTE 기지국"이라고도 칭한다.
GTP: GSM, UMTS 및 LTE 네트워크 내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를 실어 나르도록 사용되는 IP-기반 통신 프로토콜의 그룹.
GTP 베어러: G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베어러.
GTP 터널: G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터널.
링크: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 사이의 전기통신 또는 라디오 링크. 전형적으로 양방향 링크의, 전형적으로 단방향, 일부분도 때로는 링크라고 불린다. 링크에는 하나 이상의 채널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LTE에서 다음의 모든 채널은 업링크이다: PUCCH, PUSCH, PRACH.
MBSFN: 다운링크(DL)-전용 송신 프로토콜의 비-제한적 예. 위키피디아(Wikipedia)에 의하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는 LTE, 4-세대 셀룰러 네트워킹 표준에 정의된 통신 채널로서, LTE 기반구조를 사용하여 모바일 TV와 같은 서비스를 배달할 수 있다. 이것은, 비용이 드는 라이선스의 부가적 스펙트럼을 필요로 함이 없이 그리고 새로운 기반구조 및 최종-사용자 디바이스를 필요로 함이 없이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모바일 TV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MBSFN의 상업적 배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LTE의 강화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E-MBMS)는 셀 내 모든 사용자에게(브로드캐스트) 또는 셀 내 소정 세트의 사용자(가입자)에게(멀티캐스트) 동일 컨텐트 정보를 송신하는 전송 특징을 제공한다. 대조적으로, IP-레벨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는 라디오 액세스 레벨 상의 자원의 공유를 제공하지 않는다. E-MBMS에 있어서는, 다중 LTE 이동국(UE)으로의 송신을 위해 단일 eNode-B 또는 다중 eNode-B 어느 것이라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MBSFN은 더 나중의 옵션을 위한 정의이다.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MBSFN은 동기화된 단일-주파수 네트워크(SFN)를 통해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멀티셀 송신으로 송신하도록 LTE의 OFDM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송신 모드이다. 다중 셀로부터의 송신은 부호-간 간섭(ISI)을 회피하도록 각각이 OFDM 주기적 전치 부호(CP) 내 LTE 이동국(UE)에 도달하기에 충분히 타이트 동기화된다. 실제로, 이것은 MBSFN 송신이 LTE 이동국(UE)에게 단일의 큰 셀로부터의 송신으로 보이게 하여, 셀-간 간섭의 부재로 인해 신호 대 간섭 비(SIR)를 극적으로 증가시킨다[4].
MBMS: 3GPP TS 25.346에 설명된 기술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이동국 또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그러한 디바이스와 또는 지상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로서, 전형적으로는 그러한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그들 사이에 디지털 정보를 교환 및/또는 대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곁에 없이 컴퓨터 또는 센서에 접속된 동글조차도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국 기능성: 중계기 상에 거주하여 중계를 가능하게 하거나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안테나, 송신기 및 수신기와 통신하고 전형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기능성.
이동국 기능성: 중계기 또는 역 중계기(iRelay) 프록시 상에 거주하여 중계기 또는 역 중계기(iRelay) 프록시가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도록 안테나, 송신기 및 수신기와 통신하고 전형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기능성. 전형적으로 이동국 기능성은 안테나, RF 프론트-엔드, 모뎀(통신 프로세서)을 포함하지만, 관용적 이동국에 제공하는 키보드, 스크린,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나 기기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라디오 베어러, 베어러: 예컨대, 3GPP 용어에 따름.
RE 자원 블록: 예컨대, LTE 표준 또는 LTE 이외의 통신 표준 내에서의 동작에 적합한 그 적응에 따름.
중계기: 안테나, 송신기 및 수신기를 구비하고 이동 통신 디바이스 및 기지국 둘 다로서 기능하고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 노드.
중계 링크: 중계 노드와 도너 기지국 사이의 라디오 세그먼트 또는 링크.
세그먼트: 링크.
서브프레임: 예컨대, LTE 프로토콜에 따름.
트랜스. 다운링크(DL) 백홀링: 다운링크를 사용하는 송신 백홀링.
터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GRE 및 GPRS와 같은 터널링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을 따름.
UE: 예컨대 LTE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중계기 내 이동국 기능성 또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또는 이동국 또는 사용자 엔티티. 본 명세서에서 "LTE 이동국"이라고도 칭해진다.
업링크(UL): 중계기의 이동국 기능성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중계기의 기지국 기능성 또는 정적 기지국으로, 한 쌍의 링크의 예컨대 백홀링 또는 액세스 링크의 단방향 부분.
업링크 백홀 데이터: 전형적으로는 기지국으로부터 코어로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더 중앙집중 포인트로, 적어도 하나의 백홀링 링크의 업링크 부분만을 통해 단방향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업스트림(US): 네트워크 토폴로지 내 하위 (즉, 코어로부터 더 먼) 포인트로부터 네트워크 토폴로지 내 상위 (즉, 코어에 더 가까운) 포인트로의 데이터 흐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태양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 및 라디오 관리자, 모두 병설되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그 사이에 제1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도록 동작하고,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그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로의 커넥션을 갖고,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하나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고, 각각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라디오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 및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이동 중계기에 포함된 라디오 관리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태양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 및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및 라디오 관리자를, 모두 병설하여,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 더 제공되는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도록 동작하고,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그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로의 커넥션을 갖고,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2개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고, 각각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라디오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 및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이동 중계기에 포함된 라디오 관리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은 기지국 기능성 및 라디오 관리자와 병설된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포함하고;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2개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은 기지국인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은 이동 중계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은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네트워크는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 및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위치한,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통신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2개는 실질적으로 똑같은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제공하고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사용자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제공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 내 이동국 기능성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다른 이동국 기능성에 대한 백업으로서 역할하고, 라디오 관리자는 이동국 핸드오버 기준을 만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이동국 기능성으로부터 백업 이동국 기능성으로 통신을 스위칭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 내 기지국 기능성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다른 기지국 기능성에 대한 백업으로서 역할하고, 라디오 관리자는 기지국 핸드오버 기준을 만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백업 기지국 기능성으로 통신을 심리스 스위칭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네트워크는 베어러를 이용하여 이동국으로부터 통신 루트를 통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코어로 통신을 운반하도록 제공하고,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는,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이용하는 동안,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 및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을 갖는 이동 중계기에 비해 더 많은 수의 베어러를 지원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2개는 실질적으로 똑같은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인 시스템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태양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 및 라디오 관리자를, 모두 병설하여,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제공 방법이 더 제공되는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그 사이에 제1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도록 동작하고,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그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로의 커넥션을 갖고,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하나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고, 각각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라디오 관리자를 제공하는 단계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를 제공하는 단계; 및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이동 중계기에 포함된 라디오 관리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태양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 및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및 라디오 관리자를, 모두 병설하여,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제공 방법이 더 제공되는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도록 동작하고,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그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로의 커넥션을 갖고,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2개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고, 각각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라디오 관리자를 제공하는 단계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를 제공하는 단계; 및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이동 중계기에 포함된 라디오 관리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은 기지국 기능성 및 라디오 관리자와 병설된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포함하고;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2개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는 것인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 제1 기지국 기능성에서 제2 기지국 기능성으로 제1 핸드-오버를 개시하고 제1 기지국 기능성 상에 동적 셀 셋업을 달성하고, 그 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 제2 기지국 기능성에서 제1 기지국 기능성으로 제2 핸드-오버를 개시하고 제2 기지국 기능성 상에 동적 셀 셋업을 달성함으로써, 기지국 기능성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이동국으로의 서비스를 인터럽트함이 없이 동적 셀 셋업을 달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대일 토폴로지(many-to-one topology)에 걸쳐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대다 토폴로지에 걸쳐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도록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 하나만을 사용하여 수행된 백홀링 동작의 데이터 속도를 초과하는 데이터 속도로 적어도 하나의 백홀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셀룰러 통신이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 하나만에 의해 지원된다면 이용가능할 것보다 더 많은 수의 베어러를 제공하도록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핫 리던던시(hot redundancy)를 제공하도록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핫 리던던시는 단 한 번보다는 복수 번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중계기가 속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코어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이동국 사이에 복수의 대체 루트를 제공하도록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 세트의 이동 기지국이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 하나만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다면 가능할 것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동일 세트의 이동 기지국에 제공하도록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기지국 기능성은 각자 제1 및 제2 출력 전력으로 동작하고, 제1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것은 제1 기지국 기능성의 제1 출력 전력을 제2 기지국 기능성의 제2 출력 전력 아래 충분히 떨어져 감축된 제1 출력 전력 레벨로 감축하여, 제1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제2 기지국 기능성으로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것은 제2 기지국 기능성의 제2 출력 전력의 현재 레벨을 제1 기지국 기능성의 제1 출력 전력의 현재 레벨 아래 충분히 떨어져 감축된 제2 출력 전력 레벨로 감축하여, 제2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다시 제1 기지국 기능성으로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소정 수의 이동국의 제1 서브세트에 적합한 제1 셋업을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 제1 기지국 기능성에 제공하는 단계; 제1 서브세트에 속하지 않는 이동국에 적합하고 제1 셋업과는 다른 제2 셋업을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 제2 기지국 기능성에 제공하는 단계; 제1 서브세트 내 이동국에 서비스 제공하도록 제1 기지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 및 제2 서브세트 내 이동국에 서비스 제공하도록 제2 기지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서브세트는 특히 낮은 레이턴시(latency)를 요구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동적 셀 셋업은 메인 셋업 주파수 파라미터에 새로운 값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동적 셀 셋업은 셀 대역폭 파라미터에 새로운 값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동적 셀 셋업은 프레임 타이밍 파라미터에 새로운 값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동적 셀 셋업은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 파라미터에 새로운 값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더 제공되는데, 내부에 구체화된 컴퓨터 읽기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비-일시적 컴퓨터 사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되, 컴퓨터 읽기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도록 실행되도록 적응된 것이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방법 중 어느 것이라도 수행하도록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및 전형적으로 비-일시적 컴퓨터-사용 가능한 또는 -읽기 가능한 매체 또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전형적으로는 유형적이고, 내부에 구체화된 컴퓨터 읽기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고, 상기 컴퓨터 읽기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방법 중 전부 또는 어느 것이라도 구현하도록 실행되도록 적응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계산 방법 중 전부 또는 어느 것이라도 컴퓨터-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에 따른 동작은 소망 목적으로 특수 제조된 컴퓨터에 의해 또는 소망 목적으로 특수 구성된 범용 컴퓨터에 의해 전형적으로 비-일시적 컴퓨터 읽기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어떠한 적합한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및 입력 수단도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방법 및 장치 중 어느 것에 의해서라도 발생 또는 사용되는 정보와 같은 정보를 프로세싱, 예컨대 컴퓨터 스크린 또는 다른 컴퓨터 출력 디바이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 저장 및 받아들이도록 사용될 수 있다; 위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및 입력 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흐름도의 단계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발명의 어느 또는 모든 기능은 프로세싱에 사용되는 특수 구성이든 범용이든 관용적 퍼스널 컴퓨터 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 또는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프로세서; 컴퓨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디스플레이용 스피커 및/또는 프린터; 광학 디스크, CDROM, 자기-광학 디스크 또는 다른 디스크와 같은 머신-읽기 가능한 메모리; 저장을 위해, RAM, ROM, EPROM, EEPROM, 자기 또는 광학 또는 다른 카드, 및 받아들이기 위한 키보드 또는 마우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프로세스"는 예컨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의 레지스터 및/또는 메모리 내에 거주 또는 일어날 수 있는 물리적 예컨대 전자적 현상으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계산 또는 조작 또는 변환의 어떠한 유형이라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단일 프로세싱 유닛 또는 복수의 분산된 또는 원격의 그러한 유닛을 포함한다.
위의 디바이스는 어떠한 관용적 유선 또는 무선 디지털 통신 수단을 통해서라도, 예컨대, 유선 또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에 따라,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발명의 장치, 방법, 특징 및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는 명령어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저장하는 머신 읽기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에 따라, 어느 관용적 프로그래밍 언어로 쓰일 수 있는 위와 같은 프로그램, 및 옵션으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옵션으로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활성화 또는 구성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와 같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머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편입된 교시 중 어느 것이라도 적합한 어디에라도 물리적 객체 또는 실체를 표현하는 신호 상에 동작할 수 있다.
위의 그리고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는 실시예는 다음 섹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텍스트 또는 도면에서 발생하는 어떠한 상표라도 그 소유자의 자산이고 본 명세서에서는 단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 또는 예시하려 한 것이다.
이하의 논의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특별히 달리 서술되지 않으면, 명세서 논의 내내 "프로세싱", "컴퓨팅", "추정", "선택", "랭킹", "그레이딩", "계산", "결정", "발생", "재평가", "분류", "발생", "산출", "스테레오-매칭", "등록", "검출", "연관", "중첩", "획득" 등과 같은 용어를 이용하는 것은, 컴퓨팅 시스템의 레지스터 및/또는 메모리 내 전자적 등의 물리적 수량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컴퓨팅 시스템의 메모리, 레지스터 또는 다른 그러한 정보 저장, 송신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 물리적 수량으로 유사하게 표현된 다른 데이터로 조작 및/또는 변환하는, 컴퓨터 또는 컴퓨팅 시스템 또는 프로세서 또는 유사한 전자적 컴퓨팅 디바이스의 액션 및/또는 프로세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용어 "컴퓨터"는, 제한이 아닌 예로써,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팅 시스템, 통신 디바이스, 프로세서(예컨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마이크로컨트롤러,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주문형 반도체(ASIC) 등) 및 다른 전자적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을 갖는 어떠한 종류의 전자적 디바이스라도 포함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단지 명확성을 위해,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 운영 체계, 브라우저, 시스템 버전, 개개의 제품 등에 특정된 용어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예의 방식에 의해 동작의 일반 원리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전달하려는 의도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어느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 운영 체계, 브라우저, 시스템 버전 또는 개개의 제품에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닌 것으로 인식된다.
본 명세서에서 별개로 열거된 엘리먼트는 다른 컴포넌트일 필요는 없고 대안으로 동일 구조일 수도 있다.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센서와 같은 어떠한 적합한 입력 디바이스라도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발생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어떠한 적합한 출력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라도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발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어떠한 적합한 프로세서라도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에 하나 이상의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정보를 컴퓨팅 또는 발생시키도록 채용될 수 있다. 어떠한 적합한 전산화된 데이터 저장 예컨대 컴퓨터 메모리라도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시스템에 의해 발생 또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기능은 서버 컴퓨터와 복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사이에서 나누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이들 또는 다른 전산화된 컴포넌트는 적합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그들 사이에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가 이하의 도면에 예시된다.
도 1a는 코어 네트워크 레귤러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및 중계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다층 셀룰러 네트워크의 예시도;
도 1b는 다중(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 이동국 기능성 및 다중(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반-회화 반-블록 예시도로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는 하나보다 많은 기지국 기능성 및/또는 하나보다 많은 이동국 기능성을 갖는 이동 중계기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도 2는,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개의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일반적 아키텍처;
도 3은,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역폭을 증가 및/또는 이용가능한 베어러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또는 대체 "핫" 루트로서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에서 다중 이동국 기능성 사용의 묘사도;
도 4는,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예컨대 1차적 및 2차적 중계기 기지국 사이에 핸드오버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기지국 기능성에서의 "핫" 구성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2차적 또는 부가적 기지국 기능성 사용의 묘사도;
도 5는,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계 이동 노드(이동 중계기)의 총 처리율을 확대하기 위해 2차적 기지국 기능성 사용의 묘사도;
도 6은,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로의 경로를 따른 라디오 링크의 최소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의해 최대 대역폭의 제한의 묘사도;
도 7은,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가적 예컨대 2차적 이동국 기능성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코어로의 대안 라디오 링크 경로를 발생시키기 위해 업그레이드된 중계 노드 사용의 묘사도;
도 8은,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로써, 2개의 중계기 기지국(rBS)을 사용하는 일례의 동적 셀-셋업 프로시저의 예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의 단순화된 블록 선도;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업그레이드된 (멀티-엘리먼트) 이동 중계기의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742)의 단순화된 블록 선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탠드-얼론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는 중계기의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의 단순화된 블록 선도로서, 이러한 서브시스템은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가 비상 모드로 동작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에 부가될 수 있다; 및
도 11은 멀티-홉 캡슐화를 위해 내부 라우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중계기의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의 단순화된 블록 선도. 이러한 라우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업그레이드된 중계기가 멀티-홉 캡슐화를 위해 확장된 터널을 행할 수 있게 하도록 그에 부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 및 설명되는 계산 컴포넌트는 예컨대,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커스텀 VLSI 회로 또는 게이트 어레이 또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FPGA와 같은 프로그램가능한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같은 하드웨어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무형의 컴퓨터 읽기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 또는 그 어떠한 적합한 조합이라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기능적 컴포넌트는 당해 기능적 컴포넌트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집합적으로 행동 또는 거동 또는 역할하는 소프트웨어 코드의 하나의 특정 시퀀스에 의해 또는 복수의 그러한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컴포넌트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객체, 프로시저, 함수, 루틴 및 프로그램과 같은 수개의 코드 시퀀스에 걸쳐 분산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상승적으로 동작하는 수개의 컴퓨터 파일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 서로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단일 노드 또는 위치의 서로 다른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무형의 컴퓨터 읽기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소정 시간 동안 컴퓨팅에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보유하는 어떠한 유형의 저장 또는 메모리 및 어떠한 유형의 컴퓨터 컴포넌트 및 레코딩 매체라도 포함하는 어떠한 컴퓨터 데이터 저장 기술, 및 어떠한 유형의 정보 보유 기술이라도 본 명세서에서 채용 및 제공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적합한 컴퓨터 데이터 저장 또는 정보 보유 장치는, 1차적, 2차적, 3차적 또는 오프-라인이고; 휘발성, 차별성, 변이성, 액세스가능성, 어드레싱가능성, 용량, 성능 및 에너지 사용의 어느 유형 또는 레벨 또는 양 또는 카테고리이고; 그리고 반도체, 자기, 광학, 페이퍼 등과 같은 어떠한 적합한 기술에라도 기반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 네트워크 내 어느 수신지 예컨대 이동국 또는 네트워크 외부 어느 수신지로의 어느 계층적 셀룰러 토폴로지를 통해, 이동국 중 각각의 하나 사이에 제어 및 트래픽 정보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도록 동작하는 아키텍처 및 방법이 도 1a 내지 8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된다. LTE(Long Term Evolution)라고도 알려져 있는 4G 3GPP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한 솔루션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지만, 동일 원리가, 준용하여, 어떠한 계층적 셀룰러 네트워크에라도 적용될 수 있다.
기존 LTE 셀룰러 네트워크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국은 그 자신의 IP에 의해 식별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이동국에 어드레싱되는 패킷은 GTP 터널을 사용하여 P/S-GW로 칭해지는 IP 접속성 게이트웨이를 통해 기지국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이동국 예컨대 셀룰러 전화로 라우팅되고 있다.
계층적 셀룰러 네트워크, 예컨대, TS 36.806과 같은 확장된 터널을 이용하는 IP 기반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패킷은 수개의 터널을 통해 라우팅되고 그 어드레싱된 이동국으로 라우팅된다.
계층적 셀룰러 네트워크 예컨대 TS 36.806은 전형적으로 백홀링 병목 문제로 고생한다; 소정 실시예는 이것들을 감축하려는 것이다. 예컨대:
이동 중계기는 그것이 생성할 수 있는 베어러의 수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동 중계기가 제공할 수 있는 베어러의 수는 이동국 기능성이 생성할 수 있는 베어러의 수에 의해 제한된다. 이동국 기능성이 생성할 수 있는 베어러의 수는 이동 중계기에서 수개의 이동국 기능성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동일 이동 중계기에 접속되는 서로 다른 이동국은 서로 다른 이동국 기능성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 중계기는 동일 이동국 기능성에 배정되는 서로 다른 우선순위결정을 갖는 서로 다른 베어러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이동국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국에 이용가능한 최대 베어러 카운트는 5이다. 이동국5, 이동국3 및 이동국2는 각각 2개의 베어러를 사용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는, 단일 이동국 기능성(이동국 기능성(rMS2.1)을 통해 모든 6개의 베어러를 송신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다. 모든 6개의 사용자 베어러를 중계하기 위해, 5개의 부가적 베어러를 부가하는 부가적 이동국 기능성(이동국 기능성(rMS2.2))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모든 6개의 사용자 베어러를 중계 가능하게 한다. 이 예에 있어서, 이동국 기능성(rMS2.1)은 기지국 기능성(rBS1.2)을 기지국 기능성으로 그리고 이동국 기능성(rMS1.2)을 이동국 기능성으로 사용하여 이동국5의 2개의 베어러를 중계한다. 이동국 기능성(rMS2.2)은 기지국 기능성(rBS3.1) 및 이동국 기능성(rMS3.1)을 사용하여 나머지 4개의 베어러를 중계한다.
전형적으로 최대 대역폭은 코어로의 경로를 따른 라디오 링크의 최소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의해 제한된다. 예컨대, 도 6은 이동국 기능성(rMS2)에 링크되는 이동국에 최대 총 이용가능한 대역폭이 가장 낮은 라디오 링크 이용가능한 대역폭, 예컨대, 라디오 링크 "a" 또는 "l"의 대역폭의 최소값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동 중계기는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을 서로 다른 기지국 기능성에 접속하고 코어로의 링크된 중계의 서로 다른 경로를 사용함으로써 전반적 대역폭을 확대하기 위해 부가적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있어서, 이동국 기능성에 이용가능한 최대 대역폭은 5MHz이다. 고정식 기지국(30)에 최대 이용가능한 대역폭은 20MHz이다. 단일 이동국 기능성(본 명세서에서는 "rMS"라고도 칭함) 및 단일 기지국 기능성(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 기능성(rBS)"이라고도 칭함)을 사용하면 이동국 기능성(rMS1) 및 이동국 기능성(rMS3)의 이용가능한 처리율은 이동국 기능성의 5MHz의 제한으로 인해 5MHz이다.
이동국 기능성(rMS2)은 고정식 기지국으로부터 멀고 이동국 기능성(rMS3)이나 이동국 기능성(rMS1)에 의해 중계된다. 단일 기지국 기능성 및 단일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하면 이동국 기능성(rMS2)은 이동국4 또는 이동국1 중 어느 것과 대역폭 자원을 공유하고 그 이용가능한 처리율은 5MHz 미만이다. 그러나 이동국 기능성(rMS2)에서의 부가적 이동국 기능성(예컨대, 이동국 기능성(rMS2.1)과 이동국 기능성(rMS2.2) 둘 다)을 사용하면, 예컨대 이동국 기능성(rMS2.1)을 이동국 기능성(rMS1)에 그리고 이동국 기능성(rMS2.2)을 이동국 기능성(rMS3)에 접속함으로써 이동국 기능성(rMS1)과 이동국 기능성(rMS3) 둘 다의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이동국1이 2MHz를 사용하고 있고 이동국4이 2HMz를 사용하고 있으면, 이것은 이동국 기능성 당 5MHz의 제한으로 인해 5MHz의 총 처리율 및 6MHz의 백홀링 용량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동 중계기에서의 또 다른 기지국 기능성을 부가하면 예컨대 이동국의 일부에는 제1 기지국 기능성을 사용하여 그리고 나머지 이동국에는 다른 기지국 기능성으로 서비스 제공함으로써 10Mhz의 대역폭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2 및 이동국5은 기지국 기능성(rBS2.1)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다. 이동국3 및 이동국1은 기지국 기능성(rBS2.2)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다. 이동국 기능성(rMS2.1)을 기지국 기능성(rBS1.2)에 그리고 이동국 기능성(rMS2.2)을 기지국 기능성(rBS3.2)에 접속함으로써 이동국 기능성(rMS2)에서 총 10MHz 대역폭을 내놓는다.
부가적으로, 계층적 동적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터널은 높은 패킷 손실률로 고생할 수 있다. 이것은 손실 커넥션의 높은 확률 및/또는 시스템의 동적 본질에 기인할 수 있다. 손실되는 패킷의 확률은, 옵션으로 후속으로 똑같은 데이터를 각각 송신하는 코어로의 서로 다른 라디오 링크를 사용하여 수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복제된 패킷을 수신하는 서버는 복제된 패킷을 무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복제된 패킷은 전용 서버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대안으로, 복제된 패킷은 p-gw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5, 이동국1, 이동국3 및 이동국2는 코어와 통신하도록 이동국 기능성(rMS2)을 사용한다. 패킷이 손실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2)는 동일 데이터를 (a) 이동국 기능성(rMS2.1)을 통해 라디오 링크 "l"를 사용하여 이동국 기능성(rMS1)으로 그리고 (b) 이동국 기능성(rMS2.2)을 통해 라디오 링크 "k"를 사용하여 이동국 기능성(rMS3)으로 송신한다. 거기서 이동국 기능성(rMS3)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는 링크 "d"를 사용하여 코어에 송신되고 그리고 이동국 기능성(rMS1)으로부터 통신 데이터는 라디오 링크 "a" 및 "b"를 통해 송신된다.
많은 관용적 시스템에 있어서, LTE 셀룰러 네트워크 내 핸드오버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기지국 기능성(LTE에서 eNB)은 이동국(LTE에서 UE)의 링크 측정을 수집하고, 이동국(UE)에 의해 감지되는 바와 같은 이웃 기지국 기능성(이웃 eNB)의 링크 품질을 수집한다. 링크 품질이 임계값 이하로 떨어졌고 이웃 링크의 품질 중 하나가 더 낫다고 기지국(eNB)이 감지하면,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을 개시한다.
요청은 직접 이웃 기지국으로 가거나 또는 LTE 코어에서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사용하여 코어를 통과한다. 이웃 기지국이 핸드-오버 요청을 긍정 응답할 때, 기지국은 핸드-오버 커맨드를 이동국에 송신한다. 코어로의 대안 경로는 이동 중계 노드를 사용하여 그리고 적합한 핸드-오버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발생될 수 있다. 대안 루트로의 스위칭을 위한 대체 방법은 이동국 기능성으로부터 백업 이동국 기능성으로 통신을 스위칭함으로써 업그레이드된 중계 노드를 채용할 수 있다. 백업 이동국은 대체 라디오 링크 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 기능성(rMS2)은 코어와 통신하기 위해 라디오 링크 "k"를 그리고 이동국3 및 이동국5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백업 라디오 링크로 라디오 링크 "l"를 사용한다. 트리거링된 이벤트 때, 예컨대, 라디오 링크 "k"에서 검출된 라디오 링크 품질 하락 때, 이동국 기능성(rMS2)은 통신을 스위칭하여 백홀링 라디오 링크로서 "l"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바와 같은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에 있어서, 핸드오버 메커니즘은 이동 중계기에 거주하는 기지국 기능성 중 하나를 (이동 중계기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이동국에) "투명하게" 임시 셧다운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5 및 이동국3은 기지국 기능성(rBS2.1)에 링크된다. 어느 때에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2)는 예컨대 유지 보수를 위해 기지국 기능성(rBS2.1)을 임시 셧다운 하기를 바란다.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2)는 기지국 기능성(rBS2.1)에 그 송신 전력을 낮추고 그 최소 수신 임계값을 증가시키라고 명령한다. 다른 한편,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2)는 기지국 기능성(rBS2.2)에 그 최소 수신 임계값을, 가령 기지국 기능성(rBS2.1)에 의해 사용되었던 최소 수신 임계값으로 감소시키고 기지국 기능성(rBS2.2)의 송신 전력을, 가령 기지국 기능성(rBS2.1)에 의해 사용되었던 송신 전력으로 증가시키라고 명령할 수 있다. 이들 변화는 정규 핸드오버 메커니즘을 트리거링하여 기지국 기능성(rBS2.1)으로부터 기지국 기능성(rBS2.2)으로 이동국5 및 이동국3의 핸드오버를 달성할 수 있다.
도 8은 다중 예컨대 2개의 중계기 기지국(기지국 기능성--rBS)을 사용하는 동적 셀-셋업 프로시저의 일례이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중계기는 2개의 중계기 기지국(rBS1.1, rBS1.2)을 갖는다. 중계기에 접속된 이동국은 rBS1.1을 사용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중계기는 셀 파라미터 및/또는 타이밍 파라미터를 바꾸기 위해 2차적 rBS1.2 기지국을 사용한다.
이동국(MS5)은 그 서비스 제공하는 중계기 기지국(rBS1.1)을 통해 (백홀링 링크로) 이동국 기능성(rMS1.1)을 사용하여 코어에 접속된다.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1)가 그 대응하는 rBS(기지국 기능성)의 파라미터(예컨대, 프레임 타이밍 파라미터, 셀 중심 주파수, 셀 대역폭, PLMN ID, MIMO 구성, 또는 어떤 다른 정적 셀 파라미터)를 바꾸기 원하는 경우,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1)는, 예컨대, 이동국이 양 기지국의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 2차적 기지국(rBS1.2)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기지국 기능성(rBS1.1)의 송신 전력을 낮추고 기지국 기능성(rBS1.2)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2차적 기지국 기능성(rBS1.2)을 소망의 셀 구성(그 파라미터의 셋업)으로 설정하고 기지국 기능성(rBS1.1)에 접속된 모든 이동국을 기지국 기능성(rBS1.2)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이동국(MS5)은 링크 "a"를 사용하여 기지국 기능성(rBS1.1)에 접속된다.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1)는 기지국 기능성의 타임 프레임을 예컨대 하나의 TTI(1 밀리초) 또는 2-9와 같은 수개 TTI 또는 단일 미만의 TTI(예컨대 1 밀리초의 몇분의 일)만큼 시프팅하여 그 중계기 rBS(기지국 기능성) 타이밍 파라미터를 바꾸고, 부가하여, 기지국 기능성의 셀 대역폭을 예컨대 10MHz로부터 20MHz로 (또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4MHz, 3MHz, 5MHz와 같은 표준 정의 내 어떠한 대역폭으로라도) 바꿀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기지국 기능성(rBS1.2)을 (옵션으로서 파워 온 하고) 소망의 구성으로 셋업하고 기지국 기능성(rBS1.2)으로 이동국(MS5)의 핸드오버를 링크 "b"를 사용하여 수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후에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1)는, 옵션으로서, 전력을 절약하거나 기지국 기능성(rBS1.2)으로의 또는 곁의 어느 다른 기지국으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예컨대 소정 턴-오프 기준에 의존하여, rBS1.1을 턴오프 할 수 있다.
도 9a는 중계기의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의 상세한 블록 선도를 설명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 자원 관리자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적합하게 결합된 터널링 서브시스템(713), 라디오 자원 서브시스템(714), 가상 코어 서브시스템(715) 및 라우팅 및 QoS 서브시스템(728)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터널링 서브시스템은 서로 다른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자 플레인 베어러 위에 사용자 플레인 및 제어 플레인 페이로드를 캡슐화 및 캡슐화-제거하고,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동성 관리 엔티티 예컨대 MME, 게이트웨이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중 어느 하나와 같이 코어 내 엔티티에 캡슐화-제거된 사용자 플레인 및 제어 플레인 페이로드를 송신하도록 동작한다. 전형적으로 터널링 서브시스템은 예컨대 표준 IP 스택 위 이동국 기능성 rUE(741)과 인터페이싱(703, 704)한다.
전형적으로 가상 코어 서브시스템은 한편에 (고정식) 코어 사이 게이트웨이 및 다른 한편에 다양한 자원 관리 서브시스템 및 기지국 기능성(rBS)(740)을 구성한다. 가상 코어 서브시스템은, 예컨대, 기지국 기능성(rBS)(740) 및 원격 코어와의 IP 인터페이스(701, 707b, 709, 710)를 통해 전유 관리 및 제어(M&C) 또는 표준 S1-MME(702, 708b, 709, 710) 및 S1-U(701, 707b, 709, 710)을 사용하여 (정적 네트워크의) 코어 또는 기지국 기능성(rBS)(740)과 통신할 수 있다. 가상 코어 서브시스템은 S1-MME, S1-U, M&C 메시지 중 어느 것 또는 전부를 옵션으로 터널링 서브시스템(713)을 통해 코어에 송신할 수 있다.
가상 코어 서브시스템(715)의 캡슐화 관리자 기능은 예컨대 도 6에서 참조 번호(1304)로 표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이벤트 리스너(Network event listener) 및 예컨대 도 6에서 참조 번호 (1305)로 표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이벤트 핸들러를 구현한다. 핸들러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스 및 수신지 어드레스, 포트 및 우선순위를 포함하는 모든 액티브 베어러와 같은) 적합한 통계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 심층 패킷 검사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들러는 (예컨대 코어로부터의 단절의 경우) 이벤트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캡슐화 관리자는 사용되고 있는 코어 내/외로 라우팅 및 QoS 서브시스템에 의해 송신/수신(712)되는 여러 다른 메시지, 예컨대, 베어러를 생성 또는 삭제하라는 메시지를 취급(송/수신)하도록 동작한다.
부가적으로, 옵션으로서 가상 코어 서브시스템(715)의 캡슐화 관리자 기능은 가상 코어 서브시스템이 내부에 거주하는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742)와 (1) 또 다른 중계기 내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중계기 자원 관리자, 및/또는 (2) 정적 네트워크의 일부분으로 위치하는 단/복수 중계기 서버의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S-GW(722) 및 가상 MME(723)는 그에 따라 기지국 기능성(rBS)(740)과의 대응하는 표준 S-GW 및 MME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원격 코어가 중계기에 의해 사용되면, 가상 S-GW(722) 및 가상 MME(723)는 기지국 기능성(rBS)(740)이 코어의 원격성에도 불구하고 매끄럽고 심리스하게 작동하도록 이들 코어 기능을 프록시로 모방할 수 있다.
라우팅 및 QoS 서브시스템(728)은 라우팅 에이전트(727), 부하 관리자(729) 및 QoS 에이전트(73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우팅 및 QoS 서브시스템(728)은 예컨대 AT 커맨드 또는 어떠한 적합한 전유 인터페이스(705)라도 사용하여 이동국 기능성(rMS)(741)과 통신한다. 라우팅 및 QoS 서브시스템(728)은 예컨대 M&C 인터페이스(735)를 사용하여 기지국 기능성(rBS)과 통신한다. M&C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라우팅 및 QOS 서브시스템은 PLMN과 같은 기지국 기능성(rBS)(740)에서 다양한 파라미터 변화를 명령할 수 있고/있거나 부속된 이동국의 핸드오버 메커니즘을 개시하도록 기지국 기능성(rBS)(740)에 명령할 수 있다. 이동국 기능성(rMS)(741) 인터페이스(705)를 사용하여 라우팅 및 QoS 서브시스템(728)은 서비스 제공받는 기지국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라디오 측정을 수신할 수 있고, 이동국 기능성이 핸드오버 메커니즘과 개입하기 위해 그 서비스 제공하는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는 페이크 라디오 측정을 이동국 기능성(rMS)(741)에 송신할 수 있다. 라우팅 및 QoS 서브시스템(728)은 특정 액세스 포인트 네임(APN)에 등록하고/하거나 부가적 베어러를 생성할 수 있다.
부하 관리자(729)는 서로 다른 중계기 사이에 트래픽 부하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부하 관리자(729)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라디오 자원 서브시스템(714), 라우팅 에이전트(727), QoS 에이전트(730) 또는 캡슐화 관리자(가상 코어 서브시스템(715)의 블록) 또는 이동국 기능성(741) 또는 기지국 기능성(rBS)(740) 또는 (정적 네트워크의) 원격 코어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 MME 또는 현재 사이트가 로딩하였던 것 중 어느 것 또는 전부와 같은 다른 중계기 자원 관리자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것과 같은 액션을 수행할 수 있지만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하 관리자(729)는 또한, (백홀링 링크에서) 더 많은 대역폭을 득하기 위해 토폴로지를 바꾸려 하거나, 또는 그 부가적 대역폭이 원격 코어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 MME로부터 백홀링 링크에 대해 이동국 기능성(rMS)에 할당되게 요청하려 하도록 라우팅 에이전트에 명령할 수 있다.
QOS 에이전트(730)는 멀티-홉 메커니즘으로 인해 부가적 베어러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현재 부속된 이동국 및 그들 대역폭 요청에 따라 베어러를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라디오 자원 서브시스템(714)은 라디오 자원 관리자(724), 라디오 품질 및 아레나 리포터(725) 및 라디오 자원 컨트롤러(726)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자원 서브시스템(714)은 (1) 기지국 기능성(rBS)(740)에 의해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는 중계기의 액세스 링크와 rUE(rMS)(740)에 의해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는 중계기의 백홀링 링크; (2) 중계기의 액세스 링크와 다른 중계기의 액세스 링크; 및 (3) 중계기 백홀링 링크와 다른 중계기의 백홀링 링크 사이의 간섭을 감축하도록 동작한다. 라디오 자원 컨트롤러(726)는 이동국 기능성(rUE)(741) 및 기지국 기능성(rBS)(740)의 여러 다른 라디오 자원, 예컨대, 하위 기지국 기능성 송신 전력, 특정 기지국 기능성 자원 블록/단/복수 서브프레임의 블랭킹, 이동국 기능성 업링크 승인에 대한 요청, 중심 주파수 변경, 대역폭 변경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라디오 품질 및 아레나 리포터(725)는 기지국 기능성(rBS)(740)에 보고하는 접속된 이동국으로부터 그리고 이동국 기능성(rUE)(741)으로부터 기지국 기능성(rBS)(740) 및 기지국 기능성(rBS)의 이웃하는 기지국의 수신된 전력 보고를 나타내는 라디오 측정 보고를 수집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라디오 측정 보고는 이동국 기능성의 서비스 제공하는 기지국의 라디오 측정; 및/또는 이동국 기능성(rUE)(741)의 액티브 세트 예컨대 이동국 기능성(rUE)(741)이 주기적으로 측정하도록 동작하는 이웃 기지국의 리스트의 라디오 측정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라디오 자원 서브시스템은 가상 코어 서브시스템(742)으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형적으로는 캡슐화 관리자를 사용하여, 다른 중계기의 중계기 자원 관리자의 라디오 자원 서브시스템에 측정 보고를 라디오 품질 보고로서 송신한다. 이러한 라디오 품질 보고는 라우팅 에이전트에 관련된 결정에 및/또는 분산된 라디오 자원 관리 메커니즘에 관련될 수 있다.
라디오 자원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의 로컬 라디오 품질 및 아레나 리포터(725)로부터 그리고 이웃하는 중계기의 라디오 품질 및 아레나 리포터로부터 라디오 품질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라디오 자원 관리자는 예컨대 중계기의 그리고 옵션으로서 정적 네트워크의 다양한 스테이션 사이의 간섭 레벨을 컴퓨팅할 수 있다. 라디오 자원 관리자는 또한 인터페이스(742)를 통해 그리고 가상 코어 서브시스템(715)의 캡슐화 관리자를 사용하여 그 로컬 라디오 자원 컨트롤러(726)에 및/또는 그 이웃하는 중계기의 단/복수 라디오 자원 컨트롤러에 라디오 자원 구성권고를 제공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라디오 자원 관리자(714)는 인터페이스(706)로 예컨대 AT 커맨드 또는 다른 전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동국 기능성(rUE)(741)과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 옵션으로서 라디오 자원 관리자는 인터페이스(734)로 예컨대 M&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기지국 기능성(rBS)(740)과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 옵션으로서 라디오 자원 관리자는 인터페이스(742)를 통해 예컨대 가상 코어 서브시스템(715) 캡슐화 관리자를 사용하여 다른 중계기의 라디오 자원 서브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터널링 서브시스템(713), 라우팅 및 QoS 서브시스템(728) 및 라디오 자원 서브시스템(714)은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의 옵션 서브시스템이다. 이들 서브시스템 중 전부 또는 어떠한 서브세트라도 필요에 의해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에 부가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업그레이드된 (멀티-엘리먼트) 이동 중계기의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742)의 단순화된 블록 선도이다. 2개의 rMS 및 2개의 rBS의 예시된 구성은, 업그레이드된 중계기에서, 2개의 rBS와 단일 rMS만을 또는 2개의 rMS와 단일 rBS만을 갖는 것으로 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탠드-얼론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는 중계기의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의 단순화된 블록 선도이다. 이러한 서브시스템은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가 비상 모드로 동작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에 부가될 수 있다.
도 11은 멀티-홉 캡슐화를 위해 내부 라우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중계기의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의 단순화된 블록 선도이다. 이러한 라우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업그레이드된 중계기가 멀티-홉 캡슐화를 위해 확장된 터널을 달성할 수 있게 하도록 업그레이드된 중계기에 부가될 수 있다.
계층적 셀룰러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이동 중계기를 이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동작은 2011년 1월 27일자로 출원되고 PCT 출원 공보 제WO/2011/092698호로 발간된 발명의 명칭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moving base stations and methods and apparatu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의 PCT 출원 제PCT/IL2011/000096호에 설명되어 있다. 위 공보에서 설명된 이동 중계기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각각의 이동 중계기가 단일 이동국 기능성, 단일 기지국 기능성 및 단일 중계기 자원 관리자 예컨대 라디오 자원 관리자를 포함하기보다는 하나보다 많은 이동국 기능성 및/또는 하나보다 많은 기지국 기능성을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출원에서 유용하다. 여럿 중에서도 이하의 실시예는 위 공보에서 설명되는 덕분에 업계에서 알려져 있다.
실시예 1.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으로서:
기지국 기능성, 라디오 관리자 및 이동국 기능성을, 모두 병설되어,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 중계기를 포함하되,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안테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통신함으로써 그 사이에 제1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도록 동작하고,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그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로의 물리적 커넥션을 갖고,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통신함으로써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고,
각각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라디오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 및
상기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이동 중계기에 포함된 라디오 관리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서비스 제공받으려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이동국에 대해, 거기에 셀룰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개개의 이동국을 접속할 정적 기지국; 및 기지국 기능성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상기 라디오 자원 관리자에 의해 사용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코어 디바이스,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는 소정 수의 이동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공동으로 동작하고, 상기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토폴로지 변화는 동적으로 발생하고, 상기 토폴로지 변화는 정적 기지국 및 이동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와 이동 중계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커넥션에서의 동적 변화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3. 실시예 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자원 관리자는 서비스 제공받으려 하는 개개의 이동국에 대한 셀룰러 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선택에 관해 결정하고, 상기 결정이 이루어진 후에라도, 그로써 상기 라디오 자원 관리자와 병설된 데이터베이스를 발생시키도록 그것이 사용하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로컬 저장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자원 관리자에 의해 사용된 상기 정보는 그 병설된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5.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4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자원 관리자에 의해 사용된 상기 정보는 그 병설된 이동국 기능성으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6. 실시예 5에 있어서, 상기 병설된 이동국 기능성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라디오 링크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7. 실시예 6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은 셀룰러 통신 표준에 따라 제공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표준에 따라 상기 이동국 기능성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8. 실시예 7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 표준은 3GPP E-UTRAN LTE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9. 실시예 8에 있어서, 정보는 RSSI, RSRP, RSRQ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0. 실시예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동 중계기 및 각각의 상기 이동국은 셀룰러 통신 노드를 구성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노드를 상호접속하는 루트를 발생시키고 개개의 노드에 거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자원 관리자는, 개개의 루트를 따라 링크에 관련되는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개개의 노드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루트의 품질을 특징짓는 루트 품질 파라미터를 컴퓨팅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1. 실시예 10에 있어서, 루트 품질 파라미터를 컴퓨팅하도록 동작하는 상기 라디오 자원 관리자는 상기 개개의 루트를 형성하는 모든 링크의 각자의 품질을 특징짓는 값 중에서 최소값을 컴퓨팅함으로써 상기 개개의 루트를 따라 링크에 관련되는 정보를 조합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2. 실시예 10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코어 디바이스,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는 소정 수의 이동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공동으로 동작하고, 상기 개개의 루트는 상기 개개의 노드를 정적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하는 루트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3.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코어 디바이스,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는 소정 수의 이동국을 포함하는 정적 네트워크와 공동으로 동작하고, 정적 네트워크로의 충분히 높은 품질 커넥션을 갖지 않는 각각의 개개의 라디오 관리자는, 상기 개개의 라디오 관리자의 병설된 기지국 기능성을 통해, 상기 병설된 기지국 기능성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 사이에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4.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코어 디바이스,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는 소정 수의 이동국을 포함하는 정적 네트워크와 공동으로 동작하고, 정적 네트워크로의 커넥션을 갖지 않는 각각의 라디오 관리자는, 상기 개개의 라디오 관리자의 병설된 기지국 기능성을 통해, 상기 병설된 기지국 기능성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 사이에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5. 실시예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라디오 관리자는, 상기 라디오 관리자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 사이에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6. 실시예 1에 있어서, 각각의 자원 관리자는 상기 자원 관리자의 병설된 이동국 기능성이 루트를 통해 링크된 이동 중계기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그 병설된 기지국 기능성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사이에 통신을 선택적으로 확립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7.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루트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8. 실시예 10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노드에 거주하는 상기 라디오 자원 관리자는 대응하는 복수의 루트 대안에 대해 복수의 루트 품질 파라미터를 컴퓨팅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9.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자원 관리자는 상기 라디오 자원 관리자와 병설된 기지국 기능성에 접속된 개개의 이동국에 상기 복수의 루트 품질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20. 실시예 19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이동국은,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어느 유닛에 그것이 접속되려는지 그 자신의 결정인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루트 품질 파라미터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결정을 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21. 실시예 6에 있어서, 상기 병설된 이동국 기능성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그 자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22. 실시예 4에 있어서, 상기 병설된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라디오 링크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23.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병설된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그 자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24. 실시예 8 또는 실시예 9에 있어서, 정보는 rsSINR(참조 신호 SINR) 메트릭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25. 실시예 1에 있어서, 개개의 이동국은 개개의 기지국 기능성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개개의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떠나 상기 개개의 이동국을 이송한다는 결정은 상기 개개의 기지국 기능성과 병설된 자원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26. 실시예 1에 있어서, 코어 디바이스,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는 소정 수의 이동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또한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27. 실시예 26에 있어서, 정적 네트워크 코어 디바이스에 위치하는 중계 네트워크 관리자(DisNetRM)를 또한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28. 실시예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에 대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상기 유닛은 상기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이동 중계기의 기지국 기능성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29. 실시예 1에 있어서, 코어 디바이스,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는 소정 수의 이동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공동으로 동작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에 대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상기 유닛은 상기 정적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30.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교환이 아니면, 상기 라디오 관리자의 일 서브세트에만 액세스 가능한 것인 시스템.
실시예 31.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특징짓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32. 실시예 28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상기 이동 중계기와 병설된 이동국 기능성에 대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상기 유닛은 또한 정적 기지국보다는 이동 중계기의 기지국 기능성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에 멀티-홉 능력을 제공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33. 실시예 27에 있어서, 개개의 이동국은 개개의 기지국 기능성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개개의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떠나 상기 개개의 이동국을 이송한다는 결정은 상기 중계 네트워크 관리자(DisNetRM)에 의해 중앙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34. 실시예 20에 있어서, 코어 디바이스,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는 소정 수의 이동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개개의 이동국은 상기 복수의 루트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정적 기지국 중 하나로의 최상 루트를 상기 개개의 이동국에 제공하는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의 커넥션을 확립하도록 결정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35. 코어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을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와 공동으로 동작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 및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는 소정 수의 이동국을 포함하고,
기지국은,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기능성, 기지국 기능성과 모두 병설된 이동국 기능성 및 제1 라디오 관리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기지국을 포함하고,
기지국 기능성은 제1 라디오 관리자로의 물리적 백-커넥션을 갖고, 제1 라디오 관리자는 이동국 기능성과의 물리적 커넥션을 갖고, 이동국 기능성은 안테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정적 기지국과 통신하고,
제1 라디오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 및
다른 이동 기지국과 각자 병설된 다른 라디오 관리자에 정보를 송신하고 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그리고 개개의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와 연관된 개개의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으려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을 거부할지 결정하도록 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하고,
거부할지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기지국의 위치; 및
링크 품질의 통계 재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실시예 36.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의 각자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의 각자의 백 커넥션의 품질에 관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 중으로부터의 정적 기지국; 및
개개의 라디오 관리자의 병설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기지국 중 선택된 하나를 통해 각자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37. 실시예 35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로의 그 자신의 백 커넥션의 품질에 관한 정보는 그 자신의 병설된 이동국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38.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다른 기지국이 개개의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의 근방에 이동국을 제공할 수 있는 채널 품질에 관하여 상기 근방의 상기 이동국에 의해 발생된 보고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39. 실시예 35에 있어서, 개개의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의 근방 이동국에 대해 그 자신의 기지국으로부터 이용가능한 서비스 품질에 관한 상기 정보는 그 자신의 병설된 이동국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40.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다른 라디오 관리자는 개개의 이동국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의 복수의 루트 및 상기 루트의 각각의 상대적 품질을 특징짓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루트 비교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이동국에 대해 컴퓨팅하고 상기 루트 비교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개개의 이동국에 통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개개의 이동국은, 상기 루트 비교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접속될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41. 실시예 40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함께 루트를 구성하고 그 자신의 SNR(신호 잡음 비) 값을 각각 갖는 섹션에 대해, 최소 SNR(신호 잡음 비) 값에 기초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42. 실시예 40에 있어서, 루트 품질을 특징짓는 상기 파라미터는 루트 섹션의 품질 및 그 변동 측정의 조합이고 크게 변동하는 품질 측정을 갖는 루트 섹션은 그 예측불가능성에 기인하여 평가절하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43. 실시예 35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병셜된 라디오 관리자는 상기 개개의 라디오 관리자의 근방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코어 네트워크를 필요로 함이 없이, 직접 통신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모바일 대 모바일 직접 통신 용이 기능성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44.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지국은 그것이 그 자신의 병설된 이동국으로의 송신을 삼가는 침묵 기간을 준수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45.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침묵 기간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이동 기지국의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46.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주파수 대역 및 타임 윈도 중 적어도 하나에 걸쳐 정의되는 침묵이 준수되는 존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47.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전술 E-UTRAN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48. 실시예 35에 있어서, 중계기 R이 또 다른 중계기 A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멀티-홉 통신 루트가 사용되면, 중계기 R은 R이 A의 앵커라는 메시지를 백홀링 중계기에 송신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49.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정적 기지국은 상기 코어 디바이스와 병설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50.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백-커넥션은 이더넷 백-커넥션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51.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자원 관리자는 E-UTRAN 라디오 자원 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52. 이동 통신 네트워킹 방법으로서:
코어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을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복수의 기지국; 및 기지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는 소정 수의 이동국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기지국은,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기능성, 상기 기지국 기능성과 모두 병설된 제1 라디오 관리자 및 이동국 기능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기지국을 포함하고,
기지국 기능성은 제1 라디오 관리자로의 물리적 백-커넥션을 갖고, 제1 라디오 관리자는 상기 이동국 기능성과의 물리적 커넥션을 갖고, 이동국 기능성은 안테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정적 기지국과 통신하고,
상기 제1 라디오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 및 다른 이동 기지국과 각자 병설된 다른 라디오 관리자에 정보를 송신하고 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라디오 관리자와 연관된 개개의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으려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을 거부할지 결정하도록 상기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킹 방법.
실시예 53. 실시예 35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품질 등급 결과(Quality Grade Result: QGR)에 대해 양호한 위치가 나타내어지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54. 실시예 53에 있어서,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내 병설된 MS의 통계적 측정은 중계기의 위치 결과에 첨부되고 상기 시스템은 양호한 QGC(품질 등급 제어)를 갖는 위치를 컴퓨팅하여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기능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라디오 관리자(rRM)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55. 실시예 48에 있어서, 백홀링 중계기는 또 다른 중계기가 거기에 접속되어 머무르기에 양호한 곳을 찾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56.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의 다른 기지국의 각자의 백 커넥션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57.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의 제1 라디오 관리자의 이동 기지국의 백 커넥션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58.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라디오 관리자의 자신의 기지국 및 상기 제1 라디오 관리자의 자신의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이 각자 제1 라디오 관리자의 근방 이동국에 제공할 수 있는 채널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59.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의 다른 기지국의 각자의 백 커넥션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실시예 60.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의 제1 라디오 관리자의 이동 기지국의 백 커넥션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실시예 61.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라디오 관리자의 자신의 기지국 및 상기 제1 라디오 관리자의 자신의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이 각자 제1 라디오 관리자의 근방 이동국에 제공할 수 있는 채널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실시예 62. 실시예들의 다른 실시예들과의 조합.
실시예 63. 코어 디바이스,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지국,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는 소정 수의 이동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공동으로 동작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에 포함되고,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기능성, 기지국 기능성과 모두 병설된 이동국 기능성 및 제1 라디오 관리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기지국을 포함하되,
기지국 기능성은 제1 라디오 관리자로의 물리적 백-커넥션을 갖고, 제1 라디오 관리자는 이동국 기능성과의 물리적 커넥션을 갖고, 이동국 기능성은 안테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기지국과 통신하고,
제1 라디오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 및
다른 이동 기지국과 각자 병설된 다른 라디오 관리자에 정보를 송신하고 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그리고 개개의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와 연관된 개개의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으려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을 거부할지 결정하도록 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실시예 64. 코어 디바이스,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지국,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는 소정 수의 이동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공동으로 동작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에 포함되고,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기능성, 기지국 기능성과 모두 병설된 이동국 기능성 및 제1 라디오 관리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기지국을 포함하되, 기지국 기능성은 제1 라디오 관리자로의 물리적 백-커넥션을 갖고, 제1 라디오 관리자는 이동국 기능성과의 물리적 커넥션을 갖고, 이동국 기능성은 안테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기지국과 통신하고, 제1 라디오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 및
다른 이동 기지국과 각자 병설된 다른 라디오 관리자에 정보를 송신하고 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관리자는 개개의 이동 기지국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의 복수의 루트 및 상기 루트의 각각의 상대적 품질을 특징짓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루트 비교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이동 기지국에 대해 컴퓨팅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개개의 이동 기지국은 상기 루트 비교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선택된 서비스 제공 기지국에 접속하고,
개개의 이동 기지국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의 복수의 루트는 멀티-홉 백홀링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루트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실시예 65.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으려 하는 상기 이동국은 상기 개개의 기지국에 의해 현재 서비스 제공받고 있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66.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기지국은 개개의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와 병설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67.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기지국은 개개의 병설된 라디오 관리자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68.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은 또한 상기 개개의 기지국 이외에, 서비스 제공받으려 하는 상기 이동국에 서비스 제공하기에 상기 개개의 기지국보다 더 적합한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69. 실시예 63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관리자는 개개의 이동 기지국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의 복수의 루트 및 상기 루트의 각각의 상대적 품질을 특징짓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루트 비교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이동 기지국에 대해 컴퓨팅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개개의 이동 기지국은 상기 루트 비교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선택된 서비스 제공 기지국에 접속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70. 실시예 64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다른 라디오 관리자는 개개의 이동국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의 복수의 루트 및 상기 루트의 각각의 상대적 품질을 특징짓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루트 비교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이동국에 대해 컴퓨팅하고 상기 루트 비교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개개의 이동국에 통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개개의 이동국은, 상기 루트 비교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접속될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71. 실시예 64에 있어서, 라디오 관리자는, 그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고 이동국 기능성이, 안테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기지국과 유휴 모드로 통신하고 있는 개개의 이동 기지국에 대해 상기 루트 비교 정보를 컴퓨팅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72. 실시예 64에 있어서, 라디오 관리자는, 그와 병설되고 이동국 기능성이, 안테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기지국과 액티브 모드로 통신하고 있는 이동 기지국에 대해 상기 루트 비교 정보를 컴퓨팅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73. 실시예 71에 있어서, 개개의 이동 기지국은 상기 루트 비교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서비스 제공하는 기지국 상에서 지내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74. 실시예 72에 있어서, 개개의 이동 기지국은 상기 루트 비교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서비스 제공하는 기지국에 핸드오버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75. 실시예 63에 있어서, 코어 디바이스를 또한 포함하고 코어 디바이스는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과 기지국 사이에 불변 통신 세션 대역폭을 배정하여 그것이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과 기지국 사이에 불변 액티브 통신 모드를 유지하도록 통신하고 있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76. 실시예 64에 있어서, 코어 디바이스를 또한 포함하고 코어 디바이스는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과 기지국 사이에 불변 통신 세션 대역폭을 배정하여 그것이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과 기지국 사이에 불변 액티브 통신 모드를 유지하도록 통신하고 있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77.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는 소정 수의 이동국에 서비스 제공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시스템은:
안테나를 통해 이동국과 통신하고 기지국 기능성, 기지국 기능성과 모두 병설된 이동국 기능성 및 제1 라디오 관리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정적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지국으로서, 기지국 기능성은 제1 라디오 관리자로의 물리적 백-커넥션을 갖고, 제1 라디오 관리자는 이동국 기능성과의 물리적 커넥션을 갖고, 이동국 기능성은 안테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택가능한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인 상기 복수의 기지국; 및
코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코어 디바이스는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과 기지국 사이에 불변 통신 세션 트래픽을 배정하여 그것이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과 기지국 사이에 불변 액티브 통신 모드를 유지하도록 통신하고 있는 것인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실시예 78. 실시예 56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지국은 상기 이동 기지국과 상기 코어를 접속하는 루트를 따르는 모든 기지국을 포함하고, 그 루트를 통해 상기 코어는 상기 이동 기지국에 서비스 제공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79. 실시예 77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지국은 상기 이동 기지국과 상기 코어를 접속하는 루트를 따르는 모든 기지국을 포함하고, 그 루트를 통해 상기 코어는 상기 이동 기지국에 서비스 제공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80.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라디오 관리자의 자신의 기지국 및 상기 제1 라디오 관리자의 자신의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이 각자 제1 라디오 관리자의 근방 이동국에 제공할 수 있는 채널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81.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은 이동국의 그리고 이동국 기능성의 측정에 따라 각각의 백홀링 섹션의 품질 및 각각의 최종-사용자 섹션의 품질을 검출하도록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대해 현재 루트 및 대안 루트에 대한 품질 등급 결과로 상기 품질을 조합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82.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품질 등급 결과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브로드캐스팅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83. 실시예 81에 있어서,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또 다른 기지국으로 노드를 핸드오버한다는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결정은, 적어도 하나의 대안 루트에 대해, 액세스 및 백홀링 섹션의 품질 등급 결과를 고려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84. 실시예 8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셀 수락 결정은, 적어도 하나의 대안 루트에 대해, 액세스 및 백홀링 섹션의 품질 등급 결과를 고려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85. 실시예 8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셀 재선택 결정은, 적어도 하나의 대안 루트에 대해, 액세스 및 백홀링 섹션의 품질 등급 결과를 고려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86.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그리고 이동국 기능성의 측정은 RSRP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87.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그리고 이동국 기능성의 측정은 RSRI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88.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그리고 이동국 기능성의 측정은 RSRQ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89. 실시예 63에 있어서, 각각의 라디오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측정 테이블을 구축하도록, 서브-네트워크트ㅌ 오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라디오 관리자로부터의 측정, 및 그 병설된 이동국 기능성 및 이동국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RSRP, RSRI 및 RSRQ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90. 실시예 89에 있어서, 상기 측정 중 적어도 하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유형에 의해 모든 라디오 관리자에 분산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91. 실시예 81에 있어서, 모든 대안 루트의 품질 등급 결과(QGR)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이동국에 분산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92. 실시예 91에 있어서, 각각의 개개의 기지국에 관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상기 개개의 기지국 상에 지내는 모든 이동국에 송신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93.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의 다른 기지국의 각자의 백 커넥션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94.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라디오를 통해 "동료" 라디오 관리자 사이에 송신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95. 실시예 63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관리자는 NMR(네트워크 측정 보고) 측정을 실행하도록 이동국 기능성에 요청을 송신함으로써 기지국으로 "위장"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96.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제1 라디오 관리자의 이동국 기능성이 제1 라디오 관리자의 이동국 기능성에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각각의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을 품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97. 소정 실시예의 특징의 서브세트의 다른 실시예의 특징의 서브세트와의 조합.
실시예 98.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관리자는 인-밴드 멀티-홉 백홀링 기능성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99. 실시예 98에 있어서, 상기 인-밴드 멀티-홉 백홀링 기능성은 간섭으로 인해 끊기는 루트를 대체하도록 새로운 대안 루트를 생성함으로써 간섭에 대한 내성을 강화하도록 동작하고, 각각의 새로운 대안 루트는 최종-사용자 이동국 및 그것이 접속되는 이동 중계기 사이의 섹션, 및 루트에서 노드로 참여하는 이동 중계기 사이의 링크를 포함하는 백홀링 섹션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00. 실시예 1에 있어서, 백홀링 접속성은 상기 이동 중계기 사이의 멀티-홉 루트를 이용함으로써 제공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01.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중계기의 백홀링은 인-밴드 멀티-홉 백홀링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02. 실시예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에 대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상기 유닛은 LTE 기지국 기능성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03. 실시예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에 대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상기 유닛은 2G 기지국 기능성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실시예 104. 실시예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에 대해,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상기 유닛은 3G 기지국 기능성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IP-접속성 GW 중 하나, LTE에서는 P-게이트웨이, S-게이트웨이, P/S-게이트웨이 및 액세스-게이트웨이 중 하나, 3G에서는 GGSN, SGSN, WiMAX에서는 ASN-게이트웨이, CSN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도시 및 설명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 어떠한 적합한 IP 접속성 게이트웨이라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LTE MME, 3G RNC, 및 WiMAX ASN 중 하나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도시 및 설명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 어떠한 적합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라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엘리먼트가 대안의 구현에서는 의무적이지 않은 것으로 그리고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정의될 수 있거나 전부 제거될 수 있기까지 하므로, "의무적인", "필요한", "요구한다" 및 "해야 한다"와 같은 용어는 명확성을 위해 본 명세서 내에서 설명된 특정 구현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맥락 내에서 이루어지는 구현 선택을 지칭하는 것이고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닌 것으로 인식된다.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소망된다면, CD-ROM, EPROM 및 EEPROM을 포함하는 ROM(읽기 전용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형적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크, 다양한 종류의 카드 및 RAM과 같은 어떠한 다른 적합한 비-일시적 컴퓨터-읽기 가능한 매체에라도 저장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소프트웨어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는, 대안으로, 소망된다면 관용적 기술을 사용하여 전체 또는 일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역으로, 하드웨어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는, 대안으로, 소망된다면 관용적 기술을 사용하여 전체 또는 일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는, 여럿 중에서도, 어떠한 적합한 순서로라도,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어느 방법의 단계 중 전부 또는 어떠한 것이라도 수행하도록 컴퓨터 읽기 가능한 명령어를 운반하는 전자기 신호; 어떠한 적합한 순서로라도,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어느 방법의 단계 중 전부 또는 어떠한 것이라도 수행하도록 머신 읽기 가능한 명령어; 어떠한 적합한 순서로라도,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어느 방법의 단계 중 전부 또는 어떠한 것이라도 수행하도록 머신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 프로그램을 유형적으로 구체화하는, 머신 읽기 가능한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어떠한 적합한 순서로라도,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어느 방법의 단계 중 전부 또는 어떠한 것이라도 수행하도록 컴퓨터 읽기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하거나 내부에 구체화한 실행가능한 코드와 같은 컴퓨터 읽기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사용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어떠한 적합한 순서로라도 수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어느 방법의 단계 중 전부 또는 어떠한 것에 의해서라도 초래되는 어느 기술적 효과; 어떠한 적합한 순서로라도,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어느 방법의 단계 중 전부 또는 어떠한 것이라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어느 적합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어느 단계를 소프트웨어로 수행하도록 동작하고 프로세서 및 협력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각각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어떠한 적합한 순서로라도,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어느 방법의 단계 중 전부 또는 어떠한 것이라도 수행하도록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가 구성되게 야기하는, 디스크 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정보 저장 디바이스 또는 물리적 레코드; 예컨대, 다운로드되기 전에 또는 후에 인터넷과 같은 정보 네트워크상에 또는 메모리에 미리-저장되고, 어떠한 적합한 순서로라도,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어느 방법의 단계 중 전부 또는 어떠한 것이라도 구체화하는 프로그램, 및 그러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방법, 및 그렇게 사용하기 위한 단/복수 서버 및/또는 단/복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어떠한 적합한 순서로라도,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어느 방법의 단계 중 전부 또는 어떠한 것이라도 단독으로든 소프트웨어와 공동으로든 수행하는 하드웨어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어떠한 컴퓨터-읽기 가능한 또는 머신-읽기 가능한 매체라도 비-일시적 컴퓨터- 또는 머신-읽기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분석의 어떠한 조합 또는 다른 형태라도 적합한 전산화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어떠한 단계라도 컴퓨터-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방법은 (a)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목적 중 어느 것에 대한 또는 문제 중 어느 것에 대한 솔루션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문제 또는 목적에 긍정적 방식으로 영향을 주는 결정, 액션, 제품, 서비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어떠한 다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옵션으로 포함하는 솔루션을 식별하도록 전산화된 방법을 사용하는 것, 및 (b) 그 솔루션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구조 및 기능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용량을 사용할 수 없다 하더라도, 그들이, 그렇게 바란다면, 구조 또는 기능을 획득하도록 디바이스를 수정할 수 있도록,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구조를 내놓는 용량을 갖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려는 의도이다.
별개의 실시예들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특징은 또한 단일 실시예로 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 실시예는 대응하는 프로세스 실시예를 포함하려는 의도이다. 또한, 각각의 시스템 실시예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또는 노드에서 수행되는 그들 기능성만을 포함하여, 시스템, 컴퓨터-읽기 가능한 매체, 장치의 기능성 전체의 서버-중심 "관점" 또는 클라이언트 중심 "관점" 또는 시스템의 어떠한 다른 노드로부터의 "관점"이라도 포함하려는 의도이다.
역으로, 간결을 위해 단일 실시예의 맥락으로 또는 소정 순서로 설명되는, 방법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징은 별개로 또는 어떠한 적합한 하위-조합으로라도 또는 다른 순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는 본 명세서에서는 한정을 의도하지 않는 특정 예의 의미로 사용된다. 어느 도면에서 결합되어 도시된 디바이스, 장치 또는 시스템은 실제로는 소정 실시예에서 단일 플랫폼으로 집적될 수 있거나,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섬유, 이더넷, 무선 LAN, 홈PNA, 전력선 통신, 셀 폰, PDA, 블랙베리(Blackberry) GPRS, GPS를 포함하는 위성, 또는 다른 모바일 배달과 같은 어떠한 적절한 유선 또는 무선 결합을 통해서라도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도면 및 설명에 있어서 시스템 및 그 하위-유닛으로 설명 또는 예시된 기능성은 또한 그 내부의 방법 및 단계로 제공될 수 있고, 내부의 방법 및 단계로 설명 또는 예시된 기능성은 또한 그 시스템 및 하위-유닛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서 다양한 엘리먼트를 예시하도록 사용된 축척은 단지 예시적이고/이거나 제시의 명확성에 적절하고 한정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이 어느 정도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실시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Claims (53)

  1.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 및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를, 모두 병설되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포함하되,
    상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그 사이에 제1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도록 동작하고,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그 병설된 중계기 자원 관리자로의 커넥션을 가지며,
    상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하나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고,
    각각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상기 중계기 자원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 및
    상기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이동 중계기에 포함된 중계기 자원 관리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2.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 및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및 중계기 자원 관리자(rRM)를, 모두 병설되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포함하되,
    상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도록 동작하고,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그 병설된 중계기 자원 관리자로의 커넥션을 가지며,
    상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2개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고,
    각각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상기 중계기 자원 관리자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 및
    상기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이동 중계기에 포함된 중계기 자원 관리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능성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은 상기 기지국 기능성 및 라디오 관리자와 병설된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포함하고;
    상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2개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자원 관리자는 다음의 서브시스템: 라디오 자원 서브시스템, 터널링 서브시스템, 라우팅 및 QoS 서브시스템 및 스탠드-얼론 서브시스템(Stand-Alone subsystem) 중 하나 또는 일부 또는 전부를 또한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동작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상기 유닛은 기지국인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상기 유닛은 이동 중계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상기 유닛은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 및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위치한,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통신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상기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2개는 실질적으로 똑같은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사용자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제공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 내 상기 이동국 기능성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다른 이동국 기능성에 대한 백업으로서 역할하고, 상기 중계기 자원 관리자는 이동국 핸드오버 기준(mobile station handover criterion)을 만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이동국 기능성으로부터 상기 백업 이동국 기능성으로 통신을 스위칭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 내 상기 기지국 기능성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다른 기지국 기능성에 대한 백업으로서 역할하고, 상기 중계기 자원 관리자는 기지국 핸드오버 기준을 만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상기 백업 기지국 기능성으로 통신을 심리스 스위칭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베어러(bearer)를 이용하여 이동국으로부터 통신 루트를 통해 상기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코어로 통신을 운반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이용하는 동안,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 및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을 갖는 이동 중계기에 비해 더 많은 수의 베어러를 지원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16. 제3항에 있어서,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상기 제2 라디오 링크 중 적어도 2개는 실질적으로 똑같은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17. 이동 셀룰러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 및 중계기 자원 관리자를, 모두 병설하여,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그 사이에 제1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도록 동작하고,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그 병설된 중계기 자원 관리자로의 커넥션을 가지며,
    상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하나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고,
    각각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상기 중계기 자원 관리자를 제공하는 단계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이동 중계기에 포함된 중계기 자원 관리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18. 이동 셀룰러 통신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 및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및 중계기 자원 관리자를, 모두 병설하여,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도록 동작하고,
    각각의 기지국 기능성은 그 병설된 중계기 자원 관리자로의 커넥션을 가지며,
    상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2개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고,
    각각의 개개의 이동 중계기 내 상기 중계기 자원 관리자를 제공하는 단계는:
    라디오 자원 관리자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개개의 이동 중계기 이외의 이동 중계기에 포함된 중계기 자원 관리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기능성은 상기 기지국 기능성 및 중계기 자원 관리자와 병설된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포함하고;
    상기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의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으로부터의 각각의 이동국 기능성은, 각자, 기지국 기능성을 갖는 유닛과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 그로써 적어도 2개의 제2 라디오 링크를 정의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기능성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이동국으로의 서비스를 인터럽트함이 없이 동적 셀 셋업을 달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제공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다대일 토폴로지(many-to-one topology)에 걸쳐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제공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다대다 토폴로지에 걸쳐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도록 상기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제공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 하나만을 사용하여 수행된 백홀링 동작(backhauling operation)의 데이터 속도를 초과하는 데이터 속도로 적어도 하나의 백홀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제공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셀룰러 통신이 상기 2개의 이동국 기능성 중 하나만에 의해 지원된다면 이용가능할 것보다 더 많은 수의 베어러를 제공하도록 상기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제공 방법.
  25. 제18항에 있어서, 핫 리던던시(hot redundancy)를 제공하도록 상기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제공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핫 리던던시는 단 한 번보다는 복수 번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하여 백홀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중계기가 속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코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기능성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이동국 사이에 복수의 대체 루트를 제공하도록 상기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제공 방법.
  28. 제17항에 있어서, 일 세트의 이동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 하나만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다면 가능할 것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동일 세트의 이동 기지국에 제공하도록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제공 방법.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셀 셋업은, 상기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 제1 기지국 기능성에서 제2 기지국 기능성으로 제1 핸드-오버를 개시하고 상기 제1 기지국 기능성 상에 상기 동적 셀 셋업을 달성하고, 그 후 상기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 상기 제2 기지국 기능성에서 상기 제1 기지국 기능성으로 제2 핸드-오버를 개시하고 상기 제2 기지국 기능성 상에 상기 동적 셀 셋업을 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 기능성은 각자 제1 및 제2 출력 전력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1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것은 상기 제2 기지국 기능성의 상기 제2 출력 전력의 현재 레벨을 증가시키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제1 기지국 기능성의 상기 제1 출력 전력을 상기 제2 기지국 기능성의 상기 제2 출력 전력 아래 충분히 떨어져 감축된 제1 출력 전력 레벨로 감축하여, 상기 제1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 기능성으로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3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소정 수의 이동국의 제1 서브세트에 적합한 제1 셋업을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 제1 기지국 기능성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브세트에 속하지 않는 이동국에 적합하고 상기 제1 셋업과는 다른 제2 셋업을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 제2 기지국 기능성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브세트 내 이동국에 서비스 제공하도록 상기 제1 기지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서브세트 내 이동국에 서비스 제공하도록 상기 제2 기지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세트는 특히 낮은 레이턴시(latency)를 요구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셀 셋업은 셀 중심 주파수 파라미터에 새로운 값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셀 셋업은 셀 대역폭 파라미터에 새로운 값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3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셀 셋업은 프레임 타이밍 파라미터에 새로운 값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3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셀 셋업은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 파라미터에 새로운 값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자원 관리자는 다음의 서브시스템: 라디오 자원 서브시스템, 터널링 서브시스템, 라우팅 및 QoS 서브시스템 및 스탠드-얼론 서브시스템 중 하나 또는 일부 또는 전부를 또한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3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자원 관리자는 다음의 서브시스템: 라디오 자원 서브시스템, 터널링 서브시스템, 라우팅 및 QoS 서브시스템 및 스탠드-얼론 서브시스템 중 하나 또는 일부 또는 전부를 또한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39. 제2항 내지 제4항 및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 기능성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동작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4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 기능성은 각자 제1 및 제2 출력 전력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1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것은 상기 제1 기지국 기능성의 상기 제1 출력 전력을 상기 제2 기지국 기능성의 상기 제2 출력 전력 아래 충분히 떨어져 감축된 제1 출력 전력 레벨로 감축하여, 상기 제1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 기능성으로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41. 제17항에 있어서, 일 세트의 이동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중 하나만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다면 가능할 것보다 더 높은 데이터 속도를,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에 의해 서비스 제공받는 동일 세트의 이동 기지국에 제공하도록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42. 제28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도록 기지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링크에서 달성가능한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2개의 기지국 기능성의 스케줄러 서브시스템을 코디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43. 제28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도록 기지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2개의 기지국 기능성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 링크에서 달성가능한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2개의 기지국 기능성의 스케줄러 서브시스템을 코디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기지국 기능성은 병설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4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도록 기지국 기능성을 사용하는 단계는 큰 대역폭을 더 작은 대역폭 부분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개의 기지국의 각각은 서로 다른 대역폭 부분에 할당되며, 더 빈번하게 재사용된 부분은 셀 가까이에서 사용되고 덜 빈번하게 사용된 부분은 상기 셀의 에지에 더 가까이서 사용되고, 그로써, 동적 셀 셋업과 조합하여, 더 빈번하게 대역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45.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것은 상기 제2 기지국 기능성의 상기 제2 출력 전력의 현재 레벨을 상기 제1 기지국 기능성의 상기 제1 출력 전력의 현재 레벨 아래 충분히 떨어져 감축된 제2 출력 전력 레벨로 감축하여, 상기 제2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다시 상기 제1 기지국 기능성으로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46.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것은 상기 제1 기지국 기능성의 상기 제1 출력 전력의 현재 레벨을 증가시키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제2 기지국 기능성의 상기 제2 출력 전력의 현재 레벨을 상기 제1 기지국 기능성의 상기 제1 출력 전력의 현재 레벨 아래 충분히 떨어져 감축된 제2 출력 전력 레벨로 감축하여, 상기 제2 기지국 기능성으로부터 다시 상기 제1 기지국 기능성으로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4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셀 셋업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기지국 기능성의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파라미터에 새로운 값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파라미터는 출력 전력, 중심 주파수, 대역폭, PLMN ID, MIB 데이터, 프레임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49.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12항, 제15항 내지 제16항 및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다음의 표준: 2G, GSM, CDMA, 3G, UMTS, WCDMA, HSPA, LTE, WiMAX, WiFi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동작가능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50.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12항, 제15항 내지 제16항 및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다음의 표준: 2G, GSM, CDMA, 3G, UMTS, WCDMA, HSPA, LTE, WiMAX, WiFi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동작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노드-간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51.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내부에 구체화된 컴퓨터 읽기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비-일시적 컴퓨터 사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읽기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도록 실행되도록 적응된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2. 제17항 내지 제36항 및 제40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다음의 표준: 2G, GSM, CDMA, 3G, UMTS, WCDMA, HSPA, LTE, WiMAX, WiFi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동작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노드-간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53. 제17항 내지 제36항 및 제40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다음의 표준: 2G, GSM, CDMA, 3G, UMTS, WCDMA, HSPA, LTE, WiMAX, WiFi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동작가능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셀룰러 통신의 제공 방법.
KR1020137026708A 2011-03-10 2012-03-08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이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그와 공동으로 유용한 방법 KR201400163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51166P 2011-03-10 2011-03-10
US61/451,166 2011-03-10
IL218046A IL218046B (en) 2012-02-12 2012-02-12 An architecture for a multi-directional relay and the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useful by the way
IL218046 2012-02-12
PCT/IL2012/050072 WO2012120510A2 (en) 2011-03-10 2012-03-08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upgraded moving relays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325A true KR20140016325A (ko) 2014-02-07

Family

ID=467975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707A KR20140044312A (ko) 2011-03-10 2012-03-08 비상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KR1020137026708A KR20140016325A (ko) 2011-03-10 2012-03-08 업그레이드된 이동 중계기를 이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그와 공동으로 유용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707A KR20140044312A (ko) 2011-03-10 2012-03-08 비상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셀룰러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0) US9369941B2 (ko)
EP (4) EP2684298A4 (ko)
KR (2) KR20140044312A (ko)
CN (3) CN103748807B (ko)
BR (1) BR112014019977A2 (ko)
ES (1) ES2955691T3 (ko)
IL (9) IL218046B (ko)
IN (2) IN2013MN01707A (ko)
PT (1) PT2684395T (ko)
SG (7) SG193394A1 (ko)
WO (3) WO201212051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815A (ko) * 2017-10-31 2019-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복수의 이동형 인프라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5163B2 (ja) * 2008-04-08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端末、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122758A (ko) 2010-11-24 2013-11-08 엘타 시스템즈 리미티드 셀룰러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하는 핸드오버 개시 방법 및 시스템
CA2824011C (en) 2011-01-06 2019-04-30 Nec Corporation Policy determination system, policy determin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IL218046B (en) 2012-02-12 2018-11-29 Elta Systems Ltd An architecture for a multi-directional relay and the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useful by the way
US9312946B2 (en) * 2011-06-17 2016-04-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Gateway functionality for mobile relay system
KR101855523B1 (ko) * 2011-10-06 2018-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13118129A1 (en) 2012-02-12 2013-08-15 Elta Systems Ltd A multi-directional relay architecture and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CN103313233B (zh) * 2012-03-08 2017-03-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网关地址的方法、装置及系统
SG10201608339UA (en) 2012-04-22 2016-11-29 Elta Systems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moving relay interference mitigation in mobile e.g.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US11553857B1 (en) 2012-09-25 2023-01-17 Micro Mobi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rough window personal cloud transmission
US20140087714A1 (en) * 2012-09-26 2014-03-2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14082232A1 (zh) * 2012-11-28 2014-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网络通信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US9338082B2 (en) 2012-12-27 2016-05-10 T-Mobile Usa, Inc. Resilient backhaul network
US10098002B2 (en) 2012-12-31 2018-10-09 Zte Corporation Integra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r spectrum sharing
ES2633824T3 (es) 2013-02-17 2017-09-25 Parallel Wireless Inc. Métodos para incorporar una red celular ad hoc en una red celular fija
GB2511313A (en) * 2013-02-27 2014-09-03 Sony Corp A relay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961719B2 (en) * 2013-03-11 2018-05-01 Zte Corporation Integrated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RO129967A2 (ro) * 2013-05-13 2014-12-30 Ixia, A California Corporation Metode, sisteme şi suport citibil pe calculator pentru efectuarea remiterilor folosind un singur apel voce continuu ()
WO2015010296A1 (en) * 2013-07-25 2015-01-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te based wireless backhaul connection to cellular network base station
US9554328B2 (en) * 2013-07-26 2017-01-24 Intel Corporation Vehicle-based small cell base stations
WO2015021334A2 (en) 2013-08-07 2015-02-12 Parallel Wireless, Inc. Multi-rat node used for search and rescue
CN104969619B (zh) 2013-09-13 2020-01-31 华为技术有限公司 回程链路建立方法、基站、中继节点及系统
IL228998A0 (en) 2013-10-21 2014-08-31 Elta Systems Ltd Device and methods for cellular communication in a network based on multiple mobile cores
US9491044B2 (en) * 2013-11-22 2016-11-08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accessing a data network
US9479934B2 (en) 2013-12-13 2016-10-25 Parallel Wireless, Inc. Virtualization of the evolved packet core to create a local EPC
US9888376B2 (en) * 2014-01-06 2018-02-06 Intel IP Corporation Autonomous enhanced node B
JP2015139178A (ja) * 2014-01-24 2015-07-3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中継局、及び、無線基地局
US10631181B2 (en) * 2014-01-31 2020-04-21 Nokia Technologies Oy BLER measurements for MBMS
US10631366B2 (en) * 2014-03-15 2020-04-21 Micro Mobio Corporation Handy base st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US11492114B1 (en) 2014-03-15 2022-11-08 Micro Mobio Corporation Handy base station with through barrier radio frequency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WO2015151184A1 (ja) * 2014-03-31 2015-10-0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中継装置、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EP3010271A1 (en) 2014-10-13 2016-04-20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Telecommunication system
US10200825B2 (en) * 2014-05-15 2019-02-05 Qualcomm Incorporated EMBMS over home sharing environment
US20150334627A1 (en) * 2014-05-15 2015-11-19 Qualcomm Incorporated Circuit switched fall back cell reselection
JP2016012881A (ja) * 2014-06-30 2016-01-21 ソニー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82598B1 (ko) * 2014-07-31 2016-01-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016301A (ko) * 2014-08-04 2016-02-15 주식회사 쏠리드 중계기 감시 시스템, 마스터 중계기 및 마스터 중계기에 의한 중계기 감시 방법
CN106537842B (zh) * 2014-08-07 2020-01-03 英特尔Ip公司 虚拟化网络功能管理
US9585118B2 (en) 2014-09-24 2017-02-28 Parellel Wireless, Inc. Radio operation switch based on GPS mobility data
DE102014219400A1 (de) * 2014-09-25 2016-03-3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Fahrzeug, Mobilkommunikationssystem,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für einen mobilen Basisstations-Sendeempfänger
WO2016059064A1 (en) * 2014-10-13 2016-04-21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relaying cellular coverage
DE102014221956A1 (de) * 2014-10-28 2016-05-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Fahrzeu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für einen Relay-Sendeempfänger und eine Netzwerkkomponente
EP3018931B1 (en) 2014-11-06 2019-04-17 ADVA Optical Networking SE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self-organized mobile core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US9913095B2 (en) 2014-11-19 2018-03-06 Parallel Wireless, Inc. Enhanced mobile base station
WO2016108137A1 (en) * 2014-12-31 2016-07-07 Reliance Jio Infocomm Limited 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to a user equipment
WO2016155953A1 (en) 2015-03-27 2016-10-06 Sony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methods and base station
US10206138B2 (en) 2015-06-18 2019-02-12 Parallel Wireless, Inc. SSID to QCI mapping
US9706391B2 (en) * 2015-10-08 2017-07-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itiating signaling in mobile management entity pools using workflows
US10349232B2 (en) * 2015-11-13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vehicles as mobile network nodes for digital data transfer
US10587033B2 (en) * 2016-03-07 2020-03-10 Plum Laboratories Llc Data communications case
CA3057061C (en) 2016-03-18 2020-09-29 Parallel Wireless, Inc. Iugw architecture
US10327185B2 (en) 2016-03-18 2019-06-18 Parallel Wireless, Inc. IuGW architecture with RTP localization
US11665597B2 (en) 2016-03-18 2023-05-30 Parallel Wireless, Inc. UE mobility across super-cells
CN105873116B (zh) * 2016-03-28 2020-07-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及第一电子设备
JP6414120B2 (ja) 2016-03-30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6418194B2 (ja) * 2016-03-30 2018-11-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10148340B1 (en) * 2016-03-30 2018-12-0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ulti-core communication system to serve wireless relays and user equipment
TWI599260B (zh) * 2016-04-13 2017-09-11 正文科技股份有限公司 具區域通訊之無線網路系統及其通訊方法
US10462612B2 (en) * 2016-04-22 2019-10-29 Venia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obility of users in a network of moving things at the backhaul
US10341898B2 (en) 2016-05-26 2019-07-02 Parallel Wireless, Inc. End-to-end prioritization for mobile base station
WO2018006079A1 (en) 2016-06-30 2018-01-04 Parallel Wireless, Inc. Intelligent ran flow management and distributed policy enforcement
US10231151B2 (en) 2016-08-24 2019-03-12 Parallel Wireless, Inc. Optimized train solution
US10382602B2 (en) 2016-09-16 2019-08-13 Plum Laboratories, LLC Data communications backpack
CN108307407B (zh) * 2016-09-30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0616100B2 (en) 2016-11-03 2020-04-07 Parallel Wireless, Inc. Traffic shaping and end-to-end prioritization
US10505870B2 (en) 2016-11-07 2019-12-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sponsive software defined network
US10687192B2 (en) * 2016-12-08 2020-06-16 Parallel Wireless, Inc. Dynamic public warning system for in-vehicle eNodeB
CA3056267A1 (en) * 2017-03-23 2018-09-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witching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0819606B2 (en) 2017-04-27 2020-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rocessing paths in a converged network
US10673751B2 (en) 2017-04-27 2020-06-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services in a software defined network
US10749796B2 (en) 2017-04-27 2020-08-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rocessing paths in a software defined network
WO2018203723A1 (en) * 2017-05-05 2018-1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bearer configuration of a relay user equipment
US10382903B2 (en) 2017-05-09 2019-08-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slicing orches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and/or content delivery
US10257668B2 (en) 2017-05-09 2019-04-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network slice-switching and handover system and method
US10506508B2 (en) * 2017-05-22 2019-12-10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Bombay Highly available network architecture for a LTE based communication network
WO2019001695A1 (en) * 2017-06-28 2019-0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BIDIRECTIONAL TRAFFIC
US10070344B1 (en) 2017-07-25 2018-09-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utilization of slices in a virtual network function environment
FR3074632B1 (fr) * 2017-12-04 2019-11-15 Ecole Nationale Des Ponts Et Chaussees Procede et ensemble permettant a des terminaux utilisateurs finaux d'echanger par l'intermediaire d'un reseau multi-sauts sans fil de proximite de communication a architecture dynamique
US10104548B1 (en) * 2017-12-18 2018-10-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instantiation of virtual service slices for autonomous machines
WO2019133048A1 (en) * 2017-12-30 2019-07-0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3518577B1 (en) * 2018-01-26 2020-03-25 Deutsche Telekom AG Network access entity for providing access to a communication network
KR102054280B1 (ko) * 2018-03-23 2019-1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상 이동 통신 시스템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057882B1 (en) * 2018-04-03 2021-07-06 T-Mobile Innov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setting fram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11032001B2 (en) * 2018-04-05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parameter management for bandwidth part switching
DE102018206068A1 (de) * 2018-04-20 2019-10-24 Audi Ag Kommunikationseinrichtung, Kontrollkomponente, Mobilstation, Fahrzeug, System,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r Konfiguration einer lokalen drahtlosen Kommunikation zwischen der Kommunikationseinrichtung und einem fahrzeugnahen Mobilgerät
IL260623B (en) 2018-07-15 2021-08-31 Elta Systems Lt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stablishing a private cellular network
US11082324B2 (en) 2018-07-27 2021-08-03 goTenna Inc. Vine: zero-control routing using data packet inspection for wireless mesh networks
JP7119215B2 (ja) 2018-08-23 2022-08-16 ブリティッシュ・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セルラ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
CN109257252B (zh) * 2018-09-12 2021-10-26 复旦大学 一种判断网络拥塞状态的方法
IL265699B (en) 2019-03-28 2022-08-01 Elta Systems Ltd A radio frequency front-end system and methods and computer software useful therefor
WO2020202341A1 (ja) * 2019-03-29 2020-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中継装置、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20220225119A1 (en) * 2019-05-01 2022-07-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n-terrestrial single frequency network
JP7341735B2 (ja) * 2019-06-05 2023-09-11 日本無線株式会社 無線通信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10662195B (zh) * 2019-08-28 2020-11-03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指挥车的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10798540B (zh) * 2019-10-18 2023-01-20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交互方法及装置
US11510226B2 (en) * 2019-11-22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ally controlling a power state of a mobile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
US11317471B2 (en) * 2020-02-23 2022-04-2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Enhanced downlink message delivery in wide area networks
US20220046424A1 (en) * 2020-08-04 2022-02-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location and country determination for 5g satellite access
US11723097B2 (en) * 2021-09-21 2023-08-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aptiv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witching
WO2023108231A1 (en) * 2021-12-16 2023-06-22 Geomoby Pty Ltd Computer network for location and data transfer
CN114389949B (zh) * 2022-01-20 2024-04-12 网宿科技股份有限公司 路由升级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786162A (zh) * 2022-04-22 2022-07-22 肖红波 恶劣环境下移动扩展组网高速稳定接入模块
WO2024035129A1 (en) * 2022-08-10 2024-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bile base station relay operation in wireless networ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2191A1 (ja) * 2003-09-29 2005-04-07 Fujitsu Limited 無線基地局装置
US20060227742A1 (en) * 2000-12-27 2006-10-12 Nec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relay transmission type radio network
KR20090046921A (ko) * 2006-08-04 2009-05-11 노키아 코포레이션 중계국 할당/재할당 및 주파수 재사용
KR20090046579A (ko) * 2007-11-06 2009-05-1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체에서의 이동통신 중계 방법 및 그 중계기
KR20100089028A (ko) * 2009-02-02 2010-08-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중계 장치 및 방법
US20100234071A1 (en) * 2009-03-12 2010-09-16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Vehicle integrated communication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7317A (en) 1990-01-18 1997-08-12 Norand Corporation Hierarchic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premises, peripheral and vehicular local area networking
EP0615391A1 (en) 1993-03-09 1994-09-14 ALCATEL BELL Naamloze Vennootschap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6026277A (en) 1997-10-20 2000-02-15 Gavrilovich; Charles 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moving base station
US5729826A (en) 1996-07-26 1998-03-17 Gavrilovich; Charles 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moving base station
GB2327013B (en) 1997-06-30 2002-02-13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6408005B1 (en) * 1997-09-05 2002-06-18 Nec Usa, Inc. Dynamic rate control scheduler for ATM networks
JP3479935B2 (ja) * 1998-08-19 2003-12-15 富士通株式会社 Cdma移動通信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並びに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その基地局及び移動局
US6973057B1 (en) * 1999-01-29 2005-12-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ublic mobile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7103644B1 (en) * 2001-06-29 2006-09-05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Systems for an integrated data network voice-oriented service and non-voice-oriented service converged creation and execution environment
US7383049B2 (en) * 2001-12-27 2008-06-03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on of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location service parameters in a data base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3081873A1 (en) * 2002-03-22 2003-10-02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window size
WO2004004157A2 (en) * 2002-04-17 2004-01-08 Aerovironment, Inc. High altitude platform deployment system
JP2004135209A (ja) 2002-10-15 2004-04-30 Hitachi Ltd 広視野高解像度映像の生成装置及び方法
FI20031646A0 (fi) * 2003-11-12 2003-11-12 Nokia Corp Liikenteen ja radioresurssien hallinta langattomassa tietoliikennelaitteessa
US7319871B2 (en) * 2004-03-08 2008-01-1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eatable handback attempt after inter-MSC handoff
EP1596617B1 (de) 2004-05-11 2011-11-23 Tektronix International Sal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stellen und Durchfuehren eines Testszenarios fuer eine reale Vermittlungsstation eines Mobilfunknetzwerks
US20060007928A1 (en) * 2004-07-08 2006-01-12 Michael Sangillo Flexible traffic rating interworking
US7519362B2 (en) * 2004-09-13 2009-04-14 Laperch Richard C Personal wireless gateway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WO2006055784A2 (en) * 2004-11-19 2006-05-26 The Trustees Of The Stevens Institute Of Technology Multi-access terminal wiht capability for simultaneous connectivity to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GB2422272A (en) * 2005-01-14 2006-07-19 King S College London Network mobility
GB0500911D0 (en) * 2005-01-17 2005-02-23 Vodafone Ltd Controlling use of mobile devices
CN101124750B (zh) * 2005-03-18 2012-03-21 富士通株式会社 运送旅客以及货物的手段中的通信系统
US7639792B2 (en) * 2005-11-23 2009-12-29 Att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management and emergency support for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device
US7616740B2 (en) * 2006-05-09 2009-11-10 Santera Systems, Llc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imulating a converged network with a single media gateway and media gateway controller
KR100829817B1 (ko) 2006-05-22 2008-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시스템에서 중계기, 단말 및 기지국, 그리고기지국과 단말을 중계하는 방법
US7620370B2 (en) 2006-07-13 2009-11-17 Designart Networks Ltd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point network with wireless backhaul
US7773975B2 (en) * 2006-07-28 2010-08-10 West Corporation Providing an indication of network capabilities to a user for special number calls
EP2060038B1 (en) * 2006-08-18 2016-06-29 Fujitsu Limited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multihop relay networks
US7623863B2 (en) * 2006-08-18 2009-11-24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connection parameters in a wireless network
KR100789784B1 (ko) * 2006-10-11 2007-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케일러블 대역폭을 지원하는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A2663186C (en) 2006-10-13 2017-12-12 Firetide, Inc. Mesh node mobility across static and mobile mesh networks
WO2008052454A1 (fr) 2006-11-03 2008-05-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édé de communication mobile, système de communication mobile et entité d'accès
US8134969B2 (en) * 2006-11-10 2012-03-13 Motorola Solutions, Inc. IP layer-handoff using mobility domains and IP caching
CN101237685B (zh) * 2007-01-30 2011-12-14 诺基亚西门子通信系统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中的路由改变方法
NZ552936A (en) * 2007-01-30 2009-09-25 Biopolymer Network Ltd Methods of manufacture of polylactic acid foams
WO2008094419A1 (en) * 2007-01-31 2008-08-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ttachment procedures
US8406726B2 (en) 2007-03-07 2013-03-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mergency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station supporting the same
CN101652959B (zh) * 2007-03-12 2013-01-30 Lm爱立信电话有限公司 涉及网络管理的设备及方法
US20080268833A1 (en) * 2007-03-30 2008-10-30 Leping Huang System and Method for Self-Optimization of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8774126B2 (en) * 2007-06-25 2014-07-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ime-alignment at handover
WO2009014764A1 (en) 2007-07-25 2009-01-29 Teenay Wireless, Inc. A multi-tier backhaul network system with traffic differentiation and advanced processing capabilities and methods therefor
FR2919407B1 (fr) 2007-07-27 2009-11-20 Thales Sa Procede, dispositif et systeme pour la fusion d'informations provenant de plusieurs capteurs.
US7859572B2 (en) 2007-08-06 2010-12-28 Microsoft Corporation Enhancing digital images using secondary optical systems
KR20090052784A (ko) 2007-11-21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를 통한 통신 방법
US8300555B2 (en) * 2008-01-30 2012-10-30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wireless relay nodes using identifiers
US8165098B2 (en) 2008-02-11 2012-04-2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cell-edge bands of OFDMA networks
WO2009101592A2 (en) * 2008-02-12 2009-08-20 Runcom Technologies Ltd. Mobile mesh, relay, and ad-hoc system solution based on wimax technology
EP2101519A1 (en) * 2008-03-11 2009-09-16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169360B2 (ja) * 2008-03-21 2013-03-2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9333287B2 (en) 2008-04-08 2016-05-10 Jet Prep Ltd. Body passage cleansing device
BRPI0910778B1 (pt) 2008-04-21 2020-12-29 Apple Inc. estação de retransmissão para utilização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EP2272272B1 (en) 2008-04-30 2016-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f-backhauling in lte
KR101487358B1 (ko) * 2008-06-30 2015-01-3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E-utran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194560B2 (en) 2008-07-11 2012-06-05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identifier configuration procedure
CN102273145B (zh) * 2008-11-04 2014-08-20 诺基亚通信公司 通信网络中的过载和切换的处理
US8385332B2 (en) * 2009-01-12 2013-02-26 Juniper Networks, Inc. Network-based macro mobility in cellular networks using an extended routing protocol
KR101592924B1 (ko) * 2009-02-03 2016-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의 릴레이 노드들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물리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0233184A (ja) * 2009-03-30 2010-10-14 Nec Corp 無線基地局、ゲートウェイ装置、並びに呼接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260113A1 (en) * 2009-04-10 2010-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protocol for newly joining relay stations in relay enhanced cellular systems
US20100260109A1 (en) * 2009-04-10 2010-10-14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ed inter-access point packet routing for ip relay nodes
US20100302999A1 (en) * 2009-05-29 2010-12-02 Yan Hui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in wireless networks
GB0917069D0 (en) 2009-09-29 2009-11-11 Nokia Siemens Networks Oy A method and apparatus
US8270374B2 (en) 2009-10-02 2012-09-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termining link quality for networks having relays
US8705419B2 (en) * 2009-10-09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Subframe staggering for relay communication
JP5422336B2 (ja) * 2009-10-19 2014-02-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熱交換モジュール
US8665316B2 (en) 2009-11-24 2014-03-04 Microsoft Corporation Multi-resolution digital large format camera with multiple detector arrays
US8954078B2 (en) * 2009-12-02 2015-02-10 Nokia Siemens Networks Oy Handing over relayed connections in mobile environment
IL206455A (en) 2010-01-28 2016-11-30 Elta Systems Lt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moving base stations and methods and useful devices in collaboration with the above
US8792392B2 (en) * 2010-02-10 2014-07-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band provisioning of a device at a closed subscriber group
EP2545744B1 (en) * 2010-03-12 2016-05-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elay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11193375A (ja) * 2010-03-16 2011-09-29 Sony Corp 中継局及び通信制御方法
US8620302B2 (en) * 2010-04-02 2013-12-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ing relay cell identities in cellular networks
US20110249609A1 (en) * 2010-04-08 2011-10-13 Alec Brusilovsky Secure Relay Node in Communication System
US20110305339A1 (en) 2010-06-11 2011-12-15 Karl Norrman Key Establishment for Relay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767449B2 (ja) * 2010-07-28 2015-08-19 京セラ株式会社 無線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無線端末、プロセッサ
US9301234B2 (en) * 2010-11-04 2016-03-2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Handover control for networks with several types of backhaul connections
KR20130122758A (ko) 2010-11-24 2013-11-08 엘타 시스템즈 리미티드 셀룰러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하는 핸드오버 개시 방법 및 시스템
EP2644000A2 (en) 2010-11-24 2013-10-02 Elta Systems Ltd. Various traffic management methods for dynamic multi-hop backhauling cellular network and system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WO2012070049A1 (en) 2010-11-24 2012-05-31 Elta Systems Ltd. Various routing architectures for dynamic multi-hop backhauling cellular network and various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WO2012070044A1 (en) 2010-11-24 2012-05-31 Elta Systems Ltd. Architecture and methods for traffic management by tunneling in moving hierarchical cellular networks
US9009217B1 (en) * 2011-01-06 2015-04-14 Amazon Technologies, Inc. Interaction with a virtual network
US20120221413A1 (en) * 2011-02-25 2012-08-30 Motorola Mobility, Inc. Intelligent presentation of advertising with navigation
IL218046B (en) * 2012-02-12 2018-11-29 Elta Systems Ltd An architecture for a multi-directional relay and the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useful by the way
JP5769008B2 (ja) * 2011-06-07 2015-08-26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処理システム、位置登録方法、移動中継局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US9312946B2 (en) * 2011-06-17 2016-04-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Gateway functionality for mobile relay system
US9094462B2 (en) * 2011-07-13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Simultaneous packet data network (PDN) access
US8755324B2 (en) * 2011-08-03 2014-06-17 Blackberry Limited Allocating backhaul resources
WO2013025166A1 (en) * 2011-08-16 2013-02-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ity state aware mobile relay operation
CN102958025B (zh) * 2011-08-24 2018-0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发送mtc设备触发信息的方法、系统和目标用户设备
US8982836B2 (en) * 2011-10-17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loss of IP context during IRAT handover
US8880022B2 (en) * 2011-11-10 2014-11-04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per-application resource usage information
IL219459A (en) * 2012-04-29 2017-03-30 Verint Systems Ltd Systems and method for monitoring cellular calls by associating descending channels
GB2503719A (en) * 2012-07-05 2014-01-08 Nec Corp Provid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location of a user device in a cell configured as a mobile cell
US8839684B2 (en) * 2012-07-19 2014-09-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7742A1 (en) * 2000-12-27 2006-10-12 Nec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relay transmission type radio network
WO2005032191A1 (ja) * 2003-09-29 2005-04-07 Fujitsu Limited 無線基地局装置
KR20090046921A (ko) * 2006-08-04 2009-05-11 노키아 코포레이션 중계국 할당/재할당 및 주파수 재사용
KR20090046579A (ko) * 2007-11-06 2009-05-1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체에서의 이동통신 중계 방법 및 그 중계기
KR20100089028A (ko) * 2009-02-02 2010-08-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중계 장치 및 방법
US20100234071A1 (en) * 2009-03-12 2010-09-16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Vehicle integrated communications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815A (ko) * 2017-10-31 2019-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복수의 이동형 인프라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57076A1 (en) 2016-06-02
CN103748807B (zh) 2017-07-14
SG11201404631XA (en) 2014-09-26
SG193397A1 (en) 2013-10-30
PT2684395T (pt) 2023-09-19
EP2813006A4 (en) 2015-09-30
SG10201601559WA (en) 2016-04-28
EP2684298A4 (en) 2014-12-10
US10455477B2 (en) 2019-10-22
EP2684418A2 (en) 2014-01-15
US9544830B2 (en) 2017-01-10
US20180279106A1 (en) 2018-09-27
SG10201601557PA (en) 2016-04-28
US10356688B2 (en) 2019-07-16
US20160345161A1 (en) 2016-11-24
EP2684395A4 (en) 2014-12-17
US9220048B2 (en) 2015-12-22
US10257767B2 (en) 2019-04-09
EP2684395B1 (en) 2023-07-12
IL253585A0 (en) 2017-09-28
WO2012120519A1 (en) 2012-09-13
US20140071884A1 (en) 2014-03-13
EP2813006A1 (en) 2014-12-17
US20170295535A1 (en) 2017-10-12
IL253585B (en) 2019-07-31
US20200145899A1 (en) 2020-05-07
IL251654B (en) 2019-05-30
KR20140044312A (ko) 2014-04-14
IL228310A (en) 2017-04-30
IL247652A0 (en) 2017-01-31
IL218046B (en) 2018-11-29
EP2684298A2 (en) 2014-01-15
US20170280311A1 (en) 2017-09-28
CN103858481A (zh) 2014-06-11
CN104205665B (zh) 2018-01-19
US9369941B2 (en) 2016-06-14
SG10201606612SA (en) 2016-10-28
BR112014019977A2 (pt) 2017-06-13
US20140155019A1 (en) 2014-06-05
US9936367B2 (en) 2018-04-03
IN2014DN07616A (ko) 2015-05-15
IN2013MN01707A (ko) 2015-06-12
IL228308A (en) 2017-07-31
WO2012120519A4 (en) 2012-11-01
CN104205665A (zh) 2014-12-10
WO2012120515A3 (en) 2012-10-26
ES2955691T3 (es) 2023-12-05
IL251654A0 (en) 2017-06-29
US10098053B2 (en) 2018-10-09
EP2684418A4 (en) 2015-03-04
SG193395A1 (en) 2013-10-30
IL263454B (en) 2021-02-28
IL228309B (en) 2018-02-28
US20140087736A1 (en) 2014-03-27
US9668195B2 (en) 2017-05-30
US20150016330A1 (en) 2015-01-15
IL221322A (en) 2016-09-29
US11129080B2 (en) 2021-09-21
WO2012120510A2 (en) 2012-09-13
SG193394A1 (en) 2013-10-30
CN103748807A (zh) 2014-04-23
WO2012120510A3 (en) 2012-10-26
EP2684418B1 (en) 2017-09-27
EP2684395A1 (en) 2014-01-15
WO2012120515A2 (en)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477B2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upgraded moving relays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US10075895B2 (en) Various routing architectures for dynamic multi-hop backhauling cellular network and various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US20190363780A1 (e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methods and base station for coordinating relay node access
EP3146779B1 (en) Enhanc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US2015035111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oving relay interference mitigation in mobile e.g.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CN105165087A (zh) 长期演进无线电接入网络
WO2016059064A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relaying cellular coverage
CN108141803B (zh) 用于在wlan-lte聚合中进行测量报告的无线通信装置、网络节点以及其中的方法
WO2013118129A1 (en) A multi-directional relay architecture and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on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EP3207756A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relaying cellular coverage
IL273335A (en) Architecture for multi-directional relay and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useful by the way
IL257790A (en) Architecture for multi-directional relay and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useful by the way
IL265275A (en) Devices and methods for mitigating moving relay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