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216A -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216A
KR20140016216A KR1020130160563A KR20130160563A KR20140016216A KR 20140016216 A KR20140016216 A KR 20140016216A KR 1020130160563 A KR1020130160563 A KR 1020130160563A KR 20130160563 A KR20130160563 A KR 20130160563A KR 20140016216 A KR20140016216 A KR 20140016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red ginseng
antibacteri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5714B1 (ko
Inventor
이승근
박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비에스
주식회사 에이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비에스, 주식회사 에이세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비에스
Priority to KR2013016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71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홍삼 추출물, 박하 추출물, 계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유백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은 동양의학에서 오랫동안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구강질환에 관습적으로 사용되어 온 홍삼, 감초, 계피, 박하, 유백피에서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고 산성을 띠고 있는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충치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증하고 구취제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담배 니코틴 제거실험 결과 87.5%의 니코틴 제거능력을 보였다. 또한, 구강내 잔류하는 음식물찌꺼기, 치석 그리고 충치세균 등의 제거능력을 실험한 결과 구강내의 많은 이물과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균이 함께 침전물을 형성하여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scription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d removing stench comprising red ginseng extracts and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materials}
본 발명은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의 항염,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생명이 다할 때까지 끊임없이 입을 통하여 음식물을 섭취하여 잘게 부수고 각종 소화효소와 반응을 일으켜 소화시킴으로써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영양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인체에 있어서 입은 음식물을 분해하기 위한 최초의 물리적 분쇄기능과 침샘에서 분비되는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효소반응을 수행하는 화학적 분해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관인 것이다. 입에는 이러한 물리적 분쇄기능과 화학적 분해기능을 통하여 발생하는 음식물찌꺼기와 각종 분해산물이 축적되기 쉬우며 음식물과 호흡을 통해서 유입되는 다양한 병원성 세균들이 음식물찌꺼기와 분해산물을 영양분으로 하여 가장 번식하기 좋은 수분과 온도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리하여 충치, 치주염 등과 같은 각종 구강관련 질환들이 발생하여 구강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심한 구취가 발생하여 본의 아니게 타인으로 하여금 불쾌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의학과 생활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구강건강이 시간이 갈수록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 동안 많은 구강청결관련 제품들이 개발되고 판매되고 있지만 대부분 입 냄새제거와 같은 소극적 의미의 제품이 대부분이며 구강제품의 특성상 짧은 시간 내에 사용되기 때문에 구강내 존재하는 다양한 염증성 세균의 실질적인 제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또한, 구강제품의 제조관련 법규상 치료목적이 아닌 예방목적으로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구강청결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와 신뢰도를 기대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65085호나 제10-1293066호에서는 구강 청결제 조성물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만, 보다 효과적인 구강 청결제 조성물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065085호 KR 10-1293066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백 년 동안 선조들이 경험적으로 사용하여 왔고 현대의학에서 과학적으로 항염, 항균효과가 입증되고 있는 고려홍삼과 천연식물 유래 약용성분을 추출하고 분리 정제하여 구강청결제품에 적용함으로써 입 냄새제거를 위한 소취 효과뿐만 아니라 구강내에 존재하여 각종 질환을 유발시키는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및 항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적극적 목적을 지닌 구강 청결을 위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구강 청결을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 청결용 의약 제제를 개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홍삼 추출물, 박하 추출물, 계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유백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 홍삼 추출물 2.0 중량%, 박하 추출물 0.5 중량%, 유백피 추출물 0.5 중량%, 감초 추출물 0.5 중량% 및 계피 추출물 2.0 중량%를 투입하고 조성물의 총 중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의 정제수를 넣어 잘 혼합하는 단계;
2) 불화나트륨 0.01~0.5 중량%, 알란토인 0.01~2.0 중량%, 자일리톨 0.1~5.0 중량%, 녹차 추출물 0.040 중량%, 벤조산나트륨 0.100 중량%, 락틱산 0.01~5.0 중량%, 구연산 0.01~0.095 중량%, 시트르산 나트륨 0.05 중량%, 사과산 0.1 중량%, 카라멜 색소 0.06 중량% 및 홍삼 추출물(60brix이상) 0.01 중량%를 투입한 후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저어주는 단계; 및
3) 주정 에탄올 6.0 중량%에 L-멘톨 0.050 중량%를 투입한 다음 완전히 녹인 후 글리세린 1.0~8.0 중량%와 향료 0.02 중량%를 차례로 투입하여 잘 혼합되도록 저어준 후 상기 제조된 천연물질 추출물 수용액에 투입하여 두 수용액을 완전히 혼합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려홍삼에는 물에 녹으면 지속적으로 거품을 내는 계면활성 효과가 있는 사포닌이란 지표성분이 있으며 약 35종의 진세노사이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진세노사이드 성분은 다른 식물의 사포닌과 달리 담마란계 구조를 하고 있어 용혈독성이 없는 인체 무독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항암, 면역활성, 노화방지, 간 기능 회복, 신경계 흥분 및 진정작용 등 다양한 약리효과가 있으며 사포닌 이외에도 피넨과 같은 진통작용을 하는 성분과 오시멘, 파낙시놀, 리놀산과 같은 강력한 항염, 항균작용을 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백피는 느릅나무의 껍질을 일컫는 것으로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탄닌, 점액질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고 세균성 염증과 화농성 종창, 종기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하에는 다량의 멘솔이 함유되어 있어 특유의 향을 내며 박하에서 얻은 기름에는 멘손과 멘틸에스테르가 함유되어 있어 샴푸와 비누 등에 사용된다. 이외에도 건강에 유효한 성분으로 망가니즈, 비타민 C, 비타민 A등이 함유되어 있다. 박하는 발한, 해열, 진통, 건위, 해독제나 초기감기, 두통, 인후통, 피부병 등의 광범한 치료에 사용되며 유럽에서는 이담, 구풍, 진통, 진정제로서 위경련, 위산과다증, 소화불량, 설사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치과에서 흔히 사용하는 구중수(口中水)는 박하기름을 물에 탄 것으로 그 방향으로 입 속의 악취를 제거할 뿐 아니라, 멘톨이 지니는 국소마비, 살균, 방부작용을 이용한 것이다. 계피는 녹나무 과의 사철 푸른 교목이며 그 껍질을 말려서 사용한다. 계피에는 정유(계피알데히드 75~90%, 신나밀알데히드 등) 1~3.4%, 탄닌질 2~3%, 점액, 탄수화물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유는 장 운동을 촉진하고 구풍 작용이 있으며 계피알데히드는 해열, 진정작용을 한다. 예로부터 계피는 땀내기약, 진통 약, 허한을 따뜻하게 보하는 약으로 사용해 왔으며 잔가지인 계지는 오히려 땀을 멎게 한다고 하며 열을 내리고 몸살 등의 통증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고 하며 방향성 건위약과 식료품의 향료로도 많이 사용된다.
감초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주성분은 글리시리진이며 글라브라산, 플라보노이드, 트리펜계 사포닌, 사포나레틴 플라보노이드인 리쿠라시드 등이 있다. 글리시리진은 글리시리진산의2-글루쿠론산 배당체로 감초의 감미성분으로 사탕의 4~50배 단맛이 있으며 계면활성 효과가 강하다. 감초사포닌은 독성이 없으며 다른 약물의 중독 즉, 코데인, 아트로핀, 루미날 등의 중독을 풀어 주며 파상풍이나 디프테리아, 뱀의 독을 풀어주며 항염증 작용을 한다. 글리시리진은 물 분해하면 글루쿠론산이 되는데 간 독, 약물중독, 알코올 중독, 식중독, 황달, 간 경변 증, 만성간질환, 류마치스, 관절통 등의 독을 푸는데 사용되며 또한, 글리시리진산을 항암제인 티오포스마미드와 함께 쓰면 항암활성이 85~95%로 높아진다고 한다. 글리시레틴산 성분은 부신피질 호르몬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아드레날린과 비슷한 강심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위장에 대해 향 근육성 진정작용을 하며 리쿠아시드는 파파베린보다 3배나 강한 진정작용이 있고 항 염증, 항 궤양 작용이 있다.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홍삼 추출물은,
1) 홍삼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위하여 2~5㎜ 정도의 편으로 파쇄하는 단계;
2) 파쇄된 홍삼을 부직포 자루에 넣고 홍삼의 무게대비 3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의 범위에서 6시간 동안 물 추출하는 단계; 및
3) 홍삼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 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홍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박하 추출물은,
1) 박하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위하여 2~5㎜ 정도의 편으로 파쇄하는 단계;
2) 파쇄된 박하를 부직포자루에 넣고 박하의 무게대비 2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의 범위에서 6시간 동안 물 추출하는 단계; 및
3) 박하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 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박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감초 추출물은,
1) 감초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위하여 2~5㎜ 정도의 편으로 파쇄한 단계;
2) 파쇄된 감초를 부직포자루에 넣고 감초의 무게대비 2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의 범위에서 6시간 동안 물 추출하는 단계; 및
3) 감초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 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감초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계피 추출물은,
1) 계피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위하여 10~30㎜ 정도의 편으로 파쇄하는 단계;
2) 파쇄된 계피를 부직포자루에 넣고 계피의 무게대비 2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의 범위에서 6시간 동안 물 추출하는 단계; 및
3) 계피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 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계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유백피 추출물은,
1) 유백피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위하여 10~30㎜ 정도 크기의 편으로 파쇄하는 단계;
2) 파쇄된 유백피를 부직포자루에 넣고 유백피의 무게대비 2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의 범위에서 6시간 동안 물 추출하는 단계; 및
3) 유백피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 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유백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에서는 바람직하게 홍삼 추출물 2.0 중량%, 박하 추출물 0.5 중량%, 유백피 추출물 0.5 중량%, 감초 추출물 0.5 중량% 및 계피 추출물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에서는 홍삼 추출물 2.0 중량%, 박하 추출물 0.5 중량%, 유백피 추출물 0.5 중량%, 감초 추출물 0.5 중량%, 계피 추출물 2.0 중량%, 에탄올(주정) 6.0 중량%, 불화나트륨 0.01~0.5 중량%, 알란토인 0.01~2.0 중량%, 글리세린 1.0~8.0 중량%, 자일리톨 0.1~5.0 중량%, 녹차 추출물 0.040 중량%, 벤조산나트륨 0.100 중량%, 락틱산 0.01~ 5.0 중량%, 구연산 0.01~0.095 중량%, 시트르산 나트륨 0.05 중량%, 사과산 0.1 중량%, 카라멜 색소 0.06 중량%, L-멘톨 0.050 중량%, 홍삼 추출물(60brix이상) 0.01 중량%, 향 0.02 중량% 및 조성물의 총 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은 동양의학에서 오랫동안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구강질환에 관습적으로 사용되어 온 홍삼, 감초, 계피, 박하, 유백피에서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고 산성을 띠고 있는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충치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증하고 구취제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담배 니코틴 제거실험 결과 87.5%의 니코틴 제거능력을 보였다. 또한, 구강내 잔류하는 음식물찌꺼기, 치석 그리고 충치세균 등의 제거능력을 실험한 결과 구강내의 많은 이물과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균이 함께 침전물을 형성하여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에 포함하는 홍삼을 포함하는 천연물질들은 모두 식품 또는 화장품 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어서 인체 부작용이 전혀 없는 항염, 항균 및 소취 효능을 지닌 구강청결제 또는 치약, 가글을 비롯한 여러 제형의 구강관련 제품, 또는 화장품 형태로의 의약 제제 개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은 구강 관련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소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색소, 보습제인 히아루론산이 내재된 리포좀, 락틱산, 구연산, 글리콜릭산, 말릭산 및 탈타릭산으로 이루어진 pH 조정제 역할을 하는 알파-하이드록시 산(α-hydroxy acid), 난초오일, 현탁제, 향료, 단백질류 및 아미노산류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당업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물질의 종류와 양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주작용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과학과 의학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인류의 수명은 길어지고 있고 매우 복잡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생활양식으로 인하여 인간의 치아와 구강의 건강이 갈수록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현실에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구강관련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인류의 30%이상이 생활 필수품으로 애용하고 있어 실로 구강관련 제품의 시장은 수치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큰 시장과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인하여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대표 약용식물인 고려홍삼의 소비시장을 식품과 화장품 산업에서 새롭게 의약외품과 의약품 시장까지 활용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인삼재배 농가는 물론 관련 산업에 대한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항균, 소취 효과가 탁월한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구강청결제품으로 화장품 및 의약외품 그리고 의약품 분야에 해당하는 다양한 제품의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능, 효과측면에서 차별화된 제품으로 국내시장은 물론 해외시장에서 소비자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됨으로 인삼재배농가, 화장품, 의약외품, 의약품 제조 및 유통산업 등의 소득증대가 예상된다.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은 동양의학에서 오랫동안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구강질환에 관습적으로 사용되어 온 홍삼, 감초, 계피, 박하, 유백피에서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고 산성을 띠고 있는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충치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증하고 구취제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담배 니코틴 제거실험 결과 87.5%의 니코틴 제거능력을 보였다. 또한, 구강내 잔류하는 음식물찌꺼기, 치석 그리고 충치세균 등의 제거능력을 실험한 결과 구강내의 많은 이물과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균이 함께 침전물을 형성하여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의 니코틴 함량 감소율을 비교시험 용액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의 충치균 제거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타액과 혼합되기 전의 구강청결제의 육안관찰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타액과 구강청결제가 혼합되어 이물이 생성됨을 육안관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의 홍삼 및 천연식물 추출물의 항균실험 사진 및 이를 도면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삼 및 천연식물유래 유용성분의 제조
1) 홍삼 추출물의 생산
홍삼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2~5㎜ 정도의 편으로 파쇄한 다음, 부직포자루에 넣고 홍삼의 무게대비 약 3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사이의 범위에서 약 6시간 동안 물 추출하였다.
홍삼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박하 추출물의 제조
*박하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2~5㎜ 정도의 편으로 파쇄한 다음, 부직포자루에 넣고 박하의 무게대비 약 2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 사이의 범위에서 약 6시간 동안 물 추출하였다.
박하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박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감초 추출물의 생산
감초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2~5㎜ 정도의 편으로 파쇄한 다음, 부직포자루에 넣고 감초의 무게대비 약 2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 사이의 범위에서 약 6시간 동안 물 추출하였다.
감초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감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4) 계피 추출물의 제조
계피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위하여 10~30㎜ 정도의 편으로 파쇄한 다음, 부직포자루에 넣고 계피의 무게대비 약 2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 사이의 범위에서 약6시간 동안 물 추출하였다.
계피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5) 유백피 추출물의 제조
유백피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위하여 10~30㎜ 정도 크기의 편으로 파쇄한 다음, 부직포자루에 넣고 유백피의 무게대비 약 2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 사이의 범위에서 약6시간 동안 물 추출하였다.
유백피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유백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6)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이커에 상기에서 수득된 홍삼 추출물을 정량 투입하고 박하 추출물, 유백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계피추출물을 정량 투입한 다음 정제수를 넣어 잘 혼합하였다.
홍삼 추출물, 박하 추출물, 유백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계피추출물과 정제수가 잘 혼합된 수용액에 불화나트륨, 알란토인, 자일리톨, 녹차추출물, 벤조산나트륨, 락틱산, 구연산, 시트르산나트륨, 사과산, 카라멜 색소를 차례대로 정량하여 투입한 후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잘 저어주었다.
한편, 다른 비이커에는 정량의 주정에탄올에 L-멘톨을 정량 투입한 다음 완전히 녹인 후 글리세린과 합성향료를 차례로 정량 투입하여 잘 혼합되도록 저어준 후 상기 제조된 천연 물질 추출물 수용액에 투입하여 두 수용액이 완전히 혼합될 수 있도록 잘 저어주었다.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은 수용액에 주정에탄올 혼합액을 투입해야 하며 주정에탄올 혼합액에 수용액을 투입하면 자칫 혼합액이 현탁해질 수 있다.

원 료 명

함 량(%)

투 입 량(g)
에탄올(주정) 6.000% 30.00
불화나트륨 0.020% 0.10
알란토인 0.050% 0.25
글리세린 8.000% 40.00
자일리톨 5.000% 25.00
녹차추출물 0.040% 0.20
벤조산나트륨 0.100% 0.50
Lactic acid 0.200% 1.00
구연산 0.095% 0.48
시트르산나트륨 0.050% 0.25
사과산 0.100% 0.50
카라멜 색소 0.060% 0.30
L-멘톨 0.050% 0.25
홍삼 추출물(60brix이상) 0.010% 0.05
홍삼 추출물 2.000% 10.00
박하 추출물 0.500% 2.50
유백피 추출물 0.500% 2.50
감초 추출물 0.500% 2.50
계피 추출물 2.000% 10.00
0.020% 0.10
정제 수 74.705% 373.53
합 계 100.000% 500.00
시험예 1: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의 니코틴 제거실험
니코틴을 100㎖ 부피 플라스크에 0.4g을 칭량하여 넣은 후 메탄올로 표선까지 용해시켜 니코틴 용액을 제조하였다.
비흡연자의 타액 1㎖에 니코틴 용액 100㎕를 넣고 충분히 혼합하고 실시예 1에 제시된 방법으로 제조한 구강 청결제를 3㎖ 넣고 다시 혼합한 후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원심 분리하여 상층 1㎖을 15㎖ 시험관에 취하고 여기에 메탄올 1㎖을 넣고 충분히 혼합한 후 0.45㎛ 실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용액으로 비흡연자의 타액 1㎖에 니코틴 용액 100㎕를 넣고 충분히 혼합하고 증류수 3㎖을 넣고 다시 혼합한 후 2시간 방치한 다음 원심 분리한 상층을 0.45㎛ 실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비교시험 용액을 제조하였다.
시험용액과 비교시험 용액을 GC/MS(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각각의 니코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GC/MS의 분석조건은 하기 표 2와 같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모델 LECO Pegasus ⅡGC/TOF-MS
칼럼 DB-XLB(0.1㎛, 30m, 0.25mm)
칼럼 온도 80℃(1min) ⇒ 15℃/min ⇒ 300℃(5min)
주입구 온도 280℃
캐리어 가스 He
질량 분광학
이온 공급원 EI
이온 공급원 온도 250℃
모드 scan
상기 시험용액과 비교시험 용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램 및 이온스펙트럼으로 니코틴 함량을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 뒤 비교시험 용액 대비 니코틴 함량 감소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시 료 명

니코틴 함량(㎎/L)

비교시험용액 대비 감소율(%)
1회 2회 3회 평균

비교시험 용액
35.2 34.54 29.63 33.1 -

시험용액
4.12 4.03 4.24 4.1 87.5
시험예 2: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의 충치균 제거실험
동결건조 상태의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를 BHI 액체 배지에 현탁하고 35℃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증식시킨 다음, 다시 BHI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콜로니로부터 연쇄상 구균 상태의 세균 세포들을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고 이를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타액과 구강청결제를 1:3의 비율로 섞어 교반(vortexing)한 후, 여기에 균주를 접종하여 다시 교반 혼합하여 시험시료로 하며 타액과 물을 같은 비율로 섞은 후 균주를 접종하여 교반 혼합하여 대조시료로 하였다.
시험시료와 대조시료를 각각 한 방울씩 슬라이드 글라스에 떨어뜨린 후 공기 건조한 다음 그람(Gram) 염색을 실시하여 현미경으로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균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보듯이, 타액과 물이 혼합하고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균을 접종한 대조시료는 교반 혼합하여도 이물이 생성되지 않았으며 그람 염색을 실시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균이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타액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구강청결제를 혼합하고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균을 접종한 다음 교반 혼합한 시험시료의 경우에는 육안으로 이물이 생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람 염색을 실시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균이 이물과 함께 덩어리를 형성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3: 홍삼 및 천연식물 유용성분의 충치균에 대한 항균실험
동결건조 상태의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를 BHI 액체 배지에 현탁하고 35℃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증식시킨 다음, 다시 BHI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콜로니로부터 연쇄상 구균 상태의 세균 세포들을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고 이를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액체배지에 투입되는 정제수의 총 함량에서 홍삼 추출물 15중량%, 계피 추출물 10중량%, 박하 추출물 2.5중량%, 감초 추출물 2.5중량%, 유백피 추출물 2.5중량%을 합한 32.5중량% 만큼 홍삼 및 천연식물 유용성분 추출물로 대체하여 항균실험용 액체배지를 만들었다.
멸균된 거즈를 상기 액체배지에 담궈 배지가 골고루 거즈에 잘 흡수되도록 한 다음 상기에서 배양된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균을 접종하고 배양기에 5일간 배양하여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균에 대한 홍삼 및 천연식물 유용성분의 항균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사진중 상기 3점은 특허에 명시된 홍삼 및 천연식물 추출물 비율과 배지를 혼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5일간 항균실험을 한 사진이며, 하기 사진 3점은 특허에 명시된 홍삼 및 천연식물 추출물의 비율을 1로 보고 2배, 3배의 농도를 증가시켜 배지와 혼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5일간 항균실험을 한 사진이다.
도 4는 도3의 사진을 잘 보이도록 도면화 한것으로 참고로 제시한 도면이다.
사진에서 보듯이, 홍삼, 감초, 계피, 박하, 유백피 추출물을 액체배지와 혼합하여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균을 접종하고 5일간 배양한 결과 접종된 배양거즈 6개 모두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균이 확인되지 않았다.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균이 배양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균이 번식하지 못한 것은 홍삼, 감초, 계피, 유백피 추출물에는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사멸시킬 수 있는 항균력을 지닌 유용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은 동양의학에서 오랫동안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구강질환에 관습적으로 사용되어 온 홍삼, 감초, 계피, 박하, 유백피에서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고 산성을 띠고 있는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충치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증하고 구취제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담배 니코틴 제거실험 결과 87.5%의 니코틴 제거능력을 보였다. 또한, 구강내 잔류하는 음식물찌꺼기, 치석 그리고 충치세균 등의 제거능력을 실험한 결과 구강내의 많은 이물과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균이 함께 침전물을 형성하여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인하여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대표 약용식물인 고려홍삼의 소비시장을 식품과 화장품 산업에서 새롭게 의약외품과 의약품 시장까지 활용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인삼재배 농가는 물론 관련 산업에 대한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항균, 소취 효과가 탁월한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구강청결제품으로 화장품 및 의약외품 그리고 의약품 분야에 해당하는 다양한 제품의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능, 효과측면에서 차별화된 제품으로 국내시장은 물론 해외시장에서 소비자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됨으로 인삼재배농가, 화장품, 의약외품, 의약품 제조 및 유통산업 등의 소득증대가 예상된다.

Claims (6)

1) 홍삼 추출물 2.0 중량%, 박하 추출물 0.5 중량%, 유백피 추출물 0.5 중량%, 감초 추출물 0.5 중량% 및 계피 추출물 2.0 중량%를 투입하는 단계;
2) 불화나트륨 0.01~0.5 중량%, 알란토인 0.01~2.0 중량%, 자일리톨 0.1~5.0 중량%, 녹차 추출물 0.040 중량%, 벤조산나트륨 0.100 중량%, 락틱산 0.01~5.0 중량%, 구연산 0.01~0.095 중량%, 시트르산 나트륨 0.05 중량%, 사과산 0.1 중량%, 카라멜 색소 0.06 중량% 및 60brix 이상의 홍삼 추출물 0.01 중량%를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수용액에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저어주는 단계; 및
3) 주정 에탄올 6.0 중량%에 L-멘톨 0.050 중량%를 더 포함하여 완전히 녹인 후 글리세린 1.0 ~ 8.0 중량%와 향료 0.02 중량%를 차례로 투입하여 잘 혼합되도록 저어준 후 상기 1) 단계에서 제조된 천연물질 추출물 수용액에 투입하여 두 수용액을 완전히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 단계에서 혼합된 수용액에 100중량%의 조성물이 되도록 정제수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홍삼 추출물은,
1) 홍삼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위하여 2 ~ 5㎜ 정도의 편으로 파쇄하는 단계;
2) 파쇄된 홍삼을 부직포 자루에 넣고 홍삼의 무게대비 3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 사이의 범위에서 6시간 동안 물 추출하는 단계; 및
3) 홍삼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 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하 추출물은,
1) 박하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위하여 2~5㎜ 정도의 편으로 파쇄하는 단계;
2) 파쇄된 박하를 부직포자루에 넣고 박하의 무게대비 2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 사이의 범위에서 6시간 동안 물 추출하는 단계; 및
3) 박하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 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초 추출물은,
1) 감초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위하여 2~5㎜ 정도의 편으로 파쇄한 단계;
2) 파쇄된 감초를 부직포자루에 넣고 감초의 무게대비 2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사이의 범위에서 6시간 동안 물 추출하는 단계; 및
3) 감초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 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피 추출물은,
1) 계피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위하여 10~30㎜ 정도의 편으로 파쇄하는 단계;
2) 파쇄된 계피를 부직포자루에 넣고 계피의 무게대비 2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사이의 범위에서 6시간 동안 물 추출하는 단계; 및
3) 계피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 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백피 추출물은,
1) 유백피의 유용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기 위하여 10~30㎜ 정도 크기의 편으로 파쇄하는 단계;
2) 파쇄된 유백피를 부직포자루에 넣고 유백피의 무게대비 250배 비율의 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추출온도를 90~100℃ 사이의 범위에서 6시간 동안 물 추출하는 단계; 및
3) 유백피 추출물속에 잔류하는 잔류농약, 중금속 이온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 여과장치를 통과시킨 후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0.5~1㎛ 크기의 여과필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KR20130160563A 2013-12-20 2013-12-20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485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0563A KR101485714B1 (ko) 2013-12-20 2013-12-20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0563A KR101485714B1 (ko) 2013-12-20 2013-12-20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432A Division KR101358507B1 (ko) 2011-11-22 2011-11-22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216A true KR20140016216A (ko) 2014-02-07
KR101485714B1 KR101485714B1 (ko) 2015-01-22

Family

ID=5026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0563A KR101485714B1 (ko) 2013-12-20 2013-12-20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622A (ko) * 2018-11-29 2020-06-08 정이라 박하, 오레가노, 생강 및 계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취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237B1 (ko) * 2017-02-27 2018-09-14 김동환 항균성치약에 첨가되는 유기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523645A (zh) * 2017-10-21 2017-12-29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口含型烟草制品对变形链球菌影响的检测方法
KR102058464B1 (ko) * 2018-08-02 2019-12-23 (주)비에이치바이온텍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KR102141623B1 (ko) * 2018-12-20 2020-08-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059B1 (ko) * 1990-04-24 1993-01-08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충치를 예방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JP2004018470A (ja) * 2002-06-18 2004-01-22 Takasago Internatl Corp 抗菌香料組成物および口臭抑制香料組成物ならびにそれら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KR101663978B1 (ko) * 2009-11-30 2016-10-13 (주)아모레퍼시픽 잇몸에 좋은 한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622A (ko) * 2018-11-29 2020-06-08 정이라 박하, 오레가노, 생강 및 계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취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714B1 (ko)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507B1 (ko)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KR101424354B1 (ko) 식물생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KR101006693B1 (ko)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85714B1 (ko)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KR20070079596A (ko)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KR20160009330A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JP6054700B2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JP2008273875A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20210104456A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53269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5922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Kamble et al. Pharmaceutico-Analytical Study of Muktashukti Pishti and Muktashukti Bhasma and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ir Relative Oral Bioavailability
KR102037927B1 (ko)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681258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KR20140127061A (ko) 천연식물 성분과 미네랄 염이 함유된 구강청결 기능성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437336B1 (ko) 침엽수잎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13663A (zh) 一种皮肤修护组合物、护肤品及其制备方法
JP3504594B2 (ja) 皮膚外用剤
KR20180088051A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80044044A (ko) 인삼을 포함하는 한방발효비누의 제조방법
KR101183484B1 (ko)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12929B1 (ko) 녹두분, 지각 또는 당귀의 한약재를 함유한 목욕용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목욕제
KR20100129635A (ko)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220288147A1 (en) Ginseng composition and use thereof as a medic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