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020A - 자동차용 우산꽂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우산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020A
KR20140016020A KR1020120082944A KR20120082944A KR20140016020A KR 20140016020 A KR20140016020 A KR 20140016020A KR 1020120082944 A KR1020120082944 A KR 1020120082944A KR 20120082944 A KR20120082944 A KR 20120082944A KR 20140016020 A KR20140016020 A KR 20140016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older
umbrella
hing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585B1 (ko
Inventor
강문섭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2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5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트렁크리드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우산꽂이는 우산을 고정 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집게홀더의 손잡이부를 눌러 주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에 설치되는 집게형 우산꽂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트렁크리드(100)의 트림에 부착되며, 상부와 하부에 힌지공(211)과 스프링고정공(212)이 구비된 한 쌍의 홀더브라켓(210)이 표면에 형성된 고정판(200)과; 홀더브라켓(210)의 힌지공(211)에 결합되도록 손잡이부(310)와 집게부(320) 사이에 형성되는 양쪽 힌지부(330)의 하단에는 회동 시 홀더브라켓(210) 외부로 돌출되도록 다리부(340)가 연장 형성되고, 양쪽 힌지부(330) 사이에는 하단의 스프링걸이부(351)가 힌지부(330)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이 돌출되어 구비된 집게홀더(300)와; 중앙의 걸이구(410)는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의 스프링걸이부(351)에 끼워져 걸리고, 양단의 끼움구(420)는 홀더브라켓(210)의 스프링고정공(212)에 끼워져서 스프링걸이부(351)의 위치에 따라 토션위치가 가변되는 더블토션스프링(400)으로 구성되어 스프링걸이부(351)의 위치에 따라 집게홀더(300)에 가변된 토션 장력이 작용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집게홀더(300)의 손잡이부(310)를 눌러주지 않고서도 우산(500)의 하중이 집게홀더(300)의 다리부(340)에 전달되면 집게홀더(300)가 회전되면서 집게부(320)가 하향으로 내려와 우산을 눌러줌과 동시에 더블토션스프링(400)에 의해 집게홀더(300)가 회전된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기 때문에 우산(500)을 편리하게 우산꽂이 고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우산꽂이{unbrella stand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트렁크리드에 설치된 홀더에 우산을 끼워 보관 시 홀더를 일일이 손으로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도 우산을 홀더에 끼울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동차를 이용하여 출퇴근을 하거나 쇼핑을 하는 등 거의 매일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비가 오는 날이나 눈이 오는 날 등 다양한 날씨의 변화에 따른 대비를 위해 자동차에는 와이퍼나 히터, 에어컨과 같은 편의 사양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에서 내려 이동할 경우 우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전자나 탑승자는 자동차에 탑승 시 우산을 소지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탑승 시 비가 오지 않더라도 소나기와 같이 갑작스럽게 비가 내리는 경우 특히, 여름 장마철의 경우에는 자주 소나기가 내리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여 자동차에 우산을 상시 보관하게 된다.
이렇게 자동차의 내부에 상시 보관되는 우산은 주로 트렁크에 보관되거나 별도의 우산 보관함을 자동차의 실내에 구비하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트렁크에 우산을 보관하게 될 경우에는 트렁크에 보관되는 다른 짐에 의해 우산이 파손되거나 또는 트렁크 내부에 고정되지 않고 보관되는 우산이 자동차가 움직임에 따라 트렁크 내부에서 유동되어 서로 부딪치면서 파손되는 것은 물론 우산이 다른 짐들과 섞인 상태로 보관되어 사용하고자 할 경우 쉽게 찾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우산을 자동차의 실내에 구비되는 별도의 보관함에 보관하는 경우 자동차의 실내가 좁아져서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되고 또한, 접촉사고와 같이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우산에 의해 운전자나 탑승자가 부상 당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트렁크리드 내면에 우산꽂이를 설치하는데 즉, 도 1 내지 도2에서와 같이 트렁크리드(10) 내면에 한 쌍의 우산꽂이를 설치하여 우산을 우산꽂이에 끼워 고정되게 하여 우산이 트렁크에 실린 다른 짐들과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보관하여 우산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신속 간편하게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우산꽂이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우산꽂이는 트렁크리드(20)내면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판(30)상면에 홀더브라켓(31)을 형성한 후 손잡이부(21)와 집게부(22)가 형성된 홀더(20)를 홀더브라켓(31)에 의해 고정판(30)에 설치하되 고정판(30)에 토션스프링(40)을 설치하여 손잡이부(21)를 누르면 집게부(22)가 들어 올려지고 손잡이부(21)에서 손을 떼면 토션스프링(40)에 의해 집게부(22)가 내려가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우산꽂이는 손잡이부(21)를 눌러 집게부(22)를 들어 올린 후 우산을 집게부(22)내측으로 끼우고 손잡이부(21)에서 손을 떼어 집게부(22)로 우산을 눌러 고정 시키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부(21)를 계속 눌러주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산꽂이의 집게홀더에 우산을 꽂아 보관 시 사용자가 일일이 집게홀더의 손잡이부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도 우산을 집게홀더에 꽂을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우산꽂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에 설치되는 집게형 우산꽂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트렁크리드의 트림에 부착되며, 상부와 하부에 힌지공과 스프링고정공이 구비된 한 쌍의 홀더브라켓이 표면에 형성된 고정판과;홀더브라켓의 힌지공에 결합되도록 손잡이부와 집게부 사이에 형성되는 양쪽 힌지부의 하단에는 회동 시 홀더브라켓 외부로 돌출되도록 다리부가 연장 형성되고, 양쪽 힌지부 사이에는 하단의 스프링걸이부가 힌지부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스프링지지브라켓이 돌출되어 구비된 집게홀더와; 중앙의 걸이구는 스프링지지브라켓의 스프링걸이부에 끼워져 걸리고, 양단의 끼움구는 홀더브라켓의 스프링고정공에 끼워져서 스프링걸이부의 위치에 따라 토션위치가 가변되는 더블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우산꽂이에 우산을 고정 시킬 때 사용자가 집게홀더의 손잡이부를 일일이 누르지 않고서도 우산을 집게홀더에 고정 시킬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 있다.
도 1 은 종래 우산꽂이가 설치된 트렁크리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 우산꽂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가 설치된 트렁크리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결합 사시도.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가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6a는 우산을 끼우기 전이고, 6b는 우산을 끼운 이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가 설치된 트렁크리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5 는 도 4 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꽂이가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6a는 우산을 끼우기 전이고, 6b는 우산을 끼운 이후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331)은 집게홀더의 힌지부에 형성된 힌지핀이고, (500)은 우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에 설치되는 집게형 우산꽂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트렁크리드(100)의 트림에 부착되며, 상부와 하부에 힌지공(211)과 스프링고정공(212)이 구비된 한 쌍의 홀더브라켓(210)이 표면에 형성된 고정판(200)과; 홀더브라켓(210)의 힌지공(211)에 결합되도록 손잡이부(310)와 집게부(320) 사이에 형성되는 양쪽 힌지부(330)의 하단에는 회동시 홀더브라켓(210) 외부로 돌출되도록 다리부(340)가 연장 형성되고, 양쪽 힌지부(330) 사이에는 하단의 스프링걸이부(351)가 힌지부(330)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이 돌출되어 구비된 집게홀더(300)와; 중앙의 걸이구(410)는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의 스프링걸이부(351)에 끼워져 걸리고, 양단의 끼움구(420)는 홀더브라켓(210)의 스프링고정공(212)에 끼워져서 스프링걸이부(351)의 위치에 따라 토션위치가 가변되는 더블토션스프링(400)으로 구성되어 스프링걸이부(351)의 위치에 따라 집게홀더(300)에 가변된 토션 장력이 작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트렁크리드(100)내면에 한 쌍의 집게홀더(300)를 설치하여 평상시 우산(500)을 집게홀더(300)를 이용하여 트렁크리드(100)에 고정되게 하여 트렁크내에 실린 다른 짐들과 섞이지 않도록 하도록 하여 사용시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우산(500)을 우산꽂이에 고정 시 사용자가 집게홀더(300)의 손잡이부(310)를 누르지 않고서도 우산꽂이에 우산(500)을 고정 시킬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우산꽂이에서는 트렁크리드(100)에 설치되는 고정판(200)표면에 상부와 하부에 각각 힌지공(211)과 스프링고정공(212)이 구비된 한 쌍의 홀더브라켓(210)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집게홀더(300)에는 손잡이부(310)와 집게부(320)사이에 형성된 양쪽 힌지부(330)하단에는 다리부(340)가 연장 형성되고 힌지부(330)사이에는 하단의 스프링걸이부(351)가 힌지부(330)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을 돌출 형성하였다.
또한, 중앙에는 걸이구(410)와 끼움구(420)가 형성된 더블토션스프링(400)을 구비하여 고정판(200)에 설치한다.
따라서 고정판(200)에 더블토션스프링(400)을 설치할 경우에는 더블토션스프링(400)을 고정판(200)에 올려 더블토션스프링(400)의 끼움구(420)를 고정판(200)의 홀더브라켓(210)에 구비된 스프링고정공(212)에 끼워지게 설치한다.
이후 집게홀더(300)를 고정판(200)에 결합하는데 이때에는 집게홀더(300)의 힌지부(330)에 형성된 힌지핀(331)이 고정판(200)의 홀더브라켓(210)에 구비된 힌지공(211)에 끼워지게 설치 하는데 이때 집게홀더(300)의 양쪽 힌지부(330)사이에는 힌지부(330)보다 아래쪽에 스프링걸이부(351)가 구비된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미 고정판(200)에 설치된 더블토션스프링(400)의 걸이구(410)가 스프링걸이부(351)에 끼워지도록 집게홀더(300)를 설치한다.
여기서 집게홀더(300)의 힌지부(330)에 형성된 힌지핀(331)의 다른 실시 예로서 현재 일체로 형성된 힌지핀(331)을 다른 재질 예를 들어 철재봉 형상의 핀으로 제작하여 그 견고함을 확대시키고 아울러 집게홀더(300)를 고정판(200)의 홀더브라켓(220)에 고정시킬 경우 먼저 이들을 결합하고 마지막에 힌지핀(331)을 밀어서 고정하면 된다.
이때, 집게홀더(300)의 다리부(340)에는 힌지핀(331)을 고정하기 위한 홀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고정판(200)과 더블토션스프링(400), 집게홀더(300)를 결합 한 우산꽂이의 사용법을 도 6a,6b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우산(500)을 우산꽂이에 고정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집게홀더(300)의 손잡이부(310)를 누르게 되면 집게홀더(300)가 회전되면서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이 중심선(A)을 벗어나게 되는데 이때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의 스프링걸이부(351)에는 더블토션스프링(400)의 걸이구(410)가 끼워져 있으므로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이 회전되면 스프링걸이부(351)에 끼워진 더블토션스프링(400)의 일단이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변된 더블토션스프링(400)의 장력이 집게홀더(300)에 전달되어 손잡이부(310)는 하향으로 내려가고 집게부(320)는 상향으로 올라간다.
이처럼 집게홀더(300)가 회전되어 손잡이부(310)는 하향으로 내려가고 집게부(320)는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면 집게홀더(300)의 다리부(340)는 고정판(200)의 홀더브라켓(210)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우산(500)을 집게홀더(300)의 다리부(340)에 올려 놓아 우산(500)의 하중을 다리부(340)에 전달하면 집게홀더(300)는 회전하면서 손잡이부(310)가 상향으로 올라가고 집게부(320)가 하향으로 내려가면서 우산(500)을 지지하여 우산(500)은 집게홀더(3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즉, 다리부(340)에 하중을 가하면 집게홀더(300)가 회전되면서 도 6b에서와 같이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이 중심점(A)안쪽으로 이동되면 더블토션스프링(400)의 일단도 이동되면서 가변된 더블토션스프링(400)의 장력이 집게홀더(300)에 전달되어 손잡이부(310)는 상향으로 집게부(320)는 하향으로 내려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정판(200)에 구비된 한 쌍의 홀더브라켓(210) 사이에는 스톱퍼부(220)를 구비하여 스프링지지브라켓(350) 하단의 스프링걸이부(351)가 힌지공(211)과 스프링고정공(212)의 중립점(A)을 지나도록 회전될 때 과다하게 회전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100 : 트렁크리드 200 : 고정판
210 : 홀더브라켓 211 : 힌지공
212 : 스프링고정공 220 : 스톱퍼부
300 : 집게홀더 310 : 손잡이부
320 : 집게부 330 : 힌지부
331 : 힌지핀 340 : 다리부
350 : 스프링지지브라켓 351 : 스프링걸이부
400 : 더블토션스프링 410 : 걸이구
420 : 끼움구 500 : 우산

Claims (2)

  1.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에 설치되는 집게형 우산꽂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트렁크리드(100)의 트림에 부착되며, 상부와 하부에 힌지공(211)과 스프링고정공(212)이 구비된 한 쌍의 홀더브라켓(210)이 표면에 형성된 고정판(200)과;
    홀더브라켓(210)의 힌지공(211)에 결합되도록 손잡이부(310)와 집게부(320) 사이에 형성되는 양쪽 힌지부(330)의 하단에는 회동 시 홀더브라켓(210) 외부로 돌출되도록 다리부(340)가 연장 형성되고, 양쪽 힌지부(330) 사이에는 하단의 스프링걸이부(351)가 힌지부(330)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이 돌출되어 구비된 집게홀더(300)와;
    중앙의 걸이구(410)는 스프링지지브라켓(350)의 스프링걸이부(351)에 끼워져 걸리고, 양단의 끼움구(420)는 홀더브라켓(210)의 스프링고정공(212)에 끼워져서 스프링걸이부(351)의 위치에 따라 토션위치가 가변되는 더블토션스프링(400);
    으로 구성되어 스프링걸이부(351)의 위치에 따라 집게홀더(300)에 가변된 토션 장력이 작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꽂이.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판(200)에 구비된 한 쌍의 홀더브라켓(210) 사이에는
    스프링지지브라켓(350) 하단의 스프링걸이부(351)가 힌지공(211)과 스프링고정공(212)의 중립점(A)을 지나도록 회전될 때 과다하게 회전됨을 방지하는 스톱퍼부(2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꽂이.
KR1020120082944A 2012-07-30 2012-07-30 자동차용 우산꽂이 KR101392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944A KR101392585B1 (ko) 2012-07-30 2012-07-30 자동차용 우산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944A KR101392585B1 (ko) 2012-07-30 2012-07-30 자동차용 우산꽂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20A true KR20140016020A (ko) 2014-02-07
KR101392585B1 KR101392585B1 (ko) 2014-05-08

Family

ID=5026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944A KR101392585B1 (ko) 2012-07-30 2012-07-30 자동차용 우산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6405A (zh) * 2019-03-29 2020-10-0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固定装置及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546A (ko) 2017-12-03 2019-06-12 김건호 이동식 자동차용 우산꽂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6405A (zh) * 2019-03-29 2020-10-0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固定装置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585B1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2355B2 (en) Vehicle roof with retractable windshield
US7210721B1 (en) Side mounted ladder rack for pick-up truck
US9120426B1 (en) Wheelhouse cladding step
US6092776A (en) Multi-purpose holder, having a recess with an open circular upper end, a rectangular middle portion and a funnel shaped cavity lower end
KR101392585B1 (ko) 자동차용 우산꽂이
KR20070035400A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겸용 우산보관함
JP3145441U (ja) サイクルホルダー
JPS5967176A (ja) 負荷支持体
KR20180051091A (ko) 우산거치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트림
KR200257661Y1 (ko) 다단계 휴대폰 거치대
US8303020B1 (en) Club protector
US1892601A (en) Automobile umbrella holder
KR20190065546A (ko) 이동식 자동차용 우산꽂이
US2709620A (en) Automobile arm rest
KR20180047093A (ko) 자동차의 신발 및 우산 거치대
CN211335801U (zh) 一种车载固定支架
US20140367431A1 (en) Bicycle carrier apparatus
JP3392087B2 (ja) 自動車用傘固定具
KR200256608Y1 (ko) 차량용 옷걸이
JPS5927806Y2 (ja) 車載用傘収納ケ−ス取付装置
KR101381067B1 (ko) 자동차용 걸이대
US2961279A (en) Trays for automobiles and other vehicles
CN210591651U (zh) 一种车载固定支架
KR100848732B1 (ko) 자동차용 우산 거치대
JPS63120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