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687A -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687A
KR20140015687A KR1020120074882A KR20120074882A KR20140015687A KR 20140015687 A KR20140015687 A KR 20140015687A KR 1020120074882 A KR1020120074882 A KR 1020120074882A KR 20120074882 A KR20120074882 A KR 20120074882A KR 20140015687 A KR20140015687 A KR 20140015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server
stor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오
Original Assignee
유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오 filed Critical 유인오
Priority to KR1020120074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5687A/ko
Publication of KR20140015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쇼핑 카트에 구비된 거치대에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거치될 경우, 상기 거치대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또는, 앱)를 실행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쇼핑 카트의 이동에 따라 천정에 있는 이미지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이미지 마커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 마커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확인 및 상기 확인된 위치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여 마케팅 정보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은, 쇼핑 카트, 이동 단말기, 이미지 마커부 및, 서버가 상호 연동된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쇼핑 카트의 손잡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NFC 태그를 포함하는 쇼핑 카트; 건물의 이동 통로 또는 복도의 천장에 설치되며, 각 위치별 고유 상품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마커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부; 상기 쇼핑 카트의 상기 거치대에 거치될 때, 상기 NFC 태그와의 통신에 의해 미리 설치된 특정 앱을 실행하고, 카메라 모듈을 동작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 상기 복수의 이미지 마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마커가 포함될 때, 단말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마커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단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쿠폰 정보와 연계 정보 중에서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mart shopp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쇼핑 카트에 구비된 거치대에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거치될 경우, 상기 거치대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또는, 앱)를 실행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쇼핑 카트의 이동에 따라 천정에 있는 이미지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이미지 마커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 마커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확인 및 상기 확인된 위치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여 마케팅 정보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 서비스 시스템은, 할인 매장, 백화점 등에서 임의의 쇼핑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쇼핑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쇼핑 이용객이 구비한 단말기 또는 상기 할인 매장이나 상기 백화점 등에 구비된 쇼핑 카트와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쇼핑 이용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쇼핑 이용객이 구비한 단말기나 쇼핑 카트 등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쇼핑 이용객의 현재 위치에 따른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상기 쇼핑 이용객에게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쇼핑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할인 매장 또는 상기 백화점에서의 상기 쇼핑 이용객의 정확한 실시간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2009-0119719호
본 명세서의 목적은, 쇼핑 카트에 구비된 거치대에 임의의 쇼핑 이용객의 이동 단말기가 거치될 경우, 상기 거치대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또는, 앱)를 실행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할인 매장 또는 백화점 등에서 상기 쇼핑 이용객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은, 쇼핑 카트의 거치대에 거치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천정에 고정된 임의의 이미지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이미지 마커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 마커 정보를 근거로 확인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른 이벤트 정보 등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은, 쇼핑 카트, 이동 단말기, 이미지 마커부 및, 서버가 상호 연동된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쇼핑 카트의 손잡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NFC 태그를 포함하는 쇼핑 카트; 건물의 이동 통로 또는 복도의 천장에 설치되며, 각 위치별 고유 상품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마커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부; 상기 쇼핑 카트의 상기 거치대에 거치될 때, 상기 NFC 태그와의 통신에 의해 미리 설치된 특정 앱을 실행하고, 카메라 모듈을 동작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 상기 복수의 이미지 마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마커가 포함될 때, 단말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마커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단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쿠폰 정보와 연계 정보 중에서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거치대는,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지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NFC 태그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특정 앱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을 동작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특정 앱은, 상기 쇼핑 카트가 구비되는 할인 매장 또는 백화점과 관련된 쇼핑 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감지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고유 식별 번호 및, 전화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상기 이미지 마커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는,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품 매장과 관련된 쿠폰 정보, 상기 상품 매장과 관련된 연계 상품 매장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연계 상품 매장에서 제공하는 쿠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서비스 방법은, 쇼핑 카트, 이동 단말기, 각 위치별 고유 상품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마커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부 및, 서버가 상호 연동된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의 스마트 쇼핑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쇼핑 카트의 거치대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거치될 때, 상기 쇼핑 카트에 포함된 NFC 태그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특정 앱을 실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을 동작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쇼핑 카트의 이동 통로 또는 복도의 천장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상기 복수의 이미지 마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마커가 포함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단말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마커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마커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를 통해, 미리 저장된 복수의 쿠폰 정보와 연계 정보 중에서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단말 정보에 포함된 전화 번호를 근거로 상기 확인된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쇼핑 카트의 이동 통로 또는 복도의 천장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감지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쇼핑 카트에 구비된 거치대에 임의의 쇼핑 이용객의 이동 단말기가 거치될 경우, 상기 거치대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또는, 앱)를 실행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할인 매장 또는 백화점 등에서 상기 쇼핑 이용객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쇼핑 이용객의 현재 위치에 따른 다양한 부가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 등을 상기 쇼핑 이용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쇼핑 카트의 거치대에 거치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천정에 고정된 임의의 이미지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이미지 마커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 마커 정보를 근거로 확인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른 이벤트 정보 등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쇼핑 이용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쇼핑 카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마커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10)은, 쇼핑 카트(100), 이동 단말기(200), 이미지 마커부(300) 및, 서버(4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쇼핑 카트(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할인 매장, 임의의 백화점 등과 같은 임의의 건물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쇼핑 카트(100)에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200) 등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110)와, 상기 이동 단말기(200) 등과의 통신을 위한 NFC 태그(120)가 설치(또는, 구비)된다.
상기 거치대(110)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20)에 거치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이 상기 건물의 천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지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110)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쇼핑 카트(100)의 손잡이에 의해 지지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110)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스틸(또는, 강철) 등의 재질로 구성한다.
상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120)는, 상기 거치대(110)의 일측면에 부착한다.
또한, 상기 NFC 태그(120)는, 상기 거치대(110)에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거치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된 상기 할인 매장(또는, 상기 백화점)과 관련된 쇼핑 앱(또는, 특정 앱)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동작 상태(또는, 카메라 온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또는, 태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NFC 태그(12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상기 할인 매장(또는, 상기 백화점)과 관련된 쇼핑 앱(App.)이 미리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쇼핑 앱을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200)에서 상기 쇼핑 앱을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쇼핑 카트(100)에 구비된 상기 NFC 태그(110)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된 상기 특정 앱(또는, 상기 할인 매장 또는 상기 백화점과 관련된 쇼핑 앱)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서버(400)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와이브로 단말기(Wibro Terminal),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210), 저장부(220), 카메라 모듈(230), 제어부(240), 표시부(250) 및, 음성 출력부(26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상기 쇼핑 카트(100), 상기 서버(400) 등과 통신 연결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 WMB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인접 자장 통신에 의해, 상기 쇼핑 카트(100)에 구비된 상기 NFC 태그(120)와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서버(400)와 정보/신호/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상기 저장부(2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임의의 할인 매장(또는, 상기 임의의 백화점)과 관련된 쇼핑 앱(또는, 쇼핑 소프트웨어/응용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임의의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2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230)은,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구역(또는, 영역)의 영상(또는, 영상 정보)을 촬영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23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230)은, CCD 소자, CMOS 소자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230)은, 임의의 입력부(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그 셔틀(Jog Shuttle),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펜(Touch Pen)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거치대(110)에 거치될 때, 상기 통신부(210)와 상기 NFC 태그(12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NFC 태그(120)로부터 전달된 태그(또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된 상기 특정 앱(또는, 상기 할인 매장/백화점과 관련된 쇼핑 앱)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NFC 태그(120)로부터 전달된 태그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 모듈(230)을 동작 상태(또는, 카메라 온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NFC 태그(120)와의 통신 시, 상기 특정 앱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임의의 정보 제공 센터(미도시) 또는 상기 서버(400)와 통신 연결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센터 또는 상기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상기 특정 앱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특정 앱을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다운로드된 특정 앱을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한 이후, 상기 설치된 특정 앱을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카메라 모듈(230)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예를 들어, 상기 쇼핑 카트(100)가 위치한 할인 매장, 백화점 등의 건물의 각 층 천장)을 촬영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4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초 간격)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230)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을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된 동작 인식 센서(미도시)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 변화가 감지될 때(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이 이동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변환되거나 또는, 정지 상태에서 이동 상태로 변환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230)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을 촬영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인식 센서(Motion Recognition Sensor)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동작 인식 센서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하는 센서, 지자기 센서(Geomagnetism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관성 센서(Inertial Sensor), 고도계(Altimeter), 진동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하며, 동작 인식에 관련된 센서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인식 센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기울어진 방향, 기울어진 각도 및/또는 상기 기울어지는 속도, 상하/좌우/대각선 등의 방향으로의 진동 방향 및/또는 진동 횟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되는 정보들(기울어진 방향, 기울어진 각도 및/또는 상기 기울어지는 속도, 진동 방향 및/또는 진동 횟수, 이동 방향, 이동 속도)은,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디지털화되어, 상기 디지털화된 정보들이 상기 제어부(240)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카메라 모듈(230)을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임의의 이미지 마커(또는, 이미지 마커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칼라 이미지 마커 코드, 입체 마커 코드 등 포함)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마커(image marker)는, 상기 할인 매장, 상기 백화점 등의 건물의 각 층 천장의 미리 설정된 영역(예를 들어, 상기 할인 매장 또는 상기 백화점의 각 층별 이동 통로 또는, 복도의 천장)에 각각 배치되며, 각 영역에 위치한 상품 매장 정보(또는, 상품 코너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상기 이미지 마커부(300)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 마커 중 어느 하나(또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상기 임의의 이미지 마커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230)을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위치한 영역을 촬영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상기 임의의 이미지 마커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또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마커(또는, 이미지 마커 정보/이미지 마커 코드)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서버(4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또는, 상기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기의 고유 식별 번호,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전송된 이미지 마커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마커와 관련된 쿠폰 정보, 연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마커와 관련된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는, 상기 상품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 마커를 촬영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상기 상품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해당 상품 매장과 관련된 쿠폰 정보, 해당 상품 매장과 연계된(또는, 관련된) 연계 상품 매장의 위치 정보, 연계 상품 매장에서 제공하는 쿠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를 상기 표시부(25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250)는,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5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어, 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5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2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250)는,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260)는, 상기 제어부(24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260)는, 스피커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260)는,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마커부(300)는, 고유의 정보(예를 들어, 상품 매장 정보 등 포함)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마커(예를 들어, QR 코드, 칼라 이미지 마커, 입체 이미지 마커 등 포함)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마커부(300)는, 상기 할인 매장, 상기 백화점 등의 건물의 천장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각각 배치한다.
즉, 상기 이미지 마커부(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할인 매장 또는 상기 백화점의 각 층의 이동 통로 또는 복도의 천장에 각각 배치한다.
상기 서버(4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또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마커(또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마커)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400)는, 상기 쇼핑 카트(100)가 위치한 할인 매장(또는, 백화점)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거나 또는, 임의의 원격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400)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마커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즉, 상기 서버(400)는, 미리 저장된 상기 할인 매장(또는, 상기 백화점)의 천장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마커와 관련된 위치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이미지 마커를 전송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서버(4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또는, 부가 정보) 중에서,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상기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는,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상기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해당 상품 매장과 관련된 쿠폰 정보, 해당 상품 매장과 연계된(또는, 관련된) 연계 상품 매장의 위치 정보 및, 연계 상품 매장에서 제공하는 쿠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400)는, 상기 수신된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고유 식별 번호, 전화 번호 등 포함)를 근거로 상기 확인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상기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4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또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마커(또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마커)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와 관련된 마케팅 정보를 생성한다.
즉, 상기 서버(400)는, 상기 수신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또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마커(또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마커)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쇼핑을 위해 지나간 매장(예를 들어, 분유 매장, 유아용품 매장 등 포함)과 관련된 정보들을 파악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와 관련된 마케팅 정보를 생성 및 활용한다.
이와 같이, 쇼핑 카트에 구비된 거치대에 임의의 쇼핑 이용객의 이동 단말기가 거치될 경우, 상기 거치대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또는, 앱)를 실행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할인 매장 또는 백화점 등에서 상기 쇼핑 이용객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쇼핑 카트의 거치대에 거치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천정에 고정된 임의의 이미지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이미지 마커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 마커 정보를 근거로 확인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른 이벤트 정보 등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트 쇼핑 서비스 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쇼핑 카트(100)는, 상기 쇼핑 카트(100)에 설치된(또는, 구비된) 거치대(110)에 임의의 이동 단말기(200)가 거치되는 경우, 상기 쇼핑 카트(100)의 상기 거치대(110)의 일측면에 부착된 NFC 태그(120)와 상기 이동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된 특정 앱(또는, 특정 소프트웨어)을 실행하고, 상기 NFC 태그(120)와 상기 이동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230)을 동작 상태(또는, 카메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쇼핑 카트(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할인 매장에 구비된 상기 쇼핑 카트(100)의 상기 거치대(110)에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거치될 때, 상기 거치대(110)의 일측면에 부착된 상기 NFC 태그(120)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된 상기 할인 매장(또는, 상기 백화점)과 관련된 쇼핑 앱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상기 NFC 태그(120)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230)을 동작 상태로 제어한다. 이때, 상기 거치대(110)에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거치될 때,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230)이 천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200) 및 상기 거치대(110)의 배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SP510).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된 상기 카메라 모듈(230)은, 천장을 촬영한다. 여기서, 상기 천장에는, 각각의 특정 위치별로 상품 매장(또는, 상품 코너)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마커(예를 들어, QR 코드, 칼라 이미지 마커, 입체 이미지 마커 등 포함)가 부착(또는, 설치)된 이미지 마커부(3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천장을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된 동작 인식 센서(미도시)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 변화가 감지될 때(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이 이동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변환되거나 또는, 정지 상태에서 이동 상태로 변환될 때) 상기 천장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230)을 통해, A4 용지 크기의 복수의 이미지 마커(또는, 이미지 마커부(300))가 각각 부착된 상기 할인 매장의 천장을 미리 설정된 10초 단위로 촬영한다(SP520).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카메라 모듈(23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임의의 이미지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P530).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임의의 이미지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또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마커(또는, 이미지 마커 코드 또는, 이미지 마커 정보)를 상기 서버(4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또는, 상기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기의 고유 식별 번호,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분유 매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가 포함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고유 식별 번호, 전화 번호 등 포함)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분유 매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를 상기 통신 연결된 상기 서버(400)에 전송한다(SP540).
이후, 상기 서버(4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또는,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마커(또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마커)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400)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마커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마커를 전송한 해당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즉, 상기 서버(400)는, 미리 저장된 상기 할인 매장(또는, 상기 백화점)의 천장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마커와 관련된 위치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이미지 마커를 전송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일 예로, 상기 서버(400)는, 상기 미리 저장된 상기 할인 매장의 천장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이미지 마커와 관련된 복수의 위치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상기 분유 매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분유 매장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또는, 판단)한다(SP550).
이후, 상기 서버(4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또는, 부가 정보) 중에서,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상기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는,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상기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해당 상품 매장과 관련된 쿠폰 정보, 해당 상품 매장과 연계된(또는, 관련된) 연계 상품 매장의 위치 정보, 연계 상품 매장에서 제공하는 쿠폰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서버(400)는,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 중에서, 상기 분유 매장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상기 분유 매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분유 쿠폰, 상기 분유 매장과 관련된 유아 용품 매장의 위치 정보, 상기 유아 용품 매장에서 제공하는 쿠폰 정보 등을 확인한다(SP560).
이후, 상기 서버(400)는, 상기 수신된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고유 식별 번호, 전화 번호 등 포함)를 근거로 상기 확인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상기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서버(400)는, 상기 수신된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에 포함된 전화 번호를 근거로 상기 확인된 상기 분유 매장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상기 분유 매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분유 쿠폰, 상기 분유 매장과 관련된 유아 용품 매장의 위치 정보, 상기 유아 용품 매장에서 제공하는 쿠폰 정보 등을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한다(SP570).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전송된 상기 이미지 마커(또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마커)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수신된 쿠폰 정보 및/또는 연계 정보를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전송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단말 정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고유 식별 번호, 전화 번호 등 포함)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 중에서 상기 분유 매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분유 매장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상기 분유 매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분유 쿠폰, 상기 분유 매장과 관련된 유아 용품 매장의 위치 정보, 상기 유아 용품 매장에서 제공하는 쿠폰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수신된 상기 분유 매장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상기 분유 매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에 대응하는 분유 쿠폰, 상기 분유 매장과 관련된 유아 용품 매장의 위치 정보, 상기 유아 용품 매장에서 제공하는 쿠폰 정보 등을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포함된 표시부(250) 및/또는 음성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한다(SP580).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쇼핑 카트에 구비된 거치대에 임의의 쇼핑 이용객의 이동 단말기가 거치될 경우, 상기 거치대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또는, 앱)를 실행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할인 매장 또는 백화점 등에서 상기 쇼핑 이용객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쇼핑 이용객의 현재 위치에 따른 다양한 부가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 등을 상기 쇼핑 이용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쇼핑 카트의 거치대에 거치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천정에 고정된 임의의 이미지 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이미지 마커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 마커 정보를 근거로 확인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른 이벤트 정보 등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여, 쇼핑 이용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쇼핑 서비스 시스템 100: 쇼핑 카트
200: 이동 단말기 300: 이미지 마커부
400: 서버 110: 거치대
120: NFC 태그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카메라 모듈
240: 제어부 250: 표시부
260: 음성 출력부

Claims (15)

  1. 쇼핑 카트, 이동 단말기, 이미지 마커부 및, 서버가 상호 연동된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쇼핑 카트의 손잡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NFC 태그를 포함하는 쇼핑 카트;
    건물의 이동 통로 또는 복도의 천장에 설치되며, 각 위치별 고유 상품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마커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부;
    상기 쇼핑 카트의 상기 거치대에 거치될 때, 상기 NFC 태그와의 통신에 의해 미리 설치된 특정 앱을 실행하고, 카메라 모듈을 동작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에 상기 복수의 이미지 마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마커가 포함될 때, 단말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마커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단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쿠폰 정보와 연계 정보 중에서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지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특정 앱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을 동작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앱은,
    상기 쇼핑 카트가 구비되는 할인 매장 또는 백화점과 관련된 쇼핑 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감지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고유 식별 번호 및,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상기 이미지 마커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는,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품 매장과 관련된 쿠폰 정보, 상기 상품 매장과 관련된 연계 상품 매장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연계 상품 매장에서 제공하는 쿠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9. 쇼핑 카트, 이동 단말기, 각 위치별 고유 상품 매장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 마커를 포함하는 이미지 마커부 및, 서버가 상호 연동된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의 스마트 쇼핑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쇼핑 카트의 거치대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거치될 때, 상기 쇼핑 카트에 포함된 NFC 태그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특정 앱을 실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을 동작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쇼핑 카트의 이동 통로 또는 복도의 천장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상기 복수의 이미지 마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마커가 포함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단말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마커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마커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를 통해, 미리 저장된 복수의 쿠폰 정보와 연계 정보 중에서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단말 정보에 포함된 전화 번호를 근거로 상기 확인된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쇼핑 카트의 손잡이에 의해 지지되며,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지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는,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특정 앱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을 동작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앱은,
    상기 쇼핑 카트가 구비되는 할인 매장 또는 백화점과 관련된 쇼핑 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쇼핑 카트의 이동 통로 또는 복도의 천장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감지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단말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고유 식별 번호 및,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쿠폰 정보 및 연계 정보는,
    상기 확인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품 매장과 관련된 쿠폰 정보, 상기 상품 매장과 관련된 연계 상품 매장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연계 상품 매장에서 제공하는 쿠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서비스 방법.
KR1020120074882A 2012-07-10 2012-07-10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5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882A KR20140015687A (ko) 2012-07-10 2012-07-10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882A KR20140015687A (ko) 2012-07-10 2012-07-10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687A true KR20140015687A (ko) 2014-02-07

Family

ID=5026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882A KR20140015687A (ko) 2012-07-10 2012-07-10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56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149A (ko) * 2015-02-27 2016-09-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통신 연동 바이크 및 그 작동 방법
KR20200062002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코이노 시력 취약계층을 위한 쇼핑 보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력 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149A (ko) * 2015-02-27 2016-09-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통신 연동 바이크 및 그 작동 방법
KR20200062002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코이노 시력 취약계층을 위한 쇼핑 보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력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733B1 (ko) 휴대용 기기 제어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영상시스템 제어방법
US9142122B2 (en) Commun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erver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601622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creen display
KR20170058795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60144665A (ko) 객체 인식 및 데이터베이스 매칭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70337403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program, image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1760898B1 (ko) 상황 인지 기반 양방향 안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15828B1 (ko)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30019260A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140015687A (ko)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222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그리고, 제어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2181084B1 (ko) 실감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498730B1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4002322A1 (ja) 携帯端末、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制御方法
KR102616289B1 (ko) 비콘을 이용한 일행을 확인하기 위한 단말, pos 단말, 비콘 관리 서버, 비콘 신호 송출기, 일행 관리 서버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6659259B2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475336B1 (ko)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EP3809250B1 (en) Method of displaying object on devic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341646B1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US999858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7210884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366746B1 (ko) 사용 패턴에 따른 맞춤형 멤버십 카드 및/또는 쿠폰 추천을 위한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230009449A1 (en) Wireless connec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device, and wireless connection method
KR101874078B1 (ko)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39463A (ko) 사용자 장치, 비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