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553A -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553A
KR20150014553A KR1020130089375A KR20130089375A KR20150014553A KR 20150014553 A KR20150014553 A KR 20150014553A KR 1020130089375 A KR1020130089375 A KR 1020130089375A KR 20130089375 A KR20130089375 A KR 20130089375A KR 20150014553 A KR20150014553 A KR 2015001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device
image
client
vision screen
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철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4553A/ko
Priority to PCT/KR2014/006923 priority patent/WO2015016569A1/en
Priority to US14/909,013 priority patent/US20160162240A1/en
Priority to EP14832643.2A priority patent/EP3028447A4/en
Priority to CN201480042761.1A priority patent/CN105409231A/zh
Publication of KR2015001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를 이용한 멀티비전 스크린 구성 방법에 있어서,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를 실행하는 동작과,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할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인식 및 등록하는 동작 및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상기 등록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ULTI VISION SCREEN}
본 개시는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장치에 구비된 NFC 모듈 및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함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하게 하나의 영상을 복수의 전자장치의 화면에 분할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비전은 수신되는 영상을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분할-영상을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영상 기법을 채용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즉, 멀티비전이란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멀티비전은 하나의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고, 여러 대의 영상 출력 수단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영상 신호가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비전의 기술은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장치에도 채용되고 있다.
종래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3534호(발명의 명칭: 상호 연동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글자 및 이미지를 표시함에 있어 두 대 이상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연동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별도의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연결 단자와 같은 물리적인 매개체를 통해 서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신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소정의 컨텐츠를 공유하거나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과 같은 방법으로 멀티비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물리적인 연결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멀티스크린의 개수가 많아질 경우에는 멀티비전의 각 화면을 구성하기에 오류 및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전자장치를 신속하게 관리 및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여러 개의 전자장치 중 일부를 멀티비전 스크린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전자장치들을 다른 역할을 하는 장치들로 설정할 수 있으며,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전자장치들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멀티비전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를 이용한 멀티비전 스크린 구성 방법에 있어서,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를 실행하는 동작과,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할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인식 및 등록하는 동작 및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상기 등록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 구성을 지원하는 전자장치는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의 실행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대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상대좌표에 기초하여 하나의 영상을 분할영상으로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으로 본 개시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에 따르면, 본 개시는 여러 개의 전자장치들에 상대좌표를 설정하여, 상기 여러 개의 멀티비전 스크린을 쉽고 빠르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여러 개의 전자장치를 상대좌표에 기초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전자장치들을 멀티비전 스크린, 리모트 컨트롤 및 프리뷰 스크린 등의 각각 다른 역할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탑재된 카메라, 센서, NFC 모듈,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효율성이 높다.
또한, 본 개시는 탑재된 카메라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장치 및 근접하는 장치의 배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전자장치를 확장하는 동작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전자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의 실행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실행화면의 예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동작 예시도.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전자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장치의 상대좌표를 판단하기 위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NFC 모듈을 구비한 전자장치에 적용된다. 예컨대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노트북 PC 등이 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NFC 모듈을 통해 근접하는 전자장치를 검출한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통해 하나의 영상(10)이 여러 개의 전자장치(101 내지 104)를 통해 분할되어 출력된다.
전자장치(101)는 디스플레이, NFC 모듈(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 및 각종 센서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이 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 디바이스(101)로 설정되고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103, 104)로 설정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101)는 멀티비전 스크린의 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는 상기 서버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메인 디바이스(101)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와 통신 연결되고,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에 관한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를 제어함으로써,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가 배치된 레이아웃, 개수, 각 디바이스들의 해상도 등에 따라서 하나의 영상을 멀티비전 스크린에 출력할 분할 영상으로 나누고, 그에 따라 나뉜 영상 신호의 각 영역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상기 영상 신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해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전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입력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표시부(150), 센서부(160), 카메라부(170), 제어부(180)의 구성을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와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통신부(110)는 메인 디바이스(101)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모듈,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 근거리 통신모듈, 위치 산출 모듈, 그리고 방송 수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그리고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통화 신호, 화상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사업자 서버 또는 컨텐츠 서버 등에 접속하여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음원 파일 등의 콘텐츠를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이동통신 모듈은 멀티비전 스크린에 출력할 영상을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모듈은 무선 인터넷(internet) 접속 및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무선 랜 링크(link)를 형성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전자장치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 랜(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나타낸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그리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다른 전자장치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될 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등을 다른 전자장치로 전송하거나 수신 받을 수 있다.
저장부(120)는 보조기억장치(secondary memory unit)로써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 또는 XD 카드)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인터넷 상에서 저장부(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실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에서 생성(예, 녹음 파일)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예, 음악 파일, 비디오 파일 등)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각종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20)는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은 전자장치를 멀티비전 모드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멀티비전 모드는 전자장치를 메인 디바이스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실행시키는 선택 옵션을 구비하며, 상기 멀티비전 모드는 NFC 모듈, 통신 모듈 및 각종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실행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비전 모드의 실행에 따라 발생된 데이터들은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및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예컨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환경 설정 프로그램,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등이 될 수 있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온라인 마켓으로부터 휴대 단말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매우 다종다양하다. 이러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설치 및 제거가 자유롭다. 휴대 단말이 켜지면 먼저 부팅 프로그램이 제어부(180)의 주기억장치(예, RAM)로 로딩(loading)된다. 이러한 부팅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이 동작할 수 있게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로딩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각종 프로그램들을 주기억장치로 로딩하여 실행한다. 특히 운영체제는 외부장치의 접촉이 검출될 경우 상기 데이터 통신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로 로딩하여 실행한다. 이러한 부팅 및 로딩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실행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30)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70)는 전자장치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부 버튼들은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입력부(130)는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 시 메인 디바이스(101)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해 실행을 명령하는 입력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 각각에 사용자에 의해 직접 실행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전송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음성/음향과 같은 사운드 데이터를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촬영모드, 그리고 상황 인식 서비스 실행 모드 등에서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는 전자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예컨대, 액션 실행에 따른 상황 정보의 피드백, 통화 연결 수신, 통화 연결 발신, 촬영, 미디어 컨텐츠(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재생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스피커는 멀티비전 영상 신호와 함께 전달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 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다. 여러 대의 전자장치 중 메인 디바이스(101)에 의해 선택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에 구비된 스피커만 선택적으로 턴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음향 출력 방법은 사전에 설계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출시 후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마이크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촬영 모드, 음성 인식 기반의 딕테이션 실행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위하여 입력부와 표시부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표시부(150)는 터치패널(152)과 표시패널(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패널(152)은 표시패널(154)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다. 터치패널(152)은 터치패널(152)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전달된 터치이벤트로부터 사용자의 제스처를 검출한다. 사용자 제스처는 터치(Touch)와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로 구분된다. 다시 터치 제스처는 탭(Tap), 드래그(Drag) 및 플릭(Fli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터치제스처는 터치가 터치스크린에 접촉(touch-on)해서 터치 해제(touch-off)까지의 터치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터치패널(152)은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패널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패널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합 터치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손 터치패널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손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손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손 제스처에 의해서만 터치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체(예, 정전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터치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펜 터치패널은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펜 터치패널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터치용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터치이벤트를 생성한다. 표시패널(154)은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패널(154)은 휴대 단말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줄여서 '앱(App)') 실행 화면, 키패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154)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또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표시부(150)는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 시 수신된 분할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100)가 멀티비전 스크린의 리모트 컨트롤로 설정된 경우, 표시부(150)는 이에 대응하는 화면, 예컨대 리모트 컨트롤을 위한 숫자 키, 문자 키, 단축 키 등과 같은 소프트 입력키를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가 채널 프리뷰를 위한 장치로 설정된 경우, 표시부(150)는 이에 대응하는 화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전자기기(100)에 구비된 센서로서, 특히 본 개시의 센서부(160)는 본체에 발생된 물리적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고, 전자기기(100)에 근접하는 다른 전자기기(100)의 물리적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센서부(160)는 모션 센서, 온도 센서, 근접 센서, 환경 센서(Environmental sensor)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자기기(100) 및 이에 근접하는 다른 전자기기의 물리적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센서라도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부(170)는 전자기기(100) 본체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카메라 장치일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카메라부(170)는 근접하는 전자기기를 검출하는 장치 중 하나로 구비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근접하는 전자기기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한 영상을 제어부(180)로 전달하면, 제어부(180)가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근접하는 전자기기의 개수, 배치 위치, 움직이는 방향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실행 및 전자기기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에서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응용프로그램 및 운영체제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와, 저장부(120)에 기록(write)할 데이터를 임시저장하고 저장부(120)로부터 읽어 온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캐시메모리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프로그램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GPU,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한다.
즉, 운영체제는 전자기기를 실행시키고 작업(task)의 순서를 정하며 CPU 연산 및 GPU 연산을 제어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는 기능과,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주지된 바와 같이 CPU 는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제어 유닛이다. GPU는 CPU를 대신하여, 그래픽과 관련한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그래픽 제어 유닛이다. CPU와 GPU는 각각 두 개 이상의 독립 코어(예, 쿼드 코어(quad-core))가 단일 직접 회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하나의 칩으로 통합(SoC: 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 있다. 한편 CPU 및 GPU를 포함하는 구성은 AP(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제어부(180)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를 실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호 흐름 제어와 정보 수집 및 출력 등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어부(180)는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전자기기(10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초기화가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를 확인하고, 현재 모드가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멀티비전 모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나열 또는 적층된 여러 개의 전자장치들 각각에 하나의 영상을 분할 출력시키는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즉, 여러 개의 전자장치들로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모드라 할 수 있다.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전자장치 각각에는 멀티비전 모드를 실행시키는 응용 프로그램이 구비되며, 이와 같은 멀티비전 모드는 설계자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의 옵션에 따라 수동적으로 스위치, 입력키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전자장치(100)를 메인 디바이스(101)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로 실행시킬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101)는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메인 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장치로 설정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101)는 멀티비전 모드 실행에 따라 NFC 모듈을 리더(reader)로 동작시키고, 통신 모듈(112) 및 센서부(160)를 실행시킬 수 있다. NFC 모듈을 리더로 동작시킴으로써, 메인 디바이스(101)는 NFC 모듈을 탑재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접촉을 검출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P2P(Peer-to-peer)방식으로써 ISO/IEC18092 (NFCIP-1) 기반의 데이터 통신 기술이다. NFC 모듈을 이용하면 두 전자장치가 접촉(예컨대 4cm 이하로 근접)할 때 상호간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디바이스(101)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101)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를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전자장치로서 인식 및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디바이스(101)가 먼저 멀티비전 스크린의 서버와 같은 역할로 설정되었으므로, 메인 디바이스(101)는 검출되는 디바이스들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추가할 수 있다. 이때, 검출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고유의 ID를 부여함으로써,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을 구분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101)는 통신 모듈을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디바이스(101)는 NFC 모듈을 통해 접촉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의 정보를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에 탑재된 와이파이 모듈로 접근을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통신 모듈로서 와이파이 모듈을 개시하였으나, 이 외의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Zig Bee) 또는 고유 프로토콜에 최적화된 무선 네트워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는 메인 디바이스(101)와 통신 연결된 이후, 멀티비전 모드를 실행할 수 있고, 멀티비전 모드로서, 각종 센서 및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킬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는 메인 디바이스(101)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의 배열 위치, 메인 디바이스(101)를 기준으로 이동한 속도 등과 같은 상태정보 및 전자장치의 속성정보를 획득한다. 전자장치의 속성정보는 전자장치의 종류, 기종, 디스플레이 사이즈, 디스플레이 해상도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는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획득한 상태정보 및 전자장치의 속성정보를 메인 디바이스(101)로 전달한다.
예컨대,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NFC 모듈 및 각종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3, 104)의 접근 또는 접촉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3, 104)와 통신 모듈의 연결을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3, 104)의 상태정보 및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를 메인 디바이스(101)에 전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로부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의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를 수신한 메인 디바이스(101)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디바이스(101)는 수신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관한 정보를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탑재된 통신 모듈로 접근을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통신 모듈로서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Zig Bee) 또는 고유 프로토콜에 최적화된 무선 네트워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및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N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101)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의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화면 배치를 파악하고, 상기 멀티비전 스크린에 출력할 멀티비전 영상을 제어한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1)는 앞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부여한 고유의 ID와, 구비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의 총 개수, 구비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이 배치된 레이아웃, 사이즈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상할 수 있다.
더불어, 메인 디바이스(101)는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디바이스들을 역할 별로 분류하여 각각 다른 역할을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메인 디바이스(101)는 각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2~104)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멀티비전 영상은 메인 디바이스(10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이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거나,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는 각각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각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104)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하나의 영상이 각 디바이스에 분할된 영상 데이터이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1)에도 분할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10 동작에서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의 실행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를 설정한다. 즉,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할 여러 개의 전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를 서버의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메인 디바이스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사용자의 옵션에 따라 선택되거나, 제조시 설계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의 실행 초기에 전자기기(100)에 표시되는 실행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실행화면은 와이파이 모듈의 실행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의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센서부의 실행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320 동작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이를 추가 등록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바이스(101)는 NFC 모듈을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접촉을 검출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1)에 탑재된 센서 등을 통해 메인 디바이스(101)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배치 위치, 메인 디바이스(101)를 기준으로 한 상대 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메인 디바이스는 인식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각각 고유의 ID를 부여할 수 있고, 메인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대 좌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추가 확장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는 자신의 좌표를 '0'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나머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대 좌표를 -1, -1:1, 0:1, 0:-1, N:-1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을 메인 디바이스(101)가 직접적으로 검출할 수도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해 배치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의 개수가 많아질 경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메인 디바이스(Screen 0)와 물리적 거리상 멀리 떨어져, 예컨대 NFC 모듈 또는 각종 센서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감지할 수 없는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바이스(101)와 먼저 통신 연결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1)가 메인 디바이스(101)에서 검출하지 못하는 영역에 배치된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3)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1)는 경우에 따라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3)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3)와 직접적으로 통신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330 동작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등록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자신으로 멀티비전 스크린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메인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대 좌표 정보를 종합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배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멀티비전 스크린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디바이스들의 레이아웃이 형성된 경우, 메인 디바이스는 이중 a 구역에 배치된 디바이스들을 멀티비전 스크린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다른 역할을 하는 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340 동작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상기 설정된 멀티비전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동작에서 메인 디바이스(101)는 멀티비전 모드를 수행한다. 멀티비전 모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나열 또는 적층된 여러 개의 전자장치들 각각에 하나의 영상을 분할 출력시키는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즉, 여러 개의 전자장치들로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모드라 할 수 있다.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전자장치 각각에는 멀티비전 모드를 실행시키는 응용 프로그램이 구비되며, 이와 같은 멀티비전 모드는 설계자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101)는 멀티비전 모드를 실행시키는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로서,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메인 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장치로 설정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101)는 멀티비전 모드 실행에 따라 NFC 모듈을 리더(reader)로 동작시키고, 통신 모듈 및 센서부를 실행시킬 수 있다. NFC 모듈을 리더로 동작시킴으로써, 메인 디바이스(101)는 NFC 모듈을 탑재한 다른 전자장치의 접촉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의 실행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101)의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하나의 실행 화면을 예시한다. 상기 실행화면은 와이파이 모듈의 실행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의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센서부의 실행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402 동작에서 메인 디바이스(101)와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접촉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접촉이 NFC 모듈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P2P(Peer-to-peer)방식으로써 ISO/IEC18092 (NFCIP-1) 기반의 데이터 통신 기술이다. NFC 모듈을 이용하면 두 전자장치가 접촉(예컨대 4cm 이하로 근접)할 때 상호간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디바이스(101)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403 동작에서 메인 디바이스(101)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를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전자장치로서 인식 및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디바이스(101)가 먼저 멀티비전 스크린의 서버와 같은 역할로 설정되었으므로, 메인 디바이스(101)는 검출되는 디바이스들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추가할 수 있다. 이때, 검출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고유의 ID를 부여함으로써,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을 구분할 수 있다.
이후 404 동작에서 메인 디바이스(101)는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디바이스(101)는 NFC 모듈을 통해 접촉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정보를 통해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탑재된 와이파이 모듈로 접근을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통신 모듈로서 와이파이 모듈을 개시하였으나, 이 외의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Zig Bee) 또는 고유 프로토콜에 최적화된 무선 네트워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메인 디바이스(101)와 통신 연결된 이후, 405 동작에서 멀티비전 모드를 실행한다. 멀티비전 모드로서, 각종 센서 및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406 동작에서 메인 디바이스(101)에 대응하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배열 위치, 메인 디바이스(101)를 기준으로 이동한 속도 등과 같은 상태정보 및 전자장치의 속성정보를 획득한다. 전자장치의 속성정보는 전자장치의 종류, 기종, 디스플레이 사이즈, 디스플레이 해상도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407 동작에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획득한 상태정보 및 전자장치의 속성정보를 메인 디바이스(101)로 전달한다.
한편,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408 동작에서 NFC 모듈 및 각종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의 접근 또는 접촉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409 동작에서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와 통신 모듈의 연결을 통해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의 상태정보 및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410 동작에서 획득된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의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를 메인 디바이스(101)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411 동작에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로부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의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를 수신한 메인 디바이스(101)는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디바이스(101)는 수신된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관한 정보를 통해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탑재된 통신 모듈로 접근을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통신 모듈로서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Zig Bee) 또는 고유 프로토콜에 최적화된 무선 네트워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및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N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412 동작에서 메인 디바이스(101)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1) 및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의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화면 배치를 파악하고, 상기 멀티비전 스크린에 출력할 멀티비전 영상을 제어한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1)는 앞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부여한 고유의 ID와, 구비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의 총 개수, 구비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이 배치된 레이아웃, 사이즈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상할 수 있다.
더불어, 메인 디바이스(101)는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디바이스들을 역할 별로 분류하여 각각 다른 역할을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디바이스들 중 일부(a)를 메인 TV로 활용하고, 이에 이웃하는 나머지 디바이스들 중 일부(b)를 채널 프리뷰(Channel preview) 및 리모트 컨트롤(remote control, c)로 활용하도록 분리할 수 있다.
이후 메인 디바이스(101)는 413 동작 및 415 동작에서 각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2, 104)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멀티비전 영상은 메인 디바이스(10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이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거나,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그러면 414 동작 및 416 동작에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및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각각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및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하나의 영상이 각 디바이스에 분할된 영상 데이터이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1)에서도 분할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을 메인 디바이스(101)가 직접적으로 검출 및 인식할 수도 있으나,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해 배치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의 개수가 많아질 경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메인 디바이스(101)와 물리적 거리상 멀리 떨어져, 예컨대 NFC 모듈 또는 각종 센서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감지할 수 없는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메인 디바이스(101)와 먼저 통신 연결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1)가 메인 디바이스(101)에서 검출하지 못하는 영역에 배치된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를 검출 및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디바이스(101)는 경우에 따라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1)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와 직접적으로 통신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전자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장치의 상대좌표를 판단하기 위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전자장치(101, 102)는 전면에 각각 제1 카메라(171) 및 제2 카메라(172)를 구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제1 카메라(171)와 제2 카메라(172)의 전면에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될 영상에 대비한 이미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171) 및 제2 카메라(172)를 통해 전면에 구비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캡쳐 이미지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캡쳐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제1 전자장치(101)와 제2 전자장치(102)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대 좌표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캡쳐된 영상이 각각 중첩되는 영역과, 상기 중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제1 전자장치(101)와 제2 전자장치(102)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카메라(171, 172) 전면에 알파벳이 순서대로 평행하여 나열된 이미지가 구비되고, 제1 카메라(171)를 통해 상기 이미지를 촬영한 캡쳐 이미지가 도 11의 상위 이미지이고, 제2 카메라(172)를 통해 상기 이미지를 촬영한 캡쳐 이미지가 도 11의 하위 이미지라고 하자.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제1 카메라(171)가 탑재된 제1 전자장치(101)가 제2 카메라(172)가 탑재된 제2 전자장치(102)의 좌측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입력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표시부 160: 센서부
170: 카메라부 180: 제어부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를 이용한 멀티비전 스크린 구성 방법에 있어서,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를 실행하는 동작;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할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인식 및 등록하는 동작; 및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상기 등록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인식 및 등록하는 동작은,
    상기 메인 디바이스에 탑재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탑재된 NFC 모듈 간의 통신을 이용하는,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검출된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를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이동된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모션,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배치된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제1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비교 분석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분석을 통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배치된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비교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 중 두 영상이 중첩되는 영역과, 상기 중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영상을 비교하는,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이미지 센서, 카메라 센서,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디바이스에 의해 인식(및 등록)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인식된 디바이스인,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10. 멀티비전 스크린 구성을 지원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멀티비전 스크린 모드의 실행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대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상대좌표에 기초하여 하나의 영상을 분할영상으로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스크린 구성을 지원하는 전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디바이스들을 상기 상대좌표에 기초하여 각각 다른 역할을 하는 장치로 분류하는, 멀티비전 스크린 구성을 지원하는 전자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자장치에 근접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접촉을 검출하는 NFC 모듈 및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또는 고유 프로토콜에 최적화된 무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멀티비전 스크린 구성을 지원하는 전자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상기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상대좌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가속도 센서, 이미지 센서, 카메라 센서,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비전 스크린 구성을 지원하는 전자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상태정보 및 속성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상기 전자장치에 전달하는, 멀티비전 스크린 구성을 지원하는 전자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통해 전면의 영상을 각각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대좌표를 설정하는, 멀티비전 스크린 구성을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20130089375A 2013-07-29 2013-07-29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20150014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375A KR20150014553A (ko) 2013-07-29 2013-07-29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PCT/KR2014/006923 WO2015016569A1 (en) 2013-07-29 2014-07-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creen display
US14/909,013 US20160162240A1 (en) 2013-07-29 2014-07-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creen display
EP14832643.2A EP3028447A4 (en) 2013-07-29 2014-07-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creen display
CN201480042761.1A CN105409231A (zh) 2013-07-29 2014-07-29 用于构建多屏显示器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375A KR20150014553A (ko) 2013-07-29 2013-07-29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553A true KR20150014553A (ko) 2015-02-09

Family

ID=5243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375A KR20150014553A (ko) 2013-07-29 2013-07-29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162240A1 (ko)
EP (1) EP3028447A4 (ko)
KR (1) KR20150014553A (ko)
CN (1) CN105409231A (ko)
WO (1) WO20150165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643A (ko) * 2018-10-29 2020-05-08 (주)서울소프트 스마트단말기로 구성된 멀티비젼을 구비한 다채널 avm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7029B1 (en) * 2014-10-07 2017-1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wearable device
WO2016208885A1 (en) * 2015-06-24 2016-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 screen display on mobile device
US10043487B2 (en) 2015-06-24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 screen display on mobile device
KR102373465B1 (ko) 2016-01-04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CN105468326B (zh) * 2016-01-08 2020-03-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信息通道的调整方法和装置
CN105786431A (zh) * 2016-03-04 2016-07-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拼接屏以及实现拼接屏的显示内容自动分配的方法和装置
CN110235438B (zh) * 2016-12-01 2021-12-28 Lg 电子株式会社 图像显示设备和包含该图像显示设备的图像显示系统
GB2561812A (en) * 2017-02-03 2018-10-31 Tv One Ltd Method of video transmission and display
WO2018142159A1 (en) 2017-02-03 2018-08-09 Tv One Limited Method of video transmission and display
CN107368271A (zh) * 2017-06-06 2017-11-21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扩屏显示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终端设备
US11237699B2 (en) 2017-08-18 2022-0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al menu generation
US11301124B2 (en) 2017-08-18 2022-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modification using preview panel
US10417991B2 (en) * 2017-08-18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display device user interface modification
USD998614S1 (en) 2018-01-18 2023-09-12 Clinton Electronics Corporation Portrait public view monitor
WO2020131061A1 (en) * 2018-12-20 2020-06-2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content on a plurality of devices forming a unified display
WO2020131059A1 (en) * 2018-12-20 2020-06-2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a layout of a plurality of devices forming a unified display
US10664217B1 (en) * 2019-03-04 2020-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ing dynamic content on multiple devices
CN110989949B (zh) * 2019-11-13 2023-04-11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异形拼接显示的方法及装置
CN111654742B (zh) * 2020-06-18 2022-06-28 中电长城(长沙)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远程智能联动投屏方法及系统
JP2023030312A (ja) * 2021-08-23 2023-03-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
WO2024065775A1 (en) * 2022-09-30 2024-04-04 Orange A method for extending the display of a content on a first screen of a first device to a second screen of a second device, a device for enabling screen extension and a screen exten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6934A (ja) * 2006-05-23 2009-10-15 Nec Corp 表示装置、これを含んだ機器、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US8644757B2 (en) * 2008-12-04 2014-02-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on and control of virtual rendering devices
KR100969249B1 (ko) * 2009-04-14 2010-07-09 (주)블루픽셀 전면 개폐식 개별 모니터를 이용한 멀티비젼
US20100293502A1 (en) * 2009-05-15 2010-11-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20110109526A1 (en) * 2009-11-09 2011-05-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screen image display
JP5716491B2 (ja) * 2011-03-29 2015-05-13 富士通株式会社 サーバ、端末装置及びグループ化方法
US8842057B2 (en) * 2011-09-27 2014-09-23 Z124 Detail on triggers: transitional states
US8711091B2 (en) * 2011-10-14 2014-04-29 Lenovo (Singapore) Pte. Ltd. Automatic logical position adjustment of multiple screens
KR101881925B1 (ko) * 2012-01-06 2018-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휴대 단말들을 이용하여 멀티 비전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735217B (zh) * 2012-06-14 2015-06-10 燕山大学 一种室内机器人视觉自主定位方法
US20150286456A1 (en) * 2014-01-11 2015-10-08 Userfu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Video Wall Setup and Adjustment Using GUI and Display Ima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643A (ko) * 2018-10-29 2020-05-08 (주)서울소프트 스마트단말기로 구성된 멀티비젼을 구비한 다채널 avm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62240A1 (en) 2016-06-09
EP3028447A1 (en) 2016-06-08
EP3028447A4 (en) 2017-03-22
WO2015016569A1 (en) 2015-02-05
CN105409231A (zh)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4553A (ko) 멀티비전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110232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grating virtual machine for improving mobile user experience
KR102171082B1 (ko) 지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893092B2 (en)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81817B1 (ko)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US9635267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preview control
US9773158B2 (en) Mobile device having face recognition function using additional compon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US94655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hanged shortcut icon corresponding to a status thereof
JP7098757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機能の実施方法及び電子装置
KR102185486B1 (ko) 커버를 이용한 실행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KR102015534B1 (ko) 복수의 단말들간의 메시지 싱크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서버
US201803295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US20230185442A1 (en) Method for providing capture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03677711A (zh) 连接移动终端和外部显示器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装置
US20140059652A1 (en) Apparatus for uploading contents, user terminal apparatus for downloading contents, server, contents sharing system and their contents sharing method
US10921954B2 (en) Method for sharing content and content sharing system
US20170076139A1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JP6027694B2 (ja) スライド操作応答方法、スライド操作応答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40021161A (ko) Nfc 모듈을 가지는 휴대 단말에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US11822760B2 (en) Method for capturing images for multi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140036532A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US12099708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23035056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from stylus pen in electronic apparatus
US20220058038A1 (en) Method for configuring hom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3805770A (zh) 一种光标的移动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