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835A -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835A
KR20140014835A KR1020120081909A KR20120081909A KR20140014835A KR 20140014835 A KR20140014835 A KR 20140014835A KR 1020120081909 A KR1020120081909 A KR 1020120081909A KR 20120081909 A KR20120081909 A KR 20120081909A KR 20140014835 A KR20140014835 A KR 2014001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pedal
driver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용
Original Assignee
백경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경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경물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4835A/ko
Publication of KR2014001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20/105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급발진 상황을 차량의 ECU와 상관없이 확인하도록 한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변 카메라부가 차량의 전방 상황을 촬영하며; 주변 영상 처리부가 상기 주변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을 데이터 처리하며; 페달측 카메라부가 차량 페달측의 상황을 촬영하며; 페달측 영상 처리부가 상기 페달측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페달측 영상을 데이터 처리하며; 가속도 센서부가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며; 영상 저장부가 차량 급발진 발생 시점 전후로 기 설정된 시간만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된 주변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며; 제어부가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에 따라 차량의 이동 여부 및 급가속을 인식하며, 상기 페달측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로 운전자 발의 위치를 인식하여 차량의 급발진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주변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주변 영상 데이터와 상기 페달측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차량 급발진에 대한 원인이 운전자의 운전 미숙에 의한 것이 아님을 증명할 수 있으며, 이에 차량 급발진에 대한 책임을 일방적으로 운전자에게 전가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Apparatus of Ascertaining of Abruptly Driving in the Vehicles and thereof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급발진 상황을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상관없이 확인하도록 한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운전자의 통제 없이, 또는 운전자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차량이 급속하게 발진하여 물적 및 인적 피해를 발생시키는 급발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해당 급발진 사고는 차량 엔진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를 통해 엔진의 시동을 걸거나, 엔진의 시동이 유지되고 있는 정지 상태에서 시프트 레버의 위치를 전진이나 후진의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시점에서, 엔진의 회전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차량이 고속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거나 전후진을 반복하여 주변에 물적 및 인적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리고 차량의 급발진 사고에 대하여 많은 민원이 제기되어, 각 자동차 생산 업체와 연구 및 시험업체에서는 급발진의 원인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고, 단지 차량의 제반적인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프로그램 오동작으로 인해 발생된다고만 추정하고 있을 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급발진에 대한 원인이 운전자의 운전 미숙, 즉 운전자의 실수로 인한 가속 페달을 밟아 일어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책임이 일방적으로 운전자에게 전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근본적인 원인은 지금까지의 급발진 관련 장치의 발명들은 급발진을 방지하는 것에만 중점을 두고 있는 장치였을 뿐, 급발진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장치들이 아니었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0752627호는 운전자가 시동을 걸고 시동을 끌 때까지 ECU에서 제공하는 각 센서의 데이터 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급발진 상황이 발생하면, 각 센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운전자 및 차량의 보호를 위하여 시동을 강제로 정지시키도록 하여, 이후 데이터를 분석하여 급발진의 원인을 기술하여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 및 급발진 상황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 컨트롤 유닛의 진단 연결 커넥터에 부착되는 진단 커넥터; 상기 진단 커넥터에 접속되어 상기 차량의 센서 출력 신호들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신호 분석부; 상기 신호 분석부에서 출력되는 분석신호를 검출하여, 크랭크 위치 센서에서 일정 값 이상의 급격한 회전수 증가가 검출되는 경우 급발진 상황을 판단하고, 차량 충돌 시 충돌의 발생을 측정하는 충돌 센서에서 충돌이 감지되는 경우 급발진 발생 시 일정 시간 전후의 센서 측정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 상기 진단 커넥터로부터 상기 차량의 진단 연결 커넥터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전압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 입력 정보와 구동소프트웨어 및 센서 측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각 센서의 측정 값과 급발진 여부, 작동에 필요한 사항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차량 충돌 시 충돌의 발생을 측정하는 충돌 센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급발진 상황이라 판단하는 경우 차량 전원을 차단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급발진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급발진 상황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각 자동차 생산 업체에서 ECU를 개방해 주지 않기 때문에, ECU의 도움 없이 급발진의 원인을 규명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며, 또한 운전자가 운전 미숙(즉, 가속 페달을 밟음)으로 인한 급발진이 아님을 주장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프로그램 오동작으로 인해 발생된다는 추정되고 있는 문제의 ECU와 상관없이, 차량에서의 급발진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최소한 운전자의 운전 미숙으로 발생된 것이 아님을 확인해 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262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급발진 상황을 차량의 ECU와 상관없이 확인하도록 한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급발진 발생이 운전자와 무관함을 확인하도록 한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서의 급발진 발생 시에 차량의 ECU와 상관없이 차량 급발진 상황을 확인함과 동시에 운전자의 운전 미숙(즉, 가속 페달을 밟음)으로 발생되지 않았음을 확인해 주도록 함으로써, 차량 급발진에 대한 책임을 일방적으로 운전자의 운전 미숙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전가하는 일이 없도록 구현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는 주변 카메라부; 상기 주변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을 데이터 처리하는 주변 영상 처리부; 차량 페달측의 상황을 촬영하는 페달측 카메라부; 상기 페달측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페달측 영상을 데이터 처리하는 페달측 영상 처리부;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부; 차량 급발진 발생 시점 전후로 기 설정된 시간만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된 주변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에 따라 차량의 이동 여부 및 급가속을 인식하며, 상기 페달측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로 운전자 발의 위치를 인식하여 차량의 급발진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주변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주변 영상 데이터와 상기 페달측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는,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기준 영상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달측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운전자 발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달측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사진 데이터들을 일정 시간 단위로 추출하여 서로 비교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이 변화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운전자 발이 이동되는 방향을 확인해 운전자 발의 위치를 식별하는 발 위치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르게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는, 차량이 급가속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가속도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한 기준 가속도 값보다 큰지를 확인하여 차량의 급가속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을 확인하여 차량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 페달측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에 없는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가속도 값보다 큰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가속도 값보다 큰 경우, 차량 급발진을 판단하여 주변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을 확인하여 차량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 페달측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사진 데이터들을 일정 시간 단위로 추출하여 서로 비교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이 변화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운전자 발이 이동되는 방향을 확인해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에 없는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가속도 값보다 큰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가속도 값보다 큰 경우, 차량 급발진을 판단하여 주변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급발진 여부를 확인하여 전방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영상 저장부에 저장해 둠으로써, 차량 급발진에 대한 원인이 운전자의 운전 미숙에 의한 것이 아님을 증명할 수 있으며, 이에 차량 급발진에 대한 책임을 일방적으로 운전자에게 전가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다시 말해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카메라부(110), 전방 영상 처리부(120), 페달측 카메라부(130),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 가속도 센서부(150), 영상 저장부(160), 메모리부(170),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전방 카메라부(110)는, 카메라가 차량의 전방 유리창이나 데쉬보드 등에 설치되어, 해당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전방 상황을 촬영하고, 해당 촬영된 전방 영상(즉, 전방 동영상)을 전방 영상 처리부(120)로 입력한다. 여기서 전방 카메라부(110)를 차량의 전방 상황을 촬영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후방, 또는 측방, 하부, 상부 중 어디에도 설치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해야 한다. 즉, 후방 카메라, 또는 측방 카메라, 하부 카메라, 상부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둘 수 있으며, 차량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는 주변 카메라부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카메라부는 차량의 실내, 특히 차량의 계기판을 촬영하는 카메라(실내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즉, 차량의 계기판을 촬영함으로써 차량의 속도 및 엔진 회전수 등도 영상으로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전방 영상 처리부(120)는 전방 카메라부(110)로부터 입력된 전방 영상을 제어부(18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예를 들어, 디지털 변환 처리, 화소 처리, 프레임 처리 등)하고, 해당 처리된 전방 영상 데이터(즉, 전방 동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입력한다. 다르게는, 전방 영상 처리부(120)는 차량의 주변 상황이나 실내를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주변 영상 처리부 또는 실내 영상 처리부)일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페달측 카메라부(130)는, 카메라가 운전석의 운전대 아래 부분 등에 설치되는데, 이때 운전석의 운전대 아래 부분 등이 어두운 환경이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사물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적외선(IR) 카메라 등을 설치하도록 하며, 해당 카메라를 통해 페달측의 상황(즉, 차량의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 부분에서의 운전자 발의 움직임)을 촬영하고, 해당 촬영된 페달측 영상(즉, 페달측 동영상)을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로 입력한다.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는 페달측 카메라부(130)로부터 입력된 페달측 영상을 제어부(18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해당 처리된 페달측 영상 데이터(즉,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입력한다.
가속도 센서부(150)는 관성식, 자이로식, 실리콘 반도체식 등이 있으며, 차량의 운동 상태를 상세하게 감지하는데, 차량이 움직일 때에 발생되는 가속도의 동적 힘을 측정하고 해당 측정된 동적 힘에 해당하는 가속도 값을 제어부(180)에 입력한다.
영상 저장부(160)는 제어부(180)로부터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데, 특히 차량의 급발진 발생 시에 차량 급발진 발생 시점 전후로 기 설정된 시간만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받아 별도의 영역에 저장한다.
메모리부(170)는 제어부(180)의 급발진 확인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특히 차량이 급가속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가속도 값을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기준 영상 데이터들(즉, 운전자 발이 페달(즉,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았을 때의 운전자 발 위치에 대한 영상 데이터,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을 밟았을 때의 운전자 발 위치에 대한 영상 데이터, 운전자 발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의 운전자 발 위치에 대한 영상 데이터)을 설정하여 저장해 둔다.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가속도 값에 따라 차량의 이동 여부 및 급가속을 인식하며,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되는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운전자 발의 위치를 인식하고, 해당 인식된 결과에 따라 차량의 급발진 여부를 확인하고, 전방 영상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되는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영상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가속도 값을 확인하여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이동 판단부(181)를 더 포함하며, 차량 이동 판단부(181)에 의해 차량의 이동 여부를 인식한다.
다르게는, 차량 이동 판단부(181)는 전방 영상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전방 동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1초당 30프레임의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사진 데이터들을 일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1/15 초마다)로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을 서로 비교하여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이 변화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의 변화가 미리 설정한 시간(예를 들어, 1초)만큼 계속 연속적으로 있는지를 확인하여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다르게는, 차량 이동 판단부(181)는 GPS 수신 모듈을 탑재하여 해당 GPS 수신 모듈을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메모리부(170)로부터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기준 영상 데이터들을 판독하고,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되는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1초당 30프레임의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사진 데이터들을 일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1/15 초마다)로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을 해당 판독한 기준 영상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이 해당 판독한 어떤 기준 영상 데이터와 유사한지를 확인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이 유사한 기준 영상 데이터로 운전자 발의 위치를 식별하는 발 위치 인식부(182)를 더 포함하며, 발 위치 인식부(182)에 의해 운전자 발의 위치를 인식한다.
다르게는, 발 위치 인식부(182)는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되는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1초당 30프레임의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사진 데이터들을 일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1/15 초마다)로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을 서로 비교하여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이 변화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운전자 발이 이동되는 방향(즉,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의 변화가 가속 페달이 위치하고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또는 왼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브레이크 페달이 위치하고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되었는지, 가속 페달 아래 지점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또는 왼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브레이크 페달 아래 지점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등)을 확인하여 운전자 발의 위치를 식별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부(150)로부터 가속도 값을 입력받아 메모리부(170)로부터 차량이 급가속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가속도 값을 판독하고, 가속도 센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가속도 값과 메모리부(170)로부터 판독한 기준 가속도 값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가속도 센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가속도 값이 메모리부(170)로부터 판독한 기준 가속도 값보다 큰지를 확인하여 차량이 급가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급가속 판단부(183)를 더 포함하며, 급가속 판단부(183)에 의해 차량의 급가속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발 위치 인식부(182)에서 식별된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급가속 판단부(183)에서 확인된 차량의 급가속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발 위치 인식부(182)로부터 입력된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을 밟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급가속 판단부(183)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급가속 여부에 대한 정보로부터 차량의 급가속 여부를 확인하여, 차량이 급발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급발진 판단부(184)를 더 포함하며, 급발진 판단부(184)에 의해 차량의 급발진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전방 영상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되는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주는 시간 동기화부(185)를 더 포함하며, 시간 동기화부(185)에 의해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160)에 저장해 준다. 다르게는, 시간 동기화부(185)는 자체 타임 클럭을 이용하지 않고, GPS 수신 모듈을 탑재하여 해당 GPS 수신 모듈을 통해 시간을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시간으로 동기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급발진 판단부(184)에 의해 차량의 급발진이 확인된 경우에, 해당 확인된 시점 전후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차량의 급발진 전 10초와 차량의 급발진 후 20초)만큼 시간 동기화부(185)에 의해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160)에 별도로 저장해 줌으로써, 추후에 영상 저장부(160)에 별도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여, 차량 급발진에 대한 원인이 운전자의 운전 미숙에 의한 것이 아님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더욱이, 제어부(180)는 발 위치 인식부(182)에서 식별된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급가속 판단부(183)에서 확인된 차량의 급가속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발 위치 인식부(182)로부터 입력된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을 밟고 있음을 확인하고 급가속 판단부(183)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급가속 여부에 대한 정보로부터 차량의 급가속 여부를 확인하여, 운전자의 실수로 가속 페달을 밟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운전자 경고부(186)를 더 포함하며, 운전자 경고부(186)에 의해 경고음이나 경고 표시로 운전자의 운전 실수를 경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는, 영상 저장과 함께 차량 내의 상황을 추가로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차량 내의 음성을 녹음하는 녹음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의 운용 방법을 도 2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가속도 센서부(150)에서는 차량의 운동 상태를 상세하게 감지하는데, 차량이 움직일 때에 발생되는 가속도의 동적 힘을 측정하고 해당 측정된 동적 힘에 해당하는 가속도 값을 제어부(180)에 입력하게 된다.
이에, 제어부(180) 내에 구비된 차량 이동 판단부(181)는, 가속도 센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가속도 값을 확인하여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때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201).
다르게는, 전방 카메라부(110)는 차량의 전방 유리창이나 데쉬보드 등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전방 상황을 촬영하고, 해당 촬영된 전방 영상(즉, 전방 동영상)을 전방 영상 처리부(120)로 입력하며, 이에 전방 영상 처리부(120)는 전방 카메라부(110)로부터 입력된 전방 영상을 제어부(18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예를 들어, 디지털 변환 처리, 화소 처리, 프레임 처리 등)하고, 해당 처리된 전방 영상 데이터(즉, 전방 동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입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이동 판단부(181)가 전방 영상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전방 동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1초당 30프레임의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사진 데이터들을 일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1/15 초마다)로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을 서로 비교하여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이 변화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의 변화가 미리 설정한 시간(예를 들어, 1초)만큼 계속 연속적으로 있는지를 확인하여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만약에,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차량이 이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확인하였을 때, 제어부(18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시 상술한 단계 S201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반면에,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를 확인하였을 때, 페달측 카메라부(130)는 운전석의 운전대 아래 부분 등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페달측의 상황(즉, 차량의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 부분에서의 운전자 발의 움직임)을 촬영하고, 해당 촬영된 페달측 영상(즉, 페달측 동영상)을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로 입력하며, 이에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는 페달측 카메라부(130)로부터 입력된 페달측 영상을 제어부(18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해당 처리된 페달측 영상 데이터(즉,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80) 내에 구비된 발 위치 인식부(182)는, 메모리부(170)로부터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기준 영상 데이터들을 판독하고,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되는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1초당 30프레임의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사진 데이터들을 일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1/15 초마다)로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을 해당 판독한 기준 영상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이 해당 판독한 어떤 기준 영상 데이터와 유사한지를 확인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이 유사한 기준 영상 데이터로 운전자 발의 위치를 식별하는데, 이때 운전자 발의 위치가 가속 페달에 있는지를 확인한다(S202).
다르게는, 발 위치 인식부(182)가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되는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1초당 30프레임의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사진 데이터들을 일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1/15 초마다)로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을 서로 비교하여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이 변화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운전자 발이 이동되는 방향(즉,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의 변화가 가속 페달이 위치하고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또는 왼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브레이크 페달이 위치하고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되었는지, 가속 페달 아래 지점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또는 왼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브레이크 페달 아래 지점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되었는지 등)을 확인하여 운전자 발의 위치를 식별하여, 운전자 발의 위치가 가속 페달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만약에, 상술한 단계 S202에서 운전자 발의 위치가 가속 페달에 없는 경우를 확인하였을 때, 제어부(180) 내에 구비된 급가속 판단부(183)는, 가속도 센서부(150)로부터 가속도 값을 입력받아 메모리부(170)로부터 차량이 급가속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가속도 값을 판독하고, 가속도 센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가속도 값과 메모리부(170)로부터 판독한 기준 가속도 값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고, 가속도 센서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가속도 값이 메모리부(170)로부터 판독한 기준 가속도 값보다 큰지를 확인하여 차량이 급가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때 차량이 급가속하였는지를 확인한다(S203).
이때,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차량이 급가속되지 않은 경우를 확인하였을 때, 제어부(180)는 정상적인 차량 운행 중임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시 상술한 단계 S201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 S203에서 차량이 급가속하였을 경우를 확인하였을 때, 제어부(180) 내에 구비된 급발진 판단부(184)는, 발 위치 인식부(182)에서 식별된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급가속 판단부(183)에서 확인된 차량의 급가속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발 위치 인식부(182)로부터 입력된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을 밟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급가속 판단부(183)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급가속 여부에 대한 정보로부터 차량의 급가속 여부를 확인하여, 차량이 급발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때 차량이 급발진되었음으로 판단한다(S204).
이에, 제어부(180) 내에 구비된 시간 동기화부(181)는, 전방 영상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되는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준 후에(S205),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160)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급발진 판단부(184)에 의해 차량의 급발진이 확인된 시점 전후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차량의 급발진 전 10초와 차량의 급발진 후 20초)만큼, 시간 동기화부(181)에 의해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160)에 별도로 저장해 주게 된다(S206).
이에 따라, 영상 저장부(160)는 제어부(180)로부터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데, 이때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차량 급발진 발생 시점 전후로 기 설정된 시간만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받아 별도의 영역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추후에 별도의 영역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여, 차량 급발진에 대한 원인이 운전자의 운전 미숙에 의한 것이 아님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때, 별도의 영역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할 때에 별도의 뷰어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데, 뷰어 프로그램에 의해 별도의 영역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반면에, 상술한 단계 S202에서 운전자 발의 위치가 가속 페달에 있는 경우를 확인하였을 때, 제어부(180) 내에 구비된 운전자 경고부(186)는, 발 위치 인식부(182)에서 식별된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급가속 판단부(183)에서 확인된 차량의 급가속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발 위치 인식부(182)로부터 입력된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부터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을 밟고 있음을 확인하고 급가속 판단부(183)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급가속 여부에 대한 정보로부터 차량의 급가속 여부를 확인하여, 운전자의 실수로 가속 페달을 밟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데, 이때 경고음이나 경고 표시로 운전자의 운전 실수를 경고해 주게 된다(S207).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속도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속도 값에 따라 차량의 이동 여부 및 급가속을 인식하며, 페달측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 발의 위치를 인식하고, 해당 인식된 결과에 따라 차량의 급발진 여부를 확인하고, 전방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방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영상 저장부에 저장해 둠으로써, 차량 급발진에 대한 원인이 운전자의 운전 미숙에 의한 것이 아님을 증명할 수 있으며, 이에 차량 급발진에 대한 책임을 일방적으로 운전자에게 전가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전방 카메라부
120: 전방 영상 처리부
130: 페달측 카메라부
140: 페달측 영상 처리부
150: 가속도 센서부
160: 영상 저장부
170: 메모리부
180: 제어부
181: 차량 이동 판단부
182: 발 위치 인식부
183: 급가속 판단부
184: 급발진 판단부
185: 시간 동기화부
186: 운전자 경고부

Claims (6)

  1.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는 주변 카메라부;
    상기 주변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을 데이터 처리하는 주변 영상 처리부;
    차량 페달측의 상황을 촬영하는 페달측 카메라부;
    상기 페달측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페달측 영상을 데이터 처리하는 페달측 영상 처리부;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부;
    차량 급발진 발생 시점 전후로 기 설정된 시간만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된 주변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에 따라 차량의 이동 여부 및 급가속을 인식하며, 상기 페달측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로 운전자 발의 위치를 인식하여 차량의 급발진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주변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주변 영상 데이터와 상기 페달측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페달측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 발의 위치에 대한 기준 영상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달측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운전자 발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달측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페달측 동영상 데이터 중에서 사진 데이터들을 일정 시간 단위로 추출하여 서로 비교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이 변화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운전자 발이 이동되는 방향을 확인해 운전자 발의 위치를 식별하는 발 위치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이 급가속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가속도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한 기준 가속도 값보다 큰지를 확인하여 차량의 급가속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5.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을 확인하여 차량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 페달측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에 없는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가속도 값보다 큰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가속도 값보다 큰 경우, 차량 급발진을 판단하여 주변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의 운용 방법.
  6.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을 확인하여 차량 이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 페달측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사진 데이터들을 일정 시간 단위로 추출하여 서로 비교하고, 해당 추출된 사진 데이터들이 변화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운전자 발이 이동되는 방향을 확인해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운전자 발이 가속 페달에 없는 경우,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가속도 값보다 큰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속도 값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가속도 값보다 큰 경우, 차량 급발진을 판단하여 주변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페달측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서로 동기화시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의 운용 방법.
KR1020120081909A 2012-07-26 2012-07-26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140014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909A KR20140014835A (ko) 2012-07-26 2012-07-26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909A KR20140014835A (ko) 2012-07-26 2012-07-26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835A true KR20140014835A (ko) 2014-02-06

Family

ID=5026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909A KR20140014835A (ko) 2012-07-26 2012-07-26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48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01294C2 (ru) * 2015-03-16 2019-09-25 ФОРД ГЛОУБАЛ ТЕКНОЛОДЖИЗ, ЭлЭлС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истема выявления объектов в углублении для ног и способ для выявления объектов в углублении для ног
CN114475622A (zh) * 2020-11-13 2022-05-13 博泰车联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监控驾驶行为的方法及相关装置
KR102474666B1 (ko) * 2022-04-01 2022-12-07 구대회 급발진 상황모니터링장치
KR102599912B1 (ko) * 2023-03-28 2023-11-08 주식회사 지넷시스템 차량의 급발진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다채널 블랙박스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01294C2 (ru) * 2015-03-16 2019-09-25 ФОРД ГЛОУБАЛ ТЕКНОЛОДЖИЗ, ЭлЭлС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истема выявления объектов в углублении для ног и способ для выявления объектов в углублении для ног
CN114475622A (zh) * 2020-11-13 2022-05-13 博泰车联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监控驾驶行为的方法及相关装置
KR102474666B1 (ko) * 2022-04-01 2022-12-07 구대회 급발진 상황모니터링장치
KR102599912B1 (ko) * 2023-03-28 2023-11-08 주식회사 지넷시스템 차량의 급발진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다채널 블랙박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23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position display of vehicle
JP6380002B2 (ja) 周辺監視装置
JP6996161B2 (ja) 駐車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60115120A1 (en) Vehicle surroundings monitoring apparatus
KR20140014835A (ko) 차량에서의 급발진 확인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10991086B2 (en) Adhered substance detection apparatus
JP6728634B2 (ja) 検知装置、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0097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driver interaction system
JP2018117176A (ja) 周辺監視装置
JP2008021177A (ja) 危険状況判断装置及び危険状況記録装置
JP2008033822A (ja) 運転支援装置
JP2022144818A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
JP2012164131A (ja) ドライブレコーダ装置及びそのイベント識別方法
JP2005219611A (ja) 運転支援装置
JP4176558B2 (ja) 車両周辺表示装置
JP6288204B1 (ja) 車両用制限速度検出装置
JP2012208559A (ja) 駐車支援装置
JP2012252550A (ja) 車載画像記録装置
KR101311112B1 (ko)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US11220181B2 (en) Operation control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666343B1 (ko) 차량의 초음파 센서와 영상 센서의 데이터 통합처리 시스템
JP5902051B2 (ja) 画像監視装置、車両、プログラム、および故障判別方法
JP6331232B2 (ja) 車両用制限速度検出装置
JP4999901B2 (ja) 運転支援装置
JP2008150039A (ja) 乗員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