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300A -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 Google Patents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300A
KR20140013300A KR1020120079943A KR20120079943A KR20140013300A KR 20140013300 A KR20140013300 A KR 20140013300A KR 1020120079943 A KR1020120079943 A KR 1020120079943A KR 20120079943 A KR20120079943 A KR 20120079943A KR 20140013300 A KR20140013300 A KR 20140013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pile
temporary
cap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0555B1 (ko
Inventor
한승수
조창건
최용섭
최규태
Original Assignee
유호산업개발(주)
조창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호산업개발(주), 조창건 filed Critical 유호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20120079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5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 말뚝의 두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강관 말뚝의 절단이 필요 없어지며 제거 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강관 말뚝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고 강재로 제작된 판상의 지압판과; 원통형으로 강관 말뚝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강재로 제작되며 지압판의 바닥면에 하방으로 입설되어 강관 말뚝의 두부측 외경부에 삽입되는 원통슬리브와; 원통슬리브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원통슬리브의 수직 중심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캡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Steel pipe pile cap for supporting temporary bridge girder or temporary bent}
본 발명은 가설교량의 주형 또는 가설벤트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말뚝에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 말뚝 머리에 결합되는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관 말뚝의 두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강관 말뚝의 재사용시 분리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에 관한 것이다.
가설 교량에 필요한 거더 및 동바리용 가설벤트를 설치하기 위해 가설벤트를 지지하는 강관말뚝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설치시 강관말뚝과 거더 및 벤트의 연결이 용이하여야 하며 연결의 용이성으로 인해 사용되는 용접은 강관말뚝 인발시 강관말뚝의 손실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024259호로서 '파일두부 브라켓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이 있다. 이 시공 방법에 적용된 파일두부브라켓은 강관파일들의 두부가 삽입되어 감싸지도록 형성된 원통형 몸통부; 상기 원통형 몸통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판플레이트; 및 상기 원통형 몸통부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4개의 주형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에서 파일두부 브라켓을 강관 파일에 고정하거나 제거시키기 위한 잠금 및 해체 수단이 없다. 따라서 상부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렵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47038호
본 발명은 강관 말뚝의 두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강관 말뚝의 재사용시 분리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강관 말뚝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고 강재로 제작된 판상의 지압판과;
원통형으로 강관 말뚝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강재로 제작되며 지압판의 바닥면에 하방으로 입설되어 강관 말뚝의 두부측 외경부에 삽입되는 원통슬리브와;
원통슬리브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원통슬리브의 수직 중심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캡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 빔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지압판에 수직으로 복수 개의 위치고정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캡 고정볼트의 조임시 강관 말뚝의 두부측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강관 말뚝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지압판의 바닥면에 설치된 원형 또는 십자형 변형방지판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캡 고정볼트에는 선단에 강관 말뚝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가압판이 설치되고, 조임된 캡 고정볼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너트가 캡 고정 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에 따르면, 강관 말뚝의 두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발 전 강관 말뚝의 절단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강관 말뚝의 길이가 감소되지 않아 그대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은 캡 고정볼트의 풀림 조작만으로 간단히 해체되어 다음 강관 말뚝에 간단히 설치되어 공기를 단축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이 강관 말뚝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이 강관 말뚝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3a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캡 고정볼트의 조임 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10)은 가설벤트(2)의 하단에 결합된 베이스 빔(3)을 지지하도록 강관 말뚝(5)에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10)은 강관 말뚝(5)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과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의 지압판(12)이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압판(12)은 강재(steel)로서 사각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태에 지압판(12)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압판(12)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원통슬리브(14)가 설치된다. 원통슬리브(14)는 지압판(12)의 바닥면에 하방으로 입설된다. 원통슬리브(14)는 강관 말뚝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원통슬리브(14)는 강재로서 용접 또는 볼트를 통해 지압판(1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원통슬리브(14)에 복수개의 캡 고정볼트(16)가 설치된다. 캡 고정볼트(16)는 원통슬리브(14)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사구멍(14a)을 통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캡 고정볼트(16)는 원통슬리브(14)의 수직 중심축(Z)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는 2개의 캡 고정볼트(16)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 캡 고정볼트(16)는 적어도 한 쌍이면 되므로 설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와 같이 캡 고정볼트(16)에는 선단에 강관 말뚝(5)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 반경(R)을 갖는 곡면가압판(161)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곡면가압판(161)은 그 내면(161a)에 강관 말뚝(5)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서 면접촉된다.
잠금너트(17)가 캡 고정볼트(16)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잠금너트(17)는 캡 고정볼트(16)의 조임 후 원통슬리브(14)에 밀착되어 캡 고정볼트(16)의 풀림을 방지한다.
한편, 베이스 빔(3)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지압판(12)에 수직으로 복수 개의 위치고정부재(1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재(18)는 철근 또는 강봉이 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재(18)는 베이스 빔(3)의 길이 방향 양측면에 위치되면서 강관 말뚝(5)의 외주면과 원통슬리브(14) 내주면 사이의 간격에 위치되도록 지압판(12)에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위치고정부재(18)는 지압판(12)에 관통된 구멍(121)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후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으나 특정한 설치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치고정부재(18)는 베이스 빔(3)의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과 함께 강관 말뚝(5)의 외면과 원통슬리브(14) 사이의 간격을 메꿔 캡 고정볼트(16)의 조임시 원통슬리브(1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가진다.
또한, 강관 말뚝(5)의 두부측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강관 말뚝(5)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지압판(12)의 바닥면에 변형방지판(2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변형방지판(20)은 캡 고정볼트(16)의 회전 조임시 강관 말뚝(5)의 상단부 형태를 유지시켜 변형을 방지한다. 변형방지판(20)은 도 3a 및 도 4와 같이 복수의 강재판이 서로 직교 방향으로 만나서 십자형태로 구성되거나 도 3b와 같이 원형으로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변형방지판(20)이 십자형태로 구성될 경우 캡 고정볼트(16)는 십자형 변형방지판(20)의 위치에 대응되게 4개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사용 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지반으로 강관 말뚝(5)이 관입된다. 강관 말뚝(5)은 가설벤트(2)의 지지를 위해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가지고 정렬되도록 관입 배치된다.
다음, 강관 말뚝(5)에 준비된 강관 말뚝 캡(10)을 설치한다.
이때 변형 방지원판(20)이 강관 말뚝(5)의 두부측 내경에 위치되고, 지압판(12)의 바닥면은 강관 말뚝(5)의 상면에 안착된다. 또한 원통슬리브(14)는 강관 말뚝(5)의 외경부 둘레에 위치된다.
그 다음, 캡 고정볼트(16)를 조여 곡면 가압판(161)을 강관 말뚝(5)에 밀착시킨다. 이때 2개의 캡 고정볼트(16)를 서로 번갈아 가면서 조임한 후 잠금너트(14)를 원통슬리브(14)측에 밀착시켜 캡 고정볼트(16)를 고정시킨다.
그 다음, 베이스 빔(3)을 지압판(12)의 상면에 거치시켜 놓음으로써 가설벤트(2)를 베이스 빔(3)이 지지하게 된다. 이때 위치고정부재(18)가 베이스 빔(3)의 이탈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설벨트(2)를 이용한 작업이 완료되면, 베이스 빔(3)을 들어낸 후 잠금 너트(17)를 풀고 캡 고정볼트(16)의 고정력을 해제시킨다.
그 다음, 강관 말뚝 캡(10)을 해당 강관 말뚝(5)에서 제거시키고, 해당 강관 말뚝(5)을 인발하여 다른 작업 위치에 관입시킨 후 강관 말뚝 캡(10)을 전술한 바와 같이 재사용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관 말뚝(5)의 두부를 종래와 같이 절단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인발하여 사용하므로 길이가 줄어드는 일은 없다. 따라서 강관 말뚝(5)을 그대로 재활용하므로 시공비가 절감된다. 또한 강관 말뚝 캡(10)도 재활용하게 되므로 경제적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지압판
14: 원통슬리브
16: 캡 고정볼트
161: 곡면가압판
17: 잠금너트
18: 위치고정부재
20: 변형방지판

Claims (4)

  1. 강관 말뚝(5)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고 강재로 제작된 판상의 지압판(12)과;
    원통형으로 강관 말뚝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강재로 제작되며 지압판(12)의 바닥면에 하방으로 입설되어 강관 말뚝(5)의 두부측 외경부에 삽입되는 원통슬리브(14)와;
    원통슬리브(14)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원통슬리브(14)의 수직 중심축(Z)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캡 고정볼트(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2.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 빔(3)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지압판(12)에 수직으로 복수 개의 위치고정부재(18)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3. 제 1항에 있어서,
    캡 고정볼트(16)의 조임시 강관 말뚝(5)의 두부측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강관 말뚝(5)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지압판(12)의 바닥면에 설치된 원형 또는 십자형 변형방지판(20)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4. 제 1항에 있어서,
    캡 고정볼트(16)에는 선단에 강관 말뚝(5)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가압판(161)이 설치되고, 조임된 캡 고정볼트(16)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너트(17)가 캡 고정 볼트(16)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 주형 또는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KR20120079943A 2012-07-23 2012-07-23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KR101490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9943A KR101490555B1 (ko) 2012-07-23 2012-07-23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9943A KR101490555B1 (ko) 2012-07-23 2012-07-23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300A true KR20140013300A (ko) 2014-02-05
KR101490555B1 KR101490555B1 (ko) 2015-02-06

Family

ID=5026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79943A KR101490555B1 (ko) 2012-07-23 2012-07-23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5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7322A (zh) * 2015-03-20 2015-06-24 济南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一种利用钢管桩固定锚杆且可回收的装置及施工方法
CN106049281A (zh) * 2016-06-01 2016-10-26 中国铁建大桥工程局集团有限公司 水卵石土和泥质砂岩区桥梁深水施工方法及辅助工作平台
CN107642046A (zh) * 2017-10-31 2018-01-30 中铁十六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钢管桩支架卸落装置
KR20190036708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강관 말뚝에 밀착되는 가설벤트 연결용 강관 말뚝 캡
CN109811771A (zh) * 2019-01-16 2019-05-28 北京建材地质工程有限公司 使锚杆钢腰梁张拉时不发生弯曲的简易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2146B2 (ja) * 2004-02-12 2010-06-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上部構造物と杭と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JP4339179B2 (ja) * 2004-05-13 2009-10-07 固志 千代 基礎杭の杭頭部構造
KR100685862B1 (ko) * 2006-01-26 2007-02-22 주식회사지엠테크 강관 말뚝머리 보강구조
KR101008943B1 (ko) * 2010-09-20 2011-01-17 동아이엔지(주) 파일로 고정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조립식 일체형 방음벽 기초를 가지는 방음벽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7322A (zh) * 2015-03-20 2015-06-24 济南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一种利用钢管桩固定锚杆且可回收的装置及施工方法
CN106049281A (zh) * 2016-06-01 2016-10-26 中国铁建大桥工程局集团有限公司 水卵石土和泥质砂岩区桥梁深水施工方法及辅助工作平台
KR20190036708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강관 말뚝에 밀착되는 가설벤트 연결용 강관 말뚝 캡
CN107642046A (zh) * 2017-10-31 2018-01-30 中铁十六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钢管桩支架卸落装置
CN107642046B (zh) * 2017-10-31 2023-09-05 中铁十六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钢管桩支架卸落装置
CN109811771A (zh) * 2019-01-16 2019-05-28 北京建材地质工程有限公司 使锚杆钢腰梁张拉时不发生弯曲的简易方法
CN109811771B (zh) * 2019-01-16 2020-09-01 北京建材地质工程有限公司 使锚杆钢腰梁张拉时不发生弯曲的简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555B1 (ko) 201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555B1 (ko) 가설벤트 지지용 강관 말뚝 캡
KR101409418B1 (ko) 강관 소켓 및 이를 이용한 강관 말뚝과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JP2009174233A (ja) 角柱状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型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角柱状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CN114457789A (zh) 一种钻孔桩钢筋笼安装平台
CN110666439B (zh) 用于圆筒外部件焊接、热处理防变形的内撑装置及方法
CN103343639B (zh) 一种高效调节的滑模系统
CN211057626U (zh) 一种应用预制盖梁施工的盖梁精调系统
CN111997082A (zh) 地脚螺栓固定装置及地脚螺栓固定施工方法
CN110924670A (zh) 一种用于悬挑梁脚手架工字钢的固定装置
US3660871A (en) Universal beam clamp
KR101570677B1 (ko)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KR101781354B1 (ko) 프리캐스트 아치부재의 제작을 위한 곡률가변형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아치부재의 제작방법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1424606B1 (ko) 강관 소켓 및 이를 이용한 강관 말뚝과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KR101235758B1 (ko) 앵커볼트 설치용 플레이트 지그
JP5105551B2 (ja) 柱鉄筋組付用治具、柱鉄筋組付用治具セット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製造方法
KR102105232B1 (ko) 강관 말뚝에 밀착되는 가설벤트 연결용 강관 말뚝 캡
CN204959514U (zh) 一种轨排扣件安装工具
CN211922280U (zh) 一种用于桥梁工程墩柱盖梁施工的可循钢棒支座
CN206028597U (zh) 一种钢筋笼的加工装置及加工系统
CN110593559A (zh) 一种混凝土梁模板支撑装置及其施工工艺
CN217581330U (zh) 装配式建筑预制墙体钢制定位装置
KR20160027475A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의 거푸집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214006573U (zh) 一种用于斜混凝土支柱钢模浇筑外壳上的辅助夹具
JP6322057B2 (ja) 回転圧入鋼管杭の接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