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227A -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227A
KR20140013227A KR1020120079643A KR20120079643A KR20140013227A KR 20140013227 A KR20140013227 A KR 20140013227A KR 1020120079643 A KR1020120079643 A KR 1020120079643A KR 20120079643 A KR20120079643 A KR 20120079643A KR 20140013227 A KR20140013227 A KR 20140013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area
built
ima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2862B1 (ko
Inventor
박길철
최승배
김선호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8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CCTV 카메라 및 방범 센터로 구성되는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음영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CCTV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있거나 또는 CCTV 카메라의 영상에서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 내장 카메라가 구동되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방범 센터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와, CCTV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SMART SECURITY SYSTEM CAPABLE OF OPERATING IN DEAD ZON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CCTV 카메라 및 방범 센터로 구성되는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음영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CCTV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있거나 또는 CCTV 카메라의 영상에서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 내장 카메라가 구동되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방범 센터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와, CCTV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장비없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장의 영상을 전송하도록 하고, 전송된 영상을 기초로 하여 신속한 상황 판단과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인근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원격지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황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의 영상을 CCTV 영상과 함께 이용함으로써 CCTV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각지대에서의 방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하여 연구가 활발하다.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47193호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폰 내장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송하여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개략적으로 보면, 상기 시스템은, 내장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 및 자신의 위치 정보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저장하는 서버 및 적어도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을 주변의 통행자에게 제공하는 방범용 폴을 포함하고,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이 전송한 위치 정보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방범용 폴로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시스템은 방범용 폴에 설치된 CCTV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곳에서는 커다란 효용성을 갖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즉 CCTV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곳에서는 현장 상황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으로 구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CCTV의 사각지대에서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다고 하더라도 휴대시 흔들림으로 의해 용의자의 모습을 정확히 촬영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와 휴대 단말기 내장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함께 활용하되, CCTV 촬영지역을 벗어난 경우라도 보다 감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내장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얼굴이 검출 인식되기에 적합하도록 카메라를 구동할 수 있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CCTV 카메라 및 방범 센터로 구성되는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음영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CCTV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있거나 또는 CCTV 카메라의 영상에서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 내장 카메라가 구동되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방범 센터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와, CCTV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가 음영모드를 설정하는 것은 휴대 단말기 외부의 버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범 센터는,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하여 제2의 CCTV 카메라 설치 지역에 있을 경우에, 제2의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범 센터가 디스플레이할 때에는, 휴대 단말기 영상 데이터및/또는 CCTV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휴대 단말기는 내장 카메라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내장 카메라 구동부는, 내장 카메라 촬영 영상이 사람일 경우 얼굴 인식에 적합하도록 영상을 줌인 또는 줌아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내장 카메라 구동부는, 상기 얼굴 인식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체 영상 영역인 화상 영역과, 상기 화상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면적의 얼굴 인식 영역을 기초로 내장 카메라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내장 카메라 구동부는, 상기 내장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에서 검출한 얼굴 영역이 상기 얼굴 인식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 줌인을 수행하고, 상기 얼굴 인식 영역의 크기보다 넓을 경우 줌아웃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얼굴 인식 영역은 기준 인식 영역값과 가중값에 기초하여 정하여 지고, 상기 기준 인식 영역값은 조도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준 인식 영역값은 조도에 반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내장 카메라 구동부는, 상기 기준 인식 영역값에 가중값을 더한 면적의 플러스 인식 영역과 가중값을 감한 면적의 마이너스 인식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플러스 인식 영역과 마이너스 인식 영역의 범위 밖에서는 줌인 또는 줌아웃을 수행하고, 상기 범위 내에서는 줌인과 줌아웃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은,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와 휴대 단말기 내장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함께 활용하되, CCTV 촬영지역을 벗어난 경우라도 보다 감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은,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CCTV 사각지대에 있을 경우에 휴대 단말기 내장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방범 기능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은, 휴대 카메라에 장착된 내장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얼굴이 검출 인식되기에 적합하도록 카메라를 구동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의 카메라 이동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내장 카메라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내장 카메라에서 인식되는 사람의 얼굴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라는 표현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으며, 여기에서 사용된 ‘단수 표현’은 구성요소의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전체적인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신호 흐름을 설명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100), 고정되어 설치되는 CCTV 카메라(200) 및 방범 센터(30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모드 설정 모듈(110), 내장 카메라 모듈(120), GPS 모듈(130) 및 통신 모듈(14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휴대 단말기는 스마트폰 또는 무선통신장치 등은 물론 본 발명의 방법 시스템이 동작될 수 있는 하드웨어를 갖추고 있으면 모두 해당된다.
모드 설정 모듈(110)은 일반모드와 음영모드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음영' 은 통신 전파를 잡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CCTV 카메라는 존재하나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없거나 또는 CCTV 카메라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 지역 등의 '감시 사각지대'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음영모드는 CCTV 카메라(200) 및/또는 휴대 단말기(100) 내장 카메라를 이용하여 보다 감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드라고 볼 수 있다.
일반모드와 음영모드의 설정은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또는 방범 센터(300)에서 전송된 모드 설정 신호에 따라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일반모드 또는 음영모드를 설정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기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드가 구현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예를 들어, 파워 스위치와 볼륨 업 스위치를 동시에 눌러서 설정하거나, 파워 스위치와 볼륨 다운 스위치를 동시에 눌러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음영모드 설정 신호는 방범 센터(300)로도 전송되고 센터 내부에서 알람 등의 신호가 발생되도록 설계한다.
즉 사용자가 음영모드 설정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은 위험 상태에 놓여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므로 위험신호로 간주된다.
내장 카메라 모듈(120)은 내장 카메라와 카메라 구동부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내장 카메라는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 구동부은 내장 카메라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줌인, 줌아웃, 얼굴 인식 등 카메라 동작에 필요한 기능을 구현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130)은 위성으로부터 보내온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는 사용자가 있는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를 출력한다.
통신 모듈(140)은 방범 센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휴대 단말기와 방범 센터에서 생성된 음영모드 설정 신호, 내장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 GPS 모듈에서 출력된 위치 데이터 및 휴대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 음성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CCTV 카메라(200)는 하나 이상의 장소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설치된 장소의 주변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CCTV 카메라는 방범 센터의 제어부에 구비되어 있는 CCTV 카메라 제어부(324)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에서, CCTV 카메라(200)는 단자함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방범 센터(300)와 유무선으로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방범 센터(300)은 디스플레이부(310), 제어부(320), 데이터 저장부(330) 및 데이터 송수신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휴대 단말기(100)와 CCTV 카메라(200)로부터는 영상 데이터 및/또는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고, 휴대 단말기에는 모드 설정 신호를 전송한다.
디스플레이부(310)는 휴대 단말기 내장 카메라 및/또는 CCTV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320)는 모드 설정부(321), 사용자 인식부(322), 휴대 단말기 제어부(323), CCTV 카메라 제어부(324), 카메라 절환부(325), 위험신호 출력부(326) 및 디스플레이 영상처리부(327)를 포함하고, 구성요소들 상호간 데이터와 구동신호의 흐름을 제어한다.
모드 설정부(321)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모드에서 음영모드로 또는 음영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모드 설정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CCTV 카메라는 존재하나 사용자의 영상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일반모드에서 음영모드로 절환하고, 또는 사용자가 CCTV 카메라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 사용자의 영상이 검출되는 촬영지역으로 이동하면 음영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절환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322)는 GPS 모듈(130)에서 생성된 사용자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휴대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영상 검출 여부와 현재 위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촬영지역에서 사각지대로 사용자가 이동하게 되면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는 더 이상 사용자의 모습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때, 사용자 인식부(322)의 신호를 바탕으로 모드 설정부(321)가 음영모드 설정 신호를 생성하면 카메라 절환부(325)는 다른 CCTV 카메라를 구동할 준비를 하게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 제어부(323)와 CCTV 카메라 제어부(324)는 휴대 단말기 내장 카메라와 CCTV 카메라에서 각각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디스플레이 영상처리부(327)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310)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카메라 절환부(325)는 사용자가 하나의 CCTV 카메라의 촬영 지역에서 인근에 위치한 또 다른 CCTV 카메라의 촬영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CCTV 카메라의 구동을 변경한다. 변경된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방범 센터(300)의 디스플레이부(310)로 전송된다.
위험 신호 출력부(326)는 촬영지역 또는 사각지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 상태를 소리 신호 및/또는 발광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위험 신호 출력부에서 생성된 소리 신호 및/또는 발광 신호는 별도로 마련된 스피커 또는 광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상처리부(327)는 휴대 단말기 내장 카메라의 영상과 CCTV 카메라의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310)에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단말기 내장 카메라 영상과 CCTV 영상 중에서 화질이 좋거나 또는 시인성이 좋은 영상을 선별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양자의 영상이 중첩 또는 병렬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데이터 저장부(330)에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내장 카메라와 CCTV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 CCTV 카메라가 설치된 지점의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여 저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310)에서 나타내는 지도, 영상 및 음성을 체계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데이터 송수신부(330)는 휴대 단말기(100) 및 CCTV 카메라(200)와 연결되며, 모드 설정 신호, 영상 데이터, 위치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의 카메라 이동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1) 휴대 단말기(100)를 휴대하는 사용자가 제1 CCTV 카메라(a)가 설치되어 있는 촬영 지역(A)에 있게 되면, 제1 CCTV 카메라(a)는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방범 센터로 전송한다.
이때, 방범 센터의 디스플레이부(310)는 상기 제1 CCTV 카메라(a)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만약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음영모드 신호(위험신호)를 생성한다면, 디스플레이부(310)에는 제1 CCTV 카메라(a)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중첩되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방범 센터(300) 내부에서는 사용자가 위험에 처했다는 경고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2) 사용자가 제1 CCTV 카메라(a)가 설치되어 있는 촬영 지역(A)으로부터 나와서 사각지대(C)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 CCTV 카메라(a)에서는 더 이상 사용자를 촬영할 수 없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는 GPS 모듈에서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방범 센터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촬영 지역에서 사각지대로 이동되었다는 것을 판단하는 것은 상기 방범 센터의 제어부에 구비된 사용자 인식부(322)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결정은 미리 정하여진 CCTV 카메라의 촬영 범위와 위치 데이터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사용자가 음영모드를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사용자 인식부(322)는 모드 설정부(321)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신호에 의해 모드 설정부(321)는 음영모드 설정 신호를 출력하고,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내장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방범 센터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방범 센터(300) 내부에서는 사용자가 위험에 처했다는 경고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3)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는 사용자가 음영 지역(C)에서 촬영 지역(B)으로 이동하게 되면, 카메라 절환부(325)는 제2 CCTV 카메라(b)에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가 방범 센터로 전송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내장 카메라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4) 방범 센터(300)의 관리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보고 사용자가 위험한 상태에 놓여져 있다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관리자는 사용자가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것을 경비실, 경찰서, 소방서 등 별도의 기관에 이를 통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내장 카메라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된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에서 사람이 있을 경우, 사람의 얼굴을 검출 인식하기에 적합하도록 내장 카메라가 제어되도록 설계된다.
도 6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내장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내장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전체 영상 영역인 화상 영역(121)과, 상기 화상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면적의 얼굴 인식 영역(122)을 갖는다.
여기에서, 얼굴 인식 영역(122)의 크기는 얼굴을 검출 인식하기에 적합한 크기로서 미리 정하여 지거나 또는 화상 영역(121)의 크기에 따라 일정 비율로 정하여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6의 (가)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장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에서 사람이 작게 촬영된다면, 인식하고자 하는 얼굴의 영역 역시 작게 형성되므로 얼굴 검출 인식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 구동부는 내장 카메라에 신호를 전송하여 줌인하여 (나)와 같이 미리 정해진 얼굴 인식 영역(122)의 크기를 갖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도 6의 (다)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된 얼굴의 영역 크기가 미리 정하여진 인식 영역(122)의 크기보다 넓게 형성되면 카메라의 구동부는 내장 카메라가 줌아웃하도록 한다.
따라서 내장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에는 사람의 얼굴 크기가 얼굴 인식에 적합한 크기로 촬영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다양한 경우에 내장 카메라의 줌인과 줌아웃이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범 시스템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내장 카메라에서 인식되는 사람의 얼굴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사람이 움직이거나 촬영되는 사람이 이동하게 되면 상기 내장 카메라의 줌인과 줌아웃이 자주 변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이 흔들리게 보이고, 또한 얼굴을 정확히 인식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잦은 줌인과 줌아웃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내장 카메라 구동부은 기준 인식 영역값과 가중값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 영역(122)이 정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플러스 인식 영역(123)은 기준 인식 영역값(122a)에 가중값을 더한 면적으로 나타나는 영역이고, 마이너스 인식 영역(124)은 기준 인식 영역(122a)의 면적에 가중값을 감한 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마이너스 인식 영역(124)과 플러스 인식 영역(123)의 범위에서 얼굴의 크기가 변화되어도 카메라 구동부에서는 줌인과 줌아웃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방범 센터에서 디스플레이부를 관찰하는 관리자는 흔들림이 줄어든 화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인식 영역값(122a)은 조도를 기초로 하여 정하여 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환경이 어두운 때는 기준 인식 영역값은 높게 형성하여 보다 넓은 면적으로 하여 얼굴이 쉽게 인식되도록 하고, 주변 환경이 밝은 때는 기준 인식 영역값은 낮게 형성하여 보다 작은 면적으로 얼굴이 인식되도록 하고 더 많은 주변 배경을 촬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계조건에 따라, 휴대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와 위치 데이터가 방범 센터로 전송되는 것은 물론 휴대 단말기의 주소록에 저장된 번호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모드 설정 모듈
120 : 내장 카메라 모듈
121 : 화상 영역
122 : 인식 영역
122a : 기준 인식 영역값
123 : 플러스 인식 영역
124 : 마이너스 인식 영역
130 : GPS 모듈
140 : 통신 모듈
200 : CCTV 카메라
300 : 방범 센터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제어부
321 : 모드 설정부
322 : 사용자 인식부
323 : 휴대 단말기 제어부
324 : CCTV 카메라 제어부
325 : 카메라 절환부
326 : 위험신호 출력부
327 : 디스플레이 영상처리부
330 : 데이터 저장부
340 : 데이터 송수신부
A, B : 촬영지역
C : 사각지대
a : 제1 CCTV 카메라
b : 제2 CCTV 카메라

Claims (10)

  1. 휴대 단말기, CCTV 카메라 및 방범 센터로 구성되는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음영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CCTV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있거나 또는 CCTV 카메라의 영상에서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 내장 카메라가 구동되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방범 센터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와, CCTV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음영모드를 설정하는 것은 휴대 단말기 외부의 버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센터는,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하여 제2의 CCTV 카메라 설치 지역에 있을 경우에,
    제2의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센터가 디스플레이할 때에는,
    휴대 단말기 영상 데이터와 CCTV 영상 데이터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내장 카메라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내장 카메라 구동부는,
    내장 카메라 촬영 영상이 사람일 경우 얼굴 인식에 적합하도록 영상을 줌인 또는 줌아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카메라 구동부는,
    상기 얼굴 인식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체 영상 영역인 화상 영역과, 상기 화상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면적의 얼굴 인식 영역을 기초로 내장 카메라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카메라 구동부는,
    상기 내장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에서 검출한 얼굴 영역이 상기 얼굴 인식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 줌인을 수행하고, 상기 얼굴 인식 영역의 크기보다 넓을 경우 줌아웃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인식 영역은 기준 인식 영역값과 가중값에 기초하여 정하여 지고,
    상기 기준 인식 영역값은 조도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인식 영역값은 조도에 반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카메라 구동부는,
    상기 기준 인식 영역값에 가중값을 더한 면적의 플러스 인식 영역과 가중값을 감한 면적의 마이너스 인식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플러스 인식 영역과 마이너스 인식 영역의 범위 밖에서는 줌인 또는 줌아웃을 수행하고,
    상기 범위 내에서는 줌인과 줌아웃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방범 시스템.
KR1020120079643A 2012-07-21 2012-07-21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KR10137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643A KR101372862B1 (ko) 2012-07-21 2012-07-21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643A KR101372862B1 (ko) 2012-07-21 2012-07-21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227A true KR20140013227A (ko) 2014-02-05
KR101372862B1 KR101372862B1 (ko) 2014-03-11

Family

ID=5026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643A KR101372862B1 (ko) 2012-07-21 2012-07-21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392A (ko) 2014-10-27 2016-05-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방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164A (ko) * 2008-04-19 2008-05-09 김일웅 영상 비상호출 시스템
KR101006368B1 (ko) * 2008-07-22 2011-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1142933B1 (ko) * 2009-11-30 2012-05-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cctv 카메라 장치와 안전관제 센터 서버, 그를 포함한 지능형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7193B1 (ko) * 2010-06-18 2012-05-25 주식회사 시큐인포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392A (ko) 2014-10-27 2016-05-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방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862B1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40209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unmanned alert system
US2005009950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network camera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10026B1 (ko) 하이브리드형 방범용 가로등시스템
US107836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KR20100091758A (ko) 감시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감시방법
US20150248772A1 (en) Imaging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r surroundings
CN104966388A (zh) 一种闪光灯报警方法、移动终端、可穿戴设备及系统
US10846954B2 (en)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and monitoring apparatus
US20170286762A1 (en) Security camera system with projectile technology
CN113093578A (zh) 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2101527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389962A (zh) 一种基于移动智能终端的一键报警系统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30535A (ko)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CA3023943C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JP4303690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1616469B1 (ko) 긴급구조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 방법
KR101969804B1 (ko)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72862B1 (ko)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CN108133181A (zh) 获取指示信息的方法、ar设备及存储介质
CN205264026U (zh) 一种基于移动智能终端的一键报警系统
CN106303211B (zh) 控制拍摄的方法、装置及系统
KR2014013627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ptz 감시 장치 및 감시 시스템
CN106375727B (zh) 摄像设备使用状态的控制方法及装置
KR20190114223A (ko)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