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368B1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368B1
KR101006368B1 KR1020080071336A KR20080071336A KR101006368B1 KR 101006368 B1 KR101006368 B1 KR 101006368B1 KR 1020080071336 A KR1020080071336 A KR 1020080071336A KR 20080071336 A KR20080071336 A KR 20080071336A KR 101006368 B1 KR101006368 B1 KR 101006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eference level
ratio
user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388A (ko
Inventor
강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368B1/ko
Priority to US12/483,844 priority patent/US8411128B2/en
Publication of KR2010001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입력 영상에서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에 상응하도록 카메라의 줌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 레벨을 폰 북에 저장된 개인 또는 그룹별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 통화, 줌, 얼굴 인식, 카메라,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camera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 통화 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입력 영상에서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에 상응하도록 카메라의 줌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휴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문자 전송, 사진 촬영, 음악 감상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3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보며 통화를 할 수 있는 화상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화상 통화 서비스는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을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상대방이 전송한 영상을 수신함으로서 서로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통화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종래 화상 통화는 휴대 단말기와 피사체(예컨대 사용자)의 거리에 따 라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달라진다. 즉, 피사체와 휴대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피사체가 입력 영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고, 피사체와 휴대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피사체가 입력 영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 화상 통화 방법에서는 상대방에게 일정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와 피사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며, 자신의 단말기 표시부를 통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입력 영상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사용자는 화상 통화에 집중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통화 시 입력 영상에서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에 상응하도록 휴대 단말기 카메라의 줌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은 화상 통화 시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입력 영상에서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비율을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과정;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줌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과정; 및 상기 줌 기능이 자동으로 조절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입력 영상을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장치는 화상 통화 시 피사체를 포함하는 입력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기준 레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율과 상기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줌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는 화상 통화 시 피사체와 휴대 단말기의 거리에 관계없이 입력 영상에서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 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 "입력 영상"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입력 영상은 화상 통화 시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준 레벨"은 상기 입력 영상에서 특정 피사체(예컨대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예컨대 사용자의 얼굴)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기준 레벨은 휴대 단말기의 폰 북에 저장된 개인별 또는 그룹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영상에서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80 % 이상 95 % 미만인 경우를 1레벨, 60 % 이상 80 % 미만인 경우를 2레벨, 40 % 이상 60 % 미만인 경우를 3레벨로 설정하고, 폰 북에 저장된 개인별 또는 그룹별로 기준 레벨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술한 비율 및 레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비율 및 레벨은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무선 통신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표시부(160) 및 카메라(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타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화를 위하여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화상 통화를 위한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3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30)는 화상 통화 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70)의 줌 조절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상기 카메라(170)를 제어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얼굴인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얼굴 인식 프로그램은 피사체의 윤곽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얼굴 인식 프로그램은 피사체가 사람인 경우 사용자의 윤곽 뿐만 아니라 눈, 코, 입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얼굴 인식에 대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상기 기준 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기준 레벨을 폰 북에 저장된 개인별 또는 그룹별로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50)는 화상 통화 시 카메라(170)의 줌 기능에 의해 조절된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이를 알리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처리부(150)는 휴대 단말기(100)가 얼굴에 지나치게 가까이 위치하여 카메라의 줌 아웃(Zoom-out) 기능을 최대로 하여도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기 기준 레벨에 상응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50)는 카메라(170)가 피사체에 밀착되어 있어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의 윤곽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이를 알리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6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화상 통화 시 상대방이 전송한 영상 및 상기 카메라(17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부(16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대방이 전송한 영상 또는 카메라(17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중 어느 한 영상만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60)는 화상 통화 시 카메라 줌 기능에 의해 조절된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이를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60)는 휴대 단말기(100)가 얼굴에 지나치게 가까이 위치하여 카메라의 줌 아웃(Zoom-out) 기능을 최대로 하여도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기 기준 레벨에 상응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카메라(170)가 피사체에 밀착되어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의 윤곽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이를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70)는 화상 통화 시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한 피사체 예를 들면 사용자 모습 특히 얼굴을 포함하는 모습을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70)는 입력되는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장치 및 상기 신호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신호를 영상 처리(크기조정(Scaling), 잡음 제거, RGB 신호 변환 등)하는 영상처리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170)는 줌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70)는 화상 통화 시 촬영되는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기 기준 레벨에 상응하도록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줌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170)는 상기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 줌 아웃(Zoom-out)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 상기 카메라(170)는 줌 인(Zoom-in) 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화상 통화 시 카메라(170)의 줌 기능을 조절하여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기 기준 레벨에 상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피사체가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저장부(140)에 포함된 얼굴 인식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얼굴 인식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입력 영상에서 사용자의 윤곽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윤곽 내부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 영상에서 사용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에 상응하는지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라 카메라(170)의 줌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윤곽을 검출하여 카메라(170)의 줌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두 눈 사이의 거리, 사용자 얼굴의 크기, 두 눈과 입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이 입력 영상에서 차지하는 비율 등에 따라 카메라(170)의 줌 기능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기준 레벨이 개인별 또는 그룹별로 설정된 경우 화상 통화 연결 시 상대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상대방 정보는 전화번호 또는 이름이 될 수 있다. 상기 상대방 정보를 확인한 제어부(110)는 상기 상대방 정보가 폰 북에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상대방 정보가 폰 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상대방 개인 또는 상기 상대방이 포함된 그룹에 기 설정된 기준 레벨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 레벨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대방 정보가 폰 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기준 레벨을 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기능키 입력 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70)의 줌 조절 기능을 중지하여 종래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을 그대로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를 통해 상기 카메라(170)의 줌 조절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방송수신모듈, 외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연결단자, 충전용 단자,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상술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이 휴대 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화상 통화 과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화상 통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S200 단계에서 화상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 통화 연결은 화상 통화 요청 송신 및 화상 통화 요청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통화 연결 시, 상기 제어부(110)는 S210 단계에서 상대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상대방 정보는 전화번호 및 이름 등이 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110)는 S220 단계에서 상기 상대방 정보가 폰 북에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상기 S220 단계에서 상기 상대방 정보가 폰 북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S24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준 레벨을 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상대방 정보가 폰 북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S23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상대방 정보에 대하 여 기준 레벨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레벨 설정 확인 과정은 폰 북에 저장된 개인 및 그룹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기준 레벨이 개인 및 그룹에 중복 설정된 경우 개인 설정을 우선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230 단계에서 상기 기준 레벨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S24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준 레벨을 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S230 단계에서 상기 상대방 정보에 대하여 상기 기준 레벨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S250 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영상에서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얼굴, 사용자의 윤곽 등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10)는 저장부(140)에 포함된 얼굴 인식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얼굴 인식 프로그램은 피사체가 사람인 경우 윤곽뿐만 아니라 눈, 코, 입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굴 인식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후, 상기 제어부(110)는 S260 단계에서 산출된 비율과 상기 기준 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S270 단계에서 카메라(170)의 줌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70)의 줌 기능 조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 후, 상기 제어부(110)는 S280 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기 기준 레벨에 상응하도록 조절된 입력 영상을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 다. 상기 입력 영상을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한 후 상기 제어부(110)는 S290 단계에서 종료 신호 입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S290 단계에서 종료 신호 입력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S250 단계로 돌아가 상술한 S250 단계 내지 S29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S290 단계에서 종료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화상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종료 신호는 종료키 신호 또는 폴더형 단말기의 경우 폴더를 닫을 때 발생하는 신호, 슬라이드 단말기 인 경우 슬라이드를 닫을 때 발생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기 설정된 기능키 입력 또는 휴대 단말기의 옵션 메뉴를 통해 화상 통화를 종료하지 않고 카메라(100)의 줌 조절 기능만을 종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170)의 줌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의 화면 예시도 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상기 피사체를 사용자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S230 단계 또는 S240 단계 이 후 S251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카메라(170)로부터 획득되는 입력 영상에서 사용자의 윤곽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1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얼굴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얼굴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에서 사용자의 윤곽을 검출한 후 상기 제어부(110)는 S253 단계로 진행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윤곽의 내부 크기를 확인하여 입력 영상에서 사용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110)는 S261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산출된 비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 보다 큰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261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비율이 상기 기 설정된 기준 레벨 보다 큰 경우 제어부(110)는 S271 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170)를 줌 아웃시킬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현재 입력 영상에서 상기 산출된 비율이 60 %이고, 기 설정된 기준 레벨이 40 %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70)를 줌 아웃시킬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110)는 S275 단계로 진행하여 줌 아웃된 입력 영상에서 사용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재 산출하여 기준 레벨에 상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재 산출된 비율이 기준 레벨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S261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확인 결과 재 산출된 비율이 기준 레벨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S28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S261 단계에서 산출된 비율이 기준 레벨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S263 단계로 진행하여 산출된 비율이 기준 레벨보다 작은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263 단계에서 산출된 비율이 기준 레벨 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10)는 S273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170)를 줌 인(Zoom-in)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메라(170)가 한 번에 일정 비율로 줌 인되도록 설계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줌 인 동작 후 매번 입력 영상에서 차지하는 피사체의 비율을 확인하여 기준 레벨에 상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산출된 비율과 기준 레벨의 차에 따라 카메라(170)의 줌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출된 비율과 기준 레벨의 차가 -40 %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170)를 40 %의 비율에 해당하는 만큼 카메라(170)를 줌 인할 수 있다. 반대로 +40 %의 값을 가진다면 상기 제어부(110)는 40 %의 비율에 해당하는 만큼 카메라(170)를 줌 아웃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S263 단계에서 산출된 비율이 기준 레벨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S275 단계로 진행하여 산출된 비율이 기준 레벨에 상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산출된 비율이 기준 레벨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S261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확인 결과 산출된 비율이 기준 레벨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S28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이 후의 과정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 후 과정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기준 레벨이 특정 값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레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범위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을 확인하여 카메라(170)의 줌 인 또는 줌 아웃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두 눈 사이의 거리, 얼굴의 크기, 두 눈과 입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이 입력 영상에서 차지하는 비율 등에 따라 카메라(170)의 줌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와 휴대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 카메라를 줌 아웃하고, 멀어 지는 경우 카메라를 줌인하여 입력 영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에 상응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준 레벨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준 레벨을 설정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중 기준 레벨 설정 메뉴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기준 레벨 설정 메뉴를 활성화하면 상기 표시부(160)는 도 5의 제1화면(51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화면(510)에서 기준 레벨을 그룹별 설정할지 개인별로 설정할지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룹별로 설정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화면(510)에서 그룹별 설정을 선택한 경우 표시부(160)는 도 5의 제2화면(520)과 같이 저장부(140)에 저장된 그룹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화면(520)을 참조하면, 그룹명 옆에는 설정된 기준 레벨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화면(520)에서 가족 및 친구 그룹은 기준 레벨이 미 설정된 것으로 표시되어 있고, 학교 그룹은 기준 레벨이 3레벨로 설정된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2화면(520)에서 사용자가 기준 레벨을 설정하기 위해 가족 그룹을 선택하면, 상기 표시부(160)는 도 5의 제3화면(530)과 같이 다수의 기준 레벨을 슬라이드 메뉴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 메뉴에서 1레벨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표시부(110)는 도 5의 제4화면(540)과 같이 가족 그룹의 기준 레벨이 1레벨로 설정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각 기준 레벨을 그림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 레벨은 숫자(1단계, 2단계 등) 또는 비율(80%, 70% 등)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상기 기준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따로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기준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별도의 메뉴를 가지지 않고 개인별 또는 그룹별로 벨소리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과 같이 폰 북에서 상기 기준 레벨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줌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의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준 레벨 설정 과정에 따른 화면 예시도.

Claims (17)

  1. 화상 통화 연결 시 상대방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상대방 정보가 폰북에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
    상기 상대방 정보가 상기 폰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대방 또는 상대방이 속한 그룹에 매핑되어 기 저장된 기준 레벨을 확인하는 과정;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입력 영상에서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비율을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과정;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줌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과정; 및
    상기 줌 기능이 자동으로 조절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입력 영상을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 북과 연동하여 개인별 또는 그룹별로 상기 기준 레벨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정보가 상기 폰 북에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상대방 또는 상기 상대방이 속한 그룹에 상기 기준 레벨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준 레벨을 기 설정된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줌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영상에서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 줌 아웃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 영상에서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작은 경우 줌 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줌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산출된 비율과 상기 기준 레벨의 차를 구하는 과정;
    상기 차가 음이면 상기 차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줌 인하는 과정; 및
    상기 차가 양이면 상기 차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줌 아웃하는 과정;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사용자의 얼굴, 두 눈과 입술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두 눈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을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인 경우 상기 입력 영상에서 사용자의 윤곽을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의 윤곽 내부의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9. 화상 통화 시 특정 피사체를 포함하는 입력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개인별 또는 그룹별로 기 설정된 기준 레벨을 폰북과 연동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화상 통화 연결 시 상대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대방 정보가 상기 폰북에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상대방 정보가 상기 폰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상대방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비율과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줌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줌 기능이 자동 조절되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정보가 상기 폰 북에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상대방 또는 상기 상대방이 속한 그룹에 상기 기준 레벨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준 레벨을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서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카메라를 줌 아웃시키고, 상기 기준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카메라를 줌 인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차지하는 비율과 상기 기준 레벨의 차를 구하여 상기 차가 음이면 상기 차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줌 인하고, 상기 차가 양이면 상기 차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줌 아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사용자 얼굴, 두 눈 사이의 거리, 두 눈과 입술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피사체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인 경우
    상기 입력 영상에서 사용자의 윤곽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윤곽 내부의 크기를 확인하여 입력 영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줌 조절 기능을 온/오프하는 기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장치.
KR1020080071336A 2008-07-22 2008-07-22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1006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336A KR101006368B1 (ko) 2008-07-22 2008-07-22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
US12/483,844 US8411128B2 (en) 2008-07-22 2009-06-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336A KR101006368B1 (ko) 2008-07-22 2008-07-22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88A KR20100010388A (ko) 2010-02-01
KR101006368B1 true KR101006368B1 (ko) 2011-01-10

Family

ID=4156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336A KR101006368B1 (ko) 2008-07-22 2008-07-22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11128B2 (ko)
KR (1) KR1010063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62B1 (ko) * 2012-07-21 2014-03-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KR20160014414A (ko) 2014-07-29 2016-02-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5209B2 (en) * 2010-04-14 2018-04-24 Alcatel-Lucent Usa Inc. Immersive viewer, a method of providing scenes on a display and an immersive viewing system
US9294716B2 (en) 2010-04-30 2016-03-22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maging system
US9008487B2 (en) 2011-12-06 2015-04-14 Alcatel Lucent Spatial bookmarking
JP6210062B2 (ja) * 2012-06-21 2017-10-1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073039A1 (en) * 2014-09-08 2016-03-10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adjust rate of zoom feature for digital video
CN105578020B (zh) * 2014-10-14 2020-04-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自拍系统及方法
CN109151295B (zh) * 2017-06-16 2020-04-03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目标对象抓拍方法、装置及视频监控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949A (ko) * 2003-10-07 200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줌임 제어방법
KR20070075581A (ko) * 2006-01-13 2007-07-24 주식회사 팬택 화상 통화 중에 캡쳐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목록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0034B2 (en) * 1998-12-21 2012-10-16 Zin Stai Pte. In, Llc Video transmission and display including bit-wise sub-sampling video compression
US20030169339A1 (en) * 2001-10-01 2003-09-11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 object during video communication
US7239338B2 (en) * 2003-10-01 2007-07-03 Worldgate Service, Inc. Videophone system and method
JP2006135837A (ja) * 2004-11-09 2006-05-25 Nec Access Technica Ltd テレビ電話
KR100703364B1 (ko) * 2005-01-1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통화 이미지 출력 방법
US7742068B2 (en) * 2005-09-14 2010-06-22 Sorenson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 configuration in a video phone system
US20070291104A1 (en) * 2006-06-07 2007-12-20 Wavetronex, Inc. Systems and methods of capturing high-resolution images of objects
JP4367465B2 (ja) * 2006-07-20 2009-11-18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テレビ電話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831141B2 (en) * 2007-03-29 2010-11-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device with integrated photograph management system
US20090015681A1 (en) * 2007-07-12 2009-01-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ultipoint autofocus for adjusting depth of fiel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949A (ko) * 2003-10-07 200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줌임 제어방법
KR20070075581A (ko) * 2006-01-13 2007-07-24 주식회사 팬택 화상 통화 중에 캡쳐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목록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62B1 (ko) * 2012-07-21 2014-03-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 사각지대에서 동작 가능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KR20160014414A (ko) 2014-07-29 2016-02-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88A (ko) 2010-02-01
US8411128B2 (en) 2013-04-02
US20100022271A1 (en) 201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368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절 방법 및 장치
US7555141B2 (en) Video phone
US102379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controlled smart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586282B (zh) 拍摄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KR1007835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US20220321797A1 (en) Photographing method in long-focus scenario and terminal
RU262847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тимизации звукового сигнала
CN107493500B (zh) 多媒体资源播放方法及装置
US20050215290A1 (en) Mobile terminal and voice output adjustment method thereof
JP2018500859A (ja) 音量調整方法、装置および端末
KR101814110B1 (ko) 통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8462833B (zh) 拍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090645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hotograph with variable image quality
CN108845787B (zh) 音频调节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5898573B (zh) 多媒体文件播放方法及装置
JP6985408B2 (ja) 画面表示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3969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filter options
WO2021104226A1 (zh) 拍照方法及电子设备
CN112019948B (zh) 一种对讲设备通信的方法、对讲设备和存储介质
CN109561249A (zh) 调整焦距的方法及装置
CN109194808B (zh) 音量调节方法及装置
WO2021035381A1 (zh) 数据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80105676A (ko) 서비스 연결의 설정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12153404B (zh) 码率调整方法、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8287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electronic device,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