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107A -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107A
KR20140011107A KR1020120077827A KR20120077827A KR20140011107A KR 20140011107 A KR20140011107 A KR 20140011107A KR 1020120077827 A KR1020120077827 A KR 1020120077827A KR 20120077827 A KR20120077827 A KR 20120077827A KR 20140011107 A KR20140011107 A KR 20140011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aw material
carbonization chamber
charg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736B1 (ko
Inventor
노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7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7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화실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장입차 호퍼에 저장된 원료를 상기 탄화실 내에 장입하기 위한 장입구; 상기 탄화실의 장입구 상부에 제공되고, 정, 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와이어 드럼;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겨 있고, 상기 와이어 드럼의 정, 역 회전에 의하여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고, 상기 탄화실의 장입 원료에 착지하기 위한 측정봉;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료 레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로부터 원료 레벨 신호를 전송받아 원료 레벨을 측정 및 표시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의 정, 역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DEVICE FOR MEASURING AUTOMATICALLY LEVEL OF RAW MATERILAS SUPPLIED INTO CARBONIZATION CHAMBER}
본 발명은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화실에 장입된 원료 레벨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공장의 장입차는 호퍼(Hopper)에 일시 저장된 원료, 예컨대 석탄(COAL)을 장입차 호퍼(HOPPER)에 채탄하여 압출된 탄화실로 이동, 로(爐) 상부의 4개의 장입구를 오픈(Open)하여 홀(Hole)을 통하여 장입(裝入)하고 다시 클로즈(Close)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데, 균일 장입 불량의 원인으로는 탄화실에 장입하는 장입차의 설비상태, 즉, 로드 셀(Load cell) 정확도, 스크류 피더(Screw Feeder) 변형, 부착탄 생성 정도, 회전속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균일 장입 불량으로 인하여 코크스 품질에 영향이 미치고 있다.
따라서, 탄화실에 균일 장입을 위하여 수시로 다수의 작업자가 수동으로 장입탄 원료, 예컨대 석탄 레벨 측정 작업을 실시 하고 있으나 장입탄 석탄 레벨 수동 측정에 따른 작업 부하 증가 및 고열지역 작업으로 작업 환경 열악하고 다수의 작업자가 치 공구를 이용 측정하므로 장시간(소요시간: 예컨대, 20분/오븐(Oven)) 소요되어 작업 능률 저하와 고열, 분진 및 화염 분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정 작업 부하를 감소시키며 따라서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측정 기술력 확보로 인한 생산 작업에 발생되는 불합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생산성 확보 및 품질 편차 요인 최소화할 수 있는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화실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장입차 호퍼에 저장된 원료를 상기 탄화실 내에 장입하기 위한 장입구;
상기 탄화실의 장입구 상부에 제공되고, 정, 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와이어 드럼;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겨 있고, 상기 와이어 드럼의 정, 역 회전에 의하여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고, 상기 탄화실의 장입 원료에 착지하기 위한 측정봉;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료 레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로부터 원료 레벨 신호를 전송받아 원료 레벨을 측정 및 표시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의 정, 역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엔코더 사이의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을 가이드 하기 위한 와이어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와 상기 엔코더 사이의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에 텐션을 인가하기 위한 와이어 텐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입차 호퍼의 일방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엔코더에는 이를 덮어주기 위한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에 힌지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 작동시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텐션 스프링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의 오버 다운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 다운 방지 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 롤러와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의 사이에는 상기 측정봉이 탄화실에 장입된 원료에 착지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착지 확인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측정봉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패널부가 제공되고,
상기 와이어와 상기 측정봉은 측정 로드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부의 내측 상, 하부에는 각각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을 가이드 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롤러와 하부 가이드 롤러가 일정간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측정 로드를 가이드 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입차 호퍼의 하단부 일측면에는 플레이트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장입구 상부에 상기 측정 로드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부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레벨 측정 작업이 종료되어 상기 측정봉이 원래의 위치로 상승되면 상기 측정봉과 접촉되기 위한 홈 포지션 센서 터치 바; 및 상기 측정봉과 상기 홈 포지션 센서 터치 바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홈 포지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료 레벨 수동 측정 작업시 발생되는 고열, 분진 및 화염 분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원료 레벨 수동 측정 작업 시 필요한 작업 인원을 최대한 감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축 효과로 원가 절감 및 수시로 측정 작업이 가능하여 코크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의 장입 원료 자동 원료 레벨 측정 작업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는, 탄화실(미도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장입차 호퍼(100)에 저장된 원료를 상기 탄화실 내에 장입하기 위한 장입구(110);
상기 탄화실의 장입구(110) 상부에 제공되고, 정, 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와이어 드럼(200);
상기 와이어 드럼(200)에 감겨 있고, 상기 와이어 드럼(200)의 정, 역 회전에 의하여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와이어(300);
상기 와이어(30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고, 일정한 크기의 무게를 갖고 상기 탄화실의 장입 원료에 착지하기 위한 측정봉(400);
상기 와이어(30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가 감기거나 풀리는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료 레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엔코더(210);
상기 엔코더(210)로부터 원료 레벨 신호를 전송받아 원료 레벨을 측정 및 표시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200)의 정, 역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입차 호퍼(100)의 일방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드럼(200)과 상기 엔코더(210)에는 이를 덮어주기 위한 케이스(2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와이어(300)가 통과될 수 있는 제1 가이드관(30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관(230)의 하단부에는 제1 플랜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드럼(200)은 와이어 드럼 축(20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엔코더(210)는 엔코더 축(2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200)과 상기 엔코더(210) 사이의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의 감김 또는 풀림을 가이드 하기 위한 와이어 가이드 롤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 롤러(250)은 와이어 가이드 롤러 축(25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250)와 상기 엔코더(210) 사이의 상기 와이어(300)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00)에 텐션을 인가하기 위한 와이어 텐션 롤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260)는 와이어 텐션 롤러 축(26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260)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220)에 힌지핀(27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270)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260) 작동시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텐션 스프링(28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텐션 스프링(280)은 상기 케이스(220)에 결합된 고정 플레이트(22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270)의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260)의 오버 다운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 다운 방지 핀(27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 롤러(250)와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260)의 사이에는 상기 측정봉(400)이 탄화실에 장입된 원료에 착지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착지 확인 센서(2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00)와 상기 측정봉(400)은 측정 로드(41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정 로드(410)는 상기 측정봉(400)과 나사 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봉(400)의 일단부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정 로드(410)의 타단부에 상기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20)의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300)의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측정봉(4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패널부(60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부(600)는 상기 장입차 호퍼(100)의 일측면에 결합된 지지프레임(120)에 의하여 지지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부(600)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3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관(6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관(610)의 상단부에는 제2 플랜지(6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620)는 상기 제1 플랜지(230)와 볼트(621)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부(600)의 내측 상, 하부에는 각각 상기 와이어(300)의 감김과 풀림을 가이드 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롤러(630)와 하부 가이드 롤러(640)가 일정간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패널부(6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측정 로드(410)를 가이드 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입차 호퍼(100)의 하부에는 상기 장입차 호퍼(100)에 저장된 원료를 상기 장입구(110)로 공급시켜 주기 위한 스크류 피더(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입차 호퍼(100)의 하단부 일측면에는 플레이트(660)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660)에는 상기 장입구(110) 상부에 상기 측정 로드(410)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패널부(60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300)의 이동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레벨 측정 작업이 종료되어 상기 측정봉(400)이 원래의 위치(홈 포지션)로 상승되면 상기 측정봉(400)과 접촉되기 위한 홈 포지션 센서 터치 바(670); 및 상기 측정봉(400)과 상기 홈 포지션 센서 터치 바(670)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홈 포지션 센서(6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예컨대, 장입차의 운전실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Auto/Manual 운전)하고, 레벨 측정 데이터 및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가 작동 하기 전에는 상기 탄화실에 원료, 예컨대 석탄의 장입이 완료되고(S10), 상기 측정봉(400)의 무게에 의해 상기 와이어(300)에 장력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260)가 측정봉 홈 포지션, 즉 도 4의 실선의 위치에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가 측정을 시작하면(S20), 상기 엔코더(210)에 의해 원료 레벨 측정이 시작된다(S21).
즉, 상기 와이어 드럼(200)이 일방향 회전,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와이어 드럼 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드럼(200)으로부터 풀리게 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 가이드 롤러(25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260) 및 상기 엔코더(210)를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 로드(300)가 상기 가이드 패널부(600)의 상부 가이드 롤러(630)와 하부 가이드 롤러(64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측정봉(400)이 하부 와이어 가이드 홀을 따라 하방으로 다운(down)된 후 상기 탄화실의 장입 원료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측정봉(400)이 상기 탄화실의 장입 원료에 접촉하게 되면(S40), 상기 측정봉 장입 원료 착지 확인 센서(290)가 작동되고(S41), 상기 측정봉(400) 무게에 의해 형성되어 있던 상기 와이어(300)의 장력이 약해지면서 상기 와이어 텐션 풀리(260)가 업(up)되어 측정봉 장입 원료 착지 위치, 즉 도 4의 점선의 위치로 상기 힌지핀(27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S50), 상기 엔코더(210)에 의한 원료 레벨 측정이 완료된다(S51).
그리고, 상기 측정봉 장입 원료 착지 확인 센서(290)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와이어(300)가 도 4의 점선과 같이 이탈되면서 상기 와이어 드럼(200)의 회전이 정지되는데(S60), 이때, 상기 엔코더(210)에 의해 상기 와이어(300)의 풀림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료 레벨 신호, 예컨대 표준 신호(Signal)(4~20mA)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0)에 전송하고(S61),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엔코더(210)로부터 원료 레벨 신호를 전송받아 원료 레벨을 측정하고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200)이 반대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와이어 드럼(200)에 상기 와이어(200)가 감기게 되고,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 롤러(25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260) 및 상기 엔코더(210)를 통하여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 로드(300)가 상기 가이드 패널부(600)의 상부 가이드 롤러(630)와 하부 가이드 롤러(64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측정봉(400)이 상기 하부 와이어 가이드 홀을 따라 업되어 상방으로 이동된다(S70).
상기 측정봉(400)이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측정봉(400)의 무게에 의해 상기 와이어 장력이 강해지고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가 측정 홈 포지션, 즉 도 4의 실선의 위치로 상기 힌지핀(27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측정봉 장입 원료 착지 확인 센서(290)에 상기 와이어(300)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70)의 상부에 상기 텐션 스프링(28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260)의 작동시 충격을 완화시켜 주고, 상기 회전판(270)의 하부에 와이어 텐션 롤러 오버 다운 방지 핀(27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260)의 오버 다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봉(400)이 상방으로 이동면서 상기 홈 포지션 센서 터치 바(670)와 접촉되어 상기 홈 포지션 센서(680)가 점등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 드럼(200)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측정 작업이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S8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장입차 호퍼 110: 장입구
200: 와이어 드럼 210: 엔코더
220: 케이스 250: 와이어 가이드 롤러
260: 텐션 롤러 270: 회전판
280: 텐션 스프링 290: 착지 확인 센서
300: 와이어 400: 측정봉
410: 측정 로드 500: 제어부
600: 가이드 패널부 630: 상부 가이드 롤러
640: 하부 가이드 롤러 670: 홈 포지션 센서 터치바
680: 홈 포지션 센서

Claims (10)

  1. 탄화실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장입차 호퍼에 저장된 원료를 상기 탄화실 내에 장입하기 위한 장입구;
    상기 탄화실의 장입구 상부에 제공되고, 정, 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와이어 드럼;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겨 있고, 상기 와이어 드럼의 정, 역 회전에 의하여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고, 상기 탄화실의 장입 원료에 착지하기 위한 측정봉;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료 레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로부터 원료 레벨 신호를 전송받아 원료 레벨을 측정 및 표시하고, 상기 와이어 드럼의 정, 역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엔코더 사이의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을 가이드 하기 위한 와이어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와 상기 엔코더 사이의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에 텐션을 인가하기 위한 와이어 텐션 롤러를 포함하는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차 호퍼의 일방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엔코더에는 이를 덮어주기 위한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에 힌지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 작동시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텐션 스프링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의 오버 다운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 다운 방지 핀이 구비되는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 롤러와 상기 와이어 텐션 롤러의 사이에는 상기 측정봉이 탄화실에 장입된 원료에 착지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착지 확인 센서가 설치되는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측정봉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패널부가 제공되고,
    상기 와이어와 상기 측정봉은 측정 로드에 의하여 연결되는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부의 내측 상, 하부에는 각각 상기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을 가이드 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롤러와 하부 가이드 롤러가 일정간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측정 로드를 가이드 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입차 호퍼의 하단부 일측면에는 플레이트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장입구 상부에 상기 측정 로드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패널부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레벨 측정 작업이 종료되어 상기 측정봉이 원래의 위치로 상승되면 상기 측정봉과 접촉되기 위한 홈 포지션 센서 터치 바; 및 상기 측정봉과 상기 홈 포지션 센서 터치 바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홈 포지션 센서가 설치되는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KR1020120077827A 2012-07-17 2012-07-17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KR101385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27A KR101385736B1 (ko) 2012-07-17 2012-07-17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27A KR101385736B1 (ko) 2012-07-17 2012-07-17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107A true KR20140011107A (ko) 2014-01-28
KR101385736B1 KR101385736B1 (ko) 2014-04-15

Family

ID=5014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827A KR101385736B1 (ko) 2012-07-17 2012-07-17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796B1 (ko) * 2017-08-30 2018-01-29 이영표 저장탱크 레벨 측정장치
KR101843711B1 (ko) * 2018-01-24 2018-05-14 이영표 저장탱크 레벨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471B1 (ko) * 1999-12-14 2003-11-01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내에 적재된 장입탄의 장입양 측정장치
KR100972198B1 (ko) * 2007-12-14 2010-07-23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장입물 위치 측정장치
KR101188913B1 (ko) * 2009-11-13 2012-10-08 (주)포스프로 고로 장입물 위치 측정장치
KR101154346B1 (ko) * 2009-12-30 2012-06-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 결정 구조에 의한 다중 모드 간섭 기반의 전광 논리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736B1 (ko) 201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58400B (zh) 防意外移动的电梯系统
KR101385736B1 (ko) 탄화실 장입 원료 레벨 자동 측정 장치
WO2017101688A1 (zh) 一种超深矿井提升机多绳协同控制系统试验台
CN106271571A (zh) 一种电源模块螺栓紧固装置用扳拧头选择器
CN214569531U (zh) 一种纱布卷输送的张紧力调节装置
KR101254046B1 (ko) 차체부품용 공급장치
CN104338787A (zh) 一种双工位立式收线机
KR101386235B1 (ko) 무한 궤도용 트랙 롤러의 구동시험기 및 구동 시험 방법
JP4825650B2 (ja) 簡易動的コーン貫入試験装置
KR101114930B1 (ko) 코크스 오븐의 석탄 장입 높이 측정 장치
CN113532612A (zh) 具有精准称重功能的自动落料机构
KR20190058887A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KR20200027825A (ko) 수직관 내 협소공간 작업용 곤돌라 장치
KR100417702B1 (ko) 슬리브 외경 측정부를 포함하는 슬리브 설치장치
CN109049638B (zh) 吹塑机吹针进给量限位精调电控装置
CN107052103A (zh) 自动上料的卧式卷绕设备
CN102303553A (zh) 一种改良的背罐车
CN208471344U (zh) 一种新型物料提升机进料门装置
KR101847156B1 (ko) 압연기
CN207127380U (zh) 应用于固定式闪光焊对中系统的移动结构及自动对中系统
CN105712139A (zh) 一种电梯控制方法
CN105618382A (zh) 一种弯钢阻挡器
KR102121444B1 (ko) 사운딩 시물레이션 장치
KR100839069B1 (ko) 밀롤 자동 핸들링 장치
CN214881635U (zh) 一种炼铁用高炉铁水测温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