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059A -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에 든 과자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에 든 과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059A
KR20140010059A KR1020137023015A KR20137023015A KR20140010059A KR 20140010059 A KR20140010059 A KR 20140010059A KR 1020137023015 A KR1020137023015 A KR 1020137023015A KR 20137023015 A KR20137023015 A KR 20137023015A KR 20140010059 A KR20140010059 A KR 20140010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ll
packaging container
rear chamber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068B1 (ko
Inventor
아츠시 오노기
카오리 호리에
미츠코 오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4001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 B65D5/3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with or without extensions which form openable lid elements at least two container body parts, each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essentially U-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a permanently assembl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7Individual packages joined together, e.g. by means of integral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85Hinged lids formed by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blank to U-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10Adhesive or cohesive means for holding the contents attached to the container

Abstract

복수의 식품을 전, 후방으로 복수열로 겹쳐 수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각 식품을 쉽게 골라내고, 용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양립할 수 있는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드식의 포장용기(A)에는, 전방 챔버(L)와, 그 후방의 후방 챔버(B)에 식품인 껌(40,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세운 상태에서 횡 방향을 따라 수용할 수 있다. 후방 챔버(B)는, 전방 챔버(L)에 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전방 챔버(L)에 대하여 조립된다. 따라서, 미리 포장용기(A)의 후방측에 바닥이 솟아오른 부분을 형성하여 후방열(후방 챔버(B))의 껌(40)을 전방열(전방 챔버(L))의 껌(4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지 않더라도, 필요할 때만, 후방 챔버(B)를 전방 챔버(L)에 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후방열의 껌(40)을 전방열의 껌(4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용이하게 골라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이 솟아 오른 부분을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하므로, 포장용기(A)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에 든 과자{PACKAGING CONTAINER AND CONFECTIONARY IN PACKAGING CONTAINER}
본 발명은, 식품, 특히 과자를 수용하기 위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용기에 든 과자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기로서, 특허문헌 1에서는, 껌이나 초콜릿이나 캔디 등의 판 형상인 내용물을 수용하는 포장용 상자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포장용 상자에서는, 복수의 내용물이 세워진 상태에서 전, 후 2열로 겹쳐져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용 상자의 바닥면은, 후방측 부분이 전방측 부분보다 높도록 부분적으로 바닥이 솟아오르게 되어 있으며, 포장용 상자 내에서, 후방열의 내용물은, 전방열의 내용물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포장용 상자의 덮개를 열어서 포장용 상자의 상부를 개방한 경우에 있어서, 전방열 및 후방열 각각에 있어서 내용물이 골라내기 쉽게 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평11-1220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포장용 상자에서는, 바닥면이 부분적으로 솟아오르게 함으로써, 바닥이 솟아오른 부분만, 높이 방향의 길이가 커지게 되버리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전방열의 내용물을 전부 먹어버리면, 후방열의 내용물 전방측에는 비교적 넓은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하므로, 내용물이 적은 만큼 헛되어 데드 스페이스가 존재하는 포장용 상자를 가지고 다니는 것은 불편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으로 된 것으로, 복수의 식품을 전, 후방에 복수열로 겹쳐 수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각 식품을 골라내기 쉽게 하면서 용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양립될 수 있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인 것들 중 일부 식품을 다 먹었을 때, 소형화(박형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사용하기 좋은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포장용기에 든 과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식품의 직사각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수용하기 위한 종이제의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세운 상태로 횡 방향을 따라 수용하기 위한 전방 챔버와, 상기 전방 챔버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세운 상태로 횡 방향을 따라 수용하기 위한 후방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챔버는, 상기 전방 챔버에 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전방 챔버에 대하여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의 포장용기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후방 챔버는, 상기 전방 챔버와의 조립을 해제함으로써, 독립하여 사용 가능한 포장용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포장용기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후방 챔버는, 후방 챔버 전방 벽, 후방 챔버의 좌우측 벽, 후방 챔버 바닥벽 및 후방 챔버 후방 벽을 가지며, 상기 후방 챔버 전방 벽에는,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절결되고, 상기 후방 챔버 내에 수용되는 상기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의 상부를 전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취출창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 챔버 후방 벽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전방 및 하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포장용기의 상측벽 및 전방 상부를 감싸는 플랩을 구성하는 연장 형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포장용기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포장용기의 상측 벽을 구성하는 연장 형성부에는, 상측 벽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곡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곡 가이드를 따라 상기 연장 형성부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후방 챔버를 독립하여 사용할 때, 상기 상측 벽의 후방부가 상기 후방 챔버의 상측 벽이 되고, 상기 상측 벽의 전방부 및 상기 플랩 사이의 구부림을 없앰으로써, 그것들이 상기 후방 챔버의 전방을 감싸는 플랩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포장용기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전방 챔버는, 포장용기 전방 벽, 포장용기 좌우측 벽, 포장용기 후방 벽, 전방 챔버 바닥 벽 및 전방 챔버 후방 벽이 되는 포장용기 내의 마감벽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챔버 내에 수용되는 상기 판 형상인 작은 조작의 상부를 전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장용기 전방 벽의 상측 부분에는, 그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결된 취출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포장용기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마감벽은, 그 높이가 상기 포장용기 후방 벽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며, 그 상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중앙부에, 후방으로 되접어 꺾이는 정지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포장용기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후방 챔버는, 상기 전방 챔버의 후방에서, 상기 전방 챔버의 마감벽과 상기 포장용기 후방 벽 사이의, 상,하가 개방된 공간에 수납되도록, 상기 전방 챔버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연장 형성부의 좌우 양측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포장용기 좌우측 벽의 상측 가장자리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후방 챔버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벗어나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에 기재된 포장용기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상기 정지편이 상기 후방 챔버 전방 벽의 상측 가장자리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후방 챔버가 상기 전방 챔버에 대하여 그 이상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포장용기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포장용기 후방 벽에는,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포장용기 후방 벽을 좌우로 분리하기 위한 벨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9에 기재된 포장용기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식품의 직사각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수용하기 위한 종이제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세운 상태에서 횡 방향을 따라 수용하기 위한 제1 챔버와, 상기 제1 챔버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세운 상태에서 횡방향을 따라 수용하기 위하여 후방을 향하여 N 단 구성으로 형성된 제2 내지 제N 챔버(N은 2 이상인 양의 정수)를 포함하며, 상기 제N 챔버는, 제N-1 챔버에 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챔버에 대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슬라이드식의 포장용기이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용기의 식품 수용 챔버에, 개별 포장된 복수개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 형상의 껌, 초콜릿 또는 캔디와 같은 과자가 수용되며, 개별 포장된 판 형상인 작은 조각 형상의 과자의 수용 상태를 보호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개별 포장의 외면 일부가 접착 수단으로 식품 수용 챔버의 내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에 든 과자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식의 종이제 포장용기에서는, 전방 챔버와, 전방 챔버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 챔버 각각이 식품의 직사각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세운 상태에서 횡 방향을 따라 수용할 수 있다.
후방 챔버는, 전방 챔버에 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전방 챔버에 대하여 조립된다. 따라서, 미리 포장용기의 후방측에 바닥이 솟아오른 부분을 형성하여 후방열(후방 챔버)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전방열(전방 챔버)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지 않더라도, 필요할 때만 후방 챔버를 전방 챔버에 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후방열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전방열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이 솟아오른 부분을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하므로, 포장용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열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먹었다면, 후방 챔버를 전방 챔버에 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전방열의 판 형상이 작은 조각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후방열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용이하게 골라낼 수 있다.
즉, 이러한 포장용기에서는, 전후로 복수열로 겹쳐 수용된 각 식품(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골라내기 쉽게 하고, 용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양립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후방 챔버는, 전방 챔버와의 조립을 해제함으로써, 독립하여 사용 가능한 포장용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방 챔버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다 먹어 전방 챔버가 데드 스페이스가 되어 버리는 경우에는, 후방 챔버를 전방 챔버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남은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후방 챔버에 수용된 상태에서 컴팩트하게 가지고 다닐 수 있다. 즉, 복수인 것들 중 일부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다 먹었을 때, 포장용기를 소형화(박형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사용하기에 좋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후방 챔버의 후방 챔버 전방 벽에 형성된 취출창에서는, 후방 챔버 내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의 상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므로, 이러한 취출창으로부터 접근함으로써 후방 챔버 내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용이하게 골라낼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챔버의 후방 챔버 후방 벽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연장 형성부가, 소정 절곡 가이드를 따라 전방 및 하측으로 절곡됨으로써, 플랩으로서 포장용기의 상측 벽 및 전방 상부를 감싼다. 따라서, 포장용기의 상측 벽 및 전방 상부를 감싸기 위하여, 전방 챔버 및 후방 챔버의 양측에 플랩을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하므로, 부품 갯수를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포장용기의 상측 벽을 구성하는 연장 형성부에는, 상측 벽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곡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절곡 가이드를 따라 연장 형성부를 절곡함으로써, 후방 챔버를 독립하여 사용할 때, 연장 형성부에 있어서 포장용기의 상측 벽의 후방부를 구성하는 부분이 후방 챔버의 상측 벽이 된다. 그리고, 연장 형성부에 있어서 포장용기의 상측 벽의 전방부를 구성하는 부분과 플랩과의 사이의 꺾인 것을 제거함으로써, 그것들이 후방 챔버의 전방을 감싸는 플랩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후방 챔버의 연장 형성부는, 후방 챔버가 전방 챔버에 조립된 경우에는, 포장용기 전체의 플랩이 되며, 후방 챔버가 전방 챔버로부터 분리되어 독립한 경우에는, 후방 챔버의 플랩이 된다. 따라서, 포장용기 전체의 플랩이 되는 부분과, 후방 챔버의 플랩이 되는 부분을 별개로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하므로, 부품 갯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챔버를 독립하여 사용할 때에, 연장 형성부가 후방 챔버의 전방을 감싸고 있으므로, 후방 챔버 내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이 전방 외측으로 쏟아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전방 챔버는, 포장용기 전방 벽, 포장용기 좌우측 벽, 포장용기 후방 벽, 전방 챔버 바닥벽, 및 전방 챔버 후방 벽이 되는 포장용기 내의 마감벽을 포함한다.
포장용기 전방 벽의 상측 부분에 형성된 취출창으로부터 전방 챔버 내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의 상부가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취출창으로부터 접근함으로써 전방 챔버 내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용이하게 골라낼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마감벽은, 그 높이가 포장용기 후방 벽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어 있으므로, 마감벽에 의하여 포장용기 전체 높이의 길이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감벽의 상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되접어 꺾이는 정지편이 형성된다.
청구항 7의 발명과 같이 후방 챔버를 전방 챔버의 후방에서, 전방 챔버의 마감벽과 포장용기 후방 벽 사이의, 상,하가 개방된 공간에 수납되도록, 전방 챔버와 조립하면, 후방 챔버가 해당 공간에 있어서 전방 챔버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청구항 8의 발명과 같이 연장 형성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스토퍼가 포장용기 좌우측 벽의 상측 가장자리와 결합함으로써, 후방 챔버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뽑혀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청구항 9의 발명과 같이 정지편이 후방 챔버의 후방 챔버 전방 벽의 상측 가장자리와 결합함으로써 후방 챔버가 전방 챔버에 대하여 그 이상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후방 챔버를 전방 챔버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전방 챔버에 대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포장용기 후방 벽에 형성된 벨트부를 억지로 잡아 떼어 포장용기의 후방 벽을 좌우로 분리함으로써, 후방 챔버를, 전방 챔버의 마감벽과 포장용기 후방 벽과의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뽑아내어, 독립한 포장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과 같이 전방 챔버를 제1 챔버로 하고, 후방 챔버를 제2 내지 제N 챔버로 하는 N단 구성으로 하여, 제2 내지 제N 단 챔버 각각을 상측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위생적으로 휴대하기 쉽고, 또한 먹기 쉬운 과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용기(A)에 있어서 후방 챔버(B)의 전개도이다.
도 2는 완성 상태에 있는 후방 챔버(B)의 사시도이며, 덮개(4)가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완성 상태에 있는 후방 챔버(B)의 육면도이며, (a)는 정면도이고,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우측면도이고, (d)는 평면도이며, (e)는 저면도이고, (f)는 배면도이다.
도 4는 포장용기(A)에 있어서 본체부(C)의 전개도이다.
도 5는 완성 상태에 있는 본체부(C)의 사시도이며, (b)측이 (a)보다도 바로 위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본 사시도로 되어 있다.
도 6은 완성 상태에 있는 본체부(C)의 육면도이며, (a)는 정면도이고,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우측면도이고, (d)는 평면도이며, (e)는 저면도이고, (f)는 배면도이다.
도 7은 식품인 껌(40,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포장지(41)로 감싸 식품 유닛(42)을 형성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껌(40)을 포장지(41)에 놓은 상태를 나타내고, (b)는 (a)의 껌(40)을 포장지(41)로 감싸 식품 유닛(42)을 완성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도 8(a)는 완성 상태에 있는 후방 챔버(B)의 사시도에 있어서, 식품 유닛(42)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도 8(a)의 후방 챔버(B)의 평단면도이며, 도 8(c)는 완성 상태에 있는 본체부(C)의 사시도이고, 식품 유닛(42)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d)는 도 8(c)의 본체부(C)의 평단면도이다.
도 9는 후방 챔버(B)를 본체부(C)에 조립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10(a)는 완성한 상태에 있는 포장용기(A)의 사시도이며, 덮개(4)가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b)는 도 10(a)의 포장용기(A)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완성한 상태에 있는 포장용기(A)의 육면도이며, (a)는 정면도이고,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우측면도이고, (d)는 평면도이며, (e)는 저면도이고, (f)는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0(a)에 있어서 덮개(4)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체부(C)로부터 식품 유닛(42)을 한 개 꺼낸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a)는 도 10(a)과 같은 위치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3(b)는 도 10(b)와 같은 위치에 있어서 단면도이다.
도 14는 후방 챔버(B)로부터 식품 유닛(42)을 한 개 꺼낸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4(a)는 도 13(a)과 같은 위치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4(b)는 도 13(b)와 같은 위치에 있어서 단면도이다.
도 15는 후방 챔버(B) 및 본체부(C) 각각에 식품 유닛(42)이 채워진 상태에서 후방 챔버(B)를 상측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 있어서 포장용기(A)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체부(C)측의 벨트부(29)를 억지로 잡아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완성 상태에 있는 후방 챔버(B)의 사시도이며, 덮개(4)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18은 판 형상인 작은 조각(껌(40))의 개별 포장의 별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용기(A)는, 식품인 껌, 즉 판 형상의 작은 조각을 복수로 수용하기 위한 종이제의 포장용기이다. 포장용기(A)는, 후방 챔버(B)와 본체부(C)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우선 후방 챔버(B) 및 본체부(C) 각각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용기(A)에 있어서 후방 챔버(B)의 전개도이다. 도 2는 완성 상태에 있는 후방 챔버(B)의 사시도이며, 덮개(4)가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완성 상태에 있는 후방 챔버(B)의 육면도이다.
후방 챔버(B)는, 도 1에 나타낸 1장의 종이로 형성된 형지(X)를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형지(X)는 1장의 종이(두꺼운 종이 등)를 후방 챔버(B)의 전개도에 맞도록 재단함으로써 형성된다.
형지(X), 즉 전개도에 있어서 후방 챔버(B)는,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인 후방 챔버 후방 벽(1)을 가지고 있다. 후방 챔버 후방 벽(1)은, 상하(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좌변(1L) 및 우변(1R)과, 이들과 직교하는 좌우(가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상변(1U) 및 하변(1D)을 가진다.
그리고, 전개도에 있어서 후방 챔버(B)는, 좌변(1L)으로부터 좌측에 연달아 형성된 후방 챔버 좌측 벽(2)과, 우변(1R)으로부터 우측에 연달아 형성된 후방 챔버 우측 벽(3)과, 상변(1U)으로부터 상측으로 연달아 형성된 덮개(4, 연장 형성부)와, 하변(1D)으로부터 하측으로 연달아 형성된 후방 챔버 바닥 벽(5)을 가진다. 후방 챔버 좌측 벽(2) 및 후방 챔버 우측 벽(3)은, 같은 크기의 세로가 긴 직사각 형상이며, 후방 챔버 바닥 벽(5)은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이다. 후방 챔버 좌측 벽(2) 및 후방 챔버 우측 벽(3)의 각 길이 방향의 길이는,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와 같게 된다. 후방 챔버 바닥 벽(5)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같다. 후방 챔버 좌측 벽(2), 후방 챔버 우측 벽(3) 및 후방 챔버 바닥 벽(5) 각각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는 거의 같다.
또한, 전개도에 있어서 후방 챔버(B)는, 후방 챔버 좌측 벽(2)에 있어서 좌변(1L)과는 반대측의 단부 가장자리(2L, 도 1에 있어서 좌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좌측으로 연달아 형성된 좌측 연장 형성편(6)과, 후방 챔버 우측 벽(3)에 있어서 우변(1R)과는 반대측의 단부 가장자리(3R, 도 1에 있어서 우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우측으로 연달아 형성된 우측 연장 형성편(7)과, 후방 챔버 바닥 벽(5)에 있어서 하변(1D)과는 반대측의 단부 가장자리(5D, 도 1에 있어서 하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달아 형성된 전방 연장 형성판(8)을 가진다.
좌측 연장 형성편(6) 및 우측 연장 형성편(7)은, 같은 크기에 세로가 긴 L자 판 형상이며, 후방 챔버 후방 벽(1)을 밀착하여 대칭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도 1에서 우측 연장 형성편(7)은, L 자로 되어 있는 한편, 좌측 연장 형성편(6)은 좌우가 바뀐 L 자로 되어 있다. 좌측 연장 형성편(6)의 좌측 상부의 단부 가장자리는, J자 형상의 단부 가장자리(6A, J자 단부 가장자리)를 이루고 있으며, 우측 연장 형성편(7)의 우측 상부의 단부 가장자리는, 좌우가 바뀐 J자 형상의 단부 가장자리(7A, J자 단부 가장자리)를 이루고 있다. 좌측 연장 형성편(6) 및 우측 연장 형성편(7)의 (최대) 길이 방향 길이는, 후방 챔버 좌측 벽(2) 및 후방 챔버 우측 벽(3)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같다.
전방 연장 형성판(8)은,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이며, 그 길이 방향의 길이는, 후방 챔버 바닥 벽(5)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같으며, 그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는,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의 절반 정도이다. 전방 연장 형성판(8)의 중앙 위치에는, 전방 연장 형성판(8)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M자 형상인 슬릿(9)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4)는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상변(1U)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덮개부(10) 및 제2 덮개부(11)를 일체적으로 가진다.
제1 덮개부(10)는,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이며, 그 긴 방향의 길이는,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크게, 그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는 후방 챔버 좌측 벽(2), 후방 챔버 우측 벽(3) 및 후방 챔버 바닥 벽(5)의 각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의 2배 정도이다. 제1 덮개부(10)의 좌우 양단부는, 가로 방향 외측으로 약간 팽창하여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으며, 스토퍼(17)가 된다. 제1 덮개부(10)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는, 좌우의 스토퍼(17)만큼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제2 덮개부(11)는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이며, 그 긴 길이 방향의 길이는,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와 같으며, 그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는,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의 3/4정도이다. 제1 덮개부(10)와 제2 덮개부(11) 사이에는, 제1 절곡 가이드(12)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덮개부(11)에 있어서 제1 절곡 가이드(12)와는 반대측 선단부 가장자리(11A, 도 1에 있어서 상단 가장자리)는, 제1 절곡 가이드(12)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되어 있고, 선단부 가장자리(11A)에서는 좌측 부분이 우측 부분에 비하여 제1 절곡 가이드(12)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1 덮개부(10)에서는, 그 짧은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에 제2 절곡 가이드(13)가 제1 절곡 가이드(12)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 절곡 가이드(13)에 의하여 제1 덮개부(10)는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상변(1U)측의 제1 편(14)과, 제1 절곡 가이드(12)측의 제2 편(15)에 상기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대략 둘로 나뉘어 진다.
이와 같은 형지(X)에 있어서, 후방 챔버 좌측 벽(2), 후방 챔버 우측 벽(3), 덮개(4) 및 후방 챔버 바닥 벽(5, 전방 연장 형성판(8))을 ,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좌변(1L), 우변(1R), 상변(1U) 및 하변(1D) 중 대응하는 변을 접이선으로 하여, 같은 쪽(도 1에 있어서 지면에서 바라보는 독자에게 가까운 쪽)으로 후방 챔버 후방 벽(1)과 직교하도록 절곡한다.
다음으로, 좌측 연장 형성편(6) 및 우측 연장 형성편(7)을, 후방 챔버 좌측 벽(2)의 좌측 단부 가장자리(2L) 및 후방 챔버 우측 벽(3)의 우측 단부 가장자리(3R) 중 대응하는 단부 가장자리를 접이선으로 하여, 상호 접근하는 방향(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후방 챔버 좌측 벽(2) 및 후방 챔버 우측 벽(3)과 직교하도록 절곡한다.
다음으로, 전방 연장 형성판(8)을, 후방 챔버 바닥 벽(5)의 하측 단부 가장자리(5D)를 접이선으로 하여, 좌측 연장 형성편(6), 우측 연장 형성편(7) 및 후방 챔버 후방 벽(1)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후방 챔버 바닥 벽(5)과 직교하도록 절곡하면, 좌측 연장 형성편(6)에 있어서 J자 단부 가장자리(6A)보다 하측의 부분과 전방 연장 형성판(8)의 좌측 단부가 대향하고, 우측 연장 형성편(7)에 있어서 J자 단부 가장자리(7A)보다 하측의 부분과 전방 연장 형성판(8)의 우측 단부가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좌측 연장 형성편(6)에 있어서 J자 단부 가장자리(6A)보다 하측의 부분과 전방 연장 형성판(8)의 좌측 단부를 풀칠하고, 우측 연장 형성편(7)에 있어서 J자 단부 가장자리(6A)보다 하측의 부분과 전방 연장 형성판(8)의 좌측 단부를 풀칠하며, 우측 연장 형성편(7)에 있어서 J자 단부 가장자리(7A)보다 하측의 부분과 전방 연장 형성판(8)의 우측 단부를 풀칠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챔버(B)가 완성된다.
완성된 후방 챔버(B)에서는, 전방 연장 형성판(8)과, 좌측 연장 형성편(6)에 있어서 J자 단부 가장자리(6A)가 형성된 부분과, 우측 연장 형성편(7)에 있어서 J자 단부 가장자리(7A)가 형성된 부분이 일체로 되어 가로가 긴 대략 U 형상의 후방 챔버 전방 벽(16)을 구성한다. J자 단부 가장자리(6A, 7A)와, 전방 연장 형성판(8)의 상단부 가장자리는 연속하여 대략 U자가 되고, 이들의 단부 가장자리에 의하여, 후방 챔버 전방 벽(16)에는, 그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후방 챔버 전방 벽(16)을 절결하여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의 취출창(D)이 형성된다.
후방 챔버(B)는, 후방 챔버 전방 벽(16), 후방 챔버 후방 벽(1), 후방 챔버 좌측 벽(2) 및 후방 챔버 우측 벽(3)에 의하여 둘러싸인 수용 공간(E)을 가지는 전후 방향(후방 챔버 전방 벽(16)과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대향 방향)으로 편평한 박스 형상이다. 도 2에 있어서 지면에서 바라보는 독자에게 가까운 쪽이 후방 챔버(B)의 전방측이며, 도 2에 있어서 지면에서 바라보는 독자로부터 멀어지는 쪽이 후방 챔버(B)의 후방측이다. 수용 공간(E)에 있어서, 하단은 후방 챔버 바닥 벽(5)에 의하여 막혀 있으나, 상단은 후방 챔버 좌측 벽(2) 및 후방 챔버 우측 벽(3) 각각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의하여 가로 방향으로부터 구획된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의 취출구(F)로 하여 상측으로 개방된다. 취출구(F)와 취출창(D)은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후방 챔버(B)의 육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4는 포장용기(A)에 있어서 본체부(C)의 전개도이다. 도 5는 완성 상태에 있는 본체부(C)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완성 상태에 있는 본체부(C)의 육면도이다.
본체부(C)는 도 4에 나타낸 1장의 종이로 형성된 형지(Y)를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형지(Y)는, 1장의 종이(두꺼운 종이 등)를 본체부(C)의 전개도에 맞도록 재단함으로써 형성된다.
형지(Y), 즉 전개도에 있어서 본체부(C)는, 전술한 후방 챔버 전방 벽(16, 도 2 참조)과 같은 크기의 가로가 긴 대략 U자 형상인 포장용기 전방 벽(20)을 가진다. 따라서, 포장용기 전방 벽(20)의 상측 부분에는, 후방 챔버 전방 벽(16)의 취출창(D, 도 2 참조)과 같은 크기의 취출창(G)이 형성된다. 취출창(G)은, 포장용기 전방 벽(20)을 그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절결하여 있다. 포장용기 전방 벽(20)에 있어서 취출창(G)보다 하측의 부분 중앙 위치에는, 전방 연장 형성판(8)의 슬릿(9, 도 2 참조)과 같은 형상의 슬릿(21)이 형성된다. 슬릿(21)은 도 4에서는 상하가 바뀐 대략 M자 형상이며, 포장용기 전방 벽(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이와 같은 포장용기 전방 벽(20)은 상하(세로)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좌변(20L) 및 우변(20R)과, 이들과 직교하는 좌우(가로)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하변(20D)을 가진다.
그리고, 전개도에 있어서 본체부(C)는 좌변(20L)으로부터 좌측으로 연달아 형성된 포장용기 좌측 벽(22)과, 우변(20R)으로부터 우측으로 연달아 형성된 포장용기 우측 벽(23)과, 하변(20D)으로부터 하측으로 연달아 형성된 전방 챔버 바닥 벽(24)을 가진다. 포장용기 좌측 벽(22) 및 포장용기 우측벽(23)은, 같은 크기의 세로가 긴 직사각 형상이며, 전방 챔버 바닥 벽(24)은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이다. 포장용기 좌측 벽(22) 및 포장용기 우측 벽(23) 각각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는, 포장용기 전방 벽(20)의 (최대)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와 같다. 전방 챔버 바닥 벽(24)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는, 포장용기 전방 벽(20)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와 같다. 포장용기 좌측 벽(22) 및 포장용기 우측 벽(23) 각각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전방 챔버 바닥 벽(24)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의 대략 2배이다.
또한, 전개도에 있어서 본체부(C)는, 포장용기 좌측 벽(22)에 있어서 좌변(20L)과는 반대측의 단부 가장자리(22L, 도 4에 있어서 좌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좌측으로 연달아 형성된 좌측 연장 형성판(25)과, 포장용기 우측 벽(23)에 있어서 우변(20R)과는 반대측의 단부 가장자리(23R, 도 4에 있어서 우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우측으로 연달아 형성된 우측 연장 형성판(26)과, 전방 챔버 바닥 벽(24)에 있어서 하변(20D)과는 반대측의 단부 가장자리(24D, 도 4에 있어서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달아 형성된 전방 챔버 후방 벽(27)을 가진다.
좌측 연장 형성판(25)은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이다. 좌측 연장 형성판(25)에 있어서, 긴 길이 방향의 길이는, 포장용기 전방 벽(20)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와 같으며,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는, 포장용기 전방 벽(20)의 (최대)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와 같다. 좌측 연장 형성판(25)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포장용기 좌측 벽(22)측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좌측 연장 형성판(25)의 짧은 길이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좌측 연장 형성판(25)을 세로로 자르는 1쌍의 점선(28)이 형성된다. 좌측 연장 형성판(25)에 있어서 한 쌍의 점선(28)으로 좁혀지는 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지퍼용 벨트부(29)가 된다.
우측 연장 형성판(26)은, 포장용기 우측 벽(23)의 우측 단부 가장자리(23R)를 하부 바닥으로 하는 세로 길이가 같은 사다리꼴 형상이며, 그 상부 바닥측(도 4에서는 우측 단부 가장자리(23R)로부터 떨어진 우측)을 향하여 가늘어진다.
전방 챔버 후방 벽(27)은,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이다. 전방 챔버 후방 벽(27)에 있어서, 긴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전방 챔버 바닥 벽(24)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와 같으며,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는, 좌측 연장 형성판(25)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예를 들면 좌측 연장 형성판(25)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의 3/4 정도이다.
또한, 전개도에 있어서 본체부(C)는, 전방 챔버 후방 벽(27)에 있어서 전방 챔버 바닥 벽(24)의 하단부 가장자리(24D)와는 반대측의 선단부 가장자리(27A, 도 4에 있어서 하단부 가장자리)의 가로 방향 중앙부로부터 하측으로 연달아 형성된 정지편(30)을 가진다. 선단부 가장자리(27A) 위에 있어서 전방 챔버 후방 벽(27)과 정지편(30) 사이의 위치에는, 점선(31)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정지편(30)은 점선(31)을 하부 바닥으로 하는 가로 길이가 같은 사다리꼴 형상이며, 그 상부 바닥측(도 4에서는 점선(31)으로부터 멀어지는 하측)을 향하여 가늘어진다. 정지편(30)을 전방 챔버 후방 벽(27)의 일부로 간주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형지(Y)에 있어서, 포장용기 좌측 벽(22, 좌측 연장 형성판(25)), 포장용기 우측 벽(23, 우측 연장 형성판(26)), 전방 챔버 바닥 벽(24, 전방 챔버 후방 벽(27), 정지편(30))을, 포장용기 전방 벽(20)의 좌변(20L), 우변(20R) 및 하변(20D) 중 대응하는 변을 접이선으로 하고, 같은 쪽(도 4에 있어서 지면에서 바라보는 독자에게서 멀어지는 쪽)으로 포장용기 전방 벽(20)과 직교하도록 절곡한다.
다음으로, 전방 챔버 후방 벽(27, 정지편(30))을, 전방 챔버 바닥 벽(24)의 하단부 가장자리(24D)를 접이선으로 하고, 상측으로 전방 챔버 바닥 벽(24)과 직교하도록 절곡하면, 전방 챔버 후방 벽(27, 정지편(30))이 포장용기 전방 벽(20)에 대하여 안쪽(후방측)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이때, 전방 챔버 후방 벽(27)의 선단부 가장자리(27A)는 전방 챔버 후방 벽(27)의 상측 가장자리가 된다.
다음으로, 정지편(30)을, 선단부 가장자리(27A)에 있어서 점선(31)을 접이선으로 하여 포장용기 전방 벽(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후방)으로 되접어 꺾는다.
다음으로, 좌측 연장 형성판(25) 및 우측 연장 형성판(26)을 포장용기 좌측 벽(22)의 좌측 단부 가장자리(22L) 및 포장용기 우측 벽(23)의 우측 단부 가장자리(23R) 중 대응하는 단부 가장자리를 접이선으로 하여, 상호 접근하는 방향(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포장용기 좌측 벽(22) 및 포장용기 우측 벽(23)과 직교하도록 절곡하면, 절곡된 좌측 연장 형성판(25)의 우측 단부(도 4의 절곡하기 전에서는 좌측 단부)가 우측 연장 형성판(26)에 대하여 후방측으로부터 겹쳐지고, 좌측 연장 형성판(25) 및 우측 연장 형성판(26)은 전방 챔버 후방 벽(27) 및 되접어 꺾여진 정지편(30)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서 후방측으로부터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좌측 연장 형성판(25)과 우측 연장 형성판(26)의 겹쳐진 부분을 풀칠함으로써, 도 5와 같이 본체부(C)가 완성된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모두 본체부(C)의 사시도이지만, 도 5(b) 쪽이 바로 위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본 사시도가 된다.
완성된 본체부(C)에서는, 풀칠된 좌측 연장 형성판(25)과 우측 연장 형성판(26)이 일체로 되어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의 포장용기 후방 벽(32)을 구성한다. 포장용기 후방 벽(32)은, 좌측 연장 형성판(25)과 같은 크기이다. 좌측 연장 형성판(25)의 벨트부(29)는, 포장용기 후방 벽(32)에 있어서 그 좌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우측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포장용기 후방 벽(32)을 세로로 절단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벨트부(29)를 점선(28)에 따라 잡아 뜯어내면, 포장용기 후방 벽(32)을 벨트부(29)의 양측에 있어서 좌우로 분리할 수 있다.
본체부(C)는, 포장용기 전방 벽(20), 포장용기 후방 벽(32), 포장용기 좌측 벽(22) 및 포장용기 우측 벽(23)에 의하여 둘러싸인 수용 공간(H)을 가진 전후 방향(포장용기 전방 벽(20)과 포장용기 후방 벽(32)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편평한 박스 형상이다. 도 5에 있어서 지면에서 바라보는 독자에게 가까운 쪽이 본체부(C)의 전방측이며, 도 5에 있어서 지면에서 바라보는 독자에게서 멀어지는 쪽 본체부(C)의 후방측이다. 본체부(C)에 있어서, 포장용기 전방 벽(20)과 포장용기 후방 벽(32)의 사이에는, 이들의 벽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전방 챔버 후방 벽(27)이 배치되며, 따라서 수용 공간(H)은 포장용기 전방 벽(20)측(전방측)의 전방 공간(I)과, 포장용기 후방 벽(32)측(후방측)의 후방 공간(J)으로 전후로 대략 둘로 나뉘어진다. 전방 챔버 후방 벽(27)은, 수용 공간(H, 본체부(C), 바꿔말하면, 포장용기(A)의 내부)를 마감하는 마감벽이다. 전방 공간(I)과 후방 공간(J)은 대략 같은 크기에 전후로 편평한 박스 형상의 공간이다.
전방 챔버 후방 벽(27)은 그 높이가 포장용기 후방 벽(32)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챔버 후방 벽(27)의 상부 가장자리인 선단부 가장자리(27A)는 포장용기 후방 벽(32)의 상부 가장자리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공간(I)과 후방 공간(J)은, 전방 챔버 후방 벽(27)보다 상측의 위치에서 상호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전방 챔버 후방 벽(27)의 높이가 포장용기 후방 벽(32)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어 있으므로, 전방 챔버 후방 벽(27)에 의하여 본체부(C) 전체(바꿔말하면, 포장용기(A) 전체)의 높이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챔버 후방벽(27)의 정지편(30)은, 후방 공간(J)측으로 되접어 꺾어진다.
수용 공간(H)의 상단은, 포장용기 좌측 벽(22) 및 포장용기 우측 벽(23)의 각 상단부 가장자리에 의하여 가로 방향으로 구획된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의 취출구(K)로서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취출구(K)와 포장용기 전방 벽(20)의 취출창(G)은 연속되어 있다.
수용 공간(H)의 대략 전방측 절반의 전방 공간(I)에서는, 그 하단이 전방 챔버 바닥 벽(24)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도 5(b) 참조), 그 상단은, 취출구(K)의 대략 절단쯤으로서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전방 공간(I)의 상부는, 취출창(G)으로부터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수용 공간(H)에 있어서 전방 공간(I)을 구획하는 포장용기 전방 벽(20), 전방 챔버 후방 벽(27) 및 전방 챔버 바닥 벽(24), 그리고 포장용기 좌측 벽(22) 및 포장용기 우측 벽(23) 각각의 대략 전방에서 절반쯤의 합쳐진 부분은, 전방 챔버(L)를 구성한다. 그리고, 전방 챔버(L)는 포장용기 좌측 벽(22) 및 포장용기 우측 벽(23) 각각의 대략 후방에서 절반쯤 및 포장용기 후방 벽(32)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으며, 이 경우 본체부(C) 전체가 전방 챔버(L)가 된다.
수용 공간(H)의 대략 후방에서 절반쯤의 후방 공간(J)에서는 그 하단이, 전방 챔버 후방 벽(27) 및 포장용기 후방 벽(32) 각각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구획된 가로가 긴 직사각 형상의 삽입구(M, 후술할 도 6(e) 참조)로 하여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그 상단은 취출구(K)의 대략 후방에서 절반쯤으로 하여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후방 공간(J)은, 전방 챔버 후방 벽(27)과 포장용기 후방 벽(32) 사이의 상하가 개방된 공간이다.
그리고, 도 6에서는 본체부(C)의 육면도가 나타나 있다.
이상과 같이 완성된 후방 챔버(B) 및 본체부(C)를 조립함으로써, 포장용기(A)가 완성된다. 후방 챔버(B) 및 본체부(C)의 조립을 설명하기 전에, 포장용기(A)에 수용되는 식품인 판 형상인 작은 조각으로서 껌(4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식품인 껌(40,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이 포장지(41)로 감싸져 개별 포장되어 식품 유닛(42)을 형성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여, 껌(40)은 세로가 긴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는 얇은 블럭 형상(직사각 판 형상)이다. 껌(40)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는, 후방 챔버(B)의 후방 챔버 후방 벽(1, 도 2 참조) 및 본체부(C)의 포장용기 후방 벽(32, 도 5 참조) 각각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작다.
껌(40)은 포장지(41)로 감싸진다. 껌(40)과, 이것을 감싼 상태에 있는 포장지(41)는 식품 유닛(42)을 구성한다.
포장지(41)는 이른바 은박지나 왁스 페이퍼 또는 필름이며, 전개한 상태에서는 껌(40) 전체를 감싸 넣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진 직사각 형상이다. 포장지(41)에서는 그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일단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포장지(41)의 짧은 길이 방향을 따라 포장지(41)를 가로로 잘라 연장된 점선(43)이 형성되어 있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개의 껌(40)을, 1 장의 포장지(41) 중앙부에 각각 긴 길이 방향이 일치하도록 거치한다. 그리고, 포장지(41)에 있어서 껌(40)으로부터 불거져 나온 부분을 절첩하여, 도 7(b)와 같이 껌(40)을 포장지(41)로 감싼다. 이와 같이 껌(40)을 포장지(41)로 깜싼(개별 포장한) 것이, 식품 유닛(42)이다. 식품 유닛(42)은 포장지(41)의 두께만큼 껌(40)보다 한바퀴 큰, 세로가 긴 블럭 형상이다. 식품 유닛(42)을 세우면, 식품 유닛(42)에서는 그 긴 길이 방향인 세로 방향에 있어서 하단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포장지(41)의 점선(43)이 위치하게 되며, 점선(43)은 식품 유닛(42)의 짧은 길이 방향(가로 방향)으로 연장하여 껌(40)을 한 바뀌 두르게 된다. 식품 유닛(42)을 세운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점선(43)은 껌(40)을 감싼 상태인 포장지(41)를 점선(43)보다 상측의 분리부(41A)와, 점선(43)보다 하측의 고정부(42B)로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포장지(41)로서는, 점선(4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하여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식품 유닛(42)을 복수(여기서는 1 개의 포장용기(A) 당 12개)로 준비한다.
도 8에 있어서, 도 8(a)는 완성 상태에 있는 후방 챔버(B)의 사시도에 있어서, 식품 유닛(42)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도 8(a)의 후방 챔버(B)의 평단면도이며, 도 8(c)는 완성 상태에 있는 본체부(C)의 사시도이고, 식품 유닛(42)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d)는 도 8(c)의 본체부(C)의 평단면도이다.
도 8(a)와 같이, 12 개의 식품 유닛(42, 껌(40)) 중, 6 개의 식품 유닛(42)은, 가로 방향을 따라 세워진 상태에서, 후방 챔버(B)의 수용 공간(E)에 수용되어 있다. 도 8(b)와 같이, 후방 챔버(B)의 후방 챔버 후방 벽(1)에 있어서 수용 공간(E)와 대면하는 앞면의 하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벨트 형상으로 연장된 접착제(45, 점착 테이프라도 좋음)가 도포되어 있으며, 수용 공간(E) 내의 각 식품 유닛(42)에서 포장지(41)의 고정부(41B, 도 7(b) 참조)가 접착제(45)에 의하여 후방 챔버 후방 벽(1)에 접착되어 있다. 도 8(a)와 같이, 6 개의 식품 유닛(42)이 수용 공간(E, 후방 챔버(B) 안)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들의 상부는, 후방 챔버 전방 벽(16)의 취출창(D)으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취출구(F)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후방 챔버(B)에 수용된 식품 유닛(42)은, 후방 챔버(B)를 조립하기 전의 형지(X, 도 1 참조)의 단계에서 후방 챔버 후방 벽(1)에 접착되어 있으며, 후방 챔버(B)를 조립하면, 수용 공간(E)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물론, 조립후의 후방 챔버(B)에 대하여 식품 유닛(42)을 수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8(c)와 같이, 12 개의 식품 유닛(42) 중, 남은 6 개의 식품 유닛(42)은, 가로 방향을 따라 세워진 상태에서, 본체부(C)의 전방 챔버(L)의 전방 공간(I)에 수용되어 있다. 도 8(d)와 같이, 전방 챔버(L)의 전방 챔버 후방 벽(27)에 있어서 전방 공간(I)과 대면하는 앞면의 하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벨트 형상으로 연장된 접착제(46, 점착 테이프라도 좋음)가 도포되어 있으며, 전방 공간(I) 내의 각 식품 유닛(42)에 있어서, 포장지(41)의 고정부(41B, 도 7(b) 참조)가 접착제(46)에 의하여 전방 챔버 후방 벽(27)에 접착되어 있다. 도 8(c)와 같이 6 개의 식품 유닛(42)이 전방 공간(I, 전방 챔버(L) 안)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들의 상부는, 포장용기 전방 벽(20)의 취출창(G)으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취출구(K)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전방 챔버(L)에 수용된 식품 유닛(42)은, 전방 챔버(L)를 조립하기 전의 형지(Y, 도 4 참조)의 단계에서 전방 챔버 후방 벽(27)에 접착되어 있으며, 전방 챔버(L, 본체부(C))를 조립하면, 전방 공간(I)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물론, 조립후의 전방 챔버(L)에 대하여 식품 유닛(42)을 수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후방 챔버(B) 및 본체부(C, 전방 챔버(L)) 각각에 식품 유닛(42)이 6 개씩 수용된 상태에서, 다음으로, 후방 챔버(B)를 본체부(C)에 조립하여 포장용기(A)를 완성시키는 작업이 수행된다.
도 9는 후방 챔버(B)를 본체부(C)에 조립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10(a)는 완성한 상태에 있는 포장용기(A)의 사시도이며, 덮개(4)가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b)는 도 10(a)의 포장용기(A)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완성된 상태에 있는 포장용기(A)의 육면도이다.
도 9와 같이, 후방 챔버(B)의 덮개(4)를 연 상태로 한다. 이때, 덮개(4)는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상부 가장자리(상변(1U))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상태가 되며, 후방 챔버 후방 벽(1)과 대략 같은 면이 되어 있다. 다음으로, 후방 챔버(B)의 취출창(D)과 본체부(C)의 취출창(G)이 같은 방향(도 9에서는 지면에서 바라보는 독자에게 가까운 쪽)을 향한 상태에서 후방 챔버(B)를 본체부(C)의 취출구(K)의 후방 절반 부분에 대하여 위로부터 대향되게 배치하고, 이후, 후방 챔버(B)가 후방 챔버 바닥 벽(5)측으로부터 취출구(K)의 후방 절반 부분에 삽입되도록 후방 챔버(B)와 본체부(C)를 상대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체부(C)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후방 챔버(B)를 본체부(C)측으로 이동시켜도 좋으며, 그 반대로, 본체부(C)를 후방 챔버(B)측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따라서, 후방 챔버(B)가 취출구(K)의 후방 절반 부분에 삽입되고, 본체부(C)의 후방 공간(J)에 수용되어 간다. 여기서, 덮개(4)의 제1 덮개부(10)는 좌우의 스토퍼(17)를 가지므로, 후방 챔버(B) 및 본체부(C) 중에서 가장 횡 방향으로 크다(폭이 넓은 것이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후방 챔버(B)에 있어서 덮개(4) 이외의 부분이 본체부(C)의 후방 공간(J)에 완전히 수용되면, 덮개(4)의 제1 덮개부(10)의 좌우양측의 스토퍼(17)가 본체부(C)의 포장용기 좌측 벽(22) 및 포장용기 우측 벽(23)에 있어서 좌우로 같은 쪽인 측의 각 상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맞닿아 접(결합)한다. 따라서, 후방 챔버(B)가 이 이상 후방 공간(J) 내로 끼어 들어오지 않으므로, 후방 챔버(B)가 본체부(C)의 바닥측 삽입홀(M)을 통하여 후방 공간(J)으로부터 뽑혀져 떨어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후방 챔버(B)가 전방 챔버(L)의 후방에서 후방 공간(J)에 수납되도록 전방 챔버(L)에 대하여 조립되고, 포장용기(A)가 완성된다.
이 상태에서는, 덮개(4)가 본체부(C)의 취출구(K)로부터 상측으로 완전히 불거져 나와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전방 챔버(L)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 챔버(B)의 후방 챔버 후방 벽(1), 후방 챔버 좌측 벽(2), 후방 챔버 우측 벽(3) 및 후방 챔버 전방 벽(16)의 각 상단부 가장자리가, 본체부(C)의 포장용기 전방 벽(20), 포장용기 좌측 벽(22), 포장용기 우측 벽(23) 및 포장용기 후방 벽(32)의 각 상단부 가장자리와 높이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후방 챔버 후방 벽(1), 후방 챔버 좌측 벽(2), 후방 챔버 우측 벽(3) 및 후방 챔버 전방 벽(16)의 각 하단부 가장자리가, 포장용기 전방 벽(20), 포장용기 좌측 벽(22), 포장용기 우측 벽(23), 전방 챔버 후방 벽(27) 및 포장용기 후방 벽(32)의 각 하단부 가장자리와 높이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포장용기(A)를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후방 챔버(B, 덮개(4) 이외의 부분)와 본체부(C)의 전방 챔버(L)가 완전히 겹쳐지게 된다. 이때, 후방 챔버(B) 내의 각 식품 유닛(42)과, 전방 챔버(L)의 각 식품 유닛(42)은, 높이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있으며, 모든 식품 유닛(42)의 상단부 가장자리는, 높이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있다.
또한, 이때, 도 10(b)와 같이 후방 챔버(B)측의 후방 챔버 전방 벽(16)에 있어서 전방 연장 형성판(8)의 상부 가장자리가 본체부(C)측의 전방 챔버 후방 벽(27)의 정지편(30, 엄밀하게는, 되접어 꺾인 정지편(30)과 전방 챔버 후방 벽(27)의 접속 부분의 근방)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하측으로부터 대향하고 있다. 후방 챔버(B)를 수용하는 후방 공간(J)에서는, 상하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후방 챔버(B)는 후방 공간(J)에 있어서 전방 챔버(L, 본체부(C))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후술하겠지만, 후방 챔버(B)측의 전방 연장 형성판(8)의 상부 가장자리가 전방 챔버(L)측의 정지편(30)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정지됨으로써, 후방 챔버(B)의 상측으로의 슬라이드는 소정량까지 제한된다.
완성된 포장용기(A)는, 슬라이드식이며, 전후로 편평한 박스 형상이다.
도 10(a)에 있어서 지면에서 바라보는 독자에게 가까운 쪽이, 포장용기(A)의 전방측이며, 도 10(a)에 있어서 지면에서 바라보는 독자에게서 멀어지는 쪽이, 포장용기(A)의 후방측이다.
그리고, 도 11에는, 포장용기(A)의 육면도가 나타나있다.
도 12는 도 10(a)에 있어서 덮개(A)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완성된 포장용기(A)에 있어서, 덮개(4)는 도 10(a)와 같이 계속하여 열려지고,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상부 가장자리(상변(1U))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후방 챔버 후방 벽(1)의 상변(1U)을 접이선으로 하여 덮개(4)를 후방 챔버 후방 벽(1)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전방으로 절곡하고, 덮개(4)에 있어서 제1 절곡 가이드(12)를 접이선으로 하여 제2 덮개부(11)를 제1 덮개부(10)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하측으로 절곡한다. 따라서, 덮개(4)는 도 12와 같이 닫힌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덮개(4)가 플랩을 구성하며, 덮개(4)에 있어서 제1 덮개부(10)가 포장용기(A)의 상측 벽을 감싸고, 제2 덮개부(11)가 포장용기(A)의 전방 상부(포장용기 전방 벽(20)의 상측 부분)을 감싸고 있다. 따라서, 포장용기(A)의 상측 벽에 있는 본체부(C)의 취출구(K)는, 제1 덮개부(10)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바꿔 말하면, 제1 덮개부(10)는 포장용기(A)의 상측 벽을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포장용기(A)의 상측 벽 및 전방 상부를 감싸기 때문에, 전방 챔버(L) 및 후방 챔버(B)의 양측에 플랩을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하므로, 부품 갯수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덮개부(10)에 있어서 제1 덮개부(10)를 제1 편(14)과 제2 편(15)의 둘로 나누는 제2 절곡 가이드(13)는, 제1 덮개부(10, 포장용기(A)의 상측 벽)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포장용기 전방 벽(20)의 상측 부분에 있는 취출창(G)은, 제2 덮개부(11)에 의하여 막혀 있다. 그리고, 제2 덮개부(11)의 선단부 가장자리(11A)를 포장용기 전방 벽(20)의 슬릿(21)에 끼워 넣음으로써, 덮개(4)가 분리되지 않도록 포장용기 전방 벽(20)에 결합된다. 따라서, 덮개(4)가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덮개(4)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포장용기(A)는, 닫힌 통 형상이 된다.
도 13은 본체부(C)로부터 식품 유닛(42)을 한 개 꺼낸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a)는 도 10(a)과 같은 위치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3(b)는 도 10(b)와 같은 위치에 있어서 단면도이다. 도 14는 후방 챔버(B)로부터 식품 유닛(42)을 한 개 꺼낸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4(a)는 도 13(a)과 같은 위치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4(b)는 도 13(b)와 같은 위치에 있어서 단면도이다. 도 15는 후방 챔버(B) 및 본체부(C) 각각에 식품 유닛(42)이 채워진 상태에서 후방 챔버(B)를 상측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 있어서 포장용기(A)의 사시도이다.
포장용기(A)에 수용된 껌(40)을 먹고 싶은 경우에는, 제2 덮개부(11)의 선단부 가장자리(11A)를 포장용기 전방 벽(20)의 슬릿(21)으로부터 분리하여, 도 13과 같이 덮개(4)를 연다.
먹는 방법의 일례로서, 포장용기(A)에 있어서 가장 앞 열에 있는 전방 챔버(L)의 껌(4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먹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전방 챔버(L, 본체부(C))의 포장용기 전방 벽(20)의 상측 부분에 형성된 취출창(G)으로부터 전방 챔버(L) 내의 식품 유닛(42, 껌(40))의 상부(포장지(41)의 분리부(41A))가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취출창(G)으로부터 접근함으로써 전방 챔버(L) 내의 껌(40)을 손가락(100)으로 쉽게 쥘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100)으로 쥔 식품 유닛(42)을 굵은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C)의 취출구(K)로부터 상측으로 당겨 낸다.
그러면, 도 13(b)를 참조하여 뽑혀진 식품 유닛(42)에서는, 포장지(41)의 고정부(41B)가 접착제(46)에 의하여 본체부(C)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포장지(41)가 분리부(41A)와 고정부(41B)로 분리된다. 따라서, 뽑혀진 식품 유닛(42)에서는, 분리부(41A)와, 이것에 감싸진 껌(40)이 일체로 된 상태에서 전방 챔버(L)로부터 뽑혀 나온다. 남은 식품 유닛(42)은, 접착제(46)에 의하여 본체부(C)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방 챔버(L) 내에 있어서, 이들 식품 유닛(42)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골라낸 식품 유닛(42)의 껌(40)에 있어서 분리부(41A)로부터 노출된 부분을 더함으로써 껌(40)을 먹을 수 있게 된다.
같은 순서로, 전방 챔버(L)에 있어서 남은 식품 유닛(42)도 골라내고 각 식품 유닛(42)의 껌(40)을 먹을 수 있다.
그리고, 포장지(41)로서 점선(4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포장지를 사용한 경우, 또는 후술할 변형예로서 투명 필름(51)이나 플라스틱제의 용기(52, 도 18의 설명 참조)에 의하여 껌(40)이 개별 포장되어 있는 경우는, 포장지 전체, 투명 필름(51) 전체, 또는 용기(52) 전체가 접착제(46)로부터 분리되어 개별 포장된 식품 유닛(42) 전체를 골라낼 수 있다.
그리고, 도 14와 같이 전방 챔버(L)에 있어서 모든 식품 유닛(42)이 뽑혀 나오면, 후방 챔버(B)만(예를 들면, 덮개(4))을 쥐고 상측으로 잡아 올린다. 또한, 본체부(C)의 삽입홀(M)로부터 노출된 후방 챔버 바닥 벽(5, 도 14(b) 참조)을 밀어 올려도 좋다. 이들 중 어느 것에 의하여, 후방 챔버(B)는, 전방 챔버(L, 본체부(C))에 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4(b)와 같이 후방 챔버(B)의 후방 챔버 전방 벽(16)에 있어서 전방 연장 형성판(8)의 상부 가장자리가, 본체부(C)측의 전방 챔버 후방 벽(27)의 정지판(30, 엄밀하게는, 되접어 꺾여진 정지편(30)과 전방 챔버 후방 벽(27)과의 접속 부분)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결합하면, 후방 챔버(B)가 전방 챔버(L)에 대하여 그 이상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멈춰진다. 이와 같이 후방 챔버(B)는, 전방 챔버(L)에 대하여 전방 연장 형성판(8)이 정지편(30)에 결합하기까지의 소정량(Z)만큼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후방 챔버(B)가 소정량(Z)만큼 상측으로 슬라이딩하면, 후방 챔버(B) 및 전방 챔버(L)는 단차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후방 챔버(B)가 상측으로 슬라이딩하면, 후방 챔버(B)에 있어서 덮개(4)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상부가, 본체부(C)의 취출구(K)로부터 상측으로 불거져 나온 상태가 된다. 따라서, 후방 챔버(B) 내의 각 식품 유닛(42)의 상부도, 본체부(C)의 취출구(K)로부터 상측으로 불거져 나온 상태가 된다.
식품 유닛(42)의 상부(포장지(41)의 분리부(41A))는, 후방 챔버(B) 상부의 취출창(D)으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취출창(D)으로부터 접근함으로써 후방 챔버(B) 내의 식품 유닛(42, 껌(40))을 손가락(100)으로 용이하게 골라낼 수 있다. 다음으로, 손가락(100)으로 뽑아낸 식품 유닛(42)을 굵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챔버(B)의 취출구(F)로부터 상측으로 뽑아낸다. 그러면, 도 14(b)를 참조하여, 뽑혀진 식품 유닛(42)에서는, 포장지(41)의 고정부(41B)가 접착제(45)에 의하여 후방 챔버(B)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포장지(41)가 분리부(41A)와 고정부(41B)로 분리된다. 따라서, 뽑혀진 식품 유닛(42)에서는, 분리부(41A)와, 이것에 감싸진 껌(40)이 일체가 된 상태에서, 후방 챔버(B)로부터 뽑혀 나온다. 남은 식품 유닛(42)은, 접착제(45)에 의하여 후방 챔버(B)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후방 챔버(B)에 있어서, 이들 식품 유닛(42)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은 없다.
뽑아낸 식품 유닛(42)의 껌(40)에 있어서, 분리부(41A)로부터 노출된 부분을 물면 껌(40)을 먹을 수 있게 된다.
같은 순서로, 후방 챔버(B)에 있어서 남은 식품 유닛(42)도 골라내고, 각 식품 유닛(42)의 껌(40)을 먹을 수 있다. 후방 챔버(B)에 있어서 골라내지 않고 남은 식품 유닛(42)이 있다면, 후방 챔버(B)를 하측으로 소정량(Z)만큼 슬라이드시켜서, 후방 챔버(B, 덮개(4) 이외의 부분)를 본체부(C)의 후방 공간(J) 내로 완전히 수용한다(도 10 참조). 이때, 덮개(4)의 제1 덮개부(10) 좌우의 스토퍼(17)가 본체부(C)의 포장용기 좌측 벽(22) 및 포장용기 우측 벽(23)에 있어서 좌우로 같은 쪽에 있는 측에 대하여 위로부터 맞닿아 접하므로, 후방 공간(J) 내에 수용된 후방 챔버(B)가 본체부(C)의 바닥측 삽입홀(M)로부터 빠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후방 챔버(B)는 전방 챔버(L)에 대하여 소정량(Z)만큼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전방 챔버(L)에 대하여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미리 포장용기(A)의 후방측에 바닥이 솟아오른 부분을 형성하여 후방 열(후방 챔버(B))의 껌(40)을 전방 열(전방 챔버(L))의 껌(4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지 않더라도, 필요할 때에만, 후방 챔버(B)를 전방 챔버(L)에 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후방 열의 껌(40)을 전방 열의 껌(4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도 15 참조). 따라서, 상기 바닥이 솟아오른 부분을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하므로, 포장용기(A)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열의 껌(40)을 먹었다면, 후방 챔버(B)를 전방 챔버(L)에 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전방 열의 껌(4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후방 열의 껌(40)을 용이하게 골라낼 수 있다.
즉, 이러한 포장용기(A)에서는, 전후로 복수 열로 겹쳐져 수용된 각 식품(껌(40))의 골라내기 용이함과 용기의 소형화를 양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먹는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15와 같이, 전방 챔버(L)의 식품 유닛(42)을 골라내기 전에, 후방 챔버(B)를 상측으로 슬라이드시켜, 후방 챔버(B)의 식품 유닛(42)인 껌(40)을 먼저 먹어도 좋다.
또한, 껌(40)을 전부 먹을 수 없는 경우에는, 먹다 남은 껌(40)에 관하여 식품 유닛(42)이 전방 챔버(L)나 후방 챔버(B)에 남은 상태에서, 덮개(4)가 닫혀진다(도 12 참조).
도 16은 본체부(C)측의 벨트부(29)를 억지로 잡아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완성 상태에 있는 후방 챔버(B)의 사시도이며, 덮개(4)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후방 챔버(B)에 식품 유닛(42)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전방 챔버(L)의 껌(40)을 전부 먹은 경우에는, 도 16과 같이 본체부(C)의 포장용기 후방 벽(32)에 있어서 벨트부(29)를 잡아 떼어내면, 포장용기 후방 벽(32)이 좌우로 분리되므로, 포장용기 후방 벽(32)에 있어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 사이를 통하여 후방 공간(J)으로부터 후방 챔버(B)만 골라낼 수 있다.
후방 챔버(B)는, 이와 같이 본체부(C, 전방 챔버(L))와의 조립을 해제함으로써, 독립하여 사용 가능한 포장용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방 챔버(L)의 껌(40)을 다 먹어 전방 챔버(L)가 데드 스페이스가 되어버린 경우에는(도 14 참조), 후방 챔버(B)를 전방 챔버(L)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남은 껌(40)이 후방 챔버(B)에 수용된 상태에서, 원래 포장용기(A)의 약 절반 부분의 얇기로 컴팩트하게 들고 다닐 수 있다. 즉, 복수 또는 일부의 껌(40)을 먹었을 때, 포장용기(A)를 소형화(박형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좋다.
후방 챔버(B) 내의 식품 유닛(42)인 껌(40)을 아직 먹지 않았다면, 우선, 덮개(4)의 제1 절곡 가이드(12)에 있어서 꺾인 것(도 12 참조)을 제거한다. 즉, 제1 덮개부(10, 포장용기(A)의 상측 벽 부분)의 전방부인 제2 편(15)과, 포장용기(A)의 플랩인 제2 덮개부(11) 사이의 꺾인 것을 제거한다. 따라서, 제1 덮개부(10)와 제2 덮개부(11)가 같은 면이 된다.
다음으로, 제2 절곡 가이드(13)를 접이선으로 하여(제2 절곡 가이드(13)를 따라), 제2 편(15) 및 제2 덮개부(11)를, 제1 편(14)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전방 하측으로 절곡한다. 따라서, 덮개(4)는 도 17과 같이 닫힌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4)는, 제1 덮개부(10)의 후방부인 제1 편(14)이 후방 챔버(B)의 상측 벽이 되며, 제2 편(15) 및 제2 덮개부(11)는, 후방 챔버(B)의 전방을 감싸는 플랩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후방 챔버(B)의 덮개(4)는, 후방 챔버(B)가 전방 챔버(L)에 조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장용기(A)의 플랩이 되고(도 12 참조), 후방 챔버(B)가 전방 챔버(L)로부터 분리되어 독립된 경우에는, 후방 챔버(B)의 플랩이 된다(도 17 참조). 따라서, 포장용기(A) 전체의 플랩이 되는 부분과, 후방 챔버(B)의 플랩이 되는 부분을 별개로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하므로, 부품 갯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단일체가 된 후방 챔버(B)로 덮개(4)를 닫은 상태에서는, 덮개(4)에 있어서, 제1 덮개부(10)의 제1 편(14)이 후방 챔버(B)의 상측 벽을 감싸고, 제2 편(15) 및 제2 덮개부(11)가 후방 챔버(B)의 전방 상부(후방 챔버 전방 벽(16)의 상측 부분)를 감싸고 있다. 따라서, 후방 챔버(B)의 상부 벽에 있는 취출구(F)는, 제1 편(14)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후방 챔버 전방 벽(16)의 상측 부분에 있는 취출창(D)은, 제2 편(15) 및 제2 덮개부(11)에 의하여 막혀 있다. 따라서, 후방 챔버(B)를 독립하여 사용할 때, 덮개(4)가 후방 챔버(B)의 전방 및 상측을 감싸고 있으므로, 후방 챔버(B) 내의 껌(40)이 전방 외측으로 쏟아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덮개부(11)의 선단부 가장자리(11A)를 후방 챔버 전방 벽(16)의 슬릿(9)에 끼워넣음으로써, 덮개(4)가 분리되지 않도록 후방 챔버 전방 벽(16)에 결합하여, 덮개(4)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덮개(4)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후방 챔버(B)는, 닫힌 통 형상이 되어 있다.
후방 챔버(B)에 수용된 껌(40)을 먹고 싶은 경우에는, 제2 덮개부(11)의 선단부 가장자리(11A)를 후방 챔버 전방 벽(16)의 슬릿(9)으로부터 분리하고, 도 2와 같이, 덮개(4)를 연다. 그리고, 전술한 순서로 식품 유닛(42)을 집어서 취출구(F)로부터 상측으로 당겨 내어, 이러한 식품 유닛(42)의 껌(40)을 먹는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판 형상의 작은 조각 형상인 껌(40)이 포장지(41)에 싸여서 개별 포장되고, 식품 유닛(42)이 구성된 것을 설명하였다. 식품 유닛(42)은, 포장지(41)로 포장(개별 포장)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8(a), (b)와 같이, 판 형상의 작은 조각 형상인 껌(40)을 투명 필름(51)으로 감싼 후, 투명 필름(51)의 상하 좌우의 주위로 히트 씰(51h)을 실시하고, 껌(40)을 투명 필름(51)으로 밀봉한 식품 유닛(42)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투명 필름(51)과 껌(40) 사이에 다소 간격이 있는 상태에서 밀봉하여도 좋으며, 또한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공기를 뺀 다음, 밀봉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투명 필름(51)이 껌(40)에 밀착하여 껌(40)이 외기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껌(40)의 품질 보호성이 향상된다.
또한, 포장지(41)를 포장하는 경우와 같이, 골라낼 때에 껌(40)의 하측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골라낼 수 있도록, 투명 필름(51)에 상, 하부가 분리 가능한 점선 또는 취약 라인 등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8(c)와 같이 판 형상인 작은 조각 형상의 껌(40)이 플라스틱제의 용기(52)에 들어가 밀봉되어, 식품 유닛(42)이 된 것도 좋다.
도 18(a), (b)와 같은 투명 필름(51)으로 껌(40)을 밀봉한 식품 유닛(42)인 경우, 판 형상의 작은 조각인 껌(40)을 세운 상태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수용하고, 좌우 양단부의 일부를 일정 간격으로 상호 겹침으로써, 껌(40)을 컴팩트하게 수용시킬 수 있으며, 볼품이 좋도록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포장용기(A)에서는, 전방 챔버(L) 및 후방 챔버(B) 각각에 식품 유닛(42)을 수용함으로써, 전체로서 전후 2 열로 식품 유닛(42)을 수용하고 있다(도 10 참조). 이 대신에, 후방 챔버(B)를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전후 3 열 이상으로 식품 유닛(42)을 수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복수의 후방 챔버(B)가 계단 형상으로 상측으로 인출됨으로써, 각 후방 챔버(B)의 식품 유닛(42)을 용이하게 집어내게 하여도 좋다.
또한, 전방 챔버(L) 및 후방 챔버(B) 각각에 식품 유닛(42)을 가로 방향으로 6 개 배열하여 수용하고 있으나, 전방 챔버(L) 및 후방 챔버(B) 각각에 수용된 식품 유닛(42)의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각 식품 유닛(42)에서는 이것을 포장용기(A)로부터 골라낼 때 포장지(41)가 분리부(41A)와 고정부(41B)로 분리되는 것이지만(도 13 및 도 14 참조), 포장지(41)가 분리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포장지(41)에 점선(43)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고, 식품 유닛(42)은, 포장지(41)가 분리되는 일이 없이 포장용기(A)로부터 골라내어진다. 포장지(41)가 찢어지는 일이 없이 식품 유닛(42)을 용이하게 포장용기(A)로부터 골라낼 수 있도록, 식품 유닛(42)은, 접착제(45, 46)에 의하여 대강 멈춰질 정도로(약하게) 포장용기(A, 후방 챔버(B) 및 본체부(C)이며, 도 13 및 도 14 참조)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한 수 만큼의 식품 유닛(42)을 집적지(集績紙, 미도시)로 묶은 후에, 식품 유닛(42) 다발을 전방 챔버(L) 및 후방 챔버(B) 각각에 셋팅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식품 유닛(42) 다발은, 전방 챔버(L) 및 후방 챔버(B)를 조립하기 전인 형지(X, Y, 도 1 및 도 4 참조)에 접착되어 있고, 전방 챔버(L) 및 후방 챔버(B)를 조립하면, 전방 챔버(L) 및 후방 챔버(B) 각각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덮개(4)를 닫는 방법으로서, 제2 덮개부(11)의 선단부 가장자리(11A)를 슬릿(9, 21)에 끼워 넣는 방법(도 12 및 도 17 참조)뿐만 아니라, 제2 덮개부(11)의 중앙이나 선단부 가장자리(11A) 근처의 개소에 산 형상의 슬릿을 넣어, 해당 슬릿과 슬릿(9, 21)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후방 챔버(B)와 본체부(C, 전방 챔버(L))의 조립 방법(포장용기(A)의 제작 방법)으로서, 본체부(C)에 있어서 좌측 연장 형성판(25)과 우측 연장 형성판(26)을 접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방 챔버(B)를 후방 공간(J)에 수용하여 본체부(C)에 조립한 다음, 좌측 연장 형성판(25)과 우측 연장 형성판(26)을 접착하여 포장용기(A)를 완성시켜도 좋다(도 9 참조).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포장용기(A)에 수용된 판 형상의 작은 조각을 껌으로 하였으나, 판 형상인 작은 조각 형상을 가진 초콜릿이나 캔디로 하여도 좋다.
1...후방 챔버 후방 벽
1L...좌변
1R...우변
1U...상변
1D...하변
2...후방 챔버 좌측 벽
2L...좌측 단부 가장자리
3...후방 챔버 우측 벽
3R...우측 단부 가장자리
4...덮개
5...후방 챔버 바닥 벽
5D...하단부 가장자리
6...좌측 연장 형성편
6A...J자 단부 가장자리
7...우측 연장 형성편
7A...J자 단부 가장자리
8...전방 연장 형성판
9...슬릿
10...제1 덮개부
11...제2 덮개부
11A...선단부 가장자리
12...제1 절곡 가이드
13...제2 절곡 가이드
14...제1 편
15...제2 편
16...후방 챔버 전방 벽
17...스토퍼
20...포장용기 전방 벽
20L...좌변
20R...우변
20D...하변
21...슬릿
22...포장용기 좌측 벽
22L...좌측 단부 가장자리
23...포장용기 우측 벽
23R...우측 단부 가장자리
24...전방 챔버 바닥 벽
24D...하단부 가장자리
25...좌측 연장 형성판
26...우측 연장 형성판
27...전방 챔버 후방 벽
27A...선단부 가장자리
28...점선
29...벨트부
30...정지편
31...점선
32...포장용기 후방 벽
40...판 형상인 작은 조각
41...포장지
41A...분리부
41B...고정부
42...식품 유닛
43...점선
45...접착제
46...접착제
51...투명 필름
51h...히트 씰
52...플라스틱제의 용기
100...손가락
A...포장용기
B...후방 챔버
C...본체부
D...취출창
E...수용 공간
F...취출구
G...취출창
H...수용 공간
I...전방 공간
J...후방 공간
K...취출구
L...전방 챔버
M...삽입홀
X...형지
Y...형지
Z...소정량

Claims (12)

  1. 식품의 직사각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수용하기 위한 종이제의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세운 상태로 횡 방향을 따라 수용하기 위한 전방 챔버와,
    상기 전방 챔버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세운 상태로 가로 방향을 따라 수용하기 위한 후방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챔버는, 상기 전방 챔버에 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전방 챔버에 대하여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의 포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챔버는, 상기 전방 챔버와의 조립을 해제함으로써, 독립하여 사용 가능한 포장용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방 챔버는, 후방 챔버 전방 벽, 후방 챔버의 좌우측 벽, 후방 챔버 바닥벽 및 후방 챔버 후방 벽을 가지며, 상기 후방 챔버 전방 벽에는,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절결되고, 상기 후방 챔버 내에 수용되는 상기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의 상부를 전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취출창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 챔버 후방 벽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전방 및 하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포장용기의 상측벽 및 전방 상부를 감싸는 플랩을 구성하는 연장 형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상측 벽을 구성하는 연장 형성부에는, 상측 벽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곡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곡 가이드를 따라 상기 연장 형성부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후방 챔버를 독립하여 사용할 때, 상기 상측 벽의 후방부가 상기 후방 챔버의 상측 벽이 되고, 상기 상측 벽의 전방부 및 상기 플랩 사이의 꺾임을 없앰으로써, 그것들이 상기 후방 챔버의 전방을 감싸는 플랩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방 챔버는, 포장용기 전방 벽, 포장용기 좌우측 벽, 포장용기 후방 벽, 전방 챔버 바닥 벽 및 전방 챔버 후방 벽이 되는 포장용기 내의 마감벽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챔버 내에 수용되는 상기 판 형상인 작은 조작의 상부를 전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장용기 전방 벽의 상측 부분에는, 그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결된 취출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감벽은, 그 높이가 상기 포장용기 후방 벽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며, 그 상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중앙부에, 후방으로 되접어 꺾이는 정지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후방 챔버는, 상기 전방 챔버의 후방에서, 상기 전방 챔버의 마감벽과 상기 포장용기 후방 벽 사이의, 상,하가 개방된 공간에 수납되도록, 상기 전방 챔버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장 형성부의 좌우 양측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포장용기 좌우측 벽의 상측 가장자리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후방 챔버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벗어나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정지편이 상기 후방 챔버 전방 벽의 상측 가장자리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후방 챔버가 상기 전방 챔버에 대하여 그 이상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멈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 후방 벽에는,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포장용기 후방 벽을 좌우로 분리하기 위한 벨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11. 식품의 직사각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수용하기 위한 종이제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세운 상태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수용하기 위한 제1 챔버와,
    상기 제1 챔버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판 형상인 작은 조각을 세운 상태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수용하기 위하여 후방을 향하여 N 단 구성으로 형성된 제2 ~ 제N 챔버(N은 2 이상인 양의 정수)를 포함하며,
    상기 제N 챔버는, 제N-1 챔버에 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챔버에 대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슬라이드식의 포장용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용기의 식품 수용 챔버에, 개별 포장된 복수개의 판 형상인 작은 조각 형상의 껌, 초콜릿 또는 캔디와 같은 과자가 수용되며, 개별 포장된 판 형상인 작은 조각 형상의 과자의 수용 상태를 보호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개별 포장의 외면 일부가 접착 수단으로 식품 수용 챔버의 내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에 든 과자.
KR1020137023015A 2011-02-24 2012-02-15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에 든 과자 KR101893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8540 2011-02-24
JPJP-P-2011-038540 2011-02-24
PCT/JP2012/053558 WO2012114960A1 (ja) 2011-02-24 2012-02-15 包装容器および包装容器入り菓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059A true KR20140010059A (ko) 2014-01-23
KR101893068B1 KR101893068B1 (ko) 2018-08-29

Family

ID=4672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015A KR101893068B1 (ko) 2011-02-24 2012-02-15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에 든 과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30323356A1 (ko)
EP (1) EP2679509A1 (ko)
JP (1) JP6057433B2 (ko)
KR (1) KR101893068B1 (ko)
CN (1) CN103402880A (ko)
BR (1) BR112013021777A2 (ko)
CO (1) CO6761326A2 (ko)
TW (1) TW201245011A (ko)
WO (1) WO201211496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20A (ja) 1997-06-12 1999-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用箱及び該箱と板状内容物とからなる包装体
JPH111221A (ja) * 1997-06-12 1999-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用箱、該箱と板状内容物からなる包装体、及び該包装体の製造方法
US20030080020A1 (en) * 2001-10-31 2003-05-01 Kopecky Stanley J. Package having releaseably secured consumable products
KR200392220Y1 (ko) * 2005-05-18 2005-08-19 주식회사 호텔신라 포장상자
US20050252809A1 (en) * 2004-05-11 2005-11-17 Aldridge Allen S Packaging design with separate compartments
KR20100071071A (ko) * 2007-09-21 2010-06-28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포장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7833Y1 (ko) * 1966-06-03 1969-03-25
JPH047833Y2 (ko) * 1986-07-16 1992-02-28
JPH0536817Y2 (ko) * 1988-05-20 1993-09-17
CN100564193C (zh) * 2004-05-11 2009-12-02 美国卡德伯里亚当斯有限公司 具有单独隔室的包装设计
ATE507159T1 (de) * 2004-05-11 2011-05-15 Cadbury Adams Usa Llc Verpackung zum abgeben und halten von kaugummistreifen mit klebstoffsicherung
ITBO20070430A1 (it) * 2007-06-18 2008-12-19 Sergio Mezzini Confezione perfezionata con mezzi di ritenzione del prodotto a forza controllata.
US8006860B2 (en) * 2007-12-14 2011-08-30 Marianne Christine Klein Portable gum contai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20A (ja) 1997-06-12 1999-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用箱及び該箱と板状内容物とからなる包装体
JPH111221A (ja) * 1997-06-12 1999-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用箱、該箱と板状内容物からなる包装体、及び該包装体の製造方法
US20030080020A1 (en) * 2001-10-31 2003-05-01 Kopecky Stanley J. Package having releaseably secured consumable products
US20050252809A1 (en) * 2004-05-11 2005-11-17 Aldridge Allen S Packaging design with separate compartments
KR200392220Y1 (ko) * 2005-05-18 2005-08-19 주식회사 호텔신라 포장상자
KR20100071071A (ko) * 2007-09-21 2010-06-28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포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114960A1 (ja) 2014-07-07
JP6057433B2 (ja) 2017-01-11
CO6761326A2 (es) 2013-09-30
TW201245011A (en) 2012-11-16
KR101893068B1 (ko) 2018-08-29
EP2679509A1 (en) 2014-01-01
CN103402880A (zh) 2013-11-20
BR112013021777A2 (pt) 2016-10-18
WO2012114960A1 (ja) 2012-08-30
US20130323356A1 (en)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25145B1 (en) Rigid carton of packets of cigarettes
CN102666312B (zh) 具有闭合折翼的多重可拆分包装
KR101355762B1 (ko) 일체형 추가패널들을 구비한 힌지식 뚜껑 용기
EP2173646B1 (en) Comestible dispensing package
US20120164284A1 (en) Folded dual split package
KR20180087242A (ko) 소비재용 팩
EP2049407B1 (en) Reclosable package having corrugated insert for center-filled gum slabs
JP6689820B2 (ja) たばこ用パッケージ
JP6057410B2 (ja) 紙製包装容器
JP2006240683A (ja) 紙箱
KR20140010059A (ko) 포장용기 및 포장용기에 든 과자
KR200447396Y1 (ko) 껌 포장상자
JP6817759B2 (ja) 包装容器
JP5029213B2 (ja) 紙製包装容器
JP5628505B2 (ja) 包装容器
JP7243437B2 (ja) 包装容器
JP6379885B2 (ja) スライド式カートン
JP2008120424A (ja) 包装体
JP6039803B2 (ja) 包装アセンブリ及び包装アセンブリを製造する方法
KR20170037895A (ko) 박편 부착식 용기
KR20170107979A (ko)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