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847A -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치료위치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치료위치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847A
KR20140009847A KR1020120076782A KR20120076782A KR20140009847A KR 20140009847 A KR20140009847 A KR 20140009847A KR 1020120076782 A KR1020120076782 A KR 1020120076782A KR 20120076782 A KR20120076782 A KR 20120076782A KR 20140009847 A KR20140009847 A KR 20140009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tina
region
unit
fund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4295B1 (ko
Inventor
하태호
김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to KR102012007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295B1/ko
Priority to PCT/KR2013/006326 priority patent/WO2014011014A1/ko
Priority to US14/414,700 priority patent/US9301681B2/en
Publication of KR20140009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295B1/ko
Priority to US15/055,443 priority patent/US9974436B2/en
Priority to US15/983,873 priority patent/US1032763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61B3/0058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for multiple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25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using coherent radiation
    • A61B3/123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using coherent radiation for measuring blood flow, e.g. at the retin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41Eye; Retina; Ophthalm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96Tumor; Le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막의 안저 영역과 시술자가 시인하는 망막의 국소 영역을 연동시킬 수 있도록 구조 및 방법이 개선된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장치는 망막의 하부 영역까지 촬영하며 촬영된 망막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1이미지유닛과, 시술자에 의해 시인되는 망막의 국소 영역을 촬영하며 촬영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이미지유닛과, 제1이미지유닛에 의해 형성된 망막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2이미지유닛으로부터 생성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제1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이미지에 맵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제1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이미지 상에 시술자가 시인하는 제2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맵핑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자가 치료 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정확한 안구의 치료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치료위치 측정방법{APPARATUS FOR OCULAR AND METHOD FOR MEASURING TREATMENT POSITION THEREOF}
본 발명은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료를 위한 안구의 병변 위치를 측정하는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구의 질환 종류로는 안구의 유리체에 안압이 상승되는 녹내장, 수정체에 백화 현상이 발생되는 백내장, 그리고 상이 맺히는 망막 상에 발생되는 황반 변성과 같은 질환이 있다.
최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안구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치료용 빔으로 레이저를 이용하는 안과용 치료장치의 등장과 더불어 그 사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안과용 치료장치를 이용하여 안구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안구의 질환에 대한 치료위치를 정확히 측정해야 한다. 특히, 망막의 질환이 발생될 경우, 망막은 안구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함과 더불어 혈관 등이 많이 존재하므로 보다 정밀한 측정이 필요하다.
한편, 종래의 안과용 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22509호"인 "의학용 레이저 유도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선행문헌인 "의학용 레이저 유도 장치"는 망막 상 획득수단, 망막 상을 나타내기 위한 망막 상 표시수단, 시술자로부터 수행되는 치료와 관련된 자료를 사용 시에 받아들이기 위한 참고 자료 수신수단, 망막 상 위에서 참고 형판을 생성하기 위한 형판 생성 수단, 수신된 참고 자료에 기초하여 광이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지점과 관련된 자료를 받아들이기 위한 목표 위치 수신 수단, 망막 상 획득 수단으로부터의 현재의 망막 상과 현재의 망막 상을 생성된 형판 및 참고 자료와의 비교에 기초하여 형판 내에서 현재의 망막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현재의 망막 위치 검출 수단 및 현재 망막 위치 검출 수단과 목표 위치 수신 수단의 출력에 의존하여 망막에 레이저광을 향하게 하여 적용하는 레이저광 적용 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그런데, 종래의 선행문헌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은 망막의 안저(fundus oculi) 영역의 촬영 없이 망막 상을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망막의 위치를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선행문헌은 시술자의 시인되는 망막 영역과 촬영된 망막의 이미지를 연동시키는 기술적 특징을 개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시술자가 시인하는 망막의 국소 이미지와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환자의 망막 영역을 연동시키기 어려운 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2250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망막의 안저 영역과 시술자가 시인하는 망막의 국소 영역을 연동시킬 수 있도록 구조 및 방법이 개선된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망막의 치료 위치를 측정하는 안과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막의 하부 영역까지 촬영하며 촬영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1이미지유닛과, 시술자에 의해 시인되는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을 촬영하며 촬영된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이미지유닛과, 상기 제1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2이미지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에 맵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제1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분석부와, 상기 이미지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망막의 이미지 중 특정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망막의 이미지 중 상기 특정 영역은 황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제1이미지유닛 및 상기 제2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 및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 상에는 격자가 표시되며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는 상기 망막의 이미지 중 해당 격자 영역으로 맵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미지유닛은 상기 망막의 이미지를 촬영 및 생성하는 안저(fundus oculi) 영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이미지유닛은 시술자가 시인하는 뷰 파인더(view find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망막의 치료위치를 측정하는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시술자에 의해 시인되는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에 해당되는 위치에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을 분석하는 이미지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미지분석부에 의해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특정 영역을 분석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이미지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 사이에는 상기 이미지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특정 영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영역의 정보는 상기 망막의 황반 및 혈관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 및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 상에 격자를 표시하여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 중 해당 격자 영역 위치에 맵핑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 및 생성하는 안저(fundus oculi) 영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 및 생성하는 뷰 파인더(view fin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의 효과는 제1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이미지 상에 시술자가 시인하는 제2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맵핑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자가 치료 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정확한 안구의 치료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의 제1이미지유닛 및 제2이미지유닛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의 제1이미지유닛 및 제2이미지유닛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안과용 장치(10)는 제1이미지유닛(100), 제2이미지유닛(200), 디스플레이부(300), 이미지분석부(400), 메모리부(500), 제어부(600) 및 입력부(700)를 포함한다.
제1이미지유닛(100)은 망막의 하부 영역까지 촬영하며 촬영된 망막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제1이미지유닛(100)은 안저(fundus oculi) 영상부를 포함하여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 도 2 및 도 4 참조)를 촬영 및 생성한다.
제2이미지유닛(200)은 시술자에 의해 시인되는 망막의 국소 영역을 촬영하여 촬영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 도 2 및 도 4 참조)를 생성한다. 제2이미지유닛(200)은 시술자에 의해 망막의 국소 영역을 시인하는 뷰 파인더(view finder)를 포함하여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촬영 및 생성한다. 여기서, 제2이미지유닛(200)으로 마련된 뷰 파인더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공지된 촬영유닛이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 도 2 및 도 4 참조)는 제1이미지유닛(100) 및 제2이미지유닛(200)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 및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시술자가 시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이 공지된 영상장치로 마련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00)에는 제1이미지유닛(100)으로부터 생성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 상에 격자(G: 도 2 및 도 4 참조)가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 상에 대응되는 위치로 시술자가 시인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가 맵핑된다.
다음으로 이미지분석부(400)는 제1이미지유닛(100)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를 분석한다. 이미지분석부(400)는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에 대해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맵핑하기 위해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의 특정 영역을 분석한다. 여기서, 이미지분석부(400)에 의해 분석되는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의 특정 영역은 망막의 황반, 혈관 위치 및 혈관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분석부(400)는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 중 분석된 특정 영역의 정보를 메모리부(500)로 전송한다.
메모리부(500)는 이미지분석부(400)로부터 전송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의 특정 영역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500)는 제1이미지유닛(100)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 및 제2이미지유닛(200)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도 저장한다.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정보는 제어부(600)로 전송된다.
제어부(600)는 제1이미지유닛(100)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에 기초하여 제2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에 맵핑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어부(600)는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의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에 대해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맵핑시킨다.
또한, 제어부(600)는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에 대해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의 맵핑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 상에 격자(G)를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입력부(700)는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에 대해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수동으로 맵핑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700)는 시술자의 작동에 따라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에 대한 맵핑위치(M: 도 2 및 도 4 참조)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가 이동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 입력부(700)는 시술자의 파지에 의해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레버 또는 조이스틱으로 마련된다.
<제1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의 제1이미지유닛 및 제2이미지유닛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미지유닛(100)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는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제2이미지유닛(200)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는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와 함께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 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 되는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의 특정 영역의 정보는 이미지분석부(400)에 의해 분석되어 메모리부(500)로 전송된다. 메모리부(500)에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600)는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의 맵핑위치(M)에 대해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맵핑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10)의 치료위치 측정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이미지유닛(100)을 작동하여 망막의 안저 영역을 촬영하여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를 생성하고 생성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를 분석한다(S10). 'S10'단계에서 이미지분석부(400)에 의해 분석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에 대한 특정 영역의 정보를 메모리부(500)에 저장한다(S30).
제2이미지유닛(200)으로 시술자가 시인하는 망막의 국소 영역을 촬영하여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생성한다(S50).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에 대한 맵핑위치(M)에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맵핑시킨다.
<제2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의 제1이미지유닛 및 제2이미지유닛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된 개략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미지유닛(100)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는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제2이미지유닛(200)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는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와 함께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 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 되는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의 특정 영역은 이미지분석부(400)에 의해 분석되어 메모리부(500)로 전송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 상에는 맵핑위치(M)를 중심으로 격자(G)가 표시된다. 메모리부(500)에 전송된 정보와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 상에 표시된 격자(G)에 기초하여 제어부(600)는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의 맵핑위치(M)에 대해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맵핑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장치(10)의 치료위치 측정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이미지유닛(100)을 작동하여 망막의 안저 영역을 촬영함과 더불어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를 생성하고 생성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를 분석한다(S100). 'S100'단계에서 이미지분석부(400)에 의해 분석된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에 대한 특정 영역의 정보를 메모리부(500)에 저장한다(S300).
제2이미지유닛(200)으로 시술자가 시인하는 망막의 국소 영역을 촬영하여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생성한다(S500).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에 대한 맵핑위치(M)로의 맵핑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 상에 격자(G)를 표시한다.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정보와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 상에 표시된 격자(G)를 기초로 하여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F)에 대한 맵핑위치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L)를 맵핑시킨다.
이에, 제1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이미지 상에 시술자가 시인하는 제2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맵핑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자가 치료 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정확한 안구의 치료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이미지유닛 200: 제2이미지유닛
300: 디스플레이부 400: 이미지분석부
500: 메모리부 600: 제어부
700: 입력부

Claims (16)

  1. 망막의 치료 위치를 측정하는 안과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막의 하부 영역까지 촬영하며, 촬영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1이미지유닛과;
    시술자에 의해 시인되는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을 촬영하며, 촬영된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이미지유닛과;
    상기 제1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2이미지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상기 제1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에 맵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분석부와;
    상기 이미지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망막의 이미지 중 특정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망막의 이미지 중 상기 특정 영역은 황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제1이미지유닛 및 상기 제2이미지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 및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망막의 이미지 상에는 격자가 표시되며,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는 상기 망막의 이미지 중 해당 격자 영역으로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유닛은 상기 망막의 이미지를 촬영 및 생성하는 안저(fundus oculi) 영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유닛은 시술자가 시인하는 뷰 파인더(view fin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
  9. 망막의 치료위치를 측정하는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시술자에 의해 시인되는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에 해당되는 위치에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을 분석하는 이미지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미지분석부에 의해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특정 영역을 분석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이미지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 사이에는 상기 이미지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특정 영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의 정보는 상기 망막의 황반 및 혈관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 및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 상에 격자를 표시하여,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 중 해당 격자 영역 위치에 맵핑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망막의 안저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 및 생성하는 안저(fundus oculi) 영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장치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망막의 국소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 및 생성하는 뷰 파인더(view find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장치의 치료위치 측정방법.
KR1020120076782A 2012-07-13 2012-07-13 안과용 장치 KR10137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782A KR101374295B1 (ko) 2012-07-13 2012-07-13 안과용 장치
PCT/KR2013/006326 WO2014011014A1 (ko) 2012-07-13 2013-07-15 안과용 장치 및 이의 치료위치 측정방법
US14/414,700 US9301681B2 (en) 2012-07-13 2013-07-15 Ophthalmic apparatus, and treatment site measuring method for the apparatus
US15/055,443 US9974436B2 (en) 2012-07-13 2016-02-26 Ophthalmic apparatus, and treatment site measuring method for the apparatus
US15/983,873 US10327636B2 (en) 2012-07-13 2018-05-18 Ophthalmic apparatus, and treatment site measuring method for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782A KR101374295B1 (ko) 2012-07-13 2012-07-13 안과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847A true KR20140009847A (ko) 2014-01-23
KR101374295B1 KR101374295B1 (ko) 2014-03-17

Family

ID=4991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782A KR101374295B1 (ko) 2012-07-13 2012-07-13 안과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9301681B2 (ko)
KR (1) KR101374295B1 (ko)
WO (1) WO20140110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841A1 (ko) * 2014-08-13 2016-02-18 (주)루트로닉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295B1 (ko) * 2012-07-13 2014-03-17 주식회사 루트로닉 안과용 장치
US11793674B2 (en) 2017-08-17 2023-10-24 Lutronic Vision Inc. Contact lenses with bifocal characteristics
US11684799B2 (en) 2021-08-28 2023-06-27 Cutera, Inc. Image guided laser 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13766D0 (en) * 1996-07-01 1996-09-04 Life Science Resources Ltd Medical laser guidance apparatus
CA2387742A1 (en) * 1999-10-21 2001-04-26 Technolas Gmbh Ophthalmologische Systeme Iris recognition and tracking for optical treatment
JP2003019158A (ja) * 2001-07-06 2003-01-21 Topcon Corp レーザー治療用眼科装置
KR20040028452A (ko) 2002-09-30 2004-04-03 변상복 개량 지팡이
US8256897B2 (en) * 2009-05-14 2012-09-04 Topcon Medical Systems, Inc. Circular profile mapping and display of retinal parameters
JP5643004B2 (ja) * 2010-06-10 2014-12-17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KR101374295B1 (ko) * 2012-07-13 2014-03-17 주식회사 루트로닉 안과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841A1 (ko) * 2014-08-13 2016-02-18 (주)루트로닉 안과용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0575987B2 (en) 2014-08-13 2020-03-03 Lutronic Corporation Ophthalmic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01681B2 (en) 2016-04-05
US20160174839A1 (en) 2016-06-23
US20150173611A1 (en) 2015-06-25
KR101374295B1 (ko) 2014-03-17
US20180263491A1 (en) 2018-09-20
US9974436B2 (en) 2018-05-22
WO2014011014A1 (ko) 2014-01-16
US10327636B2 (en)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8061B2 (ja) 眼底撮影装置
US9615734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JP6716752B2 (ja) 眼科装置
JP2019511273A5 (ko)
JP6567947B2 (ja) 眼科装置
US20150335234A1 (en) Ophthalmologic apparatus
JP2012000266A (ja) 眼底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899632B2 (ja) 眼科撮影装置
JP6641730B2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用プログラム
US10327636B2 (en) Ophthalmic apparatus, and treatment site measuring method for the apparatus
JP4987408B2 (ja) 眼科装置
JP6723843B2 (ja) 眼科装置
JP5175781B2 (ja) 前眼部3次元画像処理装置
JP6892540B2 (ja) 眼科装置
JP2014121643A (ja) 眼科装置
JP2018051208A (ja) 眼科情報処理装置、眼科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眼科情報処理システム
JP2023033406A (ja) 眼科装置
CN111989030A (zh) 图像处理方法、程序及图像处理装置
JP6634765B2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制御プログラム
US9820649B2 (en) Volume measuring device, volume measuring method, and volume measuring program for three-dimensional tomographic image
JP2018166634A (ja) 眼科装置
JP6928453B2 (ja) 眼科装置
JP6877830B2 (ja) 眼科装置
WO2015098912A1 (ja) 断層像撮影装置
JP2015104467A (ja) 眼科装置及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