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335A - 파이프 커넥터 및 연료 분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이프 커넥터 및 연료 분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335A
KR20140009335A KR1020137023129A KR20137023129A KR20140009335A KR 20140009335 A KR20140009335 A KR 20140009335A KR 1020137023129 A KR1020137023129 A KR 1020137023129A KR 20137023129 A KR20137023129 A KR 20137023129A KR 20140009335 A KR20140009335 A KR 20140009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uel
leak
join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380B1 (ko
Inventor
베사 보우띨라이넨
Original Assignee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filed Critical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ublication of KR2014000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4Means for damping vibrations or pressure fluctuations in injection pump inlet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2Arrangement of leakage or drain conduits in or from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 F02M55/005Joints; Sealings for high pressure conduits, e.g. connected to pump outlet or to injector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39/005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for concentric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16Seal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18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maintaining safe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4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fuel accumulators, e.g. a fuel injector having an integrated fuel accumulator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커넥터 (24) 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커넥터 (24) 는 커넥터 보디 (28), 제 1 이중벽 파이프에 연결가능하고 내부 유동 공간에 연결가능한 제 1 부분 (45) 및 제 1 이중벽 파이프의 외부 유동 공간에 연결가능한 제 2 부분 (46) 을 포함하는 제 1 이음부 (25), 제 2 파이프에 연결가능한 제 2 이음부 (26), 제 3 파이프에 연결가능한 제 1 부분 (43) 및 제 2 부분 (44) 을 포함하는 제 3 이음부 (27), 및 제 1 이음부의 제 1 부분 (45), 제 2 이음부 (26) 및 제 3 이음부의 제 1 부분 (43) 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 보디 내에 배치된 유동 채널 (29) 을 포함한다. 파이프 커넥터 (24) 는 제 1 이음부의 제 2 부분 (46) 과 유동 연결 상태로 배치되는 누출 채널 (31), 누출 채널 (31) 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는 누출 출구 (32), 제 3 이음부의 제 2 부분 (44) 으로부터 누출 출구 (32) 로 연장하고 제 3 이음부의 제 2 부분 (44) 과 누출 출구 (32) 사이에 연속적인 유동 연결을 제공하는 방출 채널 (36), 및 누출 채널 (31) 로부터 누출 출구 (32) 로의 유체 유동을 방지하는 제 1 위치 및 누출 채널 (31) 로부터 누출 출구 (32) 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를 갖는 폐쇄 부재 (34) 를 포함한다. 폐쇄 부재 (34) 는, 누출 채널 (31) 내의 유체 압력이 특정 한계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때에,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파이프 커넥터 및 연료 분사 시스템{PIPE CONNECTOR AND FUEL INJECTION SYSTEM}
본 발명은 제 1 이중벽 파이프, 제 2 파이프 및 제 3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능한 누출을 외부 파이프 내부에 유지하도록 디젤 기관의 연료 파이프를 다른 파이프 내부에 배치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누출의 경우에, 누출 연료는 외부 파이프 내부를 따라 기관의 부근에서 멀리 운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용액의 누출을 검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상이한 종류의 플러그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누출은 플러그를 언플러깅 (unplugging) 함으로써 검출되었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사용된 방법은 분리가능한 호스를 이용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호스를 절단함으로써, 누출이 또한 검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에 의해 누출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는 것은 매우 느리고 또한 성가시기 때문에, 이러한 공지된 방법은 매우 수준이 낮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벽 파이프들을 연결하기 위한 신규의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연료 분사 시스템에 개선된 연료 누출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6 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는 커넥터 보디, 제 1 이중벽 파이프에 연결가능하고 내부 유동 공간에 연결가능한 제 1 부분 및 제 1 이중벽 파이프의 외부 유동 공간에 연결가능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이음부, 제 2 파이프에 연결가능한 제 2 이음부, 제 3 파이프에 연결가능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제 3 이음부, 및 제 1 이음부의 제 1 부분, 제 2 이음부 및 제 3 이음부의 제 1 부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보디 내에 배치된 유동 채널을 포함한다. 파이프 커넥터는 제 1 이음부의 제 2 부분과 유동 연결 상태로 배치되는 누출 채널, 누출 채널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는 누출 출구, 제 3 이음부의 제 2 부분으로부터 누출 출구로 연장하고 제 3 이음부의 제 2 부분과 누출 출구 사이에 연속적인 유동 연결을 제공하는 방출 채널, 및 누출 채널로부터 누출 출구로의 유체 유동을 방지하는 제 1 위치 및 누출 채널로부터 누출 출구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를 갖는 폐쇄 부재 (34) 를 포함한다. 폐쇄 부재는, 누출 채널 내의 유체 압력이 특정 한계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때에,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분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은 제 1 이중벽 파이프, 제 2 이중벽 파이프 및 제 3 파이프를 유체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커넥터 (24) 를 도시한다. 이중벽 파이프는 연료와 같은 유체 용의 내부 유동 공간 및 내부 유동 공간으로부터 누출하는 유체 용의 외부 유동 공간을 포함한다. 파이프 커넥터 (24) 는 제 1 이중벽 파이프의 내부 유동 공간, 제 2 이중벽 파이프의 내부 유동 공간 및 제 3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파이프 커넥터 (24) 는 T 형 커넥터일 수 있다.
파이프 커넥터 (24) 는 세 개의 이음부 (25, 26, 27) 를 포함한다. 제 1 이음부 (25) 는 제 1 이중벽 파이프에 연결가능하다. 제 1 이음부는 내부 유동 공간 (56) 에 연결가능한 제 1 부분 (45) 과 제 1 이중벽 파이프의 외부 유동 공간 (57) 에 연결가능한 제 2 부분 (46) 을 포함한다. 제 2 이음부 (26) 는 제 2 이중벽 파이프의 내부 유동 공간에 연결가능하다. 제 3 이음부 (27) 는 제 1 부분 (43) 및 제 2 부분 (44) 을 포함한다. 제 1 부분 (43) 은 제 3 파이프에 연결가능하다. 제 3 파이프는 이중벽 파이프일 수 있고, 유체용 내부 유동 공간 및 가능하게는 누출 유체용 외부 유동 공간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 3 이음부의 제 1 부분 (43) 은 내부 유동 공간에 연결가능하고, 제 3 이음부의 제 2 부분 (44) 은 제 3 파이프의 외부 유동 공간에 연결가능하다.
파이프 커넥터 (24) 는, 유동 채널 (29) 이 제 1 이음부의 제 1 부분 (45), 제 2 이음부 (26) 및 제 3 이음부의 제 1 부분 (43) 을 유체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 배치되는 커넥터 보디 (28) 를 포함한다. 누출 채널 (31) 은 제 1 이음부의 제 2 부분 (46) 과 유동 연결 상태로 커넥터 보디 (28) 에 배치된다. 파이프 커넥터 (24) 는 누출 채널 (31) 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는 누출 출구 (32) 를 포함한다. 파이프 커넥터 (24) 는 제 3 이음부의 제 2 부분 (44) 으로부터 누출 출구 (32) 까지 연장하고 제 3 이음부의 제 2 부분 (44) 과 누출 출구 (32) 사이에서 연속 유동 연결을 제공하는 방출 채널 (36) 을 포함한다. 방출 채널 (36) 은 커넥터 보디 (28) 에 배치된다. 파이프 커넥터 (24) 는 제 2 이중벽 파이프의 외부 유동 공간을 누출 채널 (31) 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채널 또는 다른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파이프 커넥터 (24) 에는 누출 채널 (31) 로 유동하는 유체, 예컨대 연료를 검출하는 누출 검출기 (33) 가 제공된다. 누출 검출기 (33) 는 누출 채널 (31) 로 연장하는 폐쇄 부재, 예컨대 핀 (34) 을 포함한다. 핀 (34) 은 누출 채널 (31) 로부터 누출 출구 (32) 까지의 유체 유동이 방지되는 제 1 위치 및 누출 채널 (31) 로부터 누출 출구 (32) 까지의 유체 유동이 허용되는 제 2 위치를 갖는다. 폐쇄 부재 (34) 는 누출 채널 (31) 내의 유체 압력이 특정 한계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때에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위치에서, 핀 (34) 은 누출 채널 (31) 을 차단하고, 따라서 누출 채널 (31) 로부터 누출 출구 (32) 로의 연료 유동을 방지한다. 제 2 위치에서, 핀 (34) 은 유동 연결이 누출 채널 (31) 과 누출 출구 (32) 사이에 존재하도록 누출 채널 (31) 을 개방한다.
핀 (34) 에는 누출 채널 (31) 내의 압력이 낮을 때에 핀 (34) 을 제 1 위치에 유지시키는 홀딩 부재가 제공된다. 홀딩 부재는 고무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핀 (34) 의 외부면 주위에 배치된 링 (35) 을 포함한다. 링 (35) 은 누출 채널 (31) 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존재한다. 핀 (34) 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하기 시작하는 때의 압력은 링 (35) 의 적절한 설계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 2 위치에서 핀 (34) 은 커넥터 보디 (28) 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핀 (34) 의 제 2 위치는 커넥터 (24) 의 외측으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누출 채널 (31) 이 단 하나의 이음부와 유동 연결 상태에 있으므로, 돌출 핀 (34) 은 누출이 발생하는 이중벽 공급 파이프를 나타낸다.
도 2 는 대형 왕복 기관, 예를 들어 대형 디젤 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 (1) 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기관의 실린더들은 일렬로 또는 V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형 왕복 기관은 본 발명에서 예컨대 열 및/또는 전기의 생산을 위해 선박 또는 발전소에서 주기관 및 보조 기관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기관을 나타낸다. 기관은 중 (heavy) 연료유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연료 분사 시스템 (1) 은 기관의 실린더에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기 (6) 를 포함한다. 추가로, 연료 분사 시스템은 연료가 저압 펌프 (3) 에 의해 연료 라인 (4) 을 따라 고압 펌프 (5) 로 주입되는 연료 소스, 예를 들어 연료 탱크 (2) 를 포함한다. 고압 펌프 (5) 는 충분한 분사 압력이 분사기 (6) 에서 얻어질 수 있는 레벨까지 연료 압력을 높인다. 실린더가 V 형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연료 분사 시스템 (1) 은 양자의 실린더 뱅크들을 위해 공통의 고압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실린더 뱅크에는 별개의 고압 펌프가 제공될 수 있다. 고압 펌프 (5) 에는 연료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47) 가 제공된다.
연료 분사 시스템 (1) 은 고압 펌프 (5) 로부터 연료 분사기 (6) 를 향해 연료를 이송하는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를 포함한다.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의 일 단부는 고압 펌프 (5) 에 연결된다.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는 분사기 (6) 를 향해 연료를 이송하는 내부 유동 공간 (56) 및 가능하게는 누출 연료를 위한 외부 유동 공간 (57) 을 포함한다. 유체는 고압 펌프 (5) 로부터 내부 유동 공간을 통해 분사기 (6) 를 향해 이송된다. 외부 유동 공간은 가능하게는 누출 연료를 위한 포집 채널로서 작동한다. 각각의 분사기 (6) 는 별개의 이송 파이프 (8) 에 의해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에 연결된다. 이송 파이프 (8) 의 제 1 단부는 분사기 (6) 에 연결된다. 이송 파이프 (8) 의 제 2 단부는 도 1 에 도시된 파이프 커넥터 (24) 에 의해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에 연결된다. 공급 파이프 (7) 에는 내부 유동 공간 (56) 내의 연료 압력을 측정하도록 배치된 압력 센서 (55) 가 제공될 수 있다. 압력 센서 (55) 는 연료 유동 방향으로 제 1 파이프 커넥터 (24) 와 고압 펌프 (5)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파이프 커넥터 (24) 의 제 1 이음부 (25) 및 제 2 이음부 (26) 는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에 연결된다. 제 1 이음부의 제 1 부분 (45) 및 제 2 이음부 (26) 는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의 내부 유동 공간 (56) 에 연결된다. 제 1 이음부의 제 2 부분 (46) 은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의 외부 유동 공간 (57) 에 연결된다. 제 3 이음부의 제 1 부분 (43) 은 이송 파이프 (8) 에 연결된다. 제 2 이음부 (26) 에 연결된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의 외부 유동 공간은 누출 채널 (31) 및 제 1 이음부 (26) 에 연결된 공급 파이프 (7) 의 외부 유동 공간으로부터 유체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파이프 커넥터 (24) 는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의 외부 유동 공간을, 서로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구획 (30) 들로 분리한다.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에는 연료 탱크 (2) 에 공급 파이프 (7) 를 연결하기 위해 순환 밸브 (23) 가 제공된다 순환 밸브 (23) 는 예컨대 기관의 개시 이전에 가열하기 위해 분사 시스템 (1) 내의 연료의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로,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에는 초과 압력에 대해 연료 분사 시스템 (1) 을 보호하는 안전 밸브 (40) 가 제공된다. 안전 밸브 (40) 는 공급 파이프 (7) 내의 압력을 미리 정해진 최대값 이하로 유지시킨다. 안전 밸브 (40) 는 또한 압력 하강 밸브로서 작용할 수 있고, 이 압력 하강 밸브에 의해 연료 분사 시스템 (1) 은 감압될 수 있다. 안전 밸브 (40) 의 출구 측에는 안전 밸브 (40) 로부터 방출된 연료가 유동하는 스로틀 (49) 및 방출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스로틀 (49) 은 컨테이너 (48) 의 하류에 위치된다. 방출 컨테이너 (48) 및 스로틀 (49) 은 연료의 압력 맥동을 감쇠시킨다. 추가로, 안전 밸브 (40) 의 출구 측에는 안전 밸브 (40) 로부터 가능한 연료 누출을 나타내도록 연료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연료 온도 센서 (54) 가 제공된다. 순환 밸브 (23) 및 안전 밸브 (40) 는 복귀 라인 (41) 을 통해 연료 탱크 (2) 에 연결된다. 순환 밸브 (23) 및 안전 밸브 (40) 는 단일 밸브 모듈 (50) 에 통합될 수 있다. 게다가, 밸브 모듈 (50) 은 방출 컨테이너 (48) 와 스로틀 (49) 을 포함한다. 밸브 모듈 (50) 은 연료 온도 센서 (54) 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순환 밸브 (23) 및 안전 밸브 (40) 는 맨 끝에 있는 파이프 커넥터의 하류의 위치에서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에 연결된다. 고압 용적 (51) 은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의 내부 유동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고압 용적 (51) 의 목적은 내부 유동 공간 내의 연료 압력 맥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압 용적 (51) 은 맨 마지막에 있는 파이프 커넥터 (24) 의 하류 위치에서 이중벽 공급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 모듈 (50) 에는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의 내부 유동 공간 내의 연료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압력 센서 (52) 가 제공될 수 있다. 압력 센서 (55) 및 연료 압력 센서 (52) 의 압력 측정은 내부 유동 공간 내의 연료 압력의 제어에서 사용된다. 내부 유동 공간의 연료 압력은 센서 (52, 55) 에 의해 측정된 고압에 기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연료 분사 시스템 (1) 은 하나 이상의 이송 파이프 (8) 가 연결되는 축압기 (커먼 (common) 레일) 없이 제공된다. 종래의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은 연료가 고압 펌프로부터 이송되고 연료가 또한 이송 파이프에 의해 하나 이상의 분사기로 이송되는 축압기를 포함한다. 도 1 의 분사 시스템은 이러한 축압기, 즉 하나 이상의 이송 파이프 (8) 가 연결되는 축압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축압기가 상당한 용적의 가압된 연료를 저장해야만 하는, 즉 연료가 축압기 내에서 축적되는 것은 연료 분사의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다. 축압기의 형상에 따라, 축압기의 유동 단면적은 통상적으로 축압기에 연결된 연료 방출 파이프의 유동 단면적보다 상당히 더 크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공급 파이프 (7) 의 유동 단면적 (내부 유동 공간) 은 공급 파이프에 연결된 이송 파이프 (8) 의 유동 단면적만큼 크거나 이보다 약간 더 크다.
연료 분사기 (6) 의 기본 구성은 도 1 에서 더 상세하게 도시된다. 연료 분사기 (6) 는 기관의 실린더 헤드 (9) 에 장착된다. 실린더 헤드 (9) 는 이송 파이프 (8) 가 배치되는 보어 (20) 를 포함한다. 연료 분사기 (6) 는 연료 챔버 (12) 및 밸브 니들 (11) 이 배치되는 분사기 보디 (10) 를 포함한다. 밸브 니들 (11) 은 연료 챔버 (12) 로부터 기관 실린더 (13) 로의 연료 분사를 제어한다. 밸브 니들 (11) 의 위치에 따라, 연료 챔버 (12) 로부터 실린더 (13) 로의 연료 분사는 허용되거나 방지된다. 분사기 (6) 는 연료 용의 축압기 (14) 를 포함한다. 축압기 (14) 는 분사기 (6) 의 일체형 부분이다. 축압기 (14) 는 분사기 보디 (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축압기 (14) 의 용적은 완전 (100%) 기관 부하에서의 일 분사 동안 분사기 (6) 에 의해 분사된 연료의 양 (용적) 의 적어도 40, 통상적으로는 50 ~ 70 배이다.
축압기 (14) 는 연결 채널 (15) 을 통해 연료 챔버 (12) 와 유동 연결 상태에 있다. 유동 퓨즈 (16) 는 연결 채널 (15) 에 배치된다. 유동 퓨즈 (16) 는 분사기 (6) 의 고장의 경우에, 예컨대 밸브 니들 (11) 이 제대로 폐쇄하지 못하는 때에 분사기 축압기 (14) 로부터 연료 챔버 (12) 로의 연료 유동을 방지한다.
분사기 (6) 는 연료가 이송 파이프 (8) 를 통해 이송되는 제어 챔버 (17) 를 포함한다. 제어 챔버 (17) 의 입구에는 제어 챔버 (17) 로의 연료 유동이 제한될 수 있는 스로틀 (18) 이 제공된다. 제어 챔버 (17) 내의 연료 압력은 밸브 니들 (11) 상에 작동한다. 제어 챔버 (17) 내의 연료 압력에 의해 야기된 힘은 밸브 니들 (11) 을 폐쇄된 위치를 향하여 강제한다. 밸브 니들 (11) 의 운동 및 따라서 실린더 (13) 로의 연료 분사는 제어 챔버 (17) 내의 연료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챔버 (17) 로부터의 연료를 방출하는 복귀 라인 (19) 은 분사기 (6) 에 연결된다. 복귀 라인 (19) 은 실린더 헤드 (9) 내의 제 2 보어 (53) 에 있거나 제 2 보어 (53) 에 연결된다. 제어 밸브 (21) 는 제어 챔버 (17) 로부터 연료의 방출을 제어하기 위해 복귀 파이프 (19) 내에 배치된다. 제어 밸브 (21) 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분사기 (6) 에는 또한 밸브 니들 (11) 을 폐쇄된 위치를 향하여 강제하는 스프링 (22) 이 제공된다.
연료 분사의 개시를 위하여, 제어 밸브 (21) 는 개방된다. 연료는 제어 챔버 (17) 로부터 복귀 라인 (19) 으로 유동하고, 제어 챔버 (17) 내의 연료 압력은 감소한다. 연료는 제 2 보어 (53) 와 복귀 라인 (21) 을 통해 연료 탱크 (2) 로 유동한다. 제어 챔버 (17) 내의 압력이 충분히 낮을 때에, 연료 챔버 (17) 의 연료 압력에 의해 야기된 힘은 스프링 (22) 의 힘에 대항하여 밸브 니들 (11) 을 개방 위치를 향하여 강제한다. 결과로서, 밸브 니들 (11) 은 그의 시트 (seat) 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연료는 연료 챔버 (12) 로부터 실린더 (13) 로 분사된다. 제어 밸브 (21) 가 폐쇄되는 때에, 제어 챔버 (17) 의 연료 압력은 증가한다. 따라서, 밸브 니들 (11) 은 연료 챔버 (12) 로부터 실린더 (13) 로의 연료 분사가 정지되도록 시트에 대해 그의 폐쇄 위치로 복귀한다.
이송 파이프 (8) 는 실린더 헤드 (9) 의 보어 (20) 에 배치된다. 파이프 커넥터 (24) 는 보어 (20) 개구가 제 3 이음부 (27) 및 방출 채널 개구을 에워싸도록 실린더 헤드 (9) 에 연결된다. 파이프 커넥터 (24) 는 장착 브래킷 (42) 을 포함하고, 장착 브래킷에 의해 파이프 커넥터는 실린더 헤드 (9) 에 부착될 수 있다. 이송 파이프 (8) 의 외부면과 보어 (20) 의 내부면 사이의 간극은 분사기 (6) 로부터 누출하는 연료 용의 배수 채널로서 작용한다. 보어 (20) 는 방출 채널 (36) 을 통해 누출 출구 (32) 와 유동 연결 상태에 있다. 따라서, 분사기 (6) 로부터 누출하는 연료는 누출 출구 (32) 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도 1 은 누출이 없고 핀 (34) 이 커넥터 보디 (28) 의 제 1 위치에 있는 정상 상황을 도시한다. 누출 연료가 누출 채널 (31) 로 유동하는 경우, 누출 채널 내의 압력은 상승하기 시작한다. 누출 채널 (31) 내의 압력이 특정 한계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때에, 핀 (34) 은 제 2 위치에 도달되는 때까지 커넥터 보디 (28) 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제 2 위치에서, 연료는 누출 채널 (31) 로부터 누출 출구 (32) 로 유동한다. 누출 채널 (31) 이 단 하나의 구획 (30) 과 유동 연결 상태에 있으므로, 돌출 핀 (31) 은 또한 누출이 발생하는 공급 파이프 섹션을 나타낸다.
방출 라인 (37) 은 누출 출구 (32) 에 연결된다. 파이프 커넥터 (24) 로부터 방출 라인 (37) 은 공통 포집 라인 (38) 에 연결된다. 방출 라인 (37) 으로부터 누출 연료의 유동은 포집 라인 (38) 으로 이어진다. 포집 라인 (38) 에는 누출 검출 장치 (39) 가 제공된다. 누출 검출 장치 (39) 는 방출 라인 (37) 으로부터의 모든 연료가 유동하는 위치에 대해 포집 라인 (38) 에 연결된다. 분사기 (6) 의 정상 작동 상태에서 소량의 연료가 분사기 (6) 로부터 유출하므로, 누출 연료의 더 큰 유동만이 검출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누출 검출 장치 (39) 는 미리 정해진 값을 넘는 유량을 갖는 연료 유동만을 검출하도록 배치된다. 미리 정해진 유량이 초과되는 때에, 누출 검출 장치 (39) 는 알람을 유발하기 위해 배치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분사기 (6) 또는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로부터 연료 누출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배치된다. 누출 검출 장치가 누출을 나타내고 모든 핀들 (34) 이 위치에 있을 경우, 분사기 (6) 및/또는 이송 파이프 (8) 로부터 연료는 누출한다. 결과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핀 (34) 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연료는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로부터 누출한다. 핀 (34) 은 또한 누출이 발생하는 공급 파이프 섹션을 나타낸다.

Claims (10)

  1. 제 1 이중벽 파이프, 제 2 파이프 및 제 3 파이프의 내부 유동 공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커넥터 (24) 로서,
    상기 파이프 커넥터는:
    - 커넥터 보디 (28),
    - 상기 제 1 이중벽 파이프에 연결가능하고, 상기 내부 유동 공간에 연결가능한 제 1 부분 (45) 및 상기 제 1 이중벽 파이프의 외부 유동 공간에 연결가능한 제 2 부분 (46) 을 포함하는 제 1 이음부 (fitting; 25),
    - 상기 제 2 파이프에 연결가능한 제 2 이음부 (26),
    - 상기 제 3 파이프에 연결가능한 제 1 부분 (43), 및 제 2 부분 (44) 을 포함하는 제 3 이음부 (27), 및
    - 상기 제 1 이음부의 상기 제 1 부분 (45), 상기 제 2 이음부 (26) 및 상기 제 3 이음부의 상기 제 1 부분 (43) 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보디 (29) 내에 배치된 유동 채널 (29)
    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파이프 커넥터 (24) 는:
    - 상기 제 1 이음부의 상기 제 2 부분 (46) 과 유동 연결 상태로 배치되는 누출 채널 (31),
    - 상기 누출 채널 (31) 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는 누출 출구 (32),
    - 상기 제 3 이음부의 상기 제 2 부분 (44) 으로부터 상기 누출 출구 (32) 로 연장하고 상기 제 3 이음부의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누출 출구 사이에 연속적인 유동 연결을 제공하는 방출 채널 (36), 및
    - 상기 누출 채널 (31) 로부터 상기 누출 출구 (32) 로의 유체 유동을 방지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누출 채널 (31) 로부터 상기 누출 출구 (32) 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를 갖는 폐쇄 부재 (34)
    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부재 (34) 는, 상기 누출 채널 (31) 내의 유체 압력이 특정 한계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때에,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 (34) 의 위치는 상기 파이프 커넥터 (24) 의 외부에서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 (34) 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 보디 (28) 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이프는 이중벽 파이프이고, 상기 제 2 이음부 (26) 는 상기 제 2 파이프의 내부 유동 공간에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커넥터 (24) 는 제 2 이중벽 파이프의 외부 유동 공간을 상기 누출 채널 (31) 에 유체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넥터.
  6. 왕복 기관용 연료 분사 시스템 (1) 으로서,
    - 상기 기관의 실린더들 (13) 에 가압된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기들 (6),
    - 분사될 연료를 가압하는 고압 펌프 (5),
    - 상기 고압 펌프 (5) 로부터 상기 분사기들 (6) 을 향해 연료를 이송하는 내부 유동 공간 및 가능하게는 연료를 누출하는 외부 유동 공간을 포함하는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 상기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로부터 상기 분사기들 (6) 에 연료를 이송하는 이송 파이프 (8)
    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들 (24) 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 파이프들 (8) 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 커넥터들의 상기 제 1 이음부들 (25) 및 상기 제 2 이음부들 (26) 은 상기 이중벽 공급 파이프 (7) 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이음부들 (27) 은 상기 이송 파이프들 (8)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방출 라인들 (37) 은 상기 누출 출구들 (32) 에 연결되고, 포집 라인 (38) 은 상기 방출 라인들 (37) 과 유동 연결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라인 (38) 에는 누출 검출 장치 (39) 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 분사기 (6) 는 연료용 제어 챔버 (17)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기 (6) 로부터의 연료 분사는 상기 제어 챔버 (17) 내의 연료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챔버 (17) 로부터 연료를 방출하는 복귀 라인 (41) 은 상기 분사기 (6)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
KR1020137023129A 2011-02-09 2012-01-24 파이프 커넥터 및 연료 분사 시스템 KR101720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15124 2011-02-09
FI20115124A FI124086B (fi) 2011-02-09 2011-02-09 Putkiliitin ja polttoaineen ruiskutusjärjestelmä
PCT/FI2012/050060 WO2012107634A2 (en) 2011-02-09 2012-01-24 Pipe connector and fuel inje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335A true KR20140009335A (ko) 2014-01-22
KR101720380B1 KR101720380B1 (ko) 2017-03-27

Family

ID=4362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129A KR101720380B1 (ko) 2011-02-09 2012-01-24 파이프 커넥터 및 연료 분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06436B2 (ko)
EP (1) EP2673493B1 (ko)
JP (1) JP5859575B2 (ko)
KR (1) KR101720380B1 (ko)
CN (1) CN103380288B (ko)
FI (1) FI124086B (ko)
WO (1) WO20121076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115126L (fi) * 2011-02-09 2012-08-10 Waertsilae Finland Oy Polttoaineen ruiskutusjärjestelmä
FI123671B (en) * 2012-06-29 2013-09-13 Waertsilae Finland Oy Pipe coupling and fuel injection system
GB201317451D0 (en) * 2013-10-02 2013-11-13 Delphi Tech Holding Sarl Fuel Injection Equipment
DK178655B1 (en) * 2015-03-20 2016-10-17 Man Diesel & Turbo Filial Af Man Diesel & Turbo Se Tyskland Fuel valve for injecting fuel into a combustion chamber of a large self-igniting turbocharged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6523151A (zh) * 2016-12-27 2017-03-2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研究所 一种船用柴油机燃油泄漏定位系统及报警系统
WO2019241548A1 (en) * 2018-06-13 2019-12-19 Performance Pulsation Control, Inc. Precharge manifold system and method
US11821397B2 (en) 2019-07-31 2023-11-21 Cummins Inc. Modular and scalable rail fuel system architecture
EP4112914A1 (en) * 2021-06-29 2023-01-04 Volvo Truck Corporation Fuel conduit connection assembly for a vehicle
JP2023111441A (ja) * 2022-01-31 2023-08-10 三菱重工エンジン&ターボチャージャ株式会社 燃料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655A (ja) * 2003-04-08 2004-11-04 General Motors Corp <Gm> デュアル流れ燃料ライン、すなわち二系統流れ燃料経路を持つディーゼル噴射システム
JP2006017105A (ja) * 2004-06-30 2006-01-19 Crf Scpa 内燃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噴射装置
KR20060095758A (ko) * 2003-10-17 2006-09-01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고압파이프용 누출 경보
KR20110010722A (ko) * 2008-06-05 2011-02-07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피스톤 기관용 연료 분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7221A (en) 1963-08-29 1967-05-02 Birwelco Ltd Pipe joints
DE2804331A1 (de) 1978-02-02 1979-08-09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raftstoffdruckleitung
GB2060800B (en) * 1979-08-08 1983-07-13 Giro Eng Ltd Fitting for double wall tubing
JPS57167256U (ko) * 1981-04-16 1982-10-21
US4445713A (en) * 1982-07-19 1984-05-01 Caterpillar Tractor Co. Bulkhead-fluid-line connector
JPS59146567U (ja) 1983-03-23 1984-09-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料噴射管装置
JPS6238476U (ko) 1985-08-27 1987-03-07
JPH0759919B2 (ja) * 1986-04-04 1995-06-28 日本電装株式会社 デイ−ゼルエンジン用燃料噴射制御装置
US5277455A (en) 1992-09-25 1994-01-11 Performance Plastics Products, Inc. Plastic lined dual containment piping system
DE4239173C1 (en) * 1992-11-21 1993-09-02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327 Stuttgart, De Cylinder-head for fuel-injection engine - has pressure pipe passing through clamping screw and with union at protruding end for injection pipe
US5339787A (en) * 1993-02-26 1994-08-23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fuel in a diesel engine
DE19931282C1 (de) 1999-07-07 2001-01-11 Mtu Friedrichshafen Gmbh Kraftstoffeinspritz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9939419A1 (de) * 1999-08-20 2001-03-01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DE10020683A1 (de) 2000-04-27 2001-10-31 Siemens Ag Einspritzsystem mit doppelwandiger Kraftstoffleitung
FI117643B (fi) * 2003-01-15 2006-12-29 Waertsilae Finland Oy Järjestely polttoaineen syöttölaitteistossa
FI117644B (fi) * 2003-06-17 2006-12-29 Waertsilae Finland Oy Järjestely polttoaineen syöttölaitteistossa
GB0523573D0 (en) 2005-11-18 2005-12-28 Airbus Uk Ltd Aircraft fuel pipe coupling
US20070241560A1 (en) * 2006-04-18 2007-10-18 Malone David S Coaxial quick connector
EP2052149B1 (de) 2006-08-17 2016-01-13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einspritzen von kraftstoff in den brennraum einer brennkraftmaschine
ATE549505T1 (de) * 2007-07-04 2012-03-15 Caterpillar Motoren Gmbh & Co Brennstoffsystem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mit lokaler leckerkennung
CA2635410C (en) * 2008-06-19 2010-08-17 Westport Power Inc. Dual fuel connector
US8332130B2 (en) * 2008-09-30 2012-12-11 Dale Arden Stretch Leak detection system
US8733324B2 (en) * 2010-02-16 2014-05-27 Cummins Intellectual Properties, Inc. Fuel heating system and method
US8844842B2 (en) * 2011-08-12 2014-09-30 Caterpillar Inc. Three-way needle control valve and dual fuel injection system us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655A (ja) * 2003-04-08 2004-11-04 General Motors Corp <Gm> デュアル流れ燃料ライン、すなわち二系統流れ燃料経路を持つディーゼル噴射システム
KR20060095758A (ko) * 2003-10-17 2006-09-01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고압파이프용 누출 경보
JP2006017105A (ja) * 2004-06-30 2006-01-19 Crf Scpa 内燃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噴射装置
KR20110010722A (ko) * 2008-06-05 2011-02-07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피스톤 기관용 연료 분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80288B (zh) 2016-02-24
WO2012107634A2 (en) 2012-08-16
CN103380288A (zh) 2013-10-30
US20140007844A1 (en) 2014-01-09
FI20115124A0 (fi) 2011-02-09
EP2673493B1 (en) 2015-08-19
US9506436B2 (en) 2016-11-29
JP2014508245A (ja) 2014-04-03
JP5859575B2 (ja) 2016-02-10
WO2012107634A3 (en) 2012-10-26
FI20115124A (fi) 2012-08-10
EP2673493A2 (en) 2013-12-18
KR101720380B1 (ko) 2017-03-27
FI124086B (fi)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380B1 (ko) 파이프 커넥터 및 연료 분사 시스템
KR101711813B1 (ko) 연료 분사 시스템
KR101130388B1 (ko) 고압파이프용 누출 경보
US6827065B2 (en) Diesel injection system with dual flow fuel line
RU2491443C2 (ru) Система впрыска топлива для поршневого двигателя
JP6384352B2 (ja) 異常診断装置及び異常診断方法
EP2872770B1 (en) Pipe connector and fuel injection system
EP3128167B1 (en) Leakage detection device for a double walled fluid pipe
JP2019138289A (ja) デリバリパイプとインジェクタとの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