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568A - 복공판 - Google Patents
복공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7568A KR20140007568A KR1020120074592A KR20120074592A KR20140007568A KR 20140007568 A KR20140007568 A KR 20140007568A KR 1020120074592 A KR1020120074592 A KR 1020120074592A KR 20120074592 A KR20120074592 A KR 20120074592A KR 20140007568 A KR20140007568 A KR 201400075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erforated plate
- pile
- fitting member
- bolt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0);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 위에 고정되도록 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말뚝 고정부(200);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도록 본체(100)의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면 접촉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을 제시함으로써, 지하 흙막이 구조물과 결합하여 이탈되거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복공판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하고, 조립 및 철거, 운반, 적치가 용이하고, 규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 데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복공판은 고중량의 H빔에 의해 다수의 지보재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상판, 복공판 등을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였는 바, 구조적인 안정성이 저하되고 설치 및 해체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사 기간이 길고 이에 따라 많은 수고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공판이 지하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는 구조에 있어서, 복공판을 통과하는 작업자나 혹은 운반되는 건설자재의 하중으로 인하여 흙막이 구조물과 복공판 사이의 단차가 형성되거나 복공판이 이탈할 우려가 있다.
이는, 작업자가 통행시나 건설자재의 운반시에 불편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지하 흙막이 구조물과 결합하여 이탈되거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복공판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하고, 조립 및 철거, 운반, 적치가 용이하고, 규격 조절이 가능한 복공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100);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 위에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말뚝 고정부(200);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도록 상기 본체(100)의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면 접촉부(1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양측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세로보(300); 상기 한 쌍의 세로보(300) 사이에 상기 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가로보(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인접 복공판의 본체(100a)의 연결부(120a)와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뚝 고정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 배치되어 말뚝(10)의 상부를 덮도록 돌출 형성된 통형 구조의 끼움부재(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부재(210)는 측벽에 관통공(20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부재(210)는 원형 강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부재(210)는 H-파일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부재(21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공판의 조각 끼움부재(211a)와 결합하여 상기 끼움부재(210)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의 가장자리 저면에 배치되어 말뚝(10) 상부의 일부를 덮도록 돌출 형성된 조각 끼움부재(2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부재(210)는 말뚝(10)에 끼움 결합한 상기 끼움부재(2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관통공(201)에 끼워지는 고정부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끼움부재(210)와 볼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 인접하여 설치되는 상기 인접 복공판의 본체(100a)의 일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a)와, 상기 본체(100)의 타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에 겹쳐서 덧대어지는 연결부재(122); 상기 복수의 볼트 결합부(121,121a)를 상기 연결부재(122)에 의해 볼트 결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볼트(1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하 흙막이 구조물과 결합하여 이탈되거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복공판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하고, 조립 및 철거, 운반, 적치가 용이하고, 규격 조절이 가능한 복공판을 제공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복공판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저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사용 단면도.
도 5는 말뚝 고정부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말뚝 고정부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말뚝 고정부 설치 구조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말뚝 고정부 설치구조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9은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는 제 2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말뚝 고정부 설치 구조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은 사용 사시도.
도 13는 연결부의 설치 사시도.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저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사용 단면도.
도 5는 말뚝 고정부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말뚝 고정부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말뚝 고정부 설치 구조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말뚝 고정부 설치구조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9은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는 제 2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말뚝 고정부 설치 구조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은 사용 사시도.
도 13는 연결부의 설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공판은 본체(100);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 위에 고정되도록 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말뚝 고정부(200);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도록 본체(100)의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면 접촉부(11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도 1,2).
종래의 복공판은 지하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는 구조에 있어서, 복공판과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을 별도로 결합하지 않거나, 결합을 하여도 그 결합이 견고하지 않았다.
따라서, 복공판을 통과하는 작업자나 혹은 운반되는 건설자재의 하중으로 인하여 흙막이 구조물과 복공판 사이의 단차가 형성되거나 복공판이 위치에서 이탈할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복공판이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위에 고정되도록 말뚝 고정부(200)를 설치하여, 복공판이 설치 후에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 공사 중 야간의 차선 확보, 추락 사고 방지 등의 복공판의 역할에 충실하도록 한다.
즉, 말뚝 고정부(200)는 원형 강관 및 H-파일을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과 결합구조를 형성하여, 복공판이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종래의 복공판 설치구조는 다수의 지보재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상판, 복공판 등을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였던 반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지보재 없이 일체형의 본체(100)에 말뚝 고정부(200)와 지면 접촉부(110)를 포함하고, 본체(100)가 상판의 기능까지 수행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조립 및 철거, 운반, 적치가 용이하여 시공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복공판의 철거 후, 본체(100)와 말뚝 고정부(200)를 분리하여 각각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적, 비용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접촉부(110)의 경우, 본체(100)의 가장자리 저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는 영역으로써 복공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체(100)에 형성된 복수의 지면 접촉부(110)와 지면 접촉부(110) 사이의 영역에서 주로 작업자의 보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장방 형상의 부재로서 본체(100)가 얇은 판의 구조를 취하는 경우, 그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본체(100)의 양측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세로보(300);를 설치한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큰 강성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세로보(300) 사이에 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가로보(400);를 더 설치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도 1,2).
세로보(300)는 본체(100)의 길이 방향(휨모멘트가 크게 발생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본체(100)의 양측 가장자리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세로보(300)는 "ㄷ"자형 또는 "ㄴ"자형 단면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세로보(300)는 복공판이 설치될 시, 지면 접촉부(110)가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고, 그 저면의 측면에 세로보(300)의 측면이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다(도 4).
가로보(400)는 일자형 단면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도록 "H"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H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보(300) 및 복수의 가로보(400)도 마찬가지로, 복공판(300)의 해체시에 본체(100)와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적, 비용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체(10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인접 복공판의 본체(100a)의 연결부(120a)와 결합하도록 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부(120);를 형성하여, 그 연결부(120)를 통해 복수의 복공판이 상호 결합함으로써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도 1,12).
여기서, 연결부(130)는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한 개씩 설치하여도 무방하지만, 전방 및 후방의 양측으로 복수개를 설치하는 것이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한 구조이다.
복수의 복공판이 상호 결합하는 구조는 연결부(120)의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형성된다(도 12,13).
먼저, 연결부(130)의 구성요소로써 본체(100)의 상면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볼트 결합부(121)를 형성한다.
인접하여 설치되는 인접 복공판의 본체(100a)의 일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a)와, 본체(100)의 타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에 겹쳐서 덧대어지도록 연결부재(122)를 설치한다.
그 다음, 연결부재(122)에 볼트를 끼워 복수의 볼트 결합부(121,121a)를 연결부재(122)에 의해 볼트 결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한 복공판은 지하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에 고정되어 외부적인 자극에도 유동하지 않음으로써 복공판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
말뚝 고정부(200)가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 위에 고정되는 설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말뚝 고정부(200)는 저면에 배치되어 말뚝(10)의 상부를 덮도록 돌출 형성된 통형 구조의 끼움부재(210);로 구현될 수 있다(도 5,6,7).
즉, 복공판이 흙막이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될 시에, 끼움부재(210)는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에 끼워져 결합하는 구조를 취한다.
이를 위하여, 끼움부재(210)의 단면 구조는 끼움부재(210)가 끼워져 결합하는 말뚝(10)의 구조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끼움부재(210)는 원형 강관구조를 취할 수 있다(도 5).
또한, 복공판이 H-파일이 설치된 흙막이 구조물 위에 설치될 시에, 끼움부재(210)가 말뚝(10)과 결합하기 위하여 H-파일의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여기서, 말뚝(10)에 끼워지는 끼움부재(210)의 결합력을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를 제시한다(도 7,8).
끼움부재(210)의 측벽에 복수의 관통공(201)을 형성하고, 끼움부재(210)가 결합하는 말뚝(10)의 외면에도 마찬가지로 관통공(201)과 상응하도록 말뚝 관통공(11)을 형성한다.
말뚝(10)에 끼워진 끼움부재(210)의 관통공(201)으로부터 말뚝 관통공(11)을 관통하여 맞은편의 관통공(201)에서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부재(220)를 끼운다.
이를 통해, 끼움부재(210)를 포함하는 복공판과 말뚝(10)의 끼움 결합이 완전히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도 8).
여기서, 고정부재(220)는 볼트를 이용하여 볼트 결합을 체결하는 것이 시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말뚝 고정부(200)는 끼움부재(210)의 설치 구조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의 가장자리 저면에 배치되어 말뚝(10) 상부의 일부를 덮도록 돌출 형성된 조각 끼움부재(211);가 설치되고,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공판의 조각 끼움부재(211a)와 결합하여 끼움부재(210)를 형성하도록 하는 구조이다(도 9.10.11).
이 구조도 마찬가지로, 관통공(201)으로부터 말뚝 관통공(11)을 관통하여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공판의 관통공(201)에서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부재(220)를 끼워 볼트 결합을 체결함으로써, 끼움 결합을 완전히 고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의 장점은 복수의 복공판이 상호 결합할 경우, 복수의 조각 끼움부재(211,211a)와 말뚝(10)을 관통하는 볼트 결합을 통해 복수의 복공판의 상호 결합력이 함께 증가하는 효과가 있어 안정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말뚝 100 : 본체
110 : 지면 접촉부 120 : 연결부
121 : 볼트 결합부 122 : 연결부재
123 : 볼트 200 : 말뚝 고정부
201 : 관통공 210 : 끼움부재
211 : 조각 끼움부재 220 : 고정부재
300 : 세로보 400 : 가로보
110 : 지면 접촉부 120 : 연결부
121 : 볼트 결합부 122 : 연결부재
123 : 볼트 200 : 말뚝 고정부
201 : 관통공 210 : 끼움부재
211 : 조각 끼움부재 220 : 고정부재
300 : 세로보 400 : 가로보
Claims (11)
- 본체(100);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 위에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말뚝 고정부(200);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도록 상기 본체(100)의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면 접촉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양측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세로보(300);
상기 한 쌍의 세로보(300) 사이에 상기 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가로보(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인접 복공판의 본체(100a)의 연결부(120a)와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 고정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 배치되어 말뚝(10)의 상부를 덮도록 돌출 형성된 통형 구조의 끼움부재(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210)는
측벽에 관통공(2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210)는
원형 강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210)는
H-파일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 제 4항 내지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21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공판의 조각 끼움부재(211a)와 결합하여 상기 끼움부재(210)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의 가장자리 저면에 배치되어 말뚝(10) 상부의 일부를 덮도록 돌출 형성된 조각 끼움부재(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210)는
말뚝(10)에 끼움 결합한 상기 끼움부재(2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관통공(201)에 끼워지는 고정부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끼움부재(210)와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
인접하여 설치되는 상기 인접 복공판의 본체(100a)의 일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a)와, 상기 본체(100)의 타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에 겹쳐서 덧대어지는 연결부재(122);
상기 복수의 볼트 결합부(121,121a)를 상기 연결부재(122)에 의해 볼트 결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볼트(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592A KR101378097B1 (ko) | 2012-07-09 | 2012-07-09 | 복공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592A KR101378097B1 (ko) | 2012-07-09 | 2012-07-09 | 복공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7568A true KR20140007568A (ko) | 2014-01-20 |
KR101378097B1 KR101378097B1 (ko) | 2014-03-27 |
Family
ID=5014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4592A KR101378097B1 (ko) | 2012-07-09 | 2012-07-09 | 복공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80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45384A (zh) * | 2016-05-07 | 2017-11-14 | 潘海峰 | 一种多用途钢箱梁板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568812B (zh) * | 2016-02-02 | 2017-06-23 | 严友希 | 汽车全自动越障垫板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9304B1 (ko) | 2005-04-06 | 2007-04-20 | 대원이엔시 주식회사 |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토목구조물 및 그의시공방법 |
KR100990857B1 (ko) * | 2008-04-18 | 2010-10-29 | 윤기영 | 복공판 |
KR101151915B1 (ko) * | 2012-02-15 | 2012-05-31 | (주)두인디앤씨 | 생태복원용 복공판 |
-
2012
- 2012-07-09 KR KR1020120074592A patent/KR1013780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45384A (zh) * | 2016-05-07 | 2017-11-14 | 潘海峰 | 一种多用途钢箱梁板 |
CN107345384B (zh) * | 2016-05-07 | 2024-05-03 | 沈阳汇智云创科技有限公司 | 一种多用途钢箱梁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8097B1 (ko) | 2014-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1496B1 (ko) | 경량의 복공판과 받침대를 매개로 한 개착식 흙막이 가시설 및 이 시공 공법 | |
KR100929440B1 (ko) |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474515B1 (ko) | 버팀대와 흙막이패널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이 시공 공법 | |
KR101648008B1 (ko) | 프리캐스트 트러스구조체를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 |
KR20130105147A (ko) |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 |
KR100980067B1 (ko) | 가로빔에 얹어져 종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02609B1 (ko) | 경사지용 인도 확장장치 | |
KR101414155B1 (ko) | 선반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흙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378097B1 (ko) | 복공판 | |
KR101020856B1 (ko) | 지중 강관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 |
KR101213589B1 (ko) | 조립식 옹벽 및 그 조립 방법 | |
KR101447889B1 (ko) | 조립 정밀성과 수압 분산형 구조를 갖는 옹벽판넬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 |
KR101221118B1 (ko) | 건축공사용 흙막이시설 | |
KR101219445B1 (ko) | 지중 벽체 시공방법 | |
KR101072286B1 (ko) | 조립식 옹벽 | |
KR20140126883A (ko) |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1436563B1 (ko) |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55843B1 (ko) | 블록 보와 보강 토압판을 이용한 지주 연속보강 구조물 및 그 지주 연속보강 구조물 설치방법 | |
JP5688039B2 (ja) | 仕切り構造体 | |
KR101188590B1 (ko) | 후방 돌출 경사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 |
JP6329824B2 (ja) | 山留部材及び路面覆工方法 | |
KR20160110699A (ko) |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 |
KR101202608B1 (ko) | 경사지용 인도 확장장치 설치방법 | |
KR101037578B1 (ko) | 경간보강재를 이용한 띠장부재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지지공법 | |
CN116378677B (zh) | 一种全跨充填型溶洞段的隧道修建方法及隧道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