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818A - 식품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818A
KR20140006818A KR1020137016968A KR20137016968A KR20140006818A KR 20140006818 A KR20140006818 A KR 20140006818A KR 1020137016968 A KR1020137016968 A KR 1020137016968A KR 20137016968 A KR20137016968 A KR 20137016968A KR 20140006818 A KR20140006818 A KR 20140006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utting
cutting blade
drive mechanism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야 우치다
마사오 미즈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20341A external-priority patent/JP58081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20830A external-priority patent/JP57484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09460A external-priority patent/JP578090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ublication of KR20140006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54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wire-like cutting member
    • B26D1/55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wire-like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wire-like cut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절단 개시 당초의 식품으로의 절단날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여 식품의 변형을 줄일 수 있는 식품 절단 장치를 얻는다.
대상 식품(10)을 올려놓는 식품 안착대(5)와, 식품 안착대(5)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6)와, 구동 기구(6)에 의해 식품 안착대(5)와 함께 이동되는 대상 식품(10)의 이동 궤적 내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대상 식품(10)을 둥글게 썰기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날(3)을 가지며, 구동 기구(6)는, 대상 식품(10)이 절단날(3)에 접촉하기 시작할 때 대상 식품(10)에 대한 절단날(3)의 진입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킨다. 절단 후 식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와, 수용 부재를 대상 식품의 수용 위치와 대상 식품의 취출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 구동 기구를 구비해도 좋다.

Description

식품 절단 장치{Food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말이 초밥 등의 봉상(棒狀)의 식품을 소정의 폭으로 둥글게 썰기 형상으로 절단하는 식품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슈퍼마켓, 편의점, 회전초밥점 등에서 제공되는 예를 들면 말이 초밥 등은 자동기계에 의해 봉상으로 성형되고, 또 소정의 폭으로 둥글게 썰기 형상으로 절단된다. 봉상의 말이 초밥 등을 부엌칼에 의해 수작업으로 둥글게 써는 데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고 또한 둥글게 썰리는 음식의 폭 치수가 불균일하므로 식품 절단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식품 절단 장치로는, 고정한 절단 대상 식품에 대해 절단날을 이동시켜 절단하는 것과, 고정한 절단날에 대해 절단 대상 식품을 이동시켜 절단하는 것이 있다. 또한, 절단날의 지지 형태에 따라, 일단 지지 형식의 것, 양단 지지 형식의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하, 종래의 식품 절단 장치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특허문헌 1에는, 고정한 절단 대상 식품에 대해 절단날을 회전시키면서 닿게 함으로써 절단 대상 식품을 둥글게 써는 식품 절단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절단날은 회전축에 대해 직교시켜 고착된 복수의 절단날로 이루어지며, 회전축에 일단 지지 형상으로 고착된 구조, 즉 회전날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고정한 절단 대상 식품인 김말이 초밥 등에 대해 절단날을 이동시키면서 닿게 함으로써 김말이 초밥 등을 둥글게 써는 김말이 초밥 등의 절단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절단날은 칼날틀에 복수 평행하게 배치하여 길이방향 양단을 보유지지한 양단 지지 형상의 것으로, 칼날틀을 복수의 절단날과 함께 링크 기구에 의해 이동시켜 김말이 초밥 등을 절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고정한 절단날에 대해 절단 대상 식품인 말이 초밥을 이동시켜 절단하는 말이 초밥의 절단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절단날은 칼날틀에 복수 평행하게 배치하여 길이방향 양단을 보유지지한 것 즉 양단 지지 형상으로 한 것으로, 상기 칼날틀을 틀에 고정하고 있다. 상기 말이 초밥은 이를 받침대에 얹고, 이 받침대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말이 초밥에 절단날을 서서히 파고들어가게 하면서 말이 초밥을 둥글게 썰기 형상으로 절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절단날을 고정하고, 절단날에 대해 대상 식품을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대상 식품을 둥글게 썰기 형상으로 절단하는 식품 절단 장치는 특허문헌 4에도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평10-24449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평7-3139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특허 제4368024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공개특허 2006-6884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절단 대상 식품을 안착대에 얹고, 그 자리에서 회전날의 회전에 의해 절단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대상 식품의 세팅과 절단 후의 식품의 취출을 같은 위치에서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은 좋다. 그러나, 안착대에 얹어진 절단 대상 식품을 회전날이 가로지르기 때문에, 절단 대상 식품을 회전날이 가로지를 때는 안착대 주변에 손을 넣을 수 없도록 안전 기구를 마련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절단날은 회전축에 일단 지지 형태로 고착되기 때문에, 칼날의 두께를 크게 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게 할 필요가 있고, 절단 대상 식품에 대한 예리함이 양단 지지형 절단날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약간 떨어진다. 따라서, 김말이 초밥과 같은 부드러운 절단 대상 식품의 경우, 절단시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형태 붕괴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 점에서 양단 지지형 절단날은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절단날의 두께를 얇게 하여 예리함을 높일 수 있고 절단 대상 식품의 형태 붕괴를 줄일 수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은, 절단 대상 식품을 안착대에 얹고, 다음에 절단날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절단 대상 식품을 절단하며, 그 후 절단날은 원위치로 향하여 복동(復動)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절단날이 복동할 때, 절단된 대상 식품이 남아 있으면 절단날이 복동하는 도중에 상기 대상 식품에 닿기 때문에, 절단날이 복동하기 전에 절단한 대상 식품을 안착대로부터 취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절단날의 이동에 따라 절단 대상 식품을 절단한 후 대상 식품의 취출 조작을 행하고, 다음에 절단날의 복귀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거로워진다는 어려움이 있다.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절단 대상 식품인 말이 초밥을 얹은 받침대를 이동시켜 절단날에 의해 말이 초밥을 절단한 후 받침대를 원위치까지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그 전에 절단된 말이 초밥을 받침대로부터 취출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절단된 말이 초밥이 원위치로 되돌아가고, 또한 되돌아가는 도중에 절단된 말이 초밥에 절단날이 닿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이 초밥을 절단한 후 말이 초밥의 취출 조작을 행하고, 다음에 절단날의 복귀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거로워진다. 또한, 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조작은, 말이 초밥을 절단하기 위해 받침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조작과 받침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위치 조작의 2회의 조작이 필요하고, 이 점에서도 조작이 번거로워진다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장치의 하측에 있는 받침대에 말이 초밥을 얹는 조작은 장치의 하측에 있는 받침대에 대해 행하므로 조작성의 문제는 없지만, 절단된 말이 초밥은 장치 상부의 안쪽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로 분리된 말이 초밥을 취출할 때의 작업성이 나쁘다는 어려움이 있다.
또 김말이 초밥과 같이, 표면이 잘 절단되지 않는 김으로 덮이고 내부가 부드러우면서 끈기 있는 대상 식품을 절단할 때 대상 식품에 대해 절단날을 단순히 누르는 것만으로는 원활한 절단이 불가능하여 절단 대상 식품의 형태가 무너지기 쉽다. 절단 대상 식품에 대해 절단날을 칼날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누르면 작은 힘으로 예리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래서 어떤 인용문헌에 기재된 발명이든, 절단날이 절단 대상 식품에 대해 칼날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누르도록 칼날의 형태, 칼날의 설치 자세, 절단날에 대한 받침대의 이동 방향이 연구되어 있다.
이제 김말이 초밥 뿐 아니라 일반적인 식품을 부엌칼로 절단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부엌칼의 칼날을 식품에 누르기 시작할 때에는 식품에 대한 부엌칼의 칼날 방향으로의 슬라이딩량을 크게 함으로써 부엌칼의 칼날을 식품 내부에 원활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특히 김말이 초밥의 경우와 같이 표면이 부엌칼로 자르기 힘든 김으로 덮여 있는 것을 절단하려고 할 때에는 절단 개시 당초, 부엌칼을 크게 슬라이딩시키면서 김말이 초밥에 부엌칼을 누르면 부엌칼의 칼날이 원활하게 김말이 초밥에 파고들어 김말이 초밥의 형태가 무너지지 않고 매끄러운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칼날이 김말이 초밥에 파고든 후에는 김말이 초밥에 대한 부엌칼의 상대적인 슬라이딩량을 줄여도 김말이 초밥을 원활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어떤 특허문헌에 기재된 발명이든 절단날이 절단 대상 식품에 접하여 절단을 개시한 후 절단이 완료될 때까지 절단 대상 식품에 대한 절단날의 상대적인 슬라이딩량이 거의 일정하다. 특히 말이 초밥을 얹은 받침대를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그 이동 궤적과 직선적으로 교차되는 절단날로 말이 초밥을 절단하도록 구성한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절단 개시부터 종료까지 절단날에 대한 말이 초밥의 상대 이동이 시종일관 일정하다. 이와 같이 절단날을 절단 대상 식품에 대고 절단을 개시할 때에는 절단 대상 식품에 대해 절단날을 크게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술한 어떤 특허문헌에 기재된 발명에서도 절단 개시시의 절단 대상 식품에 대한 절단날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속도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고정시킨 절단날에 대해 대상 식품을 얹은 식품 안착대를 이동시켜 대상 식품을 절단하도록 한 식품 절단 장치에서, 절단 개시 당초의 대상 식품으로의 절단날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여 대상 식품의 변형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상 식품을 올려놓는 식품 안착대와, 상기 식품 안착대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식품 안착대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대상 식품의 이동 궤적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대상 식품을 둥글게 썰기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날을 가지며, 상기 구동 기구는, 대상 식품과 상기 절단날의 접촉 개시 당초는 대상 식품에 대한 상기 절단날의 진입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 식품과 절단날의 접촉 개시 당초에는, 구동 기구가 대상 식품에 대한 상기 절단날의 진입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상 식품을 절단날에 대해 그 칼날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시켜 절단날을 예리하게 대상 식품에 파고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식품이 변형되지 않고 절단되어 매끄러운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절단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측면 커버 및 앞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측면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우측의 측면 커버 및 앞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앞커버 및 우측의 측판을 제거한 상태의 상기 실시예의 1동작 태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다른 동작 태양을 도 5에 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동작 태양을 도 5에 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동작 태양을 도 5에 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예의 도 4에 도시한 동작 태양과 같은 동작 태양을 우측의 측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예의 도 5에 도시한 동작 태양과 같은 동작 태양을 도 9에 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예의 도 6에 도시한 동작 태양과 같은 동작 태양을 도 9에 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예의 도 11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동작 태양을 도 9에 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예의 도 12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동작 태양을 도 9에 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실시예의 도 13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동작 태양을 도 9에 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실시예의 도 14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동작 태양을 도 9에 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식품 안착대 및 위치 규제 부재의 동작 도중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식품 안착대 및 위치 규제 부재의 초기 형태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식품 안착대 및 위치 규제 부재의 초기 형태의 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식품 안착대 및 위치 규제 부재의 초기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절단날의 각종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절단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2는, 측면 커버 및 앞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상기 제2 실시예를 오른쪽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측면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상기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4는, 앞커버 및 우측의 측판을 제거한 상태의 상기 제2 실시예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다른 동작 태양를 도 24에 준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또다른 동작 태양를 도 24에 준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또다른 동작 태양을 도 24에 준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또다른 동작 태양을 도 24에 준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또다른 동작 태양을 도 24에 준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또다른 동작 태양을 도 24에 준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또다른 동작 태양을 도 24에 준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또다른 동작 태양을 도 24에 준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또다른 동작 태양을 도 24에 준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어지는 또다른 동작 태양을 도 24에 준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절단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 24에 준하여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절단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 측면도이다.
도 37은, 상기 제 4의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8은, 상기 제 4의 실시예의 동작중인 한 형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절단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에서 식품 절단 장치는, 상단부가 절단 대상 식품(이하, 단순히 「식품」이라고 한다)(10)의 공급부, 앞면 하부가 식품(10)의 배출부로 되어 있고, 앞면은 상기 공급부와 배출부를 제외하고 앞면 패널(15)로 덮여 있고 좌우 양측면은 각각 측면 커버(14)로 덮여 있다. 이 장치의 동작 개시전에는 상기 공급부에 식품 안착대(5)가 있고, 이 식품 안착대(5)에 식품(10), 예를 들면 초밥이 김에 말린 기둥형 김말이 초밥을 수평 방향의 자세로 올려놓도록 구성되어 있다. 식품 안착대(5)에 식품(10)을 올려놓고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식품 안착대(5)가 구동 기구에 의해 장치 앞쪽 하부를 향해 이동되고, 이 이동 도중에 식품(10)이 절단날에 의해 둥글게 썰기 형상으로 절단되어 상기 배출부에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출된 식품(10)은, 식품 안착대(5)에서 방출되어 받침 부재(8)로 수용되고 받침 부재(8)가 경사 전방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고 식품 안착대(5)는 구동 기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식품 절단 장치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식품 절단 장치는, 베이스(1)와, 베이스(1)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되어 서로 평행하게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좌우 측판(4)과, 각 측판(4)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뒷판(20)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베이스(1), 좌우 측판(4) 및 뒷판(20)으로 식품 절단 장치의 골격을 이루고 있다. 장치 앞쪽 근처의 위치에 절단날 고정 틀(2)이 대략 수직 방향의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절단날 고정 틀(2)은 좌우의 양단 테두리부가 좌우 측판(4)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된 1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좌우 측판(4) 사이에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절단날 고정 틀(2)은 높이가 장치의 높이보다 약간 낮은 사각형 틀형상으로서, 절단날 고정 틀(2)을 구성하는 상하의 가로대로 복수의 절단날(3)의 양단부를 지지하고 복수의 절단날(3)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7개의 절단날(3)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식품(10)을 8등분하도록 되어 있다. 각 절단날(3)은 길고 좁은 박판형 부재로서, 그 폭방향이 장치의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또한 칼날의 형성 테두리가 배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절단날(3)의 표면은 식품(10)에 대한 슬라이딩을 좋게 하기 위해, 예를 들면 불소 수지 등으로 코팅되어 있다. 각 절단날(3)은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절단날 고정 틀(2)의 상기 상하 가로대에 고정된 양단 지지 형식이므로 상기와 같이 길고 좁은 박판형 부재여도 충분히 큰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안착대(5)는, 도 3,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의 대략 반의 측면 형상이 L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L자의 수평 변과 수직 변으로 이루어진 모서리부에 절단 전의 식품(1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L자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식품(10)의 저면 받침(51), 상기 L자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식품(10)의 배면 받침(52)으로 되어 있다.
도 16,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면 받침(51)은, 좌우 양단부가 전방을 향해 연장된 돌출부(59)로 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59) 사이에 있는 중앙부의 앞단면은 상기 돌출부(59)의 앞단면으로부터 후퇴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돌출부(59)와 상기 중앙부 사이에는, 앞단면으로부터 뒤쪽을 향해 슬릿(7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각 돌출부(59)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수평축(55)이 설치되고 각 수평축(55)에 의해 위치 규제 부재(7)가 수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위치 규제 부재(7)는, 상기 각 돌출부(59)의 외측면쪽에 위치하는 외측 레버(701)와, 내측면쪽에 위치하는 내측 레버(702)를 1쌍으로 하여 가지고 있다.
쌍을 이루는 외측 레버(701)와 내측 레버(702)는 각각의 앞단부가 축(74)으로 연결됨으로써 평면 형상이 U자형으로 일체화되고, 또한 상기 수평축(55)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각 위치 규제 부재(7)는, 상기 각 돌출부(59)의 안팎에서 수평축(5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각 축(74)은 상기 각 돌출부(59)의 전방에 위치하고 각 축(74)의 외주에는 원통형 추(75)가 장착되어 있다. 내측 레버(702)의 수평축(55)보다 뒤쪽의 대부분은 상기 슬릿(79)안에 있으며, 이 슬릿(79)안에서 수평축(5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외측 레버(701)는 후방으로 연장된 아암(71)과 전방으로 연장된 아암(72)과 아래쪽으로 연장된 돌기(73)를 가진 3아암형 레버로서, 전방으로 연장된 아암(72)의 앞단부와 내측 레버(702)의 앞단부가 상기 축(74)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내측 레버(702)는, 수평축(55)보다 뒤쪽에 3개의 돌기(76),(77),(78)를, 앞쪽에서 뒤쪽을 향해 이 순서대로 가지고 있다. 위치 규제 부재(7)는 수평축(55)을 중심으로 한 전후의 중량 밸런스에 의해 자세가 바뀌도록 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자연 상태에서는, 도 3, 도 19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바이어스되어 상기 돌기(73)가 식품 안착대(5)의 측부에 옆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50)의 앞단면(69)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바이어스력에 의한 회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 19는, 위치 규제 부재(7)가 상기와 같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자연 상태에서 바이어스력에 의한 회전이 규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위치 규제 부재(7)가 도 19에 도시한 자연 상태에서의 자세를 취할 때에는 3개의 돌기(76),(77),(78)가 모두 식품 안착대(5)의 저면 받침(51)의 상면보다 위쪽으로 진출한다.
3개의 돌기(76),(77),(78)는 식품 안착대(5)에 올려놓여지는 식품(10)의 앞쪽으로 진출함으로써 식품(10)이 저면 받침(51)위를 앞쪽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식품(10)을 소정의 위치로 위치 규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식품(10)의 횡단면 크기는 대, 중, 소의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도 19는 작은 사이즈의 식품(10)이 저면 받침(51)과 배면 받침(52)으로 형성되는 모서리부에 올려놓여짐으로써 작은 사이즈의 식품(10)이 내측 레버(702)의 후단보다 뒤쪽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위치 규제 부재(7)가 상기와 같은 중량 밸런스에 의한 바이어스력으로 회전하고, 또한 상기 돌기(73)가 식품 안착대(5)의 측부에 형성된 돌출부(50)의 앞단면(69)에 접촉하여 회전이 저지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 회전 자세에서는 3개의 돌기(76),(77),(78)중 가장 뒤의 돌기(78)가 식품(10)의 앞쪽에 있어 식품(10)의 이동을 저지한다.
중간 사이즈의 식품이 식품 안착대(5)에 올려놓여지면, 각 내측 레버(702)의 돌기(77)와 돌기(78) 사이의 오목부에 식품의 앞단 하측 가장자리부가 닿아 식품의 무게에 의해 위치 규제 부재(7)를 도 19에 도시한 형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돌기(77)로 식품의 이동을 저지한다. 도 17, 도 18은 큰 사이즈의 식품(10)이 식품 안착대(5)에 올려놓인 상태를 도시한다. 큰 사이즈의 식품(10)이 식품 안착대(5)에 올려놓여지면, 각 내측 레버(702)의 돌기(76)와 돌기(77) 사이의 오목부에 식품(10)의 앞단 하측 가장자리부가 닿아 식품(10)의 무게에 의해 위치 규제 부재(7)를 도 17, 도 18에서 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돌기(76)로 식품(10)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중간 사이즈 또는 큰 사이즈의 식품(10)의 무게에 의해 각 위치 규제 부재(7)가 회전할 때 그 내측 레버(702)의 후반 부분이 호를 그리면서 상기 슬릿(79)내를 이동한다.
각 위치 규제 부재(7)의 외측 레버(701)의 아암(71)은, 식품(10)이 절단날(3)로 절단된 후 위치 규제 부재(7)에 의한 식품(10)의 위치 규제를 해제하고 절단된 식품(10)을 식품 안착대(5)에서 방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암(71)은, 좌우 측판(4)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11)와 협동하여 위치 규제 부재(7)를 상기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돌기(76),(77),(78)에 의한 식품(10)의 위치 규제를 해제하여, 절단된 식품(10)을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방출 동작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동작의 설명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식품 안착대(5)에 올려놓여져 있는 식품(10)을 상기 절단날(3)로 절단하기 위해 식품 안착대(5)에는 절단날(3)이 진입할 수 있는 슬릿(58)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58)은 절단날 고정 틀(2)에 고정되는 절단날(3)의 수 및 설치 위치에 대응한 수와 위치로 설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식품(10)의 분할수를 4개, 6개, 8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의 중앙 슬릿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분할수에 각각 대응한 위치에 슬릿(58)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58)은, 절단날(3)을 받아들여 식품(10)을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면 받침(51) 및 배면 받침(52)을 포함한 넓은 범위에 걸쳐 깊게 형성되어 있다.
식품 안착대(5)는,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불소계 수지를 절삭 가공하여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복수의 깊은 슬릿(58)을 설치하면 강도가 저하되므로, 슬릿 형성 부분을 피한 빗살형의 금속제 보강 부재(미도시)를 고착시켜 강도를 보완한다. 아울러 식품 안착대(5)는, 이것을 판금 가공으로 제작해도 좋다.
식품 안착대(5)의 저면 받침(51)에는, 슬릿(58)과 평행하게 복수의 홈(57)이 새겨져 있다. 상기 홈(57)은, 후술하는 받침 부재(8)의 돌기(85)와 협동하여 절단된 식품(10)을 받침 부재(8)에 원활하게 주고 받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홈(57)은, 식품(10)의 상기 어느 분할수에도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58)의 테두리부에 새겨져 있는 것도 있고, 슬릿(58) 상호간에 새겨져 있는 것도 있다.
도 3, 도 1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안착대(5)에는, 올려놓여지는 식품(10)의 길이 방향 양단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판(56)이 배면 받침(52)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규제판(56)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성형한 것으로서, 그 기부(基部)에서 배면 받침(52)을 위쪽에서 끼워넣도록 장착하고 고정 나사(60)로 배면 받침(52)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 나사(60)를 느슨하게 하면 규제판(56)의 위치를 상기 배면 받침(52)에 따라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식품(10)이 예를 들면 김말이 초밥이라면, 김의 치수는 205mm×185mm로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김을 가로로 길게 마는지, 세로로 길게 마는지에 따라 절단 전의 김말이 초밥의 길이가 바뀐다. 그래서 고정 나사(60)를 느슨하게 하여 한쌍의 규제판(56)의 간격을 김말이 초밥의 길이에 합치되도록 조정하고 고정 나사(60)를 조여 규제판(56)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 기구(6)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왼쪽 측판(4)의 내면측에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61)가 고정되고, 모터(61)의 출력축에 고착된 기어(62)는 축(64)에 고착된 기어(63)와 맞물려져 있다. 축(64)은 좌우 측판(4)에 걸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좌우 측판(4)을 관통한 축(64)의 양단부에는 각각 구동 아암(65)이 고착되어 있다. 모터(61)의 회전 구동력은, 기어(62),(63)를 통해 축(64)으로 전달되고 축(64)과 일체의 각 구동 아암(65)을 각 측판(4)의 외측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구동 아암(65)은 축(64)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을 따라 장공(66)을 가지고 있고, 이 장공(66)에 식품 안착대(5)의 상기 2개의 핀(53),(54) 중 앞쪽 핀(53)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각 구동 아암(65)이 축(64)과 함께 축(64)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면, 장공(66)을 구획하는 측면에서 핀(53)이 눌려 각 구동 아암(65)의 회전에 따라 식품 안착대(5)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식품 안착대(5)의 좌우 양쪽에 있는 상기 2개의 핀(53),(54)은 캠 홈(91)에 끼워져 있어 캠 팔로워로서 기능하고 있다. 식품 안착대(5)의 높이 위치 및 자세는 2개의 핀(53),(54)의 높이 위치 및 상대적인 높이의 차이에 따라 결정되며, 2개의 핀(53),(54)의 상대적인 높이 위치 관계는 캠 홈(91)의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캠 홈(91)은 캠판(9)에 형성되고 있고, 캠판(9)이 측판(4)에 고정되어 있다.
캠 홈(91)은, 이것을 측판(4)에 형성하여 캠판(9)을 생략해도 좋다.
캠 홈(91)은, 도 11, 도 1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10)이 절단날(3)에 접촉하기 시작하면 식품(10)에 대한 절단날(3)의 진입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식품 안착대(5)의 자세를 연속하여 변화시키는 원호부(93)와, 식품(10)에 절단날(3)이 침입한 후에는 식품 안착대(5)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식품 안착대(5)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직선부(94)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상기 원호부(93)를 상기 2개의 핀(53),(54)이 통과할 때 식품(10)에 대한 절단날(3)의 진입 각도의 연속적인 변화가 식품(10)의 절단날(3)에 대한 상대 속도를 앞당기도록 상기 2개의 핀(53),(54)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기 원호부(93)의 면(도 11, 도 12에서 아래쪽 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단날(3)은 대략 수직 방향의 자세를 유지하여 고정되어 있는데 반해, 캠 홈(91)의 상기 직선부(94)는 적절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직선부(94)를 따라 식품 안착대(5)가 위에서 경사 하방으로 향해 이동할 때 식품 안착대(5)는 인사를 한 것처럼 경사진 자세 즉 앞쪽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 경사진 자세를 취하고 있는 식품 안착대(5)에 보관된 식품(10)에 절단날(3)이 상기 경사 각도에 대응한 각도로 접하면서 파고들도록 되어 있다.
캠 홈(91)은, 상단부가 상기 원호부(93)에 계속되는 원호부(92)로 되어 있다. 이 원호부(92)에 상기 2개의 핀(53),(54)이 있을 때,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안착대(5)는 가장 상위에 있으며, 또한 저면 받침(51)이 수평의 자세보다 안쪽이 약간 내려간 자세가 되어 식품(10)의 수용 자세를 취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 기구(6)는 모터(61)에서 캠 홈(91)에 이르는 구성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핀(53),(54)이 캠 홈(91)을 따라 이동할 때의 식품 안착대(5)의 자세 및 위치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식품(10)의 수용 자세를 취하고 있는 식품 안착대(5)에 식품(10)을 올려놓고 구동 기구(6)를 동작시키면, 2개의 핀(53),(54)이 캠 홈(91)의 원호부(92)에서 원호부(93)로 이동하고 직선부(94)로 더 이동한다. 핀(53),(54)이 상기 원호부(93)를 통과할 때 핀(53)의 높이 위치가 핀(54)의 높이 위치보다 서서히 낮아져 식품 안착대(5)의 자세가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됨과 동시에 앞으로 기울어진 각도가 서서히 커진다. 식품 안착대(5)가 자세를 변화시킬 때 식품 안착대(5)에 올려놓여져 있는 식품(10)이 절단날(3)에 접촉하기 시작하도록 절단날(3), 식품 안착대(5), 핀(53),(54), 캠 홈(91) 상호간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핀(53),(54)은 상기 원호부(93)를 통과한 후에는 캠 홈(91)의 직선부(94)로 유도되고, 식품 안착대(5)는 상기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 그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에서 경사 하방을 향해 직선형으로 이동하여 절단날(3)로 식품이 절단된다. 절단된 식품(10)은 후술하는 받침 부재(8)로 수용되고, 계속해서 구동 기구(6)가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여 식품 안착대(5)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 부재(8)를 포함한 절단 후 식품(10)의 수용부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도 3,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앞쪽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절단 후 식품(10)의 수용부의 주요 구성 부재는 받침 부재(8)이다. 받침 부재(8)는 경사 하방을 향해 미끄러져 떨어지는 절단 후 식품(10)을 받는 경사 가이드부(81)와, 이 경사 가이드부(81)의 하단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대략 직각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식품(10)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받아내는 수용부(82)를 가지고 있다. 또 받침 부재(8)는 경사 가이드부(81)의 하면측에 슬라이딩부(83)를 일체로 가지고 있으며, 슬라이딩부(83)는 측판(4)의 내면측에 고정된 홈형 가이드 레일(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8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진 식품 안착대(5)의 경사 각도에 가까운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이 경사 각도와 같은 각도로 가이드 레일(12)이 고정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가이드부(81)의 후단 테두리에는 상기 식품 안착대(5)의 저면 받침(51)에 형성되어 있는 홈(57)(도 16 참조)과 협동하여 절단 후 식품(10)을 원활하게 받침 부재(8)에 방출시키는 돌기(85)가 상기 홈(57)에 대응하여 여러 개 형성되어 있다. 받침 부재(8)는, 미도시된 용수철 등의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도 2, 도 3,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다. 바이어스력에 의해 이동한 받침 부재(8)는 적절한 규제 수단에 의해 절단 후 식품(10)의 수용 위치에서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상기 바이어스력은, 받침 부재(8) 자체의 하중을 이겨내고 경사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비교적 약한 바이어스력으로서, 받침 부재(8)가 식품(10)을 받았을 때 받침 부재(8)에 가해지는 하중이 우세하여,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받침 부재(8)가 경사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 부재(8)에서 식품(10)을 취출하면 받침 부재(8)는 바이어스력으로 원위치로 돌아온다.
각 측판(4)의 내면측에는, 받침 부재(8)에 근접하여 그 위쪽에 스토퍼(11)가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11)는, 식품 안착대(5)와 함께 이동해 온 위치 규제 부재(7)의 후방으로 연장된 아암(71)의 이동 궤적내에 있으며, 식품 안착대(5)가 캠 홈(91)을 따라 하강하여, 올려놓여져 있는 식품(10)이 절단날(3)로 절단된 직후 상기 아암(71)이 스토퍼(11)의 후면측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위치 규제 부재(7)는 전술한 중량 배분에 의해 수평축(5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바이어스되고 바이어스력에 의한 회전이 규제된 자세를 취하는데, 아암(71)이 스토퍼(11)에 닿음으로써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규제 부재(7)는 강제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돌기(76),(77),(78)가 식품 안착대(5)의 저면 받침(51)의 상면보다 아래쪽으로 가라앉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동작 개시전의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식품 안착대(5)는 2개의 핀(53),(54)이 캠 홈(91)의 상측 종단부의 원호부(92)에 있으며 절단전 식품(10)의 안착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 형태의 식품 안착대(5)에 식품(10)을 올려놓는다. 올려놓여지는 식품(10)이 작은 사이즈의 식품이면, 식품 안착대(5)는 상기 안착 자세 그대로 식품(10)을 수용하여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규제 부재(7)의 돌기(78)가 식품(10)의 전방에 진출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올려놓여지는 식품(10)이 중간 사이즈이면 위치 규제 부재(7)가 식품(10)의 하중에 의해 위치 규제 부재(7) 자체의 중량 밸런스에 저항하여 회전하고, 돌기(77)가 식품(10)의 전방으로 진출한다. 마찬가지로 올려놓여지는 식품(10)이 큰 사이즈이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규제 부재(7)가 그 자체의 중량 밸런스에 저항하여 회전하고 돌기(76)가 식품(10)의 전방으로 진출한다.
다음으로, 시작 버튼을 조작하면 모터(61)가 기동되어 구동 기구(6)가 동작을 개시한다. 기어열(61),(62), 축(64)을 거쳐 구동 기구(6)의 구동 아암(65)이 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그 장공(66)에 끼워져 있는 식품 안착대(5)의 핀(53)이 캠 홈(91)을 따라 이동된다. 핀(53)과 함께 핀(54)도 캠 홈(91)을 따라 이동하여 식품 안착대(5)의 높이 위치와 자세가 2개의 핀(53),(54)의 높이 위치 및 상호의 높이 위치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핀(53),(54)이 캠 홈(91)의 원호부(93)의 위치에 끼워지면 핀(53)의 높이 위치가 핀(54)의 높이 위치에 대해 연속적으로 낮아지고, 따라서 식품 안착대(5)가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취함과 동시에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서서히 깊어진다. 이와 같이 식품 안착대(5)가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기 시작하는 위치는, 식품(10)이 절단날(3)에 접촉하기 시작할 때이다. 식품(10)과 절단날(3)의 접촉 개시 당초의 식품(10)에 대한 절단날(3)의 진입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절단날(3)과 식품(10)의 상대 속도를 빠르게 하도록 되어 있다. 도 5, 도 10은 이 때의 동작상태를 도시한다. 이렇게 하여 절단 개시 당초의 식품(10)에 대한 절단날(3)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식품(10)의 절단시에 식품(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식품(10)의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연구되고 있다.
식품 안착대(5)의 핀(53),(54)이 캠 홈(91)의 직선부(94)에 도달하면, 식품 안착대(5)는 최대의 경사 각도를 유지한 채로 상기 직선부(94)를 따라 경사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동안 식품 안착대(5)에 올려놓여져 있는 식품(10)은 그 전방으로 진출되는 돌기(76),(77),(78) 중 하나로 식품 안착대(5)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수직 방향으로 양단 지지 형태에 고정된 절단날(3)에 대해 식품 안착대(5)와 함께 식품(10)이 경사 하방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절단날(3)이 일정한 상대 속도에 의해 파고들어 식품(10)이 둥글게 썰기 형상으로 절단된다. 도 11은 이 동작 태양을 도시한다.
도 6, 도 12는, 상기 핀(53),(54)이 캠 홈(91)의 직선부(94)를 따라 경사 하방으로 하강하여 식품 안착대(5)가 식품(10)의 절단 동작의 종단 근처에 도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위치 규제 부재(7)의 아암(71)이 스토퍼(11)의 배면에 접촉하기 시작한다. 식품 안착대(5)가 더 하강하면, 도 7,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10)이 절단날(3)의 위치를 통과하여 식품(10)이 절단된다. 또 위치 규제 부재(7)는 그 아암(71)이 스토퍼(11)에 눌려 중량 밸런스에 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돌기(76),(77),(78) 모두가 식품(10)의 전방에서 하부로 퇴피한다. 이렇게 하여 돌기(76),(77),(78)에 의한 식품(10)의 위치 규제 형태가 해제되고 식품(10)은 식품 안착대(5)의 저면 받침(51)에서 방출된다. 식품(10)은 식품 안착대(5)의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따라 받침 부재(8)의 경사 가이드부(81)로 미끄러져 떨어져 수용부(82)에서 수용된다.
식품(10)을 받은 받침 부재(8)에는 식품(10)의 하중이 걸리고, 이 하중이 받침 부재(8)의 상기 바이어스력보다 우세하므로 받침 부재(8)는 식품(10)을 보관한 채로 경사 하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렇게 하여 절단 후 식품(10)은 식품 안착대(5)의 이동 궤적 밖으로 하강하여 취출구에 도달하고 절단 후 식품(10)을 취출할 수 있다. 상기 경사 가이드부(81) 및 수용부(82)의 양측부에는 식품(10)의 양측을 규제하는 판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양측부가 개방되어 있다. 절단 후 식품(10)의 취출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배려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식품(10)을 받침 부재(8)로 주고 받음으로써 식품 안착대(5)의 이동 궤적으로부터 식품(10)이 퇴피하므로, 구동 기구(6)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식품 안착대(5)를 포함한 모든 동작부를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구동 기구(6)를 역회전시키는 타이밍은, 예를 들면 받침 부재(8)가 경사 하방으로 슬라이딩한 것을 검지했을 때, 혹은 받침 부재(8)에 식품(10)이 미끄러져 떨어진 것을 검지했을 때로 하면 좋다. 또 식품 안착대(5)가 이동 행정의 종단까지 하강하여 일정시간 경과하면 원위치를 향해 복귀 동작을 시작하도록 구동 기구(6)의 제어 회로를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와 같은 검지를 하기 위한 센서류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상 설명한 식품 절단 장치의 실시예는, 양단 지지 형태로 고정시킨 절단날(3)에 대해 식품(10)을 실은 식품 안착대(5)를 이동시켜 식품(10)을 절단하도록 한 식품 절단 장치에서, 식품 안착대(5)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6)에 캠 홈(91)으로 이루어진 캠 기구를 이용하고 캠 홈(91)의 형상을 연구하여 식품(10)이 절단날(3)에 접촉하기 시작할 때 식품(10)에 대한 절단날(3)의 진입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절단날(3)과 식품(10)의 상대 속도를 빠르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식품 절단 장치의 실시예에 의하면, 절단 개시 당초의 식품(10)에 대한 절단날(3)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식품(10)의 절단시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식품(10)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절단 대상 식품이 말이 초밥과 같이 부드럽고 끈기가 있는 것인 경우, 절단날(3)에 밥알이 붙거나 혹은 밥알이 풀처럼 변화된 것이 부착됨으로써 절단 후 식품(10)이 절단날(3)에 붙어 받침 부재(8)에서 주고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받침 부재(8)의 뒤쪽 테두리부에 복수의 돌기(85)를 설치하고, 식품 안착대(5)의 저면 받침(51)에 상기 각 돌기(85)가 진입하는 홈(57)을 설치하였다. 도 6,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10)을 다 절단하기 직전에 상기 각 홈(57)에 돌기(85)가 진입하기 시작하여 식품(10)을 다 절단했을 때에는 식품(10)이 돌기(85)에 의해 떠올려지도록 하여 받침 부재(8)에서 주고 받도록 구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해두면 절단날(3)에 점착하려는 절단 후 식품(10)을 강제로 벗겨내어 받침 부재(8)에서 원활하게 주고 받을 수 있다. 특히 우라마끼라고 칭하는, 초밥용 밥이 김 바깥쪽에 있는 것을 절단할 경우에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또 절단 후 식품(10)이 자동으로 식품 안착대(5)의 이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하기 때문에 스타트 버튼을 1회 조작하여 식품 안착대(5)를 왕복 동작시키기만 해도 되므로, 종래와 같이 절단전의 식품을 세팅하여 스타트 버튼을 누르고 절단된 식품을 꺼낸 후 복귀 버튼을 누르는 번거로운 조작은 불필요하다. 또, 예를 들면 장치 위쪽의 식품 공급부에 식품을 세팅하여 스타트 버튼을 조작하고 절단된 식품을 장치의 아래쪽에서 취출하고, 이어서 다시 식품 공급부에 식품을 세팅하여 스타트 버튼을 조작하는 것처럼 조작이 간단해져 절단 작업의 능률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서 알 수 있듯이, 일련의 절단 동작에서 사용되는 절단날(3)의 범위는 대략 위쪽 반이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날 고정 틀(2)은 좌우의 가이드 홈에 떨어뜨려 고정시키도록 구성하고, 어느 정도 가동시키면 절단날 고정 틀(2)을 상하 반전시켜 고정하여 계속 가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1개의 절단날 고정 틀(2)의 사용에 의한 가동 시간을 늘릴 수 있어 이 점에서도 절단 작업의 능률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받침 부재(8)가 절단 후 식품(10)을 수용함으로써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나, 절단 후 식품(10)이 받침 부재(8)를 따라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구성해 두면, 받침 부재(8)는 고정시켜도 되고 슬라이딩하는 구조로 할 필요는 없다. 이미지로서는, 도 14에 도시한 절단 후 식품(10)을 수용하여 받침 부재(8)가 슬라이딩한 상태에서 받침 부재(8)의 후단을 절단날(3) 근처까지 늘려 받침 부재(8)의 후단 테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85)가 식품 안착대(5)의 상기 홈(57)에 진입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하여 받침 부재(8)를 고정시킨 구성으로 한다.
식품 안착대(5)로부터 받침 부재(8)가 식품(10)을 수용한 것을 확인한 후에 식품 안착대(5)를 복귀 동작시키기 위해 받침 부재(8)로 식품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경로를 좌우에서 끼워 예를 들면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 센서를 배치하고, 광 센서가 받침 부재(8)로 식품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검지하도록 하면 된다. 혹은, 구동 기구(6)에 의한 식품 안착대(5)의 왕동(往動, forward movement) 공정 종단 위치에서 일정 시간 경과후 복동(復動, backward movement) 동작을 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센서는 불필요하다.
절단날(3)은, 칼날 부분의 형상이 직선형이어도 무방하지만, 김말이 초밥 등에 칼날이 양호하게 파고들도록 하기 위해 도 20에 도시한 파형의 칼날 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도 20(a)은 곡선적인 파형의 칼날 형상으로 한 절단날(31)을 도시한다. 도 20(b)은 파도의 산모양이 예각적으로 뾰족한 칼날 형상으로 한 절단날(32)을 도시한다. 어느 쪽 칼날로든 파형의 피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절단 대상으로 하는 식품의 성질에 합치된 커팅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도 3, 도 4 등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장치의 측면에서 본 구동 아암(65)은 한쪽이 팽출(膨出)된 형태로 되어 있는데, 경량화를 도모하여 구동력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상기 팽출부를 없앤 단순한 형태로 해도 좋다. 또 위치 규제 부재(7) 등의 가동 부재는 부피를 줄여 경량화를 도모하면 좋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식품 안착대의 구동 기구가 캠을 이용하여 식품 안착대의 자세와 이동 궤적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캠을 이용하지 않고 다른 기구를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링크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식품과 절단날의 접촉 개시 당초의 식품에 대한 절단날의 진입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절단날과 식품의 상대 속도를 높이도록 구성해도 좋다. 혹은 일정 자세를 유지하여 직선 이동하는 지지체에 식품 안착대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지지체가 이동을 개시하여 대상 식품과 절단날이 접촉을 시작한 당초에, 상기 식품 안착대를 회전시켜 식품에 대한 절단날의 진입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절단 후 식품을 자연 낙하시키지 않고 절단 후 식품을 소정 자세로 받아서 하강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절단 후 식품 취출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킨 식품 절단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도 21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 부품 혹은 구성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품 혹은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간략화한다.
도 21 내지 도 23에서 부호8은 절단 후 식품의 받침 부재, 15는 앞면 패널, 14는 측면 커버, 5는 식품 안착대, 10은 식품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식품 안착대(5)에 식품(10)을 올려놓고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식품 안착대(5)가 구동 기구에 의해 장치 앞쪽 하부를 향해 이동되고, 이 이동 도중에 식품(10)이 절단날에 의해 둥글게 썰기 형상으로 절단되어 상기 받침 부재(8)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식품 안착대(5)에서 받침 부재(8)로 전달된 식품(10)은, 고정된 경사 안내면(84)으로 안내되어 상하 이동하는 받침 부재(8)의 수용부(82)에서 수용되고 받침 부재(8)가 경사 하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식품 안착대(5)는 구동 기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식품 절단 장치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24에서 베이스(1)와 좌우 측판(4)과 등받이로 식품 절단 장치의 골격을 구성하고 있다. 부호2는 절단날 고정틀, 3은 절단날을 도시하고 있다. 절단날 고정 틀(2)과 절단날(3)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절단날 고정 틀(2) 및 절단날(3)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식품 절단 장치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식품 안착대(5)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의 대략 반의 측면 형상이 L자형을 이루고 있고, L자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식품(10)의 저면 받침(51), 상기 L자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식품(10)의 배면 받침(52)으로 되어 있다. 식품 안착대(5)에 의해 주어지는 김말이 초밥과 같은 식품에는 몇 종류의 사이즈가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식품의 사이즈가 달라도 이에 대응하여 이것을 식품 안착대(5)에 보관할 수 있게 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도 2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안착대(5)에는 절단날(3)이 진입할 수 있는 슬릿(58)이 절단날(3)의 수 및 설치 위치에 대응한 수와 위치로 설치되어 있다. 각 슬릿(58)은, 절단날(3)을 받아들여 식품(10)을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저면 받침(51) 및 배면 받침(52)을 포함한 넓은 범위에 걸쳐 깊게 파고든다. 도 2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안착대(5)에는, 올려놓여지는 식품(10)의 길이 방향 양단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판(56)이 배면 받침(52)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규제판(56)의 간격은 김말이 초밥의 길이에 합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 내지 도 24에 부호 6으로 도시한 식품 안착대의 구동 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식품 안착대의 구동 기구(6)를 제1 구동 기구로 하고, 후술하는 받침 부재(8)의 구동 기구를 제2 구동 기구로 하여 양자를 구별한다. 도 22 내지 도 24에서 왼쪽 측판(4)의 내측면에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61)가 고정되고, 모터(61)의 출력축에 고착된 기어(62)는 축(64)에 고착된 기어(63)와 맞물려 있다. 축(64)은 좌우 측판(4)에 걸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좌우 측판(4)을 관통한 축(64)의 양단부에는 각각 구동 아암(65)이 고착되어 있다. 모터(61)의 회전 구동력은 기어(62),(63)를 통해 축(64)에 전달되고 축(64)과 일체인 각 구동 아암(65)을 각 측판(4)의 외측면과 평행을 이루는 면내에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구동 아암(65)은 축(64)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을 따라 장공(66)을 가지고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안착대(5)의 저부에는, 이 저부를 좌우 방향으로 또한 수평으로 관통하여 2개의 축(53),(54)이 장착되어 있다. 축(53),(54)은 서로 평행하며, 축(53)은 식품 안착대(5)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축(54)은 식품 안착대(5)의 전후방향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축(53),(54)중 앞쪽 축(53)의 양단부는 각각 양측의 상기 구동 아암(65)의 장공(66)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각 구동 아암(65)이 축(64)과 함께 축(64)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면 장공(66)의 벽면에서 축(53)이 눌려 각 구동 아암(65)의 회전을 따라 후술하는 캠 홈(91)에 규제되면서 식품 안착대(5)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기어(63), 구동 아암(65), 축(53)을 포함한 기구 부분이 식품 안착대를 구동하는 제1 구동 기구(6)를 구성하고 있다.
좌우의 각 측판(4)에는,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캠 홈(9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캠 홈(91)에 식품 안착대(5)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축(53),(54)의 양단부가 끼워져 있고, 2개의 축(53),(54)은 각 캠 홈(91)의 측벽면에서 지지됨과 동시에 캠 홈(91)에 대한 식품 안착대(5)의 캠 팔로워로서도 기능한다.
도 22 내지 도 24는, 일련의 식품 절단 동작 개시전 초기 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 구동 아암(65)이 대략 수직 근처까지 최대한 세워진 자세로 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안착대(5)가 가장 높은 위치가 되도록 상기 2개의 축(53),(54)이 캠 홈(91)의 상단부에 끼워져 있다. 또 도 25 내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홈(91)의 상단부는 완만한 원호부(92)로 되어 있으며, 이 원호부(92)는 뒤쪽이 서서히 낮아져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식품 안착대(5)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축(53),(54)은 상기 원호부(92)에 있으며, 따라서 식품 안착대(5)는 뒷쪽으로 약간 휜 자세를 취한다.
상기 캠 홈(91)은 또 도 22, 도 26 내지 도 3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호부(92)에서 경사 하방을 향하는 원호부(93)에 연속되어 있으며, 원호부(93)는 다시 경사 하방으로 연장된 직선부(94)에 연속되어 있다. 식품 안착대(5)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이동을 개시하여 식품 안착대(5)와 함께 식품(10)이 이동하여 절단날(3)에 접촉하기 시작하면 상기 2개의 축(53),(54)이 원호부(93)에 도달한다. 2개의 축(53),(54)이 원호부(93)를 통과할 때 식품 안착대(5)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자세가 서서히 아래쪽을 향한다. 즉, 식품 안착대(5)와 식품(10)의 복각(伏角)이 서서히 커지고 식품(10)에 대한 절단날(3)의 진입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식품(10)의 절단날(3)에 대한 상대 속도가 빨라지도록 캠 홈(91)의 상기 원호부(93)의 아래쪽 면이 볼록면으로 되어 있다.
축(53),(54)은 상기 원호부(93)를 통과한 후에는 캠 홈(91)의 직선부(94)로 유도되고, 식품 안착대(5)는 상기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인 채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에서 경사 하방을 향해 직선형으로 이동하여 절단날(3)로 식품이 절단된다. 절단된 식품(10)은 후술하는 취출 부재(8)로 이동하고, 계속해서 제1 구동 기구(6)가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여 식품 안착대(5)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제1 구동 기구(6)의 왕복 동작은, 예를 들면 시작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스타트 버튼이 눌리면 상기 모터(61)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어 구동 아암(65)이 도 24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구동 아암(65)의 회전 방향은 왕동 방향이며, 왕동 방향의 이동 한계를 검출할 때까지 상기 모터(61)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된다. 구동 아암(65)가 왕동 방향의 한계 위치에 도달하면 모터의 구동 방향이 역회전 방향으로 전환되고, 구동 아암(65)은 복동 방향으로 구동되고 복동 방향의 이동 한계를 검출하면 모터(61)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 아암(65)이 왕복 구동함으로써 식품 안착대(5)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세를 바꾸면서 하강하고 식품 안착대(5)에 보관된 식품(10)이 절단날(3)로 절단된 후 식품 안착대(5)만 원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상기 식품 수용부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앞쪽 하부에 절단 후 식품(10)의 받침 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받침 부재(8)는, 아래쪽이 장치 앞쪽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시켜 고정된 경사 안내면(84)에 안내되어 상하 이동하는 수용부(82)로 이루어진다. 경사 안내면(84)의 앞면에는 절단된 식품(10)을 경사 안내면(84)을 따라 원활하게 하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리브(85)가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식품(10)과의 슬라이딩 저항을 줄인다.
받침 부재(8)의 수용부(82)는 경사 안내면(84)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따라서 경사 전방 위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받침 부재(8)는 예를 들면 금속판의 절곡 성형에 의해 제작되어 있고, 그 기부(基部)는 경사 안내면(84)에 안내되어 경사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부(86)로 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부(86)의 좌우 방향 양단부에는 절곡부(88)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절곡부(88)는 경사 안내면(84)의 양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 홈(87)을 관통하여 경사 안내면(84)의 배면측으로 빠져나가고, 또한 경사 안내면(84)의 양옆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딩 부재(89)의 앞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각 슬라이딩 부재(89)는 직육면체형 부재로서, 횡단면이 U자형 안내 레일(90)로 안내되어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안내 레일(90)은, 좌우 측판(4)의 외측면에 경사 안내면(84)과 평행하도록, 또한 U자형 단면의 개방단을 옆쪽으로 향하게 하여 고정되어 있다. 각 안내 레일(90)에는, 받침 부재(8)의 상기 절곡부(88)가 슬라이딩 부재(89)와 함께 슬라이딩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절곡부(88)에 대한 회피 구멍(91)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 부재(8)는, 좌우 1쌍의 링크 아암(30)이 회전함으로써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각 링크 아암(30)은 좌우 측판(4)의 외측면 아래쪽 근처 위치에 공통의 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측판(4)과 평행을 이루는 수직면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식품 절단 장치를 정면에서 보아 좌측의 측판(4)에 장착되어 있는 링크 아암(30)의 기단부에는, 축(31)과 동심원을 이루는 소기어(32)가 고착되어 있다. 각 링크 아암(30)의 선단부에는 축(31)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에 따른 장공(33)이 형성되고, 각 장공(33)에는 각 슬라이딩 부재(89)의 측면에 심겨 있는 핀(34)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링크 아암(30)이 회전 구동되면, 그 장공(33)의 측벽에 의해 핀(34)이 눌려, 핀(34)과 함께 받침 부재(8)가 안내 레일(90)에 안내되면서 경사 상하 방향으로 상승하고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링크 아암(30)의 구동원은 모터(61)로서, 이하와 같은 연계 기구 및 제2 구동 기구를 통해 모터(61)의 구동력이 링크 아암(30)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구동 아암(65)이 길이 방향 중앙 부근의 외측면에는 핀(68)이 심어져 있다. 구동 아암(65)의 회전 중심인 상기 축(64)에 의해 부채꼴의 대기어(20)가 보유지지되어 있다. 대기어(20)는, 부채의 중심에 상당하는 위치에 축(64)이 있고, 축(64)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대기어(20)는, 축(64)에 대해서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기어 형성 부분은 상기 소기어(32)와 맞물려 있다.
부채꼴의 대기어(20)에는, 도 24에서 위쪽 측면에 삼각형 연계판(40)이 고착되어 있다. 연계판(40)은, 구동 아암(65)이 길이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공(41)을 가지고 있다. 이 장공(41)에는 구동 아암(65)의 핀(68)이 끼워져 있다. 단, 핀(68)의 외경에 대해 장공(41)의 폭은 충분히 커서 핀(68)이 장공(41)의 길이 방향 범위 내에서 이동할 때에는 장공(41)을 구획하는 벽면에 닿지는 않으며 핀(68)이 장공(41)의 길이 방향 양단에 도달했을 때 대기어(20)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구동 아암(65)이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식품 안착대(5)가 최상위까지 이동하여 식품(10)을 수용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 형태에서는 상기 핀(68)이 연계판(40)의 장공(41)의 일단에 있어 연계판(40)을 끌어올리고, 연계판(40)과 일체의 대기어(20)를, 축(6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대기어(20)의 회전력은 소기어(32)에 전달되어 소기어(32)를 회전시킨다. 도 24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소기어(32)가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되어 기어(32)와 일체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링크 아암(30)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89)가 한계 위치까지 하강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89)는 하강 한계 위치에서 하부의 스토퍼(35)에 닿아 이동이 제한되고, 슬라이딩 부재(89)와 일체의 받침 부재(8)와 함께 하강 위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구동 아암(65)이 도 24에 도시한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68)이 대기어(20)의 상측 가장자리에 닿을 때까지는, 핀(68)은 연계판(40)의 장공(41) 안을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할 뿐이며 핀(68)에 연동되는 부재는 없다. 도 26에 도시한 동작 태양은 식품(10)이 절단날(3)로 대략 반으로 절단된 형태이다. 도 26에 도시한 동작 태양으로부터 구동 아암(65)이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함에 따라 핀(68)이 대기어(20)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눌러 대기어(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대기어(20)의 회전력은 소기어(32)에 전달되고, 소기어(3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이 회전력이 링크 아암(30)에 전달되어 링크 아암(30)이 축(3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 27 내지 도 29는 대기어(2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한 소기어(32) 및 링크 아암(30)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도시한다. 이 링크 아암(3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장공(33)과 핀(34)을 통해 슬라이딩 부재(89) 및 이것과 실질적으로 일체인 받침 부재(8)가 경사 안내면(84)에 안내되어 경사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구동 아암(65)의 핀(68), 연계판(40), 기어열(20),(32)을 포함한 구성 부분은, 제1 구동 기구(6)에서 받침 부재(8)를 구동하는 제2 구동 기구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계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링크 아암(30)의 길이와 식품 안착대(5)의 상하 방향 이동거리와의 비에 대해 대기어(20)와 소기어(32)의 기어비를 크게 하고, 대기어(20)의 회전 각도에 비해서는 소기어(32)의 회전 각도가 충분히 커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부재(89) 및 식품 안착대(5)가 실제로 이동할 수 있는 스트로크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기어(32)가 식품 안착대(5)의 필요한 스트로크분을 초과하여 회전 구동될 때에는, 소기어(32)와 링크 아암(30) 사이에 슬라이딩이 발생하도록 슬라이딩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기구는 토크 리미터라고도 한다. 슬라이딩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주지의 구성을 적절히 선택하여 채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소기어(32)와 링크 아암(30) 사이에 반발 코일 용수철을 개재시킴으로써 슬라이딩 기구를 구성해도 좋다.
도 28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재(89)가 상부의 스토퍼(36)에 닿아 슬라이딩 부재(89) 및 식품 받침대(5)가 상승 한계 위치에 있다. 슬라이딩 부재(89)가 스토퍼(36)에 닿아도 도 29,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어(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소기어(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러나 슬라이딩 부재(89)가 이동 한계에 도달하였기 때문에 링크 아암(30)은 회전할 수 없고 상기 슬라이딩 기구에서 슬라이딩 부재(89)의 여분의 이동 스트로크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링크 아암(30)은, 본 실시예에 관한 식품 절단 장치를 정면에서 보아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식품 안착대(5)를 좌우 양측에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해 1쌍의 링크 아암(3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계판(40), 대기어(20), 소기어(32) 및 상기 슬라이딩 기구는 본 장치의 왼쪽에만 설치되어 있다. 1쌍의 링크 아암(30)은 공통의 축(31)에서 일체로 결합되어 1쌍의 링크 아암(30)이 일체로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핀(68)에서, 연계판(40), 기어열(20),(32)을 포함한 구성 부분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연계 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소기어(32), 링크 아암(30), 슬라이딩 부재(89)의 축(34)에 도달하는 기구는, 받침 부재(8)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제2 구동 기구 내에 상기 슬라이딩 기구가 조립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실시예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 내지 도 24는 동작 개시전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다. 구동 아암(65)은 도 24에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 한계 위치에 있으며 가장 상승한 자세로 되어 있다. 식품 안착대(5)는 2개의 축(53),(54)이 캠 홈(91)의 상측 종단부의 원호부(92)에 있으며 절단전 식품(10)의 안착 자세를 취하고 있다. 구동 아암(65)의 핀(68)이 연계판(40)의 장공(41)의 일단에 닿아 연계판(40)과 함께 대기어(20)를 도 24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이 대기어(20)의 회전에 의해 소기어(32)는 도 24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슬라이딩 부재(89), 받침 부재(8)가 하방으로의 이동 한계 위치에 있다.
상기 초기 상태에서 식품 안착대(5)에 식품(10)을 올려놓고 스타트 버튼을 조작하면, 모터(61)가 기동되어 제1 구동 기구(6)가 작동을 개시한다. 기어열(62),(63), 축(64)을 거쳐 제1 구동 기구(6)의 구동 아암(65)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그 장공(66)에 끼워져 있는 식품 안착대(5)의 축(53)이 캠 홈(91)을 따라 이동된다. 축(53)과 함께 축(54)도 캠 홈(91)을 따라 이동한다. 축(53),(54)이 캠 홈(91)의 원호부(93) 위치에 끼워지면 축(53)의 높이 위치가 축(54)의 높이 위치에 대해 연속적으로 낮아지고, 따라서 식품 안착대(5)가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취함과 동시에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서서히 깊어진다.
상기와 같이 식품 안착대(5)가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기 시작하는 위치는, 식품(10)이 절단날(3)에 접촉하기 시작할 때이다. 식품(10)과 절단날(3)의 접촉 개시 당초에는, 식품(10)에 대한 절단날(3)의 진입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절단날(3)과 식품(10)의 상대 속도를 빠르게 하도록 되어 있다. 도 25는 이 때의 동작 태양을 도시한다. 이렇게 하여 절단 개시 당초의 식품(10)에 대한 절단날(3)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여 식품(10)의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연구되고 있다.
식품 안착대(5)의 축(53),(54)이 캠 홈(91)의 직선부(94)에 도달하면, 식품 안착대(5)는 최대의 경사 각도를 유지한 채로 상기 직선부(94)를 따라 경사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동안 수직 방향으로 양단 지지 형태로 고정된 절단날(3)과 교차하면서 식품 안착대(5)와 함께 식품(10)이 경사 하방으로 일정한 상대 속도로 이동하여 식품(10)이 둥글게 썰기 형상으로 절단된다. 도 26 내지 도 30은 이 작동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0은 절단 완료 직후 상태를 도시한다. 식품 안착대(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날(3)에 대한 회피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26은, 식품(10)의 절단 공정 도중에 식품(10)이 대략 반으로 절단되고 구동 아암(65)의 핀(68)이 대기어(20)에 닿기 시작한 동작 태양을 도시한다. 구동 아암(65)이 더 회전함으로써 상기 연계 기구가 기능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2 구동 기구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즉, 핀(68)이 대기어(20)를 아래를 향해 누르고, 대기어(20)를 도 27, 도 28,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대기어(20)의 회전력은 제2 구동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소기어(32)에 전달되어 소기어(3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소기어(32)의 회전력은, 상기 슬라이딩 기구를 통해 링크 아암(30)에 전달되고 링크 아암(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링크 아암(30)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89) 및 받침 부재(8)가 경사 안내면(84) 및 안내 레일(90)에 안내되어 경사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도 27은 받침 부재(8)가 경사 상방으로 상승하는 도중의 형태를, 도 28은 받침 부재(8)가 위쪽의 스토퍼(36)에 닿는 한계 위치까지 상승한 형태를 도시한다.
상기 캠 홈(91)의 직선부(94)의 경사 각도와 안내 레일(90)의 경사 각도는 같은 각도로 되어 있고 상기 직선부(94)에 따른 식품 안착대(5)의 상하 이동 방향과 안내 레일(90)에 따른 받침 부재(8)의 상하 이동 방향은 평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 부재(8)가 위쪽의 한계 위치까지 상승하면 식품 안착대(5)에 올려놓여지고 식품 안착대(5)와 함께 경사지게 하강하는 식품(10)의 이동 방향 전방으로 수용부(82)가 위치하여 식품(10)을 수용하는 태세를 취하고 있다.
받침 부재(8)가 위쪽의 한계 위치까지 상승한 후에도 구동 아암(65)이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구동 아암(65)은 축(53)을 하강시킨다. 축(53)은 축(54)과 함께 캠 홈(91)의 직선부(94)를 따라 하강하고, 식품 안착대(5)는 식품(10)을 보관하고 또한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한 채로 경사 하방을 향해 이동한다. 도 29는, 식품 안착대(5)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10)의 절단 완료 직전의 동작 태양을 도시한다. 이 동작 태양에서는, 식품 안착대(5)가 상기와 같이 이동하여 식품 안착대(5)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10)이 받침 부재(8)의 수용부(82)에 접한다.
식품(10)의 굵기가 도시한 것보다 큰 경우에는 받침 부재(8)가 상승 한계에 도달하기 전에 받침 부재(8)의 수용부(82)에 식품(10)이 접촉하고, 받침 부재(8)는 하강해 오는 식품(10)에 의해 눌린다. 이 눌리는 힘으로 슬라이딩 부재(89)와 받침 부재(8)가 아래쪽으로 눌리고, 링크 아암(30)이 도 29에서 시계방향으로 강제로 되눌린다. 이 링크 아암(30)의 강제적인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링크 아암(30)과 소기어(32) 사이의 상기 슬라이딩 기구가 슬라이딩됨으로써 허용된다.
절단날(3)에 의한 식품(10)의 절단이 완료한 후에도 구동 아암(65)은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도 30에 도시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한계에 도달한다. 도 29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서 도 30에 도시한 동작 태양에 이르는 동안, 구동 아암(65)의 장공(66)과 축(53)의 끼워맞춤으로 식품 안착대(5)는 더욱더 경사 하방으로 하강한다. 식품 안착대(5)와 함께 식품(10)도 하강하기 때문에 식품(10)의 절단이 완료됨과 동시에 받침 부재(8)도 식품(10)에 눌려 하강한다. 상기 구동 아암(6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핀(68)에 의해 대기어(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소기어(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소기어(32)와 링크 아암(30)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 기구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소기어(32)의 회전력은 링크 아암(30)에 전달되지 않고 상기 강제적인 받침 부재(8)의 하강에 의한 링크 아암(3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식품(10)의 절단이 완료되고 식품(10)의 받침 부재(8)로의 주고받음이 완료된 동작 태양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61)의 회전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변환된다. 도 31은, 모터(61)가 역회전하기 시작하여 구동 아암(6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위치를 향해 돌아오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구동 아암(65)의 반환 동작에 따라 식품 안착대(5)의 축(53)과 구동 아암(65)의 장공(66)을 끼워맞춤으로써 식품 안착대(5)가 캠 홈(91)을 따라 상승한다. 구동 아암(65)이 되돌아가는 동작 도중까지는 구동 아암(65)이 가진 핀(68)은 연계판(40)의 장공(41)의 폭과 길이의 범위 내에서 원호를 그리며 이동할 뿐 연계판(40)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기어(20)는 회전하지 않고 링크 아암(30), 받침 부재(8)도 움직이지 않는다.
구동 아암(6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식품 안착대(5)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는 도중에 구동 아암(65)의 핀(68)이 연계판(40)의 장공(41)의 일단에 도달하면 상기 제2 구동 기구가 반대 방향으로 동작한다. 즉,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68)과 연계판(40)을 통해 대기어(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대기어(20)의 회전에 의해 소기어(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상기 슬라이딩 기구를 통해 구동력이 링크 아암(30)에 전달되어 링크 아암(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링크 아암(30)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89)와 함께 받침 부재(8)가 경사 하방으로 하강하고, 슬라이딩 부재(89)가 스토퍼(35)에 닿아 슬라이딩 부재(89) 및 받침 부재(8)의 하강 한계 위치에 이른다. 이 받침 부재(8)의 하강 한계 위치에서 받침 부재(8)의 수용부(82)로 지지되는 절단 완료된 식품(10)이 취출부에 있어 식품(10)을 취출할 수 있다.
받침 부재(8)가 하강 한계 위치에 이른 후에도 구동 아암(65)은 도 3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식품 안착대(5)가 도 44에 도시한 초기 위치로 돌아옴으로써 모터(61)의 구동이 정지하여 일련의 동작이 정지된다. 도 33에 도시한 복귀 동작 도중에서부터 도 34에 도시한 초기 위치로의 복귀까지의 동안, 핀(68)에 의해 대기어(20)가 반시계방향으로, 소기어(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링크 아암(30)에 시계방향의 회전 토크가 걸린다. 그러나 링크 아암(30)은 스토퍼(3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슬라이딩 기구에 의해 소기어(32)와 링크 아암(30)이 슬라이딩되고 받침 부재(8)는 취출부에 위치한 채로 있다.
취출부에 있는 받침 부재(8)에서 절단이 완료된 식품(10)을 취출하고 장치 상부의 식품 공급부로 이동하고 있는 식품 안착대(5)에 식품(10)을 얹어 다시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상술한 일련의 동작을 거쳐 식품(10)이 절단되고 절단된 식품(10)은 취출부에 도달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관한 식품 절단 장치는, 절단 후 식품(10)을 그 중력으로 낙하시키는 것이 아니라 받침 부재(8)로 수용하고 식품(10)을 수용한 받침 부재(8)를 취출부까지 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단 후 식품(10)은 소정 자세를 유지한 채로 취출부에 도달하므로 절단 후 식품 취출의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취출부에 도달한 식품(10)의 자세가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보기에도 깔끔하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절단 후 식품(10)의 받침 부재(8)는, 제2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아암(3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링크 아암(30)과 여기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소기어(32) 사이에는 슬라이딩 기구가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소기어(32)는 링크 아암(30)을 충분히 큰 회전 각도로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링크 아암(30)의 여분의 회전 각도는 슬라이딩 기구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 부재(8)의 이동 스트로크를 길게 하여 작은 사이즈의 식품을 받을 수 있도록 해두면, 식품 사이즈의 대소에 대응할 수 있다. 또 큰 사이즈의 식품을 수용하는 경우와 같이 받침 부재(8)의 이동 스트로크가 짧아도 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기구를 슬라이딩시키면서 큰 사이즈의 식품으로 받침 부재(8)를 되밀어내기 때문에 큰 사이즈의 절단 후 식품을, 식품 안착대(5)와 받침 부재(8) 사이에서 찌부러뜨리지 않고 형태가 정렬된 채로 취출할 수 있다. 또 받침 부재(8)의 이동 스트로크는 기계적인 스토퍼로 규제하면 되고 전기적인 센서의 종류 및 복잡한 전기적 제어 회로는 불필요하므로 조작성이 좋은 식품 절단 장치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식품 안착대(5)의 구동원과 절단 후 식품(10)을 받는 받침 부재(8)의 구동원은 공통의 모터(61)로서 비용 절감을 꾀한다. 그리고 구동원의 공통화를 도모하기 위해 식품 안착대(5)의 구동 기구(6)와 받침 부재(8)를 구동하는 제2 구동 기구를, 연계 기구를 통해 연계시키고, 식품 안착대(5)의 구동에 의한 식품 절단 공정 도중에서부터 받침 부재(8)를 식품 수용 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구동 기구(6)와 받침 부재(8)를 구동하는 제2 구동 기구와의 이동 스트로크 차이를 흡수하기 위해 제2 구동 기구내에 슬라이딩 기구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식품 수용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 후 식품 취출의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35는,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절단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식품 안착대(5)의 구동 기구 즉 제1 구동 기구(6)와, 절단 후 식품(10)의 받침 부재(8)의 구동 기구 즉 제2 구동 기구를 연계하는 연계 기구가 없고, 상기 제1 구동 기구와 제2 구동 기구가 개별적으로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이 상기 제2 실시예와 다르다. 아울러 도 35에서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 부분과 같은 구성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같은 구성 부분의 설명은 간략화한다.
도 35에서 식품 안착대(5)의 구동 기구(6), 즉 제1 구동 기구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원으로서의 모터(61), 기어(62),(63), 구동 아암(65), 식품 안착대(5)를 관통하는 2개의 축(53),(54), 측판(4)에 형성되어 있는 캠 홈(91)을 가지고 있다. 구동 아암(65)의 회전에 의한 식품 안착대(5)의 동작 및 절단날(3)에 의한 식품(10)의 절단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절단 후 식품(10)의 받침 부재(8)를 구동하는 제2 구동 기구의 구동원으로서 상기 모터(61)와는 다른 모터(101)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101)의 출력축에는 기어(102)가 고착되어 있고, 기어(102)는 기어(32)와 맞물려 있다. 기어(32)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축(31)을 회전 중심으로 하며, 축(31)에는 또 이 축(31)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링크 아암(30)이 끼워져 있다. 링크 아암(30)과 기어(32) 사이에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 아암(30)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부재(89)와 장공과 핀에 의해 연계되고, 슬라이딩 부재(89)는 받침 부재(8)와 실질적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모터(101)에서 링크 아암(30)에 이르는 구동 기구가 제2 구동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모터(101)를 구동원으로 하는 링크 아암(30)의 회전 범위는, 아래쪽 스토퍼(35)와 위쪽 스토퍼(36)로 규제되는 슬라이딩 부재(89)의 슬라이딩 범위보다 충분히 큰 슬라이딩 범위를 얻을 수 있는 회전 범위로 설정되고, 슬라이딩 부재(89)가 상하의 스토퍼(36),(35)에 접촉하더라도 링크 아암(30)에 가해지는 회전 구동력은 상기 슬라이딩 기구에 의해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다.
도 3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도시한 초기 위치에 있는 식품 안착대(5)에 말이 초밥과 같은 식품(10)을 올려놓고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모터(61)가 기동되어 식품 안착대(5)가 식품(10)과 함께 자세를 바꾸면서 경사 하방을 향해 이동한다. 그 동안 절단날(3)에 의해 식품(10)이 복수개로 절단된다. 이 절단 공정 도중에서부터 모터(101)가 기동되고, 기어(102),(32)를 거쳐 링크 아암(30)이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슬라이딩 부재(89)가 스토퍼(36)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모터(101)가 정지한다. 슬라이딩 부재(89)와 일체의 받침 부재(8)도 경사 상방으로 이동하여 절단되는 식품(10)을 수용하는 태세를 취한다.
식품(10)의 절단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식품(10)이 받침 부재(8)의 수용부(82)에서 주고 받아지고 식품(10) 사이즈의 대소에 따라 받침 부재(8)가 아래쪽으로 눌린다. 이 눌리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기구가 슬라이딩되어 링크 아암(30), 슬라이딩 부재(89) 및 받침 부재(8)가 되눌린다.
구동 아암(65)이 식품(10)을 절단하는데 필요한 각도로 회전 구동되면, 다음으로 모터(61)의 회전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전환되고 식품 안착대(5)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 모터(101)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딩 부재(89)가 스토퍼(35)에 접촉할 때까지 링크 아암(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모터(61)의 구동이 정지한다. 이 때 받침 부재(8)는 식품의 취출부에 있으며 받침 부재(8) 위에 소정의 자세를 유지하며 지지되어 있는 절단이 완료된 식품(10)을 능률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절단 장치의 제4 실시예에 대해 도 36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는, 절단 후 식품의 처리 작업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실시예에서의 받침 부재(8)의 구성을 연구한 것이다. 도 36 내지 도 38에서 받침 부재(8)의 수용부(82)는 직사각형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외주 가장자리부만을 남긴 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틀 형상의 수용부(82)에는, 수지 등으로 만든 식품 용기(20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식품 용기(200)는, 용기 본체 부분(201)과, 용기 본체 부분(201)의 일측 테두리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있고 절곡함으로써 용기 본체 부분(201)의 개구단을 덮을 수 있는 뚜껑(20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 부분(201)은, 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와, 오목부의 개구 돌기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차양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수용부(82)의 구멍에 용기 본체 부분(201)을 집어넣음과 동시에 상기 차양부를 수용부(82)의 테두리에 의해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82)에 용기 본체 부분(201)을 장착할 때의 식품 용기(200)의 방향은 상기뚜껑(202)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한다.
기타 구성은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며, 식품의 절단 동작과 연계하여 받침 부재(8)가 식품 용기(200)를 지지한 채로 상하 이동한다. 따라서 받침 부재(8)의 수용부(82)에 식품 용기(200)를 장착하여 절단 동작을 개시시키면, 식품의 절단 동작에 연계하여 식품 용기(200)와 함께 받침 부재(8)가 상승하고, 절단이 완료된 식품이 식품 용기(200)에 수용된다. 상기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 것처럼, 받침 부재(8)는 식품을 수용하면 식품 취출 위치까지 하강하므로 식품 용기(200)를 식품과 함께 꺼낸다. 다시 받침 부재(8)에 식품 용기(200)을 장착하여 절단 동작을 개시시킴으로써 일련의 절단 동작을 반복 실시할 수 있다.
받침 부재(8)에 식품 용기(200)를 장착할지 여부는 임의이므로 받침 부재(8)의 구성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해 두면 좋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각종 어태치먼트를 준비해 두고 사용자는 어태치먼트를 교환함으로써 요구를 충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는 절단날이 양단 지지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절단날이 고정되어 있으면 되고, 절단날의 고정 형식은 양단 지지 형식이어도 좋고 일단 지지 형식이어도 좋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절단 장치는, 주로 김말이 초밥 등의 말이 초밥을 주된 대상 식품으로서 상정하는데, 원기둥형, 각기둥형 혹은 봉상의 식품을 둥글게 썰기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이므로, 절단 대상이 되는 식품은 말이 초밥 외에 가마보코, 어묵 등의 가공식품, 기타 식품의 절단에도 사용 가능하다.
1 베이스
2 절단날 고정틀
3 절단날
4 측판
5 식품 안착대
6 구동 기구
7 위치 규제 부재
8 받침 부재
9 캠판
10 대상 식품
51 저면 받침
52 배면 받침
53 핀
54 핀
58 슬릿
65 구동 아암
66 장공
81 경사 가이드부
82 수용부
84 경사 안내면
85 돌기
91 캠 홈
93 원호부
94 직선부

Claims (23)

  1. 대상 식품을 올려놓는 식품 안착대와,
    상기 식품 안착대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식품 안착대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대상 식품의 이동 궤적내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대상 식품을 둥글게 썰기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날을 가지며,
    상기 구동 기구는, 대상 식품과 상기 절단날의 접촉 개시 당초에는 대상 식품에 대한 상기 절단날의 진입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절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 기구는, 대상 식품과 절단날의 접촉 개시 당초, 대상 식품에 대한 상기 절단날의 진입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식품 안착대의 자세를 연속하여 변화시키고, 대상 식품에 상기 절단날이 침입한 후에는 상기 식품 안착대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식품 안착대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식품 절단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구동 기구는, 식품 안착대의 자세와 이동 궤적을 규제하는 캠을 가지며, 이 캠은, 대상 식품과 상기 절단날의 접촉 개시 당초, 대상 식품에 대한 상기 절단날의 진입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식품 안착대의 자세를 연속하여 변화시키는 원호부와, 대상 식품에 상기 절단날이 침입한 후에는 상기 식품 안착대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식품 안착대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직선부를 가진 식품 절단 장치.
  4. 청구항 1,2 또는 3에 있어서,
    구동 기구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식품 안착대를 이동시키는 구동 아암을 가지고 있는 식품 절단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식품 안착대는, 캠에 접하는 핀을 가지며, 상기 핀이 구동 아암과 연계되어 있는 식품 절단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구동 아암은 장공을 가지며, 이 장공에 식품 안착대의 핀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식품 안착대와 구동 아암이 연계되어 있는 식품 절단 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품 안착대에는 이 식품 안착대에 올려놓여지는 대상 식품을 위치 규제하는 위치 규제 부재가 장착되고, 대상 식품이 절단날로 절단된 후 상기 위치 규제 부재에 의한 대상 식품의 위치 규제가 해제되고, 절단된 대상 식품이 상기 식품 안착대로부터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식품 절단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되어 하강하는 대상 식품을 수용하는 받침 부재를 가진 식품 절단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받침 부재는, 하강하는 대상 식품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대상 식품의 무게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식품 절단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받침 부재는, 대상 식품의 수용 위치에 이르도록 바이어스되고, 대상 식품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대상 식품의 무게에 의해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딩하는 식품 절단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받침 부재를 대상 식품의 수용 위치와 대상 식품의 취출 위치 사이에서 구동하는 제2 구동 기구를 가지며, 상기 제2 구동 기구는, 상기 받침 부재에 소정의 구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 부재의 여분의 스트로크를 흡수하는 슬라이딩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식품 절단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받침 부재는, 절단 후의 상기 식품을 지지하여 상기 대상 식품의 취출부까지 하강하는 식품 절단 장치.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기구의 구동력은, 제1 구동 기구인 상기 식품 안착대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로부터 연계 기구를 통해 공급되는 식품 절단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계 기구는, 제1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구동 아암과, 상기 구동 아암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절단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기어열은, 상기 구동 아암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대기어와 여기에 맞물리는 소기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절단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소기어는 제2 구동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소기어의 회전 구동력이 슬라이딩 기구를 통해 받침 부재에 전달되는 식품 절단 장치.
  17. 청구항 15 또는 16에 있어서,
    제2 구동 기구는, 소기어의 회전 구동력이 슬라이딩 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에 연계하여 안내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받침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식품 절단 장치.
  18. 청구항 1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구동 기구와 제2 구동 기구는 구동원을 개별로 가지고 있는 식품 절단 장치.
  19. 청구항 8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받침 부재는,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하강하는 대상 식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진 식품 절단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받침 부재는, 수용부의 후단 테두리에, 식품 안착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진입함으로써 절단 후의 대상 식품을 방출시키는 돌기가 상기 홈에 대응하여 여러 개 형성되어 있는 식품 절단 장치.
  21. 청구항 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품 안착대는, 장치의 상부에 있어 대상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태양부터, 장치의 하부에 있어 대상 식품을 절단날에 의해 절단한 태양까지의 범위에서 구동 기구에 의해 왕복 구동되는 식품 절단 장치.
  22. 청구항 1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날은, 서로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길이 방향 양단부가 고정된 복수의 절단날로 이루어진 식품 절단 장치.
  23. 청구항 8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받침 부재는, 식품 용기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식품 절단 장치.
KR1020137016968A 2011-02-02 2012-02-01 식품 절단 장치 KR20140006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0830 2011-02-02
JP2011020341A JP5808110B2 (ja) 2011-02-02 2011-02-02 食品切断装置
JP2011020830A JP5748490B2 (ja) 2011-02-02 2011-02-02 食品切断装置
JPJP-P-2011-020341 2011-02-02
JPJP-P-2011-209460 2011-09-26
JP2011209460A JP5780901B2 (ja) 2011-09-26 2011-09-26 食品切断装置
PCT/JP2012/000689 WO2012105257A1 (ja) 2011-02-02 2012-02-01 食品切断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818A true KR20140006818A (ko) 2014-01-16

Family

ID=4660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968A KR20140006818A (ko) 2011-02-02 2012-02-01 식품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40006818A (ko)
CN (1) CN103347664B (ko)
WO (1) WO20121052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998B1 (ko) 2020-07-08 2021-02-25 김칠현 김밥 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4146A (zh) * 2016-12-30 2017-05-10 深圳市恒瑞兴自动化设备有限公司 方形动力电池夹具
JP7437636B1 (ja) 2022-11-04 2024-02-26 有限会社和田技研 スライサ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190Y2 (ko) * 1976-04-23 1981-04-21
JPS52142983A (en) * 1976-05-24 1977-11-29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X-ray generator
JPS63232996A (ja) * 1987-03-20 1988-09-28 菱和株式会社 食品スライス機における可動スタツカ−
JPH0757162B2 (ja) * 1991-04-08 1995-06-21 鈴茂器工株式会社 海苔巻き寿司等の切断装置
CN2182720Y (zh) * 1993-07-26 1994-11-16 李敬复 垂直高效超薄面包切片机
JPH08257982A (ja) * 1995-03-22 1996-10-08 Ryowa Kk 食品スライス機
JP2005342863A (ja) * 2004-06-07 2005-12-15 Takaaki Kuga 切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998B1 (ko) 2020-07-08 2021-02-25 김칠현 김밥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47664B (zh) 2016-01-27
WO2012105257A1 (ja) 2012-08-09
CN103347664A (zh) 201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31791A1 (en) Convertible slicing/dicing mandolin and method
US8973479B2 (en) Apparatus for cutting food
US8925434B2 (en) Tablet splitting apparatus
JP5812790B2 (ja) 食品切断装置
US5690013A (en) Automatic self-adjusting and self-centering bagel slicing method and apparatus
WO2002002286A9 (en) Four-bar upright punch
KR20140006818A (ko) 식품 절단 장치
EP3375579A1 (en) Mandoline with spiralizer insert
JP5988294B2 (ja) 食品切断装置
KR102326755B1 (ko)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JP3142773U (ja) 直線型フードプロセッサ
US4856398A (en) Countertop bread slicer with manually actuated cradle
JP5748490B2 (ja) 食品切断装置
US20100064872A1 (en) Product fence for food slicer
JP5808110B2 (ja) 食品切断装置
JP5780901B2 (ja) 食品切断装置
CN103612271A (zh) 切割式裁纸刀
CN114248299A (zh) 食材切割装置和食物加工机
CN208575912U (zh) 智能多功能型切丝切片食物处理机
CA2767471A1 (en) Convertible slicing/dicing mandolin and method
US20200154946A1 (en) Toaster
JP2008290160A (ja) 食パン切断装置
WO2014210525A1 (en) Bead snipper
CN208614926U (zh) 一种切菜器
CN213646508U (zh) 一种实现产品稳固装配的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