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243U -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에 대한 강화판 및 강화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에 대한 강화판 및 강화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243U
KR20140006243U KR2020140004221U KR20140004221U KR20140006243U KR 20140006243 U KR20140006243 U KR 20140006243U KR 2020140004221 U KR2020140004221 U KR 2020140004221U KR 20140004221 U KR20140004221 U KR 20140004221U KR 20140006243 U KR20140006243 U KR 201400062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late
tongue piece
plug connector
strengthening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194Y1 (ko
Inventor
토니 창
시앙 수
비아오빙 뤼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06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2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에 대한 강화판이 개시되고, 강화판은 편평한 형상을 가지며 텅 피스의 일 측에 제공되도록 적응되고, 여기서 강화판은 텅 피스와 콘택되도록 적응된 상기 강화판의 일 측에서 떠나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또한 제공되고, 플러그 커넥터는 텅 피스, 텅 피스의 일 측에 제공된 복수의 전기 콘택들, 및 텅 피스의 다른 측에 제공된 상기 강화판을 포함하고, 여기서 강화판의 고정부는 텅 피스 내로 임베딩된다. 본 고안의 해결책으로 인해, 강화판에 대한 텅 피스의 유지 힘은 증가되고, 따라서 텅 피스로부터 강화판의 분리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에 대한 강화판 및 강화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REINFORCEMENT PLATE FOR TONGUE PIECE OF PLUG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HAVING THE SAME}
본 출원은 중국 특허청에 2013년 6월 4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고안 201320319152.9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개시는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tongue piece)에 대한 강화판, 및 강화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의 플라스틱 텅 피스(200)에는 그 위에 전체 플라스틱 텅 피스(200)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강화판(100)이 제공된다. 도 2는 강화판(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강화판의 헤드(head)는 텅 피스에 의해 에워싸이기 보다는 단지 같은 높이로 있기 때문에, 강화판을 유지하기 위한 힘은 충분히 크지 않은데, 다른 말로, 강화판의 헤드는 텅 피스로부터 말려 올라가는 경향이 있다.
본 고안은 강화판을 텅 피스에 유지하기 위한 힘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졌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에 대해 강화판이 제공되고, 강화판은 편평한 형상을 가지며 텅 피스의 일 측에 제공되도록 적응되고, 여기서 강화판은 텅 피스와 컨택되게 적응되는 강화판의 일 측에서 떠나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시트 돌출부이다. 게다가, 시트 돌출부의 일 단부는 강화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시트 돌출부의 다른 단부는 강화판의 상기 일 측이 위치되는 평면을 넘어 연장된다. 게다가, 시트 돌출부의 다른 단부는 강화판의 상기 일측과 평행한 부분을 포함한다. 그리고 게다가, 시트 돌출부의 두께는 강화판의 두께와 동일하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부는 텅 피스에 임베딩(embed)되도록 적응된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강화판은 베이스 및 헤드를 포함하고, 헤드는 텅 피스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적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헤드에 제공된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강화판은 축을 중심으로 대칭이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대칭 축의 양 측들에 대칭으로 배열되고 각각 강화판의 에지들에 제공되는 2개의 고정부들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강화판은 축을 중심으로 대칭이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대칭 축의 양 측들에 대칭으로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텅 피스, 텅 피스의 일 측에 제공된 복수의 전기 콘택들, 및 텅 피스의 다른 측에 제공된 상기 강화판 ― 강화판의 고정부는 텅 피스 내로 임베딩됨 ―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해결책들에서, 강화판에는 강화판의 일 측에서 떠나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가 제공된다. 고정부가 텅 피스 내에 임베딩될 때, 강화판을 텅 피스에 유지하기 위한 힘은 증가되고, 따라서 텅 피스로부터 강화판의 분리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고안자들에 의해 알려진 텅 피스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강화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텅 피스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판의 고정부가 텅 피스 내로 임베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화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강화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고,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원에 나타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충분하고 완전하도록 제공되고, 당업자들에게 본 개시의 개념을 완전히 전달할 것이다.
다음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을 위해, 다수의 특정 상세들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실시예들이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를 위한 강화판은 도 3 - 도 5와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3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20)에 대한 강화판(10)은 편평한 형상을 가지며 텅 피스의 일 측(도 3에서, 상기 일 측은 하부 측임)에 제공되고, 강화판(10)은 텅 피스와 콘택되도록 상기 강화판의 일측에서 떠나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2)를 포함하며, 고정부는 텅 피스(20)에 고정되게 연결되도록 적응된다. 텅 피스 내에 임베딩되는 고정부(12)로 인해, 강화판(10)을 텅 피스(20)에 유지하기 위한 힘은 증가된다. 고정부(12)는 통합된 사출 성형부의 텅 피스(10) 내에 임베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강화판(10)은 베이스(14) 및 헤드(16)를 포함하고, 헤드(16)는 텅 피스(20)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적응되고(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2)는 헤드(16)에 제공된다. 고정부(12)가 텅 피스(20) 내에 임베딩될 때, 텅 피스(20)로부터 강화판(10)의 헤드(16)의 말아 올려짐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고안의 추가 실시예에서, 강화판(10)은 축(L)을 중심으로 대칭이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대칭 축(L)의 양측들에 대칭으로 배열되고 각각 강화판의 에지들에 제공된 2개의 고정부들(12)들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강화판(10)은 축(L)을 중심으로 대칭이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2)는 대칭 축(L)의 양측들에 대칭으로 제공된 복수의 고정부들을 포함한다. 도 3 - 도 4는 2개의 고정부들(12)만을 도시하지만, 고정부들의 수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게다가 고정부들(12)의 위치들은 도 3 - 도 4의 위치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고정부들(12)은 도 3의 강화판(10)의 헤드(16)의 상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단일 고정부(12)가 존재할 수 있고, 상기 단일 고정부(12)는 축(L)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는 시트 돌출부이고, 강화판을 펀칭 및 전단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시트 돌출부의 일 단부(12a)는 강화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시트 돌출부의 다른 단부(12b)는 강화판의 상기 일 측이 위치되는 평면을 넘어서 연장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시트 돌출부의 다른 단부(12b)는 강화판의 상기 일 측과 평행한 부분(12b1)을 포함한다. 시트 돌출부의 두께는 강화판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고정부(12)는 다른 형태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돌출부는 강화판의 상기 일측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일측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거나, 강화판의 상기 일측에 관하여 단지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고정부(12)는 강화판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링된(taper) 돌출부들이거나 포인트 돌출부들일 수 있다. 고정부의 일 단부가 강화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고정부의 다른 단부가, 텅 피스와 면하는 강화판의 측에 위치되는 평면을 넘어 강화판에서 떠나서 돌출하도록 연장되는 한, 고정부(12)의 강화판 상 위치 및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도 4 - 도 5에 도시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텅 피스(20); 텅 피스의 일 측(도 4의 하부 측)에 제공된 복수의 전기 콘택들(30); 및 텅 피스(20)의 다른 측(도 4의 상부 측)에 제공된 상기 강화판(10) ― 여기서 강화판(10)의 고정부(12)는 텅 피스(20) 내로 임베딩됨 ―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화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그리고 도 7은 A-A 방향으로 도 6의 강화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의 고정부들(12)은 축(L)의 2개의 측들을 향해 각각 연장되고(실질적으로 축(L)에 수직임), 이는 강화판의 고정부들(12)이 축(L)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도 3의 경우와 상이하다. 게다가, 도 6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의 일 단부는 강화판에 리세스(recess)를 형성하기 위해 하향 가압되고, 리세스는 고정부(12)의 다른 단부에 인접한 강화판에 있는 개구와 연통한다.
비록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원리들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들 실시예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인식될 것이고, 본 개시의 범위는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등가물들에서 정의된다.

Claims (10)

  1.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tongue piece)에 대한 강화판으로서,
    상기 강화판은 편평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텅 피스의 일측에 제공되도록 적응되고, 여기서 상기 강화판은 텅 피스와 콘택되도록 적응된 상기 강화판의 일측에서 떠나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강화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시트 돌출부를 포함하는,
    강화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돌출부의 일 단부는 상기 강화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 돌출부의 다른 단부는 상기 강화판의 상기 일 측이 위치된 평면을 넘어 연장되는,
    강화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돌출부의 다른 단부는 상기 강화판의 상기 일 측과 평행한 부분을 포함하는,
    강화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강화판의 두께와 동일한,
    강화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텅 피스 내에 임베딩(embed)되도록 적응되는,
    강화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판은 베이스 및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텅 피스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적응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상기 헤드에 제공되는,
    강화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판은 축을 중심으로 대칭이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상기 대칭 축의 양측들에 대칭으로 배열되고 각각 상기 강화판의 에지들에 제공된 2개의 고정부들을 포함하는,
    강화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판은 축을 중심으로 대칭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대칭 축의 양측들에 대칭으로 제공된,
    강화판.
  10. 플러그 커넥터로서,
    텅 피스;
    상기 텅 피스의 일 측에 제공된 복수의 전기 콘택들; 및
    상기 텅 피스의 상기 일측과 반대쪽의 상기 텅 피스의 다른 측에 제공된 강화판
    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강화판은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강화판이고, 상기 강화판의 고정부는 상기 텅 피스에 임베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2020140004221U 2013-06-04 2014-06-03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에 대한 강화판 및 강화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KR20048819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20319152.9 2013-06-04
CN2013203191529U CN203260831U (zh) 2013-06-04 2013-06-04 用于插接连接器中的舌片的加强板以及插接连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43U true KR20140006243U (ko) 2014-12-12
KR200488194Y1 KR200488194Y1 (ko) 2018-12-27

Family

ID=4947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221U KR200488194Y1 (ko) 2013-06-04 2014-06-03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에 대한 강화판 및 강화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8194Y1 (ko)
CN (1) CN203260831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571Y1 (ko) * 2004-03-25 2004-06-05 엘 앤드 케이 프리시젼 테크놀러지 컴파니 리미티드 얇은 커넥터
JP2010067459A (ja) * 2008-09-10 2010-03-2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44813A (ko) * 2009-10-21 2011-05-02 케이. 에이. 이 (주) 마이크로 usb 소켓
KR20130033700A (ko) * 2011-09-27 2013-04-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571Y1 (ko) * 2004-03-25 2004-06-05 엘 앤드 케이 프리시젼 테크놀러지 컴파니 리미티드 얇은 커넥터
JP2010067459A (ja) * 2008-09-10 2010-03-2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44813A (ko) * 2009-10-21 2011-05-02 케이. 에이. 이 (주) 마이크로 usb 소켓
KR20130033700A (ko) * 2011-09-27 2013-04-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260831U (zh) 2013-10-30
KR200488194Y1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3914B2 (ja) ホールプラグ
US20130316598A1 (en) Holding metal fitting, connector element, and connector
CN104110495A (zh) 孔塞
KR200488349Y1 (ko) 버스바조립체
KR102042863B1 (ko) 중계용 커넥터
JP5465218B2 (ja) ファスナー
KR200488194Y1 (ko)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에 대한 강화판 및 강화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WO2014088043A1 (ja) ホールプラグ
CN203067935U (zh) 一种线束或管路固定装置
KR101992436B1 (ko) 전자기 중계기의 자기 시스템
KR101840462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JP2013084476A5 (ko)
KR200439684Y1 (ko) 컨덕터 베이스
KR20170117693A (ko) 커넥터
CN205828220U (zh) 按钮开关安装结构
KR20080003675U (ko) 커넥터하우징
CN104157482B (zh) 用于微动开关的固定结构
CN204442866U (zh) 汽车电子产品的面板及安装在该面板上的按键
WO2017113248A1 (zh) 具有片状电连接件定位结构的高透光发光积木及组装方法
JP2018050391A (ja) ハーネス固定用クリップ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5671728B2 (ja) 部品取付用樹脂クリップ及び部品取付構造
CN107799368B (zh) 塑壳断路器触头结构
KR101840457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101840464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US20120163908A1 (en) Button fix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