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700A - 기판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700A
KR20130033700A KR1020110097534A KR20110097534A KR20130033700A KR 20130033700 A KR20130033700 A KR 20130033700A KR 1020110097534 A KR1020110097534 A KR 1020110097534A KR 20110097534 A KR20110097534 A KR 20110097534A KR 20130033700 A KR20130033700 A KR 20130033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mounting
mounting joint
shell member
joint piec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665B1 (ko
Inventor
김민환
송인덕
최정훈
김덕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66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설치된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수용하는 쉘 부재; 상기 쉘 부재의 좌우 양측판에 형성된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 및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에 인접하도록 상기 쉘 부재에 형성된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기판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IMPROVED IN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 실장을 위한 접합편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되어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컨택트가 일정 피치로 배열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Receptacle Insulator)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감싸는 금속소재의 쉘(Shell) 부재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개의 컨택트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의해 상호 절연되면서 보유되고,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감싸는 쉘 부재에 의해 보호된다.
특히, 쉘 부재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기적 신뢰성은 물론, 기판에 대한 접합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주요 부품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일반적인 마이크로 USB(Universal Serial Bus)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쉘 부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쉘 부재(1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11)을 구비하고,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실장을 위해 기판실장용 접합편(12)이 실장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기판실장용 접합편(12)은 쉘 부재(10)의 좌우 양측판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고, 납땜에 의해 회로기판에 접합된다. 기판실장용 접합편(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탠다드 타입(Standard type)으로 제공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프셋 타입(Offset type)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개의 기판실장용 접합편(12)을 구비할 경우에는 기판실장시 납땜 강도는 증가될 수 있으나, 쉘 부재(10)의 상,하면을 연결하는 측판에 절개부가 많이 형성되어 쉘 부재(10)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안으로는, 쉘 부재(10)의 전후 방향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실장용 접합편(21)이 형성된 별도의 쉴드 캔(Shield can)(20)을 쉘 부재(10)의 바깥면에 씌우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는 있으나 이 경우에는 제품 크기가 허용치를 초과하거나 부품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조 개선과 관련된 기술은 예컨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21817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218174호는 회로기판에 대한 쉘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쉘의 측판에 대해 외측을 향하도록 접합용 설편을 복수개소에 형성하고, 상기 접합용 설편의 테두리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접합판과 경사부 사이에 쐐기 모양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용접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는 쐐기 모양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용접량의 증대 정도가 미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쉘 부재의 크기증가와 강도저하를 방지하면서도 기판실장용 접합편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설치된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수용하는 쉘 부재; 상기 쉘 부재의 좌우 양측판에 형성된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 및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에 인접하도록 상기 쉘 부재에 형성된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과 상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은 상기 쉘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은 상기 쉘 부재로부터 밴딩되어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의 단부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은 상기 쉘 부재의 측판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부분과 커넥터 실장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은 상기 쉘 부재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의 수평하게 연장된 부분과 나란한 수평부와,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의 커넥터 실장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나란한 수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은 커넥터 실장 방향으로 곧바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은 상기 쉘 부재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쉘 부재의 측판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과 나란하게 연장된 수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은 상기 쉘 부재의 전후 방향 가장자리단에서 바깥으로 밴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쉘 부재의 좌우 양측판에 형성된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의 바깥쪽에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이 추가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의 납땜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쉘 부재의 양측판에 대한 절개 없이 쉘 부재로부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을 밴딩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쉘 부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쉘 부재를 감싸는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기판실장용 접합편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높이가 증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휴대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로 유용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스탠다드 타입의 기판실장용 접합편을 구비한 쉘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오프셋 타입의 기판실장용 접합편을 구비한 쉘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라 쉴드 캔을 구비한 쉘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컨택트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쉘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탠다드 타입의 기판실장용 접합편을 구비한 쉘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컨택트 조립체(100)와, 컨택트 조립체(100)를 수용하고 좌우 양측판에는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과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204)이 형성된 쉘 부재(200)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 조립체(100)는 소정 형상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에 소정 피치로 설치된 복수개의 도전성 컨택트(102)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101)를 덮는 서포트 플레이트(103)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컨택트(102)는 예컨대, 통상의 마이크로 USB 리셉터클의 핀 규격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쉘 부재(200)는 상,하 양면과 양측판을 구비한 실질적인 사각형 형태의 쉘 몸체(201)를 구비하고, 컨택트 조립체(10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205)이 전후 방향, 즉 플러그의 삽입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쉘 부재(200)는 컨택트 조립체(100)를 감싸서 보호함과 동시에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납땜을 위한 접합편들을 제공한다.
쉘 부재(200)는 좌우 양측판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쉘 몸체(201)와 일체로 형성된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과, 단부가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의 단부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쉘 몸체(201)와 일체로 형성된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204)을 구비한다.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204)은 쉘 몸체(201)에 대한 밴딩가공(도 4의 203 참조)에 의해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과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의 주변에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204)이 추가된 구성에 의하면 제품 높이의 증가 없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납땜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도 6에는 도 4의 저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과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204)은 오프셋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은 쉘 부재(200)의 양측판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부분(202a)과, 단부가 커넥터 실장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된 부분(202b)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204)은 쉘 부재(200)로부터 밴딩되어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의 수평하게 연장된 부분과 나란한 수평부(204a)와,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의 커넥터 실장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나란한 수직부(204b)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커넥터 실장 방향을 향하도록 곧바로 연장된 스탠다드 타입의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과,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에 인접한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204)을 구비한 쉘 부재(2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204)은 쉘 부재(200)로부터 밴딩되어 쉘 부재(200)의 측판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경사부(204c)와, 경사부(204c)로부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과 나란하게 연장된 수직부(204b)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204)은 쉘 부재(200)의 양측판에 대한 절개 없이 쉘 몸체(201) 전후 방향의 적어도 한쪽 가장자리단으로부터 상기 양측판의 바깥으로 밴딩가공됨으로써 형성된다.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204)은 밴딩 가공부(203)로부터 측판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의 적어도 일부와 나란하게 배열되고 그 단부가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의 단부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쉘 부재(200)의 양측판에 대한 절개를 최소화하여 쉘 부재(20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실장시 쉘 부재(200)에 상호 인접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202)과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204)이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됨으로써 납땜 강도의 향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컨택트 조립체 101: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102: 컨택트 103: 서포트 플레이트
200: 쉘 부재 201: 쉘 몸체
202: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 203: 밴딩 가공부
204: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

Claims (5)

  1.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에 설치된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수용하는 쉘 부재;
    상기 쉘 부재의 좌우 양측판에 형성된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 및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에 인접하도록 상기 쉘 부재에 형성된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과 상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이 상기 쉘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은 상기 쉘 부재로부터 밴딩되어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의 단부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은 상기 쉘 부재의 측판 외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부분과 커넥터 실장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은 상기 쉘 부재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의 수평하게 연장된 부분과 나란한 수평부와,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의 커넥터 실장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나란한 수직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은 커넥터 실장 방향으로 곧바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은 상기 쉘 부재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쉘 부재의 측판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상기 제1 기판실장용 접합편과 나란하게 연장된 수직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실장용 접합편이 상기 쉘 부재의 전후 방향 가장자리단에서 바깥으로 밴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10097534A 2011-09-27 2011-09-27 기판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KR101265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34A KR101265665B1 (ko) 2011-09-27 2011-09-27 기판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34A KR101265665B1 (ko) 2011-09-27 2011-09-27 기판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700A true KR20130033700A (ko) 2013-04-04
KR101265665B1 KR101265665B1 (ko) 2013-05-22

Family

ID=4843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534A KR101265665B1 (ko) 2011-09-27 2011-09-27 기판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6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243U (ko) * 2013-06-04 2014-12-12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에 대한 강화판 및 강화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KR101528316B1 (ko) * 2012-08-14 2015-06-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실장 강도가 향상된 리셉터클 커넥터
US9343859B2 (en) 2013-12-18 2016-05-17 Ls Mtron Ltd. Micro USB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8486B2 (ja) * 2002-12-09 2006-10-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角筒ケース付電気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316B1 (ko) * 2012-08-14 2015-06-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실장 강도가 향상된 리셉터클 커넥터
KR20140006243U (ko) * 2013-06-04 2014-12-12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플러그 커넥터의 텅 피스에 대한 강화판 및 강화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US9343859B2 (en) 2013-12-18 2016-05-17 Ls Mtron Ltd. Micro USB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665B1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3454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9379494B1 (en) Electrical connector
US957738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round terminal with contact portions in contact with a shielding sheet
US10361519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with sandwiching type shielding plate set
KR102240783B1 (ko) 전기 커넥터 장치
US11043765B2 (en) Multipolar connector
US1009694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device assembled with the same therein
US9608359B2 (en) Waterproof connector with integrated shell and contact into housing
KR101680191B1 (ko) 커넥터
US20160020537A1 (en) Shielding connector
JP2017208165A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これと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TWM537735U (zh) 插座電連接器
KR101927931B1 (ko) 방수형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CN214478260U (zh) 连接器组装体
US20130178077A1 (en) Connectors
US8047857B1 (en) Battery connector
US20110286194A1 (en) Connection structure, circui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P2429039A2 (en) Electric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955791B1 (en) Connector for being mounted on the edge of a pcb, having a rear back metal portion , which corrects the centre of mass
WO2018168352A1 (ja) レセプタクル
US9385487B2 (en) Active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265665B1 (ko) 기판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US20110317386A1 (en) Connecting structure, circui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324656B1 (ko) 쉘의 구조가 개선된 인터페이스 커넥터
US20120208379A1 (en) Ac in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