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807U -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 - Google Patents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807U
KR20140005807U KR2020130003572U KR20130003572U KR20140005807U KR 20140005807 U KR20140005807 U KR 20140005807U KR 2020130003572 U KR2020130003572 U KR 2020130003572U KR 20130003572 U KR20130003572 U KR 20130003572U KR 20140005807 U KR20140005807 U KR 201400058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ening
opened
deformed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일
Original Assignee
이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일 filed Critical 이강일
Priority to KR2020130003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807U/ko
Publication of KR201400058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8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6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fluid-like particles, e.g. filled with b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8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빈백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퍼의 개폐만으로 형태 변경이 자유롭고 변형되면서 머리와 상체를 지지하는 받침이 형성되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납작한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충전재가 채워지는 본체; 상기 본체 측면 중앙을 따라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걔폐부; 및 상기 개폐부에 의한 열린 공간을 커버하도록 본체 측면에 연결되어 개폐부가 열릴 때 충전재가 유입되어 상부를 향하여 전개되고 닫힐 때 하부를 향하여 강제로 접혀서 수용되는 변형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Transformable Bean Bag Cushion}
본 고안은 빈백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퍼의 개폐만으로 형태 변경이 자유롭고 변형되면서 머리와 상체를 지지하는 받침이 형성되어 안락함을 느낄 수 있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쿠션(Cushion)이라 함은 의자나 소파, 탈것의 좌석 따위에 솜, 스펀지, 용수철 따위를 넣어 탄력이 생기게 한 부분을 말하며, 빈백은 커다란 부대 같은 천 안에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을 채워서 쓰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종래 형태를 변형하기 위한 쿠션으로 외피와 충전재가 채워진 내피 외형을 상부 꼭짓점이 일측으로 편향된 삼각뿔 형태로 구성하고, 꼭짓점이 편향된 측의 외피 모서리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몸체의 양 측면 외피에 몸체의 외형을 변형시켜 형상과 부피를 변화시키는 쿠션이 개발되기도 하였다(실용신안출원 제2006-16525호 참조).
하지만, 이러한 형태 변경 쿠션은 외피에 구비된 고정부재와 체결부재를 체결, 해제하여 쿠션의 외형을 변경시키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충전재가 외피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인체의 특정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되지 않아 안락감을 느끼기에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지퍼의 간단한 조작으로 형태 변경이 가능하면서 충전재가 골고루 분포되고 사용자의 머리와 상체 부분을 안락하게 지지하는 받침이 형성되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은 납작한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충전재가 채워지는 본체; 상기 본체 측면 중앙을 따라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걔폐부; 및 상기 개폐부에 의한 열린 공간을 커버하도록 본체 측면에 연결되어 개폐부가 열릴 때 충전재가 유입되어 상부를 향하여 전개되고 닫힐 때 하부를 향하여 강제로 접혀서 수용되는 변형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가 열릴 때 충전재가 유입되어 변형피가 상부를 향하여 전개되면 본체는 휘어지면서 사용자의 머리와 상체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재는 발포 폴리스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은 간단한 지퍼조작으로 형태 변경이 가능하고 충전재가 골고루 배치되며 머리와 상체받침이 형성되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빈백 쿠션의 형태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빈백 쿠션의 형태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은 본체(100), 개폐부(200) 및 변형피(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납작한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발포 폴리스틸렌(Expandable Polystyrene)과 같은 충전재(도면에 미도시)가 충전되며, 통기성과 흡습성이 우수한 에어메쉬(Airmesh)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200)는 상기 본체(100) 측면 중앙을 따라 가로방향(일자로)으로 절개되어 지퍼에 의해 본체(100)가 일부 개폐되는데, 이때 지퍼 대신에 개폐를 위해 벨트로 타입이나 똑딱이 단추 등 다양한 개폐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변형피(300)는 상기 개폐부(200)에 의한 본체(100)의 열린 공간을 커버하도록 본체(100) 측면에 연결, 결합되어 개폐부(200)가 지퍼에 의해 열릴 때 충전재가 유입되어 상부를 향하여 전개된다.
이것은 충전재인 발포 폴리스틸렌이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 압력을 받으면서 개별적으로 쉽게 분산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변형피(300)는 개폐부(200)가 지퍼에 의해 닫힐 때 하부를 향하여 강제로 접혀서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200)가 지퍼에 의해 열릴 때 충전재가 유입되어 변형피(300)가 상부를 향하여 전개되면 본체(100)는 상부를 향하여 휘어지면서 사용자의 머리와 상체를 지지하는 받침부(400)를 형성한다.
상기 변형피(300)는 개폐부(200)에 의해 열린 본체(100)의 공간 부분만을 커버하도록 부착될 수도 있고, 본체(100) 내부 전체를 걸쳐 충전재가 채워진 내피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본체(100)를 별도의 받침없이 원통 형상 그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폐부(200)를 폐쇄되고 내부에 충전재가 채워진 상태로 이용하면 되고, 이 상태에서는 부피가 작아서 운반이 편리하고 전체적으로 의자 형태를 이룬다.
한편, 개폐부(200)를 열어서 변형피(300)를 확장 상승시켜서 변형피(300) 내부로 충전재를 골고루 이동시킨 후 머리나 등과 같은 상체를 지지하는 받침부(400)를 사용하는 경우 본체(100)가 자연스럽게 휘어지면서 전체적으로 편안한 소파 형태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본체 200: 개폐부
300: 변형피 400: 받침부

Claims (3)

  1. 납작한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충전재가 채워지는 본체;
    상기 본체 측면 중앙을 따라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걔폐부; 및
    상기 개폐부에 의한 열린 공간을 커버하도록 본체 측면에 연결되어 개폐부가 열릴 때 충전재가 유입되어 상부를 향하여 전개되고 닫힐 때 하부를 향하여 강제로 접혀서 수용되는 변형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가 열릴 때 충전재가 유입되어 변형피가 상부를 향하여 전개되면 본체는 휘어지면서 사용자의 머리와 상체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발포 폴리스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
KR2020130003572U 2013-05-07 2013-05-07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 KR201400058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572U KR20140005807U (ko) 2013-05-07 2013-05-07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572U KR20140005807U (ko) 2013-05-07 2013-05-07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807U true KR20140005807U (ko) 2014-11-17

Family

ID=5245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572U KR20140005807U (ko) 2013-05-07 2013-05-07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8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804A (ko) 2018-07-11 2020-01-21 박노현 빈백 소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804A (ko) 2018-07-11 2020-01-21 박노현 빈백 소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8751B1 (en) Sitting neck support device
US8336964B2 (en) Beanbag sofa with retractable headrest
KR100935207B1 (ko) 통풍베개
US20130283533A1 (en) Pillow
KR200488729Y1 (ko) 고탄성 구조의 메모리폼 베개
KR20160083743A (ko) 형상유지용 가이드 패드가 구비된 빈백 소파
KR20110049493A (ko) 가변쿠션
JP3111334U (ja) 快眠枕
KR20140005807U (ko) 형태 변경이 가능한 빈백 쿠션
US20170280893A1 (en) Functional mat for assisting deep sleep of infant
KR10253713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JP5479813B2 (ja) 子守帯
JP6161591B2 (ja) 寝具及びクッション
KR200473785Y1 (ko) 보강 밴드가 구비된 빈백 쿠션
JP3179351U (ja) 枕用シート
GB2523217A (en) Transformable object
KR200426952Y1 (ko) 자유변형 대쿠션
US10986945B2 (en) Sprung pillow
KR20160001110U (ko) 다용도 빈백 쿠션
KR200468765Y1 (ko) 기능성 베개
JP3218650U (ja) エアクッション
JP3168968U (ja) ビーズクッション
KR101583468B1 (ko) 경추지지부가 구비된 베개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6106236B1 (ja) 寝具または家具類の構造
JP3133839U (ja) クッ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