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749U - 파이프 홀더 - Google Patents

파이프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749U
KR20140005749U KR2020130003424U KR20130003424U KR20140005749U KR 20140005749 U KR20140005749 U KR 20140005749U KR 2020130003424 U KR2020130003424 U KR 2020130003424U KR 20130003424 U KR20130003424 U KR 20130003424U KR 20140005749 U KR20140005749 U KR 201400057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ing block
clamping blocks
cab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철
김연호
김종권
김형균
박승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3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749U/ko
Publication of KR201400057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74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파이프 홀더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제 1 파이프홈이 구비되는 제 1 클램핑 블록; 제 1 클램핑 블록에 대응되는 것으로, 제 1 클램핑 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일면에 제 1 파이프홈에 대응되는 제 2 파이프홈이 구비되고, 제 2 파이프홈은 제 1 파이프홈과 만나 파이프가 고정 지지되는 파이프 고정홀을 형성하는 제 2 클램핑 블록; 및 제 1 클램핑 블록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 1, 2 클랭핑 블록을 케이블 트레이 또는 서포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홀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파이프 홀더 {PIPE HOLDER}
본 고안은 파이프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등을 설치 위치에 장착 및 고정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홀더에 관한 것이다.
선박, 해상구조물 등에는 다수의 전장설비 및 기장설비가 비치되며, 이들 전계장 설비의 제어, 구동 등을 위한 다수의 케이블 라인이나 파이프 라인이 선내외에 설치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케이블 라인이나 파이프 라인은 선내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케이블 트레이 등의 지지 구조물을 사용하여 천정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케이블 라인과 같은 전장 라인이나, 파이프 라인과 같은 기장 라인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각 별도의 지지구조물을 통해 선내외에 설치되고 있다. 예컨대, 케이블 라인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1478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케이블 행거나 케이블 트레이가 사용되고 있으며, 파이프 라인의 지지를 위하여는 상기와는 별도의 지지 구조물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계장 라인 또는 케이블/파이프 라인의 분리는 각각 별개의 지지 구조물을 요구하게 되어 불필요한 자재 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각 지지 구조물의 공간 점유로 인해 선내 공간 활용도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전계장 라인이 각각 분리되어 별도의 이격된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천정이나 벽면 등에 설치된 각종 전계장 라인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47863호 (2001년 11월 14일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기 설치된 케이블 라인의 지지 구조를 간편하게 파이프 라인의 지지 구조로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재 비용을 저감시키면서도 전계장 라인의 간소화가 가능한 파이프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제 1 파이프홈이 구비되는 제 1 클램핑 블록; 상기 제 1 클램핑 블록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클램핑 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일면에 상기 제 1 파이프홈에 대응되는 제 2 파이프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파이프홈은 상기 제 1 파이프홈과 만나 파이프가 고정 지지되는 파이프 고정홀을 형성하는 제 2 클램핑 블록; 및 상기 제 1 클램핑 블록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2 클랭핑 블록을 케이블 트레이 또는 서포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이프 홀더는 케이블 라인의 지지를 위한 케이블 트레이나 서포터 등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각종 파이프의 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라인의 지지 구조를 위한 자재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케이블/파이프 라인이 하나의 지지 구조를 통해 설치됨으로써, 각종 전계장 라인을 간결하게 정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예들에 따른 파이프 홀더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100)는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과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은 상호 교합되어 파이프가 고정 지지되는 파이프 고정홀(140)을 형성하게 되며, 고정부(130)는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 및 이에 체결된 파이프를 케이블 트레이나 서포터에 장착시키게 된다 (도 4 참고). 이때, 상기의 파이프는 각종 유체 또는 기체가 수송되는 관(管) 형태의 부재로, 튜브(tube), 호스(hose), 배관 등으로 지칭되는 각종 수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클램핑 블록(1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클램핑 블록(120)과 마주보는 일면에 제 1 파이프홈(1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파이프홈(111)은 제 2 클램핑 블록(120)에 마련된 제 2 파이프홈(121)과 대응되며, 제 2 파이프홈(121)과 함께 파이프의 체결을 위한 파이프 고정홀(140)을 형성하게 된다.
제 1 파이프홈(1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램핑블록의 일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2 클램핑 블록(120)은 제 1 클램핑 블록(110)과 대응되도록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클램핑 블록(110)과 마주보는 일면에 제 2 파이프홈(121)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파이프홈(121)은 제 1 파이프홈(111)과 대응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 1 파이프홈(111)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의 교합시, 제 1, 2 파이프홈(111, 121)은 파이프의 체결을 위한 파이프 고정홀(140)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은 경우,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된 제 1, 2 파이프홈(111, 121)이 결합되어 원형의 파이프 고정홀(140)을 이루게 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 1, 2 파이프홈(111, 121)의 형상이나 파이프 고정홀(14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 1, 2 파이프홈(111, 121) 또는 파이프 고정홀(14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은 경우, 제 1 파이프홈(111)이 제 1 클램핑 블록(110)의 일면에 상하로 두 개 배치되고, 제 2 파이프홈(121)이 제 2 클램핑 블록(120)의 일면에 상하로 두 개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제 1, 2 파이프홈(111, 121)은 상호 결합되어 두 개의 파이프 고정홀(140)을 형성하게 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 1, 2 파이프홈(111, 121) 또는 파이프 고정홀(140)의 개수는 증감 변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예들에 따른 파이프 홀더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의 (a)는 파이프 고정홀(140)의 개수가 한 개인 경우, 도 3의 (b)는 파이프 고정홀(140)의 개수가 세 개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넷 이상의 파이프 고정홀(140)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 파이프 고정홀(140)이 상하가 아닌 좌우 또는 대각 방향 등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 1, 2 파이프홈(111, 121)에는 패드(112, 122)가 구비될 수 있다. 패드(112, 122)는 소정정도의 탄성이나 연성을 가진 재질로 이뤄질 수 있으며, 파이프의 체결시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과 파이프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패드(112, 122)는 파이프의 설치나 해체시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으로 인한 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패드(112, 122)는 파이프의 진동이나 떨림을 소정정도 완화시키고, 파이프의 진동이 파이프 홀더(100)를 거쳐 케이블 트레이 등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경우, 많은 수의 파이프가 고압의 유체를 이송하고 진동을 수반하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은 패드(112, 122)의 사용에 이점이 있다고 할 것이다.
한편, 제 2 클램핑 블록(120)은 일측단이 힌지(126)를 통해 제 1 클램핑 블록(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 2 클램핑 블록(120)은 제 1 클램핑 블록(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제 1 클램핑 블록(110)과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 2 클램핑 블록(120)은 힌지축(127)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 1 클램핑 블록(110)과 교합되거나, 제 1 클램핑 블록(110)과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 2 클램핑 블록(120)을 회동 조작함으로써, 간편하게 파이프를 설치 또는 해체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의 일측에는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을 교합된 상태로 유지 및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114) 및 걸림편(124)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클램핑 블록(110)의 하단부에 걸림돌기(114)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 2 클램핑 블록(120)의 하단부에 걸림편(124)이 마련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에 파이프가 설치되면, 걸림돌기(114)에 걸림편(124)이 걸림 결합되어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을 교합된 상태로 유지 및 고정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100)는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을 교합된 상태로 유지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타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타이(15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 등을 정리 또는 고정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블 타이(cable tie)나 벨크로(velcro) 타입의 케이블 타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타이(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교합된 제 1, 2 클램핑블록(110, 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체결되어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케이블 타이(150)가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의 외주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의 모서리 부위에는 라운딩(115, 125)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클램핑 블록(110)의 상단 모서리(제 1 클램핑 블록(110)의 상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와 하단 모서리(제 1 클램핑 블록(110)의 하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는 소정곡률을 가진 라운딩(1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클램핑 블록(120)의 상단 모서리 (제 2 클램핑 블록(120)의 상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와 하단 모서리(제 2 클램핑 블록(120)의 하부면과 일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도 소정곡률을 가진 라운딩(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라운딩(115, 125)은 케이블 타이(150)가 들뜸 현상없이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의 외주면에 보다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모서리 부위로 인한 케이블 타이(150)의 파손이나 절단을 방지하게 된다.
부연하면, 케이블 타이(150)가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 케이블 타이(150)의 강성으로 인해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의 모서리 부위에서 케이블 타이(150)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블 타이(150)와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의 외주면 간 간격으로 인해, 케이블 타이(150)가 느슨해지거나, 예기치 않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100)는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의 모서리 부위에 라운딩(115, 125)을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타이(150)가 모서리 부위에서 보다 완만하게 굴곡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케이블 타이(150)가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은 케이블 타이(150)가 감싸게 되는 둘레를 따라 제 1, 2 타이홈(113, 123)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클램핑 블록(110)은 둘레면을 따라 제 1 타이홈(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클램핑 블록(120) 또한 둘레면을 따라 제 2 타이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둘레면은 케이블 타이(150)가 감싸게 되는 면으로.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의 상부면, 일측면 및 하부면으로 이어지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2 타이홈(113, 123)은 케이블 타이(150)의 폭, 두께 등을 고려하여 대응되는 폭 및 두께로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의 외면이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2 타이홈(113, 123)은 상호 대응되며,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의 교합시 하나의 띠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케이블 타이(150)는 제 1, 2 타이홈(113, 123)에 안착되어, 위치 변경이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 1, 2 타이홈(113, 123)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타이홈(113)이 제 1 클램핑 블록(110)의 전후로 두 개 배치되고, 제 2 타이홈(123)이 제 2 클램핑 블록(120)의 전후로 두 개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전방에 배치된 제 1, 2 타이홈(113, 123)과 후방에 배치된 제 1, 2 타이홈(113, 123)이 각각 띠 형태를 이루게 되며, 각각의 제 1, 2 타이홈(113, 123)에 케이블 타이(150)가 안착되어 결합되게 된다.
한편, 고정부(130)는 제 1 클램핑 블록(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을 케이블 트레이나 서포터 등에 장착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30)는 제 1 클램핑 블록(1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31)와 고정볼트(13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볼트(131)는 케이블 트레이나 서포터 등에 마련된 홀더 체결홀로 삽입 체결되고, 고정너트(132)는 고정볼트(131)의 단부에 체결되어,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 또는 파이프 홀더(100)를 케이블 트레이 등에 장착시키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홀더의 사용 및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100)는 케이블 트레이(10)나 케이블 트레이(10)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20)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트레이(10) 또는 서포터(20)에는 파이프 홀더(100)의 장착을 위한 홀더 체결홀(11, 21)이 마련될 수 있다. 홀더 체결홀(11, 21)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블 트레이(10) 또는 서포터(20)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파이프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적절한 홀더 체결홀(11, 21)을 선택하여 파이프 홀더(100)를 체결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20)의 홀더 체결홀(11, 21)에 파이프 홀더(100)가 장착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홀더(100)는 고정볼트(131)가 홀더 체결홀(11, 21)에 삽입 체결되어 서포터(2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볼트(131)의 일단에는 고정너트(132)가 나합되어 파이프 홀더(1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에는 파이프(P)가 체결 및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제 2 클램핑 블록(120)을 회동시켜 파이프 고정홀(140)을 개방한 후, 파이프(P)를 제 1 파이프홈(111)에 안착시킨다. 파이프(P)가 안착되면, 작업자는 다시 제 2 클램핑 블록(120)을 반대로 회동시켜 파이프 고정홀(140) 내에 파이프(P)가 고정 지지되도록 한 후, 걸림돌기(114) 및 걸림편(124)을 통해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을 결합시킨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에 케이블 타이(150)를 감아 보다 견고하게 제 1, 2 클램핑 블록(110, 120)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케이블 타이(150)는 고압의 유체가 수송되어 진동이나 떨림이 발생되는 파이프(P)나, 선박 등과 같이 운항 중 각종 운동이 발생되는 구조물의 경우에서,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파이프(P)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파이프(P)는 파이프 고정홀(14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파이프 홀더(100) 및 서포터(20)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홀더(100)를 파이프(P)의 길이방향이나 경로를 따라 각 서포터(20)에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파이프 홀더(100)는 각각 파이프(P)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되어 파이프(P)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100)의 경우, 두 개의 파이프 고정홀(140)이 마련된 바, 필요에 따라 두 개의 파이프(P)를 각각 파이프 고정홀(14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설치가 필요한 파이프(P)의 개수에 따라 파이프 고정홀(140)의 개수를 변경하여 다수의 파이프(P)를 한꺼번에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복잡하고 지저분한 파이프(P) 라인을 간결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파이프(P) 설치를 위한 별도의 지지구조 없이도 기 설치된 케이블(C)의 지지구조를 통해 파이프(P) 라인 또한 함께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100)는 케이블 라인의 지지를 위한 케이블 트레이(10)나 서포터(20)에 장착되어 파이프(P) 라인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P) 라인의 지지를 위한 별도의 지지 구조물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재비용이나 제조단가가 절감되고 설치시수 또한 줄어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홀더(100)는 케이블(C) 라인과 파이프(P) 라인을 한데 모아 통합시킴으로써, 구조물 내 복잡한 케이블(C) 라인 및 파이프(P) 라인을 간결하게 정리할 수 있다. 특히, 선박이나 해상구조물과 같이, 선내 다수의 전계장 라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경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이점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파이프 홀더 110: 제 1 클램핑블록
111: 제 1 파이프홈 112: 패드
113: 제 1 타이홈 114: 걸림돌기
115: 라운딩 120: 제 2 클램핑블록
121: 제 2 파이프홈 122: 패드
123: 제 2 타이홈 124: 걸림편
125: 라운딩 126: 힌지
127: 힌지축 130: 고정부
131: 고정볼트 132: 고정너트
140: 파이프고정홀 150: 케이블타이

Claims (7)

  1. 일면에 제 1 파이프홈이 구비되는 제 1 클램핑 블록;
    상기 제 1 클램핑 블록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클램핑 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일면에 상기 제 1 파이프홈에 대응되는 제 2 파이프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파이프홈은 상기 제 1 파이프홈과 만나 파이프가 고정 지지되는 파이프 고정홀을 형성하는 제 2 클램핑 블록; 및
    상기 제 1 클램핑 블록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2 클랭핑 블록을 케이블 트레이 또는 서포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파이프홈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되며,
    대응되는 상기 제 1, 2 파이프홈이 만나 복수개의 상기 파이프 고정홀을 형성하는 파이프 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램핑 블록은, 걸림돌기 또는 걸림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클램핑 블록은, 상기 걸림돌기 또는 상기 걸림편에 대응되도록, 걸림편 또는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파이프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클램핑 블록의 둘레를 감싸도록 체결되어, 상기 제 1, 2 클램핑 블록을 상호 결합시키는 케이블 타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2 클램핑 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케이블 타이가 감싸는 둘레면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라운딩이 형성된 파이프 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클램핑 블록의 둘레를 감싸도록 체결되어, 상기 제 1, 2 클램핑 블록을 상호 결합시키는 케이블 타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2 클램핑 블록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케이블 타이가 감싸는 둘레면을 따라, 상기 케이블 타이가 안착되는 타이홈이 형성된 파이프 홀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파이프홈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파이프와 상기 제 1, 2 클램핑 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패드가 구비된 파이프 홀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 또는 상기 서포터에 형성된 홀더 체결홀로 삽입 체결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파이프 홀더.
KR2020130003424U 2013-05-02 2013-05-02 파이프 홀더 KR201400057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424U KR20140005749U (ko) 2013-05-02 2013-05-02 파이프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424U KR20140005749U (ko) 2013-05-02 2013-05-02 파이프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49U true KR20140005749U (ko) 2014-11-12

Family

ID=5245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424U KR20140005749U (ko) 2013-05-02 2013-05-02 파이프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74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7017A1 (en) * 2021-03-03 2022-09-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Hangers and clamps for mounting cab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7017A1 (en) * 2021-03-03 2022-09-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Hangers and clamps for mounting cables
US11746930B2 (en) 2021-03-03 2023-09-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Hangers and clamps for mounting cab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3531C (en) Universal mounting clamp
JP5939237B2 (ja) 作業機械の索状体保持具
US20110120582A1 (en) Configurable conduit body
JP6836309B2 (ja) シール
KR20140065793A (ko) 진공배관용 주름관 및 이와 파이프의 결합구조체
KR20140005749U (ko) 파이프 홀더
JP2008221357A (ja) 多関節ロボット
JP2016171689A (ja) バンドクリップ
KR20150011539A (ko) 반도체 배관 연결구조
JP5057593B2 (ja) 管路における不平均力の支持装置
KR20150020890A (ko) 배관 고정장치
JP5663072B1 (ja) パイプサポートスタンド
KR101289665B1 (ko) 더브테일형 케이블홀더
KR200389270Y1 (ko) 가스관용 방범장치
JP2011097823A (ja) 長尺材の支持具
JP5377006B2 (ja) 架台、及び、それを備えた配管システム
JP5669194B2 (ja) 長尺体カバー取付け具、及び、長尺体カバー装置
JP4643034B2 (ja) 配管用フロアバンド
KR101660124B1 (ko) 덕트 고정 장치
KR20110135635A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83075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70403Y1 (ko)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KR20180048283A (ko) 파이프용 지지장치
KR20140005400U (ko) 파이프 플랜지 정렬장치
JP2010281455A (ja) 配管用フロア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