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460U - 선박블록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선박블록 리프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5460U KR20140005460U KR2020130002815U KR20130002815U KR20140005460U KR 20140005460 U KR20140005460 U KR 20140005460U KR 2020130002815 U KR2020130002815 U KR 2020130002815U KR 20130002815 U KR20130002815 U KR 20130002815U KR 20140005460 U KR20140005460 U KR 2014000546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ship block
- housing
- rod
-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리프팅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선박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로드가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로드에 선박블록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승강 실린더의 내부로 가해지는 힘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힘을 중량 단위로 표시하는 중량 게이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선박블록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 게이지를 이용하여 선박블록의 중량을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선박블록의 데미지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선박블록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에서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블록 건조법이 사용된다.
블록 건조법에서는, 다수로 분할된 선박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 제작한 후,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하나의 선체로 만드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선발블록들을 조립하기 이전에는 유압 방식의 선박블록 리프팅장치를 이용해 선박블록을 수평하게 세팅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선박블록 세팅작업에서는 선박블록의 중량이 세팅장치의 한계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작업자가 선박블록의 중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선박블록의 데미지 및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공개특허 제10-2009-0042664호(공개일: 2009년 04월 3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선체 블록의 탑재 및 레벨 조정용 서포트에 대한 기술이 기재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중량 게이지를 이용하여 선박블록의 중량을 외부로 표시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선박블록의 중량을 확인함으로써, 선박블록의 데미지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한계 중량 초과로 인한 장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블록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리프팅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선박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로드가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로드에 선박블록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승강 실린더의 내부로 가해지는 힘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힘을 중량 단위로 표시하는 중량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 실린더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조절 실린더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 실린더는 수평으로 설치되며, 출몰하는 로드가 상기 승강 실린더의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승강 실린더와 상기 위치조절 실린더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발생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 게이지는 상기 승강 실린더의 내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의 높이 레벨 세팅장치.
또한, 상기 중량 게이지는 상기 승강 실린더의 로드가 지지할 수 있는 한계 중량과, 상기 한계 중량을 벗어난 초과 중량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초과 중량이 발생하는 경우, 경고 색상 및 경고 음향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동력발생기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해 조작 버튼이 배치된 컨트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중량 게이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량 게이지에서 측정된 하중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보조 표시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중량 게이지를 이용하여 선박블록의 중량을 외부로 표시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선박블록의 중량을 확인함으로써, 선박블록의 데미지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한계 중량 초과로 인한 장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리프팅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리프팅장치의 승강 실린더가 위치조절 실린더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리프팅장치의 컨트롤러에 보조 표시창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리프팅장치의 승강 실린더가 위치조절 실린더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리프팅장치의 컨트롤러에 보조 표시창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리프팅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리프팅장치는 하우징(100)과, 승강 실린더(200) 및, 중량 게이지(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발생기(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 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동력 발생기(400)가 설치된다.
승강 실린더(200)는, 하우징(100)의 상단에 수직하게 위치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200)의 상단에는 출몰 가능한 로드(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 실린더(200)는 유압 방식의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실린더(200)의 로드(210)는, 선박블록(10)을 지지하는 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상하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210)의 상단에는 선박블록(10)의 일부분이 지지되며, 상기 로드(210)에 의해 지지된 선박블록(10)은 일정 높이로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 실린더(200) 로드(210)의 출몰 위치에 따라 선박블록(10)을 지지하는 높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된다.
또한, 상기 승강 실린더(200) 로드(210)의 상단에는 선박블록(10)의 하단을 더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1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11)는, 로드(210)의 폭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사각, 원 등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211)의 상단에는 도 1에서처럼 선박블록(10)을 더 높게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받침 블록(10)이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승강 실린더(200)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조절 실린더(5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 실린더(500)는 출몰하는 로드(500)가 상기 승강 실린더(200)의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조절 실린더(500)는 하우징(100)의 상단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중량 게이지(300)는, 동력발생기(400)의 구동력에 의해 상부로 출몰하는 로드에 선박블록(10)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중량 게이지(300)는 도 1에서처럼 선박블록(10)의 중량이 디지털 숫자로 표시되는 디지털 방식의 게이지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중량 게이지(300)는 미도시 하였으나 지시 바늘과 순자로 표시하는 아날로그 형태의 게이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 게이지(300)는 승강 실린더(200)의 내부로 가해지는 압력(pressure)을 측정한 후, 측정한 압력에 따른 수치를 중량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량 게이지(300)는 승강 실린더(200)의 로드(210)가 지지할 수 있는 한계 중량과, 상기 한계 중량을 벗어난 초과 중량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 게이지(300)는 초과 중량이 발생하는 경우, 경고 색상(적색 등) 및 경고 음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량 게이지(300)에는 별도의 램프(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동력발생기(400)에는 구동을 조작하기 위해 다수의 조작 버튼(610)이 배치된 컨트롤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600)는 중량 게이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리프팅장치의 컨트롤러에 보조 표시창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600)는 중량 게이지(300)에서 측정된 하중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보조 표시창(6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600)는 상기 동력발생기(400)와 케이블(6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630)은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하우징(100)에는 케이블(630)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 롤(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 롤의 회전중심에는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비틀림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중량 게이지(300)를 이용하여 선박블록(10)의 중량을 외부로 표시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선박블록(10)의 중량을 확인함으로써, 선박블록(10)의 데미지(찌그러짐 등)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한계 중량 초과로 인한 장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선박블록 리프팅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선박블록 10: 받침 블록
100: 하우징 200: 승강 실린더
210: 로드 211: 지지부재
300: 중량 게이지 310: 표시창
400: 동력발생기 500: 위치조절 실린더
510: 로드 600: 컨트롤러
610: 조작 버튼 620: 보조 표시창
630: 케이블
100: 하우징 200: 승강 실린더
210: 로드 211: 지지부재
300: 중량 게이지 310: 표시창
400: 동력발생기 500: 위치조절 실린더
510: 로드 600: 컨트롤러
610: 조작 버튼 620: 보조 표시창
630: 케이블
Claims (7)
-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선박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로드가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로드에 선박블록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승강 실린더의 내부로 가해지는 힘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힘을 중량 단위로 표시하는 중량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리프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 실린더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조절 실린더가 더 설치되며,
상기 위치조절 실린더는,
수평으로 설치되며, 출몰하는 로드가 상기 승강 실린더의 측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리프팅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승강 실린더와 상기 위치조절 실린더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발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리프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게이지는,
상기 승강 실린더의 내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의 높이 레벨 세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게이지는,
상기 승강 실린더의 로드가 지지할 수 있는 한계 중량과, 상기 한계 중량을 벗어난 초과 중량을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의 높이 레벨 세팅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게이지는,
상기 초과 중량이 발생하는 경우, 경고 색상 및 경고 음향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의 높이 레벨 세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동력발생기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해 조작 버튼이 배치된 컨트롤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중량 게이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량 게이지에서 측정된 하중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보조 표시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의 높이 레벨 세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2815U KR20140005460U (ko) | 2013-04-12 | 2013-04-12 | 선박블록 리프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2815U KR20140005460U (ko) | 2013-04-12 | 2013-04-12 | 선박블록 리프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5460U true KR20140005460U (ko) | 2014-10-22 |
Family
ID=5245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2815U KR20140005460U (ko) | 2013-04-12 | 2013-04-12 | 선박블록 리프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5460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9455A (ko) * | 2015-04-06 | 2016-10-1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
-
2013
- 2013-04-12 KR KR2020130002815U patent/KR2014000546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9455A (ko) * | 2015-04-06 | 2016-10-1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926531T3 (es) |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seguimiento de la estabilidad de una grúa de carga montada en un vehículo | |
US20190248634A1 (en) | Lifting System with Lock Position Sensor for Load Indication, and Method Therefor | |
JP2017227638A (ja) | 吊りフックの荷重計量装置 | |
KR102150823B1 (ko) | 멀티콥터 시험장치 | |
KR20140005460U (ko) | 선박블록 리프팅장치 | |
KR101474983B1 (ko) | 자석고정식 사다리 | |
ES2877702T3 (es) | Dispositivo para compensar la tracción diagonal en grúas torre | |
JP6523090B2 (ja) | 墜落防止手すりの強度試験装置 | |
JP2007099439A (ja) | 高所作業車の過積載防止装置 | |
KR101105740B1 (ko) | 고소 작업차용 원형링판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 안전장치 | |
KR101038523B1 (ko) |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반경 제어장치 | |
CN106556538A (zh) | 多角度拉伸测试结构 | |
KR101511856B1 (ko) | 엘리베이터의 하중측정 및 장력조정장치 | |
KR20090116029A (ko) | 카고크레인용 중량감지장치 | |
CN113029484B (zh) | 一种用于大荷载设备隔振的监测装置 | |
JP2016113218A (ja) | 地切り補助装置 | |
KR101233749B1 (ko) |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 |
KR100618173B1 (ko) | 골리앗 크레인의 중심점 측정장치 | |
US1570429A (en) | Automatically-operated jack for supporting walls of buildings | |
WO2024223962A1 (es) | Sistema de medición de una carga en una torre elevadora | |
KR20170064285A (ko) | 골리앗 크레인의 이동대상물 흔들림 측정장치 | |
KR101808002B1 (ko) | 상하이동모듈이 구비된 크레인 | |
KR101802716B1 (ko) | 중량부가 구비된 크레인 | |
KR101317238B1 (ko) | 방진대 수평 조정 확인 장치 | |
CN210625989U (zh) | 一种安全帽冲击测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