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230U -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 - Google Patents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230U
KR20140005230U KR2020130002270U KR20130002270U KR20140005230U KR 20140005230 U KR20140005230 U KR 20140005230U KR 2020130002270 U KR2020130002270 U KR 2020130002270U KR 20130002270 U KR20130002270 U KR 20130002270U KR 20140005230 U KR20140005230 U KR 201400052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groove
wire rope
skid loa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2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230U/ko
Publication of KR201400052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2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기둥형의 서포트와 와이어 로프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스키드로더에 마련된 붐에 장착되며, 전면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과, 하나 이상의 실린더가 구비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집게를 구비하는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집게의 내측면에 형성된 호(acr)형의 제1 파지홈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파지부와, 상기 제1 파지홈과 다른 위치에서 제1 파지홈의 반경 보다 작은 반경을 갖도록 두 집게의 내측면에 형성된 호(arc)형의 제2 파지홈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파지부를 구비하는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Tongs attachment for skid loader}
본 고안은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건조과정에서 사용되는 원기둥형의 서포트와 와이어 로프를 안전하게 요구되는 위치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키드로더(Skid loader)는 작은 크기로서 좁은 공간에서 360° 방향전환이 용이하고 다양한 작업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는 바, 농업, 제조업, 건설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9663호에는 볏짚이나 기타 목초 등을 압축한 베일을 운반하기 위한 스키드로더의 베일집게 어테치먼트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8126호에는 노면상의 습기, 결빙 적설을 열풍으로 녹여 제거하기 위한 스키드로더 장착용 열풍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1048호에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돌출된 요철을 연삭하는 스키드로더 연결형 연삭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선박의 건조과정에서 선체블록과 같은 중량물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원기둥형의 서포트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기둥형의 서포트를 요구되는 위치로 운반하기 위하여 집게형 작업장치를 스키드로더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원기둥형의 서포트를 운반하기 위한 집게형 작업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2는 종래 집게형 작업장치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를 파지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집게형 작업장치는 호(arc)형의 파지홈(11)을 내측에 구비하는 두 집게편(10,10`)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운반 대상물을 파지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두 집게편(10,10`)의 끝단부에는 평판형의 파지면(12)이 형성되며, 이러한 파지면(12)을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W)를 요구되는 위치로 운반하는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집게형 작업장치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를 파지하게 되면, 와이어 로프(W)와 파지면(12)의 사이에 대략 선접촉의 구조가 형성되며, 이러한 선접촉에 의하여 파지면에 접촉된 부분에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와이어 로프의 손상이 발생되어 와이어 로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접촉의 구조로는 와이어 로프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없는 바, 와이어 로프를 요구되는 위치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와이어 로프의 자세가 변화되어 원활한 작업의 진행이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와이어 로프가 파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인적 또는 물적 사고의 발생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9663호 (2011.10.1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8126호 (2011.08.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1048호 (2011.11.0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원기둥형의 서포트와 와이어 로프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스키드로더에 마련된 붐에 장착되며, 전면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과, 하나 이상의 실린더가 구비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집게를 구비하는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집게의 내측면에 형성된 호(acr)형의 제1 파지홈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파지부와, 상기 제1 파지홈과 다른 위치에서 제1 파지홈의 반경 보다 작은 반경을 갖도록 두 집게의 내측면에 형성된 호(arc)형의 제2 파지홈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파지부를 구비하는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2 파지홈이 제1 파지홈의 외측 끝단부로부터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 평판형의 파지면에 형성된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2 파지홈이 파지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제2 파지홈의 내외측 양 끝단부에 파지면에 연속된 구조로 형성된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파지부를 이용하여 원기둥형의 서포트를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운반할 수 있으며, 더불어 제2 파지부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의 파지할 때, 제2 파지부를 형성하는 제2 파지홈이 와이어 로프의 외면에 비교적 균일하게 밀착되어 와이어 로프의 외면으로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서, 와이어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 로프를 요구되는 위치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와이어 로프가 움직이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원기둥형의 서포트를 운반하기 위한 집게형 작업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집게형 작업장치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를 파지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치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집게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장치를 이용하여 서포트를 파지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장치를 이용하여 사각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물체를 파지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장치를 이용하여 크레인 와이어 로프를 파지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치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집게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는 프레임(100)과, 집게(200)로 구성되며, 상기 집게(200)를 구성하는 두 집게편(210,210`)으로 제1 파지부(201)와 제2 파지부(202)를 형성하여 물체를 운반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스키드로더에 마련된 붐에 장착되며,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110)과, 하나 이상의 실린더(1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110)은 두 집게편(210,210`)의 수평방향 이동을 지지하도록 프레임(100)의 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설치되며, 도 3에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10)이 프레임(100)의 전면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구조가 되어 있다. 물론 두 개의 가이드 레일(110)은 서로 이격된 채로 평행하도록 설치되며, 두 집게편(210,210`)과 결합되어 두 집게편(210,210`)의 이동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120)는 프레임(100)의 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두 집게편(210,210`)에 각각의 실린더(120)가 연결되어 각각의 집게편(210,210`)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2개의 실린더(120)가 프레임(1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100)과 스키드로더의 결합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8126호에도 개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다양한 작업장치를 스키드로더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바, 프레임(100)과 스키드로더의 결합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집게(200)는 프레임(100)의 전면에 설치되며, 실린더(120)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며 운반이 요구되는 물체를 파지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게(200)는 한 쌍의 집게편(210,210`)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집게편(210,210`)은 프레임(100)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10)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프레임(100)에 구비된 실린더(120)와 연결되어 실린더(120)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설치된 두 집게편(210,210`)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물체를 파지하고,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물체의 파지를 해제하게 된다.
한편, 두 집게편(210,210`)의 내측면에는 제1 파지부(201)와 제2 파지부(202)를 형성하기 위한 제1 파지홈(211)과 제2 파지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파지홈(211)과 제2 파지홈(212)은 모두 호(arc)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원기둥형의 서포트 및 원형단면인 와이어 로프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파지홈(21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파지부(201)를 이용하여 원기둥형의 서포트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파지홈(21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파지부(202)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파지홈(211)과 제2 파지홈(212)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되, 제1 파지홈(211)의 반경(R1)이 제2 파지홈(212)의 반경(R2)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파지홈(211)과 제2 파지홈(212)이 내측면에 형성된 두 집게편(210,210`)을 마주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1 파지부(201)와 제2 파지부(202)가 형성된다.
한편, 제2 파지홈(212)은 제1 파지홈(211)의 외측 끝단부(211a)로부터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 평판형의 파지면(213)에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지면(213)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제2 파지홈(212)의 내외측 양 끝단부에 평판형의 파지면(213)이 연속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각 집게편(210,210`)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제1 파지홈(211)→파지면(213)→제2 파지홈(212)→파지면(21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집게편(210,210`)은 제1 파지홈(211)의 반경(R1)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파이프를 가공하여 형성된 제1 파이프부재(210a)와, 제2 파지홈(212)의 반경(R2)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파이프를 가공하여 형성된 제2 파이프부재(210b)를 집게편의 형성을 위해 요구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제1,2 파이프부재(210a,210b)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제1,2 파이프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하는 판부재(210c,210d)를 용접하여 결합시킨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는 제1 파지부(201)와 제2 파지부(202) 및 파지면(213)을 이용하여 물체를 운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장치를 이용하여 서포트를 파지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선박의 건조과정에서 선체블록과 같은 중량물을 바닥으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원기둥형의 서포트(S)를 요구되는 위치로 운반시키고자 하는 경우, 두 집게편(210,210`)에 형성된 제1 파지홈(21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파지부(201)를 이용하여 서포트(S)를 파지한 채 운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장치를 이용하여 사각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물체를 파지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대향하는 두 측면이 평행하거나 평면으로 구성된 물체(M)의 경우, 두 집게편(210,210`)에 형성된 파지면(213)을 이용하여 파지한 채 운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장치를 이용하여 크레인 와이어 로프를 파지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크레인 와이어 로프(W)를 요구되는 위치로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두 집게편(210,210`)에 형성된 제2 파지홈(21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파지부(202)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W)을 파지한 채 운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파지홈(212)은 호(arc)형의 구조를 갖고 있는 바, 와이어 로프(W)의 파지시, 와이어 로프와 면접촉의 구조를 형성하게 됨으로서, 두 집게편(210,210`)으로부터 와이어 로프(W)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와이어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와이어 로프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와이어 로프의 운반과정에서 와이어 로프의 자세가 변경되거나, 집게장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110: 가이드 레일
120: 실린더 200: 집게
201: 제1 파지부 202: 제2 파지부
210.210`: 집게편 211: 제1 파지홈
212: 제2 파지홈 213: 파지면

Claims (3)

  1. 스키드로더에 마련된 붐에 장착되며, 전면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110)과, 하나 이상의 실린더(120)가 구비된 프레임(100); 및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레일(110)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120)와 연결되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집게편(210,210`)으로 이루어지는 집게(200)를 구비하는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집게편(210,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호(acr)형의 제1 파지홈(21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파지부(201)와, 상기 제1 파지홈(211)과 다른 위치에서 제1 파지홈(211)의 반경(R1) 보다 작은 반경(R2)을 갖도록 두 집게편(210,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호(arc)형의 제2 파지홈(21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파지부(20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홈(212)은, 상기 제1 파지홈(211)의 외측 끝단부(211a)로부터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 평판형의 파지면(213)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홈(212)은, 파지면(213)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제2 파지홈(212)의 내외측 양 끝단부에 파지면(213)에 연속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
KR2020130002270U 2013-03-27 2013-03-27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 KR201400052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270U KR20140005230U (ko) 2013-03-27 2013-03-27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270U KR20140005230U (ko) 2013-03-27 2013-03-27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30U true KR20140005230U (ko) 2014-10-08

Family

ID=5245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270U KR20140005230U (ko) 2013-03-27 2013-03-27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23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6436B2 (en) Clamping device having an actuating carriage which moves a movable jaw toward a stationary jaw
TWI527657B (zh) 夾持裝置
US8915767B2 (en) Sandpaper replacement device
US7090105B2 (en) Vehicle exterior material clamping apparatus with scissors-like closure motion
CN108555955B (zh) 夹具及具有其的机器人
CN112996739A (zh) 包装抓取器系统
KR20140005230U (ko) 스키드로더용 집게장치
KR200468876Y1 (ko) 판체 집게 장치
CN210312546U (zh) 一种码垛机
AU2009201632A1 (en) Clamping Device for Lifting Slab, Panel or Sheet Material
JP6256805B2 (ja) 吊りクランプ用幅調整治具
CN106401616B (zh) 一种吊拱和抓拱机械手组合的架拱设备
KR101924905B1 (ko) 호이스트 레일 바
CN109910040A (zh) 一种机械手
KR101807768B1 (ko) 슬링 어셈블리
CN210734351U (zh) 一种地板总成搬运装置
CN210941868U (zh) 一种搬运圆柱形桶状物的装置
CN220300154U (zh) 一种搬运吊爪组件及管道搬运设备
KR101793506B1 (ko)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KR101932511B1 (ko) 크레인용 그래플 장치
RU2582742C1 (ru) Магнитная траверса с электропостоянными магнитными захватами
CA2500249A1 (en) Clamping device for lifting slab, panel, or sheet material
KR20150009707A (ko) 슬래브 이송 장치
KR20140003936U (ko) H빔 운반용 지그
JP2019034371A (ja) パレタイザハ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