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651U -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 Google Patents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651U
KR20140004651U KR2020130000841U KR20130000841U KR20140004651U KR 20140004651 U KR20140004651 U KR 20140004651U KR 2020130000841 U KR2020130000841 U KR 2020130000841U KR 20130000841 U KR20130000841 U KR 20130000841U KR 20140004651 U KR20140004651 U KR 201400046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ccommodating portion
lubricating oil
gear
rop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춘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성에프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성에프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성에프엔씨
Priority to KR2020130000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651U/ko
Publication of KR20140004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6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1)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판형상의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에 안착되며 로프(R)가 권취되는 로프풀리부(20)와; 상기 로프풀리부(20)의 일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아이들기어(30)와; 방사형으로 이동하며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부(4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일면에 연결되며 덮어주는 베이스커버(50)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커버(50)의 외측에 상기 윤활유(G)가 수용되는 커버수용부(54)와 상기 윤활유(G)가 이동되는 커버유입로(54a)가 형성되어 상기 완강기(1)의 내부에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풀리부와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감속부가 형성되어 구난자가 완강기를 사용할 경우 빠르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윤활유를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용부와 수용된 윤활유가 이동되는 다수개의 유입로가 형성되어 내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기어부와 부싱이 원활하게 회전되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 Lubricant supply additional emergency escape device }
본 고안은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난자가 완강기를 사용할 경우 과도한 속도로 빠르게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완강기의 내부에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풀리부와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감속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기어부와 붓싱부에 대한 마모가 방지되도록 윤활유가 수용되는 다수개의 수용부와 수용된 윤활유가 각각의 기어부와 붓싱부로 공급되는 다수개의 유입로가 형성된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화재현장에 있는 구난자가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건물의 벽면에 부착된 피난용 기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난자(H)가 완강기(1)에 구비된 루프(L)에 매달리면 구난자(H)의 하중에 따라 서서히 지면으로 하강되며 안전한 장소로 탈출시키는 기구이다.
여기서, 종래의 피난기구용 완강기로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249546호에 개시되었다.
종래의 피난기구용 완강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명구조용 로프(R)를 걸 수 있도록 로프풀리(2)가 완강기 베이스(3)의 센터 폴(3a)에 구비되고, 상기 로프풀리(2)가 고속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제동되는 브레이크패드(4a)가 구비되는 완강기(1)로서, 내측에 내치기어(5)가 형성되어 상기 로프풀리(2)의 일측에 구비된 다수개의 아이들기어(6)와 치합되고, 상기 내치기어(5)의 일측에 브레이크 드럼(4)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3)에 안착되는 커버(7)로 구성되어 구난자(H)의 하중에 의한 낙하속도를 감소시켜 구난자(H)를 안전하게 탈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피난기구용 완강기(1)는 상기 아이들기어(6)와 내치기어(5) 등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치차형의 동력구조로 형성되는데 상기 치차형의 동력구조는 상기 아이들기어(6)와 내치기어(5)가 접촉될 경우 마모가 발생되어 상기 아이들기어(6)와 내치기어(5)의 사용기간을 단축시키고, 맞물림 회전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들기어(6) 및 내치기어(5)의 표면에 윤활유를 도포한 상태로 조립한 후 설치하게 되었는데 화재발생을 대비하는 기구인 종래의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윤활유를 도포한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도록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여 상기 아이들기어(6) 및 내치기어(5)에 도포된 윤활유가 점차 증발하거나 굳어지게 되어 화재가 발생되면 그에 따른 윤활기능이 상실되어 상기 아이들기어(6) 및 내치기어(5)의 맞물림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피난기구용 완강기에 구비된 아이들기어(6) 및 내치기어(5)의 동작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기어(6)는 상기 내치기어(5)의 1 사이클 회전 당 4~5 사이클이 회전되므로 윤활기능이 상실되었을 경우 다른 회전비로 인한 마모가 심하여 각각의 기어에 형성된 치형이 파손되거나 상기 치형 사이에 파손된 이물질이 유입되어 작동불능의 상태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피난기구용 완강기의 베이스(3)와 커버(7)는 구난자(H)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분리되지 못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방법이 따로 존재할 수 없게 되어 완강기 자체를 교체하게 되는데 이는 유지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피난기구용 완강기의 내부에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풀리부와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감속부를 형성하여 구난자가 완강기를 사용할 경우 과도한 속도로 빠르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베이스커버의 외측에 윤활유가 수용되는 커버수용부와, 커버수용부의 내측면에 윤활유가 유입되는 커버유입로를 형성하여 아이들기어와 내치기어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며, 감속부의 내측에 윤활유가 수용되는 감속수용부와, 감속수용부의 내측면에 윤활유가 유입되는 감속부유입로를 형성하여 아이들기어와 감속기어가 마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중심회전축에 구비된 붓싱부에 윤활유를 공급하여 회전을 원활히 작용시키는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긴급상황이 발생될 경우 로프에 의하여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건물에 설치되는 피난기구용 완강기로서, 일단부에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중심회전축과, 상기 건물에 설치되도록 천공된 설치공으로 이루어진 판형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중심회전축에 연결되며 외주연에 상기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풀리부와; 상기 로프풀리부의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중심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 아이들기어와; 상기 다수개의 아이들기어 사이에 치합되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치차형의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의 일측에 연결되며 외주연에 다수개의 브레이크패드가 요입된 감속회전구로 이루어진 감속부와; 상기 브레이크패드가 원심력에 의해 이동되며 접촉되도록 원통형의 내주연에 형성된 패드접촉부와, 상기 아이들기어의 외측과 치합되도록 내측에 치형이 형성된 내치기어와, 상기 나사체결공과 연결되도록 일측면이 천공된 결합공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외측에는 윤활유가 수용되는 커버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윤활유가 상기 내치기어로 유입되도록 천공된 커버유입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부의 내측에는 윤활유가 수용되는 다수개의 감속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감속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윤활유가 상기 감속기어로 유입되도록 천공된 감속부유입로가 형성된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풀리부의 내측에는 윤활유가 수용되는 로프풀리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프풀리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윤활유가 상기 감속기어와 중심회전축으로 유입되도록 천공된 로프풀리유입로가 형성된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풀리수용부의 일측에는 로프풀리수용부가 밀폐되도록 원판형의 풀리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수용부의 일측에는 감속수용부가 밀폐되도록 원판형의 감속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수용부의 일측에는 커버수용부가 밀폐되도록 원판형의 커버덮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피난기구용 완강기의 내부에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풀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프풀리부와 동시에 회전되는 감속부의 내부에 원심력에 의하여 방사형으로 이동되는 브레이크패드가 구비됨으로써, 건물의 내부의 구난자가 완강기를 사용할 경우 빠르게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둘째, 베이스커버의 외측에 윤활유가 수용되도록 커버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수용부의 내측면에 내치기어의 일측으로 관통된 커버유입로가 형성됨으로써, 아이들기어의 회전과 함께 윤활유가 유입되어 아이들기어와 내치기어가 마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감속부의 내측에 윤활유가 수용되도록 감속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감속수용부의 내측면에 감속기어의 일측으로 관통된 감속부유입로가 형성됨으로써, 아이들기어의 회전과 함께 윤활유가 유입되어 감속기어와 아이들기어가 마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로프풀리부의 내측에 윤활유가 수용되도록 로프풀리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프풀리부의 내측면에 감속기어의 타측으로 관통된 로프풀리유입로가 형성됨으로써, 아이들기어의 회전과 함께 윤활유가 유입되어 감속기어와 아이들기어가 마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로프풀리부와 감속부의 내측에 부싱을 구비하고, 상기 부싱에 윤활유를 공급하여 상기 로프풀리부와 감속부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나타내 보인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감속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나타내 보인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로서, 6a는 도 5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6b는 "B"부분의 확대도이며, 6c는 "C"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상황이 발생될 경우 로프(R)에 의하여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건물(B)에 설치되는 피난기구용 완강기(1)로서 일단부에 나사체결공(11a)이 형성된 중심회전축(11)과, 상기 건물(B)에 설치되도록 천공된 설치공(12)으로 이루어진 판형상의 베이스부(10)와; 상기 중심회전축(11)에 연결되며 외주연에 상기 로프(R)가 권취되는 로프풀리부(20)와; 상기 로프풀리부(20)의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중심회전축(11)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 아이들기어(30)와; 상기 다수개의 아이들기어(30) 사이에 치합되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치차형의 감속기어(41)와, 상기 감속기어(41)의 일측에 연결되며 외주연에 다수개의 브레이크패드(D)가 요입된 감속회전구(42)로 이루어진 감속부(40)와; 상기 브레이크패드(D)가 원심력에 의해 이동되며 접촉되도록 원통형의 내주연에 형성된 패드접촉부(51)와, 상기 아이들기어(30)의 외측과 치합되도록 내측에 치형이 형성된 내치기어(52)와, 상기 나사체결공(11a)과 연결되도록 일측면이 천공된 결합공(53)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커버(5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커버(50)의 외측에는 윤활유(G)가 수용되는 커버수용부(5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수용부(54)의 내측면에는 상기 윤활유(G)가 상기 내치기어(52)로 유입되도록 천공된 커버유입로(54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로프풀리부(20)의 중심면에는 상기 중심회전축(11)에 요입되도록 천공된 회전축요입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풀리부(20)의 일면에는 상기 아이들기어(30)가 요입되도록 돌출된 회전샤프트축(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아이들기어(30)의 중심면에는 상기 회전축(미도시)에 요입되어 회전되도록 천공된 회전축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속부(40)의 내측에는 윤활유(G)가 수용되는 다수개의 감속수용부(43)가 형성되고, 상기 감속수용부(43)의 내측면에는 상기 윤활유(G)가 상기 감속기어(41)로 유입되도록 천공된 감속부유입로(4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프풀리부(20)의 내측에는 윤활유(G)가 수용되는 로프풀리수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로프풀리수용부(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윤활유(G)가 상기 감속기어(41)와 중심회전축(11)으로 유입되도록 천공된 로프풀리유입로(21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프풀리수용부(21)의 일측에는 로프풀리수용부(21)가 밀폐되도록 원판형의 풀리커버(23)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수용부(43)의 일측에는 감속수용부(43)가 밀폐되도록 원판형의 감속커버(45)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수용부(54)의 일측에는 커버수용부(54)가 밀폐되도록 원판형의 커버덮개(5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풀리커버(23), 감속커버(45) 및 커버덮개(55)는 상기 로프풀리수용부(21), 감속수용부(43) 및 커버수용부(54)에 끼워맞춤으로 부착 또는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프풀리부(20)의 중심축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중심회전축(11)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로프풀리부싱(22)이 구비되고, 상기 감속부(40)의 중심축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중심회전축(11)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감속부싱(44)이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상황의 발생시 로프(R)에 의하여 건물(B)의 외부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건물(B)에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1)이다.
즉, 외주연에 로프(R)가 권취되는 로프풀리부(20)에 의하여 상기 로프(R)의 일단부를 건물의 외부에 위치한 또 다른 사용자가 파지하여 타단부에 매달린 구난자(H)의 무게에 의해서 서서히 낙하시키며 하측으로 내릴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풀리부(20)가 회전될 경우 상기 아이들기어(30)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감속부(40)와, 상기 감속부(4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하여 방사형으로 이동되어 상기 패드접촉부(51)에 접촉되는 브레이크패드(D)로 인하여 건물의 내부에 구난자(H)가 혼자 완강기(1)를 사용할 경우 과속으로 빠르게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커버(50)의 외측에 윤활유(G)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커버수용부(54)로 인하여 상기 아이들기어(30)의 외측과 내치기어(52)가 치합되어 구동될 경우 각각의 기어에 마찰이 발생되어 상기 아이들기어(30)와 내치기어(52)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윤활유(G)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수용부(54)의 내측면에 상기 내치기어(52)의 일측으로 관통된 커버유입로(54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윤활유(G)가 내치기어(52)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상기 내치기어(52)와 치합된 아이들기어(30)와 감속기어(41)에도 윤활유(G)가 도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수용부(54)에 수용된 윤활유(G)는 상기 커버유입로(54a)를 반복적으로 개폐하는 아이들기어(30)의 회전으로 인하여 펌핑작용이 발생되어 상기 커버수용부(54)의 윤활유(G)가 상기 내치기어(52)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속부(40)의 내측에 윤활유(G)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감속수용부(43)로 인하여 상기 아이들기어(30)의 내측과 감속기어(41)가 치합되어 구동될 경우 각각의 기어에 마찰이 발생되어 상기 아이들기어(30)와 감속기어(51)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윤활유(G)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속수용부(43)의 내측면에 상기 감속기어(41)의 일측으로 관통된 감속부유입로(43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윤활유(G)가 감속기어(41)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상기 감속기어(51)와 치합된 아이들기어(30)와 내치기어(52)에도 윤활유(G)가 도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속수용부(43)에 수용된 윤활유(G)는 상기 감속부유입로(43a)를 반복적으로 개폐하는 아이들기어(30)의 회전으로 인하여 펌핑작용이 발생되어 상기 감속수용부(43)의 윤활유(G)가 상기 감속기어(41)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풀리수용부(21)의 내측면에 상기 감속기어(41)의 일측으로 관통된 로프풀리유입로(21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윤활유(G)가 아이들기어(30) 및 감속기어(41)로 용이하게 유입되어 상기 감속기어(41)와 아이들기어(30)의 치합부분에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로프풀리수용부(21)로 이동된 윤활유(G)가 상기 중심회전축(11)으로 유입되어 상기 로프풀리부(20)의 내측에 구비된 로프풀리부싱(22)과, 상기 감속부(40)의 내측에 구비된 감속부싱(44)의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난기구용 완강기 10 : 베이스부
11 : 중심회전축 11a : 나사체결공
12 : 설치공 20 : 로프풀리부
21 : 로프풀리수용부 21a : 로프풀리유입로
22 : 로프풀리부싱 23 : 풀리커버
30 : 아이들기어 40 : 감속부
41 : 감속기어 42 : 감속회전구
43 : 감속수용부 43a : 감속부유입로
44 : 감속부싱 45 : 감속커버
50 : 베이스커버 51 : 패드접촉부
52 : 내치기어 53 : 결합공
54 : 커버수용부 54a : 커버유입로
55 : 커버덮개 D : 브레이크패드
G : 윤활유 R : 로프

Claims (4)

  1. 긴급상황이 발생될 경우 로프(R)에 의하여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건물(B)에 설치되는 피난기구용 완강기(1)에 있어서,
    일단부에 나사체결공(11a)이 형성된 중심회전축(11)과, 상기 건물(B)에 설치되도록 천공된 설치공(12)으로 이루어진 판형상의 베이스부(10)와;
    상기 중심회전축(11)에 연결되며 외주연에 상기 로프(R)가 권취되는 로프풀리부(20)와;
    상기 로프풀리부(20)의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중심회전축(11)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 아이들기어(30)와;
    상기 다수개의 아이들기어(30) 사이에 치합되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치차형의 감속기어(41)와, 상기 감속기어(41)의 일측에 연결되며 외주연에 다수개의 브레이크패드(D)가 요입된 감속회전구(42)로 이루어진 감속부(40)와;
    상기 브레이크패드(D)가 원심력에 의해 이동되며 접촉되도록 원통형의 내주연에 형성된 패드접촉부(51)와, 상기 아이들기어(30)의 외측과 치합되도록 내측에 치형이 형성된 내치기어(52)와, 상기 나사체결공(11a)과 연결되도록 일측면이 천공된 결합공(53)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커버(50)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커버(50)의 외측에는 윤활유(G)가 수용되는 커버수용부(5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수용부(54)의 내측면에는 상기 윤활유(G)가 상기 내치기어(52)로 유입되도록 천공된 커버유입로(5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40)의 내측에는 윤활유(G)가 수용되는 다수개의 감속수용부(43)가 형성되고, 상기 감속수용부(43)의 내측면에는 상기 윤활유(G)가 상기 감속기어(41)로 유입되도록 천공된 감속부유입로(43a)가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3. 제 1 항 내지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풀리부(20)의 내측에는 윤활유(G)가 수용되는 로프풀리수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로프풀리수용부(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윤활유(G)가 상기 감속기어(41)와 중심회전축(11)으로 유입되도록 천공된 로프풀리유입로(21a)가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풀리수용부(21)의 일측에는 로프풀리수용부(21)가 밀폐되도록 원판형의 풀리커버(23)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수용부(43)의 일측에는 감속수용부(43)가 밀폐되도록 원판형의 감속커버(45)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수용부(54)의 일측에는 커버수용부(54)가 밀폐되도록 원판형의 커버덮개(5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KR2020130000841U 2013-02-01 2013-02-01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KR201400046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841U KR20140004651U (ko) 2013-02-01 2013-02-01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841U KR20140004651U (ko) 2013-02-01 2013-02-01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51U true KR20140004651U (ko) 2014-08-11

Family

ID=5244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841U KR20140004651U (ko) 2013-02-01 2013-02-01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65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34943A (zh) * 2024-02-20 2024-03-22 山西成功通用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航空救援索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34943A (zh) * 2024-02-20 2024-03-22 山西成功通用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航空救援索降装置
CN117734943B (zh) * 2024-02-20 2024-04-26 山西成功通用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航空救援索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6989A (en) Slow descender including fluid and mechanical braking devices
CN102281923A (zh) 跌落保护系统
WO2013161204A1 (ja) 建設機械の駆動装置
CN105251144A (zh) 基于磁流变液阻尼器的高空缓降装置
CN110759271B (zh) 一种起重机断电下降吊物装置
CN106215337A (zh) 高楼安全逃生装置
KR200476189Y1 (ko) 피난기구용 완강기
KR101464726B1 (ko) 피난기구용 완강기
CN102553093B (zh) 缓降器
KR20140004651U (ko) 윤활유 수용부가 구비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CN106586788A (zh) 垂直升降电梯和逃生舱转换装置
CN102500070A (zh) 磁力制动缓降器
CN104784835A (zh) 安全可靠的液压阻尼式救生缓降器
CN202028057U (zh) 往复式救生缓降器
EP2569057A2 (en) Rope grip apparatus
KR101581137B1 (ko) 완강기의 오일공급구조
CN103332625B (zh) 一种离合制动装置和包括该装置的卷扬机及其操作方法
KR20020062284A (ko) 지지대에 부착된 승강실이 구비된 승강기
JP5608000B2 (ja) ギヤケースの空気抜き機構
CN203319624U (zh) 一种离合制动装置和包括该装置的卷扬机
CN108217372B (zh) 一种提升机导轨用且具有自锁功能的绳轮
CN106606826A (zh) 一种高楼逃生器
KR101590425B1 (ko) 이중 원심브레이를 이용한 완강기
CN202459883U (zh) 缓降器
CN204767081U (zh) 高楼逃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