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726B1 - 피난기구용 완강기 - Google Patents

피난기구용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726B1
KR101464726B1 KR1020130078928A KR20130078928A KR101464726B1 KR 101464726 B1 KR101464726 B1 KR 101464726B1 KR 1020130078928 A KR1020130078928 A KR 1020130078928A KR 20130078928 A KR20130078928 A KR 20130078928A KR 101464726 B1 KR101464726 B1 KR 101464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gear
gear
wheel
coupl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800A (ko
Inventor
윤철구
Original Assignee
(주)서한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한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서한에프앤씨
Publication of KR2014008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72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난기구용 완강기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의 맞물림 회전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고, 감속휠의 외주변에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로 인한 마찰력이 증대된 피난기구용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로프 걸이용 도르래와 동축상으로 일체 결합된 구동기어가 구비된 구동부,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피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의 회전 시 복수의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 작용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 및 윤활제가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윤활제가 상기 구동기어 또는 상기 피동기어 측으로 배출되어 공급될 수 있는 공급홀이 구비된 윤활제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피난기구용 완강기 {AUTOMATIC DESCENDING LIFE LINE}
본 발명은 피난기구용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난기구용 완강기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의 맞물림 회전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고, 감속휠의 외주변에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로 인한 마찰력이 증대된 피난기구용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시에 조난자가 신속하게 화재현장에서 안전한 장소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도르래의 일종으로서, 비상 로프를 항시 일정한 속도로 풀리게 하기 위하여 내부에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패드가 구비된 감속부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피난기구용 완강기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베이스 플레이트(10), 구동부(20), 감속부(30), 케이싱(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구동기어축(11)과 피동기어축(12)이 상호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구동기어축(11)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르래(21)와 구동기어(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르래(21)에는 조난자의 탈출을 위한 로프(RP)가 감겨진다.
상기 감속몸체(30)는 상기 피동기어축(12)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22)에 치합되는 피동기어(31), 상기 피동기어(31)와 동축상으로 결합된 감속휠(32), 상기 감속휠(32)의 외주변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패드(33), 상기 브레이크 패드(33)와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감속휠 덮개(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40)은 상기 구동부(20), 감속부(30)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조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피난기구용 완강기의 구성에 따르면, 로프(RP)에 의해 상기 도르래(21)가 회전하여 구동기어(22)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22)와 치합된 피동기어(31)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동기어(31)의 회전에 의해 감속휠(32)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속휠(32)의 외주변에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33)는, 상기 감속휠(32)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작용하여 상기 감속휠 덮개(34)의 내주면으로 밀착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33)의 외주면과 상기 감속휠 덮개(34)의 내주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 저항으로 인하여 상기 감속휠(32)의 감속이 이뤄진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22)와 피동기어(31) 사이에는 기어의 파손을 방지하고 기어(22, 31)의 맞물림 회전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구리스 등의 윤활제를 주입한 상태로 조립되며, 조립이 완료된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건물의 창가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화재를 대비하여 미리 건물에 미리 설치된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도록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구동기어(22)와 피동기어(31) 사이에 주입된 구리스 내의 오일이 점차 증발되어 윤활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22)와 피동기어(31)의 맞물림 회전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감속을 위한 브레이크 패드(33)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이 작아 상기 브레이크 패드(33)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조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구성하는 구동기어 또는 피동기어 측으로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제 저장부를 구비하여 윤활제가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피난기구용 완강기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의 맞물림 회전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고, 감속휠의 외주변에 6개의 브레이크 패드를 장착함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력을 증대된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난기구용 완강기는, 로프 걸이용 도르래와 동축상으로 일체 결합된 구동기어가 구비된 구동부;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피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의 회전 시 복수의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 작용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 및 윤활제가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윤활제가 상기 구동기어 또는 상기 피동기어 측으로 배출되어 공급될 수 있는 공급홀이 구비된 윤활제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구동기어축과 피동기어축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와 구동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축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피동기어는 상기 피동기어축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속부는, 상기 피동기어와 일체가 되도록 동축상으로 결합된 감속휠, 상기 감속휠을 커버하도록 동축상으로 결합된 감속휠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감속휠의 외주변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와 연동하여 상기 감속휠의 회전 시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감속휠 덮개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마찰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속휠의 외주변에는 6개의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윤활제 저장부는, 상기 피동기어와 근접한 상기 감속휠의 일측면에 형성된 원형의 단차홈; 및 상기 피동기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공급홀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의 단차홈을 폐쇄하여 상기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원형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형의 단차홈과 연통되어 상기 피동기어의 기어 이(gear tooth) 측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공급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감속부는 양측에 각각 부싱이 결합된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피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의 회전 시 6개의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 작용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기어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간격을 두고 수평형태로 각각 치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와 구동기어의 양측면에 각각 부싱을 결합하여 구동기어축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6개의 브레이크 패드와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감속휠 덮개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열방출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는 일측에 형성된 로프 걸이용 도르래와 일체 결합되는 구동기어의 외주연에 구동기어축과 평행한 톱니가 동일 피치로 형성되되 지그재그 구조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 구동기어축과 피동기어축의 둘레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절개된 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된 원형의 공간부에 윤활제로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피동기어와 일체가 되도록 동축상으로 결합되는 감속휠의 외주면에 다수의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되기 위한 방사상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장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감속휠은, 내측의 중심에 피동기어축과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베어링이 구성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원형 공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형성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안착되는 장착부의 마찰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열방출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블레이드는 원형 공간부를 다수의 구획으로 나누는 리브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만곡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동기어축과 피동기어축에 각각 축결합되는 구동기어와 피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피동기어축의 일측에 아이들기어축이 구성되며, 상기 아이들기어에 축결합되는 아이들기어는 피동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구성하는 구동기어 또는 피동기어 측으로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제 저장부가 구비되어 윤활제가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피난기구용 완강기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의 맞물림 회전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피동기어와 근접한 감속휠의 일측면에 원형의 단차홈을 형성하고, 상기 피동기어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급홀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의 단차홈을 폐쇄하는 원형판과 같은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윤활제 저장부를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원형의 단차홈과 연통되어 상기 피동기어의 기어 이(gear tooth) 측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공급홈을 통해 상기 피동기어에 윤활제가 더욱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감속휠의 외주변에 6개의 브레이크 패드를 장착함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로프에 걸리는 한계 하중이 증가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난기구용 완강기의 기어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감속부를 구성한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속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기어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속휠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속휠을 구성한 피난기구용 완강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용 완강기(10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 구동부(200), 감속부(300), 윤활제 저장부(400), 케이싱(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판상의 부재로서, 일측면에 구동기어축(110)과 피동기어축(120)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축(110)과 상기 피동기어축(12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면 상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호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구동기어축(110)에는 상기 구동부(200)가 축결합되고, 상기 피동기어축(120)에는 상기 감속부(300)가 축결합된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축(110)에 이웃하여 복수의 롤러(130)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130)는 로프(미도시)의 꼬임을 방지하고, 로프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안내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부에는 완강기 거치대(미도시)에 지지되는 훅이 걸리는 걸이용 홀(100h)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감속부(300), 케이싱(500) 등 다른 구성요소의 고정 또는 결합을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 및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와 동축상으로 일체 결합된 구동기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측에 로프가 걸리는 홈부(도 5의 '210a')가 형성된 도르래(210)로서, 상기 로프 걸리용 도르래(210)에 로프가 걸려진 상태에서 로프가 인출되면 마찰력에 의해 상기 로프 걸리용 도르래(2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의 홈부(210a)에는 로프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돌기(도 5의 '210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의 중심부에는 상기 구동기어축(11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기 위한 중심홀(210h)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의 이(gear tooth)가 형성된 기어로서, 중심부에는 상기 구동기어축(11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기 위한 중심홀(220h)이 형성된다.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의 중심홀(210h)과 상기 구동기어(220)의 중심홀(220h)은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와 구동기어(220)가 상기 구동기어축(110)에 축결합될 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구동기어축(110)의 외경 크기에 맞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와 구동기어(220)는 분할 구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부재로 일체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부(2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로프 걸리용 도르래(210)에 로프가 걸려진 상태에서 로프가 인출되면 마찰력에 의해 상기 로프 걸리용 도르래(21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22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감속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220)에 치합되는 피동기어(310), 상기 피동기어(310)와 일체가 되도록 동축상으로 결합된 감속휠(320), 상기 감속휠(320)을 커버하도록 동축상으로 결합된 감속휠 덮개(350), 상기 감속휠(320)의 외주변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복수의 브레이크 패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동기어(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의 이(gear tooth)가 형성된 기어로서, 상기 피동기어(310)는 상기 피동기어축(12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상기 피동기어(310)의 중심부에는 상기 피동기어축(12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기 위한 중심홀(310h)이 형성된다.
상기 감속휠(320)은 상기 피동기어(310)와 일체가 되도록 동축상으로 결합된 구성요소로서, 상기 감속휠(320)의 일측에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330)가 장착되기 위한 복수의 장착부(320s)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320s)는 브레이크 패드(330)의 형상에 대응한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된 홈으로서, 상기 감속휠(320)의 외주면 상에 방사상으로 6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320s)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패드(330)는 상기 장착부(320s)의 형상에 대응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속휠(320)의 중심부에는 상기 피동기어축(12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기 위한 중심홀(320h)이 형성된다.
상기 피동기어(310)의 중심홀(310h)과 상기 감속휠(320)의 중심홀(320h)은 상기 피동기어(310)와 감속휠(320)이 상기 피동기어축(120)에 축결합될 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피동기어축(120)의 외경 크기에 맞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피동기어(310)와 근접한 상기 감속휠(320)의 일측면에는 원형의 단차홈(410, 420)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의 단차홈(410, 420)은 상기 윤활제 저장부(400)를 구성하는 일 요소로서 윤활제 저장부(400)에 대한 설명 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감속휠 덮개(350)는 상기 감속휠(320), 브레이크 패드(330)을 커버하도록 상기 감속휠(320)과 동축상으로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속휠 덮개(350)의 일측에 형성된 연장부 상에 형성된 결합용 홀(350h)이 상기 구동기어축(11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복수의 장형 볼트(미도시)를 통해 상기 감속휠(320), 브레이크 패드(330)를 커버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조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감속부(3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로프 걸리용 도르래(210)에 로프가 걸려진 상태에서 로프가 인출되어 구동기어(2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기어(220)와 치합된 피동기어(310)가 맞물려 회전하게 되고, 상기 피동기어(3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동기어(3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감속휠(32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감속휠(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패드(330)에 원심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330)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감속휠 덮개(35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마찰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브레이크 패드(330)의 마찰 작용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310)의 회전속도가 감속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의 회전 속도가 감속하게 된다.
상기 윤활제 저장부(400)는, 구리스 등과 같은 윤활제(G)가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공간(s)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 저장공간(s) 내에 저장된 윤활제(G)가 상기 구동기어(220) 또는 상기 피동기어(310) 측으로 배출되어 공급될 수 있는 공급홀(430h)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윤활제 저장부(400)는, 상기 피동기어(310)와 근접한 상기 감속휠(3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원형의 단차홈(410, 420) 및 상기 피동기어(310)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급홀(430h)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의 단차홈(420)을 폐쇄하여 상기 저장공간(s)을 형성하는 원형판(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동기어(310)와 근접한 상기 감속휠(320)의 일측면에는 원형으로 형성된 2단의 단차홈(410, 420)이 형성되며, 2단 측 단차홈(420)에 윤활제(G)가 수용되고, 1단 측 단차홈(410)에는 원형판(430)이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2단 측 단차홈(420)에 수용된 윤활제(G)는 상기 원형판(430)과 상기 1단 측 단차홈(410)에 의해 형성된 저장공간(s)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원형판(430)에 형성된 공급홀(430h)을 통해서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피난기구용 완강기(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설치되므로, 상기 저장공간(s)에 수용된 윤활제(G)는 자중에 의해서 상기 공급홀(430h)을 통해 조금씩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피난기구용 완강기(1000)의 점검시 또는 그 외 일정한 주기로 상기 피난기구용 완강기(1000)의 감속휠(320)을 회전시켜줌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s)에 수용된 윤활제(G)가 상기 공급홀(430h)을 통해 강제적으로 배출되어 상기 구동기어(220) 또는 상기 피동기어(310) 측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원형의 단차홈(410)과 연통되어 상기 피동기어(310)의 기어 이(gear tooth)를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공급홈(410a)이 더욱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s)에 수용된 윤활제(G)는 상기 복수의 공급홈(410a)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구동기어(220)로 배출되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의 공급홈(410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3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윤활제 저장부(4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저장공간(s)에 수용된 윤활제(G)가 자중에 의해 상기 공급홀(430h)을 통해 자연적으로 배출되거나 피난기구용 완강기(1000)의 감속휠(320)을 주기적으로 강제 회전시킴에 따라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기어(220)와 피동기어(310)의 사이에 윤활제(G)가 공급되도록 함에 따라 피난기구용 완강기(1000)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구동기어(220)와 피동기어(310)의 맞물림 회전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완강기 각 구성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구용 완강기(1000)의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내용과 동일함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구동기어(220)에 치합되는 피동기어(310)가 구비되며,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의 회전 시 6개의 브레이크 패드(330)의 마찰 작용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3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300)를 포함하되, 이 감속부(300)는 상기 구동기어(22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간격을 두고 수평형태로 각각 치합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200)의 구동기어(220)에 감속부(300)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함에 따라 완강기(1000)의 빠른 낙하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동기어축(110)에는 상기 구동부(200)가 축결합되고, 구동부(200)의 구동기어(220)를 중심으로 양측에 수평하게 감속부(300)의 피동기어(310)가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구동기어(22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감속부(300)가 각각 구성됨에 따라 6개의 브레이크 패드(330)를 구성한 감속부(300)가 상호 동시 작동하여 이 브레이크 패드(33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내구성이 뚜렷하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일정한 낙하 속도와 다수 인원의 연속 구조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와 구동기어(220)의 양측면에 각각 부싱(610)을 결합하여 구동기어축(11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구동기어축(110)과 구동부(200)의 마모를 방지하여 연속 구조 시 마찰로 인한 고열과 이상 작동 또는 낙하 정지를 방지하여 지속적 낙하가 가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6개의 브레이크 패드(330)와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감속휠 덮개(350)의 덮개면(620) 또는 외주면(6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열방출공(640)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속휠(32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작용하여 상기 감속휠 덮개(350)의 내주면으로 브레이크 패드(330)가 밀착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330)의 외주면과 상기 감속휠 덮개(350)의 내주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 저항으로 인하여 상기 감속휠(320)의 감속이 이뤄진다. 이때, 상기 열발출공(640)에 의해 열을 방출함으로써 감속휠 덮개(35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열로 인하여 감속휠 덮개(350)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패드(330)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하강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구동기어(220)의 다른 일 실시예로 구동부(200)는 일측에 형성된 로프 걸이용 도르래(210)와 일체 결합되는 구동기어(220)의 외주연에 구동기어축(110)과 평행한 복수의 기어 이(650)가 동일 피치로 형성되되 지그재그 구조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이 구동기어(220)는 감속부(300)에 구성된 감속휠(320)의 피동기어(310)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며, 구동기어(220)와 피동기어(310)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기어와 주변 기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구동기어축(110)과 피동기어축(12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동기어축(110)과 피동기어축(120)의 둘레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절개된 원형의 공간부(710)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된 원형의 공간부(710)에 윤활제(G)로 채워질 수 있다. 이 구동기어축(110)에는 구동기어(220)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피동기어축(120)에는 피동기어(310)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기어들과 결합되는 구동기어축(110)과 피동기어축(120)은 윤활제(G)에 의해 지속적으로 마모 및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의 감속휠(320)에 대해 설명한다. 피동기어(310)와 일체가 되도록 동축상으로 결합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브레이크 패드(330)가 장착되기 위한 방사상으로 부채꼴 형상의 장착부(320s)를 형성한 감속휠(320)은 내측의 중심에 피동기어축(120)과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베어링(720)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주면에 형성된 원형 공간부(7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740)를 형성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330)가 안착되는 장착부(320s)의 마찰내면(76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열방출공(64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740)는 원형 공간부(730)를 다수의 구획으로 나누는 리브(75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만곡형상일 수 있다. 이 감속휠(320)은 베어링(720)에 의해 피동기어축(120)에서 마찰이 감소하여 원활하게 회전하게 되며, 감속휠(3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블레이드(740)는 바람을 일으키며 회전함에 따라 감속부(300)에서 발생하는 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감속휠(320)은 6개의 브레이크 패드(330)를 장착하고 감속휠 덮개(350)와 결합된 상태로 피동기어축(120)에 축결합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구동기어축(110)과 피동기어축(120)에 각각 축결합되는 구동기어(220)와 피동기어(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피동기어축(120)의 일측에 아이들기어축(780)이 구성되며, 상기 아이들기어축(780)에 축결합되는 아이들기어(770)는 감속휠(320)에 구성된 피동기어(310)와 치합될 수 있다. 이 아이들기어(770)는 감속휠(320)에 구성된 피동기어(310)와 치합되어 감속휠(320)의 평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피동기어(310)의 편마모를 방지하면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베이스 플레이트 110:구동기어축
120:피동기어축 200:구동부
210:로프 걸이용 도르래 220:구동기어
300:감속부 310:피동기어
320:감속휠 330:브레이크 패드
350:감속휠 덮개 400:윤활제 저장부
410:1단 측 단차홈 410a:공급홈
420:2단 측 단차홈 430:원형판
430h:공급홀 500:케이싱
G:윤활제 610:부싱
620:덮개면 630:외주면
640:열방출공 650:기어 이
710:공간부 720:베어링
730:원형 공간부 740:블레이드
750:리브 760:마찰내면
770:아이들기어 780:아이들기어축

Claims (14)

  1. 로프 걸이용 도르래와 동축상으로 일체 결합된 구동기어가 구비된 구동부;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피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피동기어와 일체가 되도록 동축상으로 결합된 감속휠, 상기 감속휠을 커버하도록 동축상으로 결합된 감속휠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감속부;
    상기 감속휠의 외주변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와 연동하여 상기 감속휠의 회전 시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감속휠 덮개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마찰 작용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브레이크 패드;
    소정의 저장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윤활제가 상기 구동기어 또는 상기 피동기어 측으로 배출되어 공급될 수 있는 공급홀이 구비된 윤활제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윤활제 저장부는,
    상기 피동기어와 근접한 상기 감속휠의 일측면에 형성된 원형의 단차홈; 및
    상기 피동기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공급홀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의 단차홈을 폐쇄하여 상기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원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구용 완강기.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기어축과 피동기어축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와 구동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축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피동기어는 상기 피동기어축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피난기구용 완강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휠의 외주변에는 6개의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단차홈과 연통되어 상기 피동기어의 기어 이(gear tooth) 측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공급홈이 더 형성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피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의 회전 시 6개의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 작용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속부는,
    상기 구동기어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간격을 두고 수평형태로 각각 치합 결합되는 피난기구용 완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걸이용 도르래와 구동기어의 양측면에 각각 부싱을 결합하여 구동기어축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피난기구용 완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6개의 브레이크 패드와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감속휠 덮개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열방출공을 더 포함하는 피난기구용 완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외주면에는,
    지그재그 구조로 반복 배치되는 복수의 기어 이를 구성하는 피난기구용 완강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축과 피동기어축의 둘레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절개된 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된 원형의 공간부에 윤활제로 채워지는 피난기구용 완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기어와 일체가 되도록 동축상으로 결합되는 감속휠의 외주면에 다수의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되기 위한 방사상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장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감속휠은,
    내측의 중심에 피동기어축과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베어링이 구성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원형 공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형성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안착되는 장착부의 마찰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열방출공을 더 포함하는 피난기구용 완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원형 공간부를 다수의 구획으로 나누는 리브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만곡형상인 피난기구용 완강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동기어축과 피동기어축에 각각 축결합되는 구동기어와 피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피동기어축의 일측에 아이들기어축이 구성되며, 상기 아이들기어에 축결합되는 아이들기어는 피동기어와 치합되는 피난기구용 완강기.
KR1020130078928A 2012-12-27 2013-07-05 피난기구용 완강기 KR101464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069 2012-12-27
KR20120154069 2012-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800A KR20140086800A (ko) 2014-07-08
KR101464726B1 true KR101464726B1 (ko) 2014-11-28

Family

ID=5173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928A KR101464726B1 (ko) 2012-12-27 2013-07-05 피난기구용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7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137B1 (ko) * 2014-11-24 2015-12-29 정수현 완강기의 오일공급구조
KR101900487B1 (ko) 2017-06-08 2018-09-19 주식회사 대성기계 피난기구용 완강기
KR200487899Y1 (ko) * 2017-06-05 2018-11-19 주식회사 대성기계 방열 성능이 향상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KR20210056568A (ko) 2019-11-11 2021-05-20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완강기 외부 케이스용 완충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463B1 (ko) * 2015-02-25 2016-12-1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완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551U (ja) * 1992-09-28 1994-04-19 城田鉄工株式会社 緩降機
JP2004024314A (ja) * 2002-06-21 2004-01-29 Atsushi Yae 脱出降下器具
KR20040083110A (ko) * 2003-03-21 2004-10-01 동해하이테크산업 주식회사 완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551U (ja) * 1992-09-28 1994-04-19 城田鉄工株式会社 緩降機
JP2004024314A (ja) * 2002-06-21 2004-01-29 Atsushi Yae 脱出降下器具
KR20040083110A (ko) * 2003-03-21 2004-10-01 동해하이테크산업 주식회사 완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137B1 (ko) * 2014-11-24 2015-12-29 정수현 완강기의 오일공급구조
KR200487899Y1 (ko) * 2017-06-05 2018-11-19 주식회사 대성기계 방열 성능이 향상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KR101900487B1 (ko) 2017-06-08 2018-09-19 주식회사 대성기계 피난기구용 완강기
KR20210056568A (ko) 2019-11-11 2021-05-20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완강기 외부 케이스용 완충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800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726B1 (ko) 피난기구용 완강기
KR200476189Y1 (ko) 피난기구용 완강기
CN202400708U (zh) 电梯曳引机的紧急救援装置
CN108721795B (zh) 一种工况自适应式高层应急逃生装置
KR10043011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3070045A1 (en) A winch system and a rotary-wing aircraft having such a winch system
KR20140137278A (ko) 완강기
CN102553093B (zh) 缓降器
FI118729B (fi) Järjestely hissikorin pysäyttämiseksi hätäjarrutustilanteessa ja hissi
US20130240811A1 (en) Rope grip apparatus
EP3360834A1 (en) Ring assembly for elevator governor, governor and elevator system
KR101581137B1 (ko) 완강기의 오일공급구조
CN110585615B (zh) 一种运输器
JP652416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020062284A (ko) 지지대에 부착된 승강실이 구비된 승강기
CN110745727B (zh) 电动葫芦和风力发电机
KR100509413B1 (ko) 완강기
KR20210059085A (ko)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JP5265645B2 (ja) ロープ牽引装置
JP6022664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製造方法
KR200334665Y1 (ko) 피난 로프 완강기
CN110294388A (zh) 放绳辅助装置及曳引绳安装或更换系统
JP7054069B1 (ja) エレベータ用シーブ及びエレベータ
CN215886172U (zh) 一种高空吊装物体自由下落机械调速装置
KR20090065892A (ko) 완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