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584A - 조정가능한 다용도 도관을 구비한 핸드 피스 - Google Patents

조정가능한 다용도 도관을 구비한 핸드 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584A
KR20140004584A KR1020130076963A KR20130076963A KR20140004584A KR 20140004584 A KR20140004584 A KR 20140004584A KR 1020130076963 A KR1020130076963 A KR 1020130076963A KR 20130076963 A KR20130076963 A KR 20130076963A KR 20140004584 A KR20140004584 A KR 20140004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piece
utility conduit
hand
cable
proxim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386B1 (ko
Inventor
다씨 더블유. 그립
폴 알. 보그마이어
채드 에스. 프램프턴
Original Assignee
메가다인 메디컬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541,210 external-priority patent/US8882767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3/831,379 external-priority patent/US8882768B2/en
Application filed by 메가다인 메디컬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가다인 메디컬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04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02Probes for open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7Upper parts of the skin, e.g. skin peeling or treatment of wri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28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by sending a signal to an external energy sou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전기 수술을 실시하는 의사가 경험하는 피로의 양을 줄이는 전기 수술 기구는, 다용도 도관을 구비한 핸드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도관은 핸드 피스의 중앙부에서 핸드 피스에 연결된다. 다용도 도관은 전기 케이블과 연기/유체 배출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 피스는 그 내부에 다용도 도관의 일부를 수용하는 채널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채널 시스템은 다용도 도관이 핸드 피스를 빠져나가는 핸드 피스 상의 위치를 의사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용도 도관이 핸드 피스를 빠져나가는 핸드 피스 상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다용도 도관의 중량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수술 기구의 운동에 대한 저항을 경감할 수 있으며, 전기 수술시 의사의 손을 덜 피로하게 한다.

Description

조정가능한 다용도 도관을 구비한 핸드 피스{HAND PIECE WITH ADJUSTABLE UTILITY CONDUIT}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원은 "조정가능한 전력 케이블을 구비한 전기 수술 기구"라는 명칭으로 2009년 4월 24일자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2/429,867호의 부분 계속 출원인, "조정가능한 다용도 도관을 구비한 전기 수술 기구"라는 명칭으로 2012년 7월 3일자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3/541,210호의 부분 계속 출원이며, 이 특허 출원들의 내용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었다.
본 발명은 수조작형 기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술을 실시하는 사용자가 경험하는 피로의 양을 줄이면서 각종 수술을 용이하게 실시하게 하는 수조작형 기구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현대의 수술 기법들은 조직을 절단하고 외과 수술을 실시할 때 겪게 되는 출혈을 지혈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RF) 전력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한 기법들의 역사적 관점과 세부 내용에 대해, "전기 프로브 장치"라는 명칭으로 디'아멜리오(D'Amelio)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번호 제4,936,842호를 참조하였으며, 이 특허의 내용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었다.
의료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수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절단과 지혈 모두를 위한 단일의 수술 기구의 사용을 포함하여 많은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단극성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 시스템은, 외과 의사가 수술을 실시하기 위해 환자의 수술 부위에 적용하는 핸드 피스 및 전도성 전극 또는 팁을 가진 전기 수술 기구 형태와 같은 활성 전극과, 환자를 제너레이터에 다시 연결하는 리턴 전극을 갖는다.
전기 수술 기구의 전극 또는 팁은 조직을 절단하거나 지혈하는 수술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전류 밀도가 높은 RF 전류를 생산하도록 환자와의 접촉 지점이 작다. 리턴 전극은 전기 수술 기구의 전극 또는 팁에 제공되는 동일한 RF 전류를 전달함으로써,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로의 경로를 제공한다.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와 전기 수술 기구 사이에 RF 전류를 위한 전기적 연결을 만들기 위해, 전기 전도성 코어를 가진 케이블이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로부터 전기 수술 기구로 연장된다. 케이블은 추가적인 도체를 구비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코드는 전기 수술 기구로부터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을 제공한다. 제어 신호는 절단, 지혈, 절단-지혈 혼합과 같은 다양한 절단 모드를 위해 제너레이터가 RF 전류를 전기 수술 기구에 전달하도록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전기 수술 기구를 절단 또는 지혈에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연기가 발생하게 된다. 외과 의사 또는 간호사는 수술장으로부터 연기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연기 배출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연기 배출 디바이스는 튜브를 통해 진공 디바이스에 연결된 흡인 막대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외과 의사 또는 간호사가 흡인 막대를 수술 부위에 가깝게 유지하면, 연기가 흡인 막대로 흡인되어 튜브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전기 수술 기구로부터 분리된 연기 배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은 이상적이지 않다. 별도의 연기 배출 디바이스를 사용하려면, 수술 부위 근처에 추가적인 일손과 기구가 필요한데, 이는 수술 부위에 대한 외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으며, 수술 부위 주변에서 외과 의사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기 수술 기구와 연기 배출이 조합된 디바이스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조합형 디바이스는 전기 수술을 실시하기 위한 전극 또는 팁을 수용할 수 있는 핸드 피스를 흔히 포함한다. 핸드 피스는 전극 또는 팁에 RF 전류를 반송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제너레이터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수술 부위로부터 멀리 연기를 흡인하기 위해 진공과 핸드 피스 사이에 연기 배출 호스가 연결된다. 몇몇 경우들에서는, 전력 케이블이 연기 배출 호스의 일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전력 케이블과 연기 배출 호스는 수술시 의사의 능력을 제한하는 소정의 가요성과 중량 특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케이블 및/또는 연기 배출 호스의 중량/모멘트 암 효과 및 항력과 아울러, 전기 수술 기구에 대한 전력 케이블 및/또는 연기 배출 호스의 연결 위치(들)은 전기 수술 기구를 계속 잡고 사용하는 의사의 능력을 제한한다. 전극 또는 팁이 핸드 피스(통상적으로, "펜슬"이라 함)의 일단부 내에 수용되며, 전력 케이블 및/또는 연기 배출 호스가 통상적으로 핸드 피스의 타단부에 수용된다. 의사가 수술중 전기 수술 기구를 조작할 때, 전력 케이블 및/또는 연기 배출 호스의 중량이 이들이 부착된 전기 수술 기구의 단부를 계속 끌어당긴다. 구체적으로, 전극을 환자의 조직과 접촉시키기 위해 의사가 자신의 손목을 움직이거나 자신의 손가락으로 전기 수술 기구의 배향을 조정할 때, 전력 케이블 및/또는 연기 배출 호스의 중량이 의사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전력 케이블 및/또는 연기 배출 호스에 의해 생성되는 일정한 저항 또는 항력은 전기 수술 기구를 광범위하게 지속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수술중에 의사를 피로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눈 또는 눈 주위와 같이 신체의 매우 민감한 부분에 대해 전기 수술들이 많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수술을 실시할 때, 의사는 큰 정밀도와 정확도로 전극의 운동을 제어해야만 한다. 전력 케이블 및/또는 연기 배출 호스에 의해 생성되는 저항 또는 항력은 의사가 정밀하고 정확하게 수술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세하게 절개하기 위해 전기 수술 기구를 움직일 때, 의사는 전력 케이블 및/또는 연기 배출 호스로부터의 저항을 정확하게 보상해야만 한다. 의사가 과도하게 보상하면, 너무 깊거나 너무 길게 절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의사가 불충분하게 보상하면, 원하는 절개를 위해 다수 회의 패스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케이블 및/또는 연기 배출 호스로부터의 저항에 의해 유발되는 피로는, 전력 케이블 및/또는 연기 배출 호스로부터의 저항을 정확하게 보상하는 의사의 능력에 대해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는 요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환경에서만 작용하거나 임의의 단점을 해소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항목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부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 기술 분야를 예시하고자 제공되었을 뿐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수술을 실시하는 사용자가 경험하는 피로의 양을 줄이면서 각종 수술을 용이하게 실시하게 하는 핸드 피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전기 수술 기구는 그 일단부에 전극 팁을 유지하는 핸드 피스를 포함한다. 핸드 피스는 전기 케이블에 의해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에 연결된다. 핸드 피스의 단부에 전기 케이블이 연결된 대부분의 전기 수술 기구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전기 수술 기구는 전기 케이블이 핸드 피스의 중앙부에서 핸드 피스에 연결된다. 핸드 피스에 대한 전기 케이블의 중앙 연결 위치는 전기 케이블의 중량으로 인해 생성되는 전기 수술 기구의 운동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킨다. 감소된 저항은 전기 수술시 의사의 손을 덜 피로하게 한다. 핸드 피스와 전기 케이블 사이의 중앙 연결 위치에 부가하여, 핸드 피스는 전기 케이블이 핸드 피스를 빠져나오는 핸드 피스 상의 위치를 의사가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사는 전기 수술 기구를 의사의 기호에 맞추기 위해 핸드 피스에 대해 전기 케이블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구성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전기 수술 기구는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로부터 전기 수술 기구의 핸드 피스에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해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에 커플링될 수 있는 전기 케이블을 포함한다. 핸드 피스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그들 사이에 배치된 중앙부를 갖는다. 핸드 피스로부터 환자의 조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해 핸드 피스의 원위 단부 내에 전도성 전극 팁이 수용될 수 있다. 핸드 피스의 중앙부는 전기 케이블의 일단을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을 갖는다. 또한, 핸드 피스는 채널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채널 시스템은 전기 수술 기구의 사용자가 전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채널 시스템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채널 시스템으로부터 전기 케이블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채널 시스템은 제1 및 제2 대향하는 측방향 채널들과 길이방향 채널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대향하는 측방향 채널들은 리셉터클로부터 핸드 피스의 대향하는 측면으로 연장한다. 제1 및 제2 대향하는 측방향 채널들은 그 내부에 전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이면서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이 핸드 피스의 일측에서 중앙부로부터 채널 시스템을 빠져나갈 수 있다.
길이방향 채널은 리셉터클로부터 핸드 피스의 원위 단부를 향해 연장한다. 길이방향 채널은 길이방향 채널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복수의 멈춤쇠들을 포함하며, 상기 멈춤쇠들은 그들 사이에 전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이면서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멈춤쇠들은 전기 케이블이 채널 시스템을 빠져나갈 수 있는 복수의 분리된 출구 위치들을 획정한다. 전기 수술 기구의 사용자는 채널 시스템으로부터 전기 케이블의 출구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 길이방향 채널 또는 측방향 채널 내에 전기 케이블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 피스에 형성되는 채널 시스템은 더 적거나 더 많은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시스템은 1개 이상의 측방향 채널, 1개 이상의 길이방향 채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채널 시스템은 전기 수술 기구와 연관된 배출 호스와 함께 채용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채널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수술 기구의 사용자가 채널 시스템으로부터 배출 호스의 출구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배출 호스 채널은 배출 호스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수술시 사용하기 위한 전기 수술 기구가 제공된다. 전기 수술 기구는 핸드 피스와,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로부터 핸드 피스에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고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를 멀리 반송하도록 구성된 다용도 도관을 포함한다. 핸드 피스는 근위 단부와 그 내부에 유입구를 가진 원위 단부를 포함한다. 리셉터클이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핸드 피스 내에 배치되며, 다용도 도관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전기 수술 기구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채널 시스템이 핸드 피스 내에 형성되며, 다용도 도관의 적어도 일부를 그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채널 시스템은 채널 시스템으로부터 다용도 도관의 출구 위치가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출구 위치가 리셉터클과 근위 단부 사이에서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로부터 환자의 조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고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를 제거하기 위해 전기 수술시 사용하기 위한 전기 수술 기구가 제공된다. 전기 수술 기구는 다용도 도관을 포함한다. 다용도 도관은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기 케이블과,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를 멀리 반송하도록 구성된 연기 배출 호스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 수술 기구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그들 사이에 배치된 중앙부를 가진 핸드 피스를 포함한다. 중앙부는 다용도 도관이 연결되는 리셉터클을 갖는다. 또한, 핸드 피스는 다용도 도관의 적어도 일부를 그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된 채널 시스템을 포함한다. 채널 시스템은 전기 수술 기구의 사용자가 핸드 피스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용도 도관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를 멀리 반송하기 위해 수술시 사용하기 위한 의료 기구가 제공된다. 의료 기구는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를 멀리 반송하도록 구성된 연기 배출 호스를 가진 다용도 도관을 포함한다. 또한, 의료 기구는 근위 단부, 유입구를 가진 원위 단부, 및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 배치된 중앙부를 가진 핸드 피스를 포함한다. 중앙부는 연기 배출 호스가 연결되는 리셉터클을 갖는다. 연기 배출 호스는 유입구와 유체 소통한다. 핸드 피스는, 다용도 도관의 적어도 일부가 채널 시스템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널 시스템으로부터 다용도 도관의 출구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채널 시스템은 출구 위치가 리셉터클과 근위 단부 사이에서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출구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는 수조작형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작형 기구는 핸드 피스와 핸드 피스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연장하는 다용도 도관을 갖는다. 핸드 피스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포함한다. 리셉터클이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다용도 도관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채널 시스템은 다용도 도관의 적어도 일부를 그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채널 시스템은 채널 시스템으로부터 다용도 도관의 출구 위치가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출구 위치가 리셉터클과 근위 단부 사이에서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는 수조작형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작형 기구는 핸드 피스와 핸드 피스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연장하는 다용도 도관을 갖는다. 핸드 피스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거의 중간에 배치된 중앙부를 포함한다. 리셉터클이 원위 단부와 중앙부 사이에 배치되며, 다용도 도관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용도 도관은 핸드 피스의 거의 중앙부에 또는 핸드 피스의 중앙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된 출구 위치에서 핸드 피스로부터 멀리 연장한다.
이 "과제의 해결 수단" 항목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서 더 후술하는 개념의 선택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이 "과제의 해결 수단" 항목은 청구하는 요지의 중요한 특징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하는 요지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보조물로 이용하고자 한다.
추가적인 특징과 장점이 이하의 설명에 명시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그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거나, 본 명세서의 교시를 실시함으로써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특별히 적시된 기구들과 조합들에 의해 실현되고 취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을 하기된 설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하에 명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여타 장점과 특징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첨부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단지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이성과 세부 사항을 기술하고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기구를 구비한 전기 수술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전기 수술 기구를 잡는 한 가지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기 수술 기구의 저면 사시도이며, 그 핸드 피스에 형성된 채널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3의 전기 수술 기구의 저면도이며, 전기 수술 기구의 핸드 피스에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의 예시적 출구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채널 시스템을 가진 전기 수술 기구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기 수술 기구의 저면 사시도이며, 전기 수술 기구의 핸드 피스에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의 예시적 출구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채널 시스템을 가진 전기 수술 기구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다수의 예시적 출구 위치로부터 전기 수술 기구를 빠져나오는 전기 케이블과 함께, 예시적인 전기 수술 기구를 잡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기 수술 기구의 저면 사시도이며, 전기 수술 기구의 핸드 피스에 형성된 채널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해 다용도 도관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도 10의 전기 수술 기구의 저면 사시도이며, 전기 수술 기구의 핸드 피스에 연결되어 있는 다용도 도관의 예시적 출구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도 10의 전기 수술 기구의 다른 저면 사시도이며, 전기 수술 기구의 핸드 피스에 연결되어 있는 다용도 도관의 다른 예시적 출구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다수의 예시적 출구 위치로부터 전기 수술 기구를 빠져나오는 다용도 도관과 함께, 도 10의 전기 수술 기구를 잡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수술을 실시하는 사용자가 경험하는 피로의 양을 줄이면서 각종 수술을 용이하게 실시하게 하는 수조작형 기구 또는 핸드 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조작형 기구 또는 핸드 피스는 그 일단부에 전극 팁을 가진 전기 수술 기구이다. 핸드 피스는 다용도 도관에 연결되어 있다. 전극 팁을 포함한 실시예에서, 다용도 도관은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에 연결된 전기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용도 도관은 진공 디바이스에 연결된 연기/유체 배출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도관은 전기 수술 기구에 대해 전기 신호, 연기, 유체 등을 반송하기 위한 다른 튜브,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드 피스의 단부에 전기 케이블 및/또는 연기/유체 배출 호스가 연결된 대부분의 전기 수술 기구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전기 수술 기구는 다용도 도관이 핸드 피스의 중앙부에서 핸드 피스에 연결된다. 핸드 피스에 대한 다용도 도관의 중앙 연결 위치는 다용도 도관의 중량/모멘트 암 효과 및 항력으로 인해 생성되는 전기 수술 기구의 운동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킨다. 감소된 저항은 전기 수술시 의사의 손과 팔을 덜 피로하게 한다. 핸드 피스와 다용도 도관 사이의 중앙 연결 위치에 부가하여, 핸드 피스는 다용도 도관이 핸드 피스를 빠져나오는 핸드 피스 상의 위치를 의사가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사는 전기 수술 기구를 의사의 기호에 맞추기 위해 핸드 피스에 대해 다용도 도관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운영 환경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환경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신호 제너레이터(102), 전기 수술 기구(104) 및 리턴 전극(106)을 포함하는 전기 수술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제너레이터(102)는, 일 실시예에서, RF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여 그 RF 전기 에너지를 케이블(108)을 통해 전기 수술 기구(104)에 전달하는 무선 웨이브 제너레이터이다. 케이블(108)은 다용도 도관의 일례 또는 구성 요소로 간주될 수 있다. 전기 수술 기구(104)는 핸드 피스나 펜슬(110) 및 전극 팁(112)을 포함한다. 전기 수술 기구(104)는 RF 전기 에너지를 환자에게 전달하여 환자의 신체 조직을 절단하고 및/또는 혈관을 소작한다. 특히, 팁(112)에 매우 근접한 환자의 세포 물질을 가열하기 위해 팁(112)으로부터 환자에게 전기 방전이 전달된다. 전기 수술을 실시하기 위해 전기 수술 기구(104)가 이용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높은 온도에서 가열이 이루어진다. 리턴 전극(106)과 케이블(114)은 환자 신체의 주변 조직으로 소멸되는 모든 과잉 전하를 위한 전기적 귀로를 웨이브 제너레이터(102)에 제공한다.
도 2에는 전기 수술을 실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 수술 기구(120)가 도시되어 있다. 전기 수술 기구(120)는 근위 단부(124)와 원위 단부(126)를 가진 핸드 피스(122)를 포함한다. 원위 단부(126) 내에는 전극 팁(128)이 수용된다. 전기 수술 기구(120)의 근위 단부(124)에는 케이블(130)이 연결된다. 케이블(130)은 도 1의 제너레이터(102)와 같은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기 수술 기구(120)에 전달한다. 전기 에너지는 전극 팁(128)을 통해 환자의 조직으로 전달된다.
전기 수술 기구(120)와 같은 전기 수술 기구는, 사용시, 흔히 필기할 때의 펜슬 또는 펜과 동일한 방식으로 잡히기 때문에, 전기 수술 펜슬 또는 펜이라고도 한다. 도 2는 전기 수술시 의사가 전기 수술 기구(120)를 잡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 중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드 피스(122)를 손의 안쪽에 놓고 중지와 엄지로 제자리에 유지한다. 핸드 피스(122)를 제자리에 더 유지할 뿐만 아니라 입력 디바이스(132)를 작동시키기 위해 검지 손가락을 핸드 피스(122)의 상단에 올려놓는다.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핸드 피스(122)에 대한 케이블(130)의 연결 위치 및 케이블(130)의 가요성, 중량/모멘트 암 및 항력 특성은 수술시 의사의 능력을 제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수술 기구(120)를 잡은 상태에서, 의사는 입력 장치(132)를 작동시키고 전극 팁(128)을 움직여서 환자의 조직과 접촉시킴으로써 전기 수술을 실시할 것이다. 전극 팁(128)과 환자의 조직이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의사는 자신의 손목이나 손가락을 움직여서 전기 수술 기구(120)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조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환자의 조직을 향하여 화살표(A) 방향으로 전극 팁(128)이 움직이도록, 의사가 자신의 손목을 움직일 수 있다. 특히, 의사가 화살표(A) 방향으로 전극 팁(128)을 움직일 때, 근위 단부(124)는 화살표(B) 방향으로 움직인다. 케이블(130)의 중량은 화살표(C) 방향으로 근위 단부(124)를 계속 끌어당긴다. 따라서, 케이블(130)의 중량은 화살표(B) 방향으로의 근위 단부(124)의 운동에 대해 저항한다.
케이블(130)의 중량에 의해 생성되는 저항은 케이블(130)이 핸드 피스(122)에 연결되는 위치에 의해 두드러진다. 이해하는 바와 같이, 축 또는 피벗 포인트로부터 소정 거리에 힘을 가함으로써 토크가 생성된다. 토크의 크기는 가해진 힘의 크기와, 축/피벗 포인트와 힘이 가해진 위치 사이의 거리의 결과이다. 전기 수술 기구(120)의 경우에 있어서, 케이블(130)의 중량은 저항 토크 발생의 원인이 되는 힘이다. 또한, 케이블(130)이 핸드 피스(122)에 부착되는 위치와 핸드 피스(122)를 잡는 방법은 토크 생성을 위해 케이블(130)의 중량이 통과하여 작용하는 지렛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130)은 핸드 피스(122)의 근위 단부(124)로 또는 그 부근으로 유입된다. 전기 수술 기구(12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으면, 근위 단부(124)는 피벗 포인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의사 손의 안쪽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위에 배치된다. 케이블(130)의 중량이 근위 단부(124)를 아래로 끌어당김으로써, 토크 또는 모멘트-암을 생성한다. 토크의 크기는 피벗 포인트와 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케이블(130)과 핸드 피스(122) 사이의 연결 지점이 손의 안쪽으로부터 더 이격될수록, 토크는 더 커질 것이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토크가 클수록, 전기 수술 기구(120)를 조작할 때 의사가 경험하게 되는 저항의 양은 더 커진다.
케이블(130)의 중량에 의해 생성되는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의사는 추가적인 에너지를 가하여 원하는 배향으로 전기 수술 기구(120)를 움직여야만 한다. 케이블(130)에 의해 생성되는 저항에 대항하며 계속 작업하면, 전기 수술시 의사의 손 및/또는 손목 및/또는 팔이 피로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피로는 수술 성과에서의 정확도 및 정밀도의 손실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제, 전기 수술 제너레이터에 전기 수술 기구를 연결하는 전기 케이블에 의해 생성되는 저항을 줄이는 전기 수술 기구의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핸드 피스의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서 보다 중앙에 배치된, 핸드 피스와 전기 케이블 사이의 연결 지점을 포함한다. 또한, 핸드 피스는 케이블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홈 또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채널 및/또는 케이블은, 이하, 케이블의 "출구 위치"라 하는, 핸드 피스로부터 케이블이 연장될 지점을 의사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사가 출구 위치를 선택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사는 케이블의 중량에 의해 생성되는 저항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수술시 경험하는 피로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수술 기구(150)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기 수술 기구(150)는 근위 단부(154)와 원위 단부(156)를 가진 핸드 피스(152)를 포함한다. 원위 단부(156)는 전극 팁(158)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드 피스(152)는 케이블(160)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은 도 1의 제너레이터(102)와 같은 제너레이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극 팁(158)에 전달한다. 핸드 피스(152)는 전극 팁(158)에 대한 전기 에너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입력 디바이스(162)를 또한 포함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에서 케이블(130)이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과는 반대로, 케이블(160)이 핸드 피스(152)의 중앙부로부터 연장된다.
도 4는 전기 수술 기구(15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드 피스(152)는 리셉터클(164)을 포함한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160)의 단부가 리셉터클(164)에 삽입되며, 핸드 피스(152)의 내부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전극 팁(158)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핸드 피스(152)는 의사가 케이블(160)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시스템(166)을 또한 포함한다. 즉, 케이블(160)이 핸드 피스(152)의 리셉터클(164)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셉터클(164)에 인접하거나 소정 거리에 있는 핸드 피스(152) 상의 다수의 위치들 중 임의의 위치에서 케이블(160)이 핸드 피스(152)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연장하도록, 케이블(160)의 일부가 채널 시스템(16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널 시스템(166)은 길이방향 채널(168)과 대향하는 측방향 채널(170, 172)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채널(168, 170, 172)들은 리셉터클(164)에 근접하여 시작되며, 리셉터클(164)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길이방향 채널(168)은 일반적으로 리셉터클(164)로부터 근위 단부(154)까지 직선으로 연장된다. 측 방향 채널(170, 172)들은 리셉터클(164)로부터 핸드 피스(152)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채널(168, 170, 172)들은 그 내부에 적어도 케이블(160)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유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도 5는 가능한 여러 위치들에서 핸드 피스(152)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연장하는 케이블(160)을 도시하고 있다. 명료함을 위해, 도 5에서는 케이블(160)을 참조 번호 160, 160A, 160B, 160C 및 160D로 표시하였다. 참조 번호 160, 160A, 160B, 160C 및 160D는 동일한 케이블(160)을 나타내지만,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핸드 피스(152)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연장하는 케이블(160)에 대한 이하에서의 설명을 돕기 위해 참조 문자 A, B, C 및 D를 사용하였다. 또한, 케이블(192, 210, 222)들과 다용도 도관(260)을 인용하는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들에서도 유사한 문자를 사용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60A)은, (핸드 피스(152)의 상단에서 볼 때) 케이블(160A)이 핸드 피스(152)의 우측으로부터 연장하도록, 리셉터클(164)로부터 연장하여 채널(17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수술 기구(150)를 사용하는 동안, 케이블(160A)이 채널(170)로부터 우연히 빠져나오지 않도록, 채널(170)은 케이블(160A)을 그 내부에 끼워 맞춤식으로 유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케이블(160A)이 핸드 피스(152)의 우측으로 빠져나오도록 케이블(160A)을 채널(170) 내에 배치하면, 왼손잡이 의사에게 특히 편할 수 있다. 케이블(160A)이 채널(170) 내에 배치되는 경우, 왼손잡이 의사는 의사의 엄지를 향하여 핸드 피스(152)의 우측으로부터 케이블(160A)이 연장하도록 핸드 피스(152)를 잡을 수 있다. 의사는 엄지 아래의 하방으로 케이블(160A)이 연장하도록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의사는 케이블(160A)이 하방으로 연장하기 전에 엄지의 상단 위로 연장하도록 케이블을 배치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케이블(160B)은, (핸드 피스(152)의 상단에서 볼 때) 케이블(160B)이 핸드 피스(152)의 좌측으로부터 연장하도록, 리셉터클(164)로부터 연장하여 채널(17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채널(170)과 마찬가지로, 전기 수술 기구(150)를 사용하는 동안, 케이블(160B)이 채널(172)로부터 우연히 빠져나오지 않도록, 채널(172)은 케이블(160B)을 그 내부에 끼워 맞춤식으로 유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케이블(160B)이 핸드 피스(152)의 좌측으로 빠져나오도록 케이블(160B)을 채널(172) 내에 배치하면, 오른손잡이 의사에게 특히 편할 수 있다. 케이블(160B)이 채널(172) 내에 배치되는 경우, 오른손잡이 의사는 상기 케이블(160A)과 채널(170)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케이블(160B)이 엄지의 상단 위 또는 아래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핸드 피스(152)를 잡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70/172) 내에 케이블(160A/160B)을 배치하면,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에 의해 통상적으로 생성되는 저항을 현저하게 줄이거나 제거한다. 채널(170/172) 내에 케이블(160A/160B)을 배치하면, 케이블(160A/160B)의 출구 위치가 의사 손의 안쪽에 비교적 가까워진다. 이러한 케이블(160A/160B) 출구 위치의 배치는 케이블에 의해 생성되는 토크를 경감한다. 구체적으로, 가해지는 힘(즉, 케이블의 중량)과 피벗 포인트(즉, 손의 안쪽)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케이블(160A/160B)에 의해 생성되는 토크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케이블(130)에 의해 생성되는 토크보다 훨씬 작다. 케이블이 근위 단부에 연결된 통상의 전기 수술 기구와 비교하면, 채널(170/172) 내에 케이블(160A/160B)이 배치된 전기 수술 기구(150)를 사용할 때, 토크가 더 작기 때문에, 의사는 저항과 피로를 덜 경험할 것이다.
일부 의사들은 채널(170, 172)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 이외의 다른 위치에서 케이블(160)이 핸드 피스(152)를 빠져나오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의사는 케이블(160)의 편안한 출구 위치를 실현하기 위해 채널(168)을 사용할 수 있다. 편안한 출구 위치를 실현하기 위해, 케이블(160)이 리셉터클(164)로부터 채널(168)을 통해 연장하여 리셉터클(164)과 근위 단부(154) 사이의 원하는 위치에서 채널(168)을 빠져나오도록, 의사는 케이블(160)의 일부를 채널(168)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케이블(160C)을 참조하면, 의사는 케이블(160C) 중 약 1 또는 2 인치를 채널(168) 내에 배치한 다음, 케이블(160C)의 나머지가 핸드 피스(152)로부터 자유롭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케이블(160C)이 손의 안쪽에 놓인 다음 의사의 손목 부근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케이블(160C)이 핸드 피스(152)를 빠져나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5의 케이블(160D)을 참조하면, 의사는 케이블(160D) 중 약 2 또는 3 인치를 채널(168) 내에 배치한 다음, 케이블(160D)의 나머지가 핸드 피스(152)로부터 자유롭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상황에서, 의사는 케이블(160)이 근위 단부(154)에서 핸드 피스(152)를 빠져나가도록 케이블(160)을 채널(168)의 전체 길이에 배치할 수 있다.
도 5에는 각각의 케이블(160, 160A, 160B, 160C, 160D)과 연관된 5개의 출구 위치를 도시하였으나, 채널 시스템(166)이 전기 케이블을 위한 또 다른 출구 위치를 제공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채널 시스템(166)은 의사가 출구 위치로서 채널(168)의 길이를 따라 임의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손이 큰 의사는 케이블(160)이 근위 단부(154) 부근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이는, 케이블(160)의 출구 위치가 근위 단부(154)에 가까워지도록, 채널(168) 내에 케이블(160)을 더 많이 배치하는 것으로 간단히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손이 작은 의사는 케이블(160)이 리셉터클(164) 인근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이는, 채널(170, 172)을 이용하거나, 채널(168) 내에 케이블(160)의 짧은 길이만을 배치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드 피스(152)가 해당 의사에게 가장 편안하고 케이블(160)에 의해 유발되는 저항과 피로를 경감하도록, 채널 시스템(166)은 의사가 핸드 피스(152)를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기 수술 기구에 통합될 수 있는 채널 시스템의 대안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특별히 참조하면, 핸드 피스(176)를 포함한 전기 수술 기구(174)가 도시되어 있다. 핸드 피스(176)는 리셉터클(178)을 포함한다. 케이블(192)(도 7 참조)의 단부가 리셉터클(178)에 삽입되며, 핸드 피스(176)의 내부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전극 팁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핸드 피스(176)는 상기 채널 시스템(166)과 유사한 채널 시스템(182)을 또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채널 시스템(182)은 길이방향 채널(188)과 대향하는 측방향 채널(184, 186)들을 포함한다. 대향하는 측방향 채널(184, 186)들은 전술한 채널(170, 172)과 대체로 동일하다. 또한, 채널(188)도 상기 채널(168)과 유사하다. 채널 시스템(182)은 상기 채널 시스템(16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의사가 케이블(192)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의사는 케이블(192)을 채널(184, 186, 188)들 중 하나에 배치함으로써, 케이블(192)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채널(170, 172)을 통해 핸드 피스(152)의 측면으로 빠져나가는 케이블(160)과 마찬가지로, 채널(184, 186)을 선택하면 케이블(192)이 핸드 피스(176)의 측면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채널(188)을 이용하는 경우, 의사는 채널(188)의 길이에 따라 미리 획정된 다수의 출구 위치로부터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192)에 의해 유발되는 저항과 피로를 경감하고 전기 수술 기구(174)의 사용이 더 편안해지도록, 채널 시스템(182)은 의사가 전기 수술 기구(174)를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채널(188)이 채널(168)과 유사하기는 하지만, 채널(188)은 멈춤쇠(190)라 총칭하는 멈춤쇠(190A, 190B, 190C, 190D, 190E, 190F)들을 더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멈춤쇠(190A, 190B, 190C, 190D, 190E, 190F)는 채널(188) 내에 배치된 2개의 대향 리지(ridge)를 포함한다. 멈춤쇠(190)들은 그들 사이에 케이블(192)을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의사가 전기 수술 기구(174)를 사용하면서 케이블(192)을 유지하기 위해, 의사는 케이블(192)을 채널(188) 내부와 멈춤쇠(190A, 190B, 190C, 190D, 190E, 190F)들 중 하나 이상의 멈춤쇠들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채널(168)은 의사가 채널(168)의 길이를 따라 임의의 개소에서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멈춤쇠(190)는 채널(188)의 길이를 따라 케이블(192)을 위한 복수의 분리된 출구 위치를 생성한다. 즉, 멈춤쇠(190)는 다수의 미리 획정된 출구 위치들로부터 하나의 출구 위치를 선택하는 옵션을 의사에게 제공한다.
전술한 한 바와 같이, 멈춤쇠(190)들은 그들 사이에 케이블(192)을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멈춤쇠(190)들 사이의 채널(188) 영역은, 채널(188) 내에 케이블(192)을 유지하기 위해 후속하는 멈춤쇠(190A, 190B, 190C, 190D, 190E, 및/또는 190F)가 사용되지 않을 때, 케이블(192)이 채널(188)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92C)이 멈춤쇠(190C, 190D, 190E, 190F)들 사이가 아닌 멈춤쇠(190A, 190B)들 사이로 연장하도록, 의사가 채널(188) 내에 케이블(192C)을 배치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케이블(192C)은 멈춤쇠(190B, 190C)들 사이로 채널(188)을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멈춤쇠(190B, 190C)들 사이의 영역은 케이블(190)을 위한 복수의 분리된 출구 위치들 중 하나를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케이블(192D)이 멈춤쇠(190E, 190F)들 사이가 아닌 멈춤쇠(190A, 190B, 190C, 190D)들 사이로 연장하도록, 의사가 채널(188) 내에 케이블(192D)을 배치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케이블(192D)은 멈춤쇠(190D, 190E)들 사이로 채널(188)을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멈춤쇠(190D, 190E)들 사이의 영역은 케이블(190)을 위한 복수의 분리된 출구 위치들 중 다른 하나를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멈춤쇠(190A, 190B; 190C, 190D; 190E, 190F)들 사이의 영역은 케이블(190)을 위한 분리된 출구 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6개의 멈춤쇠(190)와 5개의 출구 위치를 구비한 채널(188)이 도시되어 있으나, 채널 시스템이 6개의 멈춤쇠(190)와 5개의 출구 위치보다 많거나 적게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케이블(192)에 의해 유발되는 저항과 피로를 경감하도록, 채널 시스템(182)은 의사가 전기 수술 기구(174)를 맞게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또한, 채널 시스템(182)은 의사에게 전기 수술 기구(174)가 더 편안해지도록 의사가 케이블(192)의 출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핸드 피스에 대한 케이블의 연결 위치와 중량에 의해 유발되는 저항과 피로를 경감하는 전기 수술 기구(19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기 수술 기구(194)는 리셉터클(198), 근위 단부(200) 및 채널 시스템(202)을 가진 핸드 피스(196)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164, 178)들과 마찬가지로, 리셉터클(198)은 전극 팁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케이블(210)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채널 시스템(202)은 대체로 상기 채널 시스템(166)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채널 시스템(202)은 길이방향 채널(208)과 대향하는 측방향 채널(204, 206)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채널들은 그 내부에 케이블(210)을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유지할 수 있는 크기와 구조로 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채널 시스템들과 마찬가지로, 채널 시스템(202)은 의사가 케이블(210)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수술 기구(194)를 더 편안하게 만들고, 케이블에 의해 유발되는 저항을 경감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210)이 그 길이를 따라 외부 표면에 복수의 멈춤쇠(212)를 포함하고 있다. 멈춤쇠(212)는 전술한 멈춤쇠(190)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멈춤쇠(212)는, 케이블(210)이 채널 내에 유지되도록, 채널(204, 206, 208) 내부에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는 크기일 수 있다. 또한, 멈춤쇠(212)는 채널 시스템(202) 내에 유지되는 케이블(210)의 양을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멈춤쇠(212)가 채널(208) 내에 유지되고 케이블(210C)의 나머지는 채널(208)로부터 자유롭게 연장할 수 있도록, 의사가 채널(208) 내에 케이블(210C)을 배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케이블(210)의 출구 위치가 근위 단부(200)에 인접하도록, 케이블(210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의사가 채널(208) 내에 케이블(210)의 멈춤쇠(212)를 더 많이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미리 획정되고 분리된 출구 위치들과 마찬가지로, 의사는 케이블(210)을 위한 복수의 미리 획정되고 분리된 출구 위치들로부터 다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는 미리 획정되고 분리된 출구 위치들이 채널 시스템에 형성된 멈춤쇠(190)가 아닌 케이블(210) 상의 멈춤쇠(212)에 의해 생성된다.
도 9는 전기 수술 기구(220)를 도시하고 있다. 전기 수술 기구(22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채널 시스템 및/또는 케이블/호스(222)들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어디서 어떻게 케이블 또는 호스(222)가 전기 수술 기구(220)로부터 빠져나와 의사의 손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되는지에 대한 몇 가지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222A)은 대향하는 측방향 채널(224)을 통해 전기 수술 기구(220)로부터 빠져나온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222A)은 의사의 엄지를 향해 전기 수술 기구(220)로부터 연장한다. 대안적으로, 케이블(222B)이 의사의 손바닥 안에 놓이도록, 의사는 케이블(222B)이 의사의 손바닥 앞쪽에서 전기 수술 기구(220)를 빠져나오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222C)이 손목을 향해 손의 안쪽으로 하방 연장하도록, 의사는 손의 안쪽 부근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의사는 근위 단부(226)에 가까운 케이블(222D)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표준 전기 수술 기구와 마찬가지로, 의사는 전기 수술 기구(220)의 근위 단부(226)에서 케이블(222)이 빠져나오도록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시스템은 전기 수술 기구와 일반적으로 연관되는 다수의 케이블 및/또는 호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전기 수술 기구들은, 전기 케이블 외에, 전기 수술중에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나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배출 호스를 포함하고 있다. 전기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배출 호스는 일반적으로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전기 수술 기구의 운동에 대한 저항을 생성한다. 이 저항은, 전기 케이블로부터의 저항과 마찬가지로, 전기 수술 중 의사가 피로를 경험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배출 호스에 의해 유발되는 피로를 경감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채널 시스템이 의사가 배출 호스의 출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전기 수술 기구에 합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출 호스가 의사의 손에 가까운 위치에서 핸드 피스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출 호스의 중량에 의해 생성되는 토크를 경감하는 채널 시스템이 합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 시스템은 의사가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임의의 개소에서, 또는 복수의 미리 획정되고 분리된 출구 위치들 중 하나로부터,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수술 기구(25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기 수술 기구(250)는 근위 단부(254)와 원위 단부(256)를 가진 핸드 피스(252)를 포함한다. 원위 단부(256)는 그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극 팁(258)을 수용할 수 있는 노즐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 팁(258)은 원위 단부(256)의 유입구(259)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 팁(258)과 유입구(259)의 내부 표면 사이에 열린 공간이 존재함으로써, 연기 및/또는 유체가 유입구(259)로 흡인될 수 있다.
핸드 피스(252)는 다용도 도관(260)에 연결된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에서 케이블(130)이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과는 반대로, 다용도 도관(260)은 핸드 피스(252)의 중앙부로부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용도 도관(260)은 케이블(262)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도 1의 제너레이터(102)와 같은 제너레이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극 팁(258)에 전달한다.
또한, 다용도 도관(260)은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유체를 반송하는 연기/유체 배출 호스(264)를 또한 포함하고 있다. 연기/유체 배출 호스(264)는 유입구(259)와 유체 소통하도록 핸드 피스(252)에 연결되어 있다. 연기/유체 배출 호스(264)는, 연기 및/또는 유체를 유입구(259)로 흡인하여 연기/유체 배출 호스(264)를 통해 수술 부위로부터 멀리 전달하기 위해, 진공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핸드 피스(252)가 진공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케이블(262) 또는 다른 케이블이 핸드 피스(252)를 진공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용도 도관(260)이 케이블(262)과 연기/유체 배출 호스(264)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은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용도 도관은 전력 케이블만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용도 도관은 연기/유체 배출 호스만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용도 도관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 및/또는 하나 이상의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케이블(262)의 적어도 일부가 연기/유체 배출 호스(264)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케이블(262) 전체가 연기/유체 배출 호스(264)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케이블(262)과 연기/유체 배출 호스(264)가 그들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핸드 피스(252)는 전극 팁(258)에 대한 전기 에너지의 흐름 및/또는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 및/또는 유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입력 디바이스(266)를 포함한다.
도 11은 핸드 피스(252)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드 피스(252)는 리셉터클(268)을 포함한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은) 다용도 도관(260)의 단부가 리셉터클(268)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기/유체 배출 호스(264)의 단부가 리셉터클(268)의 주변에 배치되거나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268)은 유입구(259)와 유체 소통하는 도관(270)을 포함한다. 그 결과, 연기/유체 배출 호스(264)가 리셉터클(268)에 연결되면, 연기/유체 배출 호스(264)는 유입구(259)와 유체 소통하게 된다. 따라서, 연기 및/또는 유체가 유입구(259)로 흡인되어 도관(270)을 지나 연기/유체 배출 호스(264)를 통해 멀리 반송된다.
다용도 도관(260)과 리셉터클(268) 사이의 연결은 핸드 피스(252)와 다용도 도관(260)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268)은 핸드 피스(252)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후에 핸드 피스에 연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리셉터클(268)은 핸드 피스(252)에 연결될 수 있는 제1 단부와 다용도 도관(260)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스위블(swivel)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리셉터클(268)의 제1 단부와 핸드 피스(252) 사이의 연결, (2개 이상의 조각으로 형성된 경우) 리셉터클(268)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연결, 및/또는 리셉터클(268)의 제2 단부와 다용도 도관(260)의 연결은 핸드 피스(252)가 다용도 도관(260)에 대해 상대적으로 또는 그 역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268)의 제1 단부가 회전식으로 핸드 피스(252)에 연결됨으로써, 핸드 피스(252)와 다용도 도관(260) 사이의 상대 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셉터클(268)의 제2 단부가 회전식으로 다용도 도관(260)에 연결됨으로써, 핸드 피스(252)와 다용도 도관(260) 사이의 유사한 상대 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셉터클(268)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회전식으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핸드 피스(252)와 다용도 도관(260) 사이의 상대 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모든 경우들에서, 이러한 상대 운동은 다용도 도관(260)에 의한 핸드 피스(252)의 길이방향 회전 토크를 경감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동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는 핸드 피스(252)와 다용도 도관(260)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예를 들어, 스위블 타입의 리셉터클(268)), 다용도 도관(260)은 인접한 섹션들 간의 상대 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도관(260)은 스위블(267)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1 섹션(265A)과 제2 섹션(265B)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블(267)은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제1 하프와 제2 하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섹션(265A)은 스위블(267)의 제1 하프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섹션(265B)은 스위블(267)의 제2 하프에 연결될 수 있다.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스위블(267)의 제1 하프와 제2 하프의 능력은 다용도 도관(260)의 제1 섹션(265A)과 제2 섹션(265B)도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핸드 피스(252)와 제1 섹션(265A)이 작은 길이방향 회전 토크에 의해 제2 섹션(265B)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다.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유체를 효율적으로 반송하기 위해, 핸드 피스(252), 리셉터클(268), 다용도 도관(260), 제1 및 제2 섹션(265A, 265B)들, 및 스위블(267)(및 스위블의 제1 및 제2 하프들) 사이의 연결을 실질적으로 기밀 및/또는 수밀로 밀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리셉터클(268)은 핸드 피스(252)에 케이블(262)을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도 포함한다. 핸드 피스(252)와 케이블(26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전극 팁(258)에 대한 전기 에너지의 흐름 및/또는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 및/또는 유체의 제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핸드 피스(252)는 상기 채널 시스템(166, 182, 202)과 유사한 채널 시스템(272)을 또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른 채널 시스템들과 마찬가지로, 채널 시스템(272)은 핸드 피스(252)로부터 의사가 다용도 도관(260)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다용도 도관(260)이 핸드 피스(252)의 리셉터클(268)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셉터클(268)에 인접하거나 소정 거리에 있는 핸드 피스(252)를 따르는 다수의 위치들 중 임의의 위치에서 다용도 도관(260)이 핸드 피스(252)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연장하도록, 다용도 도관(260)의 일부가 채널 시스템(27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채널 시스템(272)은 길이방향 채널(274)을 포함한다. 길이방향 채널(274)은 리셉터클(268)에 근접하여 시작되며, 리셉터클(268)로부터 근위 단부(254)를 향해 대체로 직선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길이방향 채널(274) 및/또는 리셉터클(268)은 다른 구성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268)이 원위 단부(256)와 정렬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및/또는 채널(274)이 근위 단부(254)를 향해 대체로 직선으로 연장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 채널(274) 및/또는 리셉터클(268)이 디바이스의 디자인 및/또는 원하는 유동 경로의 배열에 따라 오프셋 정렬로 구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 채널(274)은 그 내부에 적어도 다용도 도관(260)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유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즉, 전기 수술 기구(250)를 사용하는 동안, 다용도 도관(260)이 길이방향 채널(274)로부터 우연히 빠져나오지 않도록, 길이방향 채널(274)은 다용도 도관(260)을 그 내부에 끼워 맞춤식으로 유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길이방향 채널(274)의 크기와 구성으로 인하여, 핸드 피스(252)는 리셉터클(268)과 근위 단부(254) 사이가 실질적으로 중공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핸드 피스(252)의 적어도 70%가 중공이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길이방향 채널(274)은 핸드 피스(252)의 전체 체적을 70% 이상 줄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핸드 피스(252)는 대향하는 측면들 사이의 폭이 약 0.65 인치이고, 길이방향 채널(274)은 약 0.55 인치의 폭을 갖는다. 이에 따라, 핸드 피스(252)와 길이방향 채널(274)의 폭의 비율이 약 0.85이므로, 핸드 피스(252)의 약 85%가 중공이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백분율과 비율이 예시에 불과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핸드 피스의 폭과 길이방향 채널의 폭 사이의 비율이 약 25% 이상, 약 40%, 약 50%, 또는 약 75%이면, 핸드 피스는 실질적으로 중공이 될 수 있다.
도 12는 가능한 하나의 위치에서 핸드 피스(252)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연장하는 다용도 도관(260)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도관(260)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체로 입력 디바이스(266)의 아래에 배치된) 리셉터클(268)로부터 멀리 연장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채널(274) 내에 배치된다. 도 12에서, 다용도 도관(260)이 근위 단부(254) 부근에서 핸드 피스(252)를 빠져나오도록, 다용도 도관(260)은 길이방향 채널(274)의 전체 길이 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길이방향 채널(274)은 상기 길이방향 채널(168, 188, 20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의사가 다용도 도관(260)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의사는 길이방향 채널(274) 내에 다용도 도관(260)의 길이를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다용도 도관(260)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채널(274)의 전체 길이를 다용도 도관(260)으로 채우는 대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채널(274)의 일부에만 다용도 도관(260)이 배치될 수 있다.
채널 시스템(272)은 의사가 출구 위치로서 길이방향 채널(274)의 길이를 따라 임의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손이 큰 의사는 다용도 도관(260)이 근위 단부(254) 부근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이는, 다용도 도관(260)의 출구 위치가 근위 단부(254)에 가까워지도록, 길이방향 채널(274) 내에 다용도 도관(260)을 더 많이 배치하는 것으로 간단히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손이 작은 의사는 다용도 도관(260)이 리셉터클(268) 인근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이는, 길이방향 채널(274) 내에 다용도 도관(260)의 짧은 길이만을 배치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드 피스(252)가 해당 의사에게 가장 편안하고 다용도 도관(260)의 중량에 의해 유발되는 저항과 피로를 경감하도록, 채널 시스템(272)은 의사가 핸드 피스(252)를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다용도 도관(260)을 원위 단부(256)에 인접하게 연결함으로써, 핸드 피스(252)는 연기/유체 반송 도관을 포함하지 않거나, 그 역할을 하지 않는다. 즉, 핸드 피스(252)는, 근위 단부(254)로부터 원위 단부(256)까지 연장하고 그 전체 길이를 따라 밀봉되는 채널 또는 다른 도관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통상의 연기 배출 디바이스에 의하면, 핸드 피스 내의 도관의 원위 단부와 노즐 사이에 제1 시일이 필요하고, 핸드 피스 내의 도관의 근위 단부와 연기 배출 호스 사이에 제2 시일이 필요하다. 다용도 도관(260)은 유입구(259) 인접하여 연결되고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근위 단부(254)와 다용도 도관(260) 사이에 제2 시일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원위 단부(256) 부근에 다용도 도관(260)을 연결하면, 원위 단부(256)로부터 연관된 진공 디바이스까지 대체로 균일한 직경을 가진 유동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용도 도관(260)의 내부는 수술 부위로부터 멀리 연기/유체가 반송될 수 있는 유동 채널을 제공한다. 다용도 도관(260)은 그 길이 전체 걸쳐 대체로 균일한 내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핸드 피스(252)의 원위 단부(256)로부터 연관된 진공 디바이스까지의 유동 채널이 대체로 균일하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체로 균일한 유동 채널은 반송되는 연기/유체의 유동 효율을 증대시킨다. 반면에, 통상의 연기 배출 디바이스는 직경이 다른 연기 배출 호스와 핸드 피스 내의 유동 채널을 포함하므로, 이들을 통한 유동의 효율이 저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채널(274)은 대체로 직선형이며 평활한 내부 표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길이방향 채널(274)의 대체로 직선형이며 평활한 내부 표면은, 길이방향 채널(274)의 길이를 따르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위치에서 다용도 도관(260)이 핸드 피스(252)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길이방향 채널(274)은 다용도 도관(260)의 출구 위치가 연속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다용도 도관(260)의 출구 위치가 길이방향 채널(274)의 길이를 따르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위치로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길이방향 채널(274) 내에 다용도 도관(260)을 견고하게 유지하고 및/또는 길이방향 채널(274)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미리 획정되고 분리된 출구 위치들을 생성하기 위해, 길이방향 채널(274)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멈춤쇠(190)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멈춤쇠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멈춤쇠(190)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 채널(274) 내의 멈춤쇠에 의해 출구 위치들이 획정될 수 있다. 채널 시스템(272)은 상기 측방향 채널(170, 172, 184, 186, 204, 206)들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측방향 채널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 도 12 및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용도 도관(260)의 적어도 일부에는 파형이 형성되거나, 나선이 형성되거나, 세로로 홈이 형성되거나, 그 외부 표면에 멈춤쇠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멈춤쇠(212)와 마찬가지로, 다용도 도관(260)의 파형, 나선, 홈 또는 멈춤쇠는 길이방향 채널(274) 내에 다용도 도관(260)을 견고하게 유지하고 및/또는 길이방향 채널(274)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미리 획정되고 분리된 출구 위치들을 생성할 수 있다. 멈춤쇠(212)와 마찬가지로, 출구 위치는, 길이방향 채널(274)에 있는 파형, 나선, 홈 또는 멈춤쇠가 아닌, 다용도 도관(260) 상의 파형, 나선, 홈 또는 멈춤쇠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그러나, 다용도 도관(260)에 파형, 나선, 홈이 형성되지 않거나, 다용도 도관 위에 멈춤쇠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직선형이거나 멈춤쇠가 형성된) 채널과 (파형, 나선, 홈 또는 멈춤쇠가 형성되거나, 평활한) 다용도 도관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사용중인 전기 수술 기구(250)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14는 어디서 어떻게 다용도 도관(260)이 핸드 피스(252)로부터 빠져나와 의사의 손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되는지에 대한 몇 가지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용도 도관(260A)은, 다용도 도관(260A)이 의사의 손바닥 안에 놓이도록, 의사의 손바닥 앞쪽에서 전기 수술 기구(250)를 빠져나온다. 그 결과, 의사는 자신의 손가락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다용도 도관(260A)을 감싸서 다용도 도관(260A)을 쥘 수 있다. 다용도 도관(260A)을 잡은 상태에서, 의사는 핸드 피스(252)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입력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상단에 검지를 올려놓고, 엄지와 중지 사이에)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다용도 도관(260A)은 전기 수술 기구(250)에 대한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도관(260A)은 전기 수술 기구(250)에 대해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용도 도관(260A)은, 다용도 도관(260A)이 손잡이로서 사용될 경우, 핸드 피스(252)의 위치 또는 방향을 유지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강한 튜브를 포함하거나, 그러한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사가 핸드 피스(252)를 놓치거나 다용도 도관(260A)만 잡고 있는 경우에도, 다용도 도관(260A)이 핸드 피스(252)를 현재 위치에 유지하도록, 다용도 도관(260A)은 충분히 강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도관(260A)은 의사의 손 안에 편안하게 잡히고, 의사가 다용도 도관(260A)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전술한 안정성과 그립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용도 도관은 약 0.1 인치 내지 약 3 인치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용도 도관은 약 0.5 인치의 외경을 갖는다. 다용도 도관은 전술한 기능에 기여하는 약간의 탄력적인 가요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용도 도관은 그 내부의 유동 채널 또는 내강을 붕괴시키거나 현저하게 축소시키지 않고 다용도 도관이 꺾이거나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용도 도관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는 다용도 도관이 약 0°내지 약 180°의 굴곡 반경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굴곡 반경이 약 180°인 다용도 도관의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도관이 핸드 피스로부터 멀리 연장할 수 있도록, 다용도 도관과 핸드 피스 사이에 스위블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용도 도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세그먼트화되어 함께 결합됨으로써, 이동식 관절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용도 도관은 다수의 섹션들로 형성될 수 있다. 다용도 도관의 섹션들은 서로 다른 직경 및/또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 피스에 연결된 제1 섹션은 전술한 안정성과 그립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강성일 수 있다. 반면에, 제1 섹션에 연결된 제2 섹션은 제1 섹션보다 유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다용도 도관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 및/또는 하나 이상의 호스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직경과 유연성은 다수의 호스, 케이블 및/또는 그들의 조합의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호스가 약 0.1 인치 내지 약 3 인치의 조합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용도 도관(260B)이 손목을 향해 손의 안쪽으로 하방 연장하도록, 의사는 손의 안쪽 부근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의사는 근위 단부(254)에 가까운 다용도 도관(260C)의 출구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표준 전기 수술 기구와 마찬가지로, 의사는 전기 수술 기구(250)의 근위 단부(254)에서 다용도 도관(260)이 빠져나오도록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로부터 빠져나오는 케이블 또는 호스는 핸드 피스의 운동에 대해 통상적으로 토크 형태의 저항을 생성한다. 따라서, 핸드 피스를 새로운 위치로 이동하거나 동일한 일반적인 위치 내에서 핸드 피스의 재배향을 위해 사용자가 핸드 피스를 조작할 때, 케이블 또는 호스는 핸드 피스의 운동 또는 재배향에 대해 저항한다. 따라서, 핸드 피스(252)의 길이를 따라 다용도 도관(260)의 출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 케이블 또는 호스에 의해 통상적으로 생성되는 저항의 양을 경감할 수 있다.
케이블 또는 호스에 의해 통상적으로 생성되는 전체 저항을 경감함과 아울러, 핸드 피스(252)의 원위 단부에 가깝게 다용도 도관(260)의 출구 위치를 이동시켜도 핸드 피스(252)를 이동하거나 재배향할 때 경험하게 되는 저항의 변화를 줄일 수 있다. 핸드 피스(252)를 이동하거나 재배향할 때, 케이블 또는 호스에 의해 생성되는 저항이 변화한다. 저항의 변화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운동 또는 재배향의 방향 및/또는 운동 속도 때문일 수 있으나, 저항의 변화는 주로 케이블 또는 호스의 출구 위치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한 바와 같이, 핸드 피스의 피벗 포인트와 출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 더 큰 토크를 생성한다. 그 결과, 케이블 또는 호스의 출구 위치가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에 또는 그 부근에 있을 때 핸드 피스의 운동 또는 재배향시 저항의 변화는 출구 위치가 핸드 피스의 원위 단부에 근접하여 있을 때 생성되는 저항의 변화보다 더 크다.
도 1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다용도 도관(260)이 핸드 피스(252)의 근위 단부(254)로부터 연장될 때, 다용도 도관(260)은 핸드 피스(252)의 운동에 대한 저항을 생성한다. 또한, 핸드 피스(252)를 이동하거나 재배향할 때, 다용도 도관(260)에 의해 생성되는 저항이 변화한다. 다용도 도관(260)이 핸드 피스(252)의 원위 단부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핸드 피스(252)를 빠져나오면, 다용도 도관(260)에 의해 생성되는 저항이 감소된다. 또한, 다용도 도관(260)의 출구 위치가 핸드 피스(252)의 원위 단부를 향하여 이동할수록, 핸드 피스(252)를 이동하거나 재배향할 때 다용도 도관(260)에 의해 생성되는 저항의 변화도 감소된다. (예컨대, 다용도 도관(260A)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용도 도관(260)이 핸드 피스(252)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빠져나오는 경우, 다용도 도관(260)에 의해 생성되는 저항과 저항의 변화는 현저히 감소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저항과 저항의 변화는 거의 제로 또는 적어도 무시할 수 있는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다.
다음의 표는 원위 배치된 출구 위치에 의해 생성된 토크의 양이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에 또는 그 부근에 출구 위치가 배치된 경우보다 상당히 작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수의 핸드 피스들에 연결된 케이블 및/또는 호스에 의해 생성되는 토크를 측정하였다. 특히, 11개의 여러 가지 디바이스와 연관된 토크를 다양한 높이와 다양한 배향에서 측정하였다. 디바이스 1 내지 디바이스 4는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전력 케이블을 포함한 표준 전기 수술 기구였다. 디바이스 5 내지 디바이스 10은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전력 케이블과 연기 배출 호스를 모두 포함하는 전기 수술 기구였다. 또한, 전기 수술 기구(250)와 연관된 토크를 2개의 서로 다른 출구 위치들로부터 연장하는 다용도 도관(260)으로 측정하였다. 제1 출구 위치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위 단부(254)에 있었다. 제2 출구 위치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266) 아래에 있었다.
표 1은, 핸드 피스가 수평으로 배향될 때(즉,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을 때), 11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토크를 포함한다. 반면에, 표 2는 핸드 피스의 원위 단부가 근위 단부보다 낮게 배치되어 핸드 피스가 45°로 유지될 때, 11개의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토크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들이 서로 다르게 배향되어 있을 때의 토크를 측정함과 아울러, 핸드 피스들이 서로 다른 높이(즉, 2.5 피트, 3 피트, 3.5 피트, 4 피트)에 유지되고 있을 때의 토크도 측정하였다.
표 1과 표 2는 평가된 각 디바이스에 대한 기타 기본 정보도 포함한다. 이 정보는 핸드 피스의 길이, 핸드 피스 및 연관된 케이블/호스의 질량, 및 핸드 피스의 피벗 포인트와 핸드 피스의 단부 사이의 거리를 포함한다. 샘플 전체에 일관성을 제공하기 위해, 각 핸드 피스의 피벗 포인트가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사용자 입력 버튼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전기 수술 디바이스 플로어 위의 높이 근위 입력 버튼의 중심에서 팁까지의 거리(in.) 근위 입력 버튼의 중심에서 출구 위치까지의 거리(in.) 전체 길이(in.) 핸드 피스, 코드 및 튜브의 질량(g)
2.5 피트 3.0 피트 3.5 피트 4.0 피트
토크(oz. in.)
디바이스 1 1.25 1.5 1.75 2 3.82 3.82 7.64 73.24
디바이스 2 2 2.5 3 3.5 3.85 3.8 7.65 104.19
디바이스 3 0.65 0.9 1.2 1.5 4.1 3.82 7.92 62.69
디바이스 4 0.65 0.8 1 1.25 4.2 3.3 7.50 66.3
연기 배출 디바이스
전기 수술 기구(250)(다용도 도관이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됨) 5 5.75 6.75 7 3.83 3.83 7.66 146.81
전기 수술 기구(250)(다용도 도관이 입력 버튼 부근에서 빠져나옴) 0 0 0 0 3.82 0.15 3.97 146.81
디바이스 5 4.5 5.5 6.5 7 4.2 4 8.20 216.27
디바이스 6 1.75 3 4.5 7.5 3.97 3.96 7.93 268.73
디바이스 7 4.5 5.5 6.5 7.5 3.33 3.5 6.83 180.87
디바이스 8 3.75 5.75 6 6.75 4.43 3.7 8.13 141.64
디바이스 9 3.25 4.5 5.25 6.25 4.24 4.24 8.48 157.88
디바이스 10 1.5 1.75 2 2.25 4.12 2.57 6.69 128.73
전기 수술 디바이스 플로어 위의 높이 근위 입력 버튼의 중심에서 팁까지의 거리(in.) 근위 입력 버튼의 중심에서 출구 위치까지의 거리(in.) 전체 길이(in.) 핸드 피스, 코드 및 튜브의 질량(g)
2.5 피트 3.0 피트 3.5 피트 4.0 피트
토크(oz. in.)
디바이스 1 1.5 1.75 2 2.3 3.82 3.82 7.64 73.24
디바이스 2 2.25 2.75 3.25 3.5 3.85 3.8 7.65 104.19
디바이스 3 0.7 1.25 1.5 1.75 4.1 3.82 7.92 62.69
디바이스 4 1 1.25 1.5 1.75 4.2 3.3 7.50 66.3
연기 배출 디바이스
전기 수술 기구(250)(다용도 도관이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됨) 5 5.75 6.75 7 3.83 3.83 7.66 146.81
전기 수술 기구(250)(다용도 도관이 입력 버튼 부근에서 빠져나옴) 0 0 0 0 3.82 0.15 3.97 146.81
디바이스 5 4.5 5.5 6.5 7 4.2 4 8.20 216.27
디바이스 6 1.75 3 4.5 7.5 3.97 3.96 7.93 268.73
디바이스 7 4.5 5.5 6.5 7.5 3.33 3.5 6.83 180.87
디바이스 8 3.75 5.75 6 6.75 4.43 3.7 8.13 141.64
디바이스 9 3.25 4.5 5.25 6.25 4.24 4.24 8.48 157.88
디바이스 10 1.5 1.75 2 2.25 4.12 2.57 6.69 128.73
표 1과 표 2의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준 전기 수술 기구의 전력 케이블은 수평 배향에서 0.65 온스-인치(oz. in.) 내지 3.5 온스-인치의 토크를 생성하고, 경사 배향에서 0.7 온스-인치 내지 3.5 온스-인치의 토크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디바이스 5 내지 디바이스 10의 전력 케이블과 호스는 수평 배향과 경사 배향에서 모두 1.5 온스-인치 내지 7.5 온스-인치의 토크를 생성한다. 핸드 피스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각 디바이스의 토크가 대체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된다. 이는 핸드 피스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전력 케이블 및/또는 배출 호스의 매달린 부분의 길이와 그에 따른 중량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기 수술 기구(250)와 관련하여, 다용도 도관(260)이 사용자 입력부(266) 부근에서 핸드 피스(252)를 빠져나오는 경우보다 다용도 도관이 근위 단부(254)에서 핸드 피스(252)를 빠져나오는 경우에, 다용도 도관(260)으로부터의 토크가 매우 높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다용도 도관이 근위 단부(254)에서 핸드 피스(252)를 빠져나오는 경우, 다용도 도관(260)은 핸드 피스(252)의 높이에 따라 5 온스-인치 내지 7 온스-인치 범위의 토크를 생성한다. 반면에, 다용도 도관(260)이 사용자 입력부(266) 부근에서 핸드 피스(252)를 빠져나오는 경우, 다용도 도관(260)은 토크를 전혀 생성하지 않거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의 토크를 생성한다. 따라서, 핸드 피스(252)의 길이를 따라 다용도 도관(260)의 출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약 0 온스-인치에서 최대 약 7 온스-인치 이상의 범위의 토크를 제공하도록 전기 수술 기구(250)를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특징들이 서로에 대해 배타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히려, 당업자는 기술된 특징들이 필요에 따라 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조합 및/또는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다양한 채널 시스템들의 채널들은 대체로 평활한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거나, 멈춤쇠들이 형성되어 있거나, 채널들 중 어느 하나가 대체로 평활한 외부 표면을 구비한 케이블/호스/도관을 수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평활한 표면이나 멈춤쇠를 구비한 채널들은 고유한 형태의 멈춤쇠가 위에 형성된 케이블/호스/도관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시스템의 일부가 2개의 측방향 채널과 1개의 길이방향 채널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시스템은 1개의 측방향 채널, 1개의 길이방향 채널, 다수의 측방향 채널, 다수의 길이방향 채널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채널 시스템은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 핸드 피스의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빠져나오는 1개 이상의 측방향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시스템은 핸드 피스의 각 측면에 다수의 측방향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채널 시스템은, 일부 채널은 전기 케이블에 적합한 크기이고 일부 채널은 배출 호스에 적합한 크기인 다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시스템은 동시에 동일한 채널 내에 전기 케이블과 배출 호스를 수용하여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1개 이상의 채널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이 조정가능한 다용도 도관을 구비한 전기 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긴 하지만, 본 발명은 전기 수술 기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은 넓은 의미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정가능한 다용도 도관을 가진 임의의 수조작형 기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조작형 기구의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서 수조작형 기구로부터 다용도 도관의 출구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 시스템을 가진 임의의 수조작형 기구를 포함한다. 그러한 수조작형 기구의 예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치과 기구(예를 들어, 드릴, 연마 공구, 스케일러, 압축 공기 공구, 흡인 공구, 세정 공구, 캐리(carries) 검출 공구, 치아 세정 공구(예를 들어, 워터픽(waterpik)), 납땜 공구(예를 들어, 가열 공구, 연기 수집 공구, 남땜 제거 공구), 고속 연마 및 폴리싱 공구(예를 들어, 드레멜 공구, 카빙 공구, 메니큐어 공구, 치기공 연마기/폴리서), 레이저 치료 기구, 레이저 수술 기구, 라이트 프로브, 흡인 손잡이(예를 들어, 앙카우어(Yankauer)), 블라스팅 공구(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트, 그릿블라스트), 충격파 치료 공구, 초음파 치료 공구, 초음파 프로브 공구, 초음파 수술 공구, 접착제 도포 기구, 글루건, 공압 피펫, 용접 공구, RF 주름 치료 핸드 피스, 파코 핸드 피스, 시저, 면도기 또는 면도날 핸드 피스, 마이크로 드릴 핸드 피스, 진공 핸드 피스, 소형 부품 처리용 핸드 피스, 문신 바늘 손잡이, 소형 토치 핸드 피스, 전기분해 핸드 피스, 저속 연마, 폴리싱 및 카빙 공구, 영구 화장 핸드 피스, 전기 프로브 핸드 피스, 강자성 외과용 핸드 피스, 외과용 흡인 기구(예를 들어, 지방 흡인용 캐뉼러), 외과용 흡인 캐뉼러, 미세박피술용 핸드 피스, 광섬유 카메라 손잡이, 마이크로카메라 핸드 피스, pH 프로브 핸드 피스, 광섬유 및 LED 광원 핸드 피스, 하이드로서저리(hydrosurgery) 핸드 피스, 정형외과 면도기, 절단기, 버 핸드 피스, 우드 버닝(wood burning) 공구, 전기 스크루드라이버, 전자 패드 스타일러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용도 도관이 빠져나오는 출구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조작형 기구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다용도 도관이 수조작형 기구에 연결되어 수조작형 기구의 근위 단부 이외의 위치에서부터 연장하는 수조작형 기구를 또한 포함한다. 예를 들면, 다용도 도관의 출구 위치가 수조작형 기구의 길이를 따라 조정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용도 도관의 출구 위치는, 수조작형 기구의 원위 단부로부터 멀리 있는, 수조작형 기구의 길이를 따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수조작형 기구는 기구의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의 거의 중간에 배치된 중앙부를 가질 수 있다. 다용도 도관의 출구 위치는 수조작형 기구의 거의 중앙부에, 또는 수조작형 기구의 중앙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조작형 기구는 중앙부와 근위 단부 사이의 거의 중간에 배치된 3/4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수조작형 기구의 길이의 거의 1/4은 근위 단부와 3/4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수조작형 기구의 길이의 3/4는 3/4 부분과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다용도 도관의 출구 위치는 수조작형 기구의 대략 3/4 부분에, 또는 수조작형 기구의 3/4 부분과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케이블(160A, 160B), 도 8의 케이블(210A, 210B), 도 9의 케이블(222A), 도 10 및 도 13의 다용도 도관(260) 또는 도 14의 다용도 도관(260A)과 마찬가지로, 출구 위치는 수조작형 기구의 중앙부 부근에, 또는 수조작형 기구의 중앙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출구 위치가 수조작형 기구의 중앙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수조작형 기구의 근위 단부로부터 멀리 배치된다. 고정식으로 또는 조정가능하게 출구 위치를 수조작형 기구의 근위 단부로부터 멀리 배치하면, 다용도 도관으로부터의 저항을 경감하여, 수조작형 기구의 사용자가 경험하는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사상이나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특수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특허청구범위와 동등한 의미와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들은 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7)

  1. 수조작형 기구이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가지며,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된 리셉터클과,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채널 시스템을 포함하는 핸드 피스; 및
    상기 리셉터클에 연결되고, 상기 채널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 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유지되도록 구성된 다용도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다용도 도관과 상기 채널 시스템은 상기 채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다용도 도관의 출구 위치가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협력함으로써, 상기 출구 위치가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근위 단부 사이에서 상기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조작형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은 (ⅰ) 전력 케이블과, (ⅱ) 가스, 연기 또는 유체를 반송할 수 있는 호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조작형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작형 기구는 의료 기구, 치과 기구, 납땜 공구, 우드버닝 공구, 드릴 및 접착제 도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조작형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핸드 피스와 상기 다용도 도관 사이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블을 포함하는,
    수조작형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은 상기 리셉터클에 밀봉식으로 연결된,
    수조작형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손 안에서 손잡이로서 파지되도록 구성된,
    수조작형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은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하는,
    수조작형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의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에 연결된 스위블을 더 포함하는,
    수조작형 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이 상기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핸드 피스를 빠져나오는 경우, 상기 다용도 도관이 약 5.0 온스-인치 내지 약 7.0 온스-인치 범위의 토크를 상기 핸드 피스에 대해 생성하는,
    수조작형 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이 상기 리셉터클에 인접하여 상기 핸드 피스를 빠져나오는 경우, 상기 다용도 도관이 약 0 온스-인치의 토크를 상기 핸드 피스에 대해 생성하는,
    수조작형 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대체로 상기 핸드 피스 상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부 아래에 배치되는,
    수조작형 기구.
  12.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유체를 멀리 반송하기 위해 전기 수술시 사용하기 위한 의료 기구이며,
    수술 부위로부터 연기/유체를 멀리 반송하도록 구성된 연기/유체 배출 호스를 포함하는 다용도 도관; 및
    근위 단부, 유입구를 가진 원위 단부, 및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 배치된 중앙부를 가진 핸드 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는 연기/유체 배출 호스가 연결되는 리셉터클을 갖고, 상기 연기/유체 배출 호스는 상기 유입구와 유체 소통하며,
    상기 핸드 피스는, 상기 다용도 도관의 적어도 일부가 채널 시스템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채널 시스템으로부터 다용도 도관의 출구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채널 시스템은 상기 출구 위치가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근위 단부 사이에서 상기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출구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 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시스템은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근위 단부 사이에 하나 이상의 분리된 출구 위치를 포함하는,
    의료 기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은 하나 이상의 전기 케이블을 포함하는,
    의료 기구.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은 다수의 연기/유체 배출 호스를 포함하는,
    의료 기구.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은 약 0.5인치의 외경을 가진,
    의료 기구.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은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은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된,
    의료 기구.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은 상기 핸드 피스에 대해 토크를 생성하고, 상기 토크는 상기 다용도 도관이 상기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핸드 피스를 빠져나가는 경우의 약 5.0 온스-인치로부터 상기 다용도 도관이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핸드 피스를 빠져나가는 경우의 약 0 온스-인치까지 감소하는,
    의료 기구.
  19. 핸드 피스와, 상기 핸드 피스에 전기 에너지 소오스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고 상기 핸드 피스로부터 연기/유체를 멀리 반송하도록 구성된 다용도 도관을 포함하는 수조작형 기구이며,
    상기 핸드 피스는,
    근위 단부와 그 내부에 연기/유체 유입구를 가진 원위 단부;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다용도 도관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상기 수조작형 기구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입력 디바이스; 및
    상기 다용도 도관의 적어도 일부를 그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된 채널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 시스템은 채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다용도 도관의 출구 위치가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출구 위치가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근위 단부 사이에서 상기 핸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조작형 기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시스템은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상기 핸드 피스의 근위 단부까지 연장하는 길이방향 채널을 포함하는,
    수조작형 기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채널은 길이방향 채널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복수의 멈춤쇠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멈춤쇠들은 상기 길이방향 채널 내에 상기 다용도 도관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수조작형 기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채널은 상기 다용도 도관이 길이방향 채널을 빠져나갈 수 있는 복수의 미리 획정되어 분리된 출구 위치들을 추가로 획정하는,
    수조작형 기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리 획정되어 분리된 출구 위치들은 상기 길이방향 채널의 길이를 따라 상기 복수의 멈춤쇠들 사이에 형성된,
    수조작형 기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은 내부 유동 채널을 획정하며, 상기 내부 유동 채널은 상기 다용도 도관의 길이 전체 걸쳐 대체로 균일한 직경을 가진,
    수조작형 기구.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도관은 상기 핸드 피스에 대해 토크를 생성하고, 상기 토크는 상기 다용도 도관이 상기 근위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핸드 피스를 빠져나가는 경우의 최대 레벨로부터 상기 다용도 도관이 상기 핸드 피스의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에서 상기 핸드 피스를 빠져나가는 경우의 최소 레벨까지 감소하는,
    수조작형 기구.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의 최대 레벨은 약 5 온스-인치 내지 약 7 온스-인치인,
    수조작형 기구.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의 최소 레벨은 약 0 온스-인치인,
    수조작형 기구.
KR1020130076963A 2012-07-03 2013-07-02 조정가능한 다용도 도관을 구비한 핸드 피스 KR102084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41,210 US8882767B2 (en) 2009-04-24 2012-07-03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adjustable utility conduit
US13/541,210 2012-07-03
US13/831,379 US8882768B2 (en) 2009-04-24 2013-03-14 Hand piece with adjustable utility conduit
US13/831,379 2013-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84A true KR20140004584A (ko) 2014-01-13
KR102084386B1 KR102084386B1 (ko) 2020-04-14

Family

ID=4880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963A KR102084386B1 (ko) 2012-07-03 2013-07-02 조정가능한 다용도 도관을 구비한 핸드 피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2) EP3434215B1 (ko)
JP (1) JP6174394B2 (ko)
KR (1) KR102084386B1 (ko)
CN (1) CN103519881B (ko)
AU (1) AU2013206624B2 (ko)
BR (1) BR102013017083B1 (ko)
CA (1) CA2820538C (ko)
ES (1) ES2718466T3 (ko)
IL (1) IL227183B (ko)
MX (1) MX339387B (ko)
NZ (1) NZ612445A (ko)
WO (1) WO2014007933A1 (ko)
ZA (1) ZA2013064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9781B2 (ja) * 2014-07-02 2016-08-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超音波プローブ及び超音波処置具
JP6576166B2 (ja) * 2015-08-31 2019-09-18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インキ及び積層体
BR112019008763B1 (pt) * 2016-10-31 2024-04-30 U.S. Patent Innovations Llc Fixação para sistema eletrocirúrgico
US11207126B2 (en) * 2017-07-21 2021-12-28 Medtronic Advanced Energy Llc Smoke evacuation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10939897B2 (en) * 2019-02-21 2021-03-09 GeneJet Biotech Co., Ltd. Hand-held adhesive deliver apparatus
CN110884252B (zh) * 2019-11-07 2021-08-10 浙江锦康实业有限公司 一种便携式烫金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62791A1 (en) * 2007-08-30 2009-03-05 Lee Alan R Integrated smoke evacuation electrosurgical pencil and method
US20100274242A1 (en) * 2009-04-24 2010-10-28 Greep Darcy W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adjustable power cab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2838A (en) * 1981-01-23 1986-01-07 Walker William S Electrosurgery instrument
US4936842A (en) 1987-05-08 1990-06-26 Circon Corporation Electrosurgical probe apparatus
US5674219A (en) * 1994-10-06 1997-10-07 Donaldson Company, Inc. Electrosurgical smoke evacuator
US5685838A (en) * 1995-04-17 1997-11-11 Xomed-Treace, Inc. Sinus debrider apparatus
AU3894495A (en) * 1995-10-20 1997-05-07 Donaldson Company Inc. Electrosurgical smoke evacuator and system
US5836909A (en) * 1996-09-13 1998-11-17 Cosmescu; Ioan Automatic fluid control system for use in open and laparoscopic laser surgery and electrosurgery and method therefor
US6689146B1 (en) * 1999-04-29 2004-02-10 Stryker Corporation Powered surgical handpiece with integrated irrigator and suction application
SE0100160D0 (sv) * 2001-01-22 2001-01-22 Atos Medical Ab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energetic ultrasonic tissue treatment
US6958071B2 (en) * 2002-07-13 2005-10-25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tool system
EP1902682B1 (en) * 2003-11-14 2017-01-11 Lina Medical ApS Length adjustable electro-surgical pencil with suction means
US8414576B2 (en) * 2005-12-02 2013-04-09 Ioan Cosmescu Swivel device for electrosurgery pencil and surgical smoke evacuation
US7947039B2 (en) * 2005-12-12 2011-05-24 Covidien Ag Laparoscopic apparatus for performing electrosurgical procedures
US20090125023A1 (en) * 2007-11-13 2009-05-14 Cytyc Corporation Electrosurgical Instru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62791A1 (en) * 2007-08-30 2009-03-05 Lee Alan R Integrated smoke evacuation electrosurgical pencil and method
US20100274242A1 (en) * 2009-04-24 2010-10-28 Greep Darcy W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adjustable power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20538A1 (en) 2014-01-03
ZA201306417B (en) 2015-03-25
BR102013017083B1 (pt) 2021-11-23
CA2820538C (en) 2020-07-21
AU2013206624B2 (en) 2017-04-20
NZ612445A (en) 2014-05-30
KR102084386B1 (ko) 2020-04-14
IL227183A0 (en) 2014-03-31
EP3434215B1 (en) 2021-08-11
EP3434215A1 (en) 2019-01-30
JP6174394B2 (ja) 2017-08-02
WO2014007933A1 (en) 2014-01-09
ES2718466T3 (es) 2019-07-02
JP2014012140A (ja) 2014-01-23
IL227183B (en) 2019-10-31
BR102013017083A2 (pt) 2016-10-04
EP2682066B1 (en) 2019-02-06
AU2013206624A1 (en) 2014-01-23
EP2682066A1 (en) 2014-01-08
MX2013007671A (es) 2014-10-01
CN103519881B (zh) 2018-01-30
CN103519881A (zh) 2014-01-22
MX339387B (es)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3693B2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8882768B2 (en) Hand piece with adjustable utility conduit
US8882767B2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adjustable utility conduit
JP6591575B2 (ja) 流体排出装置
KR102084386B1 (ko) 조정가능한 다용도 도관을 구비한 핸드 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