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411U -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411U
KR20140003411U KR2020120011061U KR20120011061U KR20140003411U KR 20140003411 U KR20140003411 U KR 20140003411U KR 2020120011061 U KR2020120011061 U KR 2020120011061U KR 20120011061 U KR20120011061 U KR 20120011061U KR 20140003411 U KR20140003411 U KR 201400034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walking
band
leaf spring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129Y1 (ko
Inventor
이원용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이원용
이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용, 이상석 filed Critical 이원용
Priority to KR2020120011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29Y1/ko
Priority to PCT/KR2013/009219 priority patent/WO2014084497A1/ko
Publication of KR20140003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밑창과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완충부를 신발에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보행시 마사이워킹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행충격 완충 보조기구의 밑창 뒷부분에 u자 모양의 판스프링을 결합함으로써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고 하중이 발 뒤꿈치에서 앞쪽으로 이동하게 하여 마사이워킹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밑창 앞 부분의 윗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시 발바닥 앞 부분이 지압될 수 있고 밑창의 밑면은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보행시 체중에 의한 하중을 발바닥 전체로 골고루 분산시켜 마사이워킹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체결부1 및 체결부2 로 구성된 체결부를 통하여 결속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발과의 일체감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 내측에 제2 탄성체를 삽입함으로써 무거운 짐을 들거나 과체중의 사람이 착용시에도 탄성폭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최적의 마사이워킹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Apparatus for Removing Walking Shock}
본 고안은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밑창과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완충부를 신발에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보행시 마사이워킹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인구 고령화에 발맞추어 많은 사람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웰빙운동을 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걷기 운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걷기 운동으로는 팔을 위아래로 힘차게 저으면서 걷는 파워워킹, 마사이족의 걸음걸이로 유명한 마사이워킹, 뒤로걷기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이 중 마사이워킹은 아프리카 마사이족의 워킹법에서 착안한 것으로서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닿는 기분으로 마치 바퀴가 굴러가듯 체중을 발바닥 전체로 이동하면서 걷는 방법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마사이워킹법은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 발 뒤꿈치에 의한 착지단계, 발 뒤꿈치에서 중심으로 이동하는 단계, 중심에서 발가락으로 이동하여 지면을 미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마사이 워킹법은 신체 하중의 자연스러운 이동으로 하중을 발바닥 전체로 고루 분산시켜 무릎과 허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 관절염이나 허리통증을 예방하고 발바닥 전체를 고루 지압하여 당뇨나 비만 등의 질병에도 유익하여 세간에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능성 신발이나 신발보조기구 등이 상업화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신발보조기구로 기능성 신발과는 달리 휴대가 가능하며 착용자의 개별적인 특성에 따라 마사이워킹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신발보조기구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20-2011-0001520U(2011.02.14)과 특허문헌 10-2011-0029953A(2011.03.23)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바닥부분이 단순히 반달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앞부분만이 반달모양을 형성하고 있어 완벽한 마사이워킹을 구현할 수 없고 또한 체결부도 한쪽에 치중되어 있거나 불안정하게 설계되어 걷기 운동시 마모나 과중한 힘으로 떨어질 염려가 있었다.
한편 보행시 하중을 받는 바닥부분의 재질도 한 가지로 되어 있거나 하나의 완제품 형태로 나와 체중에 따른 쿠션을 고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1] KR 20-2011-0001520 U 2012.02.14 [문헌2] KR 10-2011-0029953 A 2011.03.23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행시 지면과 맞닿는 밑창과, 밑창 뒷부분에 U자 모양의 판스프링이 결합된 완충부를 신발에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하중이 발 뒤꿈치에서 앞꿈치 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하여 마사이워킹을 유도하기 위한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밑창 앞부분의 윗면은 반원모양의 요철을 구비하여 보행시 발바닥 앞 부분이 지압 될 수 있도록 하고 밑창 앞부분의 밑면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하여 신체의 하중이 발 앞꿈치에서 발가락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밑창과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완충부를 밴드a와 밴드b로 구성된 제1 체결밴드 및 제2 체결밴드로 신발에 체결함으로써 신발과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신발과의 일체감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판스프링에 제2 탄성체를 삽입함으로써 무거운 짐을 들거나 과체중의 사람이 착용시에도 탄성폭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최적의 마사이 워킹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신발에 탈부착할 수 있는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완충보조기구를 부착하여 보행시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위가 밑면에 형성되고 윗면의 뒷부분은 오목하게 들어간 홈 구조를 갖는 밑창;과 상기 밑창 윗면의 뒷부분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며 단면의 형상이 U자 모양으로 된 판스프링; 상기 밑창에 상기 판스프링을 결합시켜주는 스프링 결합수단; 및 상기 밑창과 상기 판스프링이 결합되어 구성된 완충부를 신발에 고정시켜주는 체결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밑창 앞 부분의 윗면은 요철을 형성하고 밑창 앞부분의 밑면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결합수단은 상기 하부 스프링판과 상기 밑창 뒷부분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 밑창 뒷부분의 윗면과 하부 스프링판의 밑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밴드는 체결수단인 버클을 포함하고 있는 밴드a와, 상기 밴드a의 버클 부위와 결속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판에 마련된 제1 고리를 관통하여 상기 밴드a의 끝 부분에 결속되는 밴드b로 구성된 제1 체결밴드; 및 일단에 밴드 고리를 형성하며 중단부에 버클부를 구비하고 있는 제2 체결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보조기구의 상부 스프링판의 밑면과 하부 스프링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보강하는 제2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신발 보행충격 완충 보조기구의 밑창 뒷부분에 U자 모양의 판스프링을 결합함으로써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고 하중이 발 뒤꿈치에서 앞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하여 마사이워킹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밑창 앞 부분의 윗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시 발바닥 앞 부분이 지압될 수 있고 밑창 앞 부분의 밑면은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보행시 체중에 의한 하중을 발바닥 전체로 골고루 분산시켜 마사이워킹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로 구성된 체결부를 통하여 신발과의 결속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발과의 일체감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 내측에 제2 탄성체를 삽입함으로써 무거운 짐을 들거나 과체중의 사람이 착용시에도 탄성폭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최적의 마사이워킹을 구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의 밑창과 판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완충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완충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의 제1 체결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의 제2 체결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에 하중이 가해진 상태의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스프링이 삽입된 판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토션스프링이 삽입된 판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이하 '완충보조기구'라 한다.)로서, 상기 완충보조기구(100)를 부착하여 보행시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위가 밑면에 형성되고 윗면의 뒷부분은 오목하게 들어간 홈 구조를 갖는 밑창(112)과, 상기 밑창(112) 윗면의 뒷부분에 형성된 홈(112b)에 결합되며 단면의 형상이 U자 모양으로 된 판스프링(114)과, 상기 밑창(112)에 상기 판스프링(114)을 결합시켜주는 판스프링 결합수단 및 상기 밑창(112)과 상기 판스프링(114)이 결합되어 구성된 완충부(110)를 신발에 고정시켜주는 체결밴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완충보조기구의 밑창과 판스프링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완충보조기구의 완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완충보조기구(100)의 밑창(112) 앞 부분의 윗면은 요철(112a)을 구비하고 밑창(112) 뒷부분의 윗면은 단면의 형상이 U자 모양으로 된 판스프링(114)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밑창(112) 중간의 경사면을 시작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112b)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요철(112a)은 보행시 발바닥 앞면 부위가 지압될 수 있도록 하며 밑창(112) 앞 부분의 윗면과 신발바닥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신발이 완충보조기구(100)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밑창(112) 앞 부분의 밑면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하여 밑창(112)의 밑 모양을 둥글게 함으로써 보행시 신체의 하중을 발 앞꿈치에서 발가락 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시켜 마사이워킹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밑창(112)의 재질은 하중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를 위해 우레탄이나 고무재질로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밑창(112) 뒷부분에는 U자 모양의 판스프링(114)을 설치함으로써 하중으로 인한 뒤꿈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이고 무게중심을 자연스럽게 앞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U자 모양의 판스프링(114)은 스프링의 골 부위의 탄성폭(A)과 골로부터 이격된 곳의 탄성폭(B)이 서로 달라 하나의 스프링으로 탄성폭이 다른 여러 개의 스프링을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데, 이러한 탄성폭의 차이에 의하여 무게중심이 발 뒤꿈치에서 앞부분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114)은 하중을 견디고 충분한 탄성을 낼 수 있는 금속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탄소강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판스프링 결합수단은 하부 스프링판(114b)과 오목하게 들어간 밑창의 홈(112b)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서로 일치하는 개구(112f, 114f)를 마련하고 볼트(142)를 밑창(112)의 밑면에 끼워 밑창(112)과 하부 스프링판의 개구(112f, 114f)를 통하여 너트(144)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방식,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하부 스프링판(114b)의 밑면과 밑창(112)의 뒷부분을 결합하는 방식 중 하나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접착제는 밑창(112) 뒷부분의 윗면과 하부 스프링판(114b)의 밑면에 도포된다.
그 결과 판스프링(114)과 밑창(112)을 단단히 조이게 되어 밀착감을 높이고, 판스프링(114)이 밑창(112) 뒷부분의 오목한 홈(112b)에 결합될 때, 상부 스프링판(114a)과 밑창(112) 앞부분의 윗면의 높이가 같게 되어 착용시 신발과의 일체감을 느낄 수 있다.
도 4는 완충보조기구의 완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완충보조기구의 제1 체결밴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완충보조기구의 제2 체결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완충보조기구(100)의 체결밴드(120)는 밑창(112)의 앞 부분에 마련된 긴 홀(112h)과 판스프링(114)의 제1 고리(114c)를 통하여 체결되는 제1 체결밴드(122)와, 판스프링(114)의 제2 고리(114d)를 통하여 체결되는 제2 체결밴드(124)로 구성된다.
한편 제1 체결밴드(122)는 버클(122c)을 포함하는 밴드a(122a)와, 밴드a(122a)의 버클(122c)과 인접한 곳에 결속된 밴드b(122b)로 구성되며, 제2 체결밴드(124)는 밴드 말단을 끼워넣을 수 있는 밴드고리(124a)와 밴드말단의 중간부분에 결속된 버클부(124b)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버클부(124b)는 버클과 짧은 밴드로 이루어진다.
한편, 체결밴드(120)의 체결수단은 버클 대신 벨크로도 가능할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따라 제1 체결밴드(122)의 체결방식을 살펴보면, 밑창(112)의 앞 부분에는 중공형상의 관(116)이 들어갈 수 있도록 홀(112h)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밴드a(122a)는 홀(112h)에 삽입된 관(116)을 관통하여 버클(122c)에 의하여 신발과 체결된다. 그리고 밴드b(122b)는 일단은 밴드a(122a)의 버클(122c)과 인접한 부분에 결속되며 타단은 상부 스프링판(114a)에 형성된 제1 고리(114c)를 관통한 뒤 밴드a(122a)의 말단 쪽에 결속되어 밴드a(122a)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그 결과 밴드a(122a)의 체결력을 강화시키고 보행시 밑창(112)과 판스프링(114)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밑창(112) 앞 부분의 긴 홀(112h)에 삽입된 관(116)은 보행시 제1 체결밴드(122)가 마모되지 않도록 하고 체결상태가 온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따라 제2 체결밴드(124)의 체결방식을 살펴보면, 제2 체결밴드(124)의 일단에 밴드고리(124a)가 형성되며, 제2 체결밴드(124)의 말단이 판스프링(114)의 제2 고리(114d)를 관통한 뒤 밴드고리(124a)를 통하여 버클부(124b)에 있는 버클과 체결된다. 따라서 제2 체결밴드(124)는 발목의 앞 부분과 뒷부분을 동시에 조여 완충보조기구(100)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완충보조기구에 하중이 가해진 상태의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하중이 가해지면 상부 스프링판(114a)과 하부 스프링판(114b)의 말단부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밑창(112)은 더욱 둥근 모양을 형성하여 보행시 착지감과 충격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탄성력에 의해 상부 스프링판(114a)과 하부 스프링판(114b)의 간격이 다시 넓어지면 하중이 자연스럽게 발바닥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마사이워킹이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제2 탄성체가 삽입된 판스프링을 나타낸 것으로, 도 8은 압축스프링이 삽입된 판스프링의 사시도이며 도 9는 토션스프링이 삽입된 판스프링의 사시도이다.
제2 탄성체인 압축스프링(132)은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고정부를 통하여 판스프링(114)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의 (가)는 일례로 볼트(152)를 스프링판(114)의 볼트공(156)에 끼워 너트(154)로 조인 다음 상부 스프링판(114a) 밑면과 하부 스프링판(114b) 윗면에 볼트 돌출부를 형성하여 압축스프링(1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부(150)를 구현한 것이다. 도 8의 (가)에 표기된 점선부분은 4개의 고정부(150) 중 어느 한 곳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나)는 다른 일례로 상부 스프링판(114a)의 밑면과 하부 스프링판(114b)의 윗면에 압축스프링(1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162)을 구비하여 고정부(160)를 구현한 것이다. 도 8의 (나)에 표기된 점선부분은 4개의 고정부(160) 중 어느 한 곳의 Y-Y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150, 160)를 통하여 탄성 강도를 달리하는 여러 개의 압축스프링(132)을 판스프링(114)에 탈·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여러 상황에 따른 하중의 차이를 극복하고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제2 탄성체의 다른 예로 토션스프링(134)이 판스프링(114)의 고정부(170)에 부착된 경우이다. 이 경우 토션스프링(134)은 판스프링(114) 내측 브라켓(1472)과 말단부에 있는 반원 모양의 작은 고리(174)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판스프링(114)에 제2 탄성체를 삽입함으로써 판스프링(114)의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으며 한편 무거운 짐을 들거나 과체중의 사람이 착용시에도 탄성폭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최적의 마사이워킹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압축스프링(132)과 토션스프링(134)은 제2 탄성체의 예시이며 이 밖에도 다양한 탄성체가 판스프링(114)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100: 완충보조기구 110: 완충부
112: 밑창 114: 판스프링
116: 관 120: 체결밴드
122: 제1 체결밴드 124: 제2 체결밴드
132: 압축스프링 134: 토션스프링

Claims (5)

  1. 신발에 탈부착할 수 있는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완충보조기구를 부착하여 보행시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위가 밑면에 형성되고 윗면의 뒷부분은 오목하게 들어간 홈 구조를 갖는 밑창;
    상기 밑창 윗면의 뒷부분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며 단면의 형상이 U자 모양으로 된 판스프링;
    상기 밑창에 상기 판스프링을 결합시켜주는 판스프링 결합수단; 및
    상기 밑창과 상기 판스프링이 결합되어 구성된 완충부를 신발에 고정시켜주는 체결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앞 부분의 윗면은 요철을 형성하고 밑창 앞부분의 밑면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결합수단은 상기 하부 스프링판과 상기 밑창 뒷부분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 밑창 뒷부분의 윗면과 하부 스프링판의 밑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밴드는 체결수단인 버클을 포함하고 있는 밴드a와, 상기 밴드a의 버클 부위와 결속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판에 마련된 제1 고리를 관통하여 상기 밴드a의 끝 부분에 결속되는 밴드b로 구성된 제1 체결밴드; 및 일단에 밴드 고리를 형성하며 중단부에 버클부를 구비하고 있는 제2 체결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구의 상부 스프링판의 밑면과 하부 스프링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탈·부착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보강하는 제2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KR2020120011061U 2012-11-29 2012-11-29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KR200476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061U KR200476129Y1 (ko) 2012-11-29 2012-11-29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PCT/KR2013/009219 WO2014084497A1 (ko) 2012-11-29 2013-10-16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061U KR200476129Y1 (ko) 2012-11-29 2012-11-29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411U true KR20140003411U (ko) 2014-06-10
KR200476129Y1 KR200476129Y1 (ko) 2015-02-02

Family

ID=5082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061U KR200476129Y1 (ko) 2012-11-29 2012-11-29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6129Y1 (ko)
WO (1) WO20140844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622A (ko) * 2014-08-20 2016-03-02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골프연습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27915B (zh) * 2015-08-27 2018-07-01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鞋底緩衝模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3028A (en) * 1996-10-03 1998-04-28 Lombardino; Thomas D. Spring-air shock absorbtion and energy return device for shoes
KR19990009245U (ko) * 1997-08-19 1999-03-15 박래선 신발밑창에 판스프링이 장착된 신발
KR200265561Y1 (ko) * 2001-11-30 2002-02-21 노홍빈 조깅용 신발
KR20070109967A (ko) * 2007-10-22 2007-11-15 우경식 반달운동화
KR101052231B1 (ko) * 2008-06-11 2011-08-01 장지수 착탈가능한 마사이형 신발밑창
KR101057679B1 (ko) 2009-10-08 2011-08-18 (재)부산경제진흥원 골밀도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신발 구조체
KR20120003743U (ko) * 2010-11-19 2012-05-30 김광영 판 스프링 점핑 신발
KR101166466B1 (ko) 2011-08-05 2012-07-19 하용호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622A (ko) * 2014-08-20 2016-03-02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골프연습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4497A1 (ko) 2014-06-05
KR200476129Y1 (ko)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74045A1 (en) Athletic footwear and the like with integral supinator device
JP2008535639A (ja) 三拍子歩行用履物
JPH07298903A (ja) 靴の底
US20180020771A1 (en) Air cushion shoe device
KR200476129Y1 (ko)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KR101524229B1 (ko) 스프링 매립 중창과 플랫폼을 구비하는 하이힐
KR200461631Y1 (ko) 아치부위체형 맞춤 선택형 충격흡수분산기능성 보형물을 갖는 신발
KR101483775B1 (ko) 전방추진강화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러닝 신발
KR101366132B1 (ko)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KR101945727B1 (ko)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JP6721995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KR102656858B1 (ko) 건강보조 신발
CN215381830U (zh) 减震助力鞋底
CN100493405C (zh) 具有舒适度和性能增进特性的高跟时尚鞋
KR200397212Y1 (ko) 점핑용 탄성신발
KR101220444B1 (ko) 신발창
KR102545261B1 (ko) 평편족 교정 인솔
KR200190655Y1 (ko) 등산용 아이젠
KR100979261B1 (ko) 스포츠 런닝 슈즈
KR200458030Y1 (ko) 족궁 마사지 기능을 갖춘 신발 밑창
KR20160013629A (ko) 기능성 신발
JP3111460U (ja) 履物
JP3211541U (ja) 履物
KR20030059780A (ko)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
KR20170130913A (ko) 안전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