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194U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라면 홀더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라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194U
KR20140003194U KR2020120010709U KR20120010709U KR20140003194U KR 20140003194 U KR20140003194 U KR 20140003194U KR 2020120010709 U KR2020120010709 U KR 2020120010709U KR 20120010709 U KR20120010709 U KR 20120010709U KR 20140003194 U KR20140003194 U KR 201400031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cup
hold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용
Original Assignee
박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용 filed Critical 박무용
Priority to KR2020120010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194U/ko
Publication of KR20140003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라면의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의 상단부 외주면에 뚜껑을 지지할 수 있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를 가로질러 덮고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외부커버가 형성되며, 상기 컵라면 용기와 커버를 눌러 밀착시키는 내부커버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커버와 내부커버를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뚜껑으로 구비되는 홀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라면 홀더 {Height adjustable cup ramyeon holder}
본 고안은 컵라면을 익힐 때 컵라면 용기 커버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다양한 높이의 컵라면 용기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컵라면(10)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11)의 상부에 부착된 커버(12)를 일부 개봉한 후, 용기 내부에 위치한 스프를 꺼내어 뜯은 다음, 내용물을 용기(11)의 내부에 투입하고, 끓인 물을 부은 후, 커버(12)를 용기(11)의 상단에 밀착시켜 밀폐시킨 상태에서 라면이 익을 때까지 기다린 후 섭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컵라면 용기의 한 번 개봉된 커버는 용기의 상면에 재 부착이 되지 않아 별도의 물건으로 커버를 눌러주지 않는 한, 개봉된 커버의 공간으로 열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컵라면을 익힐 때, 용기의 상면과 커버가 이격되어서 열이 용기 바깥으로 누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컵라면 용기와 커버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다양한 높이의 컵라면 용기에 대해거도 밀폐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컵라면의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의 상단부 외주면에 뚜껑을 지지할 수 있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를 가로질러 덮고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외부커버가 형성되며, 상기 컵라면 용기와 커버를 눌러 밀착시키는 내부커버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커버와 내부커버를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뚜껑으로 구비되는 홀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컵라면을 익힐 때, 용기의 상면과 커버가 밀폐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컵라면 용기의 높이가 다양하게 변화하여도 상기 밀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 일반적인 컵라면의 사시도
도 2 : 걸림돌기와 후크 및 지지돌기로 결합되는 컵라면 홀더의 단면도
도 3 : 걸림돌기와 후크 및 지지돌기로 결합되는 컵라면 홀더의 사시도
도 4 : 걸림돌기와 후크로 결합되는 컵라면 홀더의 사시도
도 5 : 몸체에 관통홈이 적용된 컵라면 홀더의 사시도
도 6 : 몸체에 손잡이가 적용된 컵라면 홀더의 사시도
도 2와 도 3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용기(11)와 용기의 상부에 부착된 커버(12)를 접착한 컵라면에 있어서, 상기 컵라면의 용기(1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11)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211)의 상단부 외주면에 걸림돌기(214)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의 타측에 관통공(215a)이 관통된 지지편(215)이 대향하게 형성된 몸체(2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215)의 관통공(21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돌기(2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21)의 상단부를 가로질러 덮는 외부커버(22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14)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223)가 형성되고, 상기 컵라면 용기(11)와 커버(12)를 눌러 밀착시키는 내부커버(224)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커버(222)와 내부커버(224)를 연결하는 스프링(225)으로 형성되는 뚜껑(22)으로 구비되는 홀더(20)가 구성된다.
도 4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컵라면의 용기(1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11)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211)의 상단부 외주면에 두 개 이상의 걸림돌기(214)가 외주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된 몸체(2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21)의 상단부를 가로질러 덮는 외부커버(22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14)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223)가 상기 외부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컵라면 용기(11)와 커버(12)를 눌러 밀착시키는 내부커버(224)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커버(222)와 내부커버(224)를 연결하는 스프링(225)으로 형성되는 뚜껑(22)으로 구비되는 홀더(20)가 구성된다.
도 5와 같이 컵라면을 상기 몸체(21)에 넣고 뺄 때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몸체에 한 개 이상의 관통홈(212)을 추가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홀더의 홀딩 및 이동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몸체(21)의 적절한 곳에 한 개 이상의 손잡이(213)를 추가할 수 있다.
10 : 컵라면 11 : 용기 12 : 커버
20 : 홀더 21 : 몸체
211 : 수용공간 212 : 관통홈 213 : 손잡이 214 : 걸림돌기 215 : 지지편 215a : 관통공
22 : 뚜껑 221 : 지지돌기 222 : 외부커버 223 : 후크 224 : 내부커버 225 : 스프링

Claims (6)

  1. 용기(11)와 용기의 상부에 부착된 커버(12)를 접착한 컵라면에 있어서,
    상기 컵라면의 용기(1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11)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211)의 상단부 외주면에 걸림돌기(214)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의 타측에 관통공(215a)이 관통된 지지편(215)이 대향하게 형성된 몸체(21);
    상기 지지편(215)의 관통공(21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돌기(2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21)의 상단부를 가로질러 덮는 외부커버(22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14)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223)가 형성되고, 상기 컵라면 용기(11)와 커버(12)를 눌러 밀착시키는 내부커버(224)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커버(222)와 내부커버(224)를 연결하는 스프링(225)으로 형성되는 뚜껑(22)으로 구비되는 홀더(2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에 한 개 이상의 관통홈(2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에 한 개 이상의 손잡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홀더.
  4. 용기(11)와 용기의 상부에 부착된 커버(12)를 접착한 컵라면에 있어서,
    상기 컵라면의 용기(1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11)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211)의 상단부 외주면에 두 개 이상의 걸림돌기(214)가 외주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된 몸체(21);
    상기 몸체(21)의 상단부를 가로질러 덮는 외부커버(22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14)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223)가 상기 외부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컵라면 용기(11)와 커버(12)를 눌러 밀착시키는 내부커버(224)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커버(222)와 내부커버(224)를 연결하는 스프링(225)으로 형성되는 뚜껑(22)으로 구비되는 홀더(2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홀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에 한 개 이상의 관통홈(2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홀더.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에 한 개 이상의 손잡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홀더.
KR2020120010709U 2012-11-21 2012-11-2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라면 홀더 KR201400031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709U KR20140003194U (ko) 2012-11-21 2012-11-2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라면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709U KR20140003194U (ko) 2012-11-21 2012-11-2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라면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94U true KR20140003194U (ko) 2014-05-29

Family

ID=5244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709U KR20140003194U (ko) 2012-11-21 2012-11-2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라면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19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294A (ko) * 2016-02-23 2017-08-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튐 방지유닛을 가지는 그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294A (ko) * 2016-02-23 2017-08-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튐 방지유닛을 가지는 그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07746S1 (en) Cup lid for tea
JP6013265B2 (ja) 中皿付き容器
RU2655150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упаковки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насыпного продукта
RU2645608C2 (ru) Узел вакуумной колбы
RU2014136722A (ru) Самонагревающийся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подвергнутых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кулинарной обработке
RU2015122611A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осуда
EA201491897A1 (ru) Капсул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RU148678U1 (ru) Емкость, содержащая сосуд и крышку
WO2010142417A3 (en) Brewing head of a hot beverage dispenser based on dimensionally stable beverage capsules
JP6214121B2 (ja) 中皿付き容器
RU2015155531A (ru) Выдач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RU2015114579A (ru) Емкость
WO2010125433A3 (en) Combination carrier and insulated food containers
RU2014146500A (ru) Контейнер
US20140103025A1 (en) Seal for use in an electrically heated vessel
KR20140003194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라면 홀더
KR200470022Y1 (ko) 멸치 거르개기
KR101215123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101528561B1 (ko) 용기 포장 박스
KR20160120847A (ko)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KR101709015B1 (ko) 조리용기용 뚜껑 손잡이
WO2004103132A1 (en) Handle of the pot-lid for preventing the contents in the pot from overflowing
US20120043336A1 (en) Container Assembly with Removable Lid
KR20080097280A (ko) 위생적이며 간편한 다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