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870U -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 Google Patents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870U
KR20140002870U KR2020140002322U KR20140002322U KR20140002870U KR 20140002870 U KR20140002870 U KR 20140002870U KR 2020140002322 U KR2020140002322 U KR 2020140002322U KR 20140002322 U KR20140002322 U KR 20140002322U KR 20140002870 U KR20140002870 U KR 201400028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spline shaft
nut housing
nut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4494Y1 (ko
Inventor
추화엽
Original Assignee
대성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하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2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49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8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4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52Cutting apparatus
    • A01D34/535Cutting apparatus with cutting members pivotally attached to the rotating axle, e.g. fl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9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with means for discharg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62Oth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예초기 자루 끝 헤드(100)에 구비된 스플라인축(10)에 커터 끼움돌부(21)를 가짐과 동시에 중앙부 구멍 내경에 상기 스플라인축에 끼워지는 스플라인홈(22) 구비하여서 된 커터 안착링(20)과, 상기 커터 안착링(20)의 끼움돌부(21)에 끼워지도록 구멍(31)이 형성된 커터(30)와, 상기 커터(30)가 끼워진 뒤 스플라인축(10)에 끼워 조립되어 커터(30)에 밀착되는 돌부(42)가 가장자리에 형성됨과 동시에 중앙부에 스플라인홈(41)을 가진 원형의 칼라(40)와, 상기 칼라(40)에 안착되는 안착면(51)과, 너트(60)가 스플라인축(10) 끝의 나사봉(11)에 안정적으로 체결 고정되도록 홈(52)이 형성된 너트 하우징(50)으로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상기 너트 하우징(50)의 양측에 소정의 폭과 길이로 부양익(5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너트하우징(50)에 양측에 형성된 부양익(53)이 커터(30)와 함께 동시에 회전함으로서 공간(55) 사이로 강제 통과되는 공기는 마치 제트엔진에서처럼 빠르게 강제 통과되면서 매우 강력한 와류를 발생하게 되며, 이는 커터(30) 주위에 강력한 와류막을 형성하게 되어 절단된 잡초나 커터(100)에 부딪혀 파쇄된 흙덩이, 돌 등이 비산되지 못하고 하부로 바로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됨과 동시에 커터(100)를 부양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어 예초기의 성능저하 및 수명단축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예초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도 따르는 것이다.

Description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Buoyancy device of grass cutting blade}
본 고안은 예초기 커터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너트하우징의 양측에 부양익을 형성함으로써, 커터와 함께 회전하는 과정에서 커터와 부양익 사이로 통과되는 기류에 의해 커터가 부양되려 하게하고, 이에 따라 작업 과정에서 예초기의 중량이 경량화 됨과 동시에 부양익에 의해 돌이나 이물질의 비산이 예방되어 안전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한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잡초는 산이나 들을 비롯하여 경작지, 도로 그 밖의 빈터에서 자라며 생활에 도움이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각종 농작물의 생장 및 성장을 방해하고 병균과 각종 벌레의 서식처 또는 번식처가 되기도 하며 작물의 종자에 섞였을 경우에는 작물의 성장 및 생산성 저하와 품질 저하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잡초는 대부분 예초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제초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예초기는 내연기관이나 전기를 통해 공급되는 동력을 칼날에 전달하여 회전 또는 직선 운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지면에 자란 풀이나, 잡초 등을 절단 제거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인 종래의 휴대용 예초기는, 커터를 구동시키는 동력발생장치를 등에 지거나 옆구리에 메는 등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구성한 본체부와, 와이어 축 및 로드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동력을 커터로 전달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그리고 상기 구동축이 내장되며 일 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작업봉과, 상기 작업봉의 끝부분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커터를 감싸 보호함과 동시에 안전커버의 작용을 하는 하우징과, 상기 구동축 끝에 장착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잡초를 비롯한 초목을 예초할 수 있는 커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 중 실질적으로 잡초를 절단하는 커터는 실용신안등록 제0448876호와 실용신안등록 제0268825호, 그리고 실용신안등록 제0249887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부분의 체결구멍을 중심으로 양측 회전방향 쪽 선단면에 날을 형성하여서 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커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즉, 상기한 종래의 커터는 대부분 평판형으로 된 일자형의 외날(또는 십자형이나 톱니형 등 다양함) 또는 상하 중첩된 쌍날 구성이기에 잡초 등을 예초할 때 고속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강한 바람이 사방팔방으로 방사되므로 절단된 잡초 등이 비산되는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었으며, 따라서 제초과정에서 고속 회전하는 커터가 돌이나 나뭇가지, 흙덩이에 부딪히게 되면 돌이나 흙덩이 등이 파쇄되면서 사방으로 분산 비산되게 되어 작업자를 비롯하여 주위의 사물이나 사람에게 해를 끼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따랐다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종래의 커터는 자체중량도 제법 나가는데다가 제초작업시 잡초 등을 적당한 높이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지면에서 약간 띄운 상태에서 오랜 시간(제초하고자 하는 면적에 따라 차이가 있음) 동안 들고 작업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작업자는 중량감을 크게 느낄 수밖에 없어 이로 인한 피로도가 가중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점을 다소라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0448876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터 몸체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한 것도 선보이고 있으나 이는 중량은 어느 정도 감소되는 이점이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된 초목을 비롯하여 돌이나 흙덩이 등이 분산 비산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없었다.
(1) 실용신안등록 제0448876호 (2) 실용신안등록 제0268825호 (3) 실용신안등록 제0249887호 (4) 실용신안등록 제0448876호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커터 고정을 위한 너트하우징의 양측에 부양익을 형성함으로써 고속으로 커터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커터와 부양익 사이에 수평으로 강력한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부양력이 형성되게 하여 예초작업 중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중량감이 최소화되게 하며, 절단된 잡초를 비롯해 파쇄된 돌이나 흙 등의 비산이 예방되어 예초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너트하우징에 형성하는 부양익에 한개 이상의 구멍을 천공하여 예초기의 중량 감소와 더불어 상기 구멍을 통해 기류의 와류현상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함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 부양익을 회전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도 특징으로 한다.
예초기 자루 끝 헤드(100)에 구비된 스플라인축(10)에 커터 끼움돌부(21)를 가짐과 동시에 중앙부 구멍 내경에 상기 스플라인축에 끼워지는 스플라인홈(22)을 구비하여서 된 커터 안착링(20)과, 상기 커터 안착링(20)의 끼움돌부(21)에 끼워지도록 구멍(31)이 형성된 커터(30)와, 상기 커터(30)가 끼워진 뒤 스플라인축(10)에 끼워 조립되어 커터(30)에 밀착되는 돌부(42)가 가장자리에 형성됨과 동시에 중앙부에 스플라인홈(41)을 가진 원형의 칼라(40)와, 상기 칼라(40)에 안착되는 안착면(51)과, 너트(60)가 스플라인축(10) 끝의 나사봉(11)에 안정적으로 체결 고정되도록 홈(52)이 형성된 너트 하우징(50)으로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상기 너트 하우징(50)의 양측에 소정의 폭과 길이로 부양익(5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너트 하우징 양측 부양익(53) 각각에는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구멍(54)을 천공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너트하우징(50) 양측에 형성되는 부양익(53)은 회전방향 쪽이 높게끔 경사진 형태로 형성하여 회전시 부양력이 더 크게 발생하게 함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초작업을 할 때 커터(100)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너트하우징(50)에 양측에 형성된 부양익(53)도 동일한 속도로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커터(30)와 부양익(53) 사이에 와류를 유도하는 공간(55)이 형성되게 되며, 예초기 커터(30)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 와류를 유도하는 공간(60)으로 공기가 빠르게 통과되면서 매우 강력한 와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커터(30) 주위에 강력한 와류막을 형성하게 되어 절단된 잡초나 커터(30)에 부딪혀 파쇄된 흙덩이, 돌 등이 비산되지 못하고 하부로 바로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됨과 동시에 커터(30)를 부양시키는 작용도 하게 된다.
따라서 오랜 시간 제초작업을 하더라도 커터(30)의 부양력에 의해 예초기의 중량감이나 무게감을 크게 느끼지 않게 되어 피로감이 훨씬 적은 것이며, 더불어 안전사고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따르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초기 헤드에 커터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예초기 헤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예초기 헤드에 커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예초기 헤드에 커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너트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예초기 헤드에 커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너트하우징의 사시도.
첨부도면 도1∼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도1은 커터가 조립된 예초기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2는 예초기 헤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커터가 조립된 예초기 헤드의 정면예시도이고, 도4는 커터가 조립된 예초기 헤드의 단면예시도이다.
상기 도1∼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예초기 헤드(100)의 구성이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다른 점이라면 칼라(40)와 함께 커터(30)를 가압 고정시키면서 너트(60)의 풀림방지와 커터(3)의 보호를 위해 지면과의 안전거리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된 너트하우징(50)의 양측에 부양익(53)을 형성한 점이다.
상기 부양익(53)은 폭과 길이가 커터(30)보다 좁고 짧아야 고속으로 커터(30) 및 부양익(53)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커터(30)가 베고자 하는 잡초를 신속 효율적으로 자를 수 있고, 부양익(53)과 커터(30)가 동시에 고속 회전하면서 부양익(53)과 커터(30) 사이로 통과되는 기류가 매우 빠른 속도로 통과되면서 와류를 일으키게 되기 때문에 커터(30)가 부양하게 되는 작용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제초작업시 커터(30)가 지면에서 부양하려는 작용이 발생됨에 따라 작업자가 느끼는 중량감 또는 무게감은 현저하게 줄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초작업시 커터(30)가 너트하우징(50) 양측에 형성된 부양익(53)과 함께 동시에 고속 회전함에 따라 커터(30)가 지면에서 부양하려는 작용이 발생되어 작업자는 안정적으로 예초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부양작용에 의해 작업자가 느끼는 중량감이나 무게감도 현저하게 적어져서 오랜 시간 동안 힘들이지 않고 예초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커터(30)와 부양익(53)의 유기적인 작용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30) 주위에 강력한 와류막을 형성하게 되어 커터(30)를 부양시키는 외에도 흙이나 돌 나뭇가지 등이 커터(30)에 부딪혀 비산되더라도 위로 뜨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되는 효과도 따르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예초기 자루(도시하지 않음) 끝에 장착되는 통상의 예초기 헤드(100)는, 헤드(100)에 구비된 스플라인축(10)에 커터 끼움돌부(21)를 가짐과 동시에 중앙부 구멍 내경에 상기 스플라인축(1)에 끼워지는 스플라인홈(22)을 구비하여서 된 커터 안착링(20)과, 상기 커터 안착링(20)의 끼움돌부(21)에 끼워지도록 구멍(31)이 형성된 커터(30)와, 상기 커터(30)가 끼워진 뒤 스플라인축(10)에 끼워 조립되어 커터(30)에 밀착되는 돌부(42)가 가장자리에 형성됨과 동시에 중앙부에 스플라인홈(41)을 가진 원형의 칼라(40)와, 상기 칼라(40)에 안착되는 안착면(51)과, 너트(60)가 스플라인축(10) 끝의 나사봉(11)에 안정적으로 체결 고정되도록 홈(52)이 형성된 너트 하우징(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너트하우징(50)은 스플라인축(11) 끝의 나사봉(11')에 체결되는 너트(60)가 제초작업도중에 잡초나 흙, 돌멩이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풀리는 경우를 사전에 예방함과 동시에 커터(30)와 지면과의 안전거리를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데,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너트하우징(50)의 양 측면에 부양익(53)을 형성함으로써 예초기 헤드(100)의 스플라인축(11)에 커터 안착링(20)과 커터(30), 그리고 칼라(40)와 더불어 부양익(53)을 가진 본 고안의 너트하우징(50)을 조립하게 되면 커터(30)와 부양익(53) 사이에 공간(55)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공간(55)은 커터(30)와 부양익(53)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기류가 강제로 통과되면서 유속이 매우 빠르게 작용하게 됨에 따라 와류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커터(30)가 부양하게 되어 예초기의 중량감, 무게감을 최소화시켜 주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예초기의 취급을 비롯한 사용이 한층 더 간편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커터(30)의 부양으로 예초기가 매우 가볍게 느껴지게 됨에 다라 작업자의 피로 최소화 및 안정적인 예초작업이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가 따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너트 하우징(50) 양측에 형성한 부양익(53)은 폭과 길이가 커터(30)의 폭과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이는 모든 구성과 작용이 전술한 바와 동일유사하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부양익(53)을 너트하우징(50)의 상단 양측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이 경우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터(30)와 부양익(53) 사이의 공간 폭이 더 작아지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상기 부양익(53)에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구멍(54)을 천공함으로서, 중량을 더욱 더 경량화시킴과 동시에 와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너트하우징(50) 양측에 형성되는 부양익(53)은 마치 선풍기 날개처럼 회전방향 쪽이 더욱 높게끔 경사진 형태로 형성하여 회전시 부양력이 더 크게 발생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너트하우징(50)의 외주면 양측에 부양익(53)을 형성함에 있어서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이나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더불어 고안의 목적과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 등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실시는 당연히 본 고안이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스플라인축 11 : 나사봉 20 : 커터 안착링
21 : 커터 끼움돌부 22 : 스플라인홈 30 : 커터
31 : 구멍 40 : 칼라 41 : 스플라인홈
42 : 돌부 50 :너트 하우징 51 : 안착면
52 : 홈 53 : 부양익 54 : 구멍
55 : 공간 60 : 너트 100 : 헤드

Claims (2)

  1. 예초기 자루 끝 헤드(100)에 구비된 스플라인축(10)에 커터 끼움돌부(21)를 가짐과 동시에 중앙부 구멍 내경에 상기 스플라인축에 끼워지는 스플라인홈(22) 구비하여서 된 커터 안착링(20)과, 상기 커터 안착링(20)의 끼움돌부(21)에 끼워지도록 구멍(31)이 형성된 커터(30)와, 상기 커터(30)가 끼워진 뒤 스플라인축(10)에 끼워 조립되어 커터(30)에 밀착되는 돌부(42)가 가장자리에 형성됨과 동시에 중앙부에 스플라인홈(41)을 가진 원형의 칼라(40)와, 상기 칼라(40)에 안착되는 안착면(51)과, 너트(60)가 스플라인축(10) 끝의 나사봉(11)에 안정적으로 체결 고정되도록 홈(52)이 형성된 너트 하우징(50)으로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상기 너트 하우징(50)의 양측에 소정의 폭과 길이로 부양익(5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하우징(50) 양측에 형성된 부양익(53) 각각에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구멍(54)을 천공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KR2020140002322U 2014-03-21 2014-03-21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KR200474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322U KR200474494Y1 (ko) 2014-03-21 2014-03-21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322U KR200474494Y1 (ko) 2014-03-21 2014-03-21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70U true KR20140002870U (ko) 2014-05-14
KR200474494Y1 KR200474494Y1 (ko) 2014-09-22

Family

ID=5200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322U KR200474494Y1 (ko) 2014-03-21 2014-03-21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4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620B1 (ko) * 2021-05-20 2021-08-24 김두연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KR20220007366A (ko) * 2020-07-10 2022-01-18 김혁중 공중부양 예초기 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30A (ko) 2018-10-22 2020-05-04 이원근 예초기
KR20200054509A (ko) 2018-11-12 2020-05-20 이영삼 예초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421Y1 (ko) 2002-07-05 2002-10-19 정동영 예초기 커터날 보호장치
KR20130001591U (ko) * 2011-08-30 2013-03-08 김경태 예초기용 안전커버
KR20130127337A (ko) * 2012-05-14 2013-11-22 김우영 예초기용 칼날보호장치
KR20130133982A (ko) * 2012-05-30 2013-12-10 이진수 부상 팬을 구비한 예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366A (ko) * 2020-07-10 2022-01-18 김혁중 공중부양 예초기 커터
KR102293620B1 (ko) * 2021-05-20 2021-08-24 김두연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494Y1 (ko)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494Y1 (ko)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US5493783A (en) Grass trimming device
US20070193240A1 (en) Cutting assembly with high lift impeller blade and string trimmer combination
US2942400A (en) Rotary lawn mowers
US20110277438A1 (en) Lawn Mower Blade
KR101689855B1 (ko) 다목적 제초장치
AU2019251512B2 (en) Improved cutting blade
JP2013046577A (ja) 刈払機用回転刃装置
KR101658165B1 (ko) 예초기용 절첩칼날
KR101929668B1 (ko) 예초기 커터
KR100870994B1 (ko) 예초기용 커터날
KR20140003296U (ko) 예초기 커터 부양구조
US20210051852A1 (en) Direct surface contact vegetation trimmer
KR20110002084U (ko) 베어진 풀을 쳐낼 수 있는 예초기용 절단유닛
KR101652964B1 (ko) 굴착기 장착용 식생제거장치
CN104509336A (zh) 一种割草机的防护罩
JP3194939U (ja) 除草用回転刃
KR20130031185A (ko) 슬라이딩식 커버형 안전 베이스가 구비된 예초기
KR20220131589A (ko)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
JP3140635U (ja) 草刈機用補助刃
KR20140099664A (ko) 부양력을 갖는 예초기 회전날
KR20130001591U (ko) 예초기용 안전커버
WO2022215148A1 (ja) 刈払機に取り付け可能な根刈り用カッター及びそれを備える刈払機
KR200494874Y1 (ko) 예초기 칼날
KR200335439Y1 (ko) 예초기용 보호 캡 및 예초기용 보호 캡을 장착한 예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