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620B1 -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620B1
KR102293620B1 KR1020210064668A KR20210064668A KR102293620B1 KR 102293620 B1 KR102293620 B1 KR 102293620B1 KR 1020210064668 A KR1020210064668 A KR 1020210064668A KR 20210064668 A KR20210064668 A KR 20210064668A KR 102293620 B1 KR102293620 B1 KR 102293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protrusion
blade fixing
bite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연
Original Assignee
김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연 filed Critical 김두연
Priority to KR1020210064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04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turbine or like blades from several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16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bevelling, chamfering, or deburring the ends of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processes
    • B23B2220/04Chamfer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예초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된다.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은,
중앙에 관통공(130)이 형성된 캡 형상으로 형성되되, 관통공(130)을 중심으로 전면에는 제1 직경(112)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제1 돌출부(110)를 형성하고, 후면에는 제1 직경(112)보다 작은 제2 직경(122)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제2 돌출부(120)로 형성되어 예초기 블레이드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봉 형상의 소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소재를 준비하는 소재준비단계(S100);
상기 소재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된 소재를 금형에 안착시켜 중앙에 관통공(130)이 형성된 캡 형상으로 성형하되, 전면에는 제1 돌출부(110)를 형성하고 후면에는 제2 돌출부(120)를 형성하도록 압축 성형하는 냉간단조단계(S200);
후면에 위치한 고정척(210)으로 상기 제2 돌출부(120)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클램핑단계(S300);
상기 제2 돌출부(120)의 외주면 상을 고정한 상태에서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공구매거진에 장착된 복수 개의 공구가 접근하여 선반가공이 이루어지는 선반가공단계(S400);
상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30)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스플라인(140)을 형성하는 스플라인가공단계(S500);
상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표면에 금속을 입혀 부식을 방지하는 도금단계(S600);를 포함하며,
고정척(210)이 상기 제2 돌출부(120)의 외주면 상을 고정한 상태에서 소재를 뒤집지 않고 선반가공단계(S400)의 가공이 이루어져 가공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xing Device of the Blade for the Lawnmower}
본 발명은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2 직경이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제2 돌출부의 외주면을 고정척으로 클램핑한 상태에서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선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소재의 후면 가공을 위해 클램핑된 소재를 뒤집지 않고 가공이 이뤄져 가공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 한편, 면취용 바이트를 사용하여 면취용 바이트에 형성된 반경부의 내측면 날에 의해 고정장치의 후면 가공 시 제2 돌출부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버를 제거하는 동시에, 제2 돌출부의 모서리가 반경부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라운딩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초기는 동력을 이용하여 풀이나 잔디 또는 목초 등을 절단하는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엔진이 장착된 장착부와 엔진의 구동을 통해 회전되어 풀이나 잔디 또는 목초 등을 절단하는 회전부로 구성된다.
엔진 구동방식의 예초기는 연료를 사용하여 강한 동력을 얻고 그 동력으로 블레이드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잔디나 잡초 등을 벨 수 있게 한 것이다.
회전부에는 예초기 블레이드가 빠른 속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블레이드 고정장치가 결합된다.
블레이드 고정장치가 빠르게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제대로 지지하지 않으면 예초기 구동 시 빠른 RPM을 이기지 못하고 심한 발열과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블레이드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블레이드 고정장치를 제조할 때 많은 공을 들일 수밖에 없다.
종래의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은 소재준비단계, 냉간단조단계, 1차 전면 선반가공단계, 2차 후면 선반가공단계, 스플라인가공단계, 도금단계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선반가공단계를 전면 선반가공을 하는 1차 선반가공과, 후면을 선반가공하는 2차 선반가공으로 나누어 가공하게 되므로, 선반가공을 위해 소재와 공구를 셋팅하는 시간이 두 배로 소요되었다.
즉, 1차 선반가공단계에서 전면을 가공한 다음, 작업자에 의해 2차 선반가공단계를 위해 소재를 뒤집어 후면을 가공 가능하도록 셋팅하는 과정이 요구되므로, 이는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에 소요되는 가공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절실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21-00333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고정척이 제2 돌출부의 외주면을 고정함으로써 소재 위치의 변경없이 모든 단계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재의 후면에 대해 가공이 이뤄지는 제3 선반가공과 제4 선반가공이 클램핑된 소재를 뒤집지 않고 공구가 소재의 전방에서 접근하여 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가공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면취용 바이트를 사용하여 면취용 바이트에 형성된 반경부의 내측면 날에 의해 고정장치의 후면 가공 시 제2 돌출부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버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돌출부의 모서리가 반경부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라운딩 처리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캡 형상으로 형성되되, 관통공을 중심으로 전면에는 제1 직경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제1 돌출부를 형성하고, 후면에는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제2 돌출부로 형성되어 예초기 블레이드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봉 형상의 소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소재를 준비하는 소재준비단계;
상기 소재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소재를 금형에 안착시켜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캡 형상으로 성형하되, 전면에는 제1 돌출부를 형성하고 후면에는 제2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압축 성형하는 냉간단조단계;
후면에 위치한 고정척으로 상기 제2 돌출부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클램핑단계;
상기 제2 돌출부의 외주면을 고정한 상태에서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공구매거진에 장착된 복수 개의 공구가 접근하여 선반가공이 이루어지는 선반가공단계;
상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스플라인을 형성하는 스플라인가공단계;
상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표면에 금속을 입혀 부식을 방지하는 도금단계;를 포함하며,
고정척이 상기 제2 돌출부의 외주면을 고정한 상태에서 소재를 뒤집지 않고 선반가공단계의 가공이 이루어져 가공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선반가공단계는,
평면용 바이트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접근하여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 가장자리, 상기 제1 돌출부의 외주면과 전면을 선반가공하는 제1 선반가공단계;
내경용 바이트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관통공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면을 선반가공하는 제2 선반가공단계;
평면용 특수바이트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관통공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돌출부의 후면을 선반가공하는 제3 선반가공단계;
면취용 바이트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관통공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선반가공단계에 의해서 제2 돌출부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버를 제거하는 제4 선반가공단계;
평면용 바이트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상부에서 후면 가장자리로 접근하여 선반가공하는 제5 선반가공단계;를 포함하며,
소재의 후면에 대해 가공이 이뤄지는 상기 제3 선반가공단계와 제4 선반가공단계가 클램핑된 소재를 뒤집지 않고 공구가 소재의 전방에서 접근하여 가공이 이뤄져, 가공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평면용 특수바이트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각이 예각을 이루는 모서리가 ㄱ자 형상의 바이트 홀더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평면용 특수 바이트는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후방에 형성된 제2 돌출부의 후면이 평면용 특수 바이트에 의해 선반가공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취용 바이트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삼각형의 꼭지점에 연이어져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반경부가 ㄱ자 형상의 바이트 홀더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면취용 바이트는 상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반경부의 내측면 날에 의해 제2 돌출부의 후면 가공 시 제2 돌출부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버를 제거하는 동시에 라운딩 처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은 고정척이 제2 돌출부의 외주면을 고정함으로써 소재 위치의 변경없이 선반가공단계의 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재의 후면에 대해 가공이 이뤄지는 제3 선반가공과 제4 선반가공이 클램핑된 소재를 뒤집지 않고 공구가 소재의 전방에서 접근하여 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가공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면취용 바이트를 사용하여 면취용 바이트에 형성된 반경부의 내측면 날에 의해 고정장치의 후면 가공 시 제2 돌출부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버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돌출부의 모서리가 반경부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라운딩 처리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척에 고정된 고정장치의 제1 선반가공단계와 제5 선반가공단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척에 고정된 고정장치의 제2 선반가공단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척에 고정된 고정장치의 제3 선반가공단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척에 고정된 고정장치의 제4 선반가공단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엔진이 장착된 장착부와 엔진의 구동을 통해 회전되어 풀이나 잔디 또는 목초 등을 절단하는 회전부로 구성된다.
회전부에는 예초기 블레이드가 빠른 속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블레이드 고정장치가 결합된다.
종래의 블레이드 고정장치 제조방법은 소재준비단계, 냉간단조단계, 1차 전면 선반가공단계, 2차 후면 선반가공단계, 스플라인가공단계, 도금단계로 구성된다.
선반가공단계가 1차와 2차로 나누어 시행되므로, 선반가공을 위해 소재와 공구를 셋팅하는 시간이 두 배로 소요되었다.
즉, 1차 선반가공단계에서 전면을 가공한 다음, 작업자에 의해 2차 선반가공단계를 위해 소재를 뒤집어 후면을 가공 가능하도록 셋팅하는 과정이 요구되므로, 이는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초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형상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블레이드 고정장치는 중앙에 관통공(130)이 형성된 캡 형상으로 형성된다.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에는 관통공(130)을 중심으로 제1 직경(112)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제1 돌출부(110)가 형성된다.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후면에는 제1 직경(112)보다 작은 제2 직경(122)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제2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고정장치 제조방법은 총 6단계인 소재준비단계(S100), 냉간단조단계(S200), 클램핑단계(S300), 선반가공단계(S400), 스플라인가공단계(S500), 도금단계(S600)로 구성된다.
가장 먼저 시행되는 소재준비단계(S100)는 환봉 형상의 소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소재를 준비한다.
소재준비단계(S100)는 냉간단조단계(S200)에서 압축 성형되는 사이즈를 감안하여 소재의 직경과 두께를 결정한다.
냉간단조단계(S200)는 소재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된 소재를 상온 상태의 금형에 안착시켜 중앙에 관통공(130)이 형성된 캡 형상으로 성형한다.
냉간단조단계(S200)를 통해 전면에는 제1 돌출부(110)를 형성하고 후면에는 제2 돌출부(120)를 형성하도록 압축 성형한다.
클램핑단계(S300)는 고정척(210)으로 소재를 고정하여 이후에 시행될 선반가공단계(S400)를 위한 준비 단계이다.
클램핑이 완료되면, 선반가공단계(S400)를 시행한다.
종래에는 블래이드 고정장치의 외주면을 고정척(210)으로 클램핑하는 관계로 선반가공시 클램핑된 소재를 뒤집어서 가공해야 했다.
본 발명에서는 선반가공시 소재를 뒤집지 않고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클램핑 위치를 선정한 후, 그에 맞게 각 공정을 설계하였다.
클램핑단계(S300)에서는 후면에 위치한 고정척(210)으로 냉간단조단계(S200)에서 형성된 제2 돌출부(120)의 외주면을 고정한다.
일반적으로 선반가공은 고정척(210)에 소재를 고정시킨 후, 고정척(210)이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공구의 바이트를 접촉시켜 면 또는 모서리를 가공하는 작업이다.
선반가공단계(S400)는 제2 돌출부(120)의 외주면 상(212)을 고정한 상태에서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공구매거진에 장착된 복수 개의 공구가 접근하여 선반가공이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블레이드 고정장치를 선반가공할 때 1차로 전면을 가공한 후, 소재를 뒤집어 클램핑하여 2차로 후면을 가공한다. 이로 인해 소재를 뒤집어 클램핑하여 가공준비를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소재를 뒤집지 않고 전체의 선반가공이 이뤄지도록 하였다.
제2 돌출부(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 후면 및 관통공(130)의 내측면까지 소재 위치 변경없이 선반가공이 이루어진다.
고정척(210)이 제2 돌출부(120)의 외주면 상(212)을 고정한 상태에서 소재 위치의 변경없이 모든 단계의 가공이 이루어져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후면을 선반가공하기 위해서 기계를 멈추고 작업자가 소재를 뒤집어 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선반가공단계(S400)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확연히 줄인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선반가공단계(S400)는 선반가공이 이루어지는 영역과 사용되는 공구를 구분하여 제1 선반가공단계(S410) 내지 제5 선반가공단계(S450)로 나누어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척(210)에 고정된 고정장치의 제1 선반가공단계(S410)와 제5 선반가공단계(S450)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척(210)에 고정된 고정장치의 제2 선반가공단계(S420)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척(210)에 고정된 고정장치의 제3 선반가공단계(S430)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척(210)에 고정된 고정장치의 제4 선반가공단계(S440)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선반가공단계(S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가공단계(S400)는 제1 선반가공단계(S410), 제2 선반가공단계(S420), 제3 선반가공단계(S430), 제4 선반가공단계(S440), 제5 선반가공단계(S4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가공단계(S400)에 사용되는 공구매거진에는 평면용 바이트(10), 내경용 바이트(20), 평면용 특수바이트(30), 면취용 바이트(40)가 장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선반가공단계(S410)에서는 평면용 바이트(10)를 사용한다.
제1 선반가공단계(S410)는 평면용 바이트(10)가 선반가공방향 a를 따라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접근하여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 가장자리, 제1 돌출부(110)의 외주면과 전면을 선반가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선반가공단계(S420)에서는 내경용 바이트(20)를 사용한다.
제2 선반가공단계(S420)는 내경용 바이트(20)가 선반가공방향 b를 따라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관통공(130)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면을 선반가공한다.
내경용 바이트(20)와 내경용 바이트 홀더(22)는 관통공(130)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내경용 바이트(20)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공(130) 내측에 점차 삽입되면서 관통공(130)의 내경을 선반가공한다.
제3 선반가공단계(S4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용 특수바이트(30)를 사용한다.
제3 선반가공단계(S430)는 평면용 특수바이트(30)가 선반가공방향 c를 따라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관통공(130)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2 돌출부(120)의 후면을 선반가공한다.
평면용 특수바이트(30)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름모 형상의 바이트는 ㄱ자형상의 특수바이트 홀더(32)에 결합된다.
평면용 특수바이트(30)의 한 모서리가 제2 돌출부(120)의 후면과 접촉하면서 선반가공이 이루어진다.
즉 평면용 특수 바이트는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관통공(130)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후방에 형성된 제2 돌출부(120)의 후면이 평면용 특수 바이트에 의해 선반 가공이 가능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후면을 선반가공하기 위해서는 가공하는 소재의 방향을 변경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관통공(130) 내측에 평면용 특수바이트(30)를 삽입하여 바이트 모서리가 후면에 접촉하도록 특수바이트 홀더(32)에 장착함으로써 종래의 소재의 방향을 변경하는 과정을 생략하였다.
제4 선반가공단계(S4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취용 바이트(40)를 사용한다.
제4 선반가공단계(S440)는 면취용 바이트(40)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관통공(130)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3 선반가공단계(S430)에 의해서 제2 돌출부(120)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버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면취용 바이트(40)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면취용 바이트(40)에는 삼각형의 꼭지점에 연이어져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반경부(44)가 형성되며, 상기 반경부(44)가 ㄱ자 형상의 바이트 홀더(4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면취용 바이트(40)의 반경부(44)의 내측면 날에 의해 제2 돌출부(120)의 후면 가공 시 제2 돌출부(120)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버(burr)를 제거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선반가공을 한 모서리에는 버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앞서 제3 선반가공단계(S430)에서 평면용 특수바이트(30)를 사용하여 제2 돌출부(120)의 후면을 선반가공하면, 제2 돌출부(120)의 모서리에 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클램핑된 소재를 뒤집지 않고 제2 돌출부(120)의 후면을 선반가공하며, 제4 선반가공단계(S440)에서도 마찬가지로 소재를 뒤집지 않고 면취용 바이트(40)가 소재의 전방에서 접근하여 반경부(44) 내측면 날에 의해 버를 제거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재의 후면에 대해 가공이 이뤄지는 제3 선반가공단계(S430)와 제4 선반가공단계(S440)가 클램핑된 소재를 뒤집지 않고, 공구매거진에 장착된 평면용 특수바이트(30) 및 면취용 바이트(40)가 소재의 전방에서 접근하여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공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5 선반가공단계(S450)는 제1 선반가공단계(S410)와 동일한 평면용 바이트(50)를 사용한다.
평면용 바이트(50)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상부에서 선반가공방향 d를 따라 후면 가장자리로 접근하여 후면 가장자리면을 선반가공한다.
선반가공단계(S400)가 완료되면 관통공(130) 내측면에 내주면을 따라 스플라인(140)을 형성하는 스플라인가공단계(S500)가 시행된다.
스플라인가공단계(S500)는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30)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스플라인(14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스플라인(140)은 예초기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일종의 홈이다.
도금단계(S600)는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표면에 금속을 얇게 입히는 단계로서,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부식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2 직경이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제2 돌출부의 외주면을 고정척(210)에 클램핑한 상태에서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선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소재의 후면 가공을 위해 클램핑된 소재를 뒤집지 않고 가공이 이뤄져 가공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 한편, 면취용 바이트를 사용하여 면취용 바이트에 형성된 반경부의 내측면 날에 의해 고정장치의 후면 가공 시 제2 돌출부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버를 제거하는 동시에, 제2 돌출부의 모서리가 반경부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라운딩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S100 : 소재준비단계
S200 : 냉간단조단계
S300 : 클램핑단계
S400 : 선반가공단계
S410 : 제1 선반가공단계
S420 : 제2 선반가공단계
S430 : 제3 선반가공단계
S440 : 제4 선반가공단계
S450 : 제5 선반가공단계
S500 : 스플라인가공단계
S600 : 도금단계
10 : 평면용 바이트
12 : 평면용 바이트 홀더
20 : 내경용 바이트
22 : 내경용 바이트 홀더
30 : 평면용 특수바이트
32 : 평면용 특수바이트 홀더
40 : 면취용 바이트
42 : 면취용 바이트 홀더
44 : 반경부
50 : 평면용 바이트
52 : 평면용 바이트 홀더
100 : 블레이드 고정장치
110 : 제1 돌출부
112 : 제1 직경
120 : 제2 돌출부
122 : 제2 직경
130 : 관통공
140 : 스플라인
210 : 고정척
212 : 고정척 클램핑 위치(제2 돌출부의 외주면 상)

Claims (4)

  1. 중앙에 관통공(130)이 형성된 캡 형상으로 형성되되, 관통공(130)을 중심으로 전면에는 제1 직경(112)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제1 돌출부(110)를 형성하고, 후면에는 제1 직경(112)보다 작은 제2 직경(122)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제2 돌출부(120)로 형성되어 예초기 블레이드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봉 형상의 소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소재를 준비하는 소재준비단계(S100);
    상기 소재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된 소재를 금형에 안착시켜 중앙에 관통공(130)이 형성된 캡 형상으로 성형하되, 전면에는 제1 돌출부(110)를 형성하고 후면에는 제2 돌출부(120)를 형성하도록 압축 성형하는 냉간단조단계(S200);
    후면에 위치한 고정척(210)으로 상기 제2 돌출부(120)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클램핑단계(S300);
    상기 제2 돌출부(120)의 외주면을 고정한 상태에서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공구매거진에 장착된 복수 개의 공구가 접근하여 선반가공이 이루어지는 선반가공단계(S400);
    상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3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스플라인(140)을 형성하는 스플라인가공단계(S500);
    상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표면에 금속을 입혀 부식을 방지하는 도금단계(S600);를 포함하며,
    고정척(210)이 상기 제2 돌출부(120)의 외주면을 고정한 상태에서 소재를 뒤집지 않고 선반가공단계(S400)의 가공이 이루어져 가공시간을 단축하고,
    상기 선반가공단계(S400)는,
    평면용 바이트(10)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접근하여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 가장자리, 상기 제1 돌출부(110)의 외주면과 전면을 선반가공하는 제1 선반가공단계(S410);
    내경용 바이트(20)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관통공(130)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면을 선반가공하는 제2 선반가공단계(S420);
    평면용 특수바이트(30)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관통공(130)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돌출부(120)의 후면을 선반가공하는 제3 선반가공단계(S430);
    면취용 바이트(40)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관통공(130)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선반가공단계(S430)에 의해서 제2 돌출부(120)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버를 제거하는 제4 선반가공단계(S440);
    평면용 바이트(50)가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상부에서 후면 가장자리로 접근하여 선반가공하는 제5 선반가공단계(S450);를 포함하며,
    소재의 후면에 대해 가공이 이뤄지는 상기 제3 선반가공단계(S430)와 제4 선반가공단계(S440)가 클램핑된 소재를 뒤집지 않고 공구가 소재의 전방에서 접근하여 가공이 이뤄져, 가공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용 특수바이트(30)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각이 예각을 이루는 모서리가 ㄱ자 형상의 바이트 홀더(3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평면용 특수 바이트는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관통공(130)으로 삽입되어, 상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후방에 형성된 제2 돌출부(120)의 후면이 평면용 특수 바이트에 의해 선반가공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취용 바이트(40)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삼각형의 꼭지점에 연이어져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반경부(44)가 ㄱ자 형상의 바이트 홀더(4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면취용 바이트(40)는 상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전면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관통공(130)으로 삽입되어 상기 반경부(44)의 내측면 날에 의해 제2 돌출부(120)의 후면 가공 시 제2 돌출부(120)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버를 제거하는 동시에 라운딩 처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10064668A 2021-05-20 2021-05-20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KR102293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668A KR102293620B1 (ko) 2021-05-20 2021-05-20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668A KR102293620B1 (ko) 2021-05-20 2021-05-20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620B1 true KR102293620B1 (ko) 2021-08-24

Family

ID=7750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668A KR102293620B1 (ko) 2021-05-20 2021-05-20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6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6156A (ja) * 1995-12-14 1997-06-24 Exedy Corp スプラインハブ、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02870U (ko) * 2014-03-21 2014-05-14 대성하이텍 주식회사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KR20160125220A (ko) * 2015-04-21 2016-10-31 배태범 차량의 차동장치용 연결 베벨기어 가공방법
KR101679810B1 (ko) * 2016-03-10 2016-11-25 백산산업 (주) 자동차의 더블클러치용 스플라인허브의 제조방법 및 그 금형
KR20210033337A (ko) 2019-09-18 2021-03-26 정태근 예초기 칼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6156A (ja) * 1995-12-14 1997-06-24 Exedy Corp スプラインハブ、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02870U (ko) * 2014-03-21 2014-05-14 대성하이텍 주식회사 예초기 커터 부양장치
KR20160125220A (ko) * 2015-04-21 2016-10-31 배태범 차량의 차동장치용 연결 베벨기어 가공방법
KR101679810B1 (ko) * 2016-03-10 2016-11-25 백산산업 (주) 자동차의 더블클러치용 스플라인허브의 제조방법 및 그 금형
KR20210033337A (ko) 2019-09-18 2021-03-26 정태근 예초기 칼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4109B1 (en) Method of machining workpiece with offset tool
KR20050012119A (ko) 슬롯 기계 가공
GB2398882A (en) A method of balancing a rotor
EP0633085B1 (en) Cutting tool for honeycomb core
KR102293620B1 (ko) 예초기 블레이드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US6068430A (en) Mounting mechanism for a pin mirror cutter
WO2021090525A1 (ja) 面取りカッターおよびワークの面取り方法
JPH0852616A (ja) 段付リーマ
JPWO2021090525A5 (ko)
JPH10180542A (ja) 歯車の面取り加工方法および面取り加工装置
CN212250155U (zh) 一种轮盘组件
JPH031138Y2 (ko)
JPH11245112A (ja) 溝加工用回転切削工具
JP5826426B1 (ja) タービンロータ加工用旋盤及びタービンロータ加工方法
JPH07195221A (ja) ラフィングボールエンドミル
JPS63174810A (ja) ミ−リング加工方法と装置
JPH09309019A (ja)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JPS6037015Y2 (ja) 一方取り部を形成したモ−タ軸
JP3446913B2 (ja) ヨークの加工方法
JPH05293701A (ja) 溝入れ旋盤
KR20230155846A (ko) 모터 하우징 커버 가공방법
JP2002052414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ツール
JPH0112915Y2 (ko)
JP3278803B2 (ja) ピンミラーカッタの取付機構
JP2517404Y2 (ja) ワーク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