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823U - Moving sheave of crane - Google Patents

Moving sheave of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823U
KR20140002823U KR2020120010044U KR20120010044U KR20140002823U KR 20140002823 U KR20140002823 U KR 20140002823U KR 2020120010044 U KR2020120010044 U KR 2020120010044U KR 20120010044 U KR20120010044 U KR 20120010044U KR 20140002823 U KR20140002823 U KR 201400028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wire rope
case
cran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04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명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0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823U/en
Publication of KR201400028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82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B66D3/08Arrangements of she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중량물을 매달아 운반하는 크레인의 승강도르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승강도르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축 상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는 둘 이상의 시브(sheave)를 포함하고, 각각의 시브 외둘레에는 와이어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시브는 케이스에 의해 상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보호되고, 축 중앙부 또는 케이스 하면 중앙에는 후크가 결합되며, 케이스에는 시브로부터 와이어로프의 이탈을 저지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A lifting pulley of a crane that hangs heavy objects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fting sheave of a crane includes two or more sheaves rotatably mounted on a shaft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grooves for guiding movement of the wire rope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each sheave , Each of the sheaves is protected by a case so that an upper part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a hook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shaft or the center of the case, and a guide is provided in the case to prevent the wire rop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eave. do.

Description

크레인의 승강도르래{MOVING SHEAVE OF CRANE}{MOVING SHEAVE OF CRANE}

본 고안은 중량의 하물(荷物)을 매달아 다른 장소로 운반하는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의 하물(荷物)이 실질적으로 매달리게 되는 후크를 구비한 승강도르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for suspending a heavy cargo to another pl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isting hoist having a hook to which a load of cargo is substantially suspended.

하물(荷物)을 매달아 상하,좌우,전후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를 크레인(crane)이라 한다.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크게, 건설용 산업용으로 구분되며, 건설용과 산업용 크레인은 다시 이동식과 고정식 크레인으로 대별된다. 그 중 건설용 크레인의 대표적인 예가 타워 크레인이고, 천정 크레인이 산업용 크레인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A crane is a machine that carries cargoes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back and forth. Cranes are generally largely divided into industrial cranes for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cranes and industrial cranes are again divided into movable and fixed cranes. Among them, a typical example of a construction crane is a tower crane, and a ceiling cran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n industrial crane.

작업환경 및 용도에 따라 위와 같이 다양하게 구분되는 크레인은 공통적으로, 권상기에 의해 와이어로프가 감기거나 풀리고, 와이어로프 중간의 후크를 구비하는 승강도르래가 와이어로프 길이변화에 의하여 위, 아래로 승강하면서 후크에 매달린 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려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 내려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purpose, the above-mentioned various kinds of cranes are commonly used. The wire rope is rolled or loosened by the hoisting machine, and the hoisting hoist having the hook of the wire rope is lifted up and down by the change of the wire rope length The weight of the hanging hook can be lifted and moved to another place and put down.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진 크레인에서 채택하고 있는 승강도르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ing sheave adopted in a conventionally known crane.

도 1의 도시와 같이, 종래 크레인의 승강도르래는, 둘 이상의 시브(sheave, 1)를 구비하는 움직도르래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시브 외둘레에는 와이어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시브(1)는 케이스(3)에 의해 상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보호되고, 중량물을 매달기 위한 후크(4)가 케이스 또는 시브 축에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ifting pulley of a conventional crane is based on a moving pulley structure having two or more sheaves 1. A groov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wire rop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eave. The sheave 1 is protected by a case 3 so that an upper part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hook 4 And is provided on the sheave shaft.

이러한 승강도르래는, 권상기 작동으로 와이어로프 한 쪽 끝이 당겨지거나 반대방향으로 풀린 경우, 와이어로프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시브가 회전하면서 그 당김 또는 풀림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하고, 이에 따라 케이스 또는 시브 축상에 연결된 후크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함으로써 중량의 하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 놓을 수 있게 된다. When the one end of the wire rope is pulled or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hoisting machine operation, the hoisting sheave moves up or down in the pulling or pulling direction while rotating the sheave by pulling or loosening the wire rope, The hooks connected to the shaft can be moved up or down to raise or lower the weight of the load.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의 종래 일반적인 크레인 승강도르래는, 중량의 하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려 놓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 또는 흔들림으로 인하여 시브에 대한 와이어로프의 진입방향이 조금이라도 틀어지게 되면, 시브 외둘레의 홈으로부터 와이어로프가 이탈하여 장치 고장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rane lifting sheave of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if the direction of the wire rope to the sheave is slightly distorted due to an external impact or shaking in the process of lifting or lowering the heavy loa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re rope deviates and causes device failure.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시브 외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으로부터 와이어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의 크레인의 승강도르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sheave of a crane capable of preventing a wire rope from being detached from a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eave.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중량물을 매달아 운반하는 크레인의 승강도르래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축 상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는 둘 이상의 시브(sheave)를 포함하고, 각각의 시브 외둘레에는 와이어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시브는 케이스에 의해 상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보호되고, 상기 축 중앙부 또는 케이스 하면 중앙에는 후크가 결합되며, 케이스에는 와이어로프가 시브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승강도르래를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fting sheave of a crane for suspending a heavy object, the lifting sheave comprising two or more sheaves rotatably mounted on a horizontally disposed shaft, The sheave is protected by a case so that a part of the upper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a hook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shaft or the center of the case, and the case is provided with a wire rope sheave And a guide for preventing the hull from separating from the crane.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가이드는, 시브를 향하여 각각의 와이어로프가 들어가고 나오는 케이스 입구와 출구 각각에 와이어로프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일체 형성되는 덮개형 가이드일 수 있다.As a preferred example, the guide may be a cover-like guide integrall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wire rope length direction at each of the case inlet and the exit of each wire rope into and out of the sheave.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가이드는, 시브를 향하여 각각의 와이어로프가 들어가고 나오는 케이스 입구와 출구에 케이스의 폭방향으로 하나씩 설치되는 막대형 가이드일 수 있다.As another preferred example, the guide may be a rod-like guide which is installed one by o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at the case entrance and the exit of the wire rope into and out of the sheav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승강도르래에 따르면, 케이스에 와이어로프 이탈을 저지하는 가이드가 마련됨으로써, 시브에 대한 와이어로프 진입에 다소 틀어짐이 발생하더라도 시브 외둘레의 홈으로부터 와이어로프가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 이탈에 따른 장치 고장 및 그에 따른 작업 지연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vating sheav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uide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wire rope is provided in the case, even if a slight deviation occurs in the entry of the wire rope into the shea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the device failure due to wire rope departure and hence the delay in the opera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크레인의 승강도르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승강도르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승강도르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난 승강도르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승강도르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난 승강도르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도 5에 나타난 승강도르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sheave of a cra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ne lifting shea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hoisting pulley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side view of the lifting sheave shown in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ne lifting shea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hoisting pulley shown in Fig. 5; Fig.
Fig. 7 is a side view of the lifting pulley shown in Fig. 5;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앞선 종래 도면을 통해 도시된 승강도르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s those of the hoisting pulley shown in the prior art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승강도르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승강도르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난 승강도르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ne lifting she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lifting sheave shown in FIG. 2. FIG. And Fig. 4 is a side view of the hoisting pulley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승강도르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축 상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는 둘 이상의 시브(sheave, 1)를 포함한다. 각 시브(1) 외둘레에는 일정 깊이로 홈(10)이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홈(10)에 와이어로프(2)가 걸려 그 이동이 안내된다.The lifting pulley of a cra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 to 4 includes two or more sheaves 1 that are rotatably mounted on a horizontally disposed shaft. A groove 1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each sheave 1, and the wire rope 2 is hooked on the groove 10 to guide its movement.

와이어로프(2)는 크레인의 거더(grider)에 설치되는 권상기(미도시)에 연결되며, 권상기 동작에 의해 와이어로프(2)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도르래는 중량의 하물을 들어 올리거나 다시 내려놓기 위한 방향으로 승강되는 움직임을 가지게 된다. 이때 시브(1)의 직경은 와이어로프(2) 직경에 비해 현저히 크며(약 20배 이상) 특정 개수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wire rope 2 is connected to a hoisting machine (not shown) provided on a grinder of the crane. The wire rope 2 is loosened or wound by the hoisting machine operation, And has a movement to be lifted or lowered in a direction for lifting or lowering.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sheave 1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rope 2 (about 20 times or more)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각각의 시브(1)는 케이스(3)에 의해 상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보호된다. 케이스(3)는 와이어로프(2)의 이동에 방해가 없고 시브(1)에 걸린 와이어로프(2)의 굽힘부 이탈을 막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이라면 특정하게 한정됨이 없이 적용 가능하며, 시브(1)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시브(1)를 하나씩 커버하거나 도면과 같이 복수 시브(1)를 한꺼번에 커버하는 구성일 수 있다.  Each sheave 1 is protected by the case 3 so that the upper part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ase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of a size and shap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wire rope 2 and can prevent the wire rope 2 caught off the sheave 1 from being bent. 1), or cover the plurality of sheaves 1 at a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케이스(3)가 다수로 구성되어 복수의 시브(1)를 하나씩 커버 하는 구성인 경우 커버와 커버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축 중앙부에 실질적으로 중량의 하물을 매달기 위한 후크(4)가 설치되며, 도면과 같이 케이스(3)가 복수 시브(1)를 한꺼번에 커버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케이스(3) 하면 중앙에 후크(4)가 결합된다.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ases 3 are formed so as to cover a plurality of sheaves 1 one by one, hooks 4 for suspending substantially all the weights are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aft exposed between the cover and the cover, The hooks 4 are join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3 when the case 3 covers the plurality of sheaves 1 at a time.

와이어로프(2)가 시브(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가이드(5-1)가 상기 케이스(3)에 구비된다. 가이드(5-1)는 도 2 내지 도 4의 일 실시예의 도시와 같이, 시브(1)를 향하여 각각의 와이어로프(2)가 들어가고 나오는 케이스(3) 입구와 출구 각각에 와이어로프(2)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일체 형성되는 덮개형 구조를 가진다.A guide 5-1 for preventing the wire rope 2 from separating from the sheave 1 is provided in the case 3. [ The guide 5-1 is provided with a wire rope 2 at each of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case 3 in which each wire rope 2 enters and leaves the sheave 1 toward the sheave 1 as shown in one embodiment of Figs. Like structure integrall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덮개형 가이드(5-1)는 와이어로프(2)의 진출입에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길이와 직경의 원호 형상의 구성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사시 와이어로프(2)가 시브(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정 소재로 국한됨이 없이 적용 가능하다.The cover type guide 5-1 preferably has an arcuate shape of a length and a diameter that does not cause any trouble to advance and retreat of the wire rope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case of emergency,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material.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승강도르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승강도르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5 to 7 are views showing a crane lifting shea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se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hoist structure of a cra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승강도르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축 상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는 둘 이상의 시브(sheave, 1)를 포함한다. 각 시브(1) 외둘레에는 일정 깊이로 홈(10)이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홈(10)에 와이어로프(2)가 걸려 그 이동이 안내된다.The elevating pulley of a cra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5 to 7 includes two or more sheaves 1 that are rotatably mounted on a horizontally disposed axis. A groove 1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each sheave 1, and the wire rope 2 is hooked on the groove 10 to guide its movement.

와이어로프(2)는 크레인의 거더(grider)에 설치되는 권상기에 연결되며, 권상기 동작에 의해 와이어로프(2)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도르래는 중량의 하물을 들어 올리거나 다시 내려놓기 위한 방향으로 승강되는 움직임을 가지게 된다. 시브(1)의 직경은 와이어로프(2) 직경에 비해 현저히 크며(약 20배 이상) 특정 개수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wire rope 2 is connected to a hoisting machine installed on the grinder of the crane and the hoisting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lifts or lifts the hoisting hoi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ile the wire rope 2 is pulled or rolled by the hoisting machine operation And has a movement to move up and down. The diameter of the sheave 1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rope 2 (about 20 times or more)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각각의 시브(1)는 케이스(3)에 의해 상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보호된다. 케이스(3)는 와이어로프(2)의 이동에 방해가 없고 시브(1)에 걸린 와이어로프(2)의 굽힘부 이탈을 막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이라면 특정하게 한정됨이 없이 적용 가능하며, 시브(1)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시브(1)를 하나씩 커버하거나 도면과 같이 복수 시브(1)를 한꺼번에 커버하는 구성일 수 있다. Each sheave 1 is protected by the case 3 so that the upper part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ase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of a size and shap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wire rope 2 and can prevent the wire rope 2 caught off the sheave 1 from being bent. 1), or cover the plurality of sheaves 1 at a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케이스(3)가 다수로 구성되어 복수의 시브(1)를 하나씩 커버 하는 구성인 경우 커버와 커버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축 중앙부에 실질적으로 중량의 하물을 매달기 위한 후크(4)가 설치되며, 도면과 같이 케이스(3)가 복수 시브(1)를 한꺼번에 커버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케이스(3) 하면 중앙에 후크(4)가 결합된다.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ases 3 are formed so as to cover a plurality of sheaves 1 one by one, hooks 4 for suspending substantially all the weights are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aft exposed between the cover and the cover, The hooks 4 are join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3 when the case 3 covers the plurality of sheaves 1 at a time.

케이스(3)에는 와이어로프(2)가 시브(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가이드(5-2)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5-2)는 도 5 내지 도 7의 도시와 같이, 시브(1)를 향하여 각각의 와이어로프(2)가 들어가고 나오는 케이스(3) 입구와 출구에 와이어로프(2)와 직교하는 케이스(3)의 폭방향으로 길게 하나씩 설치되는 막대형으로 구성된다.The case 3 is provided with a guide 5-2 for preventing the wire rope 2 from separating from the sheave 1.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5-2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of the case 3 in which each wire rope 2 enters and exits toward the sheave 1 as shown in Figs. 5 to 7, And a bar size which is provided one by o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3 orthogonal to the rope 2.

막대형 가이드(5-2)는 시브(1) 개수에 따른 케이스(3) 폭에 따라 그 길이는 변동 가능하므로 특정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3) 입구와 출구에서의 와이어로프(2) 진출입에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유사시 와이어로프(2)가 시브(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시브(1)와 이격되고 용접 등의 방법으로 케이스(3)에 부착된다.The length of the rod guide 5-2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value because the length of the rod guide 5-2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case 3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sheaves 1. The wire rope 2 The wire rope 2 is separated from the sheave 1 at such an interval as to securely prevent the wire rope 2 from separating from the sheave 1 without causing any trouble at entry and exit, .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의 승강도르래에 의하면, 케이스에 와이어로프 이탈을 저지하는 가이드가 마련됨으로써, 시브에 대한 와이어로프 진입에 다소 틀어짐이 발생하더라도 시브 외둘레의 홈으로부터 와이어로프가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 이탈에 따른 장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vator hoi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uide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wire rope is provided in the case, even if a slight deviation occurs in the entry of the wire rope into the sheave, The breakage of the wire rope can be prevented, and thus, the breakdown of the device due to the wire rope departu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상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describe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not to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et forth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are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 : 시브
2 : 와이어로프
3 : 케이스
4 : 후크
5-1, 5-2 : 가이드
1: Sieve
2: Wire rope
3: Case
4: Hook
5-1, 5-2: Guide

Claims (3)

중량물을 매달아 운반하는 크레인의 승강도르래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축 상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는 둘 이상의 시브(sheave)를 포함하고, 각각의 시브 외둘레에는 와이어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시브는 케이스에 의해 상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보호되고, 상기 축 중앙부 또는 케이스 하면 중앙에는 후크가 결합되며, 케이스에는 시브로부터 와이어로프의 이탈을 저지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승강도르래.
In a lifting pulley of a crane that hung heavy objects,
The sheave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each sheave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wire rope. Each sheave is supported by a case And the case is provided with a guide for preventing the wire rop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ea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시브를 향하여 각각의 와이어로프가 들어가고 나오는 케이스 입구와 출구 각각에 와이어로프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일체 형성되는 덮개형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승강도르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Shaped guide formed integrally with the wire rope along the wire rope length direction at a casing entrance and an exit respectively of the wire rope into and out of the sheave toward the shea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시브를 향하여 각각의 와이어로프가 들어가고 나오는 케이스 입구와 출구에 케이스의 폭방향으로 하나씩 설치되는 막대형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승강도르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And a rod guide which is installed one by o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ase in which the respective wire ropes extend toward and away from the sheave.
KR2020120010044U 2012-11-05 2012-11-05 Moving sheave of crane KR2014000282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44U KR20140002823U (en) 2012-11-05 2012-11-05 Moving sheave of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44U KR20140002823U (en) 2012-11-05 2012-11-05 Moving sheave of cr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23U true KR20140002823U (en) 2014-05-14

Family

ID=5244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044U KR20140002823U (en) 2012-11-05 2012-11-05 Moving sheave of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823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574A (en) 2019-04-01 2020-10-13 (주)엔키아 Wire diagnostics apparatus for lifting device
KR20210013381A (en) 2019-07-24 2021-02-04 (주)엔키아 Wire diagnostics apparatus for lift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574A (en) 2019-04-01 2020-10-13 (주)엔키아 Wire diagnostics apparatus for lifting device
US10962606B2 (en) 2019-04-01 2021-03-30 Nkia Co., Ltd. Wire diagnosis apparatus mounted on lifting device
KR20210013381A (en) 2019-07-24 2021-02-04 (주)엔키아 Wire diagnostics apparatus for lif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869B1 (en) A wire rope system of the stage device
JP5961416B2 (en) Crane double pulley mechanism
KR101349298B1 (en) Crane apparatus for suspension bridge, and method for elevating bridge block for suspension bridge
JP6750754B2 (en) Lifting elevator for construction work
KR20140002823U (en) Moving sheave of crane
JP5884467B2 (en) Descent device for lifting wire in lift-up device, and descent method for wire in lift-up method
KR101068229B1 (en) Dismantled tower crane cargo handling system and cargo handling method using thereof
JP6628310B2 (en) Derrick for steel tower assembly and dismantling
JPWO2018138831A1 (e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KR101470517B1 (en) Gondola for tower working
KR101954609B1 (en) Hoisting apparatus
CN201793342U (en) Double guide cable system for overhead vertical lifting of building
CN101934994A (en) Building high-altitude vertical hoisting double-guide cable system and assisting method
KR100737816B1 (en) A tongs set up balance equipment
CN210084807U (en) Mobile self-rope-arranging hoister
JP7224189B2 (en) Crane and wiring method
KR101976724B1 (en) Method for installing elevator guide rails without a machine room
JP2001302139A (en) Rope wrapping method for elevator
KR101359556B1 (en) Hoist with a tool box
KR100728419B1 (en) Elevator equipment
JP5833163B2 (en) Elevator equipment
CN218320261U (en) Hoisting assembly for mounting assembly type building
CN106957006B (en) A kind of balance sl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finishing mill taper box
JP6602923B1 (en) Elevator heavy material carrying method and elevator apparatus
JP6950458B2 (en) Elevator weight removal device and weight remova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