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517B1 - Gondola for tower working - Google Patents

Gondola for tower wor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517B1
KR101470517B1 KR1020140098874A KR20140098874A KR101470517B1 KR 101470517 B1 KR101470517 B1 KR 101470517B1 KR 1020140098874 A KR1020140098874 A KR 1020140098874A KR 20140098874 A KR20140098874 A KR 20140098874A KR 101470517 B1 KR101470517 B1 KR 101470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ola
cage
gonadal
cages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산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산기
Priority to KR102014009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5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A gondola for the blade working of a wind power generato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clean, repair, and inspect the blade of the wind power generator by comprising: multiple gondola cages which ar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lide member which is arranged to be able to slide between the multiple gondola cages and connects the multiple gondola cages in order to be able to slide between the multiple gondola cages; multiple ascending and descending units which ascend and descend the gondola cages by being respectively installed in each of the multiple gondola cages and being connected with a wire rope; a wheel unit which is installed in each of the multiple gondola cages and moves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a tower; and a slide drive unit which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by being respectively installed between the multiple gondola cages and the multiple slide members and moving the gondola cages by a slide along the external diameter of the tower.

Description

타워 작업용 곤도라{GONDOLA FOR TOWER WORKING}Tower Gondola {GONDOLA FOR TOWER WORKING}

본 발명은 외경이 달라지는 타워의 청소, 보수 및 점검할 수 있는 타워 작업용 곤도라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wn for a tower work capable of cleaning, repairing, and checking a tower having a different outer diameter.

종래의 곤도라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470790(2003년 06월 02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에 매달려서 수직으로 승하강을 하는 곤도라 케이지의 상부에 일단에 벽면을 향하여 놓여지는 케이지 부착대와, 케이지 부착대가 곤도라 케이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볼트와, 케이지 부착대의 내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되는 바퀴 부착대와, 바퀴 부착대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케이지 부착대와 고정시키기 위한 이격조절핀과, 바퀴 부착대의 끝단에 화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바퀴로 구성된다. [0002] A conventional gondola is discl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1470790 (Jun. 02, 2003), which comprises a cage attachment base which is placed at one end on a wall surface in an upper part of a gondola cage, A fixing bolt for fixing the cage fixing member to the gonadal cage, a wheel mounting base accommodated in a sliding manner inside the cage fixing base, a spacing adjusting pin for fixing the length of the wheel mounting base to the cage mounting base, And a wheel which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tand to be able to flock.

이와 같은 종래의 곤도라는 바퀴 부착대의 끝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바퀴가 건물의 벽면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곤도라 케이지의 무게압이 분산되어 무게중심의 변화를 방지하여 줌으로써 곤도라 케이지가 흔들림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수직으로 승하강되도록 한다.In such a conventional gondola, a wheel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a wheel attachment moves along a wall surface of a building, thereby dispersing the weight pressure of the gondola cage so as to prevent a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As a result, So as to be vertically moved downward.

하지만, 종래의 곤도라는 바퀴 부착대의 길이는 한번 세팅하면 고정된 상태로 되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건축물의 외벽을 따라 바퀴가 이동되기 때문에 건축물 외벽이 곡면이거나 경사면인 경우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gondola, since the wheels are fixe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vertically arranged building, the length of the wheel attachment is fixed once, so that the wheel can not be used whe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curved or inclined.

또한, 종래의 곤도라는 수직으로 승강 및 하강할 때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곤도라 케이지에 롤링이 발생되어 곤도라 케이지를 수평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ondola has a problem that when the gondola is lifted and lowered vertically, rolling occurs in the gondola cag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and it is difficult to keep the gondola cage horizontally.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470790(2003년 06월 02일)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1470790 (June 02, 200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워 외벽이 곡면이거나 경사면으로 형성될 경우 타워 외벽에 접촉된 상태로 승강 및 하강될 수 있어 곤도라의 승강 및 하강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타워 작업용 곤도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wer operation method and a tower operation method which can maintain the horizontal position when the gondola ascends and descends, and can be prevented from shaking when the outer wall of the tower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Gondola is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타워 작업용 곤도라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와,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 각각에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어 곤도라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승강유닛과,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 각각에 설치되고 타워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는 휠 유닛과, 상기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와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타워의 외경에 따라 곤도라 케이지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휠 유닛이 타워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슬라이드 구동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own for working tow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gonadal cag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gonadal cages slidably movable between a plurality of gonadal cages, A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gonadal cages and connected to the wire ropes to elevate the gondola cage; a plurality of gondola cages each of which is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gondola cages and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And a slide driv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gonadar cages and the plurality of slide members to slide the gonadal cage along the outer diameter of the tower to keep the wheel unit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상기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는 제1승강유닛이 장착되는 제1곤도라 케이지와, 제1곤도라 케이지와 제1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승강유닛이 장착되는 제2곤도라 케이지와, 제2곤도라 케이지와 제2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승강유닛이 장착되는 제3곤도라 케이지와, 제3곤도라 케이지와 제3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곤도라 케이지와 제4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4승강유닛이 장착되는 제4곤도라 케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는 환형으로 이루도록 형성되고, 그 내경이 가변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onadal cages include a first gonadal cage on which the first elevating unit is mounted, a second gonadal cage connected to the first gonadal cage by a first slide member so as to be slidable and on which the second lift unit is mounted, A third gondola cage to which a third elevating unit connected to be slidably connected by the second gondola cage and the second slide member is mounted; a second gondola cage which is slidably connected by the third gondola cage and the third slide member, And a fourth gonadal cage which is slidably connected by a fourth slide member and on which the fourth elevator unit is mounted. The plurality of gonadal cages are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their inner diameters can be varied.

상기 제1곤도라 케이지는 제1승강유닛이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일정 각도로 연장되어 제1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에 일정 각도로 연장되어 제4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슬라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ondola cage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first elevation unit, a first sl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to insert the first slide member in a slidable manner, And a second slider that extends at an angle and into which the fourth slide member is slidably inserted.

상기 제1승강유닛은 제1곤도라 케이지에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워의 상단에 고정된 제1와이어 로프가 감겨지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에 설치되어 권상기를 구동하는 권상모터와, 상기 제1와이어 로프의 하단이 고정되고 지면에 배치되며 일정 무게를 갖는 웨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vating unit includes a traction machine disposed in the first gondola cage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ound with a first wire rope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tower, a hoisting motor installed on the hoisting machine to drive the hoisting machine, The low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may be fixed and disposed on the ground, and may include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상기 제1곤도라 케이지의 상측에는 타워의 상측에 고정된 제1와이어 로프를 권상기로 안내하는 제1안내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권상기의 일측에는 권상기에서 인출되는 제1와이어 로프를 웨이트로 안내하는 제2안내롤러가 장착될 수 있다.A first guide roller for guiding a first wire rop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tower to a hoistway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gondola cage and a first guide rope for guiding the first wire rope pulled out of the hoist to a weigh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istway. 2 guide rollers can be mounted.

상기 휠 유닛은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의 내면에 각각 고정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타워의 외벽면에 접촉되는 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wheel unit may include a hinge member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gonadal cages, and a wheel member rotatably mounted on the hinge member and contact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tower.

상기 슬라이드 구동유닛은 상기 권상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권상기와 같이 이동되는 제1롤러와, 제1롤러에 감겨지고, 그 일단은 제1곤도라 케이지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제1곤도라 케이지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4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는 작동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roller which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ction machine and moves together with the traction machine, and a second roller which is wound on the first roller and whose one end extends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godet roller,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n operating rope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rst goneyra cage and fixed to the fourth slide member.

상기 작동로프는 그 일단이 상기 제1곤도라 케이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롤러 및 제1슬라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1곤도라 케이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롤러 및 제4슬라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5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4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The operating rope is guided by a second roller,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gonadal cage, and a fourth roll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slide member, and is fix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 third roll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goneyra cage, and a fifth roll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fourth slide member, and may be fixed to the fourth slide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타워 작업용 곤도라는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의 내경이 가변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타워의 외벽 외경에 따라 슬라이드 구동유닛이 곤도라 케이지의 내경을 가변시킴으로써, 타워 외벽에 접촉된 상태로 승강 및 하강될 수 있어 곤도라의 승강 및 하강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rdola for working a tower, comprising: a plurality of gondola cages each having an inner diameter varying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tower; and a slide driving unit for vary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gondola cage,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horizontal position when the goddock is lifted and lowered,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ak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작업용 곤도라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작업용 곤도라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작업용 곤도라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작업용 곤도라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작업용 곤도라가 설치된 타워의 측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gown for a towe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gown for a towe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of a gown for a towe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of a gown for a towe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tower in which a gown for a tower work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작업용 곤도라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작업용 곤도라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작업용 곤도라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작업용 곤도라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FIG. 1 is a plan view of a gown for a towe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gown for a towe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of a gown for a towe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of a gown for a towe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도라는 타워(100)의 외벽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각 와이어 로프(10,12,14,16)가 연결되는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20,22,24,26)와,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20,22,24,26)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30,32,34,36)와, 각각의 곤도라 케이지(20,22,24,26)에 설치되고 각각의 와이어 로프(10,12,14,16)가 연결되어 곤도라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승강유닛(40,42,44,46)과,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20,22,24,26)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곤도라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슬라이드 구동유닛(50)과,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20,22,24,26)에 각각 설치되어 타워(100) 외면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한 쌍의 휠 유닛(6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gona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tower 10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wire ropes 10, 12, 14, A plurality of slide members 30, 32, 34, 36 provided so as to be slidable between a plurality of gonadly cages 20, 22, 24, 26 and a plurality of slide members 30, A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40, 42, 44, and 46 installed on the respective gondola cages 20, 22, 24, and 26 and connected to the respective wire ropes 10, A slide drive unit 50 that slides the gonadal cages 20, 22, 24, and 26 to vary the inner diameter of the gonad and a plurality of gondola cages 20, 22, 24, And a pair of wheel units 60 mov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100.

타워(100)는 그 외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이고, 외벽면이 곡면 형태이거나 경사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일 예로, 타워(100)는 풍력발전기의 타워로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태의 타워가 적용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10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the outer wall surface may have a curved surface shape or an inclined surface shape. In other words, for example, the tower 100 may be a tower of a wind power generator, and a tower of which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can be applied.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20,22,24,26)는 제1와이어 로프(10)가 연결되는 제1곤도라 케이지(20)와, 제1곤도라 케이지(20)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2와이어 로프(12)가 연결되는 제2곤도라 케이지(22)와, 제2곤도라 케이지(22)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3와이어 로프(14)가 연결되는 제3곤도라 케이지(24)와, 제3곤도라 케이지(24)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4와이어 로프(16)가 연결되는 제4곤도라 케이지(26)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gonadal cages 20, 22, 24, 26 include a first gondola cage 20 to which the first wire rope 10 is connected and a second gondola cage 20 which is dispos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gondola cage 20, A second gondola cage 22 to which the rope 12 is connected, a third gondola cage 24 dispos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gondola cage 22 to which the third wire rope 14 is connected, 3 gondola cage 24 and a fourth gondola cage 26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gondola cage 24 and to which the fourth wire rope 16 is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는 곤도라가 원형의 타워(100) 외벽에 배치되므로 복수의 곤도라가 상호 환형을 이루도록 원형으로 배치되고, 곤도라 케이지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이지만, 3개 또는 4개 이상도 적용이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gonads are arranged on the outer wall of the circular tower 100, the gonads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gonads are mutually annular, and the number of the gondola cages is four in this embodiment, but three or four or more are also applicable This is possible.

제1곤도라 케이지(20), 제2곤도라 케이지(22), 제3곤도라 케이지(24) 및 제4곤도라 케이지(26)는 그 구조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The first gondola cage 20, the second gondola cage 22, the third gondola cage 24 and the fourth gondola cage 26 ar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30,32,34,36)는 제1곤도라 케이지(20)와 제2곤도라 케이지(22)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30)와, 제2곤도라 케이지(22)와 제3곤도라 케이지(24)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32)와, 제3곤도라 케이지(24)와 제4곤도라 케이지(26)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슬라이드 부재(34)와, 제4곤도라 케이지(26)와 제1곤도라 케이지(20)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슬라이드 부재(36)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slide members 30, 32, 34, and 36 include a first slide member 30 slidab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gondola cage 20 and the second gondola cage 22, A second slide member 32 slidably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gondola cage 24 and the third gondola cage 24 so as to be slidable between the third gondola cage 24 and the fourth gondola cage 26, And a fourth slide member 36 which is slidably installed between the fourth gondola cage 26 and the first gondola cage 20. [

제1슬라이드 부재(3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은 제1곤도라 케이지(20)의 일단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단은 제2곤도라 케이지(22)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One end of the first gondola cage 20 is slidably support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gondola cage 22 is slidably moved .

제1곤도라 케이지(20)는 제1승강유닛(40)이 설치되는 본체부(70)와, 본체부(70)의 일단에서 일정 각도로 연장되어 제1슬라이드 부재(3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슬라이딩부(72)와, 본체부(70)의 타단에서 일정 각도로 연장되어 제4슬라이드 부재(36)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슬라이딩부(74)를 포함한다. The first gondola cage 2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70 on which the first lift unit 40 is installed and a second gondola cage 20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70 at a predetermined angle to allow the first slide member 30 to slide And a second sliding portion 74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70 at an angle and inserted into the fourth sliding member 36 so as to be slidable.

이와 같이, 4 개의 곤도라 케이지(20,22,24,26)는 4개의 슬라이드 부재(30,32,34,36)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곤도라 케이지의 내경이 넓어지거나 작아지는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타워(100)의 외경이 작은 부분에서는 곤도라 케이지들 사이의 간격이 축소되어 타워(100)의 외경과 곤도라 케이지의 내경이 일치되고, 타워(100)의 외경이 큰 부분에서는 곤도라 케이지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타워(100)의 외경과 곤도라 케이지의 내경이 일치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our gondola cages 20, 22, 24, and 26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our slide members 30, 32, 34, and 36, respectively,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gondola cage is widened or reduced do. Therefore, in the portion w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tower 100 is small, the distance between the gondola cages is reduc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tower 10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gondola cage are matched. The outer diameter of the tower 10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gondola cage coincide with each other.

승강유닛(40,42,44,46)은 제1곤도라 케이지(20)에 설치되고 제1와이어 로프(10)가 연결되어 제1곤도라 케이지(20)를 승강시키는 제1승강유닛(40)과, 제2곤도라 케이지(22)에 설치되고 제2와이어 로프(12)가 연결되어 제2곤도라 케이지(22)를 승강시키는 제2승강유닛(42)과, 제3곤도라 케이지(24)에 설치되고 제3와이어 로프(14)가 연결되어 제3곤도라 케이지(24)를 승강시키는 제3승강유닛(44)과, 제4곤도라 케이지(26)에 설치되고 제4와이어 로프(16)가 연결되어 제4곤도라 케이지(26)를 승강시키는 제4승강유닛(46)을 포함한다. The elevating units 40, 42, 44, and 46 include a first elevating unit 40 installed on the first gondola cage 20 and connected to the first wire rope 10 to elevate the first gondola cage 20, A second elevating unit 42 installed on the second gondola cage 22 and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rope 12 to elevate the second gondola cage 22 and a second elevating unit 42 installed on the third gondola cage 24 A third elevating unit 44 connected to the third wire rope 14 to raise and lower the third gondola cage 24 and a third elevating unit 44 connected to the fourth wire rope 16 provided in the fourth gondola cage 26, And a fourth elevating unit 46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gono cage 26.

여기에서, 제1승강유닛(40), 제2승강유닛(42), 제3승강유닛(44) 및 제4승강유닛(46)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Here, the first elevating unit 40, the second elevating unit 42, the third elevating unit 44, and the fourth elevating unit 46 have the same structure.

제1승강유닛(40)은 제1곤도라 케이지(20)에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와이어 로프(10)가 감겨지는 권상기(82)와, 권상기(82)에 설치되어 권상기(82)를 구동하는 권상모터(84)와, 제1와이어 로프(10)의 하단이 고정되고 지면에 배치되는 웨이트(86)를 포함한다. The first elevating and lowering unit 40 includes a traction machine 82 disposed in the first gondola cage 20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ound around the first wire rope 10, A hoist motor 84 for driving the first wire rope 82, and a weight 86 fix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wire rope 10 and disposed on the ground.

여기에서, 제1와이어 로프(100는 그 상단이 타워(100)의 상단에 고정되고, 그 하단은 웨이트(86)에 고정되며, 중간 부분은 권상기(82)에 감겨진다. Here, the first wire rope 10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ower 100, the low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weight 86, and the middle portion is wound on the hoist 82.

제1와이어 로프(10), 제2와이어 로프(12), 제3와이어 로프(14) 및 제4와이어 로프(16)는 타워(100)의 둘레방향으로 약 9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웨이트(86) 역시 지면에 90도의 간격을 두고 4개가 배열되고, 웨이트들 사이는 웨이트 연결로프(88)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The first wire rope 10, the second wire rope 12, the third wire rope 14 and the fourth wire rope 16 are arranged at an interval of about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ower 100, (86) are also arranged on the ground at intervals of 90 degrees, and the weights are interconnected by a weight connecting rope (88).

권상기(82)는 복수의 롤러로 구성되어 제1와이어 로프(10)가 각각 감겨지고, 권상모터(84)가 구동되면 복수의 롤러가 회전되면서 제1곤도라 케이지(20)가 제1와이어 로프(10)를 타고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권상기가 사용 가능하다. The winding machine 82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rollers and the first wire rope 10 is wound around each of the rollers. When the winding motor 84 is driven, the plurality of rollers are rotated so that the first gondola cage 20 is wound around the first wire rope 10), various types of traction machines are available.

제1곤도라 케이지(20)의 상면에는 타워(100)의 상단에 연결된 제1와이어 로프(10)를 권상기(82)로 가이드하는 제1안내롤러(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권상기(82)의 일측에는 권상기(82)에서 인출되는 제1와이어 로프(10)를 웨이트(86)로 가이드하는 제2안내롤러(9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A first guide roller 90 for guiding the first wire rope 1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tower 100 by the traction machine 8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ondola cage 20, A second guide roller 92 for guiding the first wire rope 10 pulled out of the hoisting machine 82 by the weight 86 is rotatably install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승강유닛(40)은 권상모터(84)가 구동되면 권상기(82)가 작동된다. 그러면 권상기(82)가 제1와이어 로프(10)를 타고 오르거나 내리면서 제1곤도라 케이지(20)를 승강 및 하강 시킨다. When the hoisting motor 84 is driven, the hoisting machine 82 is operated. Then, the hoisting machine 82 ascends or descends the first gondola cage 20 by raising or lowering the first wire rope 10.

제2승강유닛(42), 제3승강유닛(44) 및 제4승강유닛(46)은 제1승강유닛(40)과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하게 작동되어 제2곤도라 케이지(22), 제3곤도라 케이지(24) 및 제4곤도라 케이지(26)를 승강 및 하강시킨다. The second elevating unit 42, the third elevating unit 44 and the fourth elevating and lowering unit 46 ar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levating unit 40 to form the second gondola cage 22, The cage 24 and the fourth gondola cage 26 are lifted and lowered.

휠 유닛(60)은 제1곤도라 케이지(20)에 고정되는 힌지부재(62)와, 힌지부재(6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곤도라 케이지(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타워(100)의 외벽면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휠 부재(64)를 포함한다. The wheel unit 60 includes a hinge member 62 fixed to the first gondola cage 20, a hinge member 62 rotatably supported on the hinge member 62 and protruding inward of the first gondola cage 20, And a wheel member 64 which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wheel.

이러한 휠 유닛(60)은 제2곤도라 케이지(22), 제3곤도라 케이지(24) 및 제4곤도라 케이지(26)에 각각 설치된다. The wheel unit 60 is installed in the second gondola cage 22, the third gondola cage 24 and the fourth gondola cage 26, respectively.

이와 같이, 휠 유닛(60)이 타워(100)의 외벽면에 접촉되어 타워(100)의 외벽면을 이동하기 때문에 곤도라 케이지와 타워(1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곤도라 케이지의 승강 및 하강할 때 곤도라 케이지가 흔들리거나 롤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Since the wheel unit 60 contacts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tower 100 and moves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tower 100 as described above, the gap between the gondola cage and the tower 100 can be kept constant, It prevents the gondola cage from shaking or rolling when lifting and lowering.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20,22,24,26)에는 타워(100)의 외경 사이즈가 달라지면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20,22,24,26)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휠 유닛(60)의 휠 부재(64)가 타워(100)의 외벽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구동유닛(130)이 설치된다. The gondola cages 20, 22, 24 and 26 slidably move the plurality of gonadal cages 20, 22, 24 and 26 so that the wheel members 64 of the wheel unit 60 Is kept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tower 100 at all times.

슬라이드 구동유닛(130)은 제1승강유닛(40)의 권상기(8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롤러(110)와, 제1롤러(110)의 하측 양쪽에 각각 위치되고 제1곤도라 케이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롤러(112) 및 제3롤러(114)와, 제1곤도라 케이지의 제1슬라이드부(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롤러(140)와, 제1곤도라 케이지의 제2슬라이드부(7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5롤러(142)와, 제1롤러(110)에 감겨지고, 그 일단은 제2롤러(112) 및 제4롤러(140)에 가이드되어 제1슬라이드 부재(30)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제3롤러(114) 및 제5롤러(142)에 가이드되어 제4슬라이드 부재(36)에 고정되는 작동 로프(120)를 포함한다. The slide driving unit 130 includes a first roller 110 rotatably installed below the traction machine 82 of the first elevating unit 40 and a second roller 11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oller 110, A second roller 112 and a third roller 114 rotatably installed in the gonadal cage 20 and a fourth roller 140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slide part 72 of the first gonadal cage, And a fifth roller 142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slide portion 74 of the first gondola cage. The fifth roller 142 is wound on the first roller 110 and has one end thereof engaged with the second roller 112 and the fourth roller The other end of which is guided by the roller 140 and guided by the third roller 114 and the fifth roller 142 to be fixed to the fourth slide member 36 120).

이와 같은 슬라이드 구동유닛(130)은 제2곤도라 케이지(22), 제3곤도라 케이지(24) 및 제4곤도라 케이지(26)에 각각 설치된다. The slide drive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second gondola cage 22, the third gondola cage 24 and the fourth gondola cage 26, respectively.

슬라이드 구동유닛(130)의 작동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slide drive unit 13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작업용 곤도라가 설치된 타워의 측면도이다. 5 is a side view of a tower in which a gown for a tower work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타워일 경우 곤도라 케이지가 상승되면 권상기(82)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권상기(82)에 설치된 제1롤러(110)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작동 로프(120)가 제1롤러(110)에 감겨진 상태로 상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작동 로프(120)의 일단이 제1슬라이드 부재(30)에 고정되어 있고, 작동 로프(120)의 타단은 제4슬라이드 부재(36)에 고정되어 있어 작동 로프(12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제1곤도라 케이지(20)의 제1슬라이드부(72)가 제1슬라이드 부재(3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제2슬라이드부(74)가 제4슬라이드 부재(36)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First, in the case of a tower whose out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upper direction, when the gondola cage rises, the hoisting machine 82 is moved upward. The first roller 110 installed on the hoisting machine 82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us the operating rope 120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roller 110. [ One end of the operating rope 120 is fixed to the first slide member 30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rope 120 is fixed to the fourth slide member 36. By the pulling force of the operating rope 120, The first slide portion 72 of the first goney cage 20 is slid in the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 member 30 and the second slide portion 74 is inserted into the fourth slide member 36 Lt; / RTI >

따라서, 곤도라 케이지의 내경이 작아지면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타워(100)의 외경과 곤도라 케이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휠 부재(60)가 타워의 외벽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refore,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gondola cage is reduced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tower 100 whose outer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upper side is kept constant, the gap between the gondola cage is kept constant and the state in which the wheel member 6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tower .

여기에서, 권상기(82)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유는 타워(100)의 외벽면이 작아지면 휠 부재(64)와 타워의 외벽면 사이가 떨어지게 된다. 이때 권상기(82)가 작동되면 제1곤도라 케이지(20)를 상승시키는 힘에 비해 작동 로프(120)가 권상기(82)를 당기는 힘이 더 작기 때문에 권상기(82)는 상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작동 로프(120)를 당겨주게된다. The reason that the hoisting machine 82 is moved upward is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wheel member 64 an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tower falls whe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tower 100 becomes small. At this time, when the hoisting machine 82 is operated, the hoisting machine 82 is moved upward because the force by which the hoisting machine 82 pulls the operating rope 120 is smaller than the force for raising the first gondola cage 20, So that the rope 120 is pulled.

그리고, 휠 부재(64)가 타워(100)의 외벽면에 접촉되면 곤도라 케이지는 더 이상 슬라이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권상기(82)의 힘에 의해 제1곤도라 케이지(20)가 제1와이어 로프(10)를 타고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wheel member 6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tower 100, the gondola cage can no longer slide, and the first gondola cage 20 is moved by the force of the hoist 82, The rope 10 is moved upward.

그리고, 곤도라 케이지가 하강할 경우 타워(100)의 외경이 점차적으로 넒어지면 휠 부재(64)가 타워(100)의 외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제1곤도라 케이지(20)의 제1슬라이부(72)가 제1슬라이드 부재(30)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제2슬라이드부(74)가 제4슬라이드 부재(36)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곤도라 케이지의 내경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된다. If the outer diameter of the tower 100 is gradually widened when the gondola cage descends, the wheel member 64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tower 100, The portion 72 is slid in the direction of being pulled out of the first slide member 30 and the second slide portion 74 is slid in the direction of pulling out of the fourth slide member 36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gondola cage gradually widens .

이때, 권상기(82)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롤러(110)에 감겨진 작동 로프(120)가 이동되면서 곤도라 케이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At this time, when the hoisting machine 82 is moved downward, the operating rope 120 wound on the first roller 110 is moved to guide the gondola cage to slid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제1와이어 로프 12: 제2와이어 로프
14: 제3와이어 로프 16: 제4와이어 로프
20: 제1곤도라 케이지 22: 제2곤도라 케이지
24: 제3곤도라 케이지 26: 제4곤도라 케이지
30: 제1슬라이드 부재 32; 제2슬라이드 부재
34: 제3슬라이드 부재 36: 제4슬라이드 부재
40: 제1승강유닛 42: 제2승강유닛
44: 제3승강유닛 46: 제3승강유닛
60: 휠 유닛 70: 본체부
72: 제1슬라이드부 74: 제2슬라이드부
82: 권상기 86: 웨이트
110: 제1롤러 112: 제2롤러
114: 제3롤러 120; 작동 로프
130: 슬라이드 구동유닛 100: 타워
10: first wire rope 12: second wire rope
14: third wire rope 16: fourth wire rope
20: First Gondola Cage 22: Second Gondola Cage
24: Third Gondola Cage 26: Fourth Gondola Cage
30: first slide member 32; The second slide member
34: third slide member 36: fourth slide member
40: first elevating unit 42: second elevating unit
44: third elevating unit 46: third elevating unit
60: wheel unit 70:
72: first slide part 74: second slide part
82: Traction machine 86: Weight
110: first roller 112: second roller
114: third roller 120; Working rope
130: Slide drive unit 100: Tower

Claims (8)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부재;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 각각에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어 곤도라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승강유닛;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 각각에 설치되고 타워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는 휠 유닛; 및
상기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와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타워의 외경에 따라 곤도라 케이지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휠 유닛이 타워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슬라이드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타워 작업용 곤도라.
A plurality of gonadal cag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lide member disposed slidably between a plurality of gonadal cages for slidably connecting a plurality of gonadal cages;
A plurality of elevating units installed on each of a plurality of gonadal cages and connected to wire ropes to elevate the gondola cage;
A wheel unit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gonadal cages and moved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tower; And
And a slide driving unit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gonadal cages and the plurality of slide members and slidably moves the gonadal cage along the outer diameter of the tower to maintain the wheel unit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는 제1승강유닛이 장착되는 제1곤도라 케이지와,
제1곤도라 케이지와 제1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승강유닛이 장착되는 제2곤도라 케이지와,
제2곤도라 케이지와 제2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승강유닛이 장착되는 제3곤도라 케이지와,
제3곤도라 케이지와 제3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곤도라 케이지와 제4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4승강유닛이 장착되는 제4곤도라 케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는 환형으로 이루도록 형성되고, 그 내경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작업용 곤도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gonadal cages include a first gonadal cage on which the first elevating unit is mounted,
A second gondola cage which is slidably connected by the first gondola cage and the first slide member and on which the second lift unit is mounted,
A third gondola cage to which a third lift unit is slidably connected by a second gondola cage and a second slide member,
And a fourth gonadal cage which is slidably connected by a third gonadal cage and a third slide member and which is slidably connected by the first gonadal cage and the fourth slide member and on which the fourth lift unit is mounted,
Wherein the plurality of gonadal cages are formed to have an annular shape and the inner diameter thereof is vari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곤도라 케이지는 제1승강유닛이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일정 각도로 연장되어 제1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에 일정 각도로 연장되어 제4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슬라이부를 포함하는 타워 작업용 곤도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gondola cage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irst elevating unit,
A first slide part extending at one end of the main body part at an angle and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 member so as to be slidable,
And a second slider portion extending at an opposite angle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fourth slide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유닛은 제1곤도라 케이지에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워의 상단에 고정된 제1와이어 로프가 감겨지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에 설치되어 권상기를 구동하는 권상모터와,
상기 제1와이어 로프의 하단이 고정되고 지면에 배치되며 일정 무게를 갖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타워 작업용 곤도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elevating unit includes a traction machine disposed in the first gondola cage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ound around a first wire rope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tower,
A hoisting motor installed on the hoisting machine to drive a hoisting machine,
And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wherein a lower end of the first wire rope is fixed and disposed on the grou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곤도라 케이지의 상측에는 타워의 상측에 고정된 제1와이어 로프를 권상기로 안내하는 제1안내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권상기의 일측에는 권상기에서 인출되는 제1와이어 로프를 웨이트로 안내하는 제2안내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작업용 곤도라.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first wire rop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tower to the hoisting machine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gondola cage,
And a second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first wire rope drawn out from the hoisting machine to the weigh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isting machi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 유닛은 복수의 곤도라 케이지의 내면에 각각 고정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타워의 외벽면에 접촉되는 휠 부재를 포함하는 타워 작업용 곤도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heel unit includes a hinge member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gonadal cages,
And a wheel member rotatably mounted on the hinge member and contact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tow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동유닛은 상기 권상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권상기와 같이 이동되는 제1롤러와, 제1롤러에 감겨지고, 그 일단은 제1곤도라 케이지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제1곤도라 케이지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4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는 작동 로프를 포함하는 타워 작업용 곤도라.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lid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roller which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ction machine and moves together with the traction machine, and a second roller which is wound on the first roller and whose one end extends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godet roller,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rst gondola cage and fixed to the fourth slide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프는 그 일단이 상기 제1곤도라 케이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롤러 및 제4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1곤도라 케이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롤러 및 제4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4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작업용 곤도라.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perating rope is guided by a second roller and a fourth roller,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gonadal cage, and is fix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guided by a third roller and a fourth roller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gondola cage and fixed to the fourth slide member.
KR1020140098874A 2014-08-01 2014-08-01 Gondola for tower working KR101470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874A KR101470517B1 (en) 2014-08-01 2014-08-01 Gondola for tower wor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874A KR101470517B1 (en) 2014-08-01 2014-08-01 Gondola for tower wor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517B1 true KR101470517B1 (en) 2014-12-12

Family

ID=5267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874A KR101470517B1 (en) 2014-08-01 2014-08-01 Gondola for tower wor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51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186B1 (en) 2017-03-17 2018-09-28 에스폼 주식회사 Rope climbing system of Pendant type Scaffolding system
CN109179121A (en) * 2018-10-08 2019-01-11 张家港市荣达建筑机械制造有限公司 A kind of debugg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elevator cage
KR20220033153A (en) * 2020-09-09 2022-03-16 대한곤돌라주식회사 Gondola for tower maintenance wo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520A (en) * 1996-10-31 1998-05-19 Ishii Iron Works Co Ltd Disassembling method of storage tank
KR200430674Y1 (en) * 2006-08-21 2006-11-10 (주)조은곤도라 High place working gondola in building
JP2008115683A (en) * 2006-10-10 2008-05-22 Nihon Bisoh Co Ltd Temporary guide device for wall surface work and setting method thereof
KR200445362Y1 (en) * 2008-10-31 2009-07-23 주식회사 국제곤도라 Lower support of the safety ne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520A (en) * 1996-10-31 1998-05-19 Ishii Iron Works Co Ltd Disassembling method of storage tank
KR200430674Y1 (en) * 2006-08-21 2006-11-10 (주)조은곤도라 High place working gondola in building
JP2008115683A (en) * 2006-10-10 2008-05-22 Nihon Bisoh Co Ltd Temporary guide device for wall surface work and setting method thereof
KR200445362Y1 (en) * 2008-10-31 2009-07-23 주식회사 국제곤도라 Lower support of the safety nett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186B1 (en) 2017-03-17 2018-09-28 에스폼 주식회사 Rope climbing system of Pendant type Scaffolding system
CN109179121A (en) * 2018-10-08 2019-01-11 张家港市荣达建筑机械制造有限公司 A kind of debugg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elevator cage
CN109179121B (en) * 2018-10-08 2024-03-12 张家港市荣达建筑机械制造有限公司 Debugging device for construction elevator cage
KR20220033153A (en) * 2020-09-09 2022-03-16 대한곤돌라주식회사 Gondola for tower maintenance work
KR102466049B1 (en) * 2020-09-09 2022-11-11 대한곤돌라주식회사 Gondola for tower maintenance 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056B1 (en) Gondola device
EP3617127B1 (en) Jump elevator and jumping method
CN106163962B (en) Elevator system
KR101576851B1 (en) Gantry crane apparatus
KR101470517B1 (en) Gondola for tower working
CN203699606U (en) Lifter and iron tower
EP3572366B1 (en) Elevator system
CN204689556U (en) Bay-lift in a kind of harbour construction
KR101636194B1 (en) Elevator and method for modifying elevator
JP2017512151A (en) Train platform safety equipment
KR102466049B1 (en) Gondola for tower maintenance work
CN206917340U (en) A kind of telescopic lifting platform of wire rope gearing two-stage
CN205820646U (en) A kind of Long travel elevator
KR101496226B1 (en) Gondola for blade of wind generator
KR101538893B1 (en) Up-and-Down Type Runaway Approach Lamp Post
CA2895247C (en) Maintenance method for a lift
CN112110317A (en) Material lifting machine for building engineering construction
JP4802844B2 (en) Elevator equipment
CN211444795U (en) Elevator for construction machinery
KR101614655B1 (en) Up-and-Down Type Runaway Approach Lamp Post
JPWO2017141438A1 (en) Elevator equipment
CN206137683U (en) Novel lifting bed based on push rod and assembly pulley
JP6694598B2 (en) Double deck elevator and its driving method
EP3553013A3 (en) Lifting system
CN219906905U (en) Lifting platform for overhauling inside upper end shaft of generator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