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719U - 선박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선박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719U
KR20140002719U KR2020120009895U KR20120009895U KR20140002719U KR 20140002719 U KR20140002719 U KR 20140002719U KR 2020120009895 U KR2020120009895 U KR 2020120009895U KR 20120009895 U KR20120009895 U KR 20120009895U KR 20140002719 U KR20140002719 U KR 201400027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bracket
ladders
guide bar
foo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9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719U/ko
Publication of KR20140002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7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선박용 작업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작업대로서,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발판의 좌, 우측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제1,2 사다리; 상기 제1,2 사다리의 좌, 우측 사이드 레일에 설치된 보조 손잡이; 상기 제1,2 사다리와 인접하여 상기 발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상기 제1,2 사다리를 통해 이동할 때 안정적인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발판에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작업대{Working Plate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추락으로 인한 상해 및 안전 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선박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용 발판은 선박의 건조, 건축물의 축조 등 높은 곳의 작업에 사용되는 것으로, 수직과 수평으로 설치된 설치프레임에 고정되어 작업용 통로, 작업대 등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작업용 발판은 긴 직사각형의 상판과, 상판의 양측 긴 변을 따라 부착된 측부프레임과, 상판의 양측 짧은 변에 부착된 측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부프레임은 긴 변에 형성되어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로서, 단면이 사각형 등으로 된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판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물과 모래 등 다양한 이물질의 배출을 위하여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선박에서 사용대는 작업대는 통상의 건축 현장에서 사용되는 것과 다르게 상대적으로 지면에서부터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실시해야하므로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추락에 의한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항시 노출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0358 (공개일 : 2008년03월31일)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조선소에서 선박 건조를 위해 작업대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작업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박용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선박에서 사용되는 작업대로서,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발판의 좌, 우측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제1,2 사다리; 상기 제1,2 사다리의 좌, 우측 사이드 레일에 설치된 보조 손잡이; 상기 제1,2 사다리와 인접하여 상기 발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상기 제1,2 사다리를 통해 이동할 때 안정적인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발판에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바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발판의 상면에 고정된 제1 가이드 브라켓;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의 상측에 고정되고 다수개의 결합공이 개구된 제2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바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은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과 마주보며 상기 가이드 바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3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기 위해 설치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가 상기 발판으로 회전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조선소에서 작업대를 이용한 작업을 실시하는 모든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대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발생과 추락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작업대의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작업대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선박용 작업대(1)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발판(10)의 좌, 우측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제1,2 사다리(100,200)가 설치된다. 상기 제1,2 사다리(100,200)는 통상의 사다리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 예에서는 환봉을 조립하여 발판(10)에 연결시킨 구성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2 사다리(100,200)는 좌, 우측 사이드 레일(102,202)에 설치된 보조 손잡이(300)가 설치되고, 상기 제1,2 사다리(100,200)와 인접하여 상기 발판(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상기 제1,2 사다리(100,200)를 통해 이동할 때 안정적인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400)는 상기 발판(10)에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410)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바(420)를 포함한다.
발판(10)은 통상적으로 상면에 작업자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 브라켓(410)은 발판(10)의 상면에 고정된 제1 가이드 브라켓(412)과,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412)의 상측에 고정되고 다수개의 결합공(402)이 개구된 제2 가이드 브라켓(414)과, 상기 가이드 바(42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412)은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412)과 마주보며 상기 가이드 바(420)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3 가이드 브라켓(416)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 브라켓(412)은 발판(10)의 상면에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해 고정되고, 가이드 바(420)는 제2 가이드 브라켓(414)과 제3 가이드 브라켓(416) 사이에 설치된다.
제2 가이드 브라켓(414)은 가이드 바(420)의 하단과 볼팅 고정되고, 소정의 폭과 높이 및 두께를 가지는 철판이 사용된다.
제3 가이드 브라켓(416)은 제1 가이드 브라켓(416)과 마주보며 제1 가이드 브라켓(412)의 상면에 고정되고, 가이드 바(420)의 회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회전을 가이드 한다.
제3 가이드 브라켓(416)은 제2 가이드 브라켓(41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고 제1 가이드 브라켓(412)의 상면에 설치된다. 그 이유는 작업자가 가이드 바(420)를 잡고 발판(10)에서 지면으로 내려가거나, 제1,2 사다리(100,200)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발판(10)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가이드 바(420)의 타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이다.
이 경우 가이드 바(420)의 일측은 제2 가이드 브라켓(414)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반대편인 타측만 소정의 길이로 면접촉시켜 안정적으로 지지하면 된다.
제2 가이드 브라켓(414)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결합공(402)은 적어도 1개 이상 개구되고, 가이드 바(420)에 구비된 고정부재(20)가 작업자에 의해 상기 결합공(402)에 선택적으로 록킹 및 언록킹되면서 결합 상태가 조절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412)은 상면에 패드(404)가 설치되고, 상기 패드(404)는 가이드 바(42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패드(404)는 발판(10)을 향해 이동되는 가이드 바(420)가 상기 발판(10)과 충돌되면서 불필요한 소음 발생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패드(404)는 고무가 사용되며 탄성력이 유지되는 다른 재질로의 대처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선박용 작업대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작업대(1)를 작업이 이루어질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발판(1)으로 이동하기 위해 제2 사다리(200)를 통해 중간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가이드 바(42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발판(10)과 수직 상태가 되도록 고정부재(20)를 이용하여 결합공(402)에 고정시킨다.
가이드 바(420)는 회전 도중에 제2 가이드 브라켓(414)에 의해 외측이 지지되므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탈되지않고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회전된다.
작업자는 발판(10)에 대해 수직 상태로 고정된 가이드 바(420)를 손으로 잡고서 발판(10)의 상면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하면 된다. 작업자는 발판(10)에서 필요한 작업을 모두 수행한 후에 상기 가이드 바(420)를 다시 잡고서 제2 사다리(200)를 통해 안전하게 지면으로 내려올 수 있다.
가이드 바(420)는 작업이 모두 종료된 이후에 결합공(412)에 고정된 고정부재(2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 후에 발판(10)의 상면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작업대
10 : 발판
100, 200 : 제1,2 사다리
300 : 보조 손잡이
400 : 가이드부
410 : 가이드 브라켓
412, 414, 416 : 제1,2,3 가이드 브라켓
420 : 가이드 바

Claims (4)

  1. 선박에서 사용되는 작업대로서,
    상기 작업대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발판의 좌, 우측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제1,2 사다리;
    상기 제1,2 사다리의 좌, 우측 사이드 레일에 설치된 보조 손잡이;
    상기 제1,2 사다리와 인접하여 상기 발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상기 제1,2 사다리를 통해 이동할 때 안정적인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발판에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발판의 상면에 고정된 제1 가이드 브라켓;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의 상측에 고정되고 다수개의 결합공이 개구된 제2 가이드 브라켓;
    상기 가이드 바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은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과 마주보며 상기 가이드 바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3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기 위해 설치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가 상기 발판으로 회전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KR2020120009895U 2012-10-31 2012-10-31 선박용 작업대 KR201400027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895U KR20140002719U (ko) 2012-10-31 2012-10-31 선박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895U KR20140002719U (ko) 2012-10-31 2012-10-31 선박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19U true KR20140002719U (ko) 2014-05-09

Family

ID=5244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895U KR20140002719U (ko) 2012-10-31 2012-10-31 선박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7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580B1 (ko) 2021-12-29 2023-03-06 (유)은강산업 이동용 작업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580B1 (ko) 2021-12-29 2023-03-06 (유)은강산업 이동용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177B1 (ko) 고소작업대
JP2011126628A (ja) エレベータ点検台
JP4556136B2 (ja)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490977Y1 (ko)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140002719U (ko) 선박용 작업대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KR101244503B1 (ko)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20150000562U (ko) 해양구조물용 사다리
KR20080093514A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KR20130050569A (ko) 선박의 크래인 장치
KR102106715B1 (ko)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 리프팅 지그
KR20140004108U (ko) 해치 커버 작업대
JP2011153012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装置
JP6528746B2 (ja) マンコンベア
KR101859114B1 (ko) 다단 적치가 가능한 선박용 작업대 설치 방법
JP4784167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用足場装置
ITUB20150688A1 (it) Dispositivo di guida per transenne provvisorie di ponteggi
CN215883057U (zh) 一种具有梯级结构的安全打码平台
KR20140018619A (ko) 선박용 추락방지 안전 작업장치
KR200418475Y1 (ko) 선로 승강장 보수 및 점검용 작업대
CN214935423U (zh) 简易龙门架
KR200334986Y1 (ko) 선박용 가설 작업발판의 층간통로 개폐도어
KR200230053Y1 (ko) 대형선박의 블럭내의 도장용 작업대
JP2006257770A (ja) 作業用足場ユニット
CN207633762U (zh) 一种悬挑移动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