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653U -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653U
KR20140002653U KR2020120009759U KR20120009759U KR20140002653U KR 20140002653 U KR20140002653 U KR 20140002653U KR 2020120009759 U KR2020120009759 U KR 2020120009759U KR 20120009759 U KR20120009759 U KR 20120009759U KR 20140002653 U KR20140002653 U KR 201400026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lens
contact
lens hol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4044Y1 (ko
Inventor
이광인
Original Assignee
이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인 filed Critical 이광인
Priority to KR2020120009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04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6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6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0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05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585/545Contact lense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렌즈수용부에 함께 동봉됨으로써 콘택트렌즈의 착용 시 케이스로부터 콘택트렌즈를 탈리시키는 작업이 편리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어 콘택트렌즈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렌즈의 수명이 연장되어 렌즈 구입 비용이 절감되며, 렌즈의 손상을 인식하지 못한 채 콘택트렌즈를 착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각막손상과 공막신생혈관 등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콘택트렌즈의 착용이 매우 용이해지는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는, 내부에 렌즈수용부가 형성된 통상의 콘택트렌즈 케이스에 수용되기 위한 콘택트렌즈 홀더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가 내부로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된 내경을 갖고 탄성 가능한 타원형의 렌즈거치테와, 상기 렌즈거치테 내부공간의 직선거리가 짧은 방향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부가 형성된 반대 방향의 양측을 내측으로 탄성 가압한 경우,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서로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콘택트렌즈가 상기 렌즈거치테에서 낙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CONTACT LENS HOLDER FOR EASY USE AND KEEPING TO CONTACT LENS}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렌즈수용부에 함께 동봉됨으로써 콘택트렌즈의 착용 시 케이스로부터 콘택트렌즈를 탈리시키는 작업이 편리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어 콘택트렌즈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렌즈의 수명이 연장되어 렌즈 구입 비용이 절감되며, 렌즈의 손상을 인식하지 못한 채 콘택트렌즈를 착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각막손상과 공막신생혈관 등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콘택트렌즈의 착용이 매우 용이해지는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좋은 시력을 얻고자 안구의 전면에 렌즈를 직접 접촉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시력교정 효과가 적은 근시, 원시, 난시 등의 교정을 위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최근에는 미용을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통상 이러한 렌즈는 원형으로 지름이 7 내지 9mm정도이고, 중심부의 두께는 0.3 내지 05mm정도로 매우 작게 형성되며, 착용 이후에 반드시 세척을 하여야 교정 효과는 물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면서 렌즈의 손상을 예방하도록 케이스에 보관하며, 그 케이스 내부에는 세척액이 담겨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케이스는 보통 좌, 우측으로 구획된 본체으 ㅣ내부에 렌즈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이 수용 공간의 상부를 덮개로 개폐하며 렌즈가 수납 또는 인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이 렌즈 형상으로 만곡되어 여기에 렌즈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대다수였다.
하지만, 이러한 케이스에서 보관되는 콘택트렌즈는 쉽게 움직이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보관되고, 콘택트렌즈가 케이스 덮개에 붙어서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되었으며, 콘택트렌즈가 케이스 사이에 끼여 있는 상태로 덮개를 닫게 되어 찢어지는 등 숙련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콘택트렌즈를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것이었다. 또한, 콘택트렌즈가 케이스내에 뒤집혀 있는 경우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착용함으로써 눈에서 떼내어 재착용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있었으며, 케이스내에 채워진 세척액과 함께 보관되므로 덮개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콘택트렌즈가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콘택트렌즈의 직접적인 손상이 발생되거나 콘택트렌즈에 이물질이 쉽게 달라붙을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함으로써 결국, 콘택트렌즈를 재구매하여야 하는 등의 이유로 렌즈의 수명이 그리 길지 못한 것이었다.
그 뿐만 아니라, 렌즈를 탈리시켜 안구에 렌즈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의 검지 또는 중지에 안착시키기 위해서 손가락으로 들어올려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콘택트렌즈 사용자는 렌즈를 사용할 때마다 먼저 손을 깨끗이 세척 및 소독해야하며, 안구 방향에 맞는 방향으로 뒤집기 위해서 양손을 모두 사용하면서 콘택트렌즈를 자주 접촉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렌즈가 손가락으로부터 이탈되어 렌즈가 손상 또는 분실됨에 따라 재소독하여 사용하거나 렌즈 수명이 단축되면서 결국 새상품을 새로 구입하게 됨으로써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많은 발명이 이루어져 왔는데, 본 고안과 어느정도 유사성을 갖는 기술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도1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352호 "콘택트 렌즈 케이스"에는 렌즈를 보관하는 렌즈 케이스로써, 케이스(110)가 좌우측으로 구획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21)이 형성되고 상부측에 투입구(122)가 형성된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투입구(122)에 나사 결합되어 투입구를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덮개(130)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130) 저부에 조립됨으로써 한 쌍의 삽입부(141,142)가 탄성력을 가지고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며 각각에 형성된 절개부(143)와 협지부(144)에 의해 렌즈(100)가 끼워지도록 하는 렌즈삽입구(140)로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시중에 많이 보급된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케이스에 적용이 불가능하여 새로운 렌즈 케이스를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상기 렌즈(100)를 렌즈삽입구(140)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한 손이 렌즈 덮개(13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나머지 다른 손으로 렌즈삽입구(140)를 벌려야 하기 때문에 한 손으로 렌즈삽입구(140)를 벌리는 동시에 손가락에 렌즈(100)를 올려놓는 작업을 병행하기가 까다롭게 되어 결국, 상기 협지부(144)에서 이탈된 렌즈(100)가 바닥으로 떨어짐으로써 렌즈가 손상되거나 분실될 수 있는 것이며, 연질로 탄력을 가지는 협지편 사이에서 손가락으로 들어올리는 경우 렌즈가 튕겨져 나갈 수 있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의 렌즈(100)를 직접 잡아당겨 빼내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적어도 두 손가락 이상을 집게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여 파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결국,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 설명되었던 문제점들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고, 손가락에 한번 접촉된 렌즈가 세척액에 의해 쉽게 달라붙어 착용 방향을 맞추기 위해 렌즈를 뒤집는 등의 작업이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된 통상의 콘택트렌즈 케이스에 함께 동봉되도록 적용 가능한 것으로, 콘택트렌즈가 렌즈 케이스 내부에서 유동하여 뒤집히는 것을 예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콘택트렌즈가 안구에 착용되는 방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스로부터 렌즈를 신속하게 빼낸 상태에서 렌즈를 안구에 착용하기 위해 검지 또는 중지 등의 한 손가락 위에 바로 놓여지도록 할 수 있어 빠르고 편리하게 렌즈를 착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렌즈가 손상 또는 분실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택트렌즈가 덮개에 끼거나 달라붙는 등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택트렌즈 수명이 연장되어 렌즈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렌즈의 착용 방향과 손상을 인식하지 못한 채 콘택트렌즈를 착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각막손상과 공막신생혈관 등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는, 내부에 렌즈수용부가 형성된 통상의 콘택트렌즈 케이스에 수용되기 위한 콘택트렌즈 홀더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가 내부로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된 내경을 갖고 탄성 가능한 타원형의 렌즈거치테와, 상기 렌즈거치테 내부공간의 직선거리가 짧은 방향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부가 형성된 반대 방향의 양측을 내측으로 탄성 가압한 경우,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서로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콘택트렌즈가 상기 렌즈거치테에서 낙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거치테 일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손잡이부에는 렌즈의 착용 방향을 알리기 위한 기호 또는 문자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는,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렌즈수용부에 함께 동봉되도록 적용 가능하여 콘택트렌즈의 착용 시 케이스로부터 콘택트렌즈를 탈리시키는 작업이 편리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콘택트렌즈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렌즈의 수명이 연장되어 렌즈 구입 비용이 절감되며, 렌즈의 손상을 인식하지 못한 채 콘택트렌즈를 착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각막손상과 공막신생혈관 등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택트렌즈의 착용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홀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홀더를 도시한 기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홀더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이하 "콘택트렌즈 홀더"라 한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홀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홀더를 도시한 기본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홀더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홀더(1)는, 렌즈거치테(1a), 한 쌍의 지지부(1b), 손잡이부(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 콘택트렌즈 홀더(1)는 한 쌍의 콘택트렌즈(2)가 수용되기 위한 각각의 렌즈수용부(11a)가 형성된 몸체(11)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렌즈수용부(11a)를 개폐하도록 렌즈수용부(11a) 외측에 나사결합되는 각각의 덮개(12)가 구비된 통상의 콘택트렌즈 케이스(10)에 콘택트렌즈(2)와 함께 동봉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통상의 콘택트렌즈 케이스의 렌즈수용부 내부에 콘택트렌즈가 구비되고, 상기 콘택트렌즈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이 담겨 있는 구조의 콘택트렌즈 케이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콘택트렌즈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콘택트렌즈의 인출이 용이하지 못하고, 케이스 주변에 달라붙거나 손가락으로부터 이탈되는 등 콘택트렌즈가 쉽게 손상되거나 분실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콘택트렌즈의 사용과 보관이 어렵고, 취급상 불편한 점이 매우 많았던 실정이었다.
이에, 본 고안 상기 콘택트렌즈 홀더(1)는 현재 시중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는 통상의 콘택트렌즈 케이스(10)에 바로 적용가능한 콘택트렌즈 홀더(1)의 구성을 제시하여 큰 비용의 추가 없이 콘택트렌즈(2)의 사용과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1)를 안출하게 된 것이다.
상기 콘택트렌즈 홀더(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거치테(1a), 한 쌍의 지지부(1b), 손잡이부(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렌즈거치테(1a)는 상기 콘택트렌즈(2)가 내부로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2)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렌즈거치테(1a)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타원형의 테로만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테의 단면은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렌즈거치테(1a)는 탄성 가능한 재질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거치테(1a)는 전제척으로 링 형태의 얇은 두께를 갖는 단면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얇은 합성수지재 재질로 형성된 경우 소정의 탄성력을 갖게 된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렌즈거치테(1a)는 딱딱한 재질이기 때문에 연질의 고무 재질에 비해 탄성 복원성이 매우 강하고 빠른 특징을 갖고 있으며, 잦은 사용에 따른 탄성 변형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렌즈거치테(1a)는 상기 콘택트렌즈(2)가 상기 렌즈거치테(1a) 내부로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구성이라면 둘레의 형상이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렌즈거치테(1a) 둘레의 형상이 본원기술을 이루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형상인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평면상에서 볼 때 어느 양측의 내부 거리가 짧은 거리로 형성되고, 그 타측의 양측의 내부 거리가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거치테(1a)는 내부공간의 직선 거리가 길게 형성된 양측의 내측 방향 즉, 탄성 가압방향(P)으로 가압하게 되는 경우, 상기 렌즈거치테(100)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차적으로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1b)는 상기 콘택트렌즈(2)가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렌즈거치테(1a) 어느 양측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콘택트렌즈(2)의 양측 외주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상기 한 쌍의 지지부(1b)는 타원형의 테두리로 이루어진 상기 렌즈거치테(1a) 내주면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 양측에서 상기 렌즈거치테(1a)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부(1b)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택트렌즈(2)의 가장자리가 걸쳐진 형태로 안착되도록 렌즈거치테(1a) 내부공간의 직선거리가 짧은 방향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b)는 상기 콘택트렌즈(2)의 굴곡 방향에 맞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홀더(1)는 상기 렌즈거치테(1a) 일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1c)는 상기 케이스(10)의 렌즈수용부(11a)에 놓여 있는 콘택트렌즈 홀더(1)를 빼내고자 하는 경우, 콘택트렌즈(2)에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도록 간편히 인출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이에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1c)는 상기 렌즈거치테(1a)의 상단부 일측에서 렌즈거치테(1a) 내측 상방을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손잡이부(1c)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b) 타측 즉, 상기 렌즈거치테(1a)의 탄성 가압방향(P)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렌즈거치테(1a)의 일단부에서 상기 콘택트렌즈(2)에 간섭되지 않는 방향이면 어느 곳에든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c)에는 렌즈의 착용 방향을 알리기 위한 기호 또는 문자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의 착용 방향은 보통 좌, 우 방향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한글, 숫자, 도형 등 방향을 표시할 수 있는 기호나 문자라면 어떤 것이든 기재가 가능하고, 이와 같은 표시는 상기 손잡이부(1c) 표면에 스티커 형태로 붙여질 수 있을 것이고, 상기 손잡이부(1c)의 표면이 음각 또는 양각되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좌, 우 방향을 영어로 기재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의 Left를 약칭하는 "L" 및 Right를 약칭하는 "R" 과 같이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10)에서 콘택트렌즈(2)를 꺼내거나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렌즈 방향을 혼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 콘택트렌즈 홀더(1)는 도 4에서와 같이 콘택트렌즈 케이스(10) 내부에 콘택트렌즈(2)와 함께 동봉되도록 적용 가능한 것으로, 상기 콘택렌즈(2)가 콘택트렌즈 홀더(1)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케이스(10)의 상기 렌즈수용부(11a) 내부에 함께 수용된다. 이에, 사용자가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10)의 몸체(11)에 형성된 나사산(11b)에 나사결합된 덮개(12)를 케이스(10)로부터 분리시킨 후, 본 고안 콘택트렌즈 홀더(1)를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콘택트렌즈 홀더(1)에 지지되어 있는 콘택트렌즈(2)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인출된 콘택트렌즈(2)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콘택트렌즈 홀더(1)의를 어느 한손(예를 들면, 왼손)으로 파지하고, 그 나머지 손(예를 들면, 오른손)을 상기 콘택트렌즈 홀더(1) 상부로 지지되어 있는 콘택트렌즈(2)의 저부로 검지 또는 중지 등의 손가락(F)이 뒤집어지는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콘택트렌즈 홀더(1)를 파지하고 있는 손(예를 들면, 왼손)으로 상기 렌즈거치테(1a)의 탄성 가압방향(P)을 가압하게 되면, 그 나머지 손(예를 들면, 왼손)의 손가락에 콘택트렌즈(2)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콘택트렌즈(2)가 안구에 착용면이 위로 향하도록 바로 빼낼 수 있어 착용 시간이 매우 빠르고,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콘택트렌즈 홀더(1)는 상기 케이스(10)의 렌즈수용부(11a)에 다시 보관하도록 넣어 두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는 반대로 사용자의 눈에 착용되었던 콘택트렌즈(2)를 빼내어 상기 케이스(10)에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덮개(30)를 먼저 분리시킨 다음에 상기 콘택트렌즈 홀더(1)의 손잡이(1c)를 통해 간편하게 콘택트렌즈 홀더(1)를 간편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빼낸 콘텍트렌즈(2)는 상기 렌즈거치테(1a)의 한 쌍의 지지부(1b)에 가장자리가 지지되도록 안착시켜 콘택트렌즈(2)를 사용하기 이전과 같은 상태로 상기 케이스(10)에 간편하게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콘택트렌즈 홀더 2 콘택트렌즈
1a 렌즈거치테 1b 지지부
1c 손잡이 10 케이스
11 몸체 11a 렌즈수용부
12 덮개 P 탄성 가압방향

Claims (2)

  1. 내부에 렌즈수용부가 형성된 통상의 콘택트렌즈 케이스에 수용되기 위한 콘택트렌즈 홀더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가 내부로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된 내경을 갖고 탄성 가능한 타원형의 렌즈거치테와,
    상기 렌즈거치테 내부공간의 직선거리가 짧은 방향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부가 형성된 반대 방향의 양측을 내측으로 탄성 가압한 경우,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서로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콘택트렌즈가 상기 렌즈거치테에서 낙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거치테 일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손잡이부에는 렌즈의 착용 방향을 알리기 위한 기호 또는 문자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
KR2020120009759U 2012-10-26 2012-10-26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 KR200474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759U KR200474044Y1 (ko) 2012-10-26 2012-10-26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759U KR200474044Y1 (ko) 2012-10-26 2012-10-26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653U true KR20140002653U (ko) 2014-05-08
KR200474044Y1 KR200474044Y1 (ko) 2014-08-19

Family

ID=5198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759U KR200474044Y1 (ko) 2012-10-26 2012-10-26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0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255A (ko) * 2016-12-15 2018-06-25 박영상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376A (ko) 2019-03-07 2020-09-16 박영상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KR102090897B1 (ko) 2019-03-07 2020-03-18 박영상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KR20200107372A (ko) 2019-03-07 2020-09-16 박영상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534Y2 (ko) * 1976-08-09 1981-09-29
JPH0643775Y2 (ja) * 1989-03-24 1994-11-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コンタクトレンズホルダ
JP4718692B2 (ja) 2001-02-09 2011-07-06 株式会社メニコンネクト コンタクトレンズ用ホルダー
KR20100002433A (ko) * 2008-06-30 2010-01-07 박선자 콘택트렌즈 보관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255A (ko) * 2016-12-15 2018-06-25 박영상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044Y1 (ko) 201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5025B1 (ko) 콘택트 렌즈 패키징
TWI409195B (zh) 隱形眼鏡容器
KR200474044Y1 (ko)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
US8833548B2 (en) Contact lens blister package
KR200473728Y1 (ko) 케이스 고정형 콘택트렌즈 홀더
JP2012110592A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出荷容器
KR100768522B1 (ko) 콘택트렌즈 보관 케이스
US4082339A (en) Soft contact lens insertion and removal instrument
JP5468715B1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ケース
US20220365368A1 (en) Contact lens packaging
CN112040808B (zh) 隐形眼镜盒
KR20120016541A (ko) 콘택트 렌즈 케이스
KR101137233B1 (ko) 핀셋을 갖는 렌즈 케이스
JP6763751B2 (ja) ハードコンタクトレンズ用収納ケース
JP2014157172A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ケース
KR200443297Y1 (ko) 구조개선된 콘택트 렌즈용 보관용기
JP5903006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吸着具
JP4579254B2 (ja) 眼用レンズ容器および該眼用レンズ容器のパッケージ品
KR20200080881A (ko) 코받침 일체형 엠보싱 안경 케이스
KR20180087788A (ko)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
JP2018068871A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用収納ケース
KR101658216B1 (ko) 다기능 렌즈 케이스
JP3193886U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ホルダー
JP2004121541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ース
JP2014157171A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