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541A - 콘택트 렌즈 케이스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541A
KR20120016541A KR1020100078997A KR20100078997A KR20120016541A KR 20120016541 A KR20120016541 A KR 20120016541A KR 1020100078997 A KR1020100078997 A KR 1020100078997A KR 20100078997 A KR20100078997 A KR 20100078997A KR 20120016541 A KR20120016541 A KR 20120016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lens case
elastic material
receiv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아
Original Assignee
김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아 filed Critical 김경아
Priority to KR102010007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6541A/ko
Publication of KR2012001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585/545Contact lens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Eyeglass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염수가 저장된 수용홈에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여 콘택트 렌즈의 건조를 방지하고 병균이나 이물질에 의한 콘택트 렌즈의 오염을 예방하도록 하는 콘택트 렌즈 케이스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의 배출시의 렌즈의 손상과 오염을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콘택트 렌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 케이스는 상부 개방형의 수용홈이 요입되게 형성된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은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 저면을 상향 가압하면 신축성 재질의 바닥면은 신장을 통해 상향 돌출되어, 수용홈의 바닥면에 안치된 콘택트 렌즈 위상을 상승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택트 렌즈 케이스{Contact lens case}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염수가 저장된 수용홈에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여 콘택트 렌즈의 건조를 방지하고 병균이나 이물질에 의한 콘택트 렌즈의 오염을 예방하도록 하는 콘택트 렌즈 케이스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의 배출시의 렌즈의 손상과 오염을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콘택트 렌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는, 안구의 전면에 밀착되어 근시, 원시, 난시 등을 교정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고, 최근에 들어서는 다양한 장식층이 형성된 콘택트 렌즈가 개발되어 미용용으로도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택트 렌즈는, 통상 지름이 7 내지 9 mm이고, 중심부의 두께는 0.3 내지 0.5mm 정도의 반구형의 얇은 박막으로 구성되며, 안구에 직접 밀착되는 관계로 위생상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세척이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이 완료된 콘택트 렌즈는 식염수 등이 저장된 콘택트 렌즈 케이스에 수용 및 보관되어, 건조와 병균이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예방하게 된다.
이러한 콘택트 렌즈 케이스는, 상부 개방형의 수용홈을 갖는 수용몸체와; 상기 개방된 수용홈을 밀폐시키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통상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은 평면으로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며, 사용자는 적량의 식염수가 주입된 수용몸체의 수용홈에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고, 커버를 통해 이 수용홈을 밀폐시켜 콘택트 렌즈를 보관 및 휴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상기 콘택트 렌즈는 요입된 수용홈에 수용된 관계로, 손가락으로 쉽게 협지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가락의 단부 및 손톱으로 콘택트 렌즈 케이스(C)의 수용홈(S)의 내벽을 긁어서 콘택트 렌즈(L)를 협착하여 배출하고 있으나, 이러한 배출형태는 콘택트 렌즈를 손상시키고, 또 손톱 밑에 잔류하는 이물질에 의해 콘택트 렌즈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요입되게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된 콘택트 렌즈를 손가락의 단부 및 손톱으로 무리하게 긁어서 배출시키지 아니하고, 손가락 단부에 협착하여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택트 렌즈의 손상과 오염이 예방되도록 구성한 콘택트 렌즈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 케이스는,
상부 개방형의 수용홈이 요입되게 형성된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형태의 콘택트 렌즈 케이스로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 저면을 상향 가압하면 신축성 재질의 바닥면은 신장을 통해 상향 돌출되어, 수용홈의 바닥면에 안치된 콘택트 렌즈 위상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몸체의 바닥면은 반구형으로 구성되어, 콘택트 렌즈의 수용상태에서는 반구형으로 하향 요입되고, 콘택트 렌즈의 배출을 위한 상향 가압에 의해서는 반구형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용몸체에 형성된 수용홈의 바닥면을 신축성 재질로 구성하여, 평상시에는 깊게 요입되어 수용되는 콘택트 렌즈가 식염수에 안정적으로 잠겨진 상태를 형성하고, 배출과정에서는 바닥면이 상향 돌출되어 콘택트 렌즈의 위상의 상승을 통해 손가락 단부와의 협착을 통한 콘택트 렌즈의 안정적인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의 배출과정에서 손가락 단부 및 손톱을 통해 수용홈의 내벽을 무리하게 긁지 아니하고도, 상향 돌출된 콘택트 렌즈를 협착하여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손톱 등에 의한 콘택트 렌즈의 손상이 방지되고, 또 손톱 밑에 잔류하는 이물질에 의해 콘택트 렌즈가 오염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 케이스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콘택트 렌즈 케이스에 있어서의 콘택트 렌즈의 배출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콘택트 렌즈 케이스에 있어서의 콘택트 렌즈의 배출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4는 종래 콘택트 렌즈 케이스에 수용된 콘택트 렌즈의 배출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콘택트 렌즈 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 케이스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콘택트 렌즈 케이스에 있어서의 콘택트 렌즈의 배출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콘택트 렌즈 케이스에 있어서의 콘택트 렌즈의 배출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 케이스(1, 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개방형의 수용홈(11)이 요입되게 형성된 수용몸체(10)와; 상기 수용몸체(10)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몸체(10)의 상부 외벽과 커버(20)의 내벽에는 체결부(12, 21)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20)는 수용몸체(10)와 체결되어 개방된 수용홈(11)의 상부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콘택트 렌즈 케이스(1, 1')를 통한 콘택트 렌즈(L)의 보관 과정은, 수용몸체(10)의 수용홈(11)에 적량의 식염수를 충입하고, 이 수용홈(11)에 세척이 완료된 콘택트 렌즈(L)를 수용시킨 다음, 커버(20)를 체결하여 콘택트 렌즈(L)가 수용된 수용홈(11)을 밀폐시키는 순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콘택트 렌즈(L)를 식염수가 주입된 수용몸체(10)에 수용시키면 콘택트 렌즈(L)의 건조가 예방되고, 또 외부 이물질 및 병균의 침투가 예방되어서 콘택트 렌즈(L)의 안정된 위생상태가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콘택트 렌즈 케이스(1, 1')를 구현함에 있어서, 평상시, 즉 콘택트 렌즈(L)의 보관과정에서는 도 2a 및 도 3a와 같이 수용홈(11)이 소정깊이로 요입되어 콘택트 렌즈(L)의 안정된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또 배출과정에서는 도 2b와 도 3b와 같이 수용홈(11)의 바닥면(11b, 11b')이 상향 돌출되어 콘택트 렌즈(L)의 위상을 상승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위상이 상승된 콘택트 렌즈(L)를 손가락의 단부로 협착하여 간편하게 배출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홈(11)의 바닥면(11b, 11b')을 신축성 재질로 구성하여, 콘택트 렌즈의 수용상태에는 평면 또는 하향 요입된 상태를 형성하고, 콘택트 렌즈의 배출과정에서는 손가락을 통한 상향 가압에 의해 신장하여 상향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수용홈(11)에서 콘택트 렌즈(L)가 상향 돌출되는 관계로, 콘택트 렌즈의 배출과정에 손가락 및 손톱으로 수용홈으로 긁을 필요없이 상향 돌출된 콘택트 렌즈의 단순 협착을 통해 콘택트 렌즈의 배출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바닥면(11b, 11b')을 형성하는 신축성 재질로는 인체에 무해하며 안정된 신축성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면(11b, 11b')은 도 2와 같이 환형의 측벽(11a)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 제작되어 환형의 측벽(11a)과 접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이 신축성 재질의 바닥면(11b')을 측벽(11a)과 별도 제작된 다음, 조립을 통해 바닥면(11b')을 측벽의 (11a)하부에 결합시켜 측벽(11a)과 단일몸체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상술하자면, 상기 측벽(11a)의 하부에 별도 제작된 바닥면(11b')을 밀착시키고, 이 바닥면(11b')이 밀착된 측벽(11a)의 외경에 내경에 체결부(31)가 형성된 고정링(30)을 체결시켜, 고정링(30)의 가압에 의해 바닥면(11b')의 가장자리가 측벽(11a)의 하부 가장자리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신축성 재질의 바닥면(11b)을 환형의 측벽(11a)에 조립을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하면, 추후 바닥면(11b')이 손상된 경우 신속한 교체를 통해 바닥면(11b')의 보수가 가능하고, 또 바닥면(11b')의 분리 세척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바닥면(11b')을 반구형으로 구성하여, 콘택트 렌즈(L)의 수용상태에서는 도 3a와 같이 바닥면(11b')이 반구형으로 하향 요입되어 보다 깊은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또 콘택트 렌즈(L)의 배출과정에서는 도 3b와 같이 바닥면(11b')이 상향 가압에 의해 반구형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적은 힘으로도 바닥면(11b')을 상향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바닥면(11b')을 상향 돌출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지속적으로 가압할 필요 없이 바닥면(11b')을 상승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 3b와 같이 반구형의 콘택트 렌즈(L)와 반구형으로 상향 돌출되는 바닥면(11b')은 상호 점접촉 상태를 형성하여 상호간의 밀착력이 감소하므로, 손가락 단부와의 협착을 통한 콘택트 렌즈(L)의 배출이 더욱 안정되게 구현될 수 있다.
1. 콘택트 렌즈 케이스
10. 수용몸체 11. 수용홈
11a. 측벽 11b, 11b'. 바닥면
12. 체결부 13. 체결부
20. 커버 21. 체결부
30. 고정링 31. 체결부
L. 콘택트 렌즈

Claims (2)

  1. 상부 개방형의 수용홈이 요입되게 형성된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형태의 콘택트 렌즈 케이스로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 저면을 상향 가압하면 신축성 재질의 바닥면은 신장을 통해 상향 돌출되어, 수용홈의 바닥면에 안치된 콘택트 렌즈 위상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몸체의 바닥면은 반구형으로 구성되어, 콘택트 렌즈의 수용상태에서는 반구형으로 하향 요입되고, 콘택트 렌즈의 배출을 위한 상향 가압에 의해서는 반구형으로 상향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케이스.
KR1020100078997A 2010-08-16 2010-08-16 콘택트 렌즈 케이스 KR20120016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997A KR20120016541A (ko) 2010-08-16 2010-08-16 콘택트 렌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997A KR20120016541A (ko) 2010-08-16 2010-08-16 콘택트 렌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541A true KR20120016541A (ko) 2012-02-24

Family

ID=4584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997A KR20120016541A (ko) 2010-08-16 2010-08-16 콘택트 렌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65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188A (ko) 2014-08-11 2016-02-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케이스
KR20180042732A (ko) * 2016-10-18 2018-04-26 윤주한 렌즈 보관 용기
KR20200002492A (ko) * 2018-06-29 2020-01-08 박지연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188A (ko) 2014-08-11 2016-02-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케이스
KR20180042732A (ko) * 2016-10-18 2018-04-26 윤주한 렌즈 보관 용기
KR20200002492A (ko) * 2018-06-29 2020-01-08 박지연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7642B1 (en) Contact lens case
US7398877B1 (en) Contact lens case
KR20120016541A (ko) 콘택트 렌즈 케이스
JPH08126518A (ja) マニキュア除去器
KR200474044Y1 (ko)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
KR200473728Y1 (ko) 케이스 고정형 콘택트렌즈 홀더
US20200305654A1 (en) Soap-dispensing bath sponge assembly
JP2009067403A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パッケージ
KR101886142B1 (ko)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 튜브용기
US20210052054A1 (en) Contact lens case
KR100708878B1 (ko) 화장품 용기
KR101646752B1 (ko) 솔 착탈식 고무장갑
EP3281550B1 (en) Spuit-type container including flocking tip having temporary storage
KR200494007Y1 (ko) 밀폐 용기
KR100591522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612250B1 (ko) 마사지 기능을 갖는 오버캡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210075316A (ko) 보관 및 세척이 가능한 렌즈통
KR101973552B1 (ko) 매니큐어용기
KR101779828B1 (ko)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을 차단하는 화장품용기
KR101765714B1 (ko) 세척부재가 구비된 마스카라브러시 세척용기
JP2018068871A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用収納ケース
JP6763751B2 (ja) ハードコンタクトレンズ用収納ケース
JP2004121541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ース
KR200471477Y1 (ko) 메이크업 용기
KR200484252Y1 (ko) 패킹을 이용한 마스카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