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007Y1 -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007Y1
KR200494007Y1 KR2020190004488U KR20190004488U KR200494007Y1 KR 200494007 Y1 KR200494007 Y1 KR 200494007Y1 KR 2020190004488 U KR2020190004488 U KR 2020190004488U KR 20190004488 U KR20190004488 U KR 20190004488U KR 200494007 Y1 KR200494007 Y1 KR 200494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ball
outer cap
container body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059U (ko
Inventor
임호
강기태
박정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앤케이
Priority to KR2020190004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00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0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는, 상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용기본체; 상단부 외측과 탈착가능한 외캡; 외캡으로부터 연장된 솔대; 상단부 내측과 결합되고, 솔대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블레이드를 가지는 와이퍼를 포함한다. 솔대는 볼록한 형태의 볼, 볼의 하부와 연결된 함몰부, 함몰부의 하부와 연결된 솔대본체를 구비하고, 외캡이 상단부 외측과 체결된 구조에서, 볼의 하부 중 일부가 블레이드와 접촉하고, 블레이드로 형성된 개구부의 직경은 볼의 최대 직경보다 작다.

Description

밀폐 용기{CONTAINER}
본 고안은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을 이용한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밀폐 용기는 액체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컨실러, 마스카라 등의 화장품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로도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밀폐 용기는 액체를 담기 위한 형상을 가지며 상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와 탈착 가능하고 솔대를 가지는 외캡으로 구성된다.
종래 밀폐 용기는 외캡을 당기거나 돌려서 용기본체로부터 외캡을 탈착하는 구조를 가진다. 외캡을 용기본체로부터 탈착하는 과정에서 외캡에서 연장된 솔대도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솔대에 묻어 있던 내용물이 새어 나오거나 용기본체로부터 내용물이 넘쳐 나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나아가 용기본체 외부로 유출된 내용물은 변질되거나 딱딱하게 굳게 되므로 밀폐 용기 사용이 불편하게 된다.
또한, 외캡을 탈착하는 과정에서 외캡에서 연장된 솔대가 용기본체로부터 이탈할 때 솔대를 용기본체로부터 빼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솔대가 용기본체 내부에 위치해 있다가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용기본체의 내부압력이 증가하여 용기본체가 솔대를 끌어당기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볼을 이용한 밀폐 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는, 상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용기본체; 상단부 외측과 탈착가능한 외캡; 외캡으로부터 연장된 솔대; 상단부 내측과 결합되고, 솔대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블레이드를 가지는 와이퍼를 포함한다. 솔대는 볼록한 형태의 볼, 볼의 하부와 연결된 함몰부, 함몰부의 하부와 연결된 솔대본체를 구비한다. 외캡이 상단부 외측과 체결된 구조에서, 볼의 하부 중 일부가 블레이드와 접촉하고, 블레이드로 형성된 개구부의 직경은 볼의 최대 직경보다 작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본체와 외캡 간의 밀폐 구조와, 솔대의 볼과 블레이드 간의 밀폐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내용물이 넘치거나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과 외부와의 접촉을 막아 내용물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솔대는 블레이드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블레이드가 솔대에 뭍은 내용물을 쓸어내려 내용물이 넘치거나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솔대는 볼록한 형태의 볼, 볼의 하부와 연결된 오목한 함몰부, 돌기가 형성된 솔대본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솔대의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용기본체로부터 외캡을 탈착할 시, 용기본체 내부와 외부의 공기압차를 줄여 쉽게 탈착할 수 있고, 용기본체를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으로 돌출된 단차를 가지는 숄더(shoulder)를 이용하여, 와이퍼를 용기본체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퍼는 연질 니트릴 고무 소재로 형성되어 밀폐력이 뛰어나 내용물 보존에 유리하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캡에서 연장된 솔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솔대의 볼 중 일부와 와이퍼의 블레이드가 접촉한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고안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구성요소 중 일부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의 표기가 일부 생략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술하기에 앞서, 도면의 위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 "상부" 또는 "상측", 그 아래쪽은 "하", "하부" 또는 "하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 또는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측", "측부" 또는 "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서, 도면의 왼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좌" 또는 "좌측", 그 오른쪽은 "우" 또는 "우측" 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상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는, 상단부(122)가 외부로 개방된 용기본체(120), 상단부(122) 외측과 탈착가능한 외캡(140), 외캡(140)으로부터 연장된 솔대(160), 상단부(122) 내측과 결합되고 솔대(160)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184)를 형성하는 블레이드(182)를 가지는 와이퍼(18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본체(120)는 원통형이며 용기본체(120)의 상단부(122)가 개방되어 내용물과 솔대(160)를 수용할 수 있다. 용기본체(120)에 수용되는 내용물로는, 예를 들어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립 글로스 등의 화장품, 또는 물약, 접착액, 세정액 등을 들 수 있다. 내용물의 보관을 위해 용기본체(120)는 PET 수지와 같은 내구성이 좋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캡(140)을 돌리거나 당겨서 외캡(140)을 용기본체(120)의 상단부(122)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외캡(140)으로부터 연장된 솔대(160) 또는 솔대(160)에 부가된 털 소재(미도시)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통해, 용기본체(120)에 보관된 내용물을 외부로 가져올 수 있다. 외캡(140)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솔대(160)는 외캡(140)으로부터 연장된 봉 형상을 가진다. 솔대(160)는 볼록한 형태의 볼(162), 볼(162)의 하부와 연결된 오목한 함몰부(164), 함몰부(164)의 하부와 연결된 솔대본체(166)를 포함할 수 있다. 솔대본체(166)의 상부에는 돌기(168)가 형성될 수 있다. 솔대(160)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나, 내용물의 종류, 도포하는 부위에 따라 솔대(160)의 소재는 변경될 수 있다. 솔대(16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퍼(180)는 용기본체(120)의 상단부(122) 내측과 결합한다. 예컨대, 와이퍼(180)는 연질 니트릴 고무(NBR, Nitrile rubber)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탄성력이 좋고 내용물 보존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와이퍼(180)는 솔대(160)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184)를 형성하는 블레이드(182)를 와이퍼(180)의 내측에 구비한다. 또한, 와이퍼(180)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단차를 가지는 숄더(186)를 포함한다. 숄더(186)는 용기본체(120)의 상단부(122) 하단의 어깨선에 언더컷 형식으로 형성된 단차(124)와 체결된다. 이와 같은 숄더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와이퍼(180)를 용기본체(12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와이퍼(180)가 용기본체(120)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182)로 형성된 개구부(184)의 직경은 볼(162)의 최대 직경보다 작다. 블레이드(182)는, 외캡(140)이 상단부(122) 외측과 체결된 구조에서, 볼(162)의 하부 중 일부와 접촉한다. 블레이드(182)와 볼(162) 간의 접촉 구조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182)로 형성된 개구부(184)의 직경은 솔대본체(166)의 직경보다 작다. 개구부(184)를 통해 솔대본체(166)가 통과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182)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캡에서 연장된 솔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캡(140)에서 연장된 솔대(160)는 볼록한 형태의 볼(162), 볼(162)의 하부와 연결된 오목한 함몰부(164), 함몰부(164)의 하부와 연결된 솔대본체(166)를 포함할 수 있다. 솔대본체(166)의 상부에는 돌기(168)가 형성될 수 있다.
솔대(160)의 볼록한 형태의 볼(162)의 최대 직경(D')은 볼(162)의 하부와 연결된 함몰부(164)의 직경(D'')보다 크고, 함몰부(164)의 직경(D'')은 솔대본체(166)의 직경(D''')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함몰부(164)의 직경(D'')이 솔대(160)에서 가장 작을 수 있다.
블레이드(182)로 형성된 개구부(184)의 직경은, 볼(162)의 최대 직경(D')보다 작고, 나아가 솔대본체(166)의 직경(D''')보다 작을 수 있는 반면, 함몰부(164)의 직경(D'')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개구부(184) 및 솔대(160)의 직경을 이용하여, 용기본체(120)를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솔대(160)를 용기본체(120)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고, 나아가 용기본체(120)로부터 내용물이 새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용기본체(120)와 체결된 외캡(140)이 용기본체(12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개구부(184)의 직경이 함몰부(164)의 직경(D'')보다 크기 때문에, 블레이드(182)와 함몰부(164) 사이로 공간이 형성되어 용기본체(120)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용기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줄여 용기본체(120)로부터 솔대(16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체결된 외캡(140)이 용기본체(12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개구부(184)의 직경이 솔대본체(166)의 직경(D''')보다 작은 경우, 솔대본체(166)의 상부에는 돌기(168)가 형성되어 돌기(168) 사이로 공간이 형성되어 용기본체(120)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용기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줄여 용기본체(120)로부터 솔대(16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의 일부와 블레이드가 접촉한 상태를 확대한 도면(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와이퍼(180)는 솔대(160)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184)를 형성하는 블레이드(182), 외측으로 돌출된 단차를 가지는 숄더(186)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퍼(180)는 용기본체(120)의 상단부(122)의 내측과 결합할 수 있다. 와이퍼(180)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단차를 가지는 숄더(186)를 가진다. 숄더(186)는 용기본체(120)의 상단부(122) 하단의 어깨선에 언더컷 형식으로 형성된 단차(124)와 체결된다. 이와 같은 숄더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와이퍼(180)를 용기본체(12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와이퍼(180)가 용기본체(120)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캡(140)이 용기본체(120)의 상단부(122)와 체결될 때, 볼(162)의 하부 중 일부가 블레이드(182)와 접촉하여, 개구부(184)에서 내용물이 넘치거나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84)가 연질 니트릴 고무(NBR) 소재로 형성될 경우, 내용물과 외부와의 접촉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아 내용물 보존에 유리하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볼(162)의 전체가 용기본체(120)를 밀폐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볼(162)의 하부 중 일부만을 이용하여 블레이드(182)와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용기본체(120)를 밀폐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볼(162)의 하부 중 일부만을 이용하여 블레이드(182)와 접촉시킴으로써, 용기본체(120)를 밀폐하는데 사용되는 와이퍼(180)의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다. 반면, 볼(162)의 전체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20)를 밀폐시킬 경우, 사용자는 볼(162)을 와이퍼(180)에 끼워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와이퍼(180)의 구조도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외캡(140)이 용기본체(120)의 상단부(122)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솔대(160)는 개구부(184)를 통과한다. 이 때, 블레이드(182)는 솔대본체(166)에 묻은 내용물을 덜어내어 필요 이상의 내용물이 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내용물이 솔대에 고르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블레이드(182)의 직경은 솔대본체(166) 또는 돌기(168)의 직경(D''')보다 작으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솔대본체(166)가 개구부(184)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밀폐 용기
120: 용기본체
140: 외캡
160: 솔대
180: 와이퍼

Claims (5)

  1. 상단부가 외부로 개방된 용기본체;
    상기 상단부의 외측과 탈착가능한 외캡;
    상기 외캡으로부터 연장된 솔대;
    상기 상단부의 내측과 결합되고, 상기 솔대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블레이드를 가지는 와이퍼
    를 포함하고,
    상기 솔대는 볼록한 형태의 볼, 상기 볼의 하부와 연결된 함몰부, 상기 함몰부의 하부와 연결된 솔대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솔대본체의 상부에만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캡이 상기 상단부의 외측과 체결된 구조에서, 상기 와이퍼 중 상기 블레이드만 상기 볼의 하부의 일부와 접촉하고,
    상기 외캡이 상기 상단부의 외측과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 중 상기 블레이드만 상기 돌기와 접촉하며,
    상기 블레이드로 형성된 상기 개구부의 직경은 상기 솔대본체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함몰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볼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밀폐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는 외측으로 돌출된 단차를 가지는 숄더를 구비하고, 상기 숄더는 상기 상단부에 형성된 단차와 체결되는, 밀폐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는 연질 니트릴 고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5. 삭제
KR2020190004488U 2019-11-06 2019-11-06 밀폐 용기 KR200494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88U KR200494007Y1 (ko) 2019-11-06 2019-11-06 밀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88U KR200494007Y1 (ko) 2019-11-06 2019-11-06 밀폐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59U KR20210001059U (ko) 2021-05-17
KR200494007Y1 true KR200494007Y1 (ko) 2021-07-15

Family

ID=7614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488U KR200494007Y1 (ko) 2019-11-06 2019-11-06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007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2584B1 (en) * 1997-09-08 2003-01-07 Geka Manufacturing Ltd. Mascara applicator assembly having inturning wiper fingers
KR102313212B1 (ko) * 2015-02-03 2021-10-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014337B1 (ko) * 2017-11-24 2019-08-26 (주)장업시스템 스크류 형상의 솔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59U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4424U (ko) 립스틱 화장품용기의 밀폐구조
KR101978869B1 (ko) 이중사출을 이용한 리필용기
KR101518449B1 (ko) 이중 솔대 타입 마스카라 화장용기
KR101775100B1 (ko) 이중 어플리케이터 립메이크업 용기
KR101299487B1 (ko) 화장품 밀폐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76316Y1 (ko) 개폐밸브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180101096A (ko) 화장료 뭉침을 방지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BR102017010236A2 (pt) Bottle for a cosmetic product, and assembly of the applicator comprehensing a bottle of that type and an applicator for the such cosmetic product
KR200494007Y1 (ko) 밀폐 용기
KR20190023436A (ko) 화장품 용기
KR102019734B1 (ko) 내용물 역류 방지 구조를 갖는 도포구 인출 타입 화장품 용기
KR101737460B1 (ko) 원 터치 오픈 마스카라
KR20170083218A (ko) 화장품 용기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2383174B1 (ko) 오버플로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 용기
US11937681B2 (en) Cosmetics container simultaneously preventing leftover cosmetics therein and having airtight function
KR101886142B1 (ko)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 튜브용기
KR100708878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1477Y1 (ko) 메이크업 용기
JP5026030B2 (ja) 化粧料塗布具
KR20110005401U (ko) 이종 화장품 수납형 화장품 용기의 숄더 캡
KR102321803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립틴트 용기
KR200477182Y1 (ko) 밀폐날개가 형성된 패킹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84252Y1 (ko) 패킹을 이용한 마스카라
KR101757388B1 (ko) 내용물 잔량 사용이 가능한 마스카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