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788A -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788A
KR20180087788A KR1020170012285A KR20170012285A KR20180087788A KR 20180087788 A KR20180087788 A KR 20180087788A KR 1020170012285 A KR1020170012285 A KR 1020170012285A KR 20170012285 A KR20170012285 A KR 20170012285A KR 20180087788 A KR20180087788 A KR 20180087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tact lens
case
present
distingu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운
김지훈
황옥기
김성욱
김영태
박해조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성욱
김지훈
황옥기
이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성욱, 김지훈, 황옥기, 이정운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2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7788A/ko
Publication of KR20180087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도록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뒤집힌 렌즈 착용에 따른 안구 통증 및 각막 손상 유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도록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뒤집힌 렌즈 착용에 따른 안구 통증 및 각막 손상 유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에 보관된 콘택트 렌즈를 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Contact lens case which distinguish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lens}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도록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뒤집힌 렌즈 착용에 따른 안구 통증 및 각막 손상 유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콘택트 렌즈는 눈동자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안구의 표면에 밀착되기 위하여 부드러운 소재로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눈이 움직일 때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한 콘택트렌즈는 크기가 매우 작고, 투명하며 연약한 재질로 형성되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좌우가 구분되도록 한 조로 구성된 보관용기 속에 보존액과 함께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보관용기 또한 분실 및 파손의 우려가 있어 콘택트렌즈 보관용 케이스에 보관하고, 사용의 편리를 위해 세척액이나 집게 등의 용구 또한 콘택트렌즈 보관용 케이스에 동시에 보관한다.
상기와 같이 콘택트렌즈를 보관용기에 보관하고, 보관용기를 다시 휴대용 케이스에 넣어 휴대하면, 휴대용 케이스와 보관용기를 별도로 구입 및 관리해야하는 불편함과 동시에, 콘택트렌즈를 사용할 때 휴대용 케이스에서 보관용기를 꺼낸 다음 보관용기를 열어 콘택트렌즈를 꺼내고 다시 보관용기의 덮개를 닿은 후 마지막으로 휴대용 케이스에 보관용기를 넣고 닫아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본체와 덮개로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를 구성하고, 본체의 상면에 콘택트렌즈가 보관 가능한 두 개의 보관용기가 본체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보관용기의 상면에는 나사 결합식 보관용기 덮개가 구성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와 보관용기의 본체를 일체화하였으나, 나사식으로 개방되는 보관 용기 덮개로 인해 보관용기 덮개를 비틀어 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실수로 보존액이 쏟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보관용기 본체와 덮개가 분리 구성되어 보관용기 덮개를 분실하는 경우 또한 종종 발생하여 사용상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콘택트렌즈는 뒤집힘 구분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만약 뒤집힌 렌즈를 착용하게 되면, 뒤집힌 렌즈 착용에 따른 안구 통증 및 각막 손상 유발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콘택트렌즈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7505호(2013. 06. 1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도록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뒤집힌 렌즈 착용에 따른 안구 통증 및 각막 손상 유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에 보관된 콘택트 렌즈를 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글씨 혹은 그림을 형성하고 있는 뒤집힘구분부(200)와,
상기 뒤집힘구분부(200)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기둥부(300)와,
상기 기둥부 주위를 따라 하측으로 반원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면에 콘택트 렌즈(10)를 안착시키기 위한 렌즈안착부(400)와,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뚜껑부(500)와,
렌즈안착부와 대응되는 뚜껑부의 위치에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반원형 형상으로 구성되는 렌즈부착부(600)와,
상기 렌즈부착부의 끝단에 콘택트 렌즈(10)를 밀어서 떨어뜨리도록 형성되는 버튼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는,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도록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뒤집힌 렌즈 착용에 따른 안구 통증 및 각막 손상 유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에 보관된 콘택트 렌즈를 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1a는 콘택트 렌즈가 뒤집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b는 정상적인 렌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의 뚜껑부 외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의 뚜껑부의 렌즈부착부 주변에 형성된 볼록렌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는 뒤집힘 구분이 쉽게 않았다.
즉,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가 뒤집히게 되면 엣지면이 바뀌게 되어 훌라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안구 통증 및 손상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
도 1b와 같은 정상적인 렌즈면으로 착용하여야 상기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의 경우에는 재질의 유동성 때문에 잘 뒤집히게 되어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은 콘택트 렌즈의 뒤집힘 구별이 힘들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케이스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의 뚜껑부 외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는, 크게 본체부(100)와, 뒤집힘구분부(200)와, 기둥부(300)와, 렌즈안착부(400)와, 뚜껑부(500)와, 렌즈부착부(600)와, 버튼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뒤집힘구분부(200)가 본체부의 하면에 글씨 혹은 그림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뒤집힘구분부(200)의 경우에는 렌즈면이 뒤집히게 되면 수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글자 혹은 그림 등의 상이 뒤집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글자 혹은 그림의 상으로 뒤집힘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둥부(300)는 뒤집힘구분부(200)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렌즈안착부(400)를 상기 기둥부 주위를 따라 하측으로 반원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면에 콘택트 렌즈(10)를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렌즈안착부에는 렌즈를 보관하기 위한 용액이 보관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렌즈안착부는 하측에 구성된 뒤집힘구분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뚜껑부(500)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뚜껑부의 렌즈안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렌즈부착부(600)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렌즈부착부의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반원형 형상으로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반원형 형상의 렌즈부착부에 콘택트 렌즈를 부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렌즈부착부의 경우에는 뒤집히지 않은 정상적인 렌즈의 형태이므로 렌즈의 형태가 뒤집히지 않았을 경우에만 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렌즈부착부의 끝단에 콘택트 렌즈(10)를 밀어서 떨어뜨리도록 버튼부(700)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버튼부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부의 외부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렌즈부착부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가 본체부에 구성된 렌즈안착부(400)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버튼부의 끝단이 렌즈를 밀어서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렌즈가 부착된 부분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버튼부를 누르게 되며, 렌즈를 쉽게 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렌즈를 부착시 필요한 힘을 중력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으며, 렌즈 착용 후 전후 발생하는 뒤집힘 문제를 상기와 같은 반원형의 곡면으로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뚜껑부에 형성된 렌즈부착부에 뒤집힘을 구별 가능하도록 선을 그릴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뒤집힘 여부를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의 뚜껑부의 렌즈부착부 주변에 형성된 볼록렌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부의 렌즈부착부 주변에 볼록렌즈(80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볼록렌즈를 통해 콘택트 렌즈를 확대하여 엣지면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렌즈부착부의 곡면을 통해 콘택트 렌즈의 뒤집힘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볼록렌즈를 통해 렌즈의 뒤집힘을 구별하게 되며, 또한, 하측에 형성된 뒤집힘구분부를 통해서도 뒤집힘을 구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도록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뒤집힌 렌즈 착용에 따른 안구 통증 및 각막 손상 유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에 보관된 콘택트 렌즈를 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부
200 : 뒤집힘구분부
300 : 기둥부
400 : 렌즈안착부
500 : 뚜껑부
600 : 렌즈부착부
700 : 버튼부

Claims (1)

  1.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글씨 혹은 그림을 형성하고 있는 뒤집힘구분부(200)와,
    상기 뒤집힘구분부(200)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기둥부(300)와,
    상기 기둥부 주위를 따라 하측으로 반원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면에 콘택트 렌즈(10)를 안착시키기 위한 렌즈안착부(400)와,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뚜껑부(500)와,
    렌즈안착부와 대응되는 뚜껑부의 위치에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반원형 형상으로 구성되는 렌즈부착부(600)와,
    상기 렌즈부착부의 끝단에 콘택트 렌즈(10)를 밀어서 떨어뜨리도록 형성되는 버튼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

KR1020170012285A 2017-01-25 2017-01-25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 KR20180087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85A KR20180087788A (ko) 2017-01-25 2017-01-25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85A KR20180087788A (ko) 2017-01-25 2017-01-25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788A true KR20180087788A (ko) 2018-08-02

Family

ID=6325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285A KR20180087788A (ko) 2017-01-25 2017-01-25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77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05Y1 (ko) 2012-12-17 2013-06-17 주식회사 하이옵틱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05Y1 (ko) 2012-12-17 2013-06-17 주식회사 하이옵틱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37616A (en) Contact lens case
US8840242B2 (en) Glasses storage system
US20140159397A1 (en) Contact-lens putting support tool
US5471259A (en) Clip-on sunglasses assembly for the brim of a hat
KR200474044Y1 (ko) 콘택트렌즈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홀더
KR200473728Y1 (ko) 케이스 고정형 콘택트렌즈 홀더
US4088359A (en) Contact lens inserter
KR20180087788A (ko) 콘택트 렌즈의 앞면 및 뒤면을 구분할 수 있는 케이스
KR200474663Y1 (ko) 다기능 안경케이스
JP3191196U (ja) コンタクトレンズホルダー及びケース
US3663099A (en) Eyeglass frame with cavities for storing contact lenses
CN215416172U (zh) 隐形眼镜清洗盒
KR200276865Y1 (ko) 안경집
JP2018068871A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用収納ケース
KR200490803Y1 (ko) 콘택트렌즈 보관 및 진열용 용기
JP5468715B1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ケース
JP5726355B1 (ja)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取外器具及び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取外器具を使用する方法。
KR20180033403A (ko) 언니의 인공눈물 용기
KR100876419B1 (ko) 콘택트렌즈 보관 케이스
CN202961183U (zh) 一种眼药水瓶
CN110638173B (zh) 一种多功能隐形眼镜盒
KR20200080881A (ko) 코받침 일체형 엠보싱 안경 케이스
JP3193886U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ホルダー
KR102040121B1 (ko) 렌즈 보관 용기
JP2014157172A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ケー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