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663Y1 - 다기능 안경케이스 - Google Patents

다기능 안경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663Y1
KR200474663Y1 KR2020130008448U KR20130008448U KR200474663Y1 KR 200474663 Y1 KR200474663 Y1 KR 200474663Y1 KR 2020130008448 U KR2020130008448 U KR 2020130008448U KR 20130008448 U KR20130008448 U KR 20130008448U KR 200474663 Y1 KR200474663 Y1 KR 200474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se
contact lens
eyeglass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준
이광인
김상현
성아영
Original Assignee
이창준
성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준, 성아영 filed Critical 이창준
Priority to KR2020130008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6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6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 A45C11/046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with contact lens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 A45C11/043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with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contac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7Receptacles for personal medical or care products, e.g. drugs, condoms or patches; Small first-aid k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585/545Contact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안경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케이스 내부에 안경뿐만 아니라 콘택트렌즈케이스 및 세척액통이 함께 보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경케이스에 휴대용렌즈세척기를 구비시켜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안경 및 콘택트렌즈의 휴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분실을 방지하며, 휴대용렌즈세척기를 이용하여 항상 깨끗한 상태의 콘택트렌즈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 안경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는, 내부에 안경이 보관되는 안경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안경보관함과,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경보관함의 후방 상단부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안경수용부를 개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의 공간부에 콘택트렌즈케이스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케이스보관부와, 세척액통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액통보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안경케이스{MULTIFUNCTIONAL GLASSES CASE}
본 고안은 다기능 안경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케이스 내부에 안경뿐만 아니라 콘택트렌즈케이스, 세척액통이 함께 보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경케이스에 휴대용렌즈세척기를 구비시켜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안경 및 콘택트렌즈의 휴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분실을 방지하며, 휴대용렌즈세척기를 이용하여 항상 깨끗한 상태의 콘택트렌즈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 안경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력저하로 안경을 착용하는 많은 사람이 안경 착용의 불편함과 장애를 해소함과 동시에 미용의 목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사용하고 있다.
콘택트렌즈는 보관 및 휴대시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살균과 지방질의 제거를 위해 식염수 속에 넣어 보관하게 되는데, 근래에는 소량의 식염수가 밀봉 가능하게 내장되는 휴대용 렌즈케이스 속에 콘택트렌즈를 넣어 보관 및 휴대하고 있다.
콘택트렌즈는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대부분 렌즈의 표면에 지방질이 끼어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야외 활동을 하거나, 심한 운동을 한 경우 좀 더 빨리 눈에 뻑뻑함과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콘택트렌즈는 외부 충격을 받으면 착용한 상태에서 이탈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은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만일을 위해 안경을 함께 휴대하고 다닌다.
이와 같이, 시력저하로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함께 사용하는 착용자는 안경을 보관하기 위한 안경케이스, 콘택트렌즈를 보관하기 위한 콘택트렌즈케이스, 콘택트렌즈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 또는 식염수 등을 전부 휴대하고 다니기 때문에 휴대가 매우 번거롭고 소지품이 많아져 이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손가방을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한 쌍의 콘택트렌즈를 넣어 보관하는 콘택트렌즈케이스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휴대시 분실의 위험성이 높아 보관에 주의가 요구된다.
콘택트렌즈는 눈의 각막에 접촉시켜 착용하게 되므로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보통은 미착용시 콘택트렌즈를 세척한 후 보관하거나, 착용 전 콘택트렌즈를 세척한 후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택트렌즈 착용 전 한번 이상은 세척과정을 거친 후 착용해야 눈 건강을 해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매번 콘택트렌즈를 세척한 후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세척할 경우 손바닥이나 작은 용기에 콘택트렌즈를 놓고 콘택트렌즈가 잠길 정도로 충분히 세척액을 뿌린 후 손가락으로 문지르는 등의 방법으로 세척하게 된다.
이러한 세척방법을 자주 시행하게 되면 콘택트렌즈에 흠집이 생기거나 콘택트렌즈가 파손될 수 있으며 특히, 콘택트렌즈의 도수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되어 착용자가 많은 불편함을 겪게 되고 콘택트렌즈의 재구매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잘못된 세척방법에 의한 콘택트렌즈의 손상을 막기 위해 근래에는 종래에 개발되어 제품화된 휴대용렌즈세척기를 휴대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 또한 휴대해야 할 소지품의 개수가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물품의 보관 및 휴대에 대한 불편함은 전과 같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4751호(등록일자: 2000. 06. 23.) "안경집 보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콘택트렌즈를 안경집에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콘택트렌즈가 식염수에 잠겨 보관된 렌즈캡을 안경집 내에 별도로 내삽되는 케이스에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상기 안경집 내에 상기 별도로 내삽되는 케이스에 상기 렌즈캡만을 수납하게 구성되어 세척에 필요한 세척액 등의 다른 물품들은 수납할 수 없어 휴대해야하는 소지품의 개수가 많은 불편함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 역시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여전히 남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안경케이스 내부에 안경뿐만 아니라 콘택트렌즈케이스, 세척액통이 함께 보관되도록 구성되며, 안경케이스에 휴대용렌즈세척기를 구비시켜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안경 및 콘택트렌즈의 휴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분실을 방지하며, 휴대용렌즈세척기를 이용하여 항상 깨끗한 상태의 콘택트렌즈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 안경케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는, 내부에 안경이 보관되는 안경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안경보관함과,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경보관함의 후방 상단부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안경수용부를 개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의 공간부에 콘택트렌즈케이스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케이스보관부와, 세척액통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액통보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는, 상기 렌즈케이스보관부는,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공간부 내면 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된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결합홈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이탈방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척액통보관부는, 상기 세척액통이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공간부 내면 타측에 형성된 제2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된 상기 세척액통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결합홈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이탈방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는, 상기 안경보관함의 하부에 결합되는 세척기함체와, 상기 세척기함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세척을 위한 콘택트렌즈와 세척액이 수납되는 렌즈수납부와, 상기 렌즈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콘택트렌즈를 세척하도록 상기 렌즈수납부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이 구비된 휴대용렌즈세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는,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는, 상기 안경보관함의 후방 하단부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는 안경케이스 내부에 안경, 콘택트렌즈케이스, 세척액통을 함께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관리가 간편하며 가방 안을 항상 깔끔하게 정리 정돈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케이스, 세척액통 등이 안경케이스 내부에 보관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비교적 부피가 작아 분실의 위험성이 높은 콘택트렌즈케이스의 분실을 방지하고, 콘택트렌즈케이스를 사용하기 위해 찾는데 드는 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는 안경케이스에 구비된 휴대용렌즈세척기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의 표면에 지방질이 끼이거나 콘택트렌즈가 오염되었을 경우에 콘택트렌즈를 수시로 세척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눈 건강에 이로운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의 덮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의 휴대용렌즈세척기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의 휴대용렌즈세척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의 덮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의 휴대용렌즈세척기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의 휴대용렌즈세척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일반적으로 안경케이스는 안경(G)을 수용하여 손상을 방지하는 통으로서 종래에는 단순히 안경(G)을 보관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어왔다.
최근에는 안경(G)을 착용하는 많은 사람이 안경(G)착용의 불편함과 장애를 해소하거나 미용의 목적으로 안경(G)과 콘택트렌즈를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1)는 현재 시중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안경케이스의 기능을 보완하여 안경(G)과 콘택트렌즈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착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콘택트렌즈케이스(22), 세척액통(23) 및 휴대용렌즈세척기(30)를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안경(G)과 콘택트렌즈를 함께 사용하기 위해 많은 소지품을 각각 휴대해야 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기능 안경케이스(1)를 안출하게 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1)는 안경보관함(10), 덮개(20), 휴대용렌즈세척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경보관함(10)은 내부에 안경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구성으로 상기 안경수용부(11)에 안경(G)이 수납되어 보관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안경보관함(10) 하부면에 거울(15)을 부착시켜 콘택트렌즈 착용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경수용부(11)는 내부에 상기 안경(G)의 렌즈 표면에 묻어있는 먼지나 지문 등의 이물질을 닦아내기 위하여 안경닦기용 전용 천(미도시)이 안경과 함께 동봉될 수 있다.
상기 안경보관함(10)의 내부는 수납된 상기 안경(G)이 휴대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안경(G)보호용 내피(미도시)가 덮여져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20)는 내부로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22)와 세척액통(23)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20)의 하부 가장자리가 상기 안경보관함(10)의 상부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경보관함(10)과 상호 일치되게 결합되며 상기 안경수용부(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덮개(20)는 상기 안경보관함(10)의 후방 상단부에 일측이 힌지(16a) 연결되어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안경수용부(11)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20)는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21)의 일측에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2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케이스보관부(24)가, 타측에 상기 세척액통(23)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액통보관부(25)이 구비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렌즈케이스보관부(24)는 상기 덮개(20)의 공간부(21) 내면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22)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홈(241)과, 상기 제1결합홈(241)의 가로방향 양측단에 상기 제1결합홈(241)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22)가 휴대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결합홈(241)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이탈방지편(2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척액통보관부(25)는 상기 덮개(20)의 공간부(21) 내면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세척액통(23)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제2결합홈(251)과, 상기 제2결합홈(251)의 세로방향 양측단에 상기 제2결합홈(251)에 결합된 상태의 상기 세척액통(23)이 휴대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결합홈(251)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이탈방지편(2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22)와 상기 세척액통(23)을 손을 이용하여 상기 콘택트렌즈보관부(24)와 상기 세척액통보관부(25)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쉽고, 상기 안경케이스(1)의 휴대시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22)와 상기 세척액통(23)이 상기 콘택트렌즈보관부(24)와 상기 세척액통보관부(25)에 안정되게 결속되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는 구성이라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벨크로테이프(미도시), 접착스티커(미도시), 자석(미도시), 클립(미도시) 등 다양한 형태로 착탈 가능한 결합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공간부(21)에 상기 콘택트렌즈를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22)로부터 안전하게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22)와 상기 세척액통(23)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에 집게(미도시)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21)는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22)와 상기 세척액통(23)의 크기 및 부피를 고려하여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22), 상기 세척액통(23) 및 상기 안경(G)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체적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안경보관함(10)의 전방 상단부에는 제1걸림턱(12)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20)에는 상기 제1걸림턱(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후크(26)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20)를 닫았을 경우 상기 제1후크(26)가 상기 제1걸림턱(12)에 걸려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걸림턱(12)과 상기 제1후크(26)의 걸림작용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안경보관함(10)의 전면 상단부에는 상기 제1걸림턱(12)과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작동되는 제1푸시부(13)가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걸림턱(12)의 안쪽에는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제1걸림턱(12)과 상기 제1푸시부(13)를 항상 전방으로 탄성 가압시키게 되는데 이로써 상기 덮개(20)를 닫았을 경우 상기 제1후크(26)가 상기 제1걸림턱(12)에 걸려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1푸시부(13)를 눌렀을 경우 상기 제1걸림턱(12)이 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후크(26)와 상기 제1걸림턱(12)의 걸림작용이 해제되고 상기 덮개(20)를 회전시켜 상기 안경수용부(11)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푸시부(13)를 누르고 있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제1걸림턱(12)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안경(G) 또는 상기 콘택트렌즈를 꺼낸 후 다시 상기 덮개(20)를 닫았을 경우 상기 제1후크(26)가 상기 제1걸림턱(12)에 걸려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걸림턱(12)과 상기 제1후크(26)의 위치는 서로 간에 바뀔 수 있으며 상기 제1걸림턱(12) 대신에 걸림공(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는 세척기함체(31), 렌즈수납부(32), 진동수단(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는 상기 안경보관함(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세척기함체(31) 상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안경보관함(10)의 하부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일치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세척기함체(31)의 내부에 상기 렌즈수납부(32)와 상기 진동수단(33)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렌즈수납부(32)는 상기 콘택트렌즈와 세척액이 수납된 상태로 상기 세척기함체(31)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진동수단(33)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렌즈수납부(32)에 수납된 상기 콘택트렌즈를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기함체(31) 내부로 진동판(미도시), 진동부(미도시), 전원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동판은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진동판의 상면에는 상기 렌즈수납부(32)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수납부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진동부는 상기 진동판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진동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진동부가 진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는 진동을 통하여 상기 콘택트렌즈를 세척하는 방식으로 상기 콘택트렌즈와 세척액이 수납된 상태의 렌즈수납부(32)가 상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진동수단(33)의 진동판 상에 안착되고, 상기 진동판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부에 의해 상기 진동판이 진동됨으로써 상기 렌즈수납부(32)가 함께 진동되고, 상기 렌즈수납부(32) 내부에 수납된 상기 콘택트렌즈가 진동되어 세척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의 구성, 작동원리 및 부재선정 등은 별도로 보다 상세하게 설계한 후 시행해야 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공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는 상기 안경보관함(10) 후방 하단부에 일측이 힌지(16b) 연결되어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개폐되게 구성된다.
또한, 휴대용렌즈세척기(30)는 상기 콘택트렌즈를 착용 및 세척할 경우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 상부 일측에 집게(34)를 구비시켜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안경보관함(10) 하부에 안정되게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기함체(31)의 전방 상단부에는 제2걸림턱(35)이 구비되고, 상기 안경보관함(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2걸림턱(3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후크(14)가 구비되며,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의 세척기함체(31)를 상기 안경보관함(10)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제2후크(14)가 상기 제2걸림턱(35)에 걸려 닫힌 상태가 되어 안정되게 결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턱(35)과 상기 제2후크(14)의 걸림작용을 해제 하기위하여 상기 상기 세척기함체(31)의 전면 상단부에는 상기 제2걸림턱(35)과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작동되는 제2푸시부(36)가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걸림턱(35)과 상기 제2후크(14)의 걸림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자세한 구성 및 방법은 상기 제1걸림턱(12)과 상기 제1후크(26)의 구성 및 해제방법과 동일하므로 같은 내용을 앞에서 이미 설명했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는 상기 안경보관함(10')의 하부에 다단으로 포개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안경보관함(10')의 저면 가장자리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하향 돌출되게 결합부(17)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7)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둥근 형상으로 내향 돌출되게 걸림돌기(17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의 세척기함체(31') 상부에는 상기 안경보관함(10')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1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단차지게 끼움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11)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둥근 형상으로 외향 돌출되게 걸림단(311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의 세척기함체(31')에 형성된 상기 끼움부(311)가 상기 안경보관함(10')의 결합부(17)에 삽입되면, 상기 끼움부(311)의 걸림단(3111)과 상기 결합부(17)의 걸림돌기(171)가 상호 걸림작용되어 안정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손으로 분리하는 등의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시에는 상기 안경보관함(10')으로부터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의 휴대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1)의 기능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1)는 상기 안경보관함(10, 10')의 상기 안경수용부(11)에 상기 안경(G)이 수용되어 보관되고, 상기 덮개(20) 내부로 형성된 상기 공간부(21)에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22)와 상기 세척액통(23)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보관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안경보관함(10, 10')의 하부에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 30')가 구비되게 하여 이 모든 구성을 한번에 휴대할 수 있게 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안경케이스(1)는 안경(G), 콘택트렌즈케이스(22), 세척액통(23) 및 휴대용렌즈세척기(30, 30')를 함께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가방 안을 항상 깔끔하게 정리 정돈할 수 있으며, 비교적 부피가 작은 콘택트렌즈케이스(22) 등을 분실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케이스(22)와 세척액통(23)이 안경케이스(1) 내에 보관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새는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구성들(22, 23)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30, 30')를 이용하여 항상 깨끗한 상태의 상기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수 있게 되므로 착용자의 눈 건강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다기능 안경케이스(1)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안경케이스
10, 10' 안경보관함
11 안경수용부
12 제1걸림턱
13 제1푸시부
14 제2후크
15 거울
16a, 16b 힌지
17 결합부
171 걸림돌기
20 덮개
21 공간부
22 콘택트렌즈케이스
23 세척액통
24 렌즈케이스보관부
241 제1결합홈
242 제1이탈방지편
25 세척액통보관부
251 제2결합홈
252 제2이탈방지편
26 제1후크
30, 30' 휴대용렌즈세척기
31, 31' 세척기함체
311 끼움부
3111 걸림단
32 렌즈수납부
33 진동수단
34 집게
35 제2걸림턱
36 제2푸시부
G 안경

Claims (4)

  1. 내부에 안경이 보관되는 안경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안경보관함과;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경보관함의 후방 상단부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안경수용부를 개폐시키는 덮개와;
    상기 안경보관함의 하부에 결합되는 세척기함체와, 상기 세척기함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세척을 위한 콘택트렌즈와 세척액이 수납되는 렌즈수납부와, 상기 렌즈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콘택트렌즈를 세척하도록 상기 렌즈수납부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이 구비된 휴대용렌즈세척기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의 공간부에 콘택트렌즈케이스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케이스보관부와, 세척액통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척액통보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휴대용렌즈세척기는, 상기 안경보관함의 후방 하단부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경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케이스보관부는,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공간부 내면 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된 상기 콘택트렌즈케이스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결합홈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이탈방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척액통보관부는, 상기 세척액통이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공간부 내면 타측에 형성된 제2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된 상기 세척액통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결합홈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이탈방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안경케이스.
  3. 삭제
  4. 삭제
KR2020130008448U 2013-10-14 2013-10-14 다기능 안경케이스 KR200474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48U KR200474663Y1 (ko) 2013-10-14 2013-10-14 다기능 안경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448U KR200474663Y1 (ko) 2013-10-14 2013-10-14 다기능 안경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663Y1 true KR200474663Y1 (ko) 2014-10-07

Family

ID=5200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448U KR200474663Y1 (ko) 2013-10-14 2013-10-14 다기능 안경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6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4080A (zh) * 2019-11-15 2020-01-10 新昌县羽亿眼镜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洁镜片的眼镜盒
KR102081919B1 (ko) * 2019-04-12 2020-02-26 이영근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KR200493152Y1 (ko) 2019-09-17 2021-02-08 박영은 다기능 안경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865Y1 (ko) * 2001-09-25 2002-05-27 김효정 안경집
KR20100055805A (ko) * 2008-11-18 2010-05-27 안영민 다중안경케이스
KR20120111472A (ko) * 2011-03-31 2012-10-10 주현희 휴대용 안경 세척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안경집, 및 안경 세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865Y1 (ko) * 2001-09-25 2002-05-27 김효정 안경집
KR20100055805A (ko) * 2008-11-18 2010-05-27 안영민 다중안경케이스
KR20120111472A (ko) * 2011-03-31 2012-10-10 주현희 휴대용 안경 세척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안경집, 및 안경 세척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19B1 (ko) * 2019-04-12 2020-02-26 이영근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KR200493152Y1 (ko) 2019-09-17 2021-02-08 박영은 다기능 안경케이스
CN110664080A (zh) * 2019-11-15 2020-01-10 新昌县羽亿眼镜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洁镜片的眼镜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706208A2 (pt) estojo para proteção de lentes para óculos
KR200474663Y1 (ko) 다기능 안경케이스
KR200467505Y1 (ko) 휴대용 콘택트렌즈 케이스
KR200482886Y1 (ko)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KR200276865Y1 (ko) 안경집
CN207613350U (zh) 一种多功能眼镜盒
KR20140078306A (ko) 콘택트렌즈 세척기
US20130105335A1 (en) Contact lens case with adhesive pad to remove lint and debris from fingers
KR20170090744A (ko) 안경닦이 일체형 안경케이스
KR200467533Y1 (ko) 렌즈용 케이스
KR200418496Y1 (ko) 일회용 콘택트렌즈 보관용기
KR101487601B1 (ko) 안경용 클리너
KR20160091033A (ko) 탈부착 렌즈 클리너가 구비된 안경테
KR20190139542A (ko) 안경닦이가 구비된 안경
KR101497834B1 (ko) 클리너기능을 갖는 안경렌즈 보호커버
KR101980678B1 (ko) 간이 안경 세척기를 포함하는 안경 거치대
CN217689645U (zh) 一种方便收纳的折叠眼镜
TWI478680B (zh) Contact lens care components
JP3978415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ース
JP3164099U (ja) メガネスタンド兼用メガネケース
KR20190135734A (ko) 클린 렌즈 케이스
KR20110052062A (ko) 안경닦이를 내포한 휴대용 접이식 안경집
KR20170130991A (ko) 안경 케이스
WO2015190630A1 (ko) 소프트 안경 케이스
KR200367739Y1 (ko) 안경닦이천 및 명함꽂이가 구비된 안경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