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886Y1 -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886Y1
KR200482886Y1 KR2020160000352U KR20160000352U KR200482886Y1 KR 200482886 Y1 KR200482886 Y1 KR 200482886Y1 KR 2020160000352 U KR2020160000352 U KR 2020160000352U KR 20160000352 U KR20160000352 U KR 20160000352U KR 200482886 Y1 KR200482886 Y1 KR 200482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yewear
cushion member
pouch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훈
Original Assignee
정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훈 filed Critical 정명훈
Priority to KR2020160000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8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 A45C11/043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with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2000)는 상호간에 서로 대면하고 그 측부(120)(120)가 상호간에 부착되어 그 사이에 아이웨어가 배치되는 공간(S)이 형성되는 제1부(100) 및 제2부(200)를 가진다. 상기 제1부(100)와 제2부(200)는 각각 겉면을 구성하는 외면부(30)와 내면을 구성하는 내면부(10)를 가지는데, 상기 내면부(10)는 극세사와 같이 렌즈를 닦을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Pouch for eyewear enabling wiping the lens thereof }
본 고안은 선글라스 등의 아이웨어(eyewear)용 파우치(pouch)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선글라스 등의 아이웨어를 보관하면서 그 렌즈를 닦을 수 있는 렌즈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선글라스 등의 아이웨어는 이를 보관할 필요성이 있으며 더불어 그 렌즈를 닦을 필요가 있다.
예들 들어, 선글라스의 경우, 별도로 보관하고 다니다가 햇볕 등에 노출되는 등 필요한 경우 이를 꺼내어 착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선글라스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이 필요하며, 또한 렌즈를 닦아줄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선글라스 등의 아이웨어를 위한 케이스 또는 파우치가 제공되고 별도의 렌즈닦이 수건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 또는 파우치에 선글라스 등을 보관하고 필요할 때 렌즈닦이 수건으로 선글라스 등의 렌즈를 닦게 된다.
그러나 보관과 더불어 렌즈닦이가 가능한 파우치가 제공된다면, 즉 파우치에 보관할 수 있으며 이렇게 보관되는 선글라스 등에 대하여 그 렌즈를 편리하고 쉽게 닦을 수 있다면 편리성이 크게 증대되어 매우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관과 더불어 렌즈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간편하고 편리하게 선글라스 등을 탑재하고 이렇게 탑재된 선글라스 등이 외부충격에 효율적으로 보호되며, 이렇게 탑재된 선글라스 등의 렌즈를 한 손으로 쉽고 편리하게 닦을 수 있는 렌즈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호간에 서로 대면하고 그 측부가 상호간에 부착되어 그 사이에 아이웨어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부 및 제2부를 가지며; 상기 제1부 및 제2부는 각각 겉면을 구성하는 외면부와 내면을 구성하는 내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1부 및 제2부의 내면부는 각각 상기 아이웨어의 렌즈를 닦을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부와 제2부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은 그 외면부와 그 내면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부 및 제2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아이웨어의 렌즈를 보호하는 쿠션을 가지는 부재인 렌즈보호쿠션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1부의 내면부는 상기 제1부 및 제2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아이웨어의 전면과 접하고 상기 제2부의 내면부는 상기 제1부 및 제2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아이웨어의 후면과 접하고; 상기 제2부에는 상기 제1부 및 제2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아이웨어의 다리가 외부로 빠져 나오는 다리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부 또는 제2부 중 상기 렌즈보호쿠션부재를 가지는 쪽에는 상기 렌즈보호쿠션부재와 이격되어 설치된 것으로서 쿠션을 가지는 부재인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를 더욱 가져, 상기 렌즈보호쿠션부재와 상기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의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아이웨어의 렌즈를 둘러싼 프레임이 놓여 상기 아이웨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딸르 경우, 상기 렌즈보호쿠션부재와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는 합성수지재질의 폼(foam)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부와 제2부는 상측부가 상호간에 부착되지 않아 상기 아이웨어가 배치되는 공간은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다리출구부는 상기 제2부의 상측부의 양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부는 상기 제2부를 넘어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부의 외면부로 접히어 상기 제2부의 외면부와 탈부착이 가능한 덮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부 및 제2부의 내면부를 형성하는 상기 아이웨어의 렌즈를 닦을 수 있는 소재는 극세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제1부와 제2부는 상기 외면부와 내면부 및 이들 외면부와 내면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렌즈보호쿠션부재와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를 가지는 1장의 아이웨어용 파우치 시트가 접히어 접힌 부분이 대면하는 부분과 그 측부에서 상호간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파우치의 형태로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선글라스 등의 아이웨어를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선글라스 등의 아이웨어를 보호하는 아이웨어용 파우치를 제공한다.
특별히, 본 고안에 따를 경우, 파우치에 아이웨어를 탑재하고 한손으로 파우치를 잡으면서 두 손가락으로 렌즈보호쿠션부재를 잡고 문질러 렌즈를 미끄러짐이 없이 쉽게 닦을 수 있게 된다. 즉 파우치에 선글라스 등을 탑재한 상태에서 한손으로 렌즈를 미끄러짐이 없이 쉽게 닦을 수 있다.
도 1에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5에서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의 사용예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2000)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로,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30)가 제공되고 이들의 사이에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28)가 배치되고 또한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183a)(183b)(283a)(283b)가 배치되고 있다.
상기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와 상기 렌즈보호용 쿠션부재(28)는 상호간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있는데, 이들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와 렌즈보호용 쿠션부재(28)는 본 실시예와 같이 모두가 제공될 수도 있고, 이중 어느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183a)(183b)(283a)(283b)는 상기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28)로부터 바깥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만일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와 렌즈보호용 쿠션부재(28) 중 어느 하나만 제공되는 경우, 이에 대응한 것만이 제공된다.
즉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만 제공되는 경우는 대응하여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183a)(183b)만이 제공되고, 렌즈보호용 쿠션부재(28)만 제공되는 경우는 대응하여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283a)(283b)만이 제공된다.
이들 쿠션부재(18a)(18b)(28)(183a)(183b)(283a)(283b)는 그 상면의 상부부재(10)와 그 하면의 하부부재(30)에 각각 초음파 융착 등을 통하여 부착되고, 또한, 상기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30)는 상호간에 초음파 융착 등을 통하여 부착되어, 1장의 아이웨어용 파우치 시트(1000)가 완성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2에서 보인다.
상기 상부부재(10)는 일반적으로 선글라스의 렌즈를 닦을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극세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부재(30)는 합성수지, 직물 등과 같이 접힐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28)와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183a)(183b)(283a)(283b)는 상호간에 이격되어 이들 사이의 공간부는 각각 도시부호 181과 281로 표시되고 있는데, 후술하듯이, 이들 이격공간부(181)(281)에 아이웨어(500)의 렌즈(580)를 둘러싸는 프레임(581)이 놓이게 된다. (도 5 참조)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28)와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183a)(183b)(283a)(283b)는 쿠션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져 선글라스 등의 아이웨어의 렌즈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쿠션을 가지는 소재로는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이 이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재질의 폼(foam)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30)에는 각각 상호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결합수단(12)(21)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착탈결합수단(12)(21)은 벨크로(velcro)가 이용되거나 또는 스냅단추(똑딱단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로, 상기 1장의 아이웨어용 파우치 시트(1000)는 상호간에 상하로 이격된 상기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와 상기 렌즈보호용 쿠션부재(28)의 사이의 접힘선(206)을 따라 접힌다.
이에 따라 접힘선(206)의 아래 부분, 즉 상기 렌즈보호용 쿠션부재(28)와 그 양측의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283a)(283b)를 가지는 부분(200)이 접힘선(206)의 윗부분, 즉 상기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와 그 양측의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183a)(183b)를 가지는 부분(100)과 대면하게 된다.
이들 대면하는 부분(100)(200)은 그 양측부가 상호간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박음질 등을 통하여 이들 대면하는 부분(100)(200)의 양측부가 상호간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이들 대면하는 부분(100)(200)의 양측부가 박음질에 의하여 상호간에 부착된 것을 보이며, 양측부의 박음질선(120)이 도시되고 있다.
도 4는 이와 같이 하여 완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2000)를 보인다.
상기 아이웨어용 파우치(2000)에서 전술한 상기 렌즈보호용 쿠션부재(28)와 그 양측의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283a)(283b)를 가지는 부분(200)이 본 고안에 따른 제2부(200)를 이루게 되며, 상기 제2부와 대면하는 상기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와 그 양측의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183a)(183b)를 가지는 부분(100)이 본 고안에 따른 제1부(100)를 이루게 된다.
이들 제1부(100)와 제2부(200)는 상호간에 서로 대면하고 그 측부가 상호간에 박음질(120)로 부착되고 있으며, 이들 제1부(100)와 제2부(200)의 사이에 아이웨어(500)가 배치되는 공간(S)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제1부(100) 및 제2부(200)의 겉면을 구성하는 외면부는 전술한 하부부재(30)가 이루고 있으며, 내면을 구성하는 내면부는 전술한 상부부재(10)가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면부(10)는 극세사 등 선글라스의 렌즈를 닦을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부(100)와 제2부(200) 각각은 그 외면부(30)와 그 내면부(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렌즈보호쿠션부재(18a)(18b), 렌즈보호쿠션부재(28)를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제1부(100)는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와 이격되어 설치된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183a)(183b)를 또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부(200)는 렌즈보호용 쿠션부재(28)와 이격되어 설치된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283a)(283b)를 또한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제1부(100)의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와 제2부(200)의 렌즈보호쿠션부재(28)는 선택적으로 한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183a)(183b)와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283a)(283b)도 대응하여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부(200)에는, 상기 제1부(100) 및 제2부(200)의 사이의 공간(S)에 배치되는 아이웨어(500)의 다리(507)(507)가 외부로 빠져 나오는 다리출구부(205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다리출구부(2058)는 상기 제2부(200)의 상측부(205)의 양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경사진 형태는 V자 또는 U자 등의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로, 상기 제1부(100)는 상기 제2부(200)를 넘어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40)를 가진다. 상기 연장부(140)는 상기 제2부(200)의 외면부로 접히어 덮개부를 이루고, 이러한 덮개부(140)는 전술한 착탈결합수단(12)(21)에 의하여, 제2부내(200)의 외면부(30)와 탈부착이 가능하다.
도 5에서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2000)의 사용예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40)를 열고, 제1부(100)와 제2부(200) 사이의 공간(S)에 선글라스(500) 등의 아이웨어를 탑재한다. 이때, 다리(507)(507)는 다리출구부(2058)(2058)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제1부(100)와 제2부(200) 사이의 공간(S)에 선글라스(500)가 탑재될 때, 상기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28)와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183a)(183b)(283a)(283b) 사이의 이격공간부(181)(281)에 선글라스(500)의 렌즈(580)를 둘러싸는 프레임(581)이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선글라스(500)의 렌즈(580)(580)는 렌즈보호용 쿠션부재(18a)(18b)(28)에 의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되며, 또한 선글라스(500)의 렌즈(580)를 둘러싸는 프레임(581)이 이격공간부(181)(281)에 놓여 상기 제1부(100)와 제2부(200) 사이의 공간(S)에 선글라스(5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덮개부(140)를 덮어 상기 착탈결합수단(12)(21)으로 상기 제2부(200)의 외면부(3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경우, 탑재된 선글라스(500)는 제1부(100)와 제2부(200) 사이의 공간(S)으로부터 떨어져 유실될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양손가락으로 제1부(100)와 제2부(200) 사이의 공간(S)에 탑재된 선슬라스(500)에 대하여 렌즈보호쿠션부재(18a)(18b)(28)를 잡고 이를 문지르면 극세사 재질의 내면부(10)가 렌즈(580)를 닦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선글라스(500)는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2000)의 탑재공간(S)에 안정적으로 탑재되어 있어, 미끄러짐 등이 없이 안정적으로 선글라스의 렌즈를 닦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안경닦이 천 등으로 렌즈를 닦을 경우 미끄러짐이 있어 한손으로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안경닦이 천을 잡고 렌즈를 닦아야 하나, 본 고안에 따를 경우, 파우치(2000)에 아이웨어를 탑재하고 한손으로 파우치를 잡으면서 두 손가락으로 렌즈보호쿠션부재(18a)(18b)(28)를 잡고 이를 문질러 렌즈(580)를 닦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선글라스 등의 아이웨어를 안정적으로 탑재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동시에 한손으로 잡고 그 렌즈의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2000)를 제공한다.
100: 제1부
200: 제2부
18a, 18b, 28: 렌즈보호쿠션부재
183a, 183b, 283a, 283b: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
181, 281: 이격공간부
500: 선글라스
140: 덮개부
2058: 다리출구부
1000: 아이웨어용 파우치 시트
2000: 아이웨어용 파우치

Claims (7)

  1. (a) 상호간에 서로 대면하고 그 측부가 상호간에 부착되어 그 사이에 아이웨어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부 및 제2부를 가지며;
    (b) 상기 제1부 및 제2부는 각각 겉면을 구성하는 외면부와 내면을 구성하는 내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1부 및 제2부의 내면부는 각각 상기 아이웨어의 렌즈를 닦을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c) 상기 제1부와 제2부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은 그 외면부와 그 내면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부 및 제2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아이웨어의 렌즈를 보호하는 쿠션을 가지는 부재인 렌즈보호쿠션부재를 가지고;
    (d) 상기 제1부의 내면부는 상기 제1부 및 제2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아이웨어의 전면과 접하고 상기 제2부의 내면부는 상기 제1부 및 제2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아이웨어의 후면과 접하고;
    (e) 상기 제2부에는 상기 제1부 및 제2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아이웨어의 다리가 외부로 빠져 나오는 다리출구부가 형성되고;
    (f) 상기 제1부 또는 제2부 중 상기 렌즈보호쿠션부재를 가지는 쪽에는 상기 렌즈보호쿠션부재와 이격되어 설치된 것으로서 쿠션을 가지는 부재인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를 더욱 가져, 상기 렌즈보호쿠션부재와 상기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의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아이웨어의 렌즈를 둘러싼 프레임이 놓여 상기 아이웨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보호쿠션부재와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는 합성수지재질의 폼(foam)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와 제2부는 상측부가 상호간에 부착되지 않아 상기 아이웨어가 배치되는 공간은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다리출구부는 상기 제2부의 상측부의 양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는 상기 제2부를 넘어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부의 외면부로 접히어 상기 제2부의 외면부와 탈부착이 가능한 덮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 및 제2부의 내면부를 형성하는 상기 아이웨어의 렌즈를 닦을 수 있는 소재는 극세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와 제2부는 상기 외면부와 내면부 및 이들 외면부와 내면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렌즈보호쿠션부재와 아이웨어프레임 고정용 쿠션부재를 가지는 1장의 아이웨어용 파우치 시트가 접히어 접힌 부분이 대면하는 부분과 그 측부에서 상호간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KR2020160000352U 2016-01-21 2016-01-21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KR200482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52U KR200482886Y1 (ko) 2016-01-21 2016-01-21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52U KR200482886Y1 (ko) 2016-01-21 2016-01-21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886Y1 true KR200482886Y1 (ko) 2017-03-13

Family

ID=5841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352U KR200482886Y1 (ko) 2016-01-21 2016-01-21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88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753B1 (ko) * 2019-07-30 2020-07-27 주식회사 파르마인터내셔널 안경 케이스
KR102287294B1 (ko) * 2020-11-02 2021-08-09 정성외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WO2021209777A1 (fr) * 2020-04-14 2021-10-21 Icare (Hong Kong) Company Limited Etui de protection de lunett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0522A (en) * 1978-09-20 1981-09-22 Takao Takasaki Spectacle holder
JPH02109420U (ko) * 1989-02-17 1990-08-31
JP3036029U (ja) * 1996-09-12 1997-04-08 株式会社光陽社 眼鏡拭き兼用眼鏡入れ
JP2003116617A (ja) * 2001-10-18 2003-04-22 Shinjiro Watabe 眼鏡破損防止クッション付眼鏡ケ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0522A (en) * 1978-09-20 1981-09-22 Takao Takasaki Spectacle holder
JPH02109420U (ko) * 1989-02-17 1990-08-31
JP3036029U (ja) * 1996-09-12 1997-04-08 株式会社光陽社 眼鏡拭き兼用眼鏡入れ
JP2003116617A (ja) * 2001-10-18 2003-04-22 Shinjiro Watabe 眼鏡破損防止クッション付眼鏡ケー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753B1 (ko) * 2019-07-30 2020-07-27 주식회사 파르마인터내셔널 안경 케이스
WO2021209777A1 (fr) * 2020-04-14 2021-10-21 Icare (Hong Kong) Company Limited Etui de protection de lunettes
KR102287294B1 (ko) * 2020-11-02 2021-08-09 정성외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886Y1 (ko)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US9392853B2 (en) Smart phone carrying case
WO2011095864A2 (en) Protective cover for pair of spectacles
KR200474663Y1 (ko) 다기능 안경케이스
JP4986088B1 (ja) 掛止機能付き眼鏡フレーム、眼鏡フレーム前側部材、及び眼鏡フレーム後側部材
KR200492130Y1 (ko) 안경닦이가 구비된 손거울
CN201229437Y (zh) 一种新型眼镜
CN207096597U (zh) 一种具有一体式鼻托的眼镜
US9389437B1 (en) Removable clip-on lens
KR101497834B1 (ko) 클리너기능을 갖는 안경렌즈 보호커버
KR20210037826A (ko) 안경닦이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 케이스
JP3132948U (ja) 眼鏡を保護収納することを可能とした衣服ポケット
KR20220056267A (ko) 안경 거치구
CN211263990U (zh) 一种太阳眼镜
KR102596881B1 (ko) 안경닦이
KR101199193B1 (ko) 안경닦이천을 구비한 안경 주머니
KR200367739Y1 (ko) 안경닦이천 및 명함꽂이가 구비된 안경집
KR20120105128A (ko) 뿔테안경용 보조 코받침
US9625741B1 (en) Removable clip-on lenses
KR200394321Y1 (ko) 안경닦이
JP2012070804A (ja) 拭き布
KR20130076637A (ko)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클리너
KR20140144565A (ko) 안경용 클리너
CN106723819B (zh) 气囊式镜片清理眼镜保护装置
KR20230115076A (ko) 원터치 안경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