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294B1 -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294B1
KR102287294B1 KR1020200144388A KR20200144388A KR102287294B1 KR 102287294 B1 KR102287294 B1 KR 102287294B1 KR 1020200144388 A KR1020200144388 A KR 1020200144388A KR 20200144388 A KR20200144388 A KR 20200144388A KR 102287294 B1 KR102287294 B1 KR 10228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ver unit
groove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외
Original Assignee
정성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외 filed Critical 정성외
Priority to KR102020014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전방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가 노출되도록 카메라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홀을 개폐하며, 전방으로 극세사 패드가 구비된 커버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우징의 카메라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유닛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유닛의 전방으로 극세사패드가 구비됨으로써, 커버유닛의 슬라이드에 따라 카메라 홀이 개폐되어 외부 이물질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은 물론, 극세사패드에 의해 카메라 유리가 닦이면서 개폐되어 카메라 유리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CASE FOR MOBILE PHONE FOR CAMERA PROTEC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본체를 보호하는 것은 물론, 휴대폰의 카메라 유리가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이용자가 휴대하면서 손안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화통신 단말기로서 현대인은 거의 필수품으로 휴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내비게이션, 카메라, 디지털 음원 MP3(MPEG Audio Layer-3)와 디지털 동영상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플레이어(Multi media player)등 많은 부가기능이 탑재되고 있고, 앱(APP : Application)이라 불리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더 많은 디지털기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근래에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데이터통신망과 WiFi(wireless fidelity)를 통해 무선인터넷을 할 수 있음을 물론 더 많은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고, 그 디자인이나 형상이 점점 미려해지고 있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다수의 스마트폰은 화면이 보이는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바타입(bar type)으로 전면의 터치스크린은 강화유리로 처리되고 있다.
강화유리는 긁힘, 전면으로부터의 충격에는 강한 이점이 있으나, 측면으로부터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이 강화유리로 제작된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사용 중 부주의에 의해 스마트폰이 지면으로 낙하된 경우, 디스플레이패널을 보호하고 있는 전면패널, 또는 디스플레이패널 자체가 지면과의 충격에 의해 깨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카메라 또한 유리로 되어 있어 쉽게 파손되는 것은 물론,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어 사진촬영에 방해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8-0047008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6-0069877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6-0069890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9-00239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휴대폰 본체를 보호하는 것은 물론, 휴대폰 카메라가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는, 전방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가 노출되도록 카메라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홀을 개폐하며, 전방으로 극세사 패드가 구비된 커버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는 상기 커버유닛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홈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제1 슬라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제1 가이드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드홈 내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유닛이 결합된 제2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에 일체로 결합되어 탄성을 통해 상기 커버유닛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슬라이드홈의 내측에는 제3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안내홈의 하단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유닛의 하단 및 탄성유닛의 상단에는 일체로 체결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전방이 상기 제3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인입되며, 후방으로 스트랩이 결합되고, 상기 체결유닛이 상기 제3 안내홈의 하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동 시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커버유닛을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에 따르면, 하우징의 카메라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유닛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유닛의 전방으로 극세사패드가 구비됨으로써, 커버유닛의 슬라이드에 따라 카메라 홀이 개폐되어 외부 이물질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은 물론, 극세사패드에 의해 카메라 유리가 닦이면서 개폐되어 카메라 유리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커버유닛이 탄성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하여 편의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몸체의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유닛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입부재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몸체의 정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유닛의 동작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입부재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 카메라를 보호하는 것은 물론, 개폐 시 카메라를 닦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100)는 하우징(110), 커버유닛(120), 탄성유닛(130) 및 체결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방으로 사용자 단말기(10)가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의 카메라와 마주보는 위치에 카메라 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에는 상기 카메라 홀(111)을 포함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제1 슬라이드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라이드홈(112)의 양측 내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안내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라이드홈(112)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카메라 홀(111)이 위치되고, 내측 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제2 슬라이드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라이드홈(114)의 양측 내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안내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라이드홈(114)의 내측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3 안내홈(116)이 형성된다.
상기 제3 안내홈(116)의 하단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걸림홈(117)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유닛(120)은 상기 제1 슬라이드홈(112)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상방 이동 시 상기 카메라 홀(111)을 폐쇄시키고, 하방 이동 시 상기 카메라 홀(111)을 개방시킨다.
상기 커버유닛(120)은 상기 제1 슬라이드홈(112)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몸체(121)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몸체(121)는 양측으로 상기 제1 안내홈(113)에 안내되도록 제1 가이드바(1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몸체(121)는 상기 제1 슬라이드홈(112)에 측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후술될 체결유닛(140)을 상기 걸림홈(117)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커버몸체(121)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제1 연장편(1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연장홈에는 제1 체결공(1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몸체(121)의 전방에는 극세사 패드(122)가 구비되고, 상하 이동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홀(111)에 위치된 휴대폰 카메라의 유리를 닦는다.
상기 탄성유닛(130)은 상기 커버유닛(120)을 탄성에 의해 폐쇄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2 슬라이드홈(114)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탄성몸체(131)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몸체(131)는 양측으로 상기 제2 안내홈(115)에 안내되도록 제2 가이드바(1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몸체(131)는 상기 커버몸체(121)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몸체(121)와 동일하게 측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몸체(131)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제2 연장편(13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장편(133)에는 상기 제1 체결공(125)과 마주보도록 제2 체결공(1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몸체(131)의 하단에는 상기 제2 슬라이드홈(114)의 내측 하면에 결합되는 탄성체(135)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135)는 상기 탄성몸체(131)가 하방 이동 시 수축되고, 상기 탄성몸체(131)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을 가진다.
이때, 상기 제2 슬라이드홈(114)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제2 연장편(133)이 인입되도록 제1 인입홈(11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유닛(140)은 상기 커버유닛(120) 및 탄성유닛(130)을 일체로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체결공(125) 및 제2 체결공(134)에 일체로 결합되는 체결몸체(141)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몸체(141)는 전단부가 상기 제3 안내홈(116)에 안내되도록 인입되고, 후단부에 스트랩(142)이 결합된다.
상기 스트랩(142)은 상기 하우징(110)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당겨짐에 따라 상기 커버유닛(12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카메라 홀(111)을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몸체(141)는 전단부가 상기 제3 안내홈(116)에 안내됨에 따라 상기 제3 안내홈(116)의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동 시 상기 걸림홈(117)에 걸려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걸림홈(117)은 일측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몸체(141)가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트랩(142)의 일단에는 상기 체결유닛(140)과 연결되도록 링부재(142a)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자성체(142b)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체결몸체(141)의 후방에는 상기 링부재(142a)와 결합되는 인입부재(143)가 탄성 및 자성에 의해 인입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몸체(141)의 후방에는 상기 인입부재(143)가 인입출 가능하도록 제2 인입홈(14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인입홈(141a)의 외측단부에는 제1 걸림턱(141b)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부재(143)는 상기 제2 인입홈(141a)에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단부에는 상기 제1 걸림턱(141b)에 걸려 고정되는 제2 걸림턱(143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입부재(143)는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링부재(142a)가 결합 가능하도록 관통공(14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걸림턱(141b) 및 제2 걸림턱(143a) 사이에는 스프링(14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인입부재(143)는 상기 스프링(14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인입홈(141a)에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부재(143)는 상기 스트랩(142)의 자성체(142b)에 의해 자성에 의해 인출된다.
또한, 상기 인입부재(143)는 자성에 의해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링부재(142a)가 결합되고, 상기 링부재(142a)가 상기 제2 인입홈(141a)에 걸려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입부재(143)는 상기 스프링(144)에 의해 인입되고, 상기 자성체(142b)에 의해 인출 및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링부재(142a)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에 따르면, 하우징의 카메라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유닛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유닛의 전방으로 극세사패드가 구비됨으로써, 커버유닛의 슬라이드에 따라 카메라 홀이 개폐되어 외부 이물질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은 물론, 극세사패드에 의해 카메라 유리가 닦이면서 개폐되어 카메라 유리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커버유닛이 탄성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하여 편의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케이스 110: 하우징
111: 카메라 홀 112: 제1 슬라이드홈
113: 제1 안내홈 114: 제2 슬라이드홈
115: 제2 안내홈 116: 제3 안내홈
117: 걸림홈 118: 제1 인입홈
120: 커버유닛 121: 커버몸체
122: 극세사 패드 123: 제1 가이드바
124: 제1 연장편 125: 제1 체결공
130: 탄성유닛 131: 탄성몸체
132: 제2 가이드바 133: 제2 연장편
134: 제2 체결공 135: 탄성체
140: 체결유닛 141: 체결몸체
141a: 제2 인입홈 141b: 제1 걸림턱
142: 스트랩 142a: 링부재
142b: 자성체 143: 인입부재
143a: 관통공 143a: 제2 걸림턱
144: 스프링

Claims (4)

  1. 전방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가 노출되도록 카메라 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홀을 개폐하며, 전방으로 극세사 패드가 구비된 커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는 상기 커버유닛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홈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제1 슬라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제1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제1 가이드바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드홈 내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유닛이 결합된 제2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에 일체로 결합되어 탄성을 통해 상기 커버유닛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드홈의 내측에는 제3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안내홈의 하단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유닛의 하단 및 탄성유닛의 상단에는 일체로 체결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체결유닛은 전방이 상기 제3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인입되며, 후방으로 스트랩이 결합되고,
    상기 체결유닛이 상기 제3 안내홈의 하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동 시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커버유닛을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KR1020200144388A 2020-11-02 2020-11-02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KR102287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388A KR102287294B1 (ko) 2020-11-02 2020-11-02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388A KR102287294B1 (ko) 2020-11-02 2020-11-02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294B1 true KR102287294B1 (ko) 2021-08-09

Family

ID=7731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388A KR102287294B1 (ko) 2020-11-02 2020-11-02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29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864Y1 (ko) * 2013-02-01 2013-05-16 박근영 플래시 광량 조절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60069877A (ko) 2014-12-09 2016-06-17 신경남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KR20160069890A (ko) 2014-12-09 2016-06-17 신경남 측방이 출입되면서 승강되어져 촬영이 가능한 휴대폰케이스.
KR200482886Y1 (ko) * 2016-01-21 2017-03-13 정명훈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KR20180047008A (ko) 2016-10-29 2018-05-10 강석우 충전용케이블 자동감김장치가 장착된 휴대폰케이스
KR20190023924A (ko) 2017-08-30 2019-03-08 임준호 우산을 부착한 휴대폰케이스
KR102048237B1 (ko) * 2019-02-13 2019-11-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렌즈보호 및 여성안심용 핸드폰케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864Y1 (ko) * 2013-02-01 2013-05-16 박근영 플래시 광량 조절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60069877A (ko) 2014-12-09 2016-06-17 신경남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KR20160069890A (ko) 2014-12-09 2016-06-17 신경남 측방이 출입되면서 승강되어져 촬영이 가능한 휴대폰케이스.
KR200482886Y1 (ko) * 2016-01-21 2017-03-13 정명훈 렌즈 닦이가 가능한 아이웨어용 파우치
KR20180047008A (ko) 2016-10-29 2018-05-10 강석우 충전용케이블 자동감김장치가 장착된 휴대폰케이스
KR20190023924A (ko) 2017-08-30 2019-03-08 임준호 우산을 부착한 휴대폰케이스
KR102048237B1 (ko) * 2019-02-13 2019-11-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렌즈보호 및 여성안심용 핸드폰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CN202364273U (zh) 一种具有滑插式后盖的手机保护壳
KR101001752B1 (ko) 스마트폰용 보호장치
KR200465394Y1 (ko) 이중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196608B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701051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privacy
KR100958645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KR101519978B1 (ko) 휴대폰 케이스 조립체
KR101386340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2287294B1 (ko)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KR20120047576A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보호 케이스
KR101510586B1 (ko) 스마트폰의 보호커버용 클립
EP2198341B1 (en) Shutter arrangement for covering a camera lens
KR101464707B1 (ko) 전면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KR200490393Y1 (ko) 액세서리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200473421Y1 (ko)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KR101459357B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130006934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472778Y1 (ko)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CN102821569A (zh) 内置伸缩耳机的终端设备
KR20050089106A (ko) 스프링 댐퍼 장치
KR102368529B1 (ko) 스마트폰 액정클린장치
KR102033753B1 (ko) 커버를 갖는 단말기 케이스 조립체
KR101872008B1 (ko)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