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877A -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Google Patents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9877A KR20160069877A KR1020140176041A KR20140176041A KR20160069877A KR 20160069877 A KR20160069877 A KR 20160069877A KR 1020140176041 A KR1020140176041 A KR 1020140176041A KR 20140176041 A KR20140176041 A KR 20140176041A KR 20160069877 A KR20160069877 A KR 201600698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plate
- main body
- opening
- rim
- she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갑(케이스를 포함하는 개념)의 형태이면서 지갑의 일측면에 스마트폰(휴대폰의 개념을 포함함)을 장착한 상태에서 사진을 찍고자 할 경우에 지갑에 구멍을 천공치 않으면서도 사진을 찍을 수 있고, 휴대폰에 카메라가 장착된 상태가 수평이거나 수직으로 형성된 휴대폰의 모두에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개의 슬라이드판을 구비하고, 1차로 승강되는 1차 슬라이드판은 2차로 승강되어지는 2차 슬라이드판의 내공간에서 슬라이드되도록 하여 1차로 승강되는 슬라이드판이 2차 슬라이드판을 밀어올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하강된 상태에서는 1차슬라이드판은 2차슬라이드판의 내공간의 하단에 위치토록 되고, 2차 슬라이드판은 본체의 내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테두리에 밀착토록 하고, 상기와 같이 하강된 상태에서 1차슬라이드판의 이동공간과 2차 슬라이드판의 이동공간의 유격이 존재하게 되는 상태에서 1차슬라이드판에 스마트폰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개의 슬라이드판을 구비하고, 1차로 승강되는 1차 슬라이드판은 2차로 승강되어지는 2차 슬라이드판의 내공간에서 슬라이드되도록 하여 1차로 승강되는 슬라이드판이 2차 슬라이드판을 밀어올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하강된 상태에서는 1차슬라이드판은 2차슬라이드판의 내공간의 하단에 위치토록 되고, 2차 슬라이드판은 본체의 내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테두리에 밀착토록 하고, 상기와 같이 하강된 상태에서 1차슬라이드판의 이동공간과 2차 슬라이드판의 이동공간의 유격이 존재하게 되는 상태에서 1차슬라이드판에 스마트폰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갑(케이스를 포함하는 개념)의 형태이면서 지갑의 일측면에 스마트폰(휴대폰의 개념을 포함함)을 장착한 상태에서 사진을 찍고자 할 경우에 지갑에 구멍을 천공치 않으면서도 사진을 찍을 수 있고, 휴대폰에 카메라가 장착된 상태가 수평이거나 수직으로 형성된 휴대폰의 모두에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본원발명과 같이 핸드폰의 수납을 위하여 지갑의 형태이면서 휴대폰을 장착한 것은 본원출원인이 특허등록받은 등록제10-1356236호에서 제안토록 한 것이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갑(100)을 형성하는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공간(23)에 상하로 승강되는 슬라이드판(22)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판(22)은 지갑(100)의 타측면(20)에 형성되는 개구부(24)로 일정부분이 노출토록 하고, 상기 노출된 슬라이드판(22)에는 스마트폰(200)의 고정을 위한 접착면(21)을 구비하고, 상기 접착면(21)에 접착된 스마트폰(200)은 상측으로 밀어올려 카메라가 노출토록 하거나 또는 하방으로 당겨내려 원위치토록 된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측으로 밀어올려 사진등을 찍거나 동영상을 촬영토록 한 후 이러한 작업이 완료되면 하강토록 하여 휴대폰으로서의 휴대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카메라가 스마트폰의 상단에 수평으로 이루어진 것에서는 가능한데 수직으로 이루어진 것에서는 사용치 못하게 된다라는 것이다.
즉 상하 이동의 폭을 크게하고자 할 경우에는 개구부(24)의 개구된 폭을 크게 하면서 슬라이드판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슬라이드공간에서 이동의 폭을 크게 하여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는 하강된 상태에서는 정위치에서의 고정이 가능하지만 상승된 상태에서는 더 상승토록 하기 위하여 개구부를 상측으로 더 개구토록 하여야 하고 슬라이드판의 상단도 ?아져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 슬라이드공간에서 상하로 승강되어지는 슬라이드판이 개구부에서 빠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고 만일 빠짐이 방지된다고 하여도 걸림되어지는 폭이 작아서 작은 외력에 의하여도 분리되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빠짐을 방지하면서도 상하승강이 용이토록 하고, 동시에 카메라가 스마트폰의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것은 물론 수직으로 형성된 것에도 동시에 적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개의 슬라이드판을 구비하고, 1차로 승강되는 1차 슬라이드판은 2차로 승강되어지는 2차 슬라이드판의 내공간에서 슬라이드되도록 하여 1차로 승강되는 슬라이드판이 2차 슬라이드판을 밀어올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하강된 상태에서는 1차슬라이드판은 2차슬라이드판의 내공간의 하단에 위치토록 되고, 2차 슬라이드판은 본체의 내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테두리에 밀착토록 하고, 상기와 같이 하강된 상태에서 1차슬라이드판의 이동공간과 2차 슬라이드판의 이동공간의 유격이 존재하게 되는 상태에서 1차슬라이드판에 스마트폰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에 스마트폰이 장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이 지갑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휴대폰케이스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외곽테두리를 벗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상측으로 말어올리면 1차슬라이드판이 1차로 상승되고, 다시 더 밀어올리면 1차 슬라이드판이 2차슬라이드판을 밀어올리면서 2차로 상승되어져 카메라가 스마트폰의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된 것과 수직으로 형성된 스마트폰의 카메라 노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케이스의 본체에 스마트폰이 장착되기 이전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본체의 내피가 외피와 합지되는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본체의 작동개시이전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지갑의 외관상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이 3단으로 상승되어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8은 종래 상하로 승강되는 것에 대한 내부구조도.
도2는 본 발명의 본체의 내피가 외피와 합지되는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본체의 작동개시이전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지갑의 외관상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이 3단으로 상승되어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8은 종래 상하로 승강되는 것에 대한 내부구조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의 휴대를 위한 덮개(10)와 본체(20)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00)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본체(20)는 내피(21)와 외피(22)로 이루어져 그 외곽테두리가 봉재수단으로 봉착되어지고, 상기 내피(21)와 외피(22)의 사이에는 슬라이드공간(23)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공간(23)에는 상하로 승강되는 2차 슬라이드판(30)과 2차 슬라이드판의 내공간에서 승강되어지는 1차 슬라이드판(40)을 구비하고, 상기 2차 슬라이드판(30)에는 1차 슬라이드판(40)이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테두리(32)가 형성되는 내공간(31)을 구비하고, 상기 내공간(31)에는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1차 슬라이드판(40)을 구비하고, 상기 1차 슬라이드판(40)을 구성하는 외피(41)에는 스마트폰(200)의 장착을 위한 고정수단(42)을 구비토록 한 것이고, 상기 고정수단(4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내피(21)와 2차 슬라이드판(30)에는 각각 개구부(24,36)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24,36)로 노출되는 고정수단(42)에는 스마트폰(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고정수단(42)은 상하로 접착층(42a,b)을 형성하고 그 중간에는 탄력성을 갖는 패드체(42c)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는 1차 슬라이드판에 장착된 상태에서 2차 가이드테두리의 높이와 본체를 구성하는 내피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가이드테두리의 두께보다 동일하게나 두꺼워야 스마트폰을 가압에 의하여 고정이 가능하게 되면서도 승강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20)의 내피(21)에 형성되는 개구부(24)의 개구되어진 넓이는 2차 슬라이드판(30)에 형성된 개부부(36)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고, 2차 슬라이드판이 승강될 경우에 내피(21)에 형성된 개부부(24)로 2차 슬라이드판(30)이 이탈되지 않는 크기로 개구되어지는 것이어서 조립된 상태에서 내피(21)에 형성된 개구부(24)로는 2차 슬라이드판(30)의 외피(33)가 노출되어지는 것이고, 2차 슬라이드판(30)의 개구부(36)로는 1차 슬라이드판(40)의 외피(41)가 노출되어지는 구성이다.
따라서 스마트폰(200)이 본체(20)의 내피(21)에 형성된 개구부(24)로 노출된 고정수단(4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마트폰(200)의 외곽테두리가 본체(20)의 외곽테두리를 벗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덮개(10)를 덮으면 스마트폰이 지갑에 완전하게 가려지면서 수용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떨어트릴 경우에도 스마트폰에는 충격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고, 동시에 덮개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카드수납부(11)나 지폐수납부(12)에 카드나 지폐등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덮개(10)를 열고 스마트폰(200)을 사용하면 되고, 사진등의 촬영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마트폰(2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면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1차 슬라이드판(40)으로 1단만을 상승토록 하거나 2차 슬라이드판(30)까지 밀어올려 2단으로 상승토록 함으로서 사진등의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2차슬라이드판(30)과 1차슬라이드판(40)이 본체(20)의 슬라이드공간(23)에서 상하승강시 정확한 이동의 간격을 단속하기 위하여 본체(20)의 내피(21)이면의 테두리에는 단턱(26)을 갖는 가이드테두리(25)를 접착고정하여 2차슬라이드판(30)이 승강될 경우에 상기 가이드테두리(25)의 단턱(26)에 의하여 승강의 간격을 단속하게 되고, 이때 2차 슬라이드판(30)도 본체(20)의 내피(2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피(33)를 구비토록 한 상태에서 외피(33)의 이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보강시트(34)가 부착되는 것이다.
이때 2차 슬라이드 판(30)에도 개구부(36)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보강시트(34)는 1차 슬라이드판(40)이 수용되어지는 내공간(31)을 구비하는 가이드테두리(32)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가이드테두리(32)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보강시트(34)가 외피(33)와 합지된 상태에서의 2차 슬라이드판(30)의 두께는 상기 본체의 내피(21)의 이면에 접착 형성된 가이드테두리(25)의 단턱(25)이 형성되는 높이와 동일하게 함으로서 승강시 단속이 용이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2차 슬라이드판(30)이 승강시 본체(20)의 내피(21)의 이면과 밀착되면서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로 하면서 보강을 위하여 본체(20)의 내피(21)의 이면에는 마찰이 적은 제1플라스틱 시트(50)를 합지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합지시에 제1플라스틱 시트(50)에도 내피(21)의 개구부(24)가 형성된 부분과 동일한 개구부(51)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합지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내피(21)의 이면에 제1플라스틱 시트(50)가 합지되어짐으로 본체(20)에는 일정한 지지강도가 유지되어져 스마트폰이 승강될 경우에 구부러짐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플라스틱 시트(50)와 밀착되면서 마찰되는 2차슬라이드판(30)의 외피(33)는 엠보싱으로 형성되어 제1플라스틱시트(50)와 점접촉을 유도함으로서 마찰을 최소로 하게 되어 더욱더 승강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2차슬라이드판(30)의 보강시트(34)로 사용되는 가이드테두리(32)의 단턱(35)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공간(31)에도 1차 슬라이드판(40)이 상하승강시의 이동간격의 단속과 용이한 상하승강을 위하여 2차 슬라이드판(30)을 형성하는 외피(33)의 이면에 보강기능을 하게 되는 제2플라스틱시트(50a)를 합지토록 한 상태에서 제2플라스틱 시트(50a)의 상면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가이드테두리(32)를 형성하면서 단턱(35)이 형성토록 하고, 제2플라스틱 시트(50a)에도 개구부(51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51a)는 2차 슬라이드판(30)에 형성된 개구부(36)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플라스틱 시트(50a)는 2차 슬라이드판(30)의 개구부(36)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합지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2차 및 1차 슬라이드판(30,40)이 본체를 구성하는 내피(21)에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밀어올려 상하로 승강될 경우에 상기 2차 및 1차 슬라이드판(30,40)의 이탈방지는 물론 용이한 승강을 위하여 2차 및 1차 슬라이드판(30,40)이 형성된 외측으로 별도로 보강시트(60)를 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시트(60)는 내인장력이 우수하면서도 마찰력이 적은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한 것이고, 보강시트(60)는 본체(20)를 구성하는 내피(21)의 이면의 테두리에 단턱(26)을 갖는 가이드 테두리(25)에 일정한 폭을 갖도록 접착면(27)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면(27)에 접착토록 함으로서 보강지지력을 구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현된 상태에서 본체(20)를 형성하는 외피(22)가 내피(21)와 합지되어져 그 외곽테두리를 봉재수단에 의하여 봉착함으로서 본체(2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지갑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카메라의 노출을 위한 별도의 절개부를 형성치 아니함으로 외관의 디자인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지갑으로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지갑의 형태이면서 덮개를 개폐함으로서 간단하게 스마트폰으로 사용하게 되고 필요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스마트폰을 밀어올려 다양한 위치에 형성된 카메라를 노출토록 하여 사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2단으로 상승토록 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으로 상승토록 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3단으로의 결합은 2차슬라이드판과 1차 슬라이드판이 결합되는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서 가능한 것이다.
10:덮개 11:카드수납부
12:지폐수납부
20:덮개 21:내피
22:외피 23:슬라이드공간
24:개구부 25:가이드테두리
26:단턱 27:접착면
30:2차슬라이드판 31:내공간
32:가이드테두리 33:외피
34:보강시트 35:단턱
36:개구부
40:1차슬라이드판 41:외피
42:고정수단
50:플라스틱시트 51:개구부
60:보강시트
12:지폐수납부
20:덮개 21:내피
22:외피 23:슬라이드공간
24:개구부 25:가이드테두리
26:단턱 27:접착면
30:2차슬라이드판 31:내공간
32:가이드테두리 33:외피
34:보강시트 35:단턱
36:개구부
40:1차슬라이드판 41:외피
42:고정수단
50:플라스틱시트 51:개구부
60:보강시트
Claims (10)
- 스마트폰(200)의 휴대를 위한 덮개(10)와 본체(20)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본체(20)는 내피(21)와 외피(22)로 이루어져 그 외곽테두리가 봉재수단으로 봉착되어져 슬라이드공간(23)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공간(23)에는 상하로 승강되는 2차 슬라이드판(30)과 2차 슬라이드판의 내공간에서 승강되어지는 1차 슬라이드판(40)을 구비하고,
상기 2차 슬라이드판(30)에는 1차 슬라이드판(40)이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테두리(32)가 형성되는 내공간(31)을 구비하고,
상기 내공간(31)에는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1차 슬라이드판(40)을 구비하고, 상기 1차 슬라이드판(40)을 구성하는 외피(41)에는 스마트폰(200)의 장착을 위한 고정수단(4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4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내피(21)와 2차 슬라이드판(30)에는 각각 개구부(24,36)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24,36)로 노출되는 고정수단(42)에는 스마트폰(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내피(21)에 형성되는 개구부(24)의 개구되어진 넓이는 2차 슬라이드판(30)에 형성된 개부부(36)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2차 슬라이드판이 승강될 경우에 내피(21)에 형성된 개부부(24)로 2차 슬라이드판(30)이 이탈되지 않는 크기로 개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슬라이드판(30)과 1차슬라이드판(40)이 본체(20)의 슬라이드공간(23)에서 상하승강시 정확한 이동의 간격을 단속하기 위하여 본체(20)의 내피(21)이면의 테두리에는 단턱(26)을 갖는 가이드테두리(25)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슬라이드판(30)도 본체(20)의 내피(2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피(33)를 구비토록 한 상태에서 외피(33)의 이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보강시트(34)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슬라이드 판(30)에도 개구부(36)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시트(34)는 1차 슬라이드판(40)이 수용되어지는 내공간(31)을 구비하는 가이드테두리(32)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테두리(32)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보강시트(34)가 외피(33)와 합지된 상태에서의 2차 슬라이드판(30)의 두께는 상기 본체의 내피(21)의 이면에 접착 형성된 가이드테두리(25)의 단턱(25)이 형성되는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슬라이드판(30)이 승강시 본체(20)의 내피(21)의 이면과 밀착되면서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로 하면서 보강을 위하여 본체(20)의 내피(21)의 이면에는 마찰이 적은 제1플라스틱 시트(50)를 합지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합지시에 제1플라스틱 시트(50)에도 내피(21)의 개구부(24)가 형성된 부분과 동일한 개구부(51)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합지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라스틱 시트(50)와 밀착되면서 마찰되는 2차슬라이드판(30)의 외피(33)는 엠보싱으로 형성되어 제1플라스틱시트(50)와 점접촉을 유도함으로서 마찰을 최소로 하게 되어 더욱더 승강이 용이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차슬라이드판(30)의 보강시트(34)로 사용되는 가이드테두리(32)의 단턱(35)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공간(31)에도 1차 슬라이드판(40)이 상하승강시의 이동간격의 단속과 용이한 상하승강을 위하여 2차 슬라이드판(30)을 형성하는 외피(33)의 이면에 보강기능을 하게 되는 제2플라스틱시트(50a)를 합지토록 한 상태에서 제2플라스틱 시트(50a)의 상면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가이드테두리(32)를 형성하면서 단턱(35)이 형성토록 하고, 제2플라스틱 시트(50a)에도 개구부(51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51a)는 2차 슬라이드판(30)에 형성된 개구부(36)와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및 1차 슬라이드판(30,40)이 본체를 구성하는 내피(21)에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밀어올려 상하로 승강될 경우에 상기 2차 및 1차 슬라이드판(30,40)의 이탈방지는 물론 용이한 승강을 위하여 2차 및 1차 슬라이드판(30,40)이 형성된 외측으로 별도로 보강시트(60)를 합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시트(60)는 내인장력이 우수하면서도 마찰력이 적은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한 것이고, 보강시트(60)는 본체(20)를 구성하는 내피(21)의 이면의 테두리에 단턱(26)을 갖는 가이드 테두리(25)에 일정한 폭을 갖도록 접착면(27)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면(27)에 접착토록 함으로서 보강지지력을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6041A KR20160069877A (ko) | 2014-12-09 | 2014-12-09 |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6041A KR20160069877A (ko) | 2014-12-09 | 2014-12-09 |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9877A true KR20160069877A (ko) | 2016-06-17 |
Family
ID=5634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6041A KR20160069877A (ko) | 2014-12-09 | 2014-12-09 |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6987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583U (ko) | 2019-12-30 | 2021-07-08 | 박하영 | 휴대폰 장탈착부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고 회전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
KR102287294B1 (ko) | 2020-11-02 | 2021-08-09 | 정성외 |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
KR20230023390A (ko) | 2021-08-10 | 2023-02-17 | 주식회사 브로스커뮤니케이션 | 휴대폰 장탈착부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고 회전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6236B1 (ko) | 2013-05-22 | 2014-02-03 | 김대인 | 카메라 노출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을 휴대가능한 장지갑. |
-
2014
- 2014-12-09 KR KR1020140176041A patent/KR2016006987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6236B1 (ko) | 2013-05-22 | 2014-02-03 | 김대인 | 카메라 노출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을 휴대가능한 장지갑.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583U (ko) | 2019-12-30 | 2021-07-08 | 박하영 | 휴대폰 장탈착부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고 회전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
KR102287294B1 (ko) | 2020-11-02 | 2021-08-09 | 정성외 | 카메라 보호용 휴대폰 케이스 |
KR20230023390A (ko) | 2021-08-10 | 2023-02-17 | 주식회사 브로스커뮤니케이션 | 휴대폰 장탈착부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고 회전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6236B1 (ko) | 카메라 노출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을 휴대가능한 장지갑. | |
KR101205556B1 (ko) |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 |
KR101522003B1 (ko) |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 |
KR101544093B1 (ko) |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 |
KR20160069877A (ko) | 다단의 상승수단이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 |
KR20130020817A (ko) |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 |
US9483082B2 (en) | Portable electronic module | |
JP3204680U (ja) | 携帯端末保護具 | |
RU186553U1 (ru) | Чехол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 |
KR101419199B1 (ko) | 휴대폰용 케이스 | |
KR200463950Y1 (ko) | 피사체 촬영을 위한 거치대 겸용 휴대용 태블릿 pc 수납 케이스 | |
US20140008248A1 (en) | Case apparatus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101532168B1 (ko) | 휴대폰용 케이스 | |
KR20170004090A (ko) | 카메라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마트폰이 휴대된 장지갑 | |
US20150157105A1 (en) | Jewelry Box | |
JP3198976U (ja) | 携帯型情報端末用カバー | |
KR101556062B1 (ko) | 지갑 겸용 휴대폰 케이스 | |
KR101636667B1 (ko) | 핸드폰 보호케이스 | |
KR101392058B1 (ko) | 휴대폰용 케이스 | |
KR200472573Y1 (ko) |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 |
KR101866919B1 (ko) | 스마트폰 케이스 | |
KR101647611B1 (ko) | 지갑형 스마트폰 멀티케이스 | |
JP3200923U (ja) | 携帯電話機用ケース | |
JP6120034B1 (ja) | 携帯端末ケース | |
KR200472574Y1 (ko) | 케이스와 지갑이 결합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