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577A -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577A
KR20140002577A KR1020130142943A KR20130142943A KR20140002577A KR 20140002577 A KR20140002577 A KR 20140002577A KR 1020130142943 A KR1020130142943 A KR 1020130142943A KR 20130142943 A KR20130142943 A KR 20130142943A KR 20140002577 A KR20140002577 A KR 20140002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stragalus
extract
water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용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서울향료주식회사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향료주식회사, 박영준 filed Critical 서울향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577A/ko
Publication of KR2014000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기 추출물(Astragalus membranaceus)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이 피부 진피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UVB에 대한 보호 효과와, NF-κB의 발현 및 핵으로의 전좌(translocation) 억제 효과 및 프로콜라겐(procollagen) 증가 효과가 있기 때문에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Compostion for reducing irritation and infla㎜aion in skin comprising extra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본 발명은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과도한 자외선이나 오염물질 또는 자극원에 노출되면 홍반, 부종, 가려움, 벗겨짐 등의 피부 자극 및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seborrhea) 및 여드름 등의 염증 반응이 유발된다. 이러한 피부 자극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의 증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oxicol In Vitro. 2004; 18:231-43, Irritant dermatitis. 1996; pp. 87-111).
현재까지는 상기와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주로 항히스타민제, 비타민 연고 또는 부신피질호르몬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그 효과가 일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부작용이 심한 경우도 많다.
생체에 있어서 염증의 발생 원인으로서는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다. 세포에 특정 자극이 가해지면 세포는 이 자극을 신호로 접수, DNA 설계도를 조절하여 필요한 단백질을 찍어낸다. NF-κB는 핵막을 뚫고 들어가 DNA 특정 서열의 특정 부위(유전자의 특정 부위)와 결합하여 자극함으로써 유전자 발현 속도(gene expression rate)를 증가시키는 세포질 내 단백질 복합체로 '유전자 전사 단백'이라고 한다. NF-κB가 세포핵 내 특정 유전자 DNA와 결합하면 특정 효소나 단백질을 과다하게 찍어낸다. NF-κB는 면역 활성도 및 염증 반응계는 물론 종양의 발병, 진행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NF-κB는 노화의 생체 시계를 조절한다. 노화되면 염증 및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이 점차 약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NF-κB 생성의 증가와 관련된다. NF-κB의 자극으로 특정 유전자 발현 속도가 증가하면 관련 효소 및 단백질 생산이 늘어나서 염증성 프로스타글란딘 및 기타 에이코사노이드 생산을 비정상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NF-κBB 활성이 증가하면 면역계가 과잉 활성 되어 다양한 자가 면역 질환 및 염증 반응이 악화된다. 따라서 NF-κB생산 및 활성을 제한하면 여러 가지 생체 염증 반응계의 초기 경로 및 과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NF-κB는 산화 질소계(nitric oxide system)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산화 질소의 과잉 생성을 촉진한다. 세포가 유해 시그널(스트레스, 인슐린 저항성, 프리라디칼, 싸이토카인, 자외선, 바이러스 감염 등)을 받으면 NF-κB가 증가하고, 활성화된 NF-κB는 핵으로 이동하여 iNOS, COX-2 및 IL-1β나 TNF-α와 같은 여러 종류의 사이토카인 등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켜, 암 세포화시키는 단백질과 염증 유발 효소 단백질이 늘어나 암, 자가 면역 질환, 바이러스 감염, 패혈 쇼크 등을 야기한다.
피부에 있어 자외선, 건조상태, 오염물질 등에 의해 지속적 염증이 유발되고 이때 유발되는 이들 인자는 콜라겐 섬유 및 탄력 섬유 등을 파괴하여 건조한 피부가 되거나 주름이 깊어지게 된다.
황기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바위틈에 자란다. 높이 40~70cm이며 전체에 흰색의 부드러운 잔털이 있다. 줄기는 총생(叢生)하며 잎은 6~11쌍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길이 약 1~2 cm로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턱잎은 바소꼴로써 끝이 길게 뾰족하다. 잎겨드랑이에서 총상(總狀)으로 대가 긴 꽃이삭이 나오며 5~10개의 꽃이 달린다. 7~8월에 황백색 꽃이 피며 길이 약 2 ㎝이고 작은 꽃자루는 길이 약 3 ㎜이다. 꽃받침은 길이 약 5 ㎜이고 흑갈색 털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열매는 11월에 결실하며 협과이다. 꼬투리는 긴 타원형으로 양 끝이 뾰족하고 길이 2~3cm이며 5~7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한국, 일본, 만주,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 지한(止汗), 이뇨(利尿),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피로권태, 기혈허탈(氣血虛脫), 탈항(脫肛), 자궁탈, 내장하수, 식은땀, 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자극원에 의한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항염증 또는 피부자극 완화 효능이 있는 물질 또는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를 위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황기 추출물이 피부 진피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UVB에 대한 보호 효과와, NF-κB의 발현 및 핵으로의 전좌(translocation) 억제 효과 및 프로콜라겐(procollagen) 증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상기 황기 추출물을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이 피부 진피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UVB에 대한 보호 효과와, NF-κB의 발현 및 핵으로의 전좌(translocation) 억제 효과 및 프로콜라겐(procollagen) 증가 효과가 있기 때문에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Hs68 섬유아세포에서 황기 추출물에 의한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데이타는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기재하였고, 3회 반복 실험하여 평균으로 표시하였다. * 대조군에 대해 유의적으로 차가 있음을 표시함(* : p<0.05, *** : p<0.001 )
도 3은 Hs68 섬유아세포에서 NF-κB P65의 UVB-유도 활성에 대한 황기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황기 추출물을 24 시간 동안 전처리(10 ㎍/㎖, 100 ㎍/㎖ 및 300 ㎍/㎖)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고 배양된 세포에 UVB (40 mJ/㎠)를 조사하였다. 세포는 UVB 조사 후 5 시간에 수확하고, 세포 용해물을 웨스턴 블롯 분석을 사용한 NF-κB 활성 분석을 위해 준비하였다.
도 4는 황기-처리(100 ㎍/㎖) 및 40 mJ/㎠ UVB 노출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NF-κB P65이 핵으로 재배치되는 것을 저해되는 면역세포화학염색 분석을 나타낸 그림이다.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NF-κB P65 로컬리재이션이 UVB 대조군에 비하여 진하게 염색되어 보여진다. 흰 화살표시는 NF-κB P65가 핵으로 재배치되는 것이다. 배양된 세포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4 ℃에서 밤새 항-p65- 항체로 인큐베이트하였다. 대표적인 형광 이미지를 형광 현미경으로 얻었다. 배율 400×.
도 5는 섬유아세포에서 프로콜라겐의 UVB-유도 활성화에 대한 황기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황기 추출물을 24 시간 동안 전처리(10 ㎍/㎖, 100 ㎍/㎖ 및 300 ㎍/㎖)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고 배양된 세포에 UVB (40 mJ/㎠)를 조사하였다. 세포는 UVB 조사 후 5 시간에 수확하고, 세포 용해물을 준비하였다. 프로콜라겐의 총 단백질 수준은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웨스턴 블롯 분석을 사용하여 특이적 항체로 검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황기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황기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농축된 추출물을 건조 분말화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황기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추출방법으로는 증류 추출, 진탕 추출 또는 환류 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용매를 고수 분량에 2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추출온도는 상온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2 내지 12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1 내지 3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동결건조 추출물은 13.9 g을 얻었으며, 수율은 13.9 %이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단계 4)의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피부 자극은 홍반, 부종, 가려움 및 벗겨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염증은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seborrhea)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황기 추출물은 NF-κB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염증으로부터 기인하는 주름 또는 노화를 개선 또는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실험에서 Hs68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은 황기 추출물 10, 100 및 300 ㎍/㎖의 각각의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하여 89.93 %, 105.41 %, 113.93 %로 증가하였다. 또한 UVB 40 mJ 조사한 실험한 것에서는 각각의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하여 111.76 %, 141.17 %, 139.70 %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황기 100 ㎍/㎖의 농도에서 Hs68 세포의 생존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141.17 %로서 가장 높았다 (도 2).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웨스턴 블롯 분석에서는 정상군(normal)과 UVB 40 mJ/㎠ 조사한 대조군(control)을 대조군으로 하여 약재 농도 10 ㎍/㎖, 100 ㎍/㎖, 300 ㎍/㎖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control)에서 NF-κB P65의 발현양이 정상군(normal)에 비해 증가하였고 약재농도 대비하여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도 3).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황기가 UVB에 의하여 발현된 NF-κB 경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세포화학염색(Immunocytochemistry)를 수행하였다. NF-κB P65가 UVB에 의해 전좌(translocation) 되면서 세포질보다 핵에서 더 진한 농도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NF-κB P65가 활성이 된 후 핵으로 이동하여 전사를 일으키는 여러 유전자의 작용을 한다. 황기 농도 100 ㎍/㎖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저해 효과가 나타나 전좌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도 4).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Hs68 섬유아세포에서 피부 세포의 기질(matrix)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콜라겐 합성에 황기 추출물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황기 농도 100 ㎍/㎖에서의 단백질 합성 정도를 수행해보았다.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프로콜라겐 합성 증가량을 보였다(도 5). UVB 조사에 의해 합성이 저해된 프로콜라겐을 일정 농도의 황기가 NF-κB P65의 전좌를 억제함으로 UVB에 대한 보호 효과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황기 추출물은 피부 진피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UVB에 대한 보호 효과와, NF-κB의 발현 및 핵으로의 전좌(translocation) 억제 효과 및 프로콜라겐(procollagen) 증가 효과가 있기 때문에 피부 자극 및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추출물이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자극은 홍반, 부종, 가려움 및 벗겨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염증은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seborrhea)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황기 추출물은 NF-κB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염증으로부터 기인하는 주름 또는 노화를 개선 또는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자극은 홍반, 부종, 가려움 및 벗겨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염증은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seborrhea)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황기 추출물은 NF-κB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염증으로부터 기인하는 주름 또는 노화를 개선 또는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제, 현탁제, 유제, 시럽제, 기타 액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형, 예를 들면 정체, 트로치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또는 우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elixirs)로 제제화된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롤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된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고수 추출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당 본 발명의 추출물을 0.0001 ~ 500 ㎎의 양으로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0.001 ~ 100 ㎎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자극은 홍반, 부종, 가려움 및 벗겨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염증은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seborrhea)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황기 추출물은 NF-κB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식품은 피부 염증으로부터 기인하는 주름 또는 노화를 개선 또는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황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황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설탕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황기 ( Astragalus membranaceus ) 추출물의 제조
본 실험에서 사용된 황기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 경동약령시장의 원광약업사를 통하여 구입하여, 경희대학교 처방제형학 교실에서 외부형태를 비교 조사하여 확인한 후 사용하였으며, 일부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처방제형학 교실에 보관하였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100 g을 정확하게 중량을 측정한 뒤 환류 추출기에 1차 증류수 2000 ㎖와 함께 넣은 뒤 100 ℃ 가까이 온도가 상승하여 탕액이 끓는 시점으로부터 2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지(filter paper)로 감압 여과한 여과액을 회전 진공 농축장치(rotary vacuum evaporator, Eyela, Japan)를 이용하여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을 동결건조기(Eyela, Japan)를 이용하여 건조한 분말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동결건조 추출물은 13.9 g을 얻었으며, 수율은 13.9 % 이었다.
황기 추출물의 피부 진피세포의 생존력( viability )에 미치는 영향 분석
<2-1> 세포 배양
실험에 사용된 세포주는 Hs68 (dermal fibroblast 세포, human)로서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USA)에서 구입하였다. 이 세포주는 인간 포피(human foreskin)에서 유래한 세포로 진피세포에 속한다.
Hs68 섬유아세포 세포주(fibroblast 세포 line)는 37 ℃, 5 % CO2 조건에서 10 % FBS(fetal bovine serum, GIBCO BRL, USA), 페니실린(penicillin)(100 ㎍/㎖),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100 ㎍/㎖)이 첨가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BRL, USA)로 배양되었다. Hs68 세포은 75 ㎠ 플라스크(Falcon, USA)에서 충분히 증식된 후 배양 3일 간격으로 배양 세포 표면을 인산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용액으로 씻어준 후 50 ㎖ 플라스크 당 1 ㎖의 0.25 % 트립신(trypsin)-EDTA(GIBCO BRL, USA) 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 분간 처리한 다음 trypsin용액을 버리고 37 ℃에서 5 분간 보관하여 세포를 탈착하여 계대 배양하였다. 탈착된 세포는 10 % FBS가 첨가된 DMEM 배양액 10 ㎖에 부유시킨 다음 새로운 배양용기 (50 ㎖ culture flask)에 옮겨 1 : 20의 분배비(split ratio)로 CO2 배양기(Sanyo, Japan)(37 ℃, 5 % CO2)에서 배양하였다.
<2-2> 피부 진피세포의 생존력 측정
황기 추출물이 Hs68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Mosmann(1983), Kotnik(1990) 등의 방법을 응용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2×106 세포/㎖의 세포를 100 ㎕씩 넣고 37 ℃, 5 %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버리고 배양 세포 표면을 PBS 용액으로 씻어주었다. 같은 양의 배지와 PBS에 녹인 시료 10, 100, 300 ㎍/㎖을 각 웰에 처리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기 4 시간 전에 PBS에 녹인 5 ㎎/㎖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bromide; MTT, Sigma, USA)를 20 ㎕씩 각 웰에 처리한 후 알루미늄 호일로 차광시켜 나머지 시간 동안 같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 ; DMSO, Sigma, USA)를 200 ㎕ 처리하여 37 ℃에서 2 시간 방치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력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되었다.
Figure pat00001

실험 성적은 평균치 ± 표준오차 (Mean ± S.E.)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과의 평균의 차이는 Student's t-test로 검정하여 p < 0.05 일 때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실험에서 Hs68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은 황기 추출물 10, 100 및 300 ㎍/㎖의 각각의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하여 89.93 %, 105.41 %, 113.93 %로 증가하였다. 또한 UVB 40 mJ 조사한 실험한 것에서는 각각의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하여 111.76 %, 141.17 %, 139.70 %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황기 100 ㎍/㎖의 농도에서 Hs68 세포의 생존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141.17 %로서 가장 높았다(도 2).
황기 추출물의 NF -κB 발현에 대한 효과
황기가 UVB에 의하여 발현된 NF-κB 신호전달 경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Western Blot Assay)을 수행하였다.
<3-1> UVB 조사 후 단백질 추출
Hs68 세포를 2×106 세포/㎖의 밀도로 100 ㎜ 페트리 디쉬 (Corning, USA)에 배지와 함께 넣고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버리고 배양세포 표면을 PBS 용액으로 씻어 준 후 PBS를 모두 제거하고 같은 양의 배지와 PBS에 녹인 100 ㎍/㎖ 시료를 디쉬에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배지를 버리고 PBS로 세척한 후 PBS 4 ㎖을 넣고 UVB 40 mJ/㎠ 조사한 다음 다시 PBS 용액으로 씻어 주고 각 디쉬에 FBS가 제거된 DMEM을 처리하고 5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한 세포를 PBS로 2 회 세척한 후 용해 완충액 300 ㎕를 넣고 스크랩퍼를 이용하여 긁어냈다. 이것을 1.5 ㎖의 에펜도르프 튜브에 담아 12,000 rpm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상층액 중의 1 ㎕를 취해 브래드포드 방법(Bradford's method)로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3-2> 웨스턴 블롯 분석
웨스턴 블롯 분석에서는 정상군(normal)과 UVB 40 mJ/㎠ 조사한 대조군(control)을 대조군으로 하여 약재 농도 10 ㎍/㎖, 100 ㎍/㎖, 300 ㎍/㎖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15 ㎍의 시료 단백질을 10 % SDS-PAGE Tris-글리신(glycine) 겔에서 전기영동하여 분리한 후 PVDF 막으로 전이시켰다. 단백질이 전이된 PVDF 막은 0.1 %의 tween20과 5 % BSA(Bovine serum albumin)을 포함한 PBS를 이용하여 4에서 12 시간 동안 블로킹한 후 NF-κB 항체 (1:1000)와 함께 2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그 후 0.1 %의 tween20 의 T-PBS 용액으로 10 분씩 3번 교반하여 남아있는 잔여 항체들을 제거하고 래빗 2차 항체 (1:2000)을 사용하여 2 시간 동안 상온에서 배양한 후 다시 0.1 % T-PBS 용액으로 10 분씩 6번 교반하여 남아있는 잔여 항체들을 제거하였다. 그 후 현상액을 막에 묻혀 필름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대조군(control)에서 NF-κB P65의 발현양이 정상군(normal)에 비해 증가하였고 약재농도 대비하여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도 3).
황기 추출물에 의한 NF -κB P65 저해
황기가 UVB에 의하여 발현된 NF-κB 경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세포화학염색(Immunocytochemistry)를 수행하였다.
면역세포화학염색은 0.1 % 젤라틴으로 코팅된 커버 슬라이드에 5x105 세포/㎖으로 세포를 배양한 후 95 % 알콜을 이용하여 고정을 시켰다. 내인성 과산화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3 % 과산화수소에 10 분간 처리 후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하였다. 면역세포화학염색의 비특이성 반응을 제거하기 위해 60 분간 염소혈청(Jackson I㎜no Research, U.S.A, 1:10)으로 처리하고, 여분의 용액을 제거한 다음 일차항체인 항-nfkb 항체(Santa Cruz, U.S.A, rabbit polyclonal, 1:100)를 4 ℃에서 하룻밤 반응시킨다. 반응이 끝난 세포를 PBS로 5 분간 3회씩 세척한 후 FITC(Jackson I㎜no Research, U.S.A, 1:50)가 부착된 이차 항체에 2 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글리세롤 젤라틴으로 포매하고 헤마톡실린(hematoxylin)으로 대조 염색을 실시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면역세포화학염색 결과에서는 NF-κB P65가 UVB에 의해 전좌(translocation) 되면서 세포질보다 핵에서 더 진한 농도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NF-κB P65가 활성이 된 후 핵으로 이동하여 전사를 일으키는 여러 유전자의 작용을 한다. 황기 농도 100 ㎍/㎖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저해 효과가 나타나 전좌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도 4).
황기 추출물에 의한 프로 콜라겐 발현
Hs68 섬유아세포에서 피부 세포의 기질(matrix)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콜라겐 합성에 황기 추출물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황기 농도 100 ㎍/㎖에서의 단백질 합성 정도를 수행해보았다.
<5-1> UVB 조사 후 단백질 추출
실시예 <3-1>에 따라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5-2> 웨스턴 블롯 분석
15 ㎍의 시료 단백질을 10 % SDS-PAGE Tris-글리신(glycine) 겔에서 전기영동하여 분리한 후 PVDF 막으로 전이시켰다. 단백질이 전이된 PVDF 막은 0.1 %의 tween20과 5 % BSA(Bovine serum albumin)을 포함한 PBS를 이용하여 4에서 12 시간 동안 블로킹한 후 프로콜라겐(pro-collagen) 항체 (1:1000)와 함께 2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그 후 0.1 %의 tween20 의 T-PBS 용액으로 10 분씩 3번 교반하여 남아있는 잔여 항체들을 제거하고 래빗 2차 항체 (1:2000)을 사용하여 2 시간 동안 상온에서 배양한 후 다시 0.1 % T-PBS 용액으로 10 분씩 6번 교반하여 남아있는 잔여 항체들을 제거하였다. 그 후 현상액을 막에 묻혀 필름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프로콜라겐 합성 증가량을 보였다(도 5). UVB 조사에 의해 합성이 저해된 프로콜라겐을 일정 농도의 황기가 NF-κB P65의 전좌를 억제함으로 UVB에 대한 보호 효과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 제조예 1> 화장품의 제조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장품으로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1-1> 유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 ~ 70 ℃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 ~ 70 ℃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6,000 rpm에서 2 ~ 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을 40 ℃에서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 ~ 35 ℃로 냉각시킴으로써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유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정제수 ~ 100 ~ 100 ~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실시예 1의 에탄올 추출물 0.0001 1 10
<1-2>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가용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 100 ~ 100 ~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실시예 2의 노르말-헥산 분획물 0.1 5 5
7 알코올(95 %)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0.2
< 제조예 2> 약학적 제제의 제조
<2-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노르말-헥산 분획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2-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2-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50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 제조예 3>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3-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3-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의 노르말-헥산 분획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의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3-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황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황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조예 4> 음료의 제조
<4-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 올리고당(2 %), 설탕(2 %), 식염(0.5 %), 물(75 %)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4-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4-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황기 추출물의 노르말-헥산 분획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6)

  1.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황기의 물 추출물은:
    1) 황기에 물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물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물 추출물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농축된 물 추출물을 건조 분말화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자극은 홍반, 부종, 가려움 및 벗겨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기의 물 추출물은 NF-κB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염증으로부터 기인하는 주름 또는 노화를 개선 또는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황기의 물 추출물은:
    1) 황기에 물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물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물 추출물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농축된 물 추출물을 건조 분말화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황기의 물 추출물은:
    1) 황기에 물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물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물 추출물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농축된 물 추출물을 건조 분말화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건강식품.
KR1020130142943A 2013-11-22 2013-11-22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KR20140002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943A KR20140002577A (ko) 2013-11-22 2013-11-22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943A KR20140002577A (ko) 2013-11-22 2013-11-22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615A Division KR20120118188A (ko) 2011-04-18 2011-04-18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577A true KR20140002577A (ko) 2014-01-08

Family

ID=5013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943A KR20140002577A (ko) 2013-11-22 2013-11-22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5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503A (ko) * 2014-03-03 2015-09-11 김윤규 피부세포 증식효능이 있는 스핑고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4361A (ko) * 2018-12-14 2020-06-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황기를 발효시킨 황기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210051673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황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503A (ko) * 2014-03-03 2015-09-11 김윤규 피부세포 증식효능이 있는 스핑고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4361A (ko) * 2018-12-14 2020-06-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황기를 발효시킨 황기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210051673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황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8188A (ko)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EP1793792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opecia and seborrheic skin disorders
KR101165716B1 (ko)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394426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hardy kiwi for preventing or treating baldness disorders or seborrheic skin disorders
KR20110043194A (ko) 마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27079B1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분화 촉진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KR101125224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KR20140002577A (ko)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1125225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153355B1 (ko) 콜레르파 라세모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10040363A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42437B1 (ko)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50115414A (ko) 오미자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처치유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06440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 배양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392333B1 (ko) 로도덴드론 알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KR100921971B1 (ko) 블루밍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77413B1 (ko)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797843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747499B1 (ko) 털조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86008B1 (ko) 레스베라트롤 쌀 또는 레스베라트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39470A (ko) 백미증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150002048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1682458B1 (ko)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2462B1 (ko) 효소처리 클로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